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09305A1 - 회전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09305A1
WO2020009305A1 PCT/KR2019/001985 KR2019001985W WO2020009305A1 WO 2020009305 A1 WO2020009305 A1 WO 2020009305A1 KR 2019001985 W KR2019001985 W KR 2019001985W WO 2020009305 A1 WO2020009305 A1 WO 20200093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evice
body portion
force transmission
hypotenus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9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다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66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4915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465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274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84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255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텍
Publication of WO20200093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093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발생부에 연결되고,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면서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력 전달장치
본 발명은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발생부에 연결되고,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면서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동력발생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축과 연결된 각종 피회전부재를 회전시켜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동력발생부의 일 예로서, 핸드 그라인더가 있다. 핸드 그라인더는 모터구동이나 콤프레셔의 에어압에 의해 고속으로 작동하는 회전축에 연마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목재(木材)나 석재(石材) 혹은 각종 금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내거나 가공이 덜된 부분, 모서리 등을 갈아내어 마무리 작업을 행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공구의 일종이다.
연마재는 가공 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제작되어 연마홀더에 일체화된다.
그리고, 연마홀더를 그라인더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연마재가 장착된 홀더를 핸드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콜렛(collet)을 이용하여 숫돌축을 장착하거나 혹은 척킹장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으나, 이들 종래 기술은 구조자체가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당히 높다.
한편, 본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5860호의 “회전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본 발명자의 선등록 특허는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몸체부와, 피회전부재와 결합되는 록킹부로 구성되고, 록킹부와 몸체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선등록 특허는 실제 제작 및 사용해본 결과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그로 인해 단가가 상승될 수밖에 없으며, 구성이 복잡하다보니 내구성이 약해지게 되고, 동력발생부에서 몸체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회전력 에너지가 손실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5860호를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피회전부재와 결합된 록킹부와, 동력발생부와 결합된 몸체 간의 결합 및 해제 작동이 원활하고 정확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몸체부와 록킹부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몸체부가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고, 역회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축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외측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와,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축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외측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부와 상기 몸체부의 잠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원판형상의 몸체의 내부에 끼움홈이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이되 일측변에 제1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축부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의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기 끼움홈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의 제1빗변에 대응되는 제2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일측은 수직면이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상기 제2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빗변은, 상기 돌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돌기의 하단에 인접되게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결합 될 수 있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공은 상기 돌기의 수직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공을 관통한 후 수직면에 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끼움공 또는 상기 록킹부의 끼움홈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끼움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와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빗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빗변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빗변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와 접하는 상기 고정홈의 일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원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일측변에 형성되는 제1빗변과, 상기 제1빗변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제1빗변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와 접하는 상기 고정돌부의 일면이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며,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피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구조가 간단해지고, 상기 일체로 형성된 록킹부 및 피회전부재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에도 피회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견고하게 발휘할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 장치는, 잠김 기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축간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에너지 전달시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다 고출력의 회전구동이 가능해질 수 있고, 록킹 기능이 간편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드론의 동력발생부 및 자동차 타이어 등, 동력발생부와 피회전부재 간의 결합 과정에서, 연결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회전장치에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회전장치에 결합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와 록킹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와 피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회전장치에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회전장치에 결합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와 록킹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록킹부와 