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207B1 -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207B1
KR101856207B1 KR1020100053823A KR20100053823A KR101856207B1 KR 101856207 B1 KR101856207 B1 KR 101856207B1 KR 1020100053823 A KR1020100053823 A KR 1020100053823A KR 20100053823 A KR20100053823 A KR 20100053823A KR 101856207 B1 KR101856207 B1 KR 10185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mming
rye
extract
composi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914A (ko
Inventor
프랑스와 펠리시에르
장-크리스토프 아르샹보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10013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로 추출함에 의해 얻어진 시리얼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 시리얼 추출물은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자연적이고 비독성인 슬리밍 제제로서 효과적인 슬리밍 화장 케어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Use of a cereal extract as a slimming active agent in a slimm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 및 또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 조직은 유기체의 에너지 밸런스를 조절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것은 응집 세포, 지방세포 및 풍부한 연결-도관속의 스트로마로 구성되어 진다. 아디포사이트(또는 지방질 세포)는 지질의 형태(필수적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류)로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또는 이 에너지를 세포질 내의 배지로 지방산 및 글리세롤의 형태로 방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아디포사이트는 방대한 양의 지질 액포를 포함하는데, 이는 대략적으로 세포 총량의 80%에 이른다.
이들 지질은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역으로 위치되어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형태로 되어 진다(지방생성). 후자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라파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들 지방산이 혈액의 흐름 안으로 분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지방분해).
피하 조직에 위치된 성숙된 아디포사이트는 지방성 조직에서 아디포사이트류로 분화되어 질 수 있는 섬유아세포-타입 세포인 아디포사이트 전구체류 또는 프리아디포사이트류로부터 형성되어 진다. 성장 단계 후, 프리아디포사이트는 세포 증식에서 휴지기를 경험한다. 이것은 그런 다음 아디포사이트 분화의 과정으로 도입한다.
최종 분화를 하는 동안, 아디포사이트류는 상당한 리포젠 능력을 나타냈다. 이것은 세포질 내에서, 연속적으로 용융될 지질 액포의 점진적인 축적을 초래한다. 이 단계는 호르몬 류, 시토키닌 류, 성장 인자들 또는 비타민 류와 같은 주변 배지에서 인자들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조절되어 진다.
아디포사이트 분화의 과정은 또한 발현의 특성에 있어서, 그리고 "인테그린(integrins)"으로 알려진 세포 표면 단백질의 조성에 있어서 변화가 수반되어 진다.
이들 인테그린류 각각은 일반적으로 매우 짧고 그리고 효소적 활성이 없는 거대한 세포질 외의 세그먼트, 트랜스멤브레인 세그먼트 및 세포질 세그먼트를 갖는다.
인테그린은 연결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에 대한 수용체에 유사하게 될 수 있다. 이들은 비공유결합적으로 연계된 각각 α-서브유닛트 및 β-서브유닛트로 구성되고 세포의 표면에 위치된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s)의 과를 나타내고: 14개의 이소 형태가 α-사슬에 대해 알려져 있고, 그리고 9개의 이소 형태가 β-사슬에 대해 알려져 있다. 이들 α 및 β 이소 형태는 20개 이상의 수용체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가 다른 것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합하여, 시스템 상에 아주 큰 다양성을 수여한다.
인테그린은 세포질 내의 점착과 세포-세포질 외의 매트릭스 단백질(라미닌, 피브로넥틴, 콜라겐, 비트로넥틴, 등) 점착에 포함되어 진다. 세포 내면에서, 인테그린의 세포질성 세그먼트는 타린 또는 α-액티닌과 같은 세포 골격의 여러 가지의 단백질과 연계되어 진다. 트랜스멤브레인 세그먼트는 점착의 조절을 증진할 뿐 아니라 또한 세포의 행동을 변하게 할 수 있는 세포질 내의 시그널(정지 상태, 전이 상태, 증식, 분비 등)을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인테그린은 또한 전도 신호와 유전자 조절에 있어서 역할을 한다. 각각 피브로넥틴에 대한 그리고 라미닌에 대한 수용체인 α5 및 α6 인테그린은 아디포사이트류 내에서 프리아디포사이트류의 증식과 분화를 조정하기 위해 상호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Liu J et al ., Cell Metab . 2005 Sep ; 2(3):165-77). 저자는 α5 인테그린이 발현되어지면 질수록, 세포는 더욱 더 분화되어 지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α5 서브유닛트는 주로 프리아디포사이트에서 발현되어 지지만, 아디포사이트류에서는 거의 감지되어 질 수 없고; 역으로 α6 서브유닛트는 프리아디포사이트에서 거의 감지되어 질 수 없고 아디포사이트류에서는 풍부하다.
