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424B1 - 회전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424B1
KR102097424B1 KR1020190040864A KR20190040864A KR102097424B1 KR 102097424 B1 KR102097424 B1 KR 102097424B1 KR 1020190040864 A KR1020190040864 A KR 1020190040864A KR 20190040864 A KR20190040864 A KR 20190040864A KR 102097424 B1 KR102097424 B1 KR 10209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rotating body
locking
stepp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혜
Original Assignee
김다혜
비티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혜, 비티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다혜
Priority to KR102019004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24B1/ko
Priority to PCT/KR2019/004923 priority patent/WO20202094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3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회전력 전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내용은,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회전체; 회전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된 피회전체;를 포함하고, 회전체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결합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연결되어 다수의 절개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단턱이 형성된 걸림부재가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피회전체는 다수의 걸림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연마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시 연마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력 전달장치{Torque Transmission Device}
개시되는 내용은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면서 이탈과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력 전달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터축과 연결된 각종 연동부재를 회전시켜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회전력 전달장치의 일 예로서, 핸드 그라인더가 있다. 핸드 그라인더는 모터구동이나 콤프레셔의 에어압에 의해 고속으로 작동하는 회전축에 연마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목재(木材)나 석재(石材) 혹은 각종 금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내거나 미처 가공이 덜된 부분, 모서리 등을 갈아내어 마무리 작업을 행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공구의 일종이다.
연마재는 가공 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제작되어 연마홀더에 일체화된다.
연마홀더를 그라인더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연마재가 장착된 홀더를 핸드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콜렛(collet)을 이용하여 숫돌축을 장착하거나 혹은 척킹장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 종래 기술은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당히 높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10-2017-0015669호 「회전력 전달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한국특허출원 10-2017-0015669호
개시되는 내용은, 모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연마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시 연마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회전체; 회전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된 피회전체;를 포함하고, 회전체는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결합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연결되어 다수의 절개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단턱이 형성된 걸림부재가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피회전체는 다수의 걸림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전력 전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피회전체는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끼움홈과 인접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단턱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록킹부는 경사진 단차부가 한개 또는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연마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시 연마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서 '피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결합된 단면 사시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 내지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회전체와 피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실시예 1]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에서 '피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결합된 단면 사시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장치(A)는, 동력발생부(600)의 샤프트(620)에 연결되는 회전체(100); 회전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피회전부재(500)가 결합된 피회전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력발생부(600)는 핸드 그라인더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핸드 그라인더는 본체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샤프트에 피회전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고속 회전시켜 연마나 절삭, 절단 등의 작업에 사용된다.
피회전부재(500)는 일 예로서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동력발생부(60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가 회전되고, 회전력 전달장치에 연결된 피회전부재(500)가 회전될 수 있어 연마작업이나 절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피회전부재(500)는 원판형의 절삭부와, 그 중심에 링 형상의 피회전체(200)가 결합된다.
피회전체(20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회전부재(500)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피회전체(200)의 외주면에 피회전부재(500)가 장착되되 끼움결합되거나 또는 피회전부재(500)의 중심부에 피회전체(200)가 인서트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100)는 원형 링 형상이며 일면에 샤프트(620)가 결합되고 타면에는 걸림부재(120)가 형성된다.
즉, 회전체(100)는 동력발생부(600)의 샤프트(620)에 결합되며, 중앙에 통공(110)이 형성되고, 이 통공(110)에 연결되어 다수의 절개공(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체(100)는 통공(110)의 내주면 주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단턱(122)이 형성된 걸림부재(120)가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된다.
회전체(100)와 샤프트(62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착탈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회전체(100)는 통공(110)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샤프트(620)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는 회전체(100)의 이면에 샤프트(6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선반 가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체(100)의 이면에 샤프트(62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회전체(100)의 타면으로 3개의 걸림부재(120)가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다.
각 걸림부재(120)는 호형이되 외주면에 돌출되어 단턱(122)이 형성된다.
회전체(100)의 단턱(122)은 걸림부재(120)의 곡률에 부합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에 경사진 단차지지부(124)가 형성된다.
단차지지부(124)는 피회전체(200)의 복수의 단차부(240)에 밀착되어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지지부(124)에 이어져 형성되며 단턱의 외주면에 요입 형성된 요홈부(126)가 형성된다.
