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09B1 -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 Google Patents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09B1
KR101863509B1 KR1020170101435A KR20170101435A KR101863509B1 KR 101863509 B1 KR101863509 B1 KR 101863509B1 KR 1020170101435 A KR1020170101435 A KR 1020170101435A KR 20170101435 A KR20170101435 A KR 20170101435A KR 101863509 B1 KR101863509 B1 KR 10186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body
control unit
decel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희영
나승기
Original Assignee
나희영
나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희영, 나승기 filed Critical 나희영
Priority to KR102017010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09B1/ko
Priority to PCT/KR2018/008218 priority patent/WO20190317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4Vehicl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은 본체차량의 감속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속도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상기 본체차량에 장착된 후미 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은, 본체차량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시켜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VEHICLE FOR PREVNTING REAR-END COLLISION ACCID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본체차량의 감속도에 따라 본체차량 후방에 설치된 후미조명장치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시킬 수 있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면 좌우 양측에는 차량이 차선변경시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에게 알리도록 하는 방향지시등(정차 및 후진시에 충돌사고를 예방하도록 상기 방향지시등이 양측에서 동시에 점멸할 때의 비상등)과,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는 브레이크등 및 후진방향으로 진행시 연동하는 후진등 등의 의사전달램프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 운전자가 돌발 상황에 의해 급브레이크를 작동 시 차량 후면의 브레이크등이 점등되는 것에 의해서만 후방 운전자에게 급브레이크 상황을 알려주게 되는데, 후방 운전자는 상기 브레이크등의 점등만으로는 전방 차량이 속도를 조금 감속하는 것인지 아니면 전방의 돌발 상황에 의해 급브레이크를 밟는 것인지의 여부를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써, 고속 주행 시 후방의 차량이 추돌하거나 급브레이크로 인한 부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급브레이크 동작 시에는 통상 운전자가 빠른 시간 내 비상등을 수동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후방 운전자에게 급브레이크를 경고하게 되는데, 초보운전자 또는 여성운전자의 경우에는 급브레이크 동작 시 당황하여 비상 등을 구동시키지 못하거나 늦게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사고의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차량이 서행 중이거나 급정지 및 정차 중일 때, 후방에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차간거리 내에 근접하는 대형차량과 추돌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후방 추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본체차량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시켜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미조명장치가 점멸하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로 후방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진입할 때, 본체차량을 전방으로 강제 전진시켜 후방추돌 사고 시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미조명장치가 점멸하는 상태에서, 후방차량의 높이가 대형차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될 때, 양측 차선 중 어느 한 곳으로 변경하도록 안내하여, 대형차로 인한 추돌사고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은 본체차량의 감속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속도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상기 본체차량에 장착된 후미 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후방차량과 전방차량과의 각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 등의 점멸상태에서, 상기 후방차량이 경계거리 내로 일정속도 이상으로 진입할 때, 상기 본체차량을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강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차량이 경계거리 내에 진입할 때, 상기 거리감지부 중 복수의 레이저 센서들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후방차량의 높이가 기설정된 대형차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본체차량 내부에 구비된 출력부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후미조명장치의 점멸 주기, 점멸 세기나 점멸 패턴을 포함하는 점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방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점멸정보와 기설정된 점멸정보로 일정시간마다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경계거리 내에서 상기 후방차량의 감속도가 상기 본체차량의 감속도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후미조명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점멸부들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차량의 속도를 표시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차량의 상기 감속도의 증감에 따라 상기 후미조명장치의 점멸속도를 가변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차량의 후미에 형성되는 외부알림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본체차량의 후미방향으로 상기 본체차량의 감속을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경고하도록 상기 외부알림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은, 본체차량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시켜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미조명장치가 점멸하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로 후방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진입할 때, 본체차량을 전방으로 강제 전진시켜 후방추돌 사고 시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미조명장치가 점멸하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로 진입하는 후방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높이가 대형차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될 때, 양측 차선 중 어느 한 곳으로 변경하도록 안내하여, 대형차로 인한 추돌사고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추돌 사고예방을 위한 본체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후미조명장치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추돌 사고예방 시스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추돌을 예방하기 위한 본체차량의 동작프로세스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추돌 사고예방을 위한 본체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차량(1)은 감지부(100), 제어부(200), 후미조명장치(300), 거리감지부(400), 통신부(500) 및 출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감지부(1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0)는 본체차량(1)의 브레이크 페달(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이 밟히는 강도나 단위 시간별 페달 압력횟수에 기초하여 본체차량(1)의 감속도를 감지하거나, 본체차량(1)의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OBD(On-Board Diagnostics, 120) 또는 전자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 130)로부터 감속도 정보를 검출하여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OBD(또는 OBD-∥, 120)는 본체차량(1)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차량 내부 센서(미도시) 예컨대,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본체차량(1) 내 모든 주행정보를 감지할 뿐 아니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의 여부 등의 정보나 냉각수, 브레이크 오일, 엔진 오일, 엔진의 RPM, 진동, 소리, 타이어 공기압, 차량의 가속도, 평균속도, ABS 및 에어백 등 안전 장비 이상 유무, 배터리 전압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OBD(120)에서 수집된 정보 예컨대, 본체차량(1)의 