α5 인테그린을 과발현하는 세포는 적은 지질 방울로 섬유아세포 표현형을 유지한다. 세포에서 α6이 과발현은 세포 분화의 유도 5일 후, 세포질 내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류의 합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인테그린 단백질의 발현에 있어서 스위치는 세포를 미분화된 상태(프리아디포사이트류)로 유지하는 α5 인테그린과 아디포사이트류로 최종 분화를 이끄는 신호화 과정을 조절하는 α6 인테그린 사이의 아디포사이트 분화 과정 중에 발생한다.
프랑스 특허 FR 2 893 504(SILAB)는 시리얼 및/또는 콩과 식물(legumes)의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수성 배지에서 얻어진다. 이 추출물은 항-노화, 특히 주름살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서 활성 제제로 사용되어 진다.
프랑스 특허 FR 2 893 504는 그러나, 이 추출물에 대해 피부의 지방조직에 세포에서 인테그린 발현에 관한 효과는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그리고 이 추출물에 대해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어떠한 용도도 생각하고 있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생체조화가능하고,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그리고 양의 관점에서 아무런 제한이 없이 산업적인 제조 공정의 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되어 질 수 있는, 갱신할 수 있는 천연 소스를 사용하여 신규한 슬리밍 제제의 제공으로 구성되는 신규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기술적인 문제점은 산업적으로 그리고 화장품의 규모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단순하고 그리고 저렴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먼저 해결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로 추출함에 의해 얻어지는 시리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규한 슬리밍 제제와, 그리고 이 슬리밍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본 발명은 더욱이 이 슬리밍 제제를 포함하는 이들의 필요에 응하여 신체의 일 부분 상에 슬리밍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화장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추출물은 시리얼 단독의 전부 또는 일 부분이나 혼합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리얼이 있는 혼합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리얼은 사카라이드 화합물이 풍부한 시리얼로, 특히는 크실란(xylan)이 풍부하거나 또는 특히는 적어도 하나의 [알파]-L-아라비노-퓨라노스([alpha]-L-arabino-furanose) 기가 [베타]-(1-4) 결합으로 연결된 D-크실로파라노스(D-xylopyranose)의 골격으로 구성된 아라비노크실란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크실란 유도체가 풍부한 시리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리얼은 소맥, 호밀, 보리, 또는 대안적으로 오트로부터 선택되어 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리얼 추출물은 섬유, 특히 줄기, 잎, 씨앗, 시리얼의 깍지(껍질) 또는 겨에 함유된 섬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시리얼의 플레이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리얼 분획으로부터 얻어진다. 하나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크는 그 추출에 앞서 습윤-가열 처리를 한 시리얼의 씨앗으로부터 얻어진 그 자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추출물은 호밀 플레이크의 추출물이다.
시리얼 추출물은 유익하기로는 선택된 시리얼 또는 시리얼 분획을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과 접촉시킴에 의해 제조되어 진다.
추출 단계에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극성 용매로서, 물, C1-C4 알코올로 예를 들어 에탄올, C2 내지 C6 글리콜로 바람직하기로는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추출은 수성 추출이거나 또는 적어도 50% v/v의 물 이상을 포함하는 수성-알코올성 또는 수성-글리콜성 용액에서 추출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이다.
하나의 특정한 바람직한 변형체에 따르면, 제조 과정은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893 504에 기술된 것에 따르고, 그 내용은 본 출원에 참고의 형식으로 포함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리얼 추출물은 유익하기로는 연속적인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과정의 수단에 의해 제조되어 진다:
- 물에 시리얼이나 시리얼의 일 부분의 현탁,
- 동시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효소적 가수분해,
- 여과, 원심분리, 침전에 의해 가용성과 비가용성 상태의 분리,
- 열처리,
- 여과에 의해 활성 분획의 정제, 및
- 멸균 여과.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체에 따르면, 본 시리얼 추출물은 특히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크실란과 같은 사카라이드 화합물과 이들의 유도체들이 풍부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체에 따르면, 추출물은 전체 당의 적어도 9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전체 당의 적어도 95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백분율은 추출물을 구성하는 고체에 대하여 표현되어 졌다.
