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90A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8090A KR20200088090A KR1020190004655A KR20190004655A KR20200088090A KR 20200088090 A KR20200088090 A KR 20200088090A KR 1020190004655 A KR1020190004655 A KR 1020190004655A KR 20190004655 A KR20190004655 A KR 20190004655A KR 20200088090 A KR20200088090 A KR 202000880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ortion
- locking
- hypotenuse
- coupled
- rota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용은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련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외측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록킹부; 록킹부와 몸체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록킹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몸체부를 관통하여 록킹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고정부재;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에도 피회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견고하게 발휘할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와 록킹부가 결합되어 접하는 제2빗변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변형에 의한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아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빗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시, 상기 록킹부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에도 피회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견고하게 발휘할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와 록킹부가 결합되어 접하는 제2빗변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변형에 의한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아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빗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시, 상기 록킹부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은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디스크와 같은 연동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면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결합부재의 단면이 요철 형상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 시 변형에 의한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아서 회전 전달력이 반경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회전력 전달장치의 부품 이탈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며,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터축과 연결된 각종 연동부재를 회전시켜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회전장치의 일 예로서, 핸드 그라인더가 있다. 핸드 그라인더는 모터구동이나 콤프레셔의 에어압에 의해 고속으로 작동하는 회전축에 연마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목재(木材)나 석재(石材) 혹은 각종 금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내거나 가공이 덜된 부분, 모서리 등을 갈아내어 마무리 작업을 행하는 데 사용하는 전동공구의 일종이다.
연마재는 가공 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제작되어 연마홀더에 일체화된다.
연마홀더를 그라인더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연마재가 장착된 홀더를 핸드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콜렛(collet)을 이용하여 숫돌축을 장착하거나 혹은 척킹장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 종래 기술은 구조자체가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당히 높다.
한편 본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10-2017-0056427호의 "회전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본 발명자의 선등록 특허는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몸체부와, 피회전부재와 결합되는 록킹부로 구성되고, 록킹부와 몸체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선등록 특허는 실제 제작 및 사용해본 결과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그로 인해 단가가 상승될 수밖에 없으며, 구성이 복잡하다보니 내구성이 약해지게 되고, 동력발생부에서 몸체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회전력 에너지가 손실되는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한국 특허출원 10-2017-0056427호를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피회전체에 결합된 록킹부와, 회전체와 결합된 몸체 간의 결합 및 해제 작동이 원활하고 정확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부와 록킹부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몸체부가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고 역회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부와 록킹부가 결합되어 접하는 돌기의 선단면이 요철 형상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 시 전달력이 반경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변형에 의한 부품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할 수 있는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의 목적은,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축부가 형성된 몸체부; 외측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부와 상기 몸체부의 잠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원판형상의 몸체의 내부에 끼움홈이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이되 일측변에 제1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의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돌부는 상기 끼움홈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일측에 상기 끼움홈의 상기 제1빗변에 대응되는 상기 제2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일측은 수직면이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상기 제2빗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빗변은 상기 돌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돌기의 하단에 인접되게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결합 될 수 있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공은 수직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공을 관통한 후 수직면에 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끼움공 또는 상기 록킹부의 상기 끼움홈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끼움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빗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연마디스크와 같은 피회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고, 고속 회전에도 피회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 기능을 견고하게 발휘할 수 있으며, 역회전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잠김 기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축간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에너지 전달시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다 고출력의 회전구동이 가능해질 수 있고, 록킹 기능이 간편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와 록킹부가 결합되어 접하는 돌기의 선단면이 곡면 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 시 전달력이 반경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변형에 의한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아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며, 공기와 마찰을 감소시켜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안전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정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정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정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제6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몸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제7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록킹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는, 동력발생부(600)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7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핸드 그라인더를 일 예로 들수 있고, 상기 피회전부재(700)는 일 예로서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발생부(60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회전장치(A)가 회전되고, 그에 종동되어 상기 피회전부재(7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작업이나 절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A)는, 상기 동력발생부(600)와 연결되는 몸체부(100)와 외측에 상기 피회전부재(70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록킹부(200)와 상기 록킹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록킹부(200)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부(2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축부(120)와, 상기 축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140)과, 상기 지지판(14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200)의 끼움홈(220)에 결합되는 끼움돌부(160)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끼움돌부(160)는 상기 끼움홈(22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상기 돌기(162)와, 상기 돌기(162)의 일측에 상기 끼움홈(220)의 제1빗변(221)에 대응되는 제2빗변(1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162)는 일측은 수직면이고, 타측에는 경사지게 상기 제2빗변(1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빗변(164)은 상기 돌기(162)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즉, 상기 지지판(14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16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162)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16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16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40)에는 상기 돌기(162)의 하단에 인접되게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재(300)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공(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공(142)은 수직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0)의 끼움부재(340)가 상기 끼움공(142)을 관통한 후 수직면에 접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록킹부(200)는 대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상기 끼움홈(220)이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220)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상기 끼움홈(220)이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끼움홈(220)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돌부(1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도면에서는 3개의 상기 끼움돌부(160) 및 상기 끼움홈(220)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그 개수와 형상은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시 상기 끼움홈(220)을 살펴보면, 상기 끼움홈(220)은 일측변에 상기 제1빗변(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빗변(221)의 경사각은 상기 끼움돌부(160)의 상기 제2빗변(164)과 대응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빗변(221)과 상기 제2빗변(164)은 거의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220)의 크기는 상기 끼움돌부(160)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220)으로 상기 끼움돌부(160)가 삽입되기는 용이해질 수 있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빗변(221)과 상기 제2빗변(164)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끼워물리는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상기 돌기(162)가 상기 끼움홈(220)에 결합된 후, 상기 끼움홈(220)의 일부위는 여전히 비어있는 공간으로 남게 된다.
