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043B1 -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043B1
KR101851043B1 KR1020150072117A KR20150072117A KR101851043B1 KR 101851043 B1 KR101851043 B1 KR 101851043B1 KR 1020150072117 A KR1020150072117 A KR 1020150072117A KR 20150072117 A KR20150072117 A KR 20150072117A KR 101851043 B1 KR101851043 B1 KR 10185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wiring
electrically connected
longitudinal dir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022A (ko
Inventor
도시노리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axial heat part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03G15/2089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95Heating devices in the form of ro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히터는 제1 및 제2 단자에 각각 접속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인접한 전극 사이의 발열부; 제1 전극과 접속되는 제1 배선으로서,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제1 배선, 제1 발열 영역에서 발열부와 접속된 제2 전극과 접속되는 제2 배선 및 제2 발열 영역에서 발열부와 접속된 제2 전극과 접속되는 제3 배선을 포함하고, 제2 배선은 제2 배선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제2 배선과 제3 배선 사이의 간격은 폭 방향으로 제1 배선과 제2 배선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Description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HEATER AND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상의 화상을 가열하는 히터 및 이를 구비한 화상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화상 가열 장치는, 예를 들어 복사기, 프린터, 팩스 및 이들 기능 중 복수를 구비한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다.
시트 상에 토너의 화상을 형성하고, 이것을 정착장치(화상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 가압함으로써 시트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착장치에서, 얇은 가요성 벨트 내면에 발열체(히터)를 접촉시켜서 벨트에 열을 부여하는 유형의 정착장치가 최근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2-37613호 공보). 이러한 정착장치는 구성이 낮은 열용량을 갖고, 따라서, 정착 동작이 가능한 수준까지의 온도 상승이 빠르다.
이런 정착 장치는 이러한 구조가 낮은 열 용량을 가지고, 따라서, 정착 작업이 가능한 온도까지 빠르게 상승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16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12-37613호에 개시된 히터의 회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 장치는 기판(10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전극(1027)(1027a 내지 1027f)과 저항 발열층(1025)을 포함하고, 전극을 통해 저항 발열층(1025)(1025a 내지 1025e)에 전원이 공급되어 저항 발열층이 열을 생성한다.
이 정착 장치에서는 각 전극이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층(1029)(1029a, 1029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층은 기판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연장하고, 배선 부재에 의해 전원 회로와 접속된다. 특히, 복수의 전극과 접속된 배선층(1029d), 전극(1027b)과 접속된 배선층(1029h) 및 전극(1027d)과 접속된 배선층(1029g)은 기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배선층(1029d)과 접속된 복수의 전극은 전극(1027a, 1027c, 1027e, 1027g, 1027i, 1027k, 1027m, 1027o)이다. 복수의 전극과 접속된 배선층(1029c), 전극(1027q)과 접속된 배선층(1029i) 및 전극(1027s)과 접속된 배선층(1029j)은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배선층(1029c)과 접속된 복수의 전극은 전극(1027f, 1027h, 1027j, 1027l, 1027n, 1027p, 1027r, 1027t)이다.
기판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전극(1027a)과 배선층(1029g 및 1029h)은 각각 배선 부재에 접속될 수 있다. 기판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서, 전극(1027f)과 배선층(1029i, 1029j)은 각각 배선 부재에 접속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배선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층으로 피복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전극(1027a, 1027t) 및 배선층(1029g, 1029h, 1029i, 1029j)이 노출된다. 전극(1027a, 1027t)과 배선층(1029g, 1029h, 1029i, 1029j)의 노출된 부분들과 접촉하는 배선 부재에 의해, 발열체(1006)가 전원 회로에 접속된다.
전원 회로는 교류 전원과 스위치(1033)(1033e, 1033f, 1033g, 1033h)를 포함하고, 그 조합 조작에 의해 히터 통전 패턴이 제어된다. 즉, 각 배선층(1029)은 전원 회로의 접속 패턴에 따라서 전원 접점(1031b)이나 전원 접점(1031a) 중 하나에 접속된다. 이런 구조에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12-37613호의 정착장치는 시트의 폭 크기에 따라 발열 저항층(1025)의 발열 영역의 폭을 변경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37613호의 정착 장치는 배선에 대한 개선점을 포함한다. 기판 상의 배선층이 접속되는 전원 접점(1031a 또는 1031b)이 전원 회로의 접속 패턴에 따라서 변하고 따라서, 큰 전위차가 인접한 배선층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06)가 최대 크기(폭) 시트를 위해 발열할 때, 배선층(1029i) 및 배선층(1029j)은 전원 접점(1031a)에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층(1029i) 및 배선층(1029j)의 전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발열체(1006)가 중간 크기(폭) 시트를 위해 발열할 때, 배선층(1029i)은 전원 접점(1031a)에 접속되고, 배선층(1029j)은 전원 접점(1031b)과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층(1029i)과 배선층(1029j) 사이에 큰 전위차가 생성된다.
