KR101865418B1 -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 Google Patents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418B1
KR101865418B1 KR1020127005852A KR20127005852A KR101865418B1 KR 101865418 B1 KR101865418 B1 KR 101865418B1 KR 1020127005852 A KR1020127005852 A KR 1020127005852A KR 20127005852 A KR20127005852 A KR 20127005852A KR 101865418 B1 KR101865418 B1 KR 10186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ter
folded
section
un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305A (ko
Inventor
겔라스 므바딩가-모우안다
클라우스 게볼프
Original Assignee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9422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654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1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2Pleated filters
    • B01D2201/127Pleated filters with means for keeping the spacing between the plea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특히 가스,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차량의 특히 내연기관의 특히 흡기, 연료, 요소 수용액 또는 엔진 오일, 또는 건물 또는 차량의 환기 시스템 내로 도입되는 외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로서, 미여과측(105) 및 여과측(104)을 갖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철된 필터 매체(106)를 갖춘 필터 요소(1)를 포함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 매체(14; 106)의 미여과측(105) 및/또는 여과측에서,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접철부 에지(F)에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긴 접착제 섹션(122)이 적어도 두 접착제 트랙(101)을 따라 필터 매체(106)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접착제 트랙(101)은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122)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107)를 구비한다. 상이한 접착제 트랙(101)의 접착제 중단부(107)는 접철부 에지(F)의 방향으로 볼 때, 두 인접한 접철부 에지(F) 사이에서 연장되는 매체 섹션(120)에서 접착제 중단부(107)가 접철부 에지(F)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통로(126)를 형성하지 않도록 서로 편위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FILTER FOR FILTERING FLUIDS}
본 발명은, 유체, 특히 가스, 특히 차량의 특히 내연기관의 특히 흡기, 연료 또는 모터 오일, 또는 건물 또는 차량의 환기 시스템 내로 도입되는 외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로서, 미여과측(raw side) 및 여과측(clean side)을 갖는 지그재그-접철된 필터 매체를 갖춘 필터 요소를 포함하고, 필터 매체의 미여과측 및/또는 여과측에서, 적어도 섹션별로 접철부 에지에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긴 접착제 섹션이 적어도 두 접착제 선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의 접착제 선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가 배치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접착제 선은 특히 필터 요소를 안정시키는 역할 및/또는 접철부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 기술은 접철된 필터 매체를 갖춘 상이한 필터를 개시한다. 공지된 평평한 비-실린더형의 접철된 필터 요소에서, 달성가능한 접철부 높이는 예를 들어 안정성의 이유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큰 접철부 높이 및 가능한 한 높은 필터 효율을 갖는 안정된 필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특히 인접하게 위치되는 접착제 선의 접착제 중단부가 접철부 에지의 방향으로 볼 때, 두 이웃한 접철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매체 섹션에서 접착제 중단부에 의해, 2개 이상의 인접하게 위치되는 접착제 선을 가로질러 접철부 에지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실현되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변위됨으로써 해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 접착제 섹션이 제공되며, 이 접착제 섹션에 의해 접철부 및 따라서 필터 요소가 안정된다. 이 방식으로, 안정된 구성의, 접철부 거리에 비해 높은 필터 요소, 즉 특히 높은 접철부를 갖춘 필터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섹션에 의해, 여과될 유체의 유동 코스가 또한 여과에 관해 최적화된다. 이웃한 접착제 선 사이에, 접착제 섹션에 의해, 여과될 유체가 접철부 에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안내되는 유동 영역이 실현된다. 유동 영역에 유체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이웃한 유동 영역 사이의 유체 연결을 나타내고 이웃한 유동 영역 사이의 보상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접착제 중단부가 제공된다. 유체 연결은 유동 영역 사이의 가능한 한 균일한 압력 분포를 보장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대부분의 접착제 중단부에 대해, 특히 모든 접착제 중단부에 대해, 접착제 중단부의 길이는 각각의 접착제 중단부의 범위를 정하는 접착제 섹션의 길이보다 작다.
필터 요소에 존재하는 부압(underpressure), 특히 내연기관의 작동시 흡기 매니폴드 내에 생성되는 부압이 유동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또는 심지어 필터 매체의 전폭에 걸쳐 중간 접철부 공간의 좌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즉 여과측의 대향 위치된 필터 매체 섹션이 직접 접촉할 것이다. 특히 불균일한 함침에 관한 재료 불균일로 인해, 여과측에서 좌굴을 초래하는 응력 또는 변형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좌굴된 영역은 더 이상 유체를 통과시키지 않아, 필터 요소의 여과 성능이 제한된다. 변위된 접착제 중단부에 의하면, 우선 비스듬히 연장되거나 적어도 접철부 에지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지 않는 통로가 실현되고, 이 통로에 의해, 접착제 선에 의해 분리된 이웃한 유동 영역 사이의 보상 유동이 가능해진다. 각각 이웃한 접착제 선의 접착제 섹션의 코너점(corner point)을 통해 연장되는 두 가상 곡선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채널형 영역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통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변위된 접착제 중단부로 인해, 둘째로 접착제 선의 중단부에 의해 약화되는 영역이 이웃한 접착제 선에 의해 지지되어 좌굴의 위험이 감소되는 것이 달성된다. 이 방식으로, 여과측에서 뿐만 아니라 미여과측에서도 좌굴의 위험이 회피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통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특히 V자형 또는 W자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향의 변화로 인해, 통로 내에서 특히 기계적 안정성에 관한 대칭 구조가 가능해진다.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철부 에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직선 접착제 선일 수 있다. 직선 접착제 선을 따라, 접착제 섹션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섹션은 필터 매체가 도포기(applicator) 노즐을 지나 수송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도포기 노즐로 필터 매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도포기 노즐은 필터 매체를 위한 수송 벨트 위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접착제 선은 등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이웃한 접착제 섹션 사이에 동일한 폭을 갖는 유동 영역이 실현된다. 또한, 접철부는 필터 요소의 전폭에 걸쳐 균일하게 지지되어, 접철부의 좌굴의 위험이 감소된다.
대안적으로, 이웃한 접착제 선의 간격은 유리하게는 접철부 에지의 방향으로 볼 때, 필터 요소의 일 단부면으로부터 타 단부면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특히 편심(off-center) 유입의 경우에, 이는 유동 영역에서의 압력 손실 및 집진 용량(dust capacity)과 필요 접착제 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필터 요소의 중간 또는 중앙에서의 유입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 다른 대안에서, 인접한 접착제 선의 간격은 특히 접철부 에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접철부 에지의 방향으로 필터 매체의 범위에 대해 중앙에 배치되는 거울면에 대해 외향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단부면을 향해 접착제 섹션, 및 따라서 접착제가 절약되고, 효과적인 필터 표면적이 확대된다. 또한, 에지에 대한 유동 영역이 더욱 넓어져, 국부적으로 압력 손실이 저하되고, 집진 용량이 증가된다. 또한, 필터 요소의 안정성이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기계적 하중에 맞추어진다.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미여과측 및 여과측에서 접착제 섹션은 미여과측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이 양측에서 여과측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를 지나 돌출되고 그 단부가 접착제 중단부에 인접하는 여과측의 접착제 섹션과 중첩되도록, 및/또는 여과측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이 양측에서 미여과측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를 지나 돌출되고 그 단부가 접착제 중단부에 인접하는 미여과측의 접착제 섹션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과측에서 뿐만 아니라 미여과측에서도 상호 중첩하는 접착제 섹션으로 인해, 접철부의 안정성이 전체적으로 증가된다. 이 방식으로, 필터 매체의 지지 작용의 공백(gap)이 회피된다. 접착제 섹션의 중첩은 여과측의 접착제 섹션의 미여과측의 대응하는 접착제 섹션 상으로의 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필터 매체에 수직한 접착제 섹션의 연장 범위는 접철된 필터 매체에서 접착제 섹션 각각의 필터 매체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자유면이 중간 접철부 공간에 대향 위치되는 접착제 섹션의 대응하는 자유면 상에, 또는 중간 접철부 공간에 대향 위치되는 매체 섹션의 표면상에 평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접착제 선을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중간 접철부 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두 매체 섹션이 접착제 섹션에 의해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이 방식으로, 매체 섹션이 압축되거나 접철부가 그곳에서 좌굴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전체 필터 요소의 안정성이 이 방식으로 증가된다. 또한, 접착제 섹션에 의해, 중간 접철부 공간에서 접철부 에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지지 및 유동 안내 벽이 실현되며, 여기에서 접착제 중단부에 의해서 지지 및 유동 안내 벽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이웃한 유동 영역 사이의 유체 연결이 실현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양측에서 미여과측 접철부 팁으로부터 이웃한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로 연장되는 필터 매체 섹션은 미여과측 접철부 팁으로부터 볼 때 미여과측을 향해 제1 굴곡부에 이어서 여과측을 향해 제2 굴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필터 매체의 미여과측에서의 정화될 유체의 유입이 최적이도록 여과될 유체를 위한 유입면의 접철부 팁이 유체공학적으로 최적으로 형상화된다. 이 방식으로, 압력 손실이 감소되고, 이물질, 특히 먼지에 대한 필터 요소의 부하 용량이 증가된다. 미여과측 접철부 팁의 영역에서의 특수한 굴곡부는 유리하게는 제2 굴곡부 후방의 영역이 벌어지고 필터 매체 섹션이 비교적 가파르게 미여과측 필터 기부로 연장되도록 필터 매체의 접철 후 좁은 영역에서 접철부 팁이 함께 밀착 크림핑됨으로써 형성된다. 필터 매체 섹션의 가파른 코스는 압력 손실 및 부하 용량에 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굴곡부는 접철부 벽의 안정을 가져온다. 따라서, 접철부 간격에 비해 큰 접철부 높이를 갖는 필터 요소가 안정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미여과측에서, 대략 필터 매체의 접철부 에지에 수직하게 미여과측 접철부 팁과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긴 함몰부가 필터 매체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는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에서 두 함몰부가 각각 중간 접철부 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두 매체 섹션 상에 서로 정반대로 위치되고 각각 부분적으로 유동 통로를 형성하도록 여과측에서 대응하는 돌출부를 실현한다. 따라서,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은 함몰부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채널 같이 넓어질 수 있다. 유동 통로로 인해, 공급된 유체의 유동의 코스는 여과 효율의 개선, 필터 요소에서의 압력 손실의 감소, 및 부하 또는 집진 용량의 증가를 위해 최적화된다. 따라서, 여과될 유체는 유체가 필터 매체의 전체 표면적에 걸쳐 가능한 한 많이 통과하도록 접철부의 기부로 균일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는 이물질 분리 및 필터 요소의 부하 용량의 증가와 함께 미여과측의 균일한 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함몰부 및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필터 요소의 영역은 접철된 필터 매체를 안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셀룰로오스, 멜트블로운 섬유, 마이크로섬유 또는 나노섬유, 직조 또는 편직 섬유, 부직포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필터 매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매체는 유입면에 지지 층 및 필터 층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유입면의 필터 층은 미세 섬유의 필터 층을 구비한다.