속도, 가속도, 감속도, 차량핸들의 회전각 등을 모두 포함하여 주행정보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OBD(120)는 하기에서 설명될 통신부(500)를 통해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를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로라(LoRa) 통신망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전방차량(2), 후방차량(3) 및 사용자 단말(1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OBD(1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주행정보를 감지부(100)로 전송하고, 이때, 감지부(100)는 상기 주행정보 중 본체차량(1)의 감속도를 검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본체차량(1)의 후미에 장착된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로부터 전송받는 감속도인 단위 시간당 본체차량(1)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구간 예컨대, 2(km/h)/s 보다 이상 일 때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본체차량(1)의 후미에 장착된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의 증감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되는 속도를 가변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의 증감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되는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를 가변 예컨대, 감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멸주기를 빠르게 하고, 감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점멸주기를 느리게 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후미조명장치(3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차량(1)의 후미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점등되는 브레이크 등(310), 양측의 각 방향 지시등인 동시에 비상상황에 따라 양측이 동시에 점멸하는 비상 등(321, 323) 및 브레이크 등(310)을 보조하는 보조 등(330), 본체차량(1)이 후진할 때, 이를 알리는 후진 등(340), 차량의 전조등이 켜짐에 따라 동작하는 후미 등(350), 차량 폭의 경계를 표시하는 측방 등(3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본체차량(1)의 후미에 장착된 브레이크 등(310), 비상 등(321, 323), 보조 등(330), 후진 등(340), 후미 등(350) 및 측방 등(360) 중 어느 하나를 점멸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등(310), 비상 등(321, 323) 및 보조 등(330), 후진 등(340), 후미 등(350) 및 측방 등(360)이 점등되는 것과 별도로, 어느 하나 등 내부에 위치하여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점멸부들(301-1~301-N)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점멸부들(301-1~301-N)이 브레이크 등(310), 보조 등(330) 및 후미 등(350)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상 등(321, 323)이나 후진 등(340) 및 측방 등(360)의 영역에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차량(1)의 후방영역에 별도로 복수의 점멸부들(301-1~301-N)로 구성된 점멸등(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점멸부들(301-1~301-N)은 복수 개의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시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LED를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배치되거나, 다른 소자의 발광장치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본체차량(1)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들 및 레이저 센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방차량(2)과 후방차량(3)과의 각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 감지부(4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리감지부(400)는 본체차량(1)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들 및 레이저 센서들을 이용하여 전방에 위치한 전방차량(2)과의 여유거리를 감지하고, 후방으로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에 후방차량(3)의 진입 여부 및 진입 속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거리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되는 전방차량(2)과의 여유거리와 후방으로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에 후방차량(3)의 진입 여부 및 진입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후방차량(3)이 경계거리 내에 진입할 때, 거리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되는 후방차량(3)의 높이가 기설정된 대형차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거리감지부(400)는 후방으로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로 진입하는 후방차량(3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레이저 센서(미도시)들이 후방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수직되게 설치되어, 제어부(200)는 각각의 레이저 센서(미도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들을 종합하여 후방차량(3)의 높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추정된 후방차량(3)의 높이가 기설정된 대형차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를 본체차량(1)의 내부에 구비된 출력부(60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600)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통해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음향 출력 모듈(미도시)을 통해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며, 알람 장치(미도시)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미도시)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피에조 센서(Piezo sens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람 장치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OBD(120)로부터 전송받는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본체차량(1)이 급정지 또는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본체차량(1)이 급정지 또는 정지 상태일 때, 거리감지부(400)를 통해 후방차량(3)이 상기 경계거리 내로 일정속도 이상으로 진입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후방차량(3)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거리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전방차량(2)과의 여유거리에 따라 본체차량(1)을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강제 전진시킬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제어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제어장치(130)는 제어부(200)로부터 전송받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페달(110)에 가해지는 압력과 상관없이 엑셀러레이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본체차량(1)을 강제 전진시킬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이 급정지 또는 정지 상태가 아닌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전진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를 출력부(60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본체차량(1)을 정지 상태에서 강제 전진시키거나, 출력부(600)를 통해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전진하도록 안내할 때,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본체차량(1)을 정지상태에서 강제 전진시킬 때, 전자제어장치(13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1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연동하여 점등되는 브레이크 등(310)과 별도로 후미조명장치(300)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점멸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차량(1)은 후미에 후미조명장치(300)와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외부알림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본체차량(1)의 후미방향으로 본체차량(1)의 감속을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경고하도록 외부알림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후방차량(1)의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외부알림장치(미도시)는 출력부(600)의 기능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출력부(600)의 출력 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통신부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추돌 사고예방 시스템 도이다.