인접한 배선층은 그 사이의 단락을 유발하지 않도록 절연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그 사이에 간격이 요구된다. 단락은 배선 사이의 전위차가 클 때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배선층 사이의 전위차가 클 때 절연 보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사이에 큰 전위차의 가능성이 있는 배선 사이의 간격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배선층(1029i)과 배선층(1029j) 사이의 간격은 크다. 이는 기판(1021) 상에 배선층을 제공하는 간격이 넓어지게 하며, 이는 기판의 폭이 커지게 한다. 이 때문에, 기판(1021)의 확대와 히터(600) 비용의 증가가 발생한다. 발열 영역의 폭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히터가 바람직하다. 기판 상의 배선으로부터 초래되는 폭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폭의 증가가 억제되는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구비하는 급전부와 시트 상의 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엔드리스 벨트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히터가 제공되며, 상기 히터는 상기 벨트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벨트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히터는 기판;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부로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는 인접한 전극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부; 인접한 전극부 사이의 급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인접한 전극부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배선부로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제1 배선부 자체와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발열 영역에서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부로서, 상기 제2 배선부는 폭 방향으로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배선부; 및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발열 영역에서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배선부로서, 상기 제3 배선부는 폭 방향으로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폭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의 폭 방향으로의 간격보다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화상 가열 장치가 제공되며, 이 화상 가열 장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구비하는 급전부; 시트 상의 화상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벨트 내측에 제공된 기판;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부로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는 인접한 전극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부; 인접한 전극부 사이의 급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인접한 전극부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배선부로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제1 배선부 자체와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발열 영역에서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부로서, 상기 제2 배선부는 폭 방향으로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배선부; 및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발열 영역에서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배선부로서, 상기 제3 배선부는 폭 방향으로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최대폭을 갖는 시트가 가열될 때,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를 포함하는 모든 배선부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발열부 모두가 발열하고, 상기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시트가 가열될 때,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제1 배선부와 일부 상기 배선부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발열부의 일부가 발열하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제1 전극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가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가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히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가열 장치의 구성 관계를 예시한다.
도 6은 커넥터를 예시한다.
도 7은 하우징을 예시한다.
도 8은 콘택트 단자를 예시한다.
도 9는 실시예 1의 기판 상의 배선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가열 장치의 구성 관계를 예시한다.
도 11은 실시예 2의 기판 상의 배선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화상 가열 장치의 구성 관계를 예시한다.
도 13은 실시예 1의 기판 상의 배선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기판 상의 배선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히터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히터의 회로도이다.
도 17은 히터와 함께 사용되는 발열 유형의 예시도 (a) 및 히터와 함께 사용되는 발열 영역을 위한 전환 유형의 예시도 (b)이다.
도 18은 커넥터의 장착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예로서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이 레이저 빔 프린터를 간단히 프린터라 칭한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인 프린터(1)의 단면도이다. 프린터(1)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10)과 정착 장치(40)를 포함하고, 감광 드럼(11)에 형성한 토너 화상이 시트 P에 전사되고 시트 P에 정착되어, 시트 P에 화상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는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Bk(블랙)의 각 색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10)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스테이션(10)은 좌측부터 순서대로 Y, M, C, Bk의 색에 대응한 각각의 감광 드럼(11)(11Y, 11M, 11C, 11Bk)을 구비하고 있다. 각 감광 드럼(11)의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유사한 요소들이 제공된다: 대전기(12)(12Y, 12M, 12C, 12Bk); 노광 장치(13)(13Y, 13M, 13C, 13Bk); 현상 장치(14)(14Y, 14M, 14C, 14Bk); 1차 전사 블레이드(17)(17Y, 17M, 17C, 17Bk) 및 클리너(15)(15Y, 15M, 15C, 15Bk). Bk색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서 대표해서 설명하고, 타색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호를 사용해서 기재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요소들은 감광 드럼(11), 대전기(12), 노광 장치(13), 현상 장치(14), 1차 전사 블레이드(17), 클리너(15)이라고 칭한다.
전자 사진 감광체로서의 감광 드럼(11)은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 방향(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 드럼(11)의 주위에는, 대전기(12), 노광 장치(13), 현상 장치(14), 1차 전사 블레이드(17) 및 클리너(15)가 기재 순서대로 제공된다.
감광 드럼(11)의 표면은 대전기(12)에 의해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그후, 감광 드럼(11)은 화상 정보에 따라서 노광 장치(13)에 의해 레이저 빔에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4)에 의해 Bk색의 토너 화상이 된다. 이때 다른 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공정이 행해진다.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1)으로부터 1차 전사 블레이드(17)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1차 전사). 1차 전사 후, 감광 드럼(11)에 남은 토너는, 클리너(15)에 의해 제거된다. 이렇게 해서, 감광 드럼(11)의 표면은 다음 화상을 위해 준비되도록 청정해진다.
한편, 급송 카세트(20) 또는 멀티 급송 트레이(25)에 놓인 시트 P는, 급송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픽업되고 한 쌍의 정합 롤러에 급송된다. 시트 P는 그 표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시트 P의 구체적 예로서, 보통지, 두꺼운 종이, 수지제 시트, 영사기용 필름 등이 있다. 정합 롤러 쌍(23)은 사행 급송을 교정하기 위해 시트 P를 일단 정지시킨다. 그후, 정합 롤러(23)는 중간 전사 벨트(31) 상의 토너 화상과 동기화하여, 시트 P를 중간 전사 벨트(31)와 2차 전사 롤러(35)의 사이로 급송한다. 롤러(35)는 벨트(31)로부터의 컬러의 토너 화상을 시트 P에 전사한다. 그 후, 시트 P는 정착장치(화상 가열 장치)(40)로 급송된다. 정착장치(40)는 시트 P상의 토너 화상 T 를 가열, 가압해서 시트 P에 정착한다.
[정착장치]
프린터(1)에 사용되는 화상 가열 장치인 정착장치(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정착장치(4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정착장치(4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정착장치(40)의 구성 관계를 예시한다.