피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동력발생부(3000)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40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동력발생부(3000)는 핸드 그라인더를 일 예로 들수 있고, 상기 피회전부재(4000)는 일 예로써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발생부(300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회전되고, 그에 종동되어 상기 피회전부재(40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작업이나 절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설명의 명료성과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동공구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이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동력발생부(3000)와 연결되는 몸체부(100)와, 외측에 상기 피회전부재(400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록킹부(200)와, 상기 록킹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록킹부(200)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부(2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동력발생부(3000)에 연결되는 축부(120)와, 상기 축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140)과, 상기 지지판(14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200)의 끼움홈(220)에 결합되는 끼움돌부(1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160)는, 상기 끼움홈(22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돌기(162)와, 상기 돌기(162)의 일측에 상기 끼움홈(220)의 제1빗변(221)에 대응되는 제2빗변(1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162)는, 일측은 수직면이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상기 제2빗변(1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빗변(164)은, 상기 돌기(162)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즉, 상기 지지판(14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16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162)의 선단면은, 상기 제2빗변(164)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빗변(164)은, 상기 돌기(16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40)에는 상기 돌기(162)의 하단에 인접되게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재(300)가 끼움결합 될 수 있는 끼움공(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142)은, 수직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0)의 끼움부재(340)가 상기 끼움공(142)을 관통한 후 수직면에 접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200)는 대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상기 끼움홈(220)이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20)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상기 끼움홈(220)이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220)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돌부(1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도면에서는 3개의 상기 끼움돌부(160) 및 상기 끼움홈(220)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그 개수와 형상은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시 상기 끼움홈(220) 각각을 살펴보면, 상기 끼움홈(220)은 일측변에 제1빗변(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빗변(221)의 경사각은 상기 끼움돌부(160)의 상기 제2빗변(164)과 대응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빗변(221)과 상기 제2빗변(164)은 거의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220)의 크기는, 상기 끼움돌부(160)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220)으로 상기 끼움돌부(160)가 삽입되기는 용이해질 수 있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빗변(221)과 상기 제2빗변(164)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끼워물리는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상기 돌기(162)가 상기 끼움홈(220)에 결합된 후, 상기 끼움홈(220)의 일부위는 여전히 비어있는 공간으로 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20)의 일부 비어있는 공간으로 상기 고정부재(3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끼움홈(220) 내에 상기 고정부재(300)와 상기 끼움돌부(160)가 꼭맞게 결합되어 상기 끼움돌부(160)의 유격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몸체부(100)의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303)이 형성되는 판재(320)와, 상기 판재(320)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공(142) 또는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끼움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끼움부재(34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공(142)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더 나아가서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까지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끼움홈(220)의 빈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340)는, 상기 끼움공(142)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42)에 끼움결합 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340)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제3빗변(343)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162)의 수직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언록킹(unlocking)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에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돌부(160)가 삽입된 후 일 방향으로 약간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빗변(221)과 상기 제2빗변(164)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아직 상기 축부(1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끼움부재(340)가 외측으로 이탈된 상태이므로 상기 언록킹상태인 것이다.
이 후 도 3의 (b)를 참조하면, 록킹(locking)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축부(120)를 타고 이동하여, 상기 끼움부재(34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공(142)을 관통한 후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에 결합됨으로써, 유격이 없는 상태가 되어 상기 록킹부(200), 상기 몸체부(100) 및 상기 고정부재(300)가 일체화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120)에 상기 동력발생부(300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가 회전되므로, 상기 록킹부(200)에 부착된 상기 피회전부재(4000)가 회전됨으로써 연마 또는 절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몸체부(400)는, 제2빗변(464)의 상단부에서 상기 몸체부(4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486)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486)는 제2빗변(464)의 상단부에서 상기 몸체부(4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86)는, 상기 몸체부(4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200)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200)의 이탈을 방지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변형에 의한 부품간의 유격을 감소시켜,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빗변(464)의 상단부에서 상기 