이 배열은 유입면에서 입자의 침착이 미세 섬유 내의 표면 가까이에서 일어나거나, 또는 적당하게 가는 섬유, 일반적으로 이러한 맥락에서 나노섬유의 경우에, 미세 섬유 층의 표면에서 완전히 일어나는 이점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작은 입자, 특히 그을음 입자가 높은 유속의 영역에서 필터 매체 내로 침투하여 그 내부를 막을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큰 접철부 높이에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여기에서 필터 매체의 상이한 섹션이 필터 요소 내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강도의 부하를 받기 때문이다. 불균일한 속도 분포로 인해, 필터 표면 영역의 국부적 폐색이 높은 접철부를 갖춘 요소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높은 압력 손실로 인해, 폐색된 영역은 시간 경과에 따라 유체를 덜 통과시키기 때문에, 초과 유속 영역이 옮겨질 수 있어, 다른 영역이 폐색되기 시작하여, 요소의 전체 작동 수명(사용 수명)이 단축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용적형 초미세 섬유 층이 사용되고, 그것과 함께, 초미세 섬유 층의 전체 두께에 걸쳐 분포되는 분리된 입자를 저장하여 치밀한 필터 케이크의 축적을 방지하는 초미세 섬유의 심부(depth) 필터 층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멜트블로운 섬유의 초미세 섬유 층이 사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는 유동 방향으로 필터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유입 필터 층은 미세 섬유의 필터 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미세 섬유는 필터 매체의 내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세 섬유는 마이크로섬유 또는 나노섬유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지지체 상에 배치되며, 여기에서 유입 필터 층은 미세 섬유의 필터 층을 구비하고, 지지체는 폴리아미드 6.6의 그리드(grid)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그리드의 메쉬(mesh) 폭은 100 내지 150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층은 약 2 ㎛의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구비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동 방향으로 필터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지지체, 특히 셀룰로오스 지지체 또는 셀룰로오스 필터 매체 상에 배치되며, 여기에서 유입 필터 층은 미세 섬유의 필터 층을 구비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입 필터 층은 0.01 - 0.3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멜트블로운 섬유의 대형 초미세 필터 층이며, 여기에서 멜트블로운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특히 대략 2 ㎛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보다 낮은 섬유 직경 d50-2σ는 대략 700 nm이다. 유리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의 중량은 5 - 20 g/m2의 범위에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필터 층은 0.01 내지 0.5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나노섬유를 포함한다. 나노섬유의 초미세 섬유 층은 특히 1 ㎛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분리된 입자가 표면상에 침착되고, 필터 케이크를 형성한다. 섬유는 예를 들어 전기분사(electrospray)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의 두께는 0.08 - 0.13 mm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의 중량은 10 g/m2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의 통기율(air permeability)은 500 - 5,000 l/m2s의 범위에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의 통기율은 1,000-1,500 l/m2s의 범위에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의 재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니트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할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는 셀룰로오스-기반 필터 매체로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의 표면적당 중량은 50 내지 200 g/m2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는 50 내지 100 l/m2s의 통기율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 재료의 두께는 0.2 - 0.5 mm의 범위에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는 방염성이도록 함침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와 초미세 섬유 층 사이의 연결은 캘린더링(calendering)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초미세 섬유 층은 지지체 상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아코디언-같은 방식으로 교번하여 수회 접철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필터 매체에 의해, 정화될 유체가 필터 요소에 공급되는 미여과측이 여과측으로부터 분리된다. 필터 매체의 접철선을 따라, 여과측 및 미여과측의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향되는 접철부 팁을 형성하는 미여과측 및 여과측 접철부 에지가 교번하여 형성된다. 여과측 및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사이의 간격이 접철부 높이로서 규정된다. 두 이웃한 접철부 팁 사이의 간격이 접철부 거리로서 규정된다. 접철부 기부는 필터 매체의 타측에 접철부 팁에 대향되게 위치되며, 즉 접철부 기부는 각각의 접철부 팁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따라서, 여과측 접철부 팁 및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는 필터 매체의 대향측들에서 동일한 접철부 에지에 위치되고, 그 역도 성립한다. 접철부 에지에 수직하게 그리고 미여과측 및 여과측 접철부 에지 사이에서 교번하여 연장되는 필터 재료의 두 에지는 단부면 에지로 지칭된다. 접철된 상태에서, 단부면 에지는 두 대향 단부면을 형성한다. 그것 상에 필터 매체의 단부가 위치되고 특히 접철부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면은 종단면으로 지칭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접철부 높이는 적어도 50 mm, 유리하게는 100 mm 또는 150 mm, 특히 유리하게는 200 mm이다.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적어도 300 mm의 접철부 높이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필터 요소는 특히 작은 유입 표면적의 경우에 특히 큰 필터 표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철부 높이 대 접철부 거리의 비율은 적어도 50:1 내지 180:1,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160:1,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1 내지 140:1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철부 거리는 7.5 mm 내지 1.8 mm, 유리하게는 2.5 mm 내지 3 mm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매체는 홈 형성되거나 노브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노브는 필터 매체의 양측 내로 도입되고, 접철된 상태에서, 각각의 대향 위치된 필터 매체 섹션과 접촉한다. 이는 필터 매체의 안정을 달성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큰 길이/폭 비율을 갖고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엠보싱부(embossment)가 매체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엠보싱부는 유리하게는 중간 접철부 공간에서 2개 또는 수개의 엠보싱부가 대향 매체 섹션들 상에 서로 정반대로 위치되어 엠보싱부가 대향 위치된 엠보싱부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엠보싱부를 웨지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여기에서 웨지는 중간 접철부 공간의 형상에 따라 접철부 기부의 방향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한다. 또한, 엠보싱부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핫멜트에 의해 대향 위치된 엠보싱부에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예를 들어 핫멜트 접착제의 접착제 선이 접철부 내로 도입되고,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여과측 뿐만 아니라 미여과측에도 접착제 선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개별 접철부를 똑바로 세우기 전에, 적어도 두 접착제 선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철부 에지의 방향에 수직하게 필터 매체 상에 도포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은 연속적이지 않고, 규칙적 간격을 두고 중단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은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에서 연장되지만, 여과측 및/또는 미여과측에서 규칙적으로 중단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은 각각 미여과측에서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에서 적어도 한번 중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단부는 예를 들어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의 중앙에 제공되고, 10 mm 내지 80 mm, 바람직하게는 30 mm 내지 60 mm의 길이를 갖는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여과측 접철부 팁을 둘러싸는 접착제 선의 중단부가 여과측에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여과측의 접철부들은 접철부 팁의 영역에서 함께 접착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미여과측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접착제 선은 여과측의 하나의/복수의 접착제 선 바로 맞은편에 있을 수 있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중단부를 갖는 접착제 선은 여과측 접착제 선의 중단부 및 미여과측 접착제 선의 중단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이 방식으로, 여과측 접철부 팁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여과측 접철부 기부 부근에서도 여과측 접착제 선과 미여과측 접착제 선의 중첩부가 형성되는 것이 보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두 접착제 선은 접철부 팁에 대해 그리고 접철부 기부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중단부를 구비한다. 접착제 선의 개별 섹션의 시작점 및 종단점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이 이 방식으로 접철부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중단부의 시작점 및 종단점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리고 접철부 에지에 대해 10-80°, 바람직하게는 45 +/- 15°의 각도로 위치되는 복수의 직선을 따라 배향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의 중단부의 시작점 및 종단점은 적어도 두 세트의 직선상에서 연장되며, 여기에서 각각의 세트의 직선은 서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필터 매체 상의 대응하는 직선들은 접착제 선의 중단부의 활촉형(arrow-shaped) 또는 지그재그형 연장부가 필터 매체 상에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한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선의 중단부의 시작점 및 종단점은 일단의 곡선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곡선은 특히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접철부 에지에 수직한(+/- 30°)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원 또는 타원 섹션, 사인 형상 또는 다른 규칙적 진동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는 여과측 및/또는 미여과측에서, 접철부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그리고 적어도 부분 영역에서, 대향 위치된 접철부 팁들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위치되지 않는 표면을 구비한다. 이 방식으로, 필터 요소는 여과 작용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필터 삽입물의 이 면의 영역에서의 더욱 우수한 공간 활용에 의해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 내의 복잡한 구조체에 맞추어질 수 있다. 