정착장치(40)는, 히터 유닛(60)(유닛(60))에 의해 시트상의 화상을 가열하는 화상 가열 장치이다. 유닛(60)은 가요성의 얇은 정착 벨트(603)와, 벨트(603)를 가열하기 위해 벨트(603)의 내면에 접촉하는 히터(600)를 포함한다(저 열용량 구조). 따라서, 벨트(603)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정착 개시 시의 신속한 온도 상승이 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603)는 히터(600)와 가압 롤러(70)(롤러(70))에 끼움 지지되고, 이에 의해, 닙부 N이 형성된다. 벨트(603)는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 도 2)으로 회전하고, 롤러(70)는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 도 2)(29)으로 회전하여, 닙부 N에 공급된 시트 P를 끼움 지지해서 급송한다. 이때, 히터(600)의 열이 벨트(603)를 통해 시트 P에 부여되기 때문에 시트 P상의 토너 화상 T는 닙부 N에서 가열 및 가압되고, 그래서, 이 열 및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이 시트 P에 정착된다. 정착 닙부 N을 통과한 시트 P는 벨트(603)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정착 처리가 행하여진다. 정착장치(4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닛(60)은 시트 P상의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하기 위한 유닛이다. 유닛(60)의 길이 방향은 롤러(7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다. 유닛(60)은 히터(600)와, 히터 홀더(601)와, 지지 스테이(602)와, 벨트(603)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600)는 벨트(603)의 내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접촉해서 벨트(603)을 가열하는 가열 부재이다. 히터(600)는 닙부 N의 폭이 원하는 폭이 되게, 벨트(603)를 그 내면측으로부터 롤러(70)를 향해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600)의 치수는 폭(도 2의 좌우 방향으로 측정된 치수)이 5 내지 20mm이고, 길이(도 2의 전후 방향으로 측정된 치수)가 350 내지 400mm이며, 두께가 0.5 내지 2mm이다. 히터(600)는 시트 P의 급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시트 P의 폭 방향)으로 세장형인 기판(610)과, 저항 발열체(620)(발열체(620))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600)는 히터 홀더(601)의 하면에 히터 홀더(60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603)와 미끄럼 접촉하지 않는 기판(610)의 이면측에 발열체(620)가 제공되어 있지만, 발열체(620)는 벨트(603)와 활주 접촉하는 기판(610)의 전면측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발열체(620)의 비 발열부에 의해 유발되는 비균일 열적용을 방지하기 위한 견지에서 기판(610)의 균일한 가열 효과가 얻어지는 기판(610)의 이면 측에 발열체(620)를 제공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히터(600)의 세부 사항을 후술한다.
벨트(603)는 시트상의 화상을 닙부 N에서 가열하는 원통 형상(엔드리스)의 벨트(필름)이다. 벨트(603)는 예를 들어 기재(603a)와, 기재 위의 탄성층(603b)과, 탄성층(603b) 위의 이형층(603c)을 포함한다. 기재(603a)는 스테인리스나 니켈 등의 금속재료나,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 수지 등이 사용된다. 탄성층(603b)은 실리콘 고무, 불소 함유 고무 등의 탄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층(603c)은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벨트(603)는 외경이 약 30mm, 길이(도 2의 전후방향으로 측정된 치수)가 약 330mm, 두께가 약 30㎛인 치수를 가지고, 기재(603a)의 재료는 니켈이다. 기재(603a) 위에 두께 약 400㎛의 실리콘 고무의 탄성층(603b)이 형성되고, 두께 약 20㎛의 불소 수지 튜브(이형층(603c))가 탄성층(603b)을 피복하고 있다.
기판(610)의 벨트 접촉면은 활주층(603d)으로서 두께 약 10㎛의 폴리이미드 층이 제공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층을 설치한 경우, 정착 벨트(603)와 히터(600)의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저감해서 벨트(603) 내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활주성을 높이기 위해서, 벨트 내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히터 홀더(601)(홀더(601))는 히터(600)를 벨트(603)의 내면을 향해서 가압한 상태로 히터(600)를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601)는 반원호 형상 단면(도 2의 표면)을 가지며, 벨트(603)의 회전 궤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601)는 내열성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이는 듀퐁사의 Zenite 7755(상품명)이다.
지지 스테이(602)는 홀더(601)를 거쳐서 히터(600)를 지지한다. 지지 스테이(602)는 높은 압력이 인가되어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예에서, 이는 SUS304(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602)는 그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서, 좌우의 플랜지(411a, 411b)에 지지되고 있다. 플랜지들(411a, 411b)은 간단히 플랜지(411)라 지칭될 수 있다. 플랜지(411)는 벨트(603)의 길이 방향 이동 및 벨트(603)의 둘레 방향의 구조를 규제하고 있다. 플랜지(411)는 내열성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는 PPS(폴리페닐렌술피드)이다.
