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072A -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 Google Patents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072A
KR20210083072A KR1020190175683A KR20190175683A KR20210083072A KR 20210083072 A KR20210083072 A KR 20210083072A KR 1020190175683 A KR1020190175683 A KR 1020190175683A KR 20190175683 A KR20190175683 A KR 20190175683A KR 20210083072 A KR20210083072 A KR 2021008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pad
grinder
hole
locking means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986B1 (ko
Inventor
채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오
Priority to KR102019017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86B1/ko
Priority to PCT/KR2020/002501 priority patent/WO2020175853A1/ko
Publication of KR2021008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고정하고, 연마패드의 장착홀에 장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그라인더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개구된 형상의 가이드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의 상측 상부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의 결합홀 주위에는 한 쌍이 마주하는 반원형상의 회전유도턱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걸리는 상부걸림턱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누름턱이 형성되는 락킹수단; 상기 락킹수단과 결합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수단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회전유도턱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며, 양측에는 상기 하부누름턱까지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회전태그가 돌출 형성되는 안전편;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하부누름턱이 걸려 상기 락킹수단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태그를 잡고 상기 안전편을 회전시킨 후 상기 락킹수단을 누르면 상기 상부걸림턱이 장착홀로부터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Grinder holder that polishing pad can be attached or detached by one-action}
본 발명은 그라인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인더에 장착하는 것으로 한 번의 동작으로 연마패드나 커터를 그라인더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더는 모터나 공기압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그라인더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에 전달하며, 회전축에는 연마디스크, 연마패드와 같은 연마공구 또는 원형 커터가 결합되어 공작물의 표면을 절삭 가공하거나 절단할 때 사용한다.
그라인더는 다량의 가공물을 정해진 위치에 놓고 고정시킨 상태로 연마작업을 하는 고정형 그라인더와 여러 장소로 이동하고 소형, 소량의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형 그라인더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편리한 휴대형 그라인더가 많이 사용되는데, 휴대형 그라인더는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면 연마공구가 마모되므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수시로 다른 크기나 종류의 연마공구로도 교체하게 된다.
이러한 핸드 그라인더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56304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기술은, 연마판이 장착되는 헤드를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끼워넣고 고정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스패너 등의 별도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너트를 조이거나 풀어내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연마판의 교체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고 협소공간 및 고소 작업시에 교체 가능한 장소로 이동하는 등 작업의 연속성이 어려워 작업능률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373648호나 제0376952호 공보에는 커플러의 원주 상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를 장착하여 록킹볼을 출몰시키는 것에 의해 연마공구를 원터치 방식으로 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에 록킹볼이 연마공구의 끝단부에 형성된 요홈 내로부터 출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라인딩 작업시의 고속 회전하는 연마공구에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그라인더 작업시 대체로 평탄한 표면에서는 그라인딩 작업에 있어 문제가 없으나, 굴곡이 있는 곡면 또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스프링에 진동이 전달되어 연마공구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상기 연마공구의 원주 상에 형성된 3개의 돌기에 의지하여 커플러와의 밀착력을 유지하는 구조이므로 어느 정도 힘이 실리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동력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마찰력 혹은 미세 진동 등에 의해 결속력이 떨어져 작업자에게 커다란 심리적인 불안감을 야기시킨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7521(2019.10.22.)"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가 있다.
상기 특허가 종래의 문제를 대부분 해결했으나 실제 연마공구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만일의 경우 장착된 연마공구가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데 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6304(2004.7.6)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73648(2005.1.10)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3563(2017.9.25) "원터치 홀더용 고정부를 장착한 연마디스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0082(2018.9.12)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92966(2018.8.23) "연마공구 장착 유닛"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동작으로 연마디스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안전수단이 구비된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는,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고정하고, 연마패드의 장착홀에 장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그라인더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개구된 형상의 가이드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의 상측 상부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의 결합홀 주위에는 한 쌍이 마주하는 반원형상의 회전유도턱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걸리는 상부걸림턱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누름턱이 형성되는 락킹수단; 상기 락킹수단과 결합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수단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회전유도턱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며, 양측에는 상기 하부누름턱까지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회전태그가 돌출 형성되는 안전편;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하부누름턱이 걸려 상기 락킹수단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태그를 잡고 상기 안전편을 회전시킨 후 상기 락킹수단을 누르면 상기 상부걸림턱이 장착홀로부터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는 엣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턱의 내측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회전유도턱 사이에 인입되며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엣지홈에 인입되어 상기 안전편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가이드로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로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누름턱과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누름턱으로 구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고 상단에 외측으로 상부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걸림턱이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몸체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압축스프링의 양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연마패드의 장착홀에 삽입될 수 있는 장착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하다. 즉, 연마패드 장착시 연마패드를 눌러주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부착이 가능하고, 연마패드 탈착시 누름부를 눌러주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므로 매우 교체가 편리하다.