본 발명의 제이의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슬리밍 활성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여기서 이 조성물은 그 슬리밍 제제의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사카라이드 화합물이 풍부한 시리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추출물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전체로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조성물의 하나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시리얼 추출물의 농도는 화장품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추출물의 건조 중량이 0.0001 내지 1 중량%, 특히 0.01 내지 0.5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유익하기로는 본 발명의 것에 유사하거나 및/또는 보충적인 화장 효과를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화장품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익한 활성 제제는 특히 지질형성, 지질분해 또는 지질 저장 상에 작용을 통하여, 예를 들어, 조직 안으로 물의 침투와 같이 셀룰라이트의 발현을 하는 인자에 작용하는 것과 그리고 세포질 외의 매트릭스를 보호함에 의해 조직 견고성을 보전하는 작용을 하고 재생효과를 가지는 것인 환상 아데노신 3',5'-모노포스페이트(adenosine 3',5'-monophosphate; cyclic AMP 또는 cAMP)의 세포질 내의 준위에 작용함에 의해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것들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따라서 피토스핑고싱(phytosphingosine) 또는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특히는 이들의 염화수소를, 특히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농도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0.5 중량%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cAMP와 이들의 유도체, 아데노실화 시클라제 효소를 활성화하는 제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효소를 저해하는 제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cAMP 유도체로서는, 어떠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cAMP 유도체 및 특히 염이나 아실화된 유도체, 더욱 특히는 모노부티릴(monobutyryl) 또는 디부티릴(dibutyryl) 유도체가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이들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cAMP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유익하기로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의 농도로 사용되어 진다.
아데닐화 시클라제-활성 제제로서, 포르스콜린(forskolin)이나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이 유익하기로는 선택되어 지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0.25 중량%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포르스콜린-함유 추출물로서는, 콜레우스 포르스콜리(Coleus forskholii)의 추출물, 특히는 상기 식물의 껍질 추출물이 바람직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유럽 특허 EP 486595 B1에 기술되어 진 것과 같은 추출 공정의 수단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테프로시아 푸르프레아(Tephrosia purpurea) 식물의 추출물, 특히 이 식물의 씨앗 추출물이 또한 아데닐화 시클라제-활성 제제로서,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5 중량%의 농도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711141 B1에 기술되어 진 것과 같은 추출 공정의 수단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저해 제제로서,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 또는 IBMX, 카페인, 또는 테오필린(theophilline)과 같은 크산틴이,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1 중량%의 농도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콜라 어큐미나타(Cola acuminata)의 추출물, 리놀레 산, 비티스 비니페러(Vitis vinifera)의 추출물, 글리코스핑고리피드, 디하이드로미리세틴, 헥사펩티드-11, 프루넬라 벌가리스(Prunella vulgaris)의 가수 추출물과 셀로시아 크리스타타(Celosia cristata)의 가수 추출물의 혼합물, 아노게이 수스 레이오카르푸스(Anogeissus leiocarpus)의 추출물, 특히 상기 식물의 껍질 추출물, 만니핫 유틸리시마(Manihot utilissima)의 잎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비타민 A 에스테르, 특히 레티닐 팔미테이트, 세리코사이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N-아세틸-디펩티드-1-헥사데실 에스테르, 및 비스나가 베라(Visnaga vera)의 추출물로부터 선택되어 진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안료, 색조 제제, 폴리머, 표면 활성제제, 유동화제, 향료, 전해질, pH 조정제, 항산화제 및 보존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세럼, 로션, 에멀젼, 또는 예를 들어 크림 또는 대안적으로 하이드로겔의 형태로, 또는 스틱 또는 패치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삼의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슬리밍 화장 케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여기서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시리얼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 조성물의 신체 피부의 관련 영역에 국부적인 적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전체로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에서 제시된 새로운 기술적인 문제를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그리고 산업적 규모 및 화장품적 규모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는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신규한 슬리밍 제제를 제공함에 의해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 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는 자연적이고 비독성인 슬리밍 제제를 제공하여 이에 의해서 효과적인 슬리밍 화장 케어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영한 발명이다.