통신부(500)는 OBD(120)로부터 제어부(200)를 통해 전송받는 본체차량(1)의 주행정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네트워크(10)를 통해 전방차량(2), 후방차량(3) 및 사용자 단말(10) 중 어느 하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0)는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 주기, 점멸 세기나 점멸 패턴을 포함하는 점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200)와 사용자 단말(10)을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500)를 통해 제어부(200)와 연동될 때,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 주기, 점멸 세기나 점멸 패턴 등의 점멸 상태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통신부(500)와 접속되어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받는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저장된 점멸정보에 기초하는 점멸 주기, 세기 및 패턴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전방차량(2)의 제1 주행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의 점멸 주기, 점멸 세기나 점멸 패턴 등을 변경하여 출력시키고, 후방차량(3)의 제2 주행정보로부터 검출되는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에 포함된 복수의 점멸부들(301-1~301-N)을 통해 본체차량(1)의 속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통신부(500)를 통해 전방차량(2)으로부터 제1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주행정보가 기설정된 이벤트 예컨대, 사고나 급정지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주행정보가 기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때,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에 진입하는 후방차량(3)에 상기 이벤트를 전송시키고, 후미조명장치(300)를 적어도 둘 이상의 점멸정보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점멸정보나 기설정된 점멸정보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변경하여 점멸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의 감속도에 따라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통신부(500)를 통해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에 진입하는 후방차량(3)으로부터 제2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주행정보로부터 검출되는 감속도가 본체차량(1)의 감속도보다 미만일 때, 본체차량(1)의 속도를 후미조명장치(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후미조명장치(300)에 포함된 복수의 점멸부들(301-1~301-N)을 제어하여 본체차량(1)의 주행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속도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차량(3)의 운전자가 이를 식별하여 감속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후방추돌을 예방하기 위한 본체차량의 동작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감지부(100)는 브레이크 페달(110)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OBD(120)나 전자제어장치(130)로부터 전송받는 주행정보로부터 검출되는 감속도 정보를 감지하거나 수집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 또는 수집되는 감속도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들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본체차량(1)에 장착된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수 있다(S110).
또한, 제어부(200)는 후미조명장치(300)를 점멸시킬 때, 전방차량(2)과 후방차량(3)과의 각 거리를 감지하도록 거리감지부(400)를 동작시키고, 거리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되는 전방차량(2)과의 여유거리와 기설정된 경계거리 내에 후방차량(3)의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S120).
이때, 제어부(200)는 상기 경계거리 내에 후방차량(3)이 진입할 때, 거리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되는 후방차량(3)의 높이가 기설정된 대형차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하고(S130), 판단될 때, 차선을 변경하도록 출력부(600)를 통해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로 출력시킬 수 있다(S140).
또한, 제어부(200)는 상기 경계거리 내로 일정속도 이상으로 후방차량(3)이 진입할 때(S150), OBD(120)로부터 전송받는 본체차량(1)의 주행정보에 근거하여 본체차량(1)이 급정지 또는 정지되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이때,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이 급정지 또는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본체차량(1)을 전방향으로 거리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여유 거리만큼 강제 전진시킬 수 있도록 동작제어신호를 본체차량(1) 내 구비된 전자제어장치(130)에 전송하여 본체차량(1)을 여유 거리만큼 강제 전진시킬 수 있다(S170).
한편, 제어부(200)는 본체차량(1)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전방향으로 본체차량(1)을 전진하도록 본체차량(1)의 내부에 구비된 출력장치(600)를 통해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의 알림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다(S180).