플랜지(411a)와 가압 아암(414a)의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415a)이 압축된다. 또한, 플랜지(411b)와 가압 아암(414b)의 사이에도 가압 스프링(415b)이 압축된다. 가압 스프링들(415a, 415b)은 간단히 가압 스프링(415)이라 지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플랜지(411) 및 지지 스테이(602)를 거쳐 가압 스프링(415)의 탄성력이 히터(600)에 전해진다. 벨트(603)는 롤러(70)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되어, 소정 니부 폭을 갖는 닙부 N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력은 일단부측이 약 156.8N이고, 총가압력이 약 313.6N(32 kgf)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700)는 히터(600)에 급전을 행하기 위해서 히터(6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급전 부재로서 제공된다. 커넥터(700a, 700b)는 간단히 커넥터(700)라 지칭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히터(60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넥터(700)는 히터(6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넥터(700)는 히터(600)에 대하여 쉽게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따라서, 정착장치(40)의 조립이나, 히터(600) 손상시 벨트(603) 나 히터(600)의 교환이 용이하며, 따라서, 양호한 유지 보수성을 제공한다. 커넥터(700)의 세부사항을 후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0)는 벨트(603)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벨트(603)과 협동해서 닙부 N을 형성하는 닙 형성 부재이다. 롤러(70)는 금속제의 코어 금속 상의 다층 구조를 가지며, 이 다층 구조는 코어 금속(71) 상의 탄성층(72), 탄성층(72) 위의 이형층(73)을 포함한다. 코어 금속(71)의 재료 예는 SUS(스테인리스강), SUM(황 및 황 복합 쾌삭강 강재), Al(알루미늄) 등을 포함한다. 탄성층(72)의 재료 예는 탄성 솔리드 고무층, 탄성 발포 고무층, 탄성 다공성 고무층 등을 포함한다. 이형층(73)의 재료 예는 불소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롤러(70)는 철제의 코어 금속과, 코어 금속(71) 상의 발포 실리콘 고무의 탄성층(72)과, 탄성층(72) 상의 불소 수지 튜브의 이형층(73)을 포함한다. 롤러(70)의 탄성층(72) 및 이형층(73)을 갖는 부분의 치수는 외경이 약 25mm이고, 길이가 약 330mm이다.
서미스터(630)는 히터(600)의 이면측(활주 표면측의 반대측)에 설치된 온도 센서이다. 서미스터(630)는 발열체(620)로부터 절연된 상태에서 히터(600)에 결합된다. 서미스터(630)는 히터(600)의 온도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미스터(630)는 A/D 컨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어 회로(100)와 접속되어 있고, 검지한 온도에 따른 출력을 제어 회로(100)에 송신한다.
제어 회로(100)는 각종 제어를 위해 동작하는 CPU와,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 등의 불휘발성 매체를 구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 ROM에는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CPU가 이것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회로(100)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면 ASIC 등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0)는 전원 회로(11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전원 회로(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100)는 서미스터(630)의 출력을 취득하도록 서미스터(6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100)는 서미스터(630)로부터 취득한 온도 정보를 전원 회로(110)의 급전 제어에 사용한다. 특히, 제어 회로(100)는 서미스터(630)의 출력을 바탕으로, 전원 회로(110)를 통해 히터(60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00)가 전원 회로(110)의 출력 파수 제어를 행함으로써, 히터(600)의 발열량을 조정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히터(600)는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약 180℃)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0)의 코어 금속(71)은 각각 측판(41)의 후방측과 전방측에 제공된 베어링(41a, 4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또한, 코어 금속의 축선 방향의 일 단부에는 기어 G가 설치되어 모터 M의 구동력을 롤러(70)의 코어 금속(71)에 전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M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롤러(70)는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닙부 N에서, 롤러(70)에 의해 벨트(603)에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벨트(603)가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 M은, 기어 G를 통해서 롤러(70)를 구동하는 구동부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0)는 모터 M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해서 모터 M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100)의 제어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면, 모터 M는 기어 G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제어 회로(100)는 모터 M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100)는 모터 M를 사용하여 롤러(70)와 벨트(603)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는 정착 처리 작업에서 닙부 N에서 끼움 지지 및 반송되는 시트 P의 속도가, 소정의 프로세스 스피드(예를 들어, 약 200[mm/sec])와 같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히터]
정착장치(40)에 사용되는 히터(6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의 히터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6은 커넥터를 예시한다. 도 17의 부분 (a)은 히터(600)에 사용되는 발열 방식을 예시한다. 도 17의 부분 (b)는 히터(600)에 사용되는 발열 영역의 전환 방식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히터(600)은 도 11의 부분 (a) 및 (b)에 예시된 발열 방식을 사용하는 히터이다. 도 17의 부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배선에는 전극 A 내지 C가 접속되어 있고, B 배선에는 전극 D 내지 F가 접속되어 있다. A 배선에 접속된 전극과 B 배선에 접속된 전극은 길이 방향(도 11의 부분 (a)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간삽(교번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발열체가 인접한 전극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A 배선과 B 배선의 사이에 전압 V가 인가되면, 인접하는 전극의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발열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인접하는 발열체 사이의 전류는 서로 반대이다. 