도 1은, 세포 핵의 검출을 위한 이뮤노라벨링과 비처리된 대조 세포의 표면에 α5 인테그린의 네트워크의 표현의 내용으로, 이하에서의 실시예 2의 4 문단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분석되어 진, 비처리된 대조 세포의 배양 배지의 네 개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취해진 네 개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는 처리된 세포의 표면에서 α5 인테그린의 표현을 관찰하기 위해, 배양 배지에서 대략적으로 0.05 고체 중량%로 희석된 호밀의 수성 추출물로 처리된 세포의 배양 배지의 네 개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취해진 네 개의 이미지를 또한 나타낸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호밀 추출물의 제조
추출물은 스팀 처리의 수단에 의해 세칼레 시리얼레(Secale cereale; 호밀) 식물의 씨앗으로부터 얻어진 플레이크로부터 제조되어 진다.
추출 과정은 유익하기로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물에 호밀 플레이크의 현탁,
- 가용성과 비가용성 상태의 분리,
- 열처리,
- 여과 및 멸균 여과.
추출 과정에 마지막에서, 대략적으로 고체로 5 중량%를 포함하는 호밀 추출물의 수성 용액이 얻어진다.
건조물의 이 비율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주어진 중량의 샘플을 105℃에서 오븐에 유지함에 의해 측정되어 졌다.
전체 당에 있어서의 함량은 DUBOIS 방법(Dubois M.§ al (1956) Analytical chemistry, 28, N°, P 350-356)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이 방법은 당과 반응하여 화합물이 옐로우-오렌지로 되는 진한 황산과 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정 곡선으로부터, 샘플의 전체 당의 함량이 결정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 주제를 구성하는, 여기서는 호밀 추출물인 시리얼 추출물의 수성 용액에서 전체 당의 함량은 리터 당 45 내지 65g 사이의 범위로 된다.
단순 당이나 또는 모노사카라이드의 함량은 약 96% 글루코스, 약 3% 크실로스 및 약 1% 아라비노스를 포함하는 5% 정도이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추출/활성 주제의 글루코스 또는 당 분획이 필수적으로 이당류, 오당류 및 올리고당류의 형태인 글루코스, 크실로스 및 아라비노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중합화 등급 탄화수소의 비율 (%)
단당류 1 5
이당류 2 25
올리고당 3 8.5
올리고당 4 4
올리고당 5 19
올리고당 6 7
올리고당 및 다당류 최소한 7 27.5
실시예 2 - 아디포사이트류에서 α5 인테그린 발현 상에 활성 제제의 조절적 효과
3T3-F442A 프리아디포사이트가 피브로넥틴이 점착과 세포 증식을 증진하기 위해 수행되어 진 슬라이드 상에서 배양되었다(Kuwada SK et al ., Mol Biol Cell . 2000 Jul ; 11(7):2485-96; Sastry SK et al ., J Cell Biol . 1999 Mar 22;144(6):1295-309).
α5 인테그린의 발현은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수성 호밀 추출물로 처리된 3T3-F442A 프리아디포사이트 상에 이뮤노플루오르센스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다양한 라벨링이 공초점 현미경으로 시각화되어 지고, 그런 다음 세포 표면에 α5 인테그린의 존재에 상응하여 형광성이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량되어 진다.
재료 및 방법
1 - 시약
- Dulbecco's modified Eagle's 최소 필수 배지(DMEM) + 4.5g/l의 글루코스: INVITROGEN
- 송아지 혈청 (CS): BIOWEST
- PBS (DPBS +CaCl2 + Mgcl2 GIBCO 14040-091)
- BSA: 소 혈청 알부민 SIGMA
- 10% 포르말린, 4%의 포름알데히드의 용액 (SIGMA)
- 항-5-인테그린 항체 (SANTA CRUZ BIOTECHNOLOGY)
- 알렉사 플로오르(Alexa fluor) 546에 연결된 염소 항-래빗 항체(INVitrogen, Molecular Probes)
- SYTOXGREEN: (핵산 염색, DMSO 내에 5 mM 저장 용액, Molecular Probes). 최종 희석 1/20000, 즉, 제 이차 항체를 제조하기 위해 제 일차 희석으로 PAB 내에서 1/100th로, 그런 다음 용액으로 1/200th로 희석.