상기와 같이 설명된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본체차량
2: 전방차량
3: 후방차량
10: 사용자 단말
50: 네트워크
100: 감지부
200: 제어부
300: 후미조명장치
400: 거리감지부
500: 통신부
600: 출력부

Claims (7)

  1. 본체차량의 감속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속도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상기 본체차량에 장착된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키는 제어부;
    상기 후미조명장치의 점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키고,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후미조명장치가 점멸될 때 동작하며, 상기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각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거리감지부; 및
    상기 본체차량의 후미에 형성되는 알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토대로 상기 점멸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차량과 상기 본체차량의 주행정보들을 통해 기설정된 어느 하나의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점멸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이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후미에 형성되는 알림장치로 상기 본체차량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이벤트가 상기 후방에 위치한 차량이 경계거리 내로 일정속도 이상으로 진입하는 이벤트인 경우, 정지된 상기 본체차량을 전방으로 여유 거리만큼 강제 전진시키고,
    상기 후방에 위치한 차량이 경계거리 내에 진입할 때, 상기 거리감지부 중 복수의 레이저 센서들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높이가 기설정된 대형차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본체차량 내부에 구비된 출력부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경계거리 내에서 상기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감속도가 상기 본체차량의 감속도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후미조명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점멸부들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차량의 속도를 표시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복수의 점멸부들은 상기 본체차량의 리어윈도우를 통해 보여지는 보조등과, 측방등과 후진등 사이에 형성되는 후미등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방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점멸정보와 기설정된 점멸정보로 일정시간마다 변경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속도의 증감에 따라 상기 후미조명장치의 점멸속도를 가변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조명장치를 점멸시킬 때, 상기 본체차량의 후미방향으로 상기 본체차량의 감속을 영상, 음성 및 진동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경고하도록 외부알림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KR1020170101435A 2017-08-10 2017-08-10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KR10186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35A KR101863509B1 (ko) 2017-08-10 2017-08-10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PCT/KR2018/008218 WO2019031727A1 (ko) 2017-08-10 2018-07-20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35A KR101863509B1 (ko) 2017-08-10 2017-08-10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509B1 true KR101863509B1 (ko) 2018-05-30

Family

ID=6230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435A KR101863509B1 (ko) 2017-08-10 2017-08-10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3509B1 (ko)
WO (1) WO201903172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4657A (zh) * 2018-06-15 2018-12-07 深圳市曹布斯科技有限公司 一种防追尾的提示方法和防追尾装置
CN110775070A (zh) * 2018-07-30 2020-0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车辆之间交换信息的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10451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멸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2703B (zh) * 2022-08-16 2022-11-01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安全行驶提醒灯光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567B2 (ja) * 1996-08-28 2005-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距離制御型定速走行装置
KR19990011873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근접 차량에 대한 위험 경고 장치
KR20110036366A (ko) * 2009-10-01 2011-04-07 카인몰 주식회사 후방차량 접근 감지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경고장치
KR20150049214A (ko) * 2013-10-29 2015-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KR101756034B1 (ko) * 2016-08-31 2017-07-11 박경준 뒤차량의 속도변화에 대응하는 차량 후방 미등 휘도의 자동조절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4657A (zh) * 2018-06-15 2018-12-07 深圳市曹布斯科技有限公司 一种防追尾的提示方法和防追尾装置
CN110775070A (zh) * 2018-07-30 2020-0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车辆之间交换信息的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10451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멸 방법 및 장치
KR102191509B1 (ko) * 2019-02-27 2020-12-15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멸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727A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165B2 (en) System for detecting surrounding conditions of moving body
KR101863509B1 (ko)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US11180164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JP6024741B2 (ja) 運転支援装置
US7414541B2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367232B2 (ja) 車両用照灯装置
JP2015162005A (ja) 自動運転システム
JP2008062762A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6201660B2 (ja) 車両の接近報知装置
JP3882568B2 (ja) 車両用接近報知装置
JP2007314016A (ja) 車両用衝突警報装置
JP2014031112A (ja) 表示装置及び車両
SE1451114A1 (sv)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for vulnerable road users in connection to a non-moving vehicle
KR2020001352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201703340U (zh) 汽车防追尾装置
JP5657410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US202003916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vehicle tail lights
JP2020102092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JP2023005356A (ja) 車両の表示システム
CN205523934U (zh) 一种基于雷达和摄像头的汽车后视预警系统
JP2008056135A (ja) 車両用注意喚起システム
KR101536677B1 (ko) 차량 추돌사고 예방 장치
JP4485901B2 (ja) 乗物用灯具
US202400101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projection apparatus
JP4066892B2 (ja) 車両用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