이러한 유형의 히터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열이 발생된다. 도 17의 부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배선과 전극 F의 사이에 스위치 등이 제공되며, 스위치가 개방되면, 전극 B와 전극 C는 동일 전위이므로, 그 사이의 발열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발열체는 독립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고, 그래서, 일부를 오프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발열체의 일부만이 통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시스템에서, 발열 영역은 배선에 스위치 등을 설치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히터(600)에서,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은 상술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발열체는 통전시 전류의 방향에 관계없이 발열하지만,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발열체와 전극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배열은 전류의 방향이 길이 방향(도 11의 부분 (a)의 상하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인 배열에 비해 이하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발열체에 통전해서 주울 발열을 시킬 경우, 발열체는 그 저항값에 따른 발열을 행하며, 따라서, 발열체는 저항값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치수 및 재질이 선택된다. 발열체를 설치하는 기판의 치수는, 길이 방향에 비하여 폭 방향으로 매우 짧다. 그로 인해, 폭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경우, 저저항의 재료를 사용해서 발열체에 원하는 저항값을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길이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경우, 저 저항의 재료를 사용해서 발열체에 원하는 저항값을 갖게 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발열체가 고저항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열체의 두께 비균일성에 의해 온도 비균일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인쇄 등에 의해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발열체 재료를 도포하는 경우, 폭 방향으로 약 5%의 두께 비균일성이 초래될 수 있다. 이는 도장 블레이드에 의한 폭 방향의 작은 압력 편차에 기인하여 발열체 재료의 도장 불균일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통전하게 발열체와 전극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발열체에 개별적으로 통전을 행하는 경우, 인접하는 발열체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엇갈리게 되도록 발열체와 전극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와 전극의 배열에 대하여, 양단에서 전극과 각각 접속된 발열체를 길이방향으로 배열하고 길이 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배열에서는 인접하는 발열체간에 2개의 전극이 제공되어 단락의 우려가 있다. 또한, 필요한 전극의 수가 증가하고, 큰 비 발열부가 발생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발열체 사이에 전극이 공용되도록 발열체와 전극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열에 의해, 전극간에서의 단락의 우려를 해소하고, 또한, 비 발열부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2의 부분 (a)의 A 배선에 상당하는 것이 공통 배선(640)이며, B 배선에 상당하는 것이 대향 배선(650, 660a, 660b)이다. 또한, 도 12의 부분 (a)의 전극 A 내지 C에 상당하는 것이 공통 전극(652a 내지 652g)이며, 전극 D 내지 F에 상당하는 것이, 대향 전극(652a 내지 652d, 662a, 662b)이다. 도 17의 부분 (a)의 발열체에 상당하는 것이 발열체(620a 내지 620l)이다. 이후, 공통 전극(642a 내지 642g)를 간단히 공통 전극(642)이라 칭한다. 대향 전극(652a 내지 652e)을 간단히 대향 전극(652)이라 칭한다. 대향 전극(652a 내지 652b)를 간단히 대향 전극(652)이라 칭한다. 대향 배선(660a, 660b)를 간단히 대향 배선(660)이라 칭한다. 발열체(620a 내지 620l)를 간단히 발열체(620)라 칭한다. 히터(600)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600)는 기판(610)과, 기판(610) 상의 발열체(620)와, 도체의 패턴(배선)과, 발열체(620)와 도체의 패턴(배선)을 덮는 절연 코트층(68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610)은 히터(600)의 치수나 구성을 결정하며,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벨트(603)에 접촉가능하다.
기판(610)의 재료는 내열성, 열전도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등의 세라믹 재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도 4의 좌우 방향으로 측정됨)가 약 400mm, 폭(도 4의 상하 방향으로 측정됨)이 약 10mm, 두께가 약 1mm인 알루미나의 판 부재이다.
기판(610)의 이면 상에는, 도전성 후막 페이스트를 사용해서 후막인쇄법(스크린인쇄법)에 의해 발열체(620)와 도체 패턴(배선)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체 패턴에는 저항률이 낮아지도록 은 페이스트가 사용되고, 발열체(620)에는 저항률이 높아지도록 은-팔라듐 합금의 페이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620)와 도체의 패턴은, 내열성 유리로 이루어지는 절연 코트층(680)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 누설이나 단락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보호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610)의 길이 방향 일단부(610a)에는,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의 전기접점(1641, 1651, 1661, 1671)이 설치된다. 또한, 기판(610)의 타단부측(610b)에는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전극 접점(641b, 651b, 661b)이제공된다. 기판(610)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610c)에는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의 발열체(620)와 공통 전극(642a 내지 642g) 및 대향 전극(652a 내지 652e, 662a 내지 662b)이 설치된다. 폭 방향에 관하여 발열체(620)를 초과한 기판(610)의 일단부측(610d)에는,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의 공통 배선(640)이 설치된다. 폭 방향에 관하여 발열체(620)를 초과한 기판(610)의 타단부측(610e)에는,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의 대향 배선(650, 660)이 설치된다.
발열체(620)(620a 내지 620l)는 급전에 의해 줄 열을 발생하는 저항체이다. 발열체(620)는 기판(610) 위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1개의 발열체이며, 기판(610)의 중앙 부근의 영역(610c)(도 4)에 배치된다. 발열체(620)는 1 내지 4mm의 폭(기판(610)의 폭 방향) 및 5 내지 20㎛의 두께를 가지며, 사전결정된 저항값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발열체(620)는 폭이 약 2mm이고, 두께가 약 10㎛이다.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 총 길이는 약 320mm이며, 이는 A4사이즈(폭 약 297mm)의 시트 P의 폭에 작용되기에 충분하다.
