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214A -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214A
KR20150049214A KR1020130129464A KR20130129464A KR20150049214A KR 20150049214 A KR20150049214 A KR 20150049214A KR 1020130129464 A KR1020130129464 A KR 1020130129464A KR 20130129464 A KR20130129464 A KR 20130129464A KR 20150049214 A KR20150049214 A KR 20150049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rning
speed
distance
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214A/ko
Publication of KR2015004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7Ra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차량 진행 중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 후 상기 후방차량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차간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 상기 차량 후방과 상기 후방차량 사이의 도로면에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레이저모듈 및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경고정보가 출력되게 상기 레이저모듈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Alarm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
실시 예는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방에 접근하는 후방차량의 속도 및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경고 정보를 후방차량이 인식하게 출력하여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용이한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과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도로 사정을 고려하여 각 도로마다 일정한 속도 이하로 주행토록 법규로 제한하고 있기는 하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운전중에 부주의로 인해 제한속도를 넘어 과속으로 운전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고속도로와 같은 도로 환경에서는, 항상 앞차량이나 후방차량과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앞차와의 거리를 정확히 유지하며 운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 점점 앞차와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고속주행의 경우에는 대형사고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에도 브레이크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 등이 점등되어 후방차량에게 현재 앞차가 서행하거나 정지하고저 한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후방차량이 접근하여 차량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경우에는 후방차량에 대한 어떠한 경고수단이 전무하므로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차량 후방에 접근하는 후방차량의 속도 및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경고 정보를 후방차량이 인식하게 출력하여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용이한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시스템은, 차량 진행 중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 후 상기 후방차량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차간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 상기 차량 후방과 상기 후방차량 사이의 도로면에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레이저모듈 및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경고정보가 출력되게 상기 레이저모듈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이더는, 상기 후방차량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고정보는, 경고문구 및 경고점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이저모듈은, 상기 경고정보에 대응되게 점멸하는 리어램프 및 상기 경고정보에 대응하는 경고문구 및 경고점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도로면으로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이더는, 상기 후방차량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후방차량 감지시, 상기 레이더로부터 측정된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산출부, 상기 속도와 상기 차간거리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따라 설정된 상기 경고정보가 상기 레이저모듈에서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방법은, 차량 진행 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후방차량 존재 시, 상기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후 상기 후방차량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차간거리를 레이더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레이저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은,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 존재시, 후방차량의 속도 및 차간거리를 측정 또는 산출하여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을 만족하며 후방차량의 속도 및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경고정보를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함으로써, 후방차량의 운전자에 의한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경고시스템은, 레이더(110), 레이저모듈(120) 및 전자제어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 주행 중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의 존재를 확인하고,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시간 및 차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레이더(110)는 상기 후방차량을 감지하는 카메라(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12)는 상기 후방차량의 영상 또는 상기 후방차량에서 발산되는 헤드램프(미도시)의 빛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112)는 상기 후방차량의 영상 또는 빛 감지시, 전자제어유닛(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후방차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전자제어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 후 상기 후방차량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측정하여 전자제어유닛(130)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130)는 레이더(110)로부터 전송된 상기 후방차량의 영상 또는 빛을 확인하는 경우, 레이더(110)를 동작시켜 상기 후방차량에 대한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전달받아 상기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산출부(132), 상기 속도와 상기 차간거리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134) 및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따라 설정된 상기 경고정보가 레이저모듈(120)에서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속도산출부(132)는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건거리 입력시 설정된 연산방법에 따라 상기 후방차량의 상기 속도, 즉 상대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판단부(134)는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기준은 상기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간거리가 설정된 차간거리 미만인 경우로 사고 발생이 높은 실험 데이터를 통한 기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136)는 판단부(13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상기 경고정보가 레이저모듈(120)을 통하여 출력되게 제어한다.
즉, 제어부(136)는 상기 경고정보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후방에서 접근하는 상기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충돌(사고) 위험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조건 경고정보
후방차량의 속도 차간 거리
100 Km/h 이상 100 m 이내 "감속하시오" 1분당 6회 점멸
100 Km/h ~ 70 Km/h 70 m 이내 "주의하시오" 1분당 4회 점멸
70 Km/h ~ 50 Km/h 50 m 이내 점선, 1분당 2회 점멸
50 Km/h ~ 30 Km/h 30 m 이내 점선, 1분당 1회 점멸
30 Km/h 이하 30 m 이하 작동 않함
[표 1]에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제어유닛(130)은 상기 속도가 100 Km/h 이고, 상기 차건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기준에 해당되는 상기 속도 30 Km 이상, 상기 차간거리가 30 m 이상인 경우에 속하는 것을 확인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닛(130)은 [표 1]에 기 설정된 바와 같이 상기 속도가 100 Km/h 이고, 상기 차건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에 해당되는 경고문구 및 리어램프(122)에 대한 점멸을 포함하는 상기 경고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레이저모듈(120)은 전자제어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점멸하는 리어램프(122) 및 전자제어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고문구 또는 상기 경고점선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후방의 도로면에 표시되게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레이저모듈(120)은 상기 차간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후방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의 도로면에 상기 경고문구 및 상기 경고점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게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경고시스템은,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의 속도 및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경고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후방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고 예방에 대한 경고를 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경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제어유닛(130)은 차량 진행 중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10).
