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860B1 -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860B1
KR101855860B1 KR1020170056427A KR20170056427A KR101855860B1 KR 101855860 B1 KR101855860 B1 KR 101855860B1 KR 1020170056427 A KR1020170056427 A KR 1020170056427A KR 20170056427 A KR20170056427 A KR 20170056427A KR 101855860 B1 KR101855860 B1 KR 10185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oss
groove
protrus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임석
Original Assignee
김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혜 filed Critical 김다혜
Priority to KR102017005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860B1/ko
Priority to EP17880778.0A priority patent/EP3479957A4/en
Priority to US16/072,068 priority patent/US20210205944A1/en
Priority to JP2018562499A priority patent/JP6625245B2/ja
Priority to PCT/KR2017/013518 priority patent/WO2018110856A1/ko
Priority to CN201780077915.4A priority patent/CN11008783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860B1/ko
Priority to PH12019501381A priority patent/PH120195013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02K7/145Hand-held machin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회전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에 연결되고, 피회전부재를 회전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동력발생부와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상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된 고정돌부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돌출된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부; 안착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잠금작동되며 상기 피회전부재와 연결되는 록킹부; 록킹부와 몸체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연마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시 연마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장치{POWER ROTATION APPARATUS}
개시되는 내용은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디스크와 같은 연동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면서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터축과 연결된 각종 연동부재를 회전시켜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회전장치의 일 예로서, 핸드 그라인더가 있다. 핸드 그라인더는 모터구동이나 콤프레셔의 에어압에 의해 고속으로 작동하는 회전축에 연마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목재(木材)나 석재(石材) 혹은 각종 금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내거나 미처 가공이 덜된 부분, 모서리 등을 갈아내어 마무리 작업을 행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공구의 일종이다.
연마재는 가공 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제작되어 연마홀더에 일체화된다.
연마홀더를 그라인더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연마재가 장착된 홀더를 핸드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콜렛(collet)을 이용하여 숫돌축을 장착하거나 혹은 척킹장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 종래 기술은 구조자체가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당히 높다.
문헌 1 :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990-0007807호. 문헌 2 :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016720호.
개시되는 내용은 모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연마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시 연마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에 연결되고, 피회전부재를 회전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동력발생부와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상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된 고정돌부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돌출된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부; 안착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잠금작동되며 상기 피회전부재와 연결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와 몸체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연마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시 연마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정면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서 '제1록킹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서 '제1록킹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상기 도 6a에 대응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b는 상기 도 6b에 대응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결합 및 해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9의 '록킹부'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상기 도 9의 '록킹부'에 대한 저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5에 대한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정면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서 '제1록킹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서 '제1록킹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상기 도 6a에 대응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b는 상기 도 6b에 대응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결합 및 해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9의 '록킹부'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상기 도 9의 '록킹부'에 대한 저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5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S)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측에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S)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안착부(3)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3)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고정돌부(32)가 형성된 몸체부(2); 상기 안착부(3)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잠금작동되며, 상기 피회전부재(200)와 연결되는 록킹부(6); 상기 록킹부(6)와 몸체부(2)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S)가 끼움결합되는 수용홈(H)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회전부재(200)는, 동력발생부(1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일 예로는 핸드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이다.
물론 피회전부재(200)는 연마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몸체부(2)는 일측에는 동력발생부(100)의 샤프트(S)가 끼워지는 수용홈(H)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상의 안착부(3)가 형성된다.
안착부(3)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어 대략 호형으로 형성된 고정돌부(32)가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3)의 상면에는 중앙에 원기둥형상의 보스(36)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36)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38)가 형성된다.
결합부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2)에 수용홈(H)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H)에 동력발생부의 샤프트(S)가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샤프트(S)는 수용홈(H)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강제압입에 의해 억지끼움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의 보스(36)의 상부로부터 관통되는 관통로(39)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39)에 삽입되는 볼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500)는 머리가 관통로(39)의 상단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하부의 나사산이 샤프트(S)의 중심부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수용홈(H)에 삽입된 샤프트(S)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실시예]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는, 샤프트(S)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S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몸체부(2)의 수용홈(H) 내주면에 나사산(H3)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돌부(32) 및 보스(36)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또는 둘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는 안착부(3)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잠금작동되며 상기 피회전부재(200)와 결합된다.
록킹부(6)는 안착부(3)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착부(3)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록킹부(6)의 외주연에는 안착부(3)의 고정홈부(34)에 삽입되도록 끼움부(64)가 다수 형성된다.