- 피브로넥틴으로 도포된 슬라이드: BIOCOAT CELLWARE, HUMAN FIBRONECTIN 4 WELLS (FALCON).
2 - 세포 배양
휴지 상태에서 대량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축적하는 클론이 완성된 마우스 섬유아세포 라인 3T3으로부터 분리되어 졌다. 이들 뮤어라인 프리아디포사이트(3T3-F442A) (Green H. and Kehinde O. Cell . 1976;7(1):105-13)는 복제되고 분화되어, 성숙 아디포사이트의 분화된 기능의 형상학적 및 생화학적 표현형의 특징을 제공한다. 이들이 대수 성장기에 있을 때, 이들은 신장된 형상을 갖는 섬유아세포 외관을 가지고 그리고 지지체에 강하게 점착한다.
3T3-F442A 프리아디포사이트는 피브로넥틴으로, 1ml의 배지 내에서 웰 당 2 x 103 세포의 비율로 도포된 4-웰 랩텍(Labtek) 슬라이드 상에 접종되어 지고, 그리고 공기-CO2 (95-5%)의 대기 하에서 37℃에서 인큐베이터에 위치되어 진다. 세포는 10% 송아지 혈청(CS)으로 보충된 DMEM 배지(4.50 g/l 글루코스)에서 48시간 동안 배양되어 지고, 그런 다음 이 동일한 배지 내에서 활성 제제로 처리되어 진다.
3 - 처리
세포는 24시간 동안 웰에서 처리되어 진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호밀 추출물이 배양 배지 내에서 고형분의 중량으로 0.05%로 희석되어 시험되어 진다.
4 - α5 인테그린 이뮤노라벨링( immunolabeling )
처리의 종단에, 세포는 칼슘 및 마그네슘을 갖는 PBS 내에서 린스되어 지고, 그런 다음 포르말린 내에서 수세되고 그리고 대기 온도에서 20분 동안 포르말린에 고정되어 진다. 세포는 그런 다음 PBS-BSA (PAB) 3% (첨부 I 참고)으로 린스되어 지고 그리고 1시간 동안 PAB 3%의 용액과 접촉되어 진다. 슬라이드는 건조되어 지고 그런 다음 PAB 3% 내에서, 1/50th로 희석된 α5 인테그린에 대향한 항체로, 대기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트되어 진다. 각각 15분 동안 이회 린스하고, 그리고 각각 15분 동안 PAB 내에서 이회 수세한 후, 슬라이드는 PAB 내에서 1/200th로 희석된 알렉사 플루오르 546에 결합된 항-래빗 항체로 45분 동안 인큐베이트되어 진다. 세포 핵은 사이톡스그린(Sytoxgreen)(상기 용액에서 1/200th로 희석됨)으로 염색되어 진다. 각각 15분 동안 이회 린스하고, 그리고 각각 15분 동안 PAB 내에서 이회 수세한 후, 슬라이드는 건조되어 지고 그리고 슬라이드와 커버 슬립 사이에 장착되어 진다.
관찰은 공초점 현미경(BIORAD MRC 1024)으로 되고 그리고 배양 배지의 10개의 다른 영역 상에 10개의 이미지의 승인이 대조군 및 처리된 샘플에 대해 레이저샤프 2000 소프트웨어(LaserSharp 2000 software; BIORAD)의 수단에 의해 수행되었다. 10개의 이미지 중에서 랜덤하게 취해진 네 개의 이미지가 도 1(비처리된 대조군) 그리고 도 2(본 발명의 추출물로 처리)에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형광성(α5-인테그린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레드, 그리고 핵을 염색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린)이 분석되어 지고 그리고 라벨링이 다음의 단계에 따라 LEICA QWIN V3 소프트웨어의 수단에 의해 정량되었다:
- 단계 1: 원래 사진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이미지는 α5-인테그린 라벨링을 레드로 그리고 세포 핵의 라벨링을 그린으로 나타냄;
- 단계 2: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가 α5-인테그린 라벨링에 대해 양성적인 화소를 검지한다. 이 측정은 각 세포에 존재하는 α5-인테그린의 양에 상응하는, 검출된 레드 화소의 수 상에서 수행되어 진다;
- 단계 3: 소프트웨어가 세포 핵에 상응하는 그린 화소를 검출한다. 이 측정은 대상물의 수 상에서 수행되어 진다;
- 단계 4: 측정 영역은 첨부된 도 1 또는 2에 나타난 전체 현미경의 분야로 구성되어 진다.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호밀 추출물의 작용이 고형분의 중량으로 0.05%에서 시혐되어, α5-인테그린 라벨링의 강도 상에서 평가되었다. 프리아디포사이트 내에서 α5-인테그린의 전체 라벨링이 평가되고, 상기 라벨링은 연속적으로 평가 영역에서 계산된 핵의 수에 대해 표준화되어 졌다.
