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037A -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037A
KR20190035037A KR1020170123784A KR20170123784A KR20190035037A KR 20190035037 A KR20190035037 A KR 20190035037A KR 1020170123784 A KR1020170123784 A KR 1020170123784A KR 20170123784 A KR20170123784 A KR 20170123784A KR 20190035037 A KR20190035037 A KR 20190035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mounting
rotary plate
polishing block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868B1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김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권 filed Critical 김용권
Priority to KR102017012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8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6Grinding blocks; their mountings 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6Bushings;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연마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마장치는, 연마공구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부와,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마블럭부와, 연마블럭부가 장착되고, 회전플레이트부에 결합되는 장착부와, 회전플레이트부에 설치되고, 연마블럭부를 장착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연마블럭부가 장착되는 경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를 덮는 장착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Description

연마장치{POL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대상물의 평탄도에 대응할 수 있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연마블럭부의 교체가 용이한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는 금속, 비철금속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소재를 갖는 결합부위나 가공부위 또는 성형 부위의 표면, 소재의 표면에서 돌출된 부위, 성형 및 가공시 발생하는 버(BURR)의 제거, 소재의 표면에 부착 또는 마감된 이물질 또는 마모(손상)된 도장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표면 연마에 사용되는 도구가 연마장치이며, 연마장치는 이용자가 직접 들고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핸드 타입과, 이용자가 보행하면서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보행타입으로 구분된다.
핸들 또는 보행 타입의 연마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마공구와 연마공구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연마 대상물과 연접되어 마찰을 일으켜 실질적인 연마를 수행하는 연마디스크 또는 연마드럼으로 구성된다.
종래 연마장치에서 연마드럼은 연마공구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고, 개별 연마드럼의 교체를 위해서는 연마공구 전체의 해체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165호(2010.01.06 공개, 고안의 명칭: 다이아몬드 연마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연마블럭부를 가압하여 연마장치에서 추출함으로 인해 연마블럭부의 교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연마공구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부;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마블럭부; 상기 연마블럭부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에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블럭부를 상기 장착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블럭부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상기 연마블럭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상기 연마블럭부를 덮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저면에는 상기 연마블럭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의 저면은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 측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부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마블럭부와 접촉되며 상기 안착홈부 상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안착홈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부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와 상기 장착부의 마주보는 각 면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 측이 개구되는 복수 개의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부에 상기 연마블럭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마블럭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걸쳐지는 연마플랜지부; 및 상기 연마플랜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장착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장착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마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연마작업 시 연마블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부에 의해 완화할 수 있어 연마대상물의 평탄도에 대응할 수 있고, 연마블럭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마블럭부가 장착되는 경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장착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연마블럭부를 가압하여 연마블럭부를 안착홈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착홈부의 저면이 경사면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연마블럭부를 가압 시 절개구간을 통과하기 위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마블럭부가 장착홀부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 인하여 연마블럭부의 교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에서 연마블럭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럭부의 탈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에서 연마블럭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장착홀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럭부의 탈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는 회전플레이트부(100), 연마블럭부(200), 장착부(300), 완충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부(100)는 연마공구(도면 미 도시)에 탈착되는 것으로서 연마공구의 출력단과 결합을 위한 공구홀부(101)가 형성된다.
회전플레이트부(100)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마공구는 회전플레이트부(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부(100)에는 안착홈부(110)가 형성된다. 안착홈부(11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가 안착된다.
안착홈부(11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저면에서 내측(도 1 기준) 상측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마블럭부(200)가 안착홈부(110) 상에 안착된다.
이로 인하여 회전플레이트부(100)와 장착부(300)의 결합 시 안착홈부(110) 내 연마블럭부(200)가 배치되고, 회전플레이트부(100) 및 장착부(300)로부터 연마블럭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착홈부(110)는 복수 개의 연마블럭부(20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착홈부(110)의 저면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 측(도 5 기준 우측)으로 갈수록 장착부(300)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안착홈부(110)는 외측으로 갈수록 안착홈부(110)의 저면과 장착부(300)와의 거리가 커지도록 하향(도 5 기준 상향) 경사면을 이룬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연마블럭부(200)를 가압 시 연마블럭부(200)가 우하향(도 5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안착홈부(110) 내 공간이 확보되고, 연마블럭부(200)를 편리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럭부(20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연마블럭부(20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하면(도 1 기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연마면(221)이 연마대상물(도면 미 도시)와 연접된다. 연마블럭부(200)의 연마면(221)에는 연마입자가 구비되고, 연마입자는 다이아몬드팁 등이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럭부(200)는 연마플랜지부(210), 연마본체부(220)를 포함한다. 연마플랜지부(21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와 뒤에 설명할 장착부(300) 사이에 걸쳐지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부(410)와 접촉된다.