둘째, 안전편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장착된 연마패드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이탈할 위험이 전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마패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편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하부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편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마패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장착한 상태에서 한 번의 동작으로 연마패드를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연마패드라 함은 가공물을 연마, 절삭 또는 절단하기 위해 그라인더 홀더에 장착하는 연마공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연마디스크, 절삭패드, 커팅날, 원형톱 등을 포괄하는 용어임을 일러둔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크게 본체(100), 락킹수단(200), 압축스프링(300), 안전편(400) 및 커버판(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토션스프링(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본체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중앙에는 그라인더의 회전축(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110)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그라인더의 회전축과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0)의 결합홀(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가이드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로(120)는 일정폭을 가지고 외향 개구된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로(120)는 상기 결합홀(110)을 중심으로 한 쌍이 양측에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관통홀(13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0)은 상기 가이드로(120)와 연통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로(12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0)은 후술하는 락킹수단(200)의 락킹부(230)가 관통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130)의 전후폭은 상기 락킹부(23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230)가 전후(본체의 반경방향)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30)의 하부면 양측으로 단턱(140)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140)은 상기 락킹수단(200)의 몸체부(210)가 안착되어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210)가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준다.
또한, 상기 결합홀(110)의 외주, 달리 말하면, 상기 관통홀(13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압축스프링(3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60)은 상기 가이드로(12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의 중앙에는 회전유도턱(18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유도턱(180)은 후술하는 상기 토션스프링(500)의 설치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유도턱(180)은 반원형상을 이루고 한 쌍이 상기 결합홀(11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회전유도턱(180)은 상기 결합홀(110)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턱(18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이격되어 상기 토션스프링(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81)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커버판(60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켓(19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턱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커버판(600)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닫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의 상기 가이드로(120) 사이에는 후술하는 상기 안전편(400)의 회전태그(440)가 인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리미트홈(1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락킹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락킹수단(200)은 상기 가이드로(120)에 수용되어 전후진 가능하게 움직이면서, 연마패드(10)를 락킹시킴으로써 장착하거나 언락킹시켜 탈착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는데, 몸체부(210), 누름부(220), 락킹부(230)를 포함해서 구성되며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ㄴ'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0)는 대략 직육면체의 블럭형상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로(120)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커버판(600)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으로 이탈하지 않고, 좌우는 상기 가이드로(120)의 좌우측면에 의해 안내되며, 양단이 상기 본체(100)의 단턱(140)에 안착되어 걸린 상태가 되어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0)의 전방에는 상기 압축스프링(3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0)의 고정홈(211)은 상기 본체(100)의 고정홈(160)과 마주하며 동일축선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는 누름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20)는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고, 상기 몸체부(21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120)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노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누름턱(221)과, 상기 몸체부(2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누름턱(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220)는 상기 가이드로(12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걸리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에는 수직으로 락킹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부(230)는 상기 관통홀(130)을 관통하여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230)의 상단은 상부걸림턱(231)이 형성되어 '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걸림턱(231)은 외측, 다시 말해서 상기 누름부(220)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걸림턱(231)의 폭은 연마패드(10)의 장착홀(11)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걸림턱(231)이 연마패드(10)의 장착홀(11)을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상부걸림턱(231)의 일측면에는 경사면(23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32)은 상기 락킹부(230)가 상기 장착홀(11)을 통과할 때 상기 장착홀(11)의 내주면이 상기 경사면(232)을 누르면서 상기 락킹부(230)가 후진하면서 상기 상부걸림턱(231)이 상기 장착홀(11)에 쉽게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스프링(300)은 상기 락킹수단(200)의 몸체부(210)와 상기 본체(100)의 관통홀(130)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수단(200)을 탄성 지지한다.