흡기 경로 내의 기하학적 구조에서의 필터 요소의 우수한 접촉에 의해, 본 발명은 필터 요소의 이 공기 입구측에서 유동 거동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미여과측의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여과측의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에 대해 특히 0-80°, 바람직하게는 10°-4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5°의 각도로 위치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은 필터 요소의 한 영역에서는 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적어도 필터 요소의 제2 에지 영역에서는 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에 대해 0-80°, 바람직하게는 10°-4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5°의 각도로 연장되며, 여기에서 필터 요소의 에지에 대해 접철부 높이는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이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공기 필터 하우징 내의 유입 조건이 장착 공간 조건에 맞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요소의 입자 부하가 감소되는, 유동이 덜 공급되는 영역에서는, 감소된 접철부 높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으로 필터 요소에서의 압력 손실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여과측 또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이 평행하게 그러나 각각의 대향 위치된 표면에 대해 상이한 간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섹션을 구비한다. 적어도 두 섹션의 접철부 높이의 차이는 복잡한 형상의 장착 공간에서의 더욱 우수한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계단형 요소(stepped element)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또한 경사진, 비스듬한 또는 만곡된 윤곽이 필터 삽입물의 적절한 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연속적인 지그재그 접철에 의해, 전체 필터 표면적에 걸친 실질적으로 균일한 여과 작용이 보장된다. 필터 요소의 타측에는, 상이한 접철부 높이의 영역이 연속적으로 서로 이어지기 때문에 연결 웨브가 없는 균일한 평탄한 표면이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철부 팁은 웨지 또는 대안적으로 절두형 웨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절두형 웨지의 경우에 접철부 팁이 접철부 에지를 따라 중앙에서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탄부(plateau)를 구비함을 의미한다. 평탄부의 양측에는, 평탄부에 대해, 45(+35/-30)°, 바람직하게는 45°-80°의 각도로 위치되는 접철부 팁의 좁은 전이 영역이 인접한다. 평탄부 영역의 폭은 접철부 거리의 최대 1/4,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6이다. 웨지 형상의 경우에, 전이 영역은 90 +/- 30°, 바람직하게는 60°-90°의 각도로 위치되고, 뾰족한 접철부 에지를 갖고서 서로 바로 이어진다. 웨지 형상의 경우에 전이 영역의 폭은 접철부 거리의 최대 35%, 바람직하게는 최대 25%이고, 절두형 웨지의 경우에는 접철부 거리의 최대 1/4,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1/6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철부 팁은 다단 형상(multi-step shape)을 가지며, 여기에서 접철부 에지에서 시작하는 제1 영역에서, 두 필터 매체 섹션은 실질적으로 바로 서로 상에 놓이거나 10°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각도로 위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영역은 10 mm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5 mm +/- 0.2 mm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10 mm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5 mm +/- 0.2 mm의 길이를 갖는 인접 전이 영역에서, 대향 위치되는 필터 매체 섹션들이 10°-40°, 바람직하게는 18-3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25°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위치된다. 접철부의 나머지 연장 범위에 걸쳐, 대향 위치되는 필터 매체 섹션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0° 내지 0.2° 또는 대안적으로 0° 내지 -0.2°의 각도로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정화될 매체가 유입되거나 정화된 매체가 유출되는 미여과측 및/또는 여과측에 형성된 두 접철부 사이의 개방 단면 표면은 연관된 접철부 기부의 기부 표면보다 작다. 이는 필터 벨로우즈의 접철부를 규정하는 두 필터 매체 섹션이 서로에 대해 갖는 거리가, 필터 매체 섹션이 수렴되고 연결되는 영역에서보다 이 접철부의 개방면의 단부 영역에서 더욱 작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기저부에서 동일한 중간 공간 내에 위치되고 접철부 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기부 표면에 대한 미여과측의 두 접철부 팁 사이의 미여과측 개방 단면의 비율은 1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85보다 작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보다 작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4보다 작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단부면은 연속적인 접착제 선에 의해 밀봉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철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 매체의 에지에 연속적인 선으로 도포되고 접철부를 똑바로 세울 때 접철부를 단부면에 대해 밀폐시키는 핫멜트에 의해, 적어도 여과측에서 각각의 접철부가 밀폐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또한 에지 영역에서 필터 요소의 안정을 위해 연속적인 또는 중단되는 접착제 선이 필터 요소의 미여과측에 도포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단부면에서의 밀봉 작용은 핫멜트의 코팅을 구비하는 직물 재료 또는 천, 예를 들어 부직포, 특히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의해 실현된다. 단부면을 밀봉하기 위해, 천의 코팅된 면은 필터 벨로우즈와 접촉된다. 이와 관련하여, 핫멜트의 코팅은 단부면에 도포하기 전에 적외선 복사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이어서 소성 상태에서 필터 벨로우즈에 부착된다. 핫멜트는 필터 매체의 접철부 내로 침투하고, 냉각시 응고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코팅은 핫멜트의 코팅이 필터 벨로우즈의 단부면과 접촉한 때 고온 상대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또는 적외선 복사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를 갖는 평평한 시일을 단부면에 구비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평평한 시일은 핫멜트에 의해 필터 벨로우즈의 단부면에 평평하게 접착 부착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플라스틱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평평한 시일은 캐스트(cast)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출발 재료 ε-카프로락탐을 갖는 폴리아미드 6에 의해 형성된다. 그것은 액체 상태로 캐스팅 몰드 내에 제공되고, 이어서 필터 요소의 단부면이 여전히 액상의 플라스틱 재료 내로 침지된다. 플라스틱 재료는 필터 요소의 단부면에서 캐스팅 몰드의 형상으로 경화되어, 단부면을 밀폐시킨다. 대안적으로, 경화시 발포되고 단부면에서 접철부 사이로 침투할 폴리우레탄이 캐스팅 몰드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경량 및 가요성 시일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단부면의 평평한 시일은 열 연화성(thermally softenable)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부면에 부착될 측에서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플라스틱 부품이 융점의 범위까지 적외선 복사에 의해 가열되고, 이어서 필터 벨로우즈의 단부면에 가압된다. 이 방식으로, 필터 매체의 단부면 에지가 연화된 플라스틱 재료 내로 침투하고, 플라스틱 재료의 응고시 그것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평평한 시일은 열에 노출된 때 팽창하는 열 연화성 재료, 특히 니트릴 고무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재료의 필름이 필터 벨로우즈의 단부면에 가압되고, 이와 동시에 가열된다. 이는 재료가 연화되게 하고 팽창되게 하며 필터 매체의 단부면 에지를 둘러싸게 한다. 이어서, 재료는 필터 매체와 재료의 신속하고 확고한-로킹 연결이 형성되도록 경화된다. 유리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연결 과정 중에, 필터 매체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열 연화성 재료의 외향으로 위치되는 표면 내로 부직포 층이 도입된다. 그것은 필터 매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열 연화성 재료와 연결된다. 이는 균일한 표면과 아울러 평평한 시일의 부가적인 안정이 달성되는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그리고 유체가 통과하지 않는 필터 요소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부면의 프레임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의 평평한 시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단부면을 둘러싸는 부가적인 프레임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은 미여과측 및 여과측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을 구비한다. 그것은 축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고, 필터 요소의 미여과측에서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일은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미여과측 유입 표면에 수직하게 축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유입 표면 위의 하우징의 시일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일은 필터 요소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입 표면 아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밀봉 작용은 유입 표면과 유출 표면 사이의 평면에서 필터 요소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실현된다.
또한,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미여과측 유입 표면을 지나 돌출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부분에 연결되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작용하는 시일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능한 한 큰 접철부 높이 및 가능한 한 높은 필터 효율을 갖는 안정된 필터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징 및 세부 사항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도면의 도움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당업자는 편리하게는 도면,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조합되어 개시된 특징을 또한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그것들을 다른 의미 있는 조합으로 조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일 실시 형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상의 접착제 선의 배열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상의 접착제 선의 대안적인 배열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외부 형상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외부 형상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접철부 팁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4의 배열과 유사한 필터 매체 상의 접착제 선의 상이한 배열의 개략적인 상세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 내지 도 7의 필터와 유사한 필터의 필터 요소의 접철부의 개략적인 등각투상도이며, 여기에서 접착제 선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16은 미여과측 및 여과측에 접착제 선이 배치되는, 도 1 내지 도 15의 필터와 유사한 필터의 접철되지 않은 필터 매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여기에서 필터 매체에 수직한 접착제 선의 높이는 이웃한 접철부 에지에 대한 그 간격에 따라 교번하여 증가하고 감소한다.