몸체부(4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4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486)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4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아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564)은, 상기 제2빗변(5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5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586)는, 상기 고정부(5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5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빗변(564)은, 상기 제2빗변(5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5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계단형상으로 층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빗변(564)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에 계단형상의 두 개의 층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5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중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586)는, 상기 고정부(5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5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상기 제2빗변(564)과 유사하게 계단형상으로 층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586)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에 계단형상의 두 개의 층이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5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586)와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664)은, 상기 몸체부(6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빗변(664)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686)가 상기 고정부(686)의 중심을 향해 상기 몸체부(6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빗변(664)은 상기 몸체부(6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빗변(664)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빗변(664)은 상기 몸체부(6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변형을 감소시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 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부(6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는 ‘ㅅ’자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686)는, 상기 고정부(686)의 중심을 향해 상기 몸체부(6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686)는 상기 몸체부(6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686)와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764)은, 상기 제2빗변(7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7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786)가, 상기 고정부(7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7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빗변(764)은, 상기 제2빗변(7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7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7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상기 제2빗변(764)이 돌출 및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변형에 의한 부품간의 유격을 더욱 감소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786)는, 상기 고정부(7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7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7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786)는, 상기 고정부(786)와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864)은, 상기 몸체부(8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886)가 상기 몸체부(8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4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2빗변(864)은, 상기 몸체부(8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빗변(864)은, 상기 몸체부(8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의 마모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몸체부(8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886)는, 상기 몸체부(8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886)는, 상기 몸체부(8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886)와 공기 간의 공기저항을 더욱 감소시켜 부품의 마모를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고속 회전이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8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964) 및 고정부(986)는, 상기 몸체부(9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요철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빗변(964)은, 상기 제2빗변(9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볼록한 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빗변(964)은, 상기 몸체부(9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변형에 의한 부품 간의 유격을 감소시켜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며, 부품의 마모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요철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986)는, 상기 고정부(9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9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986)는, 상기 몸체부(9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986)와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며,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몸체부(1000)는, 상기 몸체부(10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제2빗변(1064)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홈(1066)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록킹부(1100)는, 제1빗변(112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부(11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홈(1066)은, 상기 몸체부(10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빗변(1064)의 외측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홈(1066)은, 끼움돌부(106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기(1062)의 외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홈(1066)은, 지지판(1040)에 인접하여 사각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066)은, 상기 몸체부(1000)와 상기 록킹부(1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1100)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2빗변(1064)의 하단으로부터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록킹부(1100)는, 상기 제1빗변(1121)의 단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부(112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122)는, 상기 제1빗변(112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돌부(1122)는, 몸체(1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빗변(1121)의 중심까지, 상기 제1빗변(1121)에 인접하여 사각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0)와 상기 록킹부(1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부(1122)는, 상기 