상기 끼움홈(220)의 일부 비어있는 공간으로 상기 고정부재(3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끼움홈(220) 내에 상기 고정부재(300)와 상기 끼움돌부(160)가 꼭맞게 결합되어 상기 끼움돌부(160)의 유격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축부(120)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303)이 형성되는 판재(320)와, 상기 판재(320)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공(142) 또는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끼움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끼움부재(34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공(142)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더 나아가서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까지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끼움홈(220)의 빈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끼움부재(340)는 상기 끼움공(142)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42)에 끼움결합된다.
도 1, 도 2,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재(340)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제3빗변(343)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162)의 수직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언록킹(unlocking)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에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돌부(160)가 삽입된 후 일 방향으로 약간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빗변(221)과 상기 제2빗변(164)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아직 상기 축부(1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끼움부재(340)가 외측으로 이탈된 상태이므로 언록킹 상태인 것이다.
이후 도 3의 (b)를 참조하면, 록킹(locking)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축부(120)를 타고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끼움부재(34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끼움공(142)을 관통한 후 상기 록킹부(200)의 상기 끼움홈(220)에 결합됨으로써 유격이 없는 상태가 되어 상기 록킹부(200), 상기 몸체부(100), 상기 고정부재(300)가 일체화되어 회전장치(A)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장치(A)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120)에 상기 동력발생부(60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장치(A)가 회전되므로 상기 록킹부(200)에 부착된 상기 피회전부재(700)가 회전됨으로써 연마 또는 절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빗변(164)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62)는, 상기 제2빗변(164)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486)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486)는, 상기 록킹부(200)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가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2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몸체부(100)가 제2빗변(464)의 상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부(486)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486)는 제2빗변(464)의 상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86)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시 상기 록킹부(200)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200)의 이탈을 방지하여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변형에 의한 부품간의 유격을 감소시켜,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빗변(464)의 상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486)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3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564)이 상기 제2빗변(5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586)가 상기 고정부(5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상기 제2빗변(564)은 상기 제2빗변(5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계단형상으로 층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빗변(564)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에 계단형상의 두 개의 층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중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586)는 상기 고정부(9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상기 제2빗변(564)과 유사하게 계단형상으로 층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586)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에 계단형상의 두 개의 층이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586)와 공기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4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664)이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2빗변(664)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686)가 상기 고정부(686)의 중심을 향해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상기 제2빗변(664)은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2빗변(664)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빗변(664)은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 간의 변형을 감소시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 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는 ‘ㅅ’자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686)는 상기 고정부(686)의 중심을 향해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686)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686)와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5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764)이 상기 제2빗변(7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786)가 상기 고정부(7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 상기 제3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4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상기 제2빗변(764)은 상기 제2빗변(7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상기 제2빗변(764)이 돌출 및 침하되어 경사지게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변형에 의한 부품간의 유격을 더욱 감소시키고,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786)는 상기 고정부(7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경사진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786)는 상기 고정부(786)와 공기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6실시예는 상기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864)이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과 고정부(886)가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6실시예에서 상기 