도 17은 필터 매체 섹션의 접착제 섹션의 자유면이 중간 접철부 공간에 대향 위치되는 필터 매체 섹션의 접착제 섹션의 대응하는 자유면 상에 각각 평평하게 놓이는, 도 1 내지 도 16의 필터와 유사한 필터의 접철된 필터 매체를 갖춘 필터 요소의 상세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미여과측 접철부 팁이 크림핑되고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가 넓어진, 도 1 내지 도 17의 필터와 유사한 필터의 대안적인 필터 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미여과측에서 접철부 기부로부터 접철부 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함몰부가 필터 매체 내에 형성되는 필터 요소의 다른 실시 형태의 등각투상 상세도이다.
도 20은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가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비해 넓어진, 도 19의 필터 요소와 유사한 필터 요소의 다른 실시 형태의 등각투상 상세도이다.
도 21은 함몰부의 깊이가 접철부 높이에 걸쳐 대략 일정한, 도 19 및 도 20의 필터 요소와 유사한 필터 요소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미여과측에서 미여과측 접철부 팁으로부터 접철부 기부로의 함몰부의 깊이가 웨지 형상으로 감소하는, 도 21의 필터 요소와 유사한 필터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이웃한 함몰부 사이에 접착제 선이 각각 배치되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을 통한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을 따른, 도 19 내지 도 22의 필터 요소의 그것과 유사한 필터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에 서로 대향 위치되는 매체 섹션 상에 형성되는 대향 위치된 지지체들이 서로 지지하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을 통한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을 따른, 도 19 내지 도 22의 필터 요소와 유사한 필터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접철부 에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홈에 의해 함몰부가 실현되는, 도 19 내지 도 24의 필터 요소와 유사한 필터 요소에 사용되는 접철되지 않은 필터 매체의 등각투상도이다.
도 26은 100 ± 10 ㎛의 메쉬 폭을 갖는 코팅되지 않은 PA 6.6 그리드이다.
도 27은 나노섬유의 코팅을 갖는 도 26의 그리드이다.
도 28은 도 27의 코팅된 그리드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102 ± 6 ㎛의 메쉬 폭을 갖는 코팅되지 않은 PA 6.6 그리드이다.
도 30은 나노섬유의 코팅을 갖는 도 29의 그리드이다.
도 31은 도 30의 코팅된 그리드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150 ± 9 ㎛의 메쉬 폭을 갖는 코팅되지 않은 PA 6.6 그리드이다.
도 33은 나노섬유의 코팅을 갖는 도 32의 그리드이다.
도 34는 도 33의 코팅된 그리드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미여과측(raw-side) 유입면(2) 및 여과측(clean-side) 유출면(3)을 갖춘 필터 요소(1)를 도시한다. 필터 요소는 수회 접철되는 필터 매체(14)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에서 접철부는 유입면과 유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즉 접철부 팁은 각각 유입면에 그리고 유출면에 위치된다. 유체가 통과하지 않는 필터 요소의 측위 표면(4)은 필터 요소를 향하는 면에 핫멜트 층을 구비하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핫멜트 층은 필터 요소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평평한 접착 연결을 제공하여, 필터 벨로우즈의 단부면(5)이 또한 밀봉된다. 필터 요소(1)는 주 프레임(6) 및 보조 프레임(7)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주 프레임은 유출면(3)의 방향으로 밀봉하는, 그리고 주 프레임의 홈 내로 또는 주 프레임과 측위 표면(4) 사이의 홈 내로 도입되는 축방향 시일(8)을 지지한다. 보조 프레임은 접착 연결에 의해 측위 표면(4)에 연결되고, 필터 요소를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내에 지지하기 위한 반경방향 표면(9) 및 축방향 표면(10)을 구비한다.
도 2는 미여과측 유입면(2) 및 여과측 유출면(3)을 갖춘 필터 요소(1)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유체가 통과하지 않는 필터 요소(14)의 측위 표면(4)에 플라스틱 프레임(16)이 핫멜트 연결에 의해 부착되며, 여기에서 단부면(5) 상에서 또한 핫멜트에 의해 단부면의 밀봉 작용이 실현된다. 단부면(15) 상에서 개구가 플라스틱 프레임(16) 내로 도입된다. 플라스틱 프레임(16)은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의 밀봉 표면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축방향 시일(12)을 유입면(2) 상에 지지한다. 또한, 플라스틱 프레임(16)과 연결되고 필터 요소(1)의 취급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그립(13)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 상의 접착제 선의 배열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핫멜트의 접착제 선(101)이 접철부 내로 도입되고, 접철부 팁(102)과 접철부 기부(103)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여과측(104) 뿐만 아니라 미여과측(105)에도 접착제 선(101)이 도포된다. 개별 접철부를 똑바로 세우기 전에, 적어도 2개의 접착제 선(101)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철부 에지(102, 103)의 방향에 수직하게 필터 매체(106) 상에 도포된다. 접착제 선(101)은 연속적이고 않고, 중단부(107)에 의해 규칙적 간격을 두고 중단된다. 미여과측(105)에서 접착제 선은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에서 한번 중단된다. 중단부(107)는 접철부 팁과 접철부 기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고, 그 길이가 접철부 높이의 1/3 내지 1/2에 해당한다. 중단부(107)는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로부터 간격 b를 두고 시작된다. 따라서, 접철부는 미여과측에서 단지 접철부 기부 및 접철부 팁의 영역에서만 접착된다. 여과측에서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을 둘러싸는 접착제 선의 중단부가 길이 a에 걸쳐 제공된다. 따라서, 접철부는 미여과측에서 접철부 팁의 영역에서 접착되지 않는다.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 및 여과측 접철부 팁의 간격 a 및 b는 여과측 및 미여과측 접착제 선의 중단부(107)가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방식으로, 여과측 접철부 팁의 영역에서 그리고 여과측 접철부 기부 부근에서 여과측(104) 및 미여과측(105)의 접착제 선(101)의 중첩부가 형성되는 것이 보장된다.
접착제 선의 개별 섹션의 시작점 및 종단점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 x 및 y는 접철부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 상의 접착제 선의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101)의 중단부의 시작점 및 종단점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리고 접철부 에지(F)와 10-80°, 바람직하게는 45+/-15°의 각도 α를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 z에 대해 정렬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착제 선의 중단부의 시작점 및 종단점은 적어도 두 세트의 직선 z' 및 z''를 따라 연장되며, 여기에서 각각의 세트의 직선은 서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필터 매체 상의 대응하는 직선은 접착제 선(101)의 중단부(107)의 활촉형(arrow-shaped) 또는 지그재그형 코스가 필터 매체 상에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1)의 외부 형상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필터 요소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303, 304)이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각각의 대향 위치된 표면(305)에 대해 상이한 간격 H(H', H'')를 두고 연장되는 적어도 두 섹션(301, 302)을 구비한다. 적어도 두 섹션의 접철부 높이의 차이는 복잡한 형상의 장착 공간에서의 더욱 우수한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계단형 요소(stepped element)를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1)의 외부 형상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미여과측에서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영역은 필터 요소의 영역(101)에서는 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필터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202)에서는 여과측 접철부 팁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203)에 대해 30°의 각도 β로 연장되며, 여기에서 접철부 높이 h(h', h'')는 필터 요소(1)의 에지(204)에 대해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미여과측 접철부 팁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접철부 팁은 다단 형상(multi-step shape)을 가지며, 여기에서 접철부 에지에서 시작하는 제1 영역(Z)에서 두 필터 매체 섹션은 서로에 대해 5°보다 작은 각도 ζ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영역은 대략 5 mm의 길이 Z에 걸쳐 연장된다. 대략 5 mm의 길이 Σ를 갖는 인접 전이 영역(Σ)에서, 대향 위치된 필터 매체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대략 24°의 각도 σ로 위치된다. 접철부의 나머지 코스(R)에 걸쳐, 대향 위치된 필터 매체 섹션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전술한 각도와 비교할 때, 두 필터 매체 섹션의 여과측 간격이 유동 방향(δ)으로 추가의 코스를 따라 작아지도록 대략 0.2°의 음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위치된다. 이는 우측 및 좌측의 양측에서 이 접철부에 인접한 미여과측의 중간 공간의 단면이 유동 방향(δ)의 방향으로 커지는 결과를 갖는다.
도 8에는, 도 3의 필터 매체(106)와 유사하고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의 필터 요소(1)와 유사한 필터용 필터 요소에 사용되는 필터 매체(106)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 8은 두 접철부 에지(F) 사이에서 연장되는 필터 매체(106)의 매체 섹션(120)의 미여과측(105)을 도시한다. 접철부 에지(F)는 접철되지 않은 필터 매체(106) 내에 접철선으로서 엠보싱된다. 접철된 필터 매체(106)에서, 접철부 팁(102)은 접철부 에지(F)를 둘러싼다.
필터 매체(106) 상에서, 복수의 긴 접착제 섹션(122)이 직선 접착제 선(101)을 따라 연장된다. 접착제 선(101)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등거리로 연장된다. 두 이웃한 접착제 선(101) 사이의 간격(132)은 각각 대략 25 mm이다.
각각의 접착제 선(101)을 따라, 동일한 길이의 두 접착제 중단부(107)가 접착제 섹션(122) 사이에 배치된다.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한 접착제 중단부(107)의 폭(134)은 대략 15 mm이다. 접철부 에지(F)의 방향으로 볼 때, 이웃한 접착제 선(101)의 접착제 중단부(107)는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이웃한 접착제 선(101)의 접착제 섹션(122)은 각각 도 1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접철부 에지(F) 사이에서 접철된 필터 매체(106)의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a)에서 연장되는 통로의 통로 부분(124)의 범위를 정한다. 접착제 중단부(107)는 각각의 이웃한 통로 부분(124)을 연결한다.