연마플랜지부(210)는 연마본체부(220)의 양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연마본체부(220)는 뒤에 설명할 장착홀부(301)를 통해 회전플레이트부(100)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고, 연마본체부(220)의 양 측에 결합되는 연마플랜지부(210)는 안착홈부(110) 내에서 지지플레이트부(410)에 안착되며, 장착부(300)에 걸쳐진다.
이로 인하여 연마블럭부(200)가 회전플레이트부(100), 장착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본체부(220)는 연마플랜지부(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결합홀부를 통과하여 장착부(300)의 외측(도 1 기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마본체부(220)는 상측(도 1 기준)이 개방되는 'ㄷ'자 단면 형상을 가져 중앙부에 칩배출부(223)가 형성된다. 연마블럭부(200)는 일측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연마대상물과 접하는 연마면(221)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부(100)의 회전 방향 측이 낮고, 회전 반대 방향 측이 높게 형성되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회전 시 연마면(221)이 연마대상물에 고르게 접촉될 수 있어 연마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00)는 연마블럭부(200)가 장착되는 것으로, 회전플레이트부(100)에 결합된다. 장착부(3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플레이트부(100)와 장착부(300)에는 상호 일치되는 체결홀부(103, 303)가 형성되고, 체결홀부(103, 303)를 통해 체결부재(50)가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부(100)에 장착부(300)를 고정한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300)와 회전플레이트부(100) 사이에 장착되는 연마블럭부(200)가 회전플레이트부(100), 장착부(3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00)는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를 사이에 두고 회전플레이트부(100)와 마주보며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마블럭부(200)가 장착부(300), 구체적으로 장착홀부(301)에 장착되고 장착부(300)가 회전플레이트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200)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200)를 덮는 장착부(300)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연마플랜지부(210)는 내측 단부로부터 절개구간(t)만큼 외측(도 1 기준 하측)에 노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마블럭부(2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연마블럭부(200)를 회전플레이트부(100) 측(도 7 기준 상측)으로 가압하고, 절개구간(t)만큼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연마블럭부(200)가 안착홈부(1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체결부재(50)를 해제하여 회전플레이트부(100)와 장착부(300)를 분리 해체하지 않고도, 단순한 동작만으로 연마블럭부(200)를 탈거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구간(t)으로 인하여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장착부(300)에 장착되는 연마블럭부(200)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는 원의 직경보다, 연마블럭부(200)를 덮는 장착부(300)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는 원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연마블럭부(200)를 회전플레이트부(100) 측, 구체적으로 안착홈부(110)의 저면 측(도 7 기준 상측)으로 가압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이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 측을 향해 연마블럭부(200)를 탈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체결부재(50)를 풀어 회전플레이트부(100)와 장착부(300)를 분리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연마블럭부(200)를 가압하는 단순한 행위를 통해 연마블럭부(200)를 탈착할 수 있어 연마블럭부(200)의 교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착부(300)에는 중심 방향이 개구되는 복수 개의 장착홀부(30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장착홀부(301)에 연마블럭부(200)가 장착부(30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장착홀부(301)는 장착부(300)의 내경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어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장착홀부(301)를 통해 연마블럭부(200)의 연마면(221)이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장착부(300) 상에 절개되어 형성된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가 장착홀부(301)에 형성되는 개구 부위를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연마블럭부(200)의 슬라이딩 삽입에 의해 연마본체부(220)의 양측에 결합되는 연마플랜지부(210)가 장착홀부(301)의 내측면(도 1 기준 상면)에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이에 더하여 연마작업 시 연마블럭부(200)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장착홀부(301)의 개구 부위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40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마블럭부(200)를 장착부(300) 측(도 1 기준 하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완충부(400)는 지지플레이트부(410), 탄성부재(420), 스토퍼부(430)를 포함한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부(410)는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와 접촉되는 것으로, 안착홈부(110) 상에 형성된다.