발열체(620) 상에는 후술하는 7개의 공통 전극(642a 내지 642g)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있다. 환언하면, 발열체(620)는 공통 전극(642a 내지 642g)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6개의 구간으로 격리되어 있다. 각 구간의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는 약 53.3mm이다. 발열체(620)의 각 구간의 중앙부에는 6개의 대향 전극(652, 662)(652a 내지 652d, 662a, 662b) 중 1개가 적층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발열체(620)는 12개의 소 구간으로 분할된다. 12개의 소 구간으로 분할된 발열체(620)는 복수의 발열체(620a 내지 620l)로 간주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발열체(620a 내지 620l)는 인접하는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소 구간의 길이는 약 26.7mm이다. 발열체(620)의 소 구간의 길이 방향 저항값은 약 120Ω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열체(620)는 길이 방향에 관하여 부분적 영역 또는 영역들에서 발열할 수 있다.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의 저항률은 균일하고, 발열체(620a 내지 620l)는 대략 동등한 치수를 갖는다. 그로 인해, 각 발열체(620a 내지 620l)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병렬로 급전되는 경우, 발열체(620)의 발열 분포는 균일하다. 그러나, 발열체(620a 내지 620l)가 실질적으로 동등한 치수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저항률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열체(62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도록 발열체(620a와 620l)의 저항값이 조절될 수 있다. 공통 전극(642) 및 대향 전극(652, 662)이 형성된 발열체(620) 상의 위치에서, 발열체(620)의 발열은 실질적으로 0이다. 그러나, 전극의 폭을 1mm 이하로 억제하는 경우, 기판(610)의 가열 균일화 기능에 의해 정착 처리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각 전극의 폭은 1mm 이하이다.
제1 전극으로서 공통 전극(642)(642a 내지 642g)은 상술한 도체 패턴의 일부이다. 공통 전극(642)은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통 전극(642)은 발열체(620) 상에 적층된다. 공통 전극(642)은 발열체(620)에 접속된 전극 중,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셀 때 홀수 번째의 전극들이다. 공통 전극(642)은 후술하는 공통 배선(640) 등을 통해 전원(110)의 일 접점(110a)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전극으로서 대향 전극(652, 662)은, 상술한 도체 패턴의 일부이다. 대향 전극(652, 662)은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대향 전극(652, 662)은 발열체(620) 상에 적층된다. 대향 전극(652, 662)은 발열체(620)에 접속된 전극 중, 상술한 공통 전극(642)이외의 전극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셀 때, 짝수 번째 전극들이다.
즉, 공통 전극(642)과 대향 전극(662, 652)은 발열체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대향 전극(652, 662)은 후술하는 대향 배선(650, 660)을 통해 전원 회로(110)의 다른 접점(110b)에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극(642) 및 대향 전극(652, 662)은 발열체(620)에 급전을 위한 전극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전극들이 공통 전극(642)이고, 짝수 번째 전극들이 대향 전극(652, 662)이지만, 히터(600)의 구조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짝수 번째 전극들이 공통 전극(642)이고, 홀수 번째 전극들이 대향 전극(652, 662)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620)에 접속된 모든 대향 전극 중에 4개가 대향 전극(652)이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620)에 접속된 모든 대향 전극 중에 2개가 대향 전극(662)이다. 그러나, 대향 전극의 배당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히터(600)의 발열 폭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 전극(652)이 2개, 대향 전극(662)이 4개일 수 있다.
제1 배선으로서 공통 배선(640)은 상술한 도체 패턴의 일부이다. 공통 배선(640)은 기판의 일단부측(610d)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판(610)의 대향 단부들(610a, 610b)을 향해 연장한다. 공통 배선(640)은 발열체(620)(620a 내지 620l)에 접속된 공통 전극(642)(642a 내지 642g)에 접속되어 있다. 공통 배선(640)의 대향 단부들은 후술하는 전기접점(641a, 641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2 배선으로서 대향 배선(650)은 상술한 도체 패턴의 일부이다. 대향 배선(650)은 기판의 타단부측(610e)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대향 단부들(610a, 610b)을 향해 연장한다. 대향 배선(650)은 발열체(620)에 접속된 대향 전극(652)(652a 내지 652d)에 접속되어 있다. 대향 배선(650)의 대향 단부들은 후술하는 전기접점(651)(651a, 651b)에 접속되어 있다.
대향 배선(660)(660a, 660b)은 상술한 도체 패턴의 일부이다. 제3 배선으로서 대향 배선(660a)은 기판의 타단부측(610e)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의 일단부측을 향해 연장한다. 대향 배선(660a)은 발열체(620)(620a, 620b)에 접속된 대향 전극(662a)에 접속되어 있다. 대향 배선(660)은 후술하는 전기접점(661a)에 접속되어 있다. 제4 배선으로서 대향 배선(660b)은 기판의 타단부측(610e)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의 타단부측(610b)을 향해 연장한다. 대향 배선(660b)은 발열체(620)(620k, 620l)에 접속된 대향 전극(662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대향 배선(660b)은 후술하는 전기접점(651b)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접점(641)(641a, 641b),(651)(651a, 651b), (661)(661a, 661b)은 상술한 도체 패턴의 일부이다. 전기접점(641a, 651a, 661a)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약 4 mm의 간격으로 발열체(620)를 초과하여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 배치된다. 전기접점(641b, 651b, 661b)은 길이 방향으로 약 4 mm의 간격으로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 배열된다. 각 전기접점(641, 651, 661)은 후술하는 커넥터(700)로부터의 급전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게 2.5mm x 2.5mm 이상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접점(641, 651, 661)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가 약 3mm이고,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가 2.5mm 이상이다. 전기접점(641a, 651a, 661a)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약 4 mm의 간격으로 발열체(620)를 초과하여 기판의 일단부측(610a)에 배치된다. 전기접점(641b, 651b, 661b)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약 4mm의 간격을 두고 발열체(620)를 초과하여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접점(641, 651, 661)이 있는 부위에는 절연 코트층(680)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전기접점이 노출된다. 그로 인해, 전기접점(641, 651, 661)은 커넥터(7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히터(600)와 커넥터(700) 사이의 접속을 통해 전기접점(641)과 전기접점(651)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공통 전극(642)(642b 내지 642f)과 대향 전극(652)(652a 내지 652d)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발열체(620c, 620d, 620e, 620f, 620g, 620h, 620i, 620j)를 통해,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류가 흐르며, 인접한 발열체를 통한 전류의 방향은 서로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제1 발열 영역으로서의 발열체(620c, 620d, 620e, 620f, 620g, 620h, 620i)가 각각 발열한다.