이웃한 접착제 선(101)의 접착제 중단부(107)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각각 V자형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철부 에지(F)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두 통로(126)를 실현한다. 도 8의 통로(126)는 가상 직선(128)의 형태로 파선으로 지시된 두 V자형 곡선에 의해 규정된다. 직선(128)은 도 4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직선 z', z''의 세트와 유사하다. 직선(128)은 접착제 섹션(122)의 대응하는 종단점을 통해 연장된다. 접착제 중단부(107)의 변위된 배열로 인해, 통로(126)가 접철부 에지(F)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회피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중단부(107)를 갖춘 지시된 접착제 섹션(122)의 사용 없이 필터의 작동시 예를 들어 부압(underpressure)으로 인해 좌굴될 수 있는 필터 매체(106)의 위험 영역(130)이 타원형 곡선으로서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다.
도 9에는, 도 8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필터 매체(106)의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된다. 도 8의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접착제 중단부(107)는 도 9의 상부에 도시된 통로(126)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도 9의 실시 형태에서 배치되며, 여기에서 플랭크(126a)는 각각 3개의 이웃한 접착제 선(101)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9의 하부에 도시된 통로(126)도 또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 플랭크(126a)는 각각 2개의 이웃한 접착제 선(101)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2개의 상이하게 연장되는 통로(126)의 사용은 필터 매체(106)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도 10에 따른 필터 매체(106)의 다른 실시 형태는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 형태의 필터 매체(106)와 유사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 도 10의 상부에 도 8의 실시 형태에서의 "V"자와 유사한, 역 "V"자 형태의 통로(126)가, 그리고 하부에 도 9의 실시 형태에서와 같은 지그재그형 코스를 갖춘 통로(126)가 실현된다.
도 11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는 도 10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며, 여기에서 도면의 상부에 도시된 통로(126)는 도 8의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V"자로서 배향된다.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도 12에 따른 필터 매체(106)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도 12의 상부 단부의 상부 통로(126)는 "W"자 형상을 갖는다. 도 12의 하부에 도시된 통로(126)는 역 "W"자 형상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로(126)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보다 많거나 적은 통로(126)가 두 접철부 에지(F)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길이(134)의 접착제 중단부(107)가 접착제 선(101)을 따라 및/또는 상이한 접착제 선(101)의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길이(134)는 또한 20 mm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선(101)의 간격(132)은 상이할 수 있고, 또한 25 mm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매체 섹션(120)의 여과측에서, 또한 접착제 섹션 및 접착제 중단부가 접착제 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것들은 바람직하게는 여과측(105)의 접착제 섹션(122)이 양측에서 각각 여과측의 접착제 중단부 중 하나를 지나 돌출되고 단부에서 접착제의 대응하는 여과측 중단부에 이웃한 접착제 섹션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여과측의 접착제 섹션도 마찬가지로 미여과측(105)의 접착제 중단부(107)를 지나 돌출될 수 있다.
도 13에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의 필터 요소(1)와 유사한 필터 요소(1)의 상세도가 예시된다. 도 13에는, 미여과측의 접철부 팁(102a) 중 하나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두 매체 섹션(120)이 도시된다. 도 3, 도 4 및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필터 매체(106)의 미여과측(105)에서, 복수의 접착제 섹션(122) 및 접착제 중단부(107)가 등거리 접착제 선(101)을 따라 배치된다. 접착제 선(101)은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도 13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도 14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 선(101) 사이의 간격(132a, 132b, 132c)은 도 14의 우측의 필터 요소(1)의 에지(136a)로부터 좌측 에지(136b)로 증가한다.
도 15에 예시된 필터 요소(1)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간격(132e 내지 132g)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지(136a, 136b) 사이의 중앙에서 연장되는 중앙 평면(138)에 대해 거울-대칭적으로 증가한다.
도 16에는, 도 1 내지 도 15의 필터 매체(14; 106)와 유사한 필터 매체(106)의 매체 섹션(120)이 접철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필터 매체(106)는 상부 도포기(applicator) 노즐(142a)과 하부 도포기 노즐(142b) 사이에서 수송 방향(140)으로 수평으로 이동된다. 필터 매체의 미여과측(105)은 도 16의 상부에 있고, 여과측(104)은 하부에 있다. 도포기 노즐(142a, 142b)에 의해, 접착제 섹션(122a)이 필터 매체(106)의 미여과측(105)에 그리고 접착제 섹션(122b)이 여과측(104)에 도포된다. 미여과측(105)에서, 필터 매체(106)에 수직한 접착제 섹션(122)의 높이(144)는 접착제 섹션(122a) 내에서 그리고 접착제 중단부(107)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접착제 섹션(122a) 사이에서, 수송 방향(140)으로 도 16의 우측의 전방 접철부 에지(F)로부터 좌측의 후방 접철부 에지(F)를 향해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미여과측(107)에서, 그것에 제공된 접착제 섹션(122b)의 높이(144)는 전방 접철부 에지(F)로부터 후방 접철부 에지(F)로 상응하게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미여과측 접착제 섹션(122a)은 미여과측 접착제 섹션(122a)이 접착제의 여과측 중단부(107)를 지나 돌출되고 역으로 여과측 접착제 섹션(122b)이 접착제의 미여과측 중단부(107)를 지나 돌출되도록 여과측 접착제 섹션(122b)과 중첩된다.
수송 방향(140)으로 매체 섹션(120)에 이어지는 도 16에 도시되지 않은 매체 섹션에서, 미여과측 접착제 섹션(122a)의 높이(144)는 후방 접철부 에지(F)로부터 수송 방향(140)으로 다음의 접철부 에지로 감소한다. 따라서, 여과측(104)에서, 다음의 매체 섹션에서, 접착제 섹션(122b)의 높이(144)는 후방 접철부 에지(F)로부터 다음의 접철부 에지로 증가한다. 유사하게, 도 16에 또한 도시되지 않은, 그리고 수송 방향(140)으로 예시된 매체 섹션(120)에 선행하는 매체 섹션은 전방 접철부 에지(F)에 대해 예시된 매체 섹션(120)에 거울-대칭적으로 구성된다.
도 17에는, 필터 요소(1)가 종단면도로 예시되고; 그것은 도 16의 필터 요소(106)와 유사한 필터 매체(106)로 접철된다.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a)에서, 필터 요소(106)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매체 섹션(120)의 미여과측 접착제 섹션(122a)의 자유면은 각각의 대향 위치된 매체 섹션(120)의 접착제 섹션(122a)의 대응하는 자유면 상에 놓인다.
서로 상에 놓이는 접착제 섹션(122a)에 의해, 중간 접철부 공간(148)의 이웃한 매체 섹션(120)이 서로에 대해 지지되고, 그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접착제 섹션(122)은 도 3, 도 4 및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통로 섹션(124)을 위한 경계를 형성한다.
미여과측(105)에서와 같이, 여과측에서 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4b)의 접착제 섹션(122b)의 자유면은 서로 맞대어져 평평하게 놓이고, 이 방식으로 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b)의 좌굴을 방지한다.
도 18에는, 도 7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이 다단 형상을 갖는 필터 요소(1)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총 접철부 높이(550)는 대략 5 cm 내지 40 cm, 특히 20 cm 내지 40 cm이다. 필터 매체(106)의 두께(151)는 대략 0.5 mm이다.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의 양측에서 이웃한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를 향해 연장되는 필터 매체 섹션(120)은 각각 제1 섹션(120a)의 단부에서 접철부 에지(F)로부터 간격 Z를 두고 미여과측(105)을 향해 제1 굴곡부(552)를 구비한다. 제1 영역(120a)의 길이 Z는 대략 5 mm이다. 제1 영역(120a)은 서로에 대해 대략 5°의 각도 ζ로 위치된다. 그 대신에, 그것들은 또한 5° 미만의 또는 5° 내지 대략 10°의 각도 ζ로 서로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552)로부터 간격 Σ를 두고, 필터 매체 섹션(120)은 여과측(104)을 향해 제2 굴곡부(554)를 구비한다. 제1 굴곡부(552)와 제2 굴곡부(554) 사이의 제2 영역(120b)의 길이 Σ는 대략 5 mm이다. 제2 영역(120b)은 서로에 대해 대략 24°의 각도 δ로 위치된다. 그것들은 그 대신에 서로에 대해 10° 내지 24° 또는 24° 내지 40°의 각도로 또한 위치될 수 있다.
길이 Σ 및/또는 Z는 또한 5 mm 미만 또는 최대 대략 10 mm일 수 있다.