이 요홈부(126)에 피회전체(200)의 단차부(240)가 끼움결합됨으로써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피회전체(200)는 회전체(100)와 동일한 직경인 원판 형상이며, 중앙에는 회전체(100)의 다수의 걸림부재(12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공(210)이 형성된다.
이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대략 사각형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단턱(122)에 대응되는 끼움홈(220)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피회전체(200)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상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가 더 형성된다.
제1록킹부(300)는 호형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에는 경사진 단차부(241,242)가 한개 또는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록킹부(300)는 결합공(210)의 내주면과 이어지는 부위에 경사돌부(310)가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기 경사돌부(310)가 단차부(240)에 동일한 높이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록킹부(300)는 제1단차부(24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단차부(241)에 이어져 수평면이 형성되며, 수평면에 이어져 경사지게 제2단차부(242)가 형성된다.
제2단차부(242)에 이어져 경사돌부(310)가 비스듬히 형성된다.
전술한 제1단차부(241), 제2단차부(242), 경사돌부(310)는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일부만 형성된다.
이들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한편 상기 피회전체(200)의 끼움홈(220)과 상기 회전체(100)의 절개공(112)에 끼움결합되어 피회전체(200)를 고정시키는 제1안전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전부재(400)는 회전체(100)의 중앙 통공(110)에 삽입되는 본체(420)와, 상기 본체(420)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피회전체(200)의 끼움홈(220)과 상기 회전체(100)의 절개공(112)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420)의 외주연에 3개의 연결부(430)가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각 연결부(430)의 끝부분에 끼움돌부(440)가 형성된다.
끼움돌부(440)는 본체(420)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회전체(100)의 절개공(112)에 끼움결합된다.
대략 회전체(100)의 절개공(112)이 걸림부재(120)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부합되도록 끼움돌부(440)도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돌부(440)와 걸림부재(120)가 회전체(100)의 절개공(112)에 꼭맞게 결합될 수 있게 되어 회전체(100)와 피회전체(200)의 결합상태가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안전부재(400)가 회전체(100)와 피회전체(200)의 결합된 후 남은 빈공간의 절개공(112)을 메꾸도록 결합됨으로써 피회전체(200)의 역회전시 단차부(240)와 단턱(122) 간의 결합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피회전체(200)의 역회전 상태는 샤프트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전환되었을때를 의미하며 이렇게 역회전될 경우 회전체외 피회전체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620)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10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체(100)의 다수의 절개공(112)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다수의 끼움핀(720)이 형성된 제2안전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안전부재(700)는 회전체(100)의 이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는 원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에는 샤프트(620)가 관통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제2안전부재(700)는 샤프트(620)의 외주에 결합되어 전,후진 작동되면서 회전체(100)에 밀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고정 또는 해제 작동을 하게 된다.
제2안전부재(700)를 지지하도록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고, 스프링이 샤프트(6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제2안전부재(700)를 밀어서 회전체(100)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제2안전부재(700)는 이면에 회전체(100)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층은 고무 코팅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안전부재(700)는 복수의 끼움핀(미도시)이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회전체(100)에는 복수의 절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안전부재(700)가 회전체(100)에 밀착되면, 복수의 끼움핀이 절개공에 끼워져서 피회전체(200)의 끼움홈(220)으로 삽입되므로 회전체(100)와 피회전체(200)의 결합상태가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안전부재(400)가 회전체(100)와 피회전체(200)의 결합된 후 남은 빈공간의 절개공(112)을 메꾸도록 결합됨으로써 피회전체(200)의 역회전시 단차부(240)와 단턱(122) 간의 결합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회전체(100a~100n) 및 피회전체(200a~200n)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실시예가 개시된다.