히터(600)와 커넥터(700) 사이의 접속을 통해, 전기접점(641)과 전기접점(661a)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공통 전극(642a 내지 642b)과 대향 전극(662a)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발열체(620a, 620b)를 통해,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류가 흐르며, 인접한 발열체를 통한 전류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이다. 제1 발열 영역에 인접하는 제2 발열 영역으로서의 발열체(620a, 620b)가 발열한다.
히터(600)와 커넥터(700) 사이의 접속을 통해, 전기접점(641)과 전기접점(661b)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공통 배선(640) 및 대향 배선(660b)을 통해 공통 전극(642f 및 642g)과 대향 전극(662b)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발열체(620k, 620l)를 통해,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류가 흐르며, 인접하는 발열체를 통한 전류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이다. 이에 의해, 제1 발열 영역에 인접하는 제3 발열 영역으로서의 발열체(620k, 620l)이 각각 발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전기접점을 선택함으로써, 발열체(620a 내지 620l) 중에서 원하는 발열체 또는 발열체들에 선택적으로 통전할 수 있다.
[커넥터]
정착장치(40)에 사용되는 커넥터(7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하우징(750)의 예시도이다. 도 8, 콘택트 단자(710)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히터(600)에 커넥터(700)를 장착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700a, 700b)는 접점 단자(단자라 지칭될 수 있음)(710a, 710b, 720a, 720b, 730a, 730b)를 구비하며, 히터(600)에 대한 장착에 의해 히터(6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세하게, 커넥터(700a)는 전기접점(64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710a), 전기접점(66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720a) 및 전기접점(65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730a)를 구비한다. 커넥터(700b)는 전기접점(64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710b), 전기접점(66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720b) 및 전기접점(65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730b)를 구비한다. 커넥터(700a, 700b)가 히터(600)를 개재하도록 히터(600)에 장착됨으로써, 단자는 대응 전기접점에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40)에서는, 커넥터와 전기접점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납땜 등이 사용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정착 처리의 동작 동안 온도가 상승하는, 히터(600)와 커넥터(70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높은 신뢰도로 달성 및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40)에서, 커넥터(700)는 히터(600)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따라서, 벨트(603)나 히터(600)가 어려움 없이 교체될 수 있다. 커넥터(7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단자(710a, 720a, 730a)를 구비하는 커넥터(700a)는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서 폭 방향으로 기판(610)의 단부로부터 히터(600)에 장착된다. 단자(710b, 720b, 730b)를 구비한 커넥터(700b)는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서 폭방향으로 기판(610)의 단부로부터 히터(600)에 장착된다.
단자(710a)를 예로하여 단자(710, 720, 730)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710a)는 후술된 스위치(SW643)와 전기접점(641a)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기능한다. 접점 단자(710a)는 스위치(SW643)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케이블(712a) 및 전기접점(641)에 접촉하기 위한 전기접점(711a)을 구비한다. 접점 단자(710a)는 채널형 구성을 가지며, 도 8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는 히터(600)를 수용할 수 있다. 전기접점(641a)과 접촉하는 커넥터(700a)의 부분은 전기접점(641a)과 접촉하는 전기접점(711a)을 구비하며, 그에 의해, 전기접점(641a)과 접점 단자(710a) 사이에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전기접점(711a)은 리프 스프링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전기접점(641a)에 대해 가압되면서 그와 접촉한다. 따라서, 접점(710)은 전후측부 사이에 히터(600)를 개재하여 히터(6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유사하게, 접점 단자(710b)는 후술된 스위치(SW643)와 전기접점(641b)을 접촉시키도록 기능한다. 접점 단자(710b)는 스위치(SW643)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케이블(712b)과 전기접점(641b)에 접촉하기 위한 전기접점(711b)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접점 단자(720)(720a, 720b)는 후술된 스위치(SW663)와 전기접점(661(661a, 661b)을 접촉시키도록 기능한다. 접점 단자(720)(720a, 720b)는 스위치(SW663)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케이블(722a, 722b)과 전기접점(661)에 대한 접촉을 위한 전기접점(721a, 721b)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접점 단자(730)(730a, 730b)는 후술된 전기접점(651)(651a, 651b)에 접촉하도록 기능한다. 접점 단자(730)(730a, 730b)는 스위치(SW653)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케이블(731a, 731b)과 전기접점(651)에 대한 접촉을 위한 전기접점(731a, 731b)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단자(710a, 720a, 730a)는 일체이며 수지제 하우징(750a)에 의해 지지된다. 단자(710a, 720a, 730a)는 커넥터(700a)가 히터(600)에 장착될 때 전기접점(641a, 661a, 651a)과 접촉하도록 인접한 것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하우징(750a) 내에 배치된다. 단자 사이에는, 단자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보증하기 위해 격벽이 제공된다.