제2 영역(120b)에 인접하여, 제3 영역(120c)이 각각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까지 연장된다. 제3 영역(120c)은 서로에 대해 대략 0.2°의 각도로 위치된다. 그 대신에, 그것들은 또한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대략 -5° 내지 대략 +5°의 상이한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는 뾰족한 형상으로 미여과측 접철부 에지(102a)로 테이퍼지는 대략 V자형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여과측 접철부 기부(103b)는 대략 U자형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적절한 미여과측 접철부 에지(102a)로부터 거리(560)를 둔 두 제2 굴곡부(554)의 높이에서의 여과측 필터 기부(103b)의 여과측 필터 기부 폭(556)은 여과측 접철부 에지(102b)로부터 대응하는 거리(560)에서의 미여과측 필터 기부(103a)의 미여과측 필터 기부 폭(558)보다 작다.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의 형상은 필터 매체(106)가 우선 접철부 에지(F)를 따라 접철된 다음에 제1 영역(120a)에서 크림핑되어 제조 중에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터 매체(106)의 재료가 제1 영역(120a)에서 압축되고, 이와 동시에 제1 굴곡부(552) 및 제2 굴곡부(554)가 생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도 4 및 도 8 내지 도 17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도 18의 맨 우측에 도시된 매체 섹션(120)에 예시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접착제 선(101)을 따른 접착제 섹션(122) 및 접착제 중단부(107)가 선택적으로 미여과측(105) 및/또는 여과측(104)에서 매체 섹션(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그리고 도 18의 맨 좌측의 매체 섹션(120)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섹션(120)은 선택적으로 여과측(105)에서 함몰부(65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함몰부는 상응하게 형상화되는 돌출부(658)를 미여과측(104)에 형성한다.
도 19에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요소(1)의 단면도가 예시된다. 미여과측(105)에서, 필터 매체(106)에는 복수의 긴 함몰부(656)가 엠보싱된다. 함몰부(656)는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과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 사이에서 연장된다. 함몰부(656) 각각은 대략 1 mm의 깊이(664a)를 갖는다. 접철부 에지(F)의 방향으로 함몰부(656)의 폭(666)은 대략 25 mm 내지 35 mm이다. 함몰부(656)의 깊이(664)는 도 21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의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대안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656b)의 깊이(664b)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으로부터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로 감소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예시된 좌측 접철부에서, 예시적으로 도 7 및 도 18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은 크림핑되고 다단 구성을 갖는다.
함몰부(656)는 여과측(104)에 대응하는 돌출부(658)를 형성하는 홈으로서 실현된다.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a)에서, 중간 접철부 공간(148a)의 범위를 정하는 두 매체 섹션(120)의 함몰부(656)는 서로 정반대로 위치되고, 각각 부분적으로 유동 통로(660)를 형성한다. 유동 통로(660)는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도 19의 우측 함몰부(656)의 영역에서, 지지체(662)가 예시적으로 매체 섹션(120) 내에 형성된다. 지지체(662)는 여과측(10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시적으로, 여과측(104)에서 도 19의 좌측 유동 통로(660) 내에 지지체(262) 대신에 접착 비드(622)가 각각 배치된다. 접착 비드(622)는 유동 통로(660)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체(662)는 또한 예를 들어 접착 비드(622)가 지지체(662) 상에 위치되도록 접착 비드(622)와 조합될 수 있다.
미여과측(105)에서 유동 통로(660) 사이에, 접착제 중단부(107)를 갖춘 접착제 섹션(122)이 각각 배치된다. 이들 접착제 섹션(122)은 접착제 선(101)을 따라 도 3, 도 4 및 도 8 내지 도 18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연장된다.
도 20에는, 도 19의 필터 요소(1)와 유사한 필터 요소(1)의 다른 실시 형태가 예시된다. 도 19의 필터 요소(1)와는 대조적으로, 도 20의 실시 형태에서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는 여과측 접철부 기부(103b)에 비해 넓어진다. 전체적으로, 중간 접철부 공간(148a, 148b)은 따라서 도 18의 필터 요소(1)의 중간 접철부 공간(148a, 148b)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도 23에는,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을 통한 평면에 평행한 도 19의 필터 요소(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하나의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a)의 영역에서, 대향 위치된 매체 섹션(120)들의 접착제 섹션(122)은 도 17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서로 맞대어져 평평하게 놓이고, 이 방식으로 유동 통로(660)의 범위를 정한다.
도 24에는, 도 20의 필터 요소(1)와 유사한 필터 요소(1)가 또한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을 통한 평면에 평행한 단면도로 도시된다. 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b)에서, 매체 섹션(120)의 지지체(662)는 서로 맞대어져 놓이고, 이 방식으로 접철부 및 필터 요소(1)를 안정시킨다. 도 20의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도 24의 실시 형태에서, 도 19의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a)에서, 유동 통로(660)의 양측에 접착제 중단부(107)를 갖춘 접착제 섹션(122)이 제공된다. 필터 매체(106)의 각각의 미여과측 표면에 수직한 접착제 섹션(122)의 높이(144)는 접착제 섹션(122)이 서로 맞대어져 평평하게 놓이고 서로 지지하도록 도 16 및 도 17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도 23 및 도 24의 실시 형태에서 변한다.
도 25에는, 도 19 내지 도 24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함몰부(656) 및 돌출부(658)를 실현하기 위한 홈을 구비하는 접철되지 않은 필터 매체(106)가 도시된다. 홈은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돌출부(658) 및 함몰부(656)는 또한 접철부 에지(F)에서 중단되는 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필터 요소(1)의 그리고 필터 요소(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전술한 실시 형태 모두에서, 특히 다음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3, 도 4 및 도 8 내지 도 1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접착제 선(101)을 따른 접착제 섹션(122)의 그리고 접착제 중단부(107)의 배열과, 도 7 및 도 1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의 구성과, 도 19 내지 도 2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필터 매체(106) 상의 함몰부(656) 및 돌출부(658)의 배열은 필터 요소(1)에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직선 접착제 선(101)은 수직한 대신에, 또한 접철부 에지(F)에 대해 비스듬히, 또는 섹션별로 비스듬히 위치될 수 있다.
접착제 섹션(122)과 접착제 중단부(107)는 직선 접착제 선(101)을 따라 연장되는 대신에, 또한 상이하게 연장되는 접착제 선을 따라, 예를 들어 나선형(convoluted) 또는 사행(meandering) 접착제 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V자형, W자형, 또는 지그재그형인 것 대신에, 통로(126)는 또한 적어도 섹션별로 접철부 에지(F)에 평행하지 않게 상이한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또한 하나 걸러 하나씩의 매체 섹션이 접착제 섹션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하나의 매체 섹션(120) 상의 접착제 섹션(122)의 높이(144)는 전체 중간 접철부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섹션(192)의 자유면은 접착제 섹션을 구비하지 않은 국부 매체 섹션(120)의 각각의 대향 위치된 표면상에 평평하게 놓인다.
도 26 내지 도 34는 다른 필터 매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에 사용될 수 있는 필터 매체의 몇몇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100 ± 10 ㎛의 메쉬 폭을 갖는 코팅되지 않은 PA 6.6 그리드를 도시하고, 도 27은 나노섬유의 코팅을 갖는 그러한 그리드를 도시한다. 도 28은 코팅된 그리드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코팅되지 않은 그리드의 통기율(air permeability)은 약 10,000 l/(m2s)이고, 코팅된 그리드의 그것은 약 800-1,500 l/(m2s)이다. 실 개수(thread count)는 69.9 n/cm이고, 두께는 70 ㎛이며, 표면적당 중량은 24 g/cm2이다. 도 29에는, 102 ± 6 ㎛의 메쉬 폭을 갖는 PP 6.6 그리드가 예시된다. 도 30은 코팅된 그리드를 도시하고, 도 31은 코팅된 그리드의 단면도이다. 코팅되지 않은 그리드의 통기율은 약 8,600 l/(m2s)이고, 코팅된 그리드의 그것은 약 1.500 l/(m2s)이다. 실 개수는 65 n/cm이고, 두께는 80 ㎛이며, 표면적당 중량은 35 g/cm2이다. 다른 PA 6.6 그리드가 도 32 내지 도 34에 예시된다. 이때 메쉬 폭은 150 ± 9 ㎛이다. 코팅되지 않은 그리드의 통기율은 약 11,000 l/(m2s)이고, 코팅된 그리드의 그것은 약 650-840 l/(m2s)이다. 실 개수는 47 n/cm이고, 두께는 95 ㎛이며, 표면적당 중량은 35 g/cm2이다. 도 32는 코팅되지 않은 그리드를 도시하고, 도 33은 코팅된 그리드를 도시하며, 도 34는 코팅된 그리드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1: 필터 요소 14; 106: 필터 매체
101: 접착제 선 104: 여과측
105: 미여과측 107: 접착제 중단부
120: 매체 섹션 122: 접착제 섹션
126: 통로 138: 거울면
552; 제1 굴곡부 554: 제2 굴곡부
656: 함몰부 658: 돌출부
660: 유동 통로 F: 접철부 에지

Claims (11)

  1. 차량의 내연기관의 유체, 또는 주변 공기를, 차량 또는 건물에 도입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의 유체 여과용 필터 요소로서,
    상기 필터 요소(1)는 미여과측(105) 및 여과측(104)을 갖는 지그재그-접철된 필터 매체(14; 106)를 갖추며, 필터 매체(14; 106)의 미여과측(105) 및/또는 여과측(104)에서, 적어도 섹션별로 접철부 에지(F)에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긴 접착제 섹션(122)이 적어도 두 접착제 선(101)을 따라 필터 매체(14; 106)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접착제 선(10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122)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107)가 배치되는 필터 요소에 있어서,