결과:
평가 후 결과는 아래의 표에 나타냈다.
처리 알파 5 라벨링 알파 5 라벨링/핵의 수
비처리된 대조군(NTC) 3256 (+/- 1308) 10.38 (+/-3.53)
0.05% 호밀 추출물 14877 (+/- 4065) S 52.00 (+/- 11.84) S
상기 S 는 대조군과의 유의성 차이를 나타냄(p≤0.05의 값).
결론:
공초점 현미경 상에 취해진 이미지는 호밀 추출물로 세포의 처리 후 보다 강력하게 되는 반점이 있는 표면 라벨링을 밝힌다. 외관의 변화, 형광성의 배열은 처리로 보다 많은 섬유성 구조로 대체되어 지도록 변화되어 진다.
정량화는 비처리된 대조 세포와 호밀 추출물의 희석 용액으로 처리된 세포와의 사이에 대략적으로 80%의 형광성에 있어서의 증가를 나타낸다.
아노바(ANOVA) 통계적 테스트는 비처리된 대조군과 호밀 추출물로 처리된 세포와의 사이에 α5-인테그린의 강도 상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호밀 추출물의 존재에서 배양된 프리아디포사이트는 보다 많은 α5-인테그린을 발현하여, 비-아디포사이트 상태에서 세포를 유지하는 이들의 능력을 강화한다: 처리 후, 세포는 세포 분화로 이들의 도입에 보다 덜 우호적인 조건을 누린다.
실시예 3 -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
추출물이 고형분의 중량으로 대략적으로 0.05%로 희석되어 진 수성 용액의 형태로, 호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바디 크림이 제조되어 진다.
화장품 조성물은 어떻게 제조하는가 하는 것이 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것과 같은 유중수(oil-in-water)이다(최종 조성물에 대해 중량의 백분율로 표시).
%
호밀 추출물 0.1
테프로시아 펄푸레아(Tephrosia purpurea) 종자 추출물 1
크림에 대한 부형제 잔량 100
이 조성물은, 희망하는 슬리밍 효과가 얻어질 때까지, 이들의 사용을 요하는 신체의 영역에 2 내지 3주 동안 매일 적용되어 진다.

Claims (19)

  1. 극성 용매 호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국소 적용용 α-5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진하는 슬리밍 제제로, 여기서 상기 호밀 추출물은 추출물을 구성하는 고형물에 대해 표현된 백분율로, 적어도 90중량%의 총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은 호밀의 전부 또는 일부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은 크실란 또는 아라비노크실란을 포함하는 사카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은 호밀의 줄기나 잎, 씨앗, 깍지 또는 겨에 함유된 섬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호밀 플레이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호밀 분획으로부터 선택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 추출물은 호밀 플레이크의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는 물, C1-C4 알코올, C2 내지 C6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2 내지 C6 글리콜은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이거나 또는 적어도 50% v/v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알코올성 또는 수성-글리콜성 용액의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1-C4 알코올은 에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 추출물은 글루코스, 크실로스, 크실란 또는 아라비노크실란을 포함하는 사카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제제.