[실시예 2]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2)는
피회전체(200a)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a)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a)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의 환턱(310a)이 형성되고, 상기 환턱의 일단에 경사면(312a)이 비스듬히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턱(122)의 요홈부(126)에 제1록킹부(300a)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실시예 3]
도 10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3)는
피회전체(200b)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b)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b)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의 환형돌부(331b)와 환형요부(332b)가 교호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록킹부(300b)의 호형의 환형돌부(331b)가 단턱(122)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실시예 4]
도 11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4)는
피회전체(200c)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c)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c)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의 호형요부(310c)가 형성되고, 호형요부(310c)에 이어져 호형돌부(311c)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턱(122)의 요홈부(126)에 제1록킹부(300c)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실시예 5]
도 12을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5)는
피회전체(200d)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d)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d)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으로 형성되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단턱(122)의 요홈부(126)에 제1록킹부(300d)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실시예 6]
도 13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6)는
피회전체(200e)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e)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e)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환턱과, 상기 환턱의 일단에 경사면(312e)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형돌부(311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는 호형돌부(311e)가 삽입되도록 요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요부(123)에 호형돌부(311e)가 삽입되어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4을 참조하면, 제7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7)는
피회전체(200f)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의 단턱(122)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f)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f)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양단부에 경사면(312f)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턱(122)의 요홈부(126)에 제1록킹부(300f)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실시예 8]
도 15을 참조하면, 제8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8)는
피회전체(200g)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g)의 단턱(122g)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g)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g)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일단부에 돌부(301g)와 요부(302g)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재(120g)의 단턱(122g)에는 돌부(125g)와 요부(124g)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록킹부(300g)의 돌부(301g)와 요부(302g)가 단턱(122g)의 돌부(125g)와 요부(124g)에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6을 참조하면, 제9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9)는
피회전체(200h)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h)의 단턱(122h)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h)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h)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일단부에 단면(301h)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재(120h)의 단턱(122h)에도 단면(124h)가 형성되어 제1록킹부(300h)의 단면(301h)과 상호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7을 참조하면, 제10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10)는
피회전체(200i)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i)의 단턱(122i)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i)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i)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일단부에 단차부(320i)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경사면(322i)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회전체(100i)의 단턱(122i)에도 단차(126i)가 형성되어 경사면(322i)과 상호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18을 참조하면, 제11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11)는
피회전체(200j)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j)의 단턱(122j)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j)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j)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일단부에 홈(322j)과 돌기(321j)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경사면(323j)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재(120j)의 단턱(122j)에도 홈(127j)이 형성되어 돌기(321j)가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19를 참조하면, 제12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12)는
피회전체(200k)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K)의 단턱(122K)에 고정되어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k)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k)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일단부에 계단형태로 높이가 상이한 단차부(303k)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록킹부(300k)가 단턱(122K)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 13]
도 20를 참조하면, 제13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13)는
피회전체(200L)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L)의 단턱(122L)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L)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L)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의 환턱이며, 환턱의 양단부에 경사면(304L)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재(120L)의 단턱(122L)에도 경사면(127L)이 형성되어 경사면(304L)과 상호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4]
도 21을 참조하면, 제14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14)는
피회전체(200m)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m)의 단턱(122m)에 고정되어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m)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m)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돌부가 다수개가 병렬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록킹부(300m)의 호형돌부가 단턱(122m)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실시예 15]
