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661B1 -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661B1
KR102378661B1 KR1020200100408A KR20200100408A KR102378661B1 KR 102378661 B1 KR102378661 B1 KR 102378661B1 KR 1020200100408 A KR1020200100408 A KR 1020200100408A KR 20200100408 A KR20200100408 A KR 20200100408A KR 102378661 B1 KR102378661 B1 KR 10237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abrasive
abrasive block
uni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009A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김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권 filed Critical 김용권
Priority to KR102020010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6Grinding blocks; their mountings 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6Bushings;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마공구의 출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부와,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착부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마대상물과 연접되는 연마블록부 및 장착부와 연마블록부 사이에 설치되고, 연마블록부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장치{POL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대상물의 평탄도를 확보하기 위한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는 금속, 비철금속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소재를 갖는 결합부위나 가공부위 또는 성형 부위의 표면, 소재의 표면에서 돌출된 부위, 성형 및 가공시 발생하는 버(BURR)의 제거, 소재의 표면에 부착 또는 마감된 이물질 또는 마모(손상)된 도장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표면 연마에 사용되는 도구가 연마장치이며, 연마장치는 이용자가 직접 들고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핸드 타입과, 이용자가 보행하면서 연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보행타입으로 구분된다.
핸들 또는 보행 타입의 연마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마공구와 연마공구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연마 대상물과 연접되어 마찰을 일으켜 실질적인 연마를 수행하는 연마디스크 또는 연마드럼으로 구성된다.
종래 연마장치에서 연마드럼은 연마공구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고, 개별 연마드럼의 교체를 위해서는 연마공구 전체의 해체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165호(2010.01.06 공개, 고안의 명칭: 다이아몬드 연마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마대상물의 굴곡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작업범위가 확장된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연마공구의 출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부;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마대상물과 연접되는 연마블록부; 및 상기 장착부와 상기 연마블록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블록부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완충부가 고정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마블록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장착부재; 및 상기 제2장착부재와 상기 제1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마블록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마블록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고, 연마면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장착부재와 접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장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연마블록부와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부; 및 양측이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마블록를 향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장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마블록부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연마작업 시 완충부에 의해 연마대상물의 굴곡에 대응할 수 있고, 연마블록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연마블록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마블록부를 회전플레이트부로부터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교체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함몰부에 의해 연마블록부의 슬라이드 범위를 연장시킴에 따라 연마면에 의한 연마작업영역을 회전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까지 확장시킬 수 있어 반복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완충부와 안내부에 의해 연마블록부를 연마대상물에 밀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플랜지부, 스토퍼부에 의해 연마블록부가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와 연마공구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부와 장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설치상태를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와 연마공구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는 회전플레이트부(100), 장착부(200), 연마블록부(300), 완충부(400)를 포함한다.
회전플레이트부(1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연마공구(2)의 출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플레이트부(100)는 회전 구동 또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부와 장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부(100)는 제1플레이트부(120), 제2플레이트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부(120)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마공구(2)의 출력단에 결합된다. 제1플레이트부(120)는 나사 결합, 스플라인 결합 등에 의해 연마공구(2)의 출력단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부(120)는 연마공구(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플레이트부(110)는 제1플레이트부(120)와 중심축을 공유하고, 제1플레이트부(120)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심원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2플레이트부(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200)에 의해 제1플레이트부(1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플레이트부(120)와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플레이트부(110)는 내주면이 장착부(200)에 장착된 연마블록부(300)의 단부에 접촉되어 연마블록부(300)가 원심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장착부(20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다. 장착부(200)는 후술하는 연마블록부(300)와 완충부(4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장착부(200)는 주조, 용접 등에 의해 회전플레이트부(10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나사 결합 등에 의해 회전플레이트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착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1)의 균일한 연마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회전플레이트(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200)는 제1장착부(210), 제2장착부(220)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21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완충부(400)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장착부(21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장착부(210)의 폭은 완충부(4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장착부(210)는 양측이 각각 제1플레이트부(120)의 외주면과 제2플레이트부(110)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제1장착부(210)의 단부 즉, 완충부(400)가 설치되는 면에는 제1장착부(210)를 수직하게 관통하고, 각각 후술하는 탄성부재(420), 안내부(430), 스토퍼부(440)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211), 제2결합공(212), 제3결합공(2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공(211), 제2결합공(212), 제3결합공(213)의 개수, 직경은 삽입되는 구성의 개수, 직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2장착부(22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연마블록부(300)를 지지한다. 제2장착부(220)는 연마블록부(3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연마블록부(300)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회전플레이트부(100)에 설치되거나, 회전플레이트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교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장착부(220)는 제2장착부재(221), 가이드레일(222)을 포함한다.