상기 압축스프링(300)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스프링(30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본체(100)의 고정홈(160)과 몸체부(210)의 고정홈(211)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좌우로 요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압축스프링(300)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210)를 밀고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가이드로(120)의 최외각으로 후퇴하지만, 상기 관통홀(130)에 상기 락킹부(230)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후퇴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220)를 누르면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결합홀(110)을 향해 전진하게 되면서 상기 락킹부(230)도 상기 결합홀(110) 측으로 인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장착돌기(17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돌기(170)는 상기 락킹수단(200)과 더불어 연마패드(10)의 장착홀(11)에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장착돌기(170)와 락킹수단(200)의 수에 대응하여 연마패드(10)에 장착홀(11)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수단(20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장착돌기(170)도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연마패드(10)의 장착홀(11)은 4개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수단(200)은 연마패드(10) 장착시 홀더에 락킹시켜 이탈하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것이고, 더불어 상기 장착돌기(170)는 연마패드(10)의 흔들림이나 회전진동 등을 방지하고 연마패드(10)를 확실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안전편(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편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하부평면도이다.
상기 안전편(400)은 연마패드(10)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할 때 상기 락킹수단(200)이 전진하여 언락킹되는 만일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즉, 상기 안전편(400)은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수단(200)이 전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전편(400)의 중앙에는 원형의 삽입홀(4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홀(410)에는 상기 회전유도턱(180)이 삽입, 수용된다. 즉, 상기 삽입홀(410)의 내경은 상기 회전유도턱(180)이 형성하는 외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 상기 삽입홀(410)의 양측에 엣지홈(4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엣지홈(420)은 상기 삽입홀(410)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편(400)의 가장자리 양측에는 고정돌기(4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30)의 길이는 상기 하부누름턱(222)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430)가 상기 하부누름턱(222)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하부누름턱(222)이 상기 고정돌기(430)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락킹수단(200)이 전진하는 것을 강제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안전편(400)의 일측에는 회전태그(4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태그(440)도 돌출된 형상일 수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태그(44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안전편(4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리미트홈(150)에 인입되고, 외측으로 노출될 정도고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태그(440)는 상기 리미트홈(150)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다음으로 토션스프링(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500)은 상기 안전편(400)을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토션스프링(500)은 도 3,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단이 절곡된 제1절곡부(510)와 제2절곡부(520)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500)은 상기 회전유도턱(18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스토퍼(181)와 회전유도턱(180)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500)의 제1절곡부(510)는 상기 회전유도턱(180)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제2절곡부(520)는 상기 제1절곡부(510)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 연장되어 상기 엣지홈(420)에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편(400)이 회전하면, 상기 제1절곡부(510)는 상기 회전유도턱(180)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제2절곡부(520)는 상기 엣지홈(420)에 걸려 상기 안전편(400)이 원위치로 복귀되려는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즉, 상기 안전편(400)은 일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상기 토션스프링(5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판(6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를 덮어 닫는 구성이다.
상기 커버판(600)은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소켓(190)에 끼울 수 있는 끼움돌기(610)가 상기 커버판에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끼움턱(미도시)에 상기 커버판(600) 전체를 억지 끼움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판(6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가이드로(120)에 락킹수단(200)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되게 하고, 상기 안전편이 내부에 고정되게 한다.
이하에서 도 6,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편의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연마패드(1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상기 연마패드(10)의 장착홀(11)이 각각 상기 상부걸림턱(231)과 장착돌기(170)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연마패드(10)를 누른다.