    상이한 접착제 선(101)의 접착제 중단부(107)는 접철부 에지(F)의 방향으로 볼 때, 두 이웃한 접철부 에지(F) 사이에서 연장되는 매체 섹션(120)에서 접착제 중단부(107)에 의해, 접철부 에지(F)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통로(126)가 실현되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통로(126)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 선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직선 접착제 선(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접착제 선(101)은 등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5. 제3항에 있어서,
    이웃한 접착제 선(101)의 간격(132a, 132b, 132c, 132d)은 접철부 에지(F)의 방향으로 볼 때, 필터 요소(1)의 일 단부면(136a)으로부터 타 단부면(136b)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6. 제3항에 있어서,
    이웃한 접착제 선(101)의 간격(132e, 132f, 132g)은, 필터 매체(14; 106)의 범위에 대해 중앙에서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울면(138)에 대해서, 접철부 에지(F)를 따른 외향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여과측(105) 및 여과측(104)에서 접착제 섹션(122)은, 미여과측(105)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122)이 여과측(104)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107)의 양측면을 지나 돌출되고 여과측(104)의 접착제 중단부(107)에 인접하는 여과측(104)의 접착제 섹션(122)의 단부와 중첩되도록, 및/또는 여과측(104)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섹션(122)이 미여과측(105)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중단부(107)의 양측면을 지나 돌출되고 미여과측(105)의 접착제 중단부(107)에 인접하는 미여과측(105)의 접착제 섹션(122)의 단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터 매체(14; 106)가 접철된 때, 접착제 섹션(122) 각각의 필터 매체(14; 106)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자유면이 중간 접철부 공간(148a, 148b)에 대향 위치되는 접착제 섹션(122)의 대응 위치되는 자유면 상에, 또는 중간 접철부 공간(148a, 148b)에 대향 위치되는 매체 섹션(122)의 표면상에 위치되도록, 접착제 섹션(122)의 높이(144)는 필터 매체(14; 106)에 수직하게 접착제 선(101)을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측에서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으로부터 이웃한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로 연장되는 필터 매체 섹션(120)은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으로부터 볼 때 각각 미여과측(105)을 향해 제1 굴곡부(552)에 이어서 여과측(104)을 향해 제2 굴곡부(5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여과측(105)에서, 필터 매체(14; 106)의 접철부 에지(F)에 수직하게 미여과측 접철부 팁(102a)과 미여과측 접철부 기부(103a)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긴 함몰부(656)가 필터 매체(14; 106) 내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미여과측 중간 접철부 공간(148a)에서 중간 접철부 공간(148a)의 범위를 정하는 두 매체 섹션(120) 상의 두 함몰부(656)가 각각 서로 정반대로 위치되고 부분적으로 유동 통로(660)를 형성하도록 여과측(104)에서 대응하는 돌출부(658)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11. 제1항에 따르는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KR1020127005852A 2009-09-07 2010-09-07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KR101865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0202.0 2009-09-07
DE102009040202.0A DE102009040202B4 (de) 2009-09-07 2009-09-07 Filter
PCT/EP2010/063131 WO2011026999A1 (de) 2009-09-07 2010-09-07 Filter zur filtrierung von flui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305A KR20120083305A (ko) 2012-07-25
KR101865418B1 true KR101865418B1 (ko) 2018-06-07

Family

ID=4294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852A KR101865418B1 (ko) 2009-09-07 2010-09-07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8328022B2 (ko)
EP (3) EP2477718B1 (ko)
JP (1) JP5898075B2 (ko)
KR (1) KR101865418B1 (ko)
CN (2) CN102612398B (ko)
BR (2) BR112012005130A2 (ko)
DE (1) DE102009040202B4 (ko)
MX (1) MX2012002820A (ko)
RU (1) RU2548413C2 (ko)
WO (3) WO2011027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6376B2 (en) 2003-12-22 2008-07-08 Donaldson Company, Inc. Seal arrangement for filter element; filter element assembly; and, methods
ES2373744T3 (es) 2005-11-09 2012-02-08 Donaldson Company, Inc. Sistema de sellado para cartucho de filtro.
DE102006014236A1 (de) 2006-03-28 2007-10-04 Irema-Filter Gmbh Plissierbares Vliesmaterial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selben
WO2009033040A1 (en) 2007-09-07 2009-03-12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er assembly;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ES2701901T3 (es) * 2008-01-14 2019-02-26 Core Energy Recovery Solutions Inc Cartuchos de membrana con plisado transversal, y método y aparato para elaborar cartuchos de membrana con plisado transversal
JP5466853B2 (ja) * 2008-12-25 2014-04-09 日本無機株式会社 プリーツ型エアフィルタパ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フィルタ
US8061530B2 (en) 2009-04-09 2011-11-22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sealing system
DE102014009886A1 (de) * 2014-07-04 2016-01-07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zur Filtrierung von Medien
DE102012005532A1 (de) 2012-03-21 2013-09-26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eines Filters zur Filtrierung von Fluiden und Filter
WO2011137367A1 (en) * 2010-04-30 2011-11-03 Diversitech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filter
DE102010032295A1 (de) * 2010-07-26 2012-01-26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terelements
DE102010052155A1 (de) * 2010-11-22 2012-05-24 Irema-Filter Gmbh Luftfiltermedium mit zwei Wirkmechanismen
DE102011013921A1 (de) * 2011-03-14 2012-09-20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Kassette
DE102012000490A1 (de) * 2012-01-13 2013-07-18 Mann + Hummel Gmbh Luftfilterelement und Luftfilter
DE102012000470A1 (de) * 2012-01-13 2013-07-18 Mann + Hummel Gmbh Luftfilterelement und Luftfilter
CN104066490B (zh) * 2012-01-26 2016-09-14 曼·胡默尔有限公司 过滤元件和用于制造过滤元件的方法
US10058808B2 (en) 2012-10-22 2018-08-28 Cummins Filtration Ip, Inc. Composite filter media utilizing bicomponent fibers
EP3363522A1 (de) * 2012-12-17 2018-08-22 Mann+Hummel GmbH Luftfiltersystem, luft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m austausch eines luftfilterelements
US10040018B2 (en) 2013-01-09 2018-08-07 Imagine Tf, Llc Fluid filters and methods of use
DE102013008402A1 (de) 2013-05-16 2014-11-20 Irema-Filter Gmbh Faservli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02013011086A1 (de) 2013-07-03 2015-01-08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terelements
DE102014009026A1 (de) * 2013-07-12 2015-01-15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mit wenigstens einem Führungssteg, Filter mit einem Filterelement und Filtergehäuse eines Filters
JP6352076B2 (ja) * 2013-07-12 2018-07-04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ハンドグリップエレメントを有する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を有するフィルタ
CN103446836B (zh) * 2013-09-13 2015-08-19 长春天勤环境工程有限公司 W形预收尘装置
US9861920B1 (en) 2015-05-01 2018-01-09 Imagine Tf, Llc Three dimensional nanometer filters and methods of use
US9233332B2 (en) 2014-06-02 2016-01-12 Caterpillar Inc. Air filter assembly filling plenum interior space
US10730047B2 (en) 2014-06-24 2020-08-04 Imagine Tf, Llc Micro-channel fluid filters and methods of use
BR112017002156B1 (pt) 2014-08-01 2021-10-13 Donaldson Company Inc Meios de filtro
US10124275B2 (en) 2014-09-05 2018-11-13 Imagine Tf, Llc Microstructure separation filters
WO2016040302A1 (en) * 2014-09-08 2016-03-17 Clarcor Air Filtration Products, Inc. Filter with high dust capacity
EP3204140A4 (en) 2014-10-10 2018-09-05 Baldwin Filters, Inc. Filter media and filter element with adhesive reinforcing
US9752541B2 (en) 2014-12-05 2017-09-05 Caterpillar Inc. Filter media
US10758849B2 (en) 2015-02-18 2020-09-01 Imagine Tf, Llc Three dimensional filter devices and apparatuses
DE102016005157A1 (de) 2015-05-22 2016-11-24 Mann + Hummel Gmbh Filtereinsatz für ein Fluid, insbesondere Getriebeöl
ITUB201543363U1 (it) 2015-06-03 2016-12-03 Officine Metallurgiche G Cornaglia S P A Cartuccia filtro aria a pannello compatta ad elevata efficienza per motori endotermici.