즉, 전자제어유닛(130)는 실시간 또는 설정시간 간격으로 레이더(110)에 포함된 카메라(112)를 동작시켜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카메라(112)는 상기 후방차량의 빛 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자제어유닛(130)으로 전달한다.
(S110) 단계 이후, 전자제어유닛(130)은 상기 후방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레이더(110)를 동작시켜 상기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 후 상기 후방차량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차간거리를 수신한다(S120).
즉, 전자제어유닛(130)은 상기 후방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되면, 레이더(110)을 동작시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측정된 시간 및 차간거리를 수신한다.
(S120) 단계 이후, 전자제어유닛(130)은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S130),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140).
즉, 전자제어유닛(130)은 레이더(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설정된 연산방법에 따라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S140) 단계 이후, 전자제어유닛(130)는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레이저모듈(120)을 제어하여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경고 정보를 출력하며(S150),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지 않으면 (S110) 단계 또는 (S120) 단계로 리턴한다.
즉, 전자제어유닛(130)은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경고 정보를 레이저모듈(120)을 제어하여 차량 후방의 도로면에 표시되게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표 1]을 예를 들어 설명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130)은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후방차량에 대한 속도 및 차간거리를 재 산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차량 진행 중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 후 상기 후방차량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차간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
    상기 차량 후방과 상기 후방차량 사이의 도로면에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레이저모듈; 및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경고정보가 출력되게 상기 레이저모듈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상기 후방차량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정보는,
    경고문구 및 경고점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모듈은,
    상기 경고정보에 대응되게 점멸하는 리어램프; 및
    상기 경고정보에 대응하는 경고문구 및 경고점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도로면으로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상기 후방차량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후방차량 감지시, 상기 레이더로부터 측정된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산출부;
    상기 속도와 상기 차간거리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따라 설정된 상기 경고정보가 상기 레이저모듈에서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 시스템.
  6. 차량 진행 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후방차량 존재 시, 상기 후방차량으로 레이저 신호를 발신후 상기 후방차량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차간거리를 레이더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간 및 상기 차간거리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기 설정된 경고 기준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가 상기 경고 기준에 속하면, 레이저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속도 및 상기 차간거리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고방법.
KR1020130129464A 2013-10-29 2013-10-29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KR20150049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464A KR20150049214A (ko) 2013-10-29 2013-10-29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464A KR20150049214A (ko) 2013-10-29 2013-10-29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14A true KR20150049214A (ko) 2015-05-08

Family

ID=5338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464A KR20150049214A (ko) 2013-10-29 2013-10-29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2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27A1 (ko) * 2017-08-10 2019-02-14 나희영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CN110341588A (zh) * 2019-06-12 2019-10-18 大众问问(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车灯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27A1 (ko) * 2017-08-10 2019-02-14 나희영 후방추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CN110341588A (zh) * 2019-06-12 2019-10-18 大众问问(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车灯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2315B2 (en) Driver coaching from vehicle to vehicle and 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s
US10140531B2 (en) Detection of brake lights of preceding vehicles for adaptation of an initiation of active safety mechanisms
CN105291965B (zh) 一种汽车防碰撞方法及装置
US20070159311A1 (en) Vehicle separation warning device
US200900459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blind spot detection and rear crossing path collision warning
TW201438944A (zh) 行車預警系統
US11192549B2 (en) Warning and adjusting the longitudinal speed of a motor vehicle based on the recognized road traffic lights
US20140049384A1 (en) Method for warning a following motor vehicle
CN106660482A (zh) 自动停车警告系统
JP6201660B2 (ja) 車両の接近報知装置
KR20160039146A (ko) 충돌 회피 시스템 및 충돌 회피 방법
JP5811543B2 (ja) 後方車両衝突警報装置
KR20140052678A (ko) 차량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309623A (ja) 衝突警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JP2007025782A (ja) 車車間通信による走行支援装置
CN107009959B (zh) 用于向驾驶员提供警告的方法和警告系统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20067762A (ko) 능동 안전을 위한 저속 근거리 충돌회피알고리즘을 이용한 충돌방지장치
JP2009244986A (ja) 警告報知装置
KR20150049214A (ko) 자동차의 경고시스템 및 경고방법
US20090115593A1 (en) Vehicular warning system and method
RU2616114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толкнов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200242942A1 (en) Traffic lane encroachment indicator system
KR20180039838A (ko)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60511A (ko)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