그런데 누르기 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안전편(400)의 회전태그(440)를 손가락을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안전편(40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안전편(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누름턱(222)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돌기(4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누름턱(222)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패드(10)를 누르면, 상기 장착홀(11)이 상기 상부걸림턱(231)의 경사면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압축스프링(300)은 압축되면서 상기 락킹부(230)가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1)이 상기 상부걸림턱(231)의 하측에 진입하면 상기 압축스프링(300)이 팽창되면서 상기 락킹부(230)는 다시 후진한다. 결국, 상기 상부걸림턱(231)이 상기 장착홀(11)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연마패드(10)는 홀더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태그(440)를 잡고 상기 안전편(400)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돌기(430)가 상기 하부누름턱(222)에 위치하여 상기 락킹수단(200)의 전진을 차단한다. 즉, 연마패드(10)가 고속 회전하더라도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만일, 상기 토션스프링(500)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편(400)은 상기 토션스프링(5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원위치로 복귀하려고 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손가락으로 상기 회전태그(44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연마패드(10)를 눌러 상기 락킹수단(200)을 전진시킴으로써 홀더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태그(440)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상기 안전편()은 자동으로 역회전하여 상기 고정돌기(430)가 상기 누름턱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연마패드를 탈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연마패드(10)를 탈착하는 과정도 역시 도 7과 같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회전태그(440)를 잡고 상기 안전편(400)을 돌린 상태에서 상기 락킹수단(200)의 누름부(220)를 누르면 상기 몸체부(210)가 슬라이딩 되면서 전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걸림턱(231)이 이동하므로 상기 장착홀(11)에 걸려 있던 상기 상부걸림턱(231) 이탈하면서 탈착된다.
만일, 토션스프링(500)이 있는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회전태그(44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220)를 눌러 연마패드(10)를 탈착할 수 있다.
탈착 후 상기 회전태그(440)를 놓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편(400)은 상기 토션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즉, 본 발명은 연마패드(10) 장착시 연마패드(10)를 한 번 눌러주는 동작으로 장착이 되고, 탈착시 상기 누름부(220)를 한 번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므로 원터치로 연마패드(10)의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그리고 안전편(40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연마패드(10)의 고속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연마패드(10)가 홀더로부터 이탈하는 위험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연마패드 11 : 장착홀
100 : 본체 110 : 결합홀
120 : 가이드로 130 : 관통홀
140 : 단턱 150 : 리미트홈
160 : 고정홈 170 : 장착돌기
180 : 회전유도턱 181 : 스토퍼
190 : 소켓
200 : 락킹수단
210 : 몸체부 211 : 고정홈
220 : 누름부 221 : 상부누름턱
222 : 하부누름턱 230 : 락킹부
231 : 상부걸림턱 232 : 경사면
300 : 압축스프링
400 : 안전편
410 : 삽입홀 420 : 엣지홈
430 : 고정돌기 440 : 회전태그
500 : 토션스프링
510 : 제1절곡부 520 : 제2절곡부
600 : 커버판 610 : 끼움돌기

Claims (5)

  1.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고정하고, 연마패드의 장착홀에 장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그라인더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개구된 형상의 가이드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의 상측 상부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의 결합홀 주위에는 한 쌍이 마주하는 반원형상의 회전유도턱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걸리는 상부걸림턱이 형성되며, 타측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누름턱이 형성되는 락킹수단;
    상기 락킹수단과 결합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수단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회전유도턱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며, 양측에는 상기 하부누름턱까지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회전태그가 돌출 형성되는 안전편;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하부누름턱이 걸려 상기 락킹수단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태그를 잡고 상기 안전편을 회전시킨 후 상기 락킹수단을 누르면 상기 상부걸림턱이 장착홀로부터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는 엣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턱의 내측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회전유도턱 사이에 인입되며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엣지홈에 인입되어 상기 안전편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가이드로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로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누름턱과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누름턱으로 구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고 상단에 외측으로 상부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걸림턱이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몸체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압축스프링의 양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연마패드의 장착홀에 삽입될 수 있는 장착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1020190175683A 2019-02-25 2019-12-26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10227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83A KR102276986B1 (ko) 2019-12-26 2019-12-26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PCT/KR2020/002501 WO2020175853A1 (ko) 2019-02-25 2020-02-20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83A KR102276986B1 (ko) 2019-12-26 2019-12-26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072A true KR20210083072A (ko) 2021-07-06