제2장착부재(22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장착부(210)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장착부재(221)는 제1장착부(210)의 측면으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연마블록부(300)의 플랜지부(32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제2장착부재(221)는 연마블록부(300)가 후술하는 가이드레일(2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장착부재(221)가 제1장착부(210)로부터 이격되는 설정 간격은 연마공구(2), 연마블록부(300)의 규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장착부재(221)는 제1플레이트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플레이트부(11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22)은 제2장착부재(221)와 제1장착부(2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연마블록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레일(222)은 연마블록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이 완료된 경우, 연마블록부(300)를 완충부(400)의 상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222)은 제1장착부(210)와 제2장착부재(221)가 이격됨에 따라 발생되는 직선 형태의 빈 공간으로 정의된다.
연마블록부(300)는 장착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형성되는 연마대상물(미도시)과 연접된다. 연마블록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연마블록부(30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착부(200)에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연마블록부(300)는 연마대상물과의 반복 접촉에 따른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300)는 본체부(310), 플랜지부(320), 함몰부(330)를 포함한다.
본체부(310)는 가이드레일(2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연마대상물과 접촉된다. 본체부(310)는 후술하는 플랜지부(320)와 스토퍼부(440)에 의해 가이드레일(222) 상에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레일(222)과의 마찰력에 의해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10)는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부(31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양단부가 각각 가이드레일(222)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2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310)는 폐쇄된 측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상면(도 3 기준)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어 내부에 완충부(4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과, 칩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체부(310)의 폐쇄된 측의 바깥면에는 연마대상물과 연접되는 연마면(311)이 구비된다. 연마면(3111)에는 연마입자가 구비되고, 연마입자는 다이아몬드팁 등이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0)는 일측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연마대상물과 접하는 연마면(311)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1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회전 방향 측이 낮고, 회전 반대 방향 측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310)는 회전플레이트부(100)의 회전 시 연마면(311)이 연마대상물에 고르게 접촉될 수 있어 연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랜지부(320)는 본체부(310)로부터 연장되고, 제2장착부재(221)와 접해 본체부(31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320)는 본체부(310)의 양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320)는 용접 등에 의해 본체부(310)에 연결될 수 있고, 본체부(310)의 양단부를 굽힙 가공 시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320)는 상부면(도 3 기준)이 제2장착부재(221)의 하부면(도 3 기준)에 접촉되어 걸쳐짐에 따라 본체부(310)가 가이드레일(222)의 상방(도 3 기준)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함몰부(330)는 가이드레일(222)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본체부(310)의 내부로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함몰부(330)는 본체부(310)가 가이드레일(222)로 삽입되는 길이를 연장시켜 연마면(311)을 플레이트부(100)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시킴에 따라, 연마 면적을 플레이트부(100)의 가장자리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330)는 가이드레일(222)의 단부와 마주보는 본체부(310)의 양단부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함몰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함몰부(330)는 가이드레일(222)의 단부 즉, 제2플레이트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플레이트부(1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함몰부(330)가 함몰되는 깊이는 연마면(311)을 플레이트부(100)의 가장자리 즉, 제2플레이트부(11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시킬 수 있는 깊이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블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330)는 본체부(310)의 내부로 함몰되고, 본체부(31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깊이만큼 플랜지부(320)의 전방(도 7 기준)을 폭방향으로 절개한다. 이에 따라 함몰부(330)는 본체부(310)의 삽입 과정에서 플랜지부(320)가 회전플레이트부(100)의 하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두께와 상관없이 연마블록부(300)를 조립시킬 수 있다.