탄성부재(420)는 지지플레이트부(410)와 안착홈부(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부(410)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탄성부재(420)는 코일 스프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20)가 안착홈부(110) 상에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부(410)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짐으로 인해 지지플레이트부(410)를 장착부(300) 측(도 4 기준 하측)으로 가압하고, 연마블럭부(200)가 장착부(3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착홈부(110)와 지지플레이트부(410)의 마주하는 각 면에는 탄성부재(420)가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수용홈부(111, 411)가 형성된다. 수용홈부(111, 411)는 안착홈부(110)와 지지플레이트부(41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탄성부재(420)는 복수 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착홈부(110)의 저면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 측으로 갈수록 장착부(300)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탄성부재(420)의 길이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증가함으로 인하여 지지플레이트부(410)가 장착부(300)와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플레이트부(4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430)는 지지플레이트부(410)를 관통하는 것으로 회전플레이트부(100), 구체적으로 안착홈부(110)에 결합된다.
스토퍼부(430)는 안착홈부(110)에 나사 체결되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스토퍼부(430)가 안착홈부(110)에 고정 결합됨으로 인하여 지지플레이트부(410)가 안착홈부(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연마블럭부(200), 지지플레이트부(410)를 가압하여 연마블럭부(200)를 절개구간(t)을 통해 탈거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부(410)가 함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안착홈부(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용홈부(111)에 탄성부재(420)를 수용시키고, 지지플레이트부(410)를 안착홈부(110)에 안착시킨 후 스토퍼부(430)로 고정시킨다.
스토퍼부(430)는 지지플레이트부(410)가 안착홈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회전플레이트부(100)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부(410)의 승강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부(410)는 탄성부재(4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데 스토퍼부(430)의 높이만큼 지지플레이트부(410)는 안착홈부(110) 내에서 승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부(100)에 장착부(300)가 고정된다. 장착부(300)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체결홀부(103, 303)를 일치시킨 후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킨다. 이때 장착부(300)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마주보는 각 면은 밀착된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300)와 회전플레이트부(100) 사이로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부(300)에 형성되는 장착홀부(301)에 연마블럭부(200)를 결합한다. 연마블럭부(200)는 연마플랜지부(210), 연마본체부(220)를 포함하고, 연마블럭부(200)가 장착홀부(301)로 슬라이딩 삽입됨에 따라 연마플랜지부(210)가 장착홀부(30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마플랜지부(210)는 안착홈부(110) 내부로 수용되어 연마작업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연마블럭부(200)의 이탈이 방지되고,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착홈부(110)에 연마플랜지부(210)가 수용된 상태이므로 단차에 의해 연마블럭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마블럭부(200)가 장착홀부(301)에 장착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며 이러한 회전플레이트부(100)는 연마공구에 장착되어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마블럭부(200)는 완충부(4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고르지 않은 연마대상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연마플랜지부(210)는 지지플레이트부(410)와 접한 상태이고, 지지플레이트부(410)는 탄성부재(4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연마블럭부(200)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연마블럭부(200) 및 연마면(221)에 융착되는 연마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5, 도 7을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200)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에서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를 덮는 장착부(300)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절개구간(t)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연마블럭부(200)를 가압하면 연마블럭부(200)가 안착홈부(110)의 저면 측으로 탄성부재(420)를 가압하며 이동하고 경사가 형성되면 연마블럭부(200)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축을 향해 절개구간(t) 사이로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300)가 연마블럭부(200), 구체적으로 연마플랜지부(210)를 전 구간에 걸쳐 덮는 것에 비해 절개구간(t)을 통해 안착홈부(110)에서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부재(50)를 풀어 회전플레이트부(100)와 장착부(300)를 해체하지 않고도, 단순한 동작으로 연마블럭부(200)를 안착홈부(110)에서 탈거시키고, 새로운 연마블럭부(200)로 교체할 수 있어 교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안착홈부(110)의 저면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중심 측으로 갈수록 장착부(300)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마블럭부(200)의 각도가 틀어지고 안착홈부(110)로부터 절개구간(t)을 통과하여 탈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연마장치 t: 절개구간
50: 체결부재 100: 회전플레이트부
101: 공구홀부 103, 303: 체결홀부
110: 안착홈부 111, 411: 수용홈부
200: 연마블럭부 210: 연마플랜지부
220: 연마본체부 221: 연마면
223: 칩배출부 300: 장착부