KR102276986B1 KR102276986B1 (ko) 2021-07-12

Family

ID=7223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683A KR102276986B1 (ko) 2019-02-25 2019-12-26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6986B1 (ko)
WO (1) WO20201758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549A1 (ko) * 2022-04-04 2023-10-12 이상문 원터치로 탈장착되는 디스크형 그라인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897B1 (ko) * 2022-02-12 2022-04-08 남창열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304Y1 (ko) 2004-04-02 2004-07-15 신건서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KR200373648Y1 (ko) 2004-09-13 2005-01-26 (주)삼화기업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KR20100008489A (ko) * 2008-07-16 2010-01-26 김경진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홀더 착탈장치
KR101783563B1 (ko) 2016-12-21 2017-10-10 이우영 산업용 설비의 안전변 테스트 장치
KR101900082B1 (ko) 2018-05-14 2018-09-18 최승용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KR101892966B1 (ko) 2018-03-19 2018-10-04 박재형 연마공구 장착 유닛
KR102037521B1 (ko) * 2018-12-28 2019-10-29 채성덕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WO2020045955A1 (ko) * 2018-08-27 2020-03-05 김점용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20200132188A (ko) * 2019-05-16 2020-11-25 박효주 원터치 방식으로 조우와 연마패드가 체결되는 그라인딩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557A (ja) * 1992-12-25 1994-08-30 Hitachi Koki Co Ltd 砥石取付け用固定側フランジ
DE10017981A1 (de) * 2000-04-11 2001-10-25 Bosch Gmbh Robert Werkzeugaufnahme
US6523214B1 (en) * 2000-06-14 2003-02-25 Richard A. Kaiser Quick mount attachment for rotary finishing tool
CN201659484U (zh) * 2010-04-01 2010-12-01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砂光机底板快换结构
NO2884309T3 (ko) * 2013-08-01 2018-09-08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304Y1 (ko) 2004-04-02 2004-07-15 신건서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KR200373648Y1 (ko) 2004-09-13 2005-01-26 (주)삼화기업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KR20100008489A (ko) * 2008-07-16 2010-01-26 김경진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홀더 착탈장치
KR101783563B1 (ko) 2016-12-21 2017-10-10 이우영 산업용 설비의 안전변 테스트 장치
KR101892966B1 (ko) 2018-03-19 2018-10-04 박재형 연마공구 장착 유닛
KR101900082B1 (ko) 2018-05-14 2018-09-18 최승용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WO2020045955A1 (ko) * 2018-08-27 2020-03-05 김점용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102037521B1 (ko) * 2018-12-28 2019-10-29 채성덕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20200132188A (ko) * 2019-05-16 2020-11-25 박효주 원터치 방식으로 조우와 연마패드가 체결되는 그라인딩기기
KR102186300B1 (ko) * 2019-05-16 2020-12-03 박효주 원터치 방식으로 조우와 연마패드가 체결되는 그라인딩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549A1 (ko) * 2022-04-04 2023-10-12 이상문 원터치로 탈장착되는 디스크형 그라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5853A1 (ko) 2020-09-03
KR102276986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521B1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JP6625245B2 (ja) 回転装置
KR102276986B1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100973157B1 (ko)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홀더 착탈장치
AU2024203528A1 (en) Grinding means device, in particular grinding-disc device or backup-pad device
US11253969B2 (en) Belt sander having fast-lift cover structure
KR101900082B1 (ko)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CN112008567B (zh) 电动工具
EP1371450A1 (en) A power tool with a clamping device for axially securing a disk shaped tool
WO2019041393A1 (zh) 研磨抛光机构
US5560271A (en) Hand wheel engagement/disengagement mechanism for drive selection in a brake lathe
KR101005987B1 (ko)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KR101786194B1 (ko) 소도구 날 연마장치
CA2467480A1 (en) Spindle lock for an orbital abrading or polishing tool
CN220074286U (zh) 一种用于机械配件的加工打磨装置
CN210060808U (zh) 研磨机
KR101056036B1 (ko) 그라인더용 연마공구의 탈, 부착장치
US20090280733A1 (en) Assembly/disassembly structure of upstanding grinding axle
JP3117368U (ja) ハンドグラインダーの研磨ホルダー着脱構造
US5500989A (en) Sliding chip guard for a brake lathe
KR20160117873A (ko) 멀티커터 블레이드 탈부착 구조
KR101221509B1 (ko) 커터 공구
JP5217031B2 (ja) ドリルチャック及びドリル研磨機
KR101868826B1 (ko) 성형연삭용 숫돌고정 플랜지 홀더
KR200376952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