  12. 삭제
  13. 삭제
  14. 슬리밍 제제의 하나로서, 청구항 1 내지 4, 및 6 내지 11 중의 어느 한 항에 한정된 것과 같은 호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국소 적용을 위한 슬리밍 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적용 및 슬리밍용 화장품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 추출물의 농도는 화장품 조성물의 중량 대비 추출물의 건조 중량이 0.0001 내지 1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밀 추출물의 농도는 화장품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추출물의 건조 중량이 0.01 내지 0.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질형성, 지질분해 또는 지질 저장 상에 작용을 통하여, 세포질 내에서 cAMP 준위 상에 작용함에 의해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것, 조직 안으로 물의 침투와 같이 셀룰라이트의 발현을 하는 인자에 작용하는 것과 그리고 세포질 외의 매트릭스를 보호함에 의해 조직 견고성을 보전하는 작용을 하고 재생효과를 가지는 것들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료, 색조 제제, 폴리머, 표면 활성제제, 유동화제, 향료, 전해질, pH 조정제, 항산화제 및 보존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럼, 로션, 에멀젼, 하이드로겔, 스틱 또는 패치의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00053823A 2009-06-10 2010-06-08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 KR101856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3838A FR2946529B1 (fr) 2009-06-10 2009-06-10 Utilisation d'un extrait de cereale, en tant qu'agent actif amincissant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amincissante
FR0953838 2009-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914A KR20100132914A (ko) 2010-12-20
KR101856207B1 true KR101856207B1 (ko) 2018-06-25

Family

ID=4157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823A KR101856207B1 (ko) 2009-06-10 2010-06-08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0637B2 (ko)
JP (1) JP6216982B2 (ko)
KR (1) KR101856207B1 (ko)
DE (1) DE102010017298A1 (ko)
FR (1) FR2946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6097B2 (ja) * 2015-03-30 2020-05-2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タルミ改善剤のスクリーニング法
CN106691904A (zh) * 2015-08-24 2017-05-24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US10619397B2 (en) 2015-09-14 2020-04-14 Ryt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in roll-up doors
US10086035B2 (en) 2016-02-04 2018-10-02 ALASTIN Skincar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vasive and non-invasive procedural skincare
CA3071645A1 (en) 2017-08-03 2019-02-07 ALASTIN Skincar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skin laxity and body contour
US11103455B2 (en) 2018-08-02 2021-08-31 ALASTIN Skincare, Inc. Liposom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10302119A (zh) * 2019-08-15 2019-10-08 杭州千岛湖蓝色天使实业有限公司 一种纤体瘦身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516A1 (fr) 1989-08-17 1991-03-07 Lvmh Recherche Composition contenant un extrait de coleus pour la pigmentation de la peau
EP0711141B1 (fr) 1993-07-28 1997-06-11 Parfums Christian Dior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contenant un extrait de tephrosia, en particulier tephrosia purpurea
WO2007128939A2 (fr) * 2006-05-05 2007-11-15 L'oreal Association d'un agent ou dispositif tenseur et d'un compose saccharidiqu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143B2 (ja) * 1996-04-23 2003-10-20 日成興産株式会社 肥満防止食品及びその製造法
EP0841895B1 (en) * 1996-05-31 2003-04-09 Dos Santos Mota, Joao Carlos Slimming cream based on plants
JP2829387B2 (ja) * 1996-09-13 1998-11-25 農林水産省四国農業試験場長 脂肪細胞における脂肪分解促進用組成物
JP4044982B2 (ja) * 1996-12-20 2008-02-06 花王株式会社 むくみ改善剤及び痩身剤
JPH10203990A (ja) * 1997-01-24 1998-08-04 Nagase & Co Ltd 抗肥満効果を有する組成物
FR2779646B1 (fr) * 1998-06-15 2000-09-01 Epi France Extrait vegetal de cereales a base de lipides polaires et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tel extrait vegetal
JP4052750B2 (ja) * 1998-12-16 2008-02-27 花王株式会社 むくみ改善剤
FR2795643B1 (fr) * 1999-07-02 2004-06-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raffermissante comprenant au moins un hydroxystilbene en association avec de l'acide ascorbique
JP4182183B2 (ja) * 1999-08-24 2008-11-19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痩身用皮膚化粧料
JP2002275078A (ja) * 2001-01-11 2002-09-25 Kanebo Ltd 脂肪分解促進剤
EP1262167A1 (de) * 2001-06-01 2002-12-04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 Extrakt von keimenden Pflanzen
FR2836630B1 (fr) * 2002-03-01 2004-07-09 Lvmh Rech Utilisation cosmetique de la phytosphingosine comme agent amincissant et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de la phytosphingosine
FR2851460B1 (fr) * 2003-02-21 2007-05-11 Seppic Sa Utilisation de n-lauroyl aminoacides comme actif cosmetique et pharmaceutique amincissant
FR2855057B1 (fr) * 2003-05-20 2006-07-14 Sederma Sa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amincissante
JP4846990B2 (ja) * 2003-08-06 2011-12-28 株式会社テラ・ブレインズ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
US7524877B2 (en) * 2003-11-20 2009-04-28 Seroctin Research & Technology, Inc. Compounds for use in weight loss and appetite suppression in humans
JP2005247695A (ja) * 2004-03-01 2005-09-15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脂肪細胞分化抑制剤
FR2893504B1 (fr) * 2005-11-18 2009-05-15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 Procede d'obtention d'un principe actif exhausteur de la resistance mecanique cutanee, principe actif et compositions
JP2007182395A (ja) * 2006-01-05 2007-07-19 Nisshin Pharma Inc 脂肪低下組成物
FR2912313B1 (fr) * 2007-02-13 2012-07-06 Rocher Yves Biolog Vegetale Composition d'extrait de ble et d'esculine et utilisation en cosmetique.