301: 장착홀부 400: 완충부
410: 지지플레이트부 420: 탄성부재
430: 스토퍼부

Claims (7)

  1. 연마공구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부;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마블럭부;
    상기 연마블럭부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에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블럭부를 상기 장착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블럭부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상기 연마블럭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에서 상기 연마블럭부를 덮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저면에는 상기 연마블럭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의 저면은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 측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부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마블럭부와 접촉되며 상기 안착홈부 상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안착홈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부 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와 상기 장착부의 마주보는 각 면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중심 측이 개구되는 복수 개의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부에 상기 연마블럭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블럭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걸쳐지는 연마플랜지부; 및
    상기 연마플랜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장착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장착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마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1020170123784A 2017-09-25 2017-09-25 연마장치 KR10221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84A KR102216868B1 (ko) 2017-09-25 2017-09-25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84A KR102216868B1 (ko) 2017-09-25 2017-09-25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37A true KR20190035037A (ko) 2019-04-03
KR102216868B1 KR102216868B1 (ko) 2021-02-17

Family

ID=6616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84A KR102216868B1 (ko) 2017-09-25 2017-09-25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1890A (zh) * 2020-03-17 2020-07-28 广州金谷钻石工具有限公司 一种陶瓷加工用的金属结合剂弹性磨块
KR20220020009A (ko) * 2020-08-11 2022-02-18 김용권 연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646A (ko) * 2003-06-11 2006-03-06 에이치티씨 스웨덴 에이비 연마 요소 및 연마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JP2007210060A (ja) * 2006-02-08 2007-08-23 Hiroyasu Sekiguchi 表層剥がし用回転工具
KR101004548B1 (ko) * 2008-10-09 2011-01-03 김근식 연마 휠
KR101144903B1 (ko) * 2009-11-26 2012-05-14 베스텍 주식회사 연마장치
KR101520757B1 (ko) * 2013-02-07 2015-05-18 김희수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KR20150106295A (ko) * 2014-03-11 2015-09-21 김용권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646A (ko) * 2003-06-11 2006-03-06 에이치티씨 스웨덴 에이비 연마 요소 및 연마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KR101098825B1 (ko) * 2003-06-11 2011-12-26 에이치티씨 스웨덴 에이비 연마 요소 및 연마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JP2007210060A (ja) * 2006-02-08 2007-08-23 Hiroyasu Sekiguchi 表層剥がし用回転工具
KR101004548B1 (ko) * 2008-10-09 2011-01-03 김근식 연마 휠
KR101144903B1 (ko) * 2009-11-26 2012-05-14 베스텍 주식회사 연마장치
KR101520757B1 (ko) * 2013-02-07 2015-05-18 김희수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KR20150106295A (ko) * 2014-03-11 2015-09-21 김용권 연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1890A (zh) * 2020-03-17 2020-07-28 广州金谷钻石工具有限公司 一种陶瓷加工用的金属结合剂弹性磨块
CN111451890B (zh) * 2020-03-17 2021-08-17 广州金谷钻石工具有限公司 一种陶瓷加工用的金属结合剂弹性磨块
KR20220020009A (ko) * 2020-08-11 2022-02-18 김용권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868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854B1 (ko) 연마 휠
KR101855860B1 (ko) 회전장치
KR20190027506A (ko) 핸드 그라인더
KR20190035037A (ko) 연마장치
WO2007143400A3 (en) Abrading article comprising a slotted abrasive disc and a back-up pad
KR101144903B1 (ko) 연마장치
KR101799465B1 (ko) 회전장치
KR102015080B1 (ko) 회전장치
KR101353087B1 (ko) 연마장치
KR102052502B1 (ko) 디스크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KR101520757B1 (ko)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KR101602553B1 (ko) 연마장치
US11759225B2 (en) Apparatus for callus removal
KR101711794B1 (ko) 일체형의 고정부를 갖는 연마디스크
EP2230046B1 (en) Sanding head adaptable to an angle grinder
KR102384837B1 (ko) 그라인더의 환경친화형 휠페이퍼
KR102378661B1 (ko) 연마장치
KR100766307B1 (ko) 다이아몬드 연마구
KR20090012814U (ko) 슈우의 착탈이 용이한 콘크리트용 연마 휠
KR20120122169A (ko) 연마장치
WO2002072313A1 (en) Operating plate with a basically circular shape for portable tools
KR20100040016A (ko) 연마 휠
KR101643335B1 (ko) 에지 그라인딩 장치
TWM584235U (zh) 砂輪機連接裝置以及具有砂輪機連接裝置的砂輪機
KR102528792B1 (ko) 핸드 그라인더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