끼움부(64)와 끼움부(64) 사이의 요입된 부위(65)에 안착부(3)의 고정돌부(32)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록킹부(6)가 안착부(3)에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는 중앙에 상기 몸체부(2)의 보스(36)가 관통하는 관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2)은 보스(36)의 다수의 걸림돌기(38)에 대응하여 걸림돌기홈(622)이 다수 형성된다.
보스(36)의 걸림돌기(38)가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관통공(62)도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록킹부(6)는 탄성지지부(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걸림홈부(7)가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부(7)는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2요홈(71,72)과, 상기 제1,2요홈(71,72)을 연결하며 볼(46)이 롤링되면서 안내되는 로드(7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마치 아령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한편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안착부(3)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6)를 가압하면서 소정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4)가 포함된다.
상기 안착부(3)의 상면에는 다수의 매립공(31)이 형성되고, 각 매립공(31)에 탄성지지부(4)가 결합된다.
탄성지지부(4)는 매립공(31)에 삽입되는 탄성체(44)와, 상기 탄성체(44)에 지지되며 록킹부(6)의 저면에 지지되는 볼(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볼플런져(ball plunger)가 적당하다.
탄성체(44)는 코일스프링이며 매립공(31)에 삽입되는 케이스(42)의 내부에 삽입되고, 케이스(42)의 전단부에 볼(46)이 삽입되며 볼(46)은 일부분만 노출되도록 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스(42)의 개구부를 내측으로 컬링가공하여 오므려서 형성된다.
상술한 탄성지지부(4)는 몸체부(2)의 안착부(3)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걸림홈부(7)는 록킹부(6)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반대의 형상으로도 사용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탄성지지부(4)가 록킹부(6)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걸림홈부(7)가 안착부(3)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상기 록킹부(6)의 끼움부(64)와 안착부(3)의 고정돌부(32)를 결합시키는 제1록킹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1록킹수단은, 록킹부(6)의 끼움부(64)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단턱(642)과, 안착부(3)의 고정돌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382)으로 구성되어, 록킹단턱(642)이 삽입홈(382)에 결합되어 체결상태가 된다.
또한 안착부(3)의 고정돌부(32)의 일측에 수직한 제1차단면(325)이 형성되고, 록킹부(6)의 끼움부(64)의 타측에는 수직하게 제2차단면(645)이 형성된다.
따라서 역회전이 발생되면 제1차단면(325)과 제2차단면(645)이 충돌함으로써 역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상기 보스(36)의 걸림돌기(38)와 록킹부(6)의 관통공(62)을 결합시키는 제2록킹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2록킹수단은 록킹부(6)의 상면에 형성되며 걸림돌기홈(622)과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걸림단턱(624)과, 상기 걸림단턱(624)과 걸림돌기홈(622)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단부(626)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36)의 걸림돌기(38)가 안착단부(626)에 결합되어 체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2)는 결합축(22)이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100)에 연결된다.
록킹부(6)는 안착부(3)에 암수 결합방식으로 끼움부(64)가 고정홈부(34)에 삽입되도록 하여 중첩되게 결합된다.
이후 록킹부(6)의 전면에는 연마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200)가 결합된다.
동력발생부(100)의 회전력이 발생되면 안착부(3)가 일순간 회전되고, 록킹단턱(642)이 삽입홈(382)에 끼워짐으로써 일체가 되고, 동시에 걸림돌기(38)가 안착단부(626)에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탄성지지부(4)의 볼(46)이 제2요홈(72)에 있다가 제1요홈(71)으로 이동하여 고정력을 갖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록킹부(6)는 몸체부(2)의 안착부(3)와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어 고속회전하게 되고, 흔들림이나 유격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피회전부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A3)는, 피회전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동력발생부에 연결되는 몸체부(2a); 몸체부(2a)에 결합되며 피회전부재(200)가 장착되는 록킹부(6a); 및 상기 록킹부(6a)와 몸체부(2a)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2a)는 일측에는 동력발생부(100)와 결합되는 결합축(2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상의 안착부(3a)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a)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돌출되어 대략 호형으로 형성된 고정돌부(32a)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고정돌부(32a)는 일측에 제1경사면(33a)이 형성되고, 고정돌부(32a)에 인접되어 홈(39a)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33a)은 고정돌부(32a)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깍여져서 형성됨으로써 고정돌부(32a)의 하단이 상단보다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상기 몸체부(2a)의 일측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홈(39a)에 삽입되는 돌출부(740)가 상면에 형성된 홀더(720)로 구성되는 고정부재(700)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재(700)를 탄성지지하도록 샤프트(S)에 결합된 스프링(800)이 포함된다.