WO2009031603A1 (ja) * 2007-09-04 2009-03-12 Nisshin Pharma Inc. 脂肪吸収抑制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516A1 (fr) 1989-08-17 1991-03-07 Lvmh Recherche Composition contenant un extrait de coleus pour la pigmentation de la peau
EP0486595B1 (fr) 1989-08-17 1995-02-08 Lvmh Recherche Utilisation d'un extrait de coleus pour la pigmentation de la peau
EP0711141B1 (fr) 1993-07-28 1997-06-11 Parfums Christian Dior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contenant un extrait de tephrosia, en particulier tephrosia purpurea
WO2007128939A2 (fr) * 2006-05-05 2007-11-15 L'oreal Association d'un agent ou dispositif tenseur et d'un compose saccharid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85431A (ja) 2010-12-24
FR2946529A1 (fr) 2010-12-17
JP6216982B2 (ja) 2017-10-25
KR20100132914A (ko) 2010-12-20
FR2946529B1 (fr) 2011-09-09
US20100316745A1 (en) 2010-12-16
DE102010017298A1 (de) 2011-02-24
US9480637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207B1 (ko) 슬리밍 화장품 조성물에서 슬리밍 활성 제제로서 시리얼 추출물의 용도
CN108699519A (zh) 干细胞衍生的含有大量生长因子的外来体
CN105722974B (zh) 全能干细胞的诱导方法、及用该方法制备的全能干细胞
EP2474555A1 (en) Wnt10-derived peptide and use thereof
CN109152727B (zh) 可可豆的肽和糖水解产物、含有其的化妆品组合物以及该化妆品组合物的化妆品用途
CN112312889A (zh) 包含蔷薇果实的水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JPH11501325A (ja) 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合成促進のための、特に化粧品におけるエリオボトリャ・ジャポニカ抽出物の使用
KR20190010795A (ko) 신규한 하이알폴 매트릭스 혼합물이 함유된 피부 보습 강화,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681230B2 (ja) フィトスフィンゴシンのスリミング剤としての化粧的使用、及び、フィトスフィンゴシンを含む化粧組成物
KR101742029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발아현미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76334B1 (ko)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TW201105356A (en) Agent for preventing reduction in production of collagen, an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and cosmetic each comprising same
KR20140042587A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SK280572B6 (sk) Glykoproteíny bohaté na hydroxyprolín, kozmetické
KR20140051763A (ko)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1948238B1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JP7289833B2 (ja) 植物ゾウゲ抽出物(ファイテレファス属種(Phytelephas sp.))の化粧的使用
KR102397918B1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740964B (zh) 促進脂肪細胞分化之用途及篩選促進脂肪細胞分化物質之方法
KR101261731B1 (ko) 콜라겐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1009378A1 (fr) Utilisations d'extraits de la plante rhoeo discolor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KR20140045213A (ko) 레바우디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9441B1 (ko)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지방세포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N112888483A (zh) 美肤基因表达促进剂
KR20240022246A (ko) 식물성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상처치유, 항산화, 항염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