완충부(400)는 장착부(200)와 연마블록부(300) 사이에 설치되고, 연마블록부(300)를 탄성 지지한다. 완충부(40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마블록부(300)를 지면의 굴곡 등에 관계없이 지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연마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부(400)는 연마블록부(300)가 장착부(200)와 강하게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설치상태를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400)는 지지플레이트부(410), 탄성부재(420), 스토퍼부(430)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부(410)는 제1장착부(210)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연마블록부(300)와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부(410)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장착부(210)와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부(410)는 연마블록부(300),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310)의 상부면(도 10 기준)과 접촉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420)에 의해 본체부(310)를 탄성 지지한다.
지지플레이트부(410)에는 상술한 제1장착부(210)에 구비되는 제1결합공(211), 제2결합공(212), 제3결합공(213)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부(41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20)는 양측이 각각 지지플레이트부(410)와 제1장착부(210)에 연결되고, 연마블록부(300)를 향해 지지플레이트부(410)를 가압한다. 탄성부재(4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부(410)를 복수개의 지점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420)는 지지플레이트(410)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2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20)는 양단이 각각 지지플레이트부(410)의 상면(도 9 기준)과, 제1장착부(210)의 상면(도 10 기준)에 연결되어 지지플레이트부(41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안내부(430)는 일측이 지지플레이트부(4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1장착부(21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안내부(430)는 탄성부재(420)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작동 시 지지플레이트부(410)의 수평을 유지시킴에 따라 본체부(310)에 구비되는 연마면(311)을 연마대상물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430)는 헤드부(431), 이동부(432), 결합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431)는 제2결합공(2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판의 형상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헤드부(431)는 제1장착부(210)의 하면(도 10 기준)에 접해 후술하는 이동부(432)가 제2결합공(2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부(432)는 헤드부(43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2결합공(212)으로 삽입된다. 이동부(432)는 제2결합공(212)을 통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부(41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결합부(433)는 이동부(432)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결합부(433)는 지지플레이트부(41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이동부(432)의 이동을 지지플레이트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토퍼부(440)는 지지플레이트부(410)로부터 돌출되고, 연마블록부(300)의 일측에 접해 연마블록부(300)가 장착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440)는 지지플레이트부(410)를 관통하여 지지플레이트부(410)의 상면(도 11 기준)으로 돌출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스토퍼부(4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부(410)에 나사 체결되어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부(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토퍼부(440)는 연마블록부(300)가 가이드레일(22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음으로써 연마블록부(300)가 장착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장착부(210)에 구비되는 제1결합공(211)에 탄성부재(420)를 안착시킨다. 이후 지지플레이트부(410)를 탄성부재(42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안내부(430)를 제2결합공(212)로 삽입시켜 지지플레이트부(410)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부(410)는 탄성부재(4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안내부(430)에 구비되는 이동부(432)의 높이만큼 승강될 수 있다.