따라서 고정부재(700)를 하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돌출부(740)가 홈(39a)으로 삽입된다.
홀더(72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링 형상의 원형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4개의 돌출부(740)가 등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720)는 단일의 링 형상의 판재일 수 있지만 분할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홀더(720) 각각은 상면에 돌출부(740)가 각기 형성되고, 각 분할된 홀더(720)는 개별적으로 스프링(800)에 탄성지지되어 승강작동이 이루어질수도 있다.
또한 안착부(3a)의 상면에는 중앙에 원기둥형상의 보스(3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36a)의 단부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38a)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돌부(32a) 및 보스(36a)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또는 둘다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록킹부(6a)는 안착부(3a)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잠금작동되며 상기 피회전부재(200)와 연결된다.
록킹부(6a)는 안착부(3a)의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착부(3a)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록킹부(6a)의 외주연에는 안착부(3a)의 고정홈부(34)에 삽입되도록 끼움부(64a)가 다수 형성된다.
끼움부(64a)와 끼움부(64a) 사이의 요입된 부위에 안착부(3a)의 고정돌부(32a)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록킹부(6a)가 안착부(3a)에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700)를 하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돌출부(740)가 홈(39a)으로 삽입되고, 끼움부(64a)와 끼움부(64a) 사이의 빈 공간을 돌출부(740)가 채움으로써 록킹부(6a)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록킹부(6a)는 끼움부(64a)의 일측에는 제2경사면(641a)이 형성되고, 제2경사면(641a)에 록킹단턱(642a)이 형성된다.
록킹부(6a)는 중심에는 상기 몸체부(2a)의 보스(36a)가 관통하는 관통공(62a)이 형성되고, 관통공(62a)과 통하도록 일측에 관체(66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2a) 및 관체(66a)의 내주면에는 보스(36a)의 다수의 걸림돌기(38a)에 대응하여 걸림돌기홈(622a)이 다수 형성된다.
보스(36a)의 걸림돌기(38a)가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관통공(62a)의 내주연에 걸림돌기홈(622a)가 4개로 배열되어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걸림돌기홈(622a)들 사이에 돌출부(629a)가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록킹부(6a)는 탄성지지부(4a)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걸림홈부(7a)가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부(7a)는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2요홈(71a,72a)과, 상기 제1,2요홈(71a,72a)을 연결하며 볼(46)이 롤링되면서 안내되는 로드(7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마치 아령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부(7a)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안착부(3a)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6a)를 가압하면서 소정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4a)가 포함된다.
안착부(3a)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매립공(31)에 탄성지지부(4a)가 결합되며, 탄성지지부(4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립공(31)에 삽입되는 탄성체(44)와, 상기 탄성체(44)에 지지되며 록킹부(6a)의 저면에 지지되는 볼(46)을 포함한다.
탄성체(44)는 코일스프링이며 매립공(31)에 삽입되는 케이스(42)의 내부에 삽입되고, 케이스(42)의 전단부에 볼(46)이 삽입되며 볼(46)은 일부분만 노출되도록 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스(42)의 개구부를 내측으로 컬링가공하여 오므려서 형성된다.
상술한 탄성지지부(4a)는 몸체부(2a)의 안착부(3a)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걸림홈부(7a)는 록킹부(6a)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반대의 형상으로도 사용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탄성지지부(4a)가 록킹부(6a)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걸림홈부(7a)가 안착부(3a)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록킹부(6a)의 끼움부(64a)와 안착부(3a)의 고정돌부(32a)를 결합시키는 제1록킹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1록킹수단은, 록킹부(6a)의 끼움부(64a)의 제2경사면(641a)에 형성된 록킹단턱(642a)과, 안착부(3a)의 고정돌부(32a)의 제1경사면(33a)에 형성되는 삽입홈(382a)으로 구성되어, 록킹단턱(642a)이 삽입홈(382)에 결합되어 체결상태가 되고 제1경사면(33a)과 제2경사면(641a)이 밀착됨으로써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3a)의 고정돌부(32a)의 일측에 수직한 제1차단면(325a)이 형성되고, 록킹부(6a)의 끼움부(64a)의 타측에는 수직하게 제2차단면(645a)이 형성된다.