도 22을 참조하면, 제15실시예에 따르는 회전력 전달장치(A15)는
피회전체(200n)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끼움홈(220)과 인접되며 걸림부재(120n)의 단턱(122n)에 고정되어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300n)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 제1록킹부(300n)는 결합공(210)의 내주면에 호형의 구간을 갖도록 다수의 돌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수의 돌조는 단면이 톱니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정한 호형의 구간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들 다수의 돌조로 된 제1록킹부(300n)가 단턱(122n)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회전체 200 : 피회전체
600 ; 동력발생부 120 : 걸림부재
110 : 통공 112 : 절개공
122 : 단턱 620 : 샤프트
300 : 제1록킹부 310 : 경사돌부
240 : 단차부 400 : 제1안전부재
420 ; 본체 440 : 끼움돌부

Claims (25)

  1. 본체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샤프트에 피회전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고속 회전시켜 연마나 절삭, 절단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동력발생부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된 피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샤프트에 결합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연결되어 다수의 절개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단턱이 형성된 걸림부재가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피회전체는
    상기 다수의 걸림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피회전체는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끼움홈과 인접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단턱에 걸려져서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록킹부는 호형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에 경사진 단차부가 한개 또는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록킹부는
    일단부에 제1단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부에 이어져 수평면이 형성되며, 수평면에 이어져 경사지게 제2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차부에 이어지며 상기 피회전체의 결합공의 내주면과 이어지는 부위에 비스듬히 형성되는 경사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회전체의 끼움홈과 상기 회전체의 절개공에 끼움결합되어 피회전체를 고정시키는 제1안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전부재는
    회전체의 중앙 통공에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피회전체의 끼움홈과 상기 회전체의 절개공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체의 다수의 절개공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다수의 끼움핀이 형성된 제2안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단턱은 호 형상이되, 일단부에 경사진 단차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지지부는 상기 단차부에 밀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지지부에 연결되며 단턱의 외주면에 요입 형성된 요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전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90040864A 2019-04-08 2019-04-08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9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64A KR102097424B1 (ko) 2019-04-08 2019-04-08 회전력 전달장치
PCT/KR2019/004923 WO2020209434A1 (ko) 2019-04-08 2019-04-23 회전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864A KR102097424B1 (ko) 2019-04-08 2019-04-08 회전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424B1 true KR102097424B1 (ko) 2020-04-07

Family

ID=7029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864A KR102097424B1 (ko) 2019-04-08 2019-04-08 회전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7424B1 (ko)
WO (1) WO20202094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85A (ko) * 2018-08-31 2020-03-1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밀링홀더용 고정편
KR20220130990A (ko) * 2021-03-19 2022-09-27 이혜원 그라인더용 커플러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768Y2 (ko) * 1981-08-21 1987-08-21
US20100018736A1 (en) * 2006-01-16 2010-01-28 Juergen Wiker Transmission, in particular for electric hand-held power tools
KR20170015669A (ko) 2015-07-30 2017-02-09 (주)위시스 디스펜싱 장치
KR101855860B1 (ko) * 2017-05-02 2018-05-23 김다혜 회전장치
KR101949158B1 (ko) * 2018-07-02 2019-02-19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47B1 (ko) * 2017-01-16 2017-08-31 주식회사 이엔큐원터치 핸드그라인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연마디스크 체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2768Y2 (ko) * 1981-08-21 1987-08-21
US20100018736A1 (en) * 2006-01-16 2010-01-28 Juergen Wiker Transmission, in particular for electric hand-held power tools
KR20170015669A (ko) 2015-07-30 2017-02-09 (주)위시스 디스펜싱 장치
KR101855860B1 (ko) * 2017-05-02 2018-05-23 김다혜 회전장치
KR101949158B1 (ko) * 2018-07-02 2019-02-19 김다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85A (ko) * 2018-08-31 2020-03-1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밀링홀더용 고정편
KR102492842B1 (ko) 2018-08-31 2023-01-27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밀링홀더용 고정편
KR20220130990A (ko) * 2021-03-19 2022-09-27 이혜원 그라인더용 커플러 조립체
KR102528789B1 (ko) 2021-03-19 2023-05-03 이혜원 그라인더용 커플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34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24B1 (ko) 회전력 전달장치
US20210205944A1 (en) Rotating apparatus
US3742656A (en) Coupling devices
KR101815453B1 (ko) 부착기 및 절삭 버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및 로킹 기구를 갖는 수술용 드릴 도구
CN1254349C (zh) 电动工具和心轴锁定系统
JP4814884B2 (ja) 駆動板及び取外し可能なパッドを有していて、オフサルミックレンズを仕上げる研磨ツール
US3674281A (en) Tool chuck assembly
JP2006224301A (ja) 鋸刃用の肩部ブッシュ
JP4964642B2 (ja) 回転刃具の固定装置
KR20150062293A (ko) 디버링 머신
KR101949158B1 (ko)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KR20190054294A (ko) 회전장치
JP2003145405A (ja) 吸引リングを有する軌道研磨機
CA2488627A1 (en) Stump grinding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toothed disc
KR102052555B1 (ko)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US6783448B2 (en) Foam buffing/polishing pad
US20180339400A1 (en) Depth adjustable hub for use with abrasive grinding tool
KR101553991B1 (ko) 연마 장치용 휠 구조체
JP5217031B2 (ja) ドリルチャック及びドリル研磨機
JP7100527B2 (ja) カバーおよび工具
KR20200088090A (ko)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JP7289825B2 (ja) 回転式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下り勾配付き軸方向支持表面を有する工具
CA2674130A1 (en) Feed wheel
KR20170001126A (ko) 다이아몬드 공구
KR101681497B1 (ko) 연마용 숫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