고정홈(106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122)는, 상기 고정홈(106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므로, 상기 고정홈(1066)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록킹상태에서, 상기 제1빗변(1121)과 상기 제2빗변(1064)이 결합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고정돌부(1122)가 상기 고정홈(1066)에 삽입결합되어 이중으로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몸체부(1000)와, 상기 록킹부(1100)와, 상기 고정부재(3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변형에 따른 유격을 최소화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8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홈(1266)의 단부가 빗변으로 형성되는 점과, 고정돌부(1322)의 단부가 빗변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8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8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홈(1266)은, 몸체부(13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단부가 지지판(1240)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는 빗변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1260)은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322)는, 상기 고정홈(1260)에 삽입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1260)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돌부(1322)는, 록킹부(1300)의 중심에서 바라보면, 단부가 빗변으로 형성되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고정돌부(1322)의 단부가, 상기 제2빗변(1264)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1266)의 삽입구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200)와 상기 록킹부(13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부(1322)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1266)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여 결합이 용이해지고, 마모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8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홈(1466)이 층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점과, 고정돌부(1522)가 층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8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8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홈(1466)은, 몸체부(14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제2빗변(1464)으로부터 함몰되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466)은, 상기 제2빗변(1464)으로부터 형성되는 첫 번째 구간의 너비가 두 번째 구간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돌부(1522)는, 제1빗변(1521)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첫 번째 층과 단부에 형성되는 두 번째 층으로 구분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522)는,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돌부(1522)는, 첫 번째 층이 두 번째 층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돌부(1522)는, 상기 고정돌부(152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빗변(1521)의 방향으로 갈수록 층이 높아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고정홈(1466)에 상기 고정돌부(152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부(1522)의 단부가 삽입되어 기준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522)는, 층을 달리하여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400)와 록킹부(1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중으로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8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홈(1666)이 제2빗변(1664)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점과, 고정돌부(1722)의 일면이 경사각을 가진 빗변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8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8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홈(1666)의 내측면은, 지지판(1640)으로부터 몸체부(16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1666)은, 끼움돌부(1660)의 외측면에서 바라보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돌부(1722)는, 제1빗변(1721)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722)는, 상기 몸체(17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빗변의(1721)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몸체부(1600)와 록킹부(1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빗변(1664) 및 상기 제1빗변(1721)이 접하는 면과 상기 몸체(1710)의 하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상기 고정홈(1666) 및 상기 고정돌부(1722)가 접하는 면과 상기 몸체(1710)의 하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시, 이중으로 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1실시예와 비교하여, 몸체부(1800)와 록킹부(19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홈(1866)과 고정돌부(1922)가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8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홈(1866)은, 제2빗변(1864)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800)와 상기 록킹부(19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866)과 상기 고정돌부(1922)가 접하는 면은, 지지판(1840)으로부터 끼움돌부(1860)의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몸체부(1800)와 상기 록킹부(19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홈(1866)과 상기 고정돌부(1922)가 접하는 면의 마모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8실시예와 비교하여, 록킹부(2000)와 피회전부재(5000)가 일체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8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8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피회전부재(5000)는 연마재로써, 글라인더날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상기 피회전부재(50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와 같은 연마홀더에 결합되기 위하여, 중심부에 금속제의 부싱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부(2000)는, 금속제의 부싱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회전부재(5000)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피회전부재(5000)는, 중심부에 상기 록킹부(2000)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2000)는, 금속제의 원판으로 형성되는 몸체(2010)와, 끼움홈(2020)과, 상기 끼움홈(2020)의 일측변에 형성되는 제1빗변(2021)과, 상기 제1빗변(202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부(20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기 록킹부(2000)와 상기 피회전부재(5000)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구조가 간단해지고, 상기 일체로 형성된 록킹부(2000) 및 피회전부재(5000)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간단해지고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상술한 전동공구에 한정되지 않고, 드론의 동력발생부 및 자동차 타이어 등, 동력발생부와 피회전부재 간의 결합 과정에서, 연결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효과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400, 500, 600, 700, 800, 900 : 몸체부