따라서 역회전이 발생되면 제1차단면(325a)과 제2차단면(645a)이 충돌함으로써 역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제4실시예]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3a)의 고정돌부(32a)의 일측에 제1경사면(33a)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제5경사면(329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록킹부(6a)의 끼움부(64a)의 타측에는 제6경사면(64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5경사면(329a)과 제6경사면(646a)이 접촉되며 경사지게 결합됨으로써 빠지지 않는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5경사면(329a)과 제6경사면(646a)이 접촉되었을때 수직의 가상선(t)으로 2등분 되도록 하여 양쪽으로 힘의 균형이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보스(36a)의 걸림돌기(38a)와 록킹부(6a)의 관통공(62a)에 통하는 관체(66a)를 결합시키는 제2록킹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2록킹수단은 록킹부(6a)의 관체(66a)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출부(629a)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629a) 사이에 걸림돌기(38a)가 삽입되는 걸림돌기홈(622a)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돌기(38a)의 일측에 제3경사면(383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관체(66a)의 돌출부(629a)의 일측에 제4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스(36a)의 걸림돌기(38a)가 관체(66a)의 걸림돌기홈(622a)에 삽입되고 돌출부(629a)에 의해 걸림돌기(38a)의 양측면이 지지되어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2a)와 록킹부(6a)를 결합시킨 후 관체(66a)의 외측에 연마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200)가 결합된 다음, 관체(66a)의 노출을 막기 위해 커버(7a)가 결합된다.
커버(7a)는 연마디스크의 전면에 덮이도록 결합되며, 재질은 사포, 부직포, 종이, 양모 등의 연마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7a)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예로서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연마디스크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몸체부 3 : 안착부
4 : 탄성지지부 6 : 록킹부
7 : 걸림홈부 22 : 결합축
32 : 고정돌부 34 : 고정홈부
38 : 걸림돌기 42 : 케이스
44 : 탄성체 46 : 볼
62 : 관통공 64 : 끼움부
71 : 제1요홈 72 : 제2요홈
73 : 로드 100 : 동력발생부
200 : 피회전부재 39a ; 홈
700 ; 고정부재 720 : 홀더
740 : 돌출부 S ; 샤프트
H : 수용홈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측에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다수의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중앙에 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몸체부의 보스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보스의 다수의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걸림돌기홈이 다수 형성되어 잠금작동되며, 상기 피회전부재와 연결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가 결합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샤프트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수용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고정돌부에 인접되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하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면에 형성된 홀더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와 몸체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방지수단은,
    상기 록킹부의 끼움부와 안착부의 고정돌부를 결합시키는 제1록킹수단;
    상기 보스의 걸림돌기와 록킹부의 관통공를 결합시키는 제2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록킹수단은, 록킹부의 끼움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단턱과,
    상기 안착부의 고정돌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되어, 록킹단턱이 삽입홈에 결합되어 체결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제2록킹수단은, 록킹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걸림돌기홈과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걸림단턱과, 상기 걸림단턱과 걸림돌기홈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의 걸림돌기가 안착단부에 결합되어 체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돌부는 일측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돌부에 접촉되는 끼움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의 고정돌부에 제1차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의 끼움부에 제2차단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역회전이 발생되면 제1차단면과 제2차단면이 충돌하여 역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또는 록킹부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면서 소정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안착부 또는 록킹부 중 어느 하나에 매립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지지되며 록킹부의 저면에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록킹부에 형성된 걸림홈부가 포함되고,
    상기 걸림홈부는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2요홈과, 상기 제1,2요홈을 연결하며 볼이 롤링되면서 안내되는 로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의 타측에 제5경사면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록킹부의 끼움부의 타측에는 제6경사면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5경사면과 제6경사면이 접촉되어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관통공과 통하도록 일측에 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는