이후 장착부(20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22)에 연마블록부(300)를 삽입하여 제2플레이트부(11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연마블록부(300)가 가이드레일(222)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가이드레일(222)의 단부는 함몰부(330)에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본체부(310)에 구비되는 연마면(311)은 회전플레이트부(100) 또는 제2플레이트부(110)의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가이드레일(222)로 삽입된 연마블록부(300)는 플랜지부(320)가 제2장착부재(22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가이드레일(22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스토퍼부(440)를 연마블록부(300)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지지플레이트부(410)에 결합시킨다. 지지플레이트부(410)의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부(440)는 연마블록부(300)가 이탈방향(도 11 기준 우측)으로 이동 시 연마블록부(300)와 접촉되어 연마블록부(300)가 가이드레일(2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연마공구(2)를 작동시키면, 회전플레이트부(100)가 회전되고, 연마블록부(300)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플레이트부(1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연마블록부(300)의 함몰부(330)가 제2플레이트부(110)에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연마블록부(3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연마블록부(300)가 연마대상물에 연접되어 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연마블록부(300)는 완충부(4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고르지 않은 연마대상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연마블록부(300)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연마블록부(300) 및 연마면(311)에 융착되는 연마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연마작업 시 완충부에 의해 연마대상물의 굴곡에 대응할 수 있고, 연마블록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연마블록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마블록부를 회전플레이트부로부터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교체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함몰부에 의해 연마블록부의 슬라이드 범위를 연장시킴에 따라 연마면에 의한 연마작업영역을 회전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까지 확장시킬 수 있어 반복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완충부와 안내부에 의해 연마블록부를 연마대상물에 밀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는 플랜지부, 스토퍼부에 의해 연마블록부가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마장치 2 : 연마공구
100 : 회전플레이트부 110 : 제2플레이트부
120 : 제1플레이트부 200 : 장착부
210 : 제1장착부 211 : 제1결합공
212 : 제2결합공 213 : 제3결합공
220 : 제2장착부 221 : 제2장착부재
222 : 가이드레일 300 : 연마블록부
310 : 본체부 311 : 연마면
320 : 플랜지부 330 : 함몰부
400 : 완충부 410 : 지지플레이트부
420 : 탄성부재 430 : 안내부
440: 스토퍼부

Claims (7)

  1. 연마공구의 출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부;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마대상물과 연접되는 연마블록부; 및
    상기 장착부와 상기 연마블록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블록부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완충부가 고정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마블록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장착부재; 및
    상기 제2장착부재와 상기 제1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마블록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블록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고, 연마면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장착부재와 접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장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연마블록부와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부; 및
    양측이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마블록를 향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장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마블록부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1020200100408A 2020-08-11 2020-08-11 연마장치 KR10237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08A KR102378661B1 (ko) 2020-08-11 2020-08-11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08A KR102378661B1 (ko) 2020-08-11 2020-08-11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09A KR20220020009A (ko) 2022-02-18
KR102378661B1 true KR102378661B1 (ko) 2022-03-24

Family

ID=8049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408A KR102378661B1 (ko) 2020-08-11 2020-08-11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1546A (zh) * 2022-09-05 2022-11-29 祝桥金属材料启东有限公司 一种带钢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68B1 (ko) * 2017-09-25 2021-02-17 김용권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09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661B1 (ko) 연마장치
CN110834231B (zh) 一种万向节驱动轴生产用加工设备
KR102194596B1 (ko) 광폭 벨트그라인더
KR20110096153A (ko) 평평한 공작물의 양면을 연삭하기 위한 장치
CN111805340B (zh) 一种钢结构制作焊接切口加工机械及加工方法
KR101142480B1 (ko) 탄성 흡진후드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
KR101688911B1 (ko) 드레싱 기능을 포함하는 센터리스 연삭장치
JP3177599U (ja) 円形部材の端部研削加工装置
JP6378800B2 (ja) ワークの加工装置
FR3010930A1 (fr) Dispositif de coupe de granit ou autres materiaux durs
KR102276986B1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102052502B1 (ko) 디스크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KR102216868B1 (ko) 연마장치
KR101543305B1 (ko) 이동식 수평절삭기
KR101441276B1 (ko) 톱날 연마 장치
KR101672042B1 (ko) 가공부품의 가공홀 자동면취장치
KR101353087B1 (ko) 연마장치
CN102079069A (zh) 可调式磨光机的机头结构
KR101906224B1 (ko) 연마석이 교체 가능한 연마장치
CN110509318A (zh) 一种炸药柱飞边修除装置及修除方法
CN220718770U (zh) 一种金属板材打磨装置
CN208557929U (zh) 石墨机
CN213730036U (zh) 一种数控激光切割机安全防护装置
CN210255553U (zh) 一种用于顶针加工的磨边装置
CN212351403U (zh) 一种轮毂法兰外圈加工用倒角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