120, 420, 520, 620, 720, 820, 920 : 축부
140, 440, 540, 640, 740, 840, 940 : 지지판
160, 460, 560, 660, 760, 860, 960 : 끼움돌부
162, 462, 562, 662, 762, 862, 962 : 돌기
164, 464, 564, 664, 764, 864, 964 : 제2빗변
486, 586, 686, 786, 886, 986 : 고정부
1066, 1266, 1466, 1666, 1866 : 고정홈
200, 1100, 1300, 1500, 1700, 1900, 2000 : 록킹부
210, 1110, 1310, 1510, 1710, 1910, 2010 : 몸체
220, 1120, 1320, 1520, 1720, 1920, 2020 : 끼움홈
221, 1121, 1321, 1521, 1721, 1921, 2021 : 제1빗변
1122, 1322, 1522, 1722, 1922, 2022 : 고정돌부
300 : 고정부재
303 : 결합공
320 : 판재
340 : 끼움부재
343 : 제3빗변
3000 : 동력발생부
4000, 5000 : 피회전부재

Claims (22)

  1.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축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외측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부와 상기 몸체부의 잠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원판형상의 몸체의 내부에 끼움홈이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이되 일측변에 제1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축부에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의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기 끼움홈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의 제1빗변에 대응되는 제2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일측은 수직면이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상기 제2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빗변은,
    상기 돌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돌기의 하단에 인접되게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결합 될 수 있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은 상기 돌기의 수직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공을 관통한 후 수직면에 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판재; 및
    상기 판재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끼움공 또는 상기 록킹부의 끼움홈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끼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끼움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와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빗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빗변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빗변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와 접하는 상기 고정홈의 일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원판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홈;
    상기 끼움홈의 일측변에 형성되는 제1빗변; 및
    상기 제1빗변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제1빗변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와 접하는 상기 고정돌부의 일면이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며,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피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구조가 간단해지고,
    상기 일체로 형성된 록킹부 및 피회전부재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PCT/KR2019/001985 2018-07-02 2019-02-19 회전력 전달장치 WO20200093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10A KR101949158B1 (ko) 2018-07-02 2018-07-02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18-0076610 2018-07-02
KR1020190004655A KR102182742B1 (ko) 2019-01-14 2019-01-14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19-0004655 2019-01-14
KR1020190018484A KR102052555B1 (ko) 2019-02-18 2019-02-18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19-0018484 2019-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305A1 true WO2020009305A1 (ko) 2020-01-09

Family

ID=6905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985 WO2020009305A1 (ko) 2018-07-02 2019-02-19 회전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0093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0193A (zh) * 2020-06-08 2020-09-15 苏州高之仙自动化科技有限公司 抛光头组件及石材抛光机器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725A (ko) * 2000-04-07 2002-03-1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연삭기 공구 지지장치
US20030129933A1 (en) * 2000-04-07 2003-07-10 Dieter Wendt Receptacle for grinder tools
JP2012232381A (ja) * 2011-05-02 2012-11-29 Hitachi Koki Co Ltd 動力工具
JP2015042424A (ja) * 2013-08-26 2015-03-05 日立工機株式会社 動力工具および先端工具の固定構造
KR101855860B1 (ko) * 2017-05-02 2018-05-23 김다혜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725A (ko) * 2000-04-07 2002-03-1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연삭기 공구 지지장치
US20030129933A1 (en) * 2000-04-07 2003-07-10 Dieter Wendt Receptacle for grinder tools
JP2012232381A (ja) * 2011-05-02 2012-11-29 Hitachi Koki Co Ltd 動力工具
JP2015042424A (ja) * 2013-08-26 2015-03-05 日立工機株式会社 動力工具および先端工具の固定構造
KR101855860B1 (ko) * 2017-05-02 2018-05-23 김다혜 회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0193A (zh) * 2020-06-08 2020-09-15 苏州高之仙自动化科技有限公司 抛光头组件及石材抛光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6024A2 (ko) 청소기 거치대
WO2020009305A1 (ko) 회전력 전달장치
WO2018131790A1 (ko) 핸드그라인더 및 핸드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체결방법
WO2018074852A1 (ko) 로봇 청소기
WO2011074773A2 (ko) 연마용 툴의 탈부착이 용이한 연마 휠 어셈블리
WO2017160129A2 (ko) 적층시트 연마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적층시트 연마장치
WO2015020269A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WO2017073845A1 (ko) 드레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웨이퍼 연마 장치
WO2013032115A1 (en) Grinding tool
WO2017018691A1 (en) Robot cleaner
WO2011043518A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멀티디바이스
WO2017043737A1 (ko) 예초기의 커팅장치
WO2012033362A2 (ko)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WO2021206207A1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WO2020209434A1 (ko) 회전력 전달장치
WO2015063504A1 (en) A handheld power tool
WO2021230423A1 (ko) 적재물 운반장치
WO2023101169A1 (ko)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WO2020213788A1 (en) Tilting device for armrest
WO2011149261A2 (ko) 치간 청소구
WO2011071224A1 (ko) 도로 경사면 변화에 따라 바퀴의 감속 또는 제동이 가능한 바퀴제어장치
WO2024010274A1 (ko) 네일아트장치
WO2012063998A1 (ko) 면취기
WO2010131866A2 (ko) 싱글볼 가공장치
WO2021261888A1 (ko) 압력식 에어백 센서 설치용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30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6/05/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0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