    내주면에 다수의 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조 사이에 보스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돌기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걸림돌기의 일측에 제3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경사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관체의 돌조의 일측에 제4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에 결합되며 연마부재에 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KR1020170056427A 2016-12-16 2017-05-02 회전장치 KR10185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27A KR101855860B1 (ko) 2017-05-02 2017-05-02 회전장치
EP17880778.0A EP3479957A4 (en) 2016-12-16 2017-11-24 ROTATION DEVICE
US16/072,068 US20210205944A1 (en) 2016-12-16 2017-11-24 Rotating apparatus
JP2018562499A JP6625245B2 (ja) 2016-12-16 2017-11-24 回転装置
PCT/KR2017/013518 WO2018110856A1 (ko) 2016-12-16 2017-11-24 회전장치
CN201780077915.4A CN110087831A (zh) 2016-12-16 2017-11-24 旋转装置
PH12019501381A PH12019501381A1 (en) 2016-12-16 2019-06-17 Rot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27A KR101855860B1 (ko) 2017-05-02 2017-05-02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860B1 true KR101855860B1 (ko) 2018-05-23

Family

ID=6245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27A KR101855860B1 (ko) 2016-12-16 2017-05-02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8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9149A (zh) * 2018-06-27 2018-11-13 盐城市久恒工贸有限公司 一种适用于砂轮机的砂轮安装机构
KR102052555B1 (ko) 2019-02-18 2019-12-05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WO2020009305A1 (ko) * 2018-07-02 2020-01-09 주식회사 미래텍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97424B1 (ko) * 2019-04-08 2020-04-07 김다혜 회전력 전달장치
KR20200048046A (ko) * 2018-10-29 2020-05-08 권정자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20200088090A (ko) * 2019-01-14 2020-07-22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20210124633A (ko) 2020-04-07 2021-10-15 권정자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102441374B1 (ko) 2021-12-02 2022-09-07 (주)삼한기업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20230012733A (ko) 2021-07-16 2023-01-26 (주)삼한기업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52A1 (ko) 2014-11-25 2016-06-02 김창성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탈,부착장치
WO2017047903A1 (ko) 2015-09-18 2017-03-23 이상동 부하에 대한 자동조절 기능이 내장된 버 제거용 툴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52A1 (ko) 2014-11-25 2016-06-02 김창성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탈,부착장치
WO2017047903A1 (ko) 2015-09-18 2017-03-23 이상동 부하에 대한 자동조절 기능이 내장된 버 제거용 툴유닛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9149A (zh) * 2018-06-27 2018-11-13 盐城市久恒工贸有限公司 一种适用于砂轮机的砂轮安装机构
CN108789149B (zh) * 2018-06-27 2024-01-02 盐城市久恒工贸有限公司 一种适用于砂轮机的砂轮安装机构
WO2020009305A1 (ko) * 2018-07-02 2020-01-09 주식회사 미래텍 회전력 전달장치
KR20200048046A (ko) * 2018-10-29 2020-05-08 권정자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102139421B1 (ko) * 2018-10-29 2020-07-29 권정자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102182742B1 (ko) * 2019-01-14 2020-11-24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20200088090A (ko) * 2019-01-14 2020-07-22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52555B1 (ko) 2019-02-18 2019-12-05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97424B1 (ko) * 2019-04-08 2020-04-07 김다혜 회전력 전달장치
WO2020209434A1 (ko) * 2019-04-08 2020-10-15 김다혜 회전력 전달장치
KR20210124633A (ko) 2020-04-07 2021-10-15 권정자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20230012733A (ko) 2021-07-16 2023-01-26 (주)삼한기업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KR102441374B1 (ko) 2021-12-02 2022-09-07 (주)삼한기업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860B1 (ko) 회전장치
JP6625245B2 (ja) 回転装置
KR101799465B1 (ko) 회전장치
KR101483963B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탈,부착장치
US8272924B2 (en) Grinding head for a surface grinding machine
CN108698198B (zh) 手持式研磨机及手持式研磨机的研磨盘的结合方法
US7192339B1 (en) Grinder disc, insert holder and insert assembly
WO2001096067A1 (en) Quick mount attachment for rotary finishing tool
JP4814884B2 (ja) 駆動板及び取外し可能なパッドを有していて、オフサルミックレンズを仕上げる研磨ツール
JPH1199460A (ja) 回転研磨具
JP3378495B2 (ja) 砥石アダプター
KR20200024384A (ko)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200493410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커플러 구조
JP2013535345A (ja) 板係止機構
KR102015080B1 (ko) 회전장치
US20220001515A1 (en) Releasable tool attachment means for power trowels
US6081959A (en) Buffer centering system
KR101949158B1 (ko)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20210083072A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JP3117368U (ja) ハンドグラインダーの研磨ホルダー着脱構造
KR20190035037A (ko) 연마장치
KR102052555B1 (ko)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JP2002192409A (ja) 工具の保持構造
JP7107554B2 (ja) 防塵カバー
WO2011090483A1 (en)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hea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