제4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4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상기 제2빗변(864)은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빗변(864)은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부품의 마모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886)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886)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886)와 공기간의 공기저항을 더욱 감소시켜, 부품의 마모를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고속 회전이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7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빗변(964)과 고정부(986)가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요철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7실시예에서 상기 제3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먼저, 상기 제2빗변(964)은 상기 제2빗변(96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돌출되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빗변(964)은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하여 회전 구동시, 변형에 의한 부품간의 유격을 감소시켜 더욱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며, 부품의 마모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요철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986)는 상기 고정부(98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침하되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986)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록킹부(20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고정부(986)와 공기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며,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 : 작업공구용 회전장치
100 : 몸체부
120 : 축부
140 : 지지판
160 : 끼움돌부
162 : 돌기
164 : 제2빗변
200 : 록킹부
221 : 제1빗변
300 : 고정부재
320 : 판재
340 : 끼움부재
486 : 고정부
100 : 몸체부
120 : 축부
140 : 지지판
160 : 끼움돌부
162 : 돌기
164 : 제2빗변
200 : 록킹부
221 : 제1빗변
300 : 고정부재
320 : 판재
340 : 끼움부재
486 : 고정부
Claims (5)
-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피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는 축부가 형성된 몸체부;
외측에 피회전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
상기 축부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부와 상기 몸체부의 잠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선단면은, 상기 돌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2빗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빗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면 일부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회전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록킹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은, 요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록킹부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상기 록킹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빗변은 요철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록킹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 전달력이 반경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용 회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4655A KR102182742B1 (ko) | 2019-01-14 | 2019-01-14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PCT/KR2019/001985 WO2020009305A1 (ko) | 2018-07-02 | 2019-02-19 | 회전력 전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4655A KR102182742B1 (ko) | 2019-01-14 | 2019-01-14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090A true KR20200088090A (ko) | 2020-07-22 |
KR102182742B1 KR102182742B1 (ko) | 2020-11-24 |
Family
ID=7189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4655A KR102182742B1 (ko) | 2018-07-02 | 2019-01-14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74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6427A (ko) | 2015-11-13 | 2017-05-23 | 주식회사 디엠씨 |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KR101773447B1 (ko) * | 2017-01-16 | 2017-08-31 | 주식회사 이엔큐원터치 | 핸드그라인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연마디스크 체결방법 |
KR101799465B1 (ko) * | 2016-12-16 | 2017-11-20 | 주식회사 미래텍 | 회전장치 |
KR101855860B1 (ko) * | 2017-05-02 | 2018-05-23 | 김다혜 | 회전장치 |
-
2019
- 2019-01-14 KR KR1020190004655A patent/KR1021827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6427A (ko) | 2015-11-13 | 2017-05-23 | 주식회사 디엠씨 |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KR101799465B1 (ko) * | 2016-12-16 | 2017-11-20 | 주식회사 미래텍 | 회전장치 |
KR101773447B1 (ko) * | 2017-01-16 | 2017-08-31 | 주식회사 이엔큐원터치 | 핸드그라인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연마디스크 체결방법 |
KR101855860B1 (ko) * | 2017-05-02 | 2018-05-23 | 김다혜 | 회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2742B1 (ko) | 2020-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794303A (en) | Power-driven hand tool | |
US6306024B1 (en) | Orbital tool | |
JP6625245B2 (ja) | 回転装置 | |
TWI418438B (zh) | 振盪式研磨機 | |
US8172650B2 (en) | Automatic shift dual-action tool | |
US6280309B1 (en) | Accessories and attachments for angle grinder | |
CN106607728B (zh) | 一种建筑用墙面施工打磨机 | |
US20080171498A1 (en) | Grinding Assemblies for use with Handheld Power Tools | |
CN112543694A (zh) | 罩和工具 | |
KR101949158B1 (ko)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
KR102015080B1 (ko) | 회전장치 | |
KR102052555B1 (ko)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
KR102097424B1 (ko) | 회전력 전달장치 | |
JP2006346773A (ja) | 手持ち研磨装置 | |
KR20200088090A (ko) |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 |
US6739963B1 (en) | Disk for grinding concrete | |
JP2003145405A (ja) | 吸引リングを有する軌道研磨機 | |
KR100901451B1 (ko) | 표면연마 머신의 플랩휠 결합구조 | |
CN218364017U (zh) | 一种研磨工具 | |
KR200356304Y1 (ko) |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 |
JP2000094342A (ja) | カップホイ−ル型砥石およびそれを具備した平面研削装置 | |
KR200371992Y1 (ko) | 회전 연마구 | |
JP3241965U (ja) | 刃物研磨装置 | |
US20220266412A1 (en) | Belt sander | |
AU695973B2 (en) | Accessories and attachments for angle gri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