US10118842B2 (en) 2015-07-09 2018-11-06 Imagine Tf, Llc Deionizing fluid filt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0479046B2 (en) 2015-08-19 2019-11-19 Imagine Tf, Llc Absorbent microstructure arrays and methods of use
WO2017099984A1 (en) 2015-12-11 2017-06-15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 with variable cross-section axial seal
EP4272855A3 (en) 2016-02-12 2024-01-03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elements and air cleaner assemblies
DE112017000710T5 (de) 2016-03-18 2018-10-31 Cummins Filtration Ip, Inc. Gekuppelte stabile Filterbaugruppe
US11141687B2 (en) 2016-05-02 2021-10-12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 with interlocking housing interface
CN109641167B (zh) * 2016-08-29 2021-05-25 Emd密理博公司 用于压紧式褶皱构型过滤件的固定刚性壁装置
US11554338B2 (en) 2016-12-01 2023-01-17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elements, air cleaner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and assembly
US10357731B2 (en) * 2016-12-20 2019-07-23 Baldwin Filters, Inc. Filter with preformed end caps having notch feature
CN110248714B (zh) 2017-01-25 2022-06-07 康明斯过滤Ip公司 适用于无螺纹外壳的可扩展螺纹适配器
RU171762U1 (ru) * 2017-01-27 2017-06-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лгГТУ)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WO2018156489A1 (en) 2017-02-21 2018-08-30 Cummins Filtration Ip, Inc. Undulated interlocking housing-endplate interface geometry
US11235275B2 (en) 2017-03-16 2022-02-01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sealing system
AU2018335572B2 (en) 2017-09-25 2023-12-1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ssembly
EP3692550A4 (en) * 2017-10-06 2021-06-02 Candu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FLUID IN THE GENERATION OF NUCLEAR ENERGY
CN107715547A (zh) * 2017-10-31 2018-02-23 无锡德沃精工设备有限公司 一种过滤效果好的超精油过滤设备
JP2019108802A (ja) * 2017-12-15 2019-07-04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エアクリーナ
CN112020387A (zh) 2018-01-24 2020-12-01 唐纳森公司 过滤器元件、系统和方法
US10632402B1 (en) * 2018-10-24 2020-04-28 Pall Corporation Support and drainage material, filter, and method of use
CN113692312B (zh) 2019-02-04 2023-05-26 唐纳森公司 用于对流体进行过滤的过滤器元件
WO2020163756A1 (en) 2019-02-08 2020-08-13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element, air cleaner assembly, and methods
BR112021018914A2 (pt) 2019-03-27 2021-11-30 Donaldson Co Inc Filtro separador de partículas com uma face de fluxo que se estende axialmente
DE102019115568A1 (de) * 2019-06-07 2020-12-10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Filtersystem
DE102019132413B4 (de) * 2019-11-29 2022-10-06 Mann+Hummel Gmbh Flüssigkeitsfilter zur Filterung von Getriebeöl und dessen Verwendung
RU2748917C1 (ru) * 2020-05-18 2021-06-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икро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здушного фильтра для помещений с повышенными требованиями к содержанию частиц пыли в воздухе
DE102021126857A1 (de) 2021-10-15 2023-04-20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Filtersystem
DE102021126855A1 (de) 2021-10-15 2023-04-20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Filtersystem
CN114159911B (zh) * 2021-12-03 2022-11-29 徐州鑫源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除尘格栅装置
WO2023141473A1 (en) 2022-01-18 2023-07-27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cartridges; air cleaner assemblies; housing; features; component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021A (ja) 1998-06-30 2000-01-18 Matsushita Seiko Co Ltd フィルター
US20030075500A1 (en) 1999-12-22 2003-04-24 Kleinguenther Lars Filter element
JP2008030025A (ja) 2006-06-27 2008-02-14 Nitta Ind Corp フィルタ濾材及びエアフィルタ
JP2009195842A (ja) 2008-02-22 2009-09-03 Nitta Ind Corp エアフィルタ及び濾材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0812A (en) * 1958-01-15 1961-10-25 Gen Moto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lters for fluids
DE1299230B (de) * 1966-12-24 1969-07-10 Draegerwerk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webstoffiltereinsatzes aus gefaltetem Filtermaterial fuer Schwebstoffilter von Atemschutzgeraeten
US3531920A (en) * 1968-09-16 1970-10-06 Cambridge Filter Corp Filter
US3871851A (en) * 1972-07-27 1975-03-18 Delbag Luftfilter Gmbh Filter pack
US4177050A (en) * 1976-08-23 1979-12-04 Farr Company Air filter assembly
DE3037019C2 (de) * 1980-10-01 1986-01-09 Drägerwerk AG, 2400 Lübeck Schwebstoffiltereinsatz aus gefaltetem Schwebstoffiltermaterial für Schwebstoffilter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T368402B (de) * 1981-05-27 1982-10-11 Walther Peter A Ing Filt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S60140624U (ja) * 1984-02-29 1985-09-18 アマノ株式会社 集塵機用フイルタのスペ−サ
US5236480A (en) * 1989-01-05 1993-08-17 Camfil Ab Air filter for workst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air filter
DE68911665T2 (de) * 1989-01-05 1994-07-07 Camfil Ab Filter.
GB9112615D0 (en) * 1991-06-12 1991-07-31 Domnick Hunter Filters Ltd Filter
RU2066232C1 (ru) * 1992-09-18 1996-09-10 Зеликсон Борис Малкиэлевич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фильтра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JP3178491B2 (ja) * 1993-08-05 2001-06-18 株式会社泰光 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4328846C2 (de) * 1993-08-27 1999-05-20 Mann & Hummel Fil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tereinsatzes und durch dieses Verfahren hergestellter Filtereinsatz
DE4345122A1 (de) * 1993-12-30 1995-07-06 Detroit Holding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tereinsatzes
IES80929B2 (en) * 1997-11-26 1999-06-30 Donal Richard Mcgoey Filter with form-retaining stabilizing means
CA2312825A1 (en) * 1997-12-03 1999-06-10 "Jacobi" Systemtechnik Gmbh Filter element and method and adhesive application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SE512385C2 (sv) * 1998-03-25 2000-03-06 Camfil Ab Luftfilter av veckat filtermaterial och sätt för dess framställning
JP2000107539A (ja) * 1998-10-01 2000-04-18 Daikin Ind Ltd エアフィルターパックおよびエアフィルター
US6171354B1 (en) * 1998-10-13 2001-01-09 S. C. Johnson & Son, Inc. Self-adhesive air filter for forced air climate control system
JP3061135B1 (ja) * 1999-06-21 2000-07-10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用のエアフィルタ
JP2003535266A (ja) * 2000-05-29 2003-11-25 ウィジャヤ、ヘル、プラサンタ 内燃機関用エアーフィルター
DE10113077A1 (de) * 2000-09-21 2002-04-25 Lippold Hans Joachim Fluidfilterelement
JP2002370007A (ja) * 2001-06-14 2002-12-24 Akushii:Kk エアフィルタ用ろ材
JP4257613B2 (ja) * 2002-05-20 2009-04-22 東洋紡績株式会社 成形繊維状シート、及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ATE433049T1 (de) * 2004-03-31 2009-06-15 Mann & Hummel Gmbh Ansaugfil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fahrzeugs
JP2006043669A (ja) * 2004-08-04 2006-02-16 Shinwa Corp 空調用フィルタ濾材
US7591883B2 (en) * 2004-09-27 2009-09-22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icrofiber supported nanofiber membrane
US20080067121A1 (en) * 2006-09-15 2008-03-20 Lpd Technologies, Inc. Fluid filter element with reinforcing scrim
DE102007027299B4 (de) * 2007-06-11 2009-02-26 Johns Manville Europe Gmbh Filte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ssen Verwendung sowie Filtermodule
US8608817B2 (en) * 2007-11-09 2013-12-17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eltblown filter medium
CN105536383B (zh) * 2010-01-25 2019-12-24 唐纳森公司 具有楔形槽的褶状过滤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021A (ja) 1998-06-30 2000-01-18 Matsushita Seiko Co Ltd フィルター
US20030075500A1 (en) 1999-12-22 2003-04-24 Kleinguenther Lars Filter element
JP2008030025A (ja) 2006-06-27 2008-02-14 Nitta Ind Corp フィルタ濾材及びエアフィルタ
JP2009195842A (ja) 2008-02-22 2009-09-03 Nitta Ind Corp エアフィルタ及び濾材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40202B4 (de) 2015-10-01
DE102009040202A1 (de) 2011-04-21
CN102612398A (zh) 2012-07-25
CN102612397A (zh) 2012-07-25
US8479924B2 (en) 2013-07-09
WO2011027000A1 (de) 2011-03-10
MX2012002820A (es) 2012-04-19
BR112012005045B1 (pt) 2019-07-09
JP2013503735A (ja) 2013-02-04
EP2475450B1 (de) 2016-08-03
EP2475450A1 (de) 2012-07-18
BR112012005130A2 (pt) 2017-12-12
CN102612397B (zh) 2015-08-12
EP2477718B1 (de) 2014-03-26
US8746462B2 (en) 2014-06-10
WO2011026999A1 (de) 2011-03-10
US8328022B2 (en) 2012-12-11
US20140014572A1 (en) 2014-01-16
WO2011027001A1 (de) 2011-03-10
CN102612398B (zh) 2015-01-28
JP5898075B2 (ja) 2016-04-06
KR20120083305A (ko) 2012-07-25
BR112012005045A2 (pt) 2016-05-03
US20120223008A1 (en) 2012-09-06
EP2475449A1 (de) 2012-07-18
RU2012113550A (ru) 2013-10-20
US20120223009A1 (en) 2012-09-06
RU2548413C2 (ru) 2015-04-20
EP2475449B1 (de) 2013-11-06
US20130062277A1 (en) 2013-03-14
EP2477718A1 (de)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418B1 (ko)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US20240066455A1 (en) Filtration media, filter packs, and filter elements with protrusions
CN114146497B (zh) 过滤器滤芯和空气滤清器组件
JP7241062B2 (ja)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エアクリーナアセンブリ、ハウジング、特徴、構成要素及び方法
US6685833B2 (en) Fluid filter element
JP2935433B2 (ja)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JP2935432B2 (ja)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CN115400518B (zh) 过滤器组件
US8685127B2 (en) Compact filter, method for producing a compact filter, and filter medium
US11794142B2 (en) Pulse cleanable deep pleated industrial filter
CN111085025A (zh) 支撑和排泄物料、过滤器和使用方法
CN113727771B (zh) 过滤器元件、空气滤清器组件和方法
US20240042361A1 (en) Embedding variable slit width embossed filter media packs
US20230390687A1 (en) Arched air filter
KR20210036403A (ko) 유입 유체 흐름에서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 구조체 및 필터 모듈
CN117241873A (zh) 高密度过滤元件
JP2020062590A (ja) フィルタ枠、およびエア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