금속제 단자(710b, 720b, 730b)는 수지제 하우징(750a)에 의해 지지된다. 단자(710a, 720a, 730a)는 커넥터(700b)가 히터에 장착될 때 각각 전기접점(641b, 661b, 651b)과 접촉하도록 하우징(750b) 내에서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단자 사이에는 단자 사이의 전기 절연을 보증하기 위해 격벽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700)가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장착되지만, 이러한 장착 방법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700)가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에 대한 급전]
히터(600)에 대한 급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40)는 시트 P의 폭 사이즈에 따라서 히터(600)로의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히터(600)의 발열 영역의 폭 사이즈를 변경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40)에서, 정착 장치(40)의 중심과 시트 P의 중심이 정렬된 상태로 시트 P가 급송되며, 따라서, 발열 영역도 중앙부로부터 연장한다. 히터(600)로의 급전에 대해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 회로(110)는 히터(6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효값(단상교류)이 약 100V의 상용 전원(교류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전원 회로(110)는 다른 전위를 갖는 전원 접점(110a)과 전원 접점(110b)을 구비하고 있다. 히터(6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전원 회로(110)는 직류 전원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0)는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를 제어하기 위해서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643)는 전원 접점(110a)과 전기접점(641)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릴레이)이다. 스위치(SW643)는 제어 회로(1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원 접점(110a)과 전기접점(641) 사이를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한다. 스위치(SW653)는 전원 접점(110b)과, 전기접점(651)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이다. 스위치(SW653)는 제어 회로(1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원 접점(110a)과 전기접점(651) 사이를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한다. 스위치(SW663)는 전원 접점(110b)과, 전기접점(661)(661a, 661b)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이다. 스위치(SW663)는 제어 회로(1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원 접점(110a)과 전기접점(661)(661a, 661b) 사이를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한다.
제어 회로(100)가 작업의 실행 지시를 수신할 때, 제어 회로(100)는 정착 처리에 사용되는 시트 P의 폭 사이즈 정보를 취득한다. 시트 P의 폭 사이즈 정보에 따라서,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의 온/오프 조합이 제어되어 발열체(620)의 발열 폭이, 시트 P를 가열 처리하기에 적합한 발열 폭이 되게 한다. 이때, 제어 회로(100), 전원 회로(110),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 및 커넥터(700)는 히터(600)에 급전하는 급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시트 P가 대사이즈(장치에 사용가능한 최대 사이즈)인 경우, 즉, A3 사이즈 시트가 길이방향으로 급송되거나 A4 사이즈가 가로배향 형태로 급송되는 경우, 시트 P의 폭 사이즈는 약 297mm이 된다. 그로 인해, 제어 회로(100)는 발열체(620)의 발열 폭 B(도 5)를 제공하도록 급전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100)는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및 스위치(SW663) 모두를 온 상태가 되게 한다. 그 결과, 히터(600)에는 전기접점(641, 661a, 661b, 651)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발열체(620)의 12개 소구간 모두가 발열한다. 이때, 히터(600)는 약 297mm의 시트 P에 맞도록 약 320mm의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발열한다.
시트 P의 사이즈가 소사이즈(최대 폭보다 좁음)인 경우, 즉, A4 사이즈 시트가 길이방향으로 급송되거나 A5 사이즈 시트가 가로배향 형태로 급송되는 경우, 시트 P의 폭은 약 210mm이 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0)는 발열체(620)의 발열 폭 A(도 5)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0)는 스위치(SW643), 스위치(SW663)를 온 상태로 하고, 스위치(SW653)를 오프 상태로 한다. 그 결과, 히터(600)에는 전기접점(641, 651)을 통해 급전이 행하여져, 발열체(620)는 12개의 소 구간 중 8개의 소 구간이 발열한다. 이때, 히터(600)는 약 210mm의 시트 P에 맞도록 약 213mm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발열한다.
[배선의 배치]
기판(610) 상의 배선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9는, 기판(610) 상의 배선의 배치를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터(600)는 전원 접점(110a)에 접속하는 공통 배선(640)을 기판의 일단부측(610d)에 설치하고 있다. 공통 전극(642) 모두는 공통 배선(640)에 접속 된다. 한편, 전원 접점(110b)에 접속하는 대향 배선(650, 660)을 기판의 타단부측(610e)에 설치하고 있다. 대향 전극(652)을 대향 배선(650)에 접속하고, 대향 전극(662a)을 대향 배선(660a)에 접속하고, 대향 전극(662b)을 대향 배선(660b)에 접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른 전원에 접속되는 배선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배선간 단락 가능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단락 방지 때문에 배선간에 설치해야 할 간격을 좁힐 수 있고, 기판(610)의 폭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642)과 전기접점(641a)에 접속하는 공통 배선(640)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즉,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그에 인접한 발열체(62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평행"이란, 배선 형성의 제조 공차에 기인하여 엄밀한 "평행"이 아닌 경우르 포함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일단부측(610d)(도 4)에서, 공통 배선(640)은 발열체(620) 및 대향 전극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400㎛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즉, 발열체(620)와 공통 배선(640)의 사이에는 폭 약 400㎛의 간극 A가 설치된다. 간극 A는 공통 배선(640)과 대향 전극(예를 들어 662a)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하기 위해 제공되며, 절연 코트층(680)이 설치되어 있을 때 이 간극의 최소값은 약 400㎛이 된다. 공통 배선(640)과 대향 전극(예를 들어 662a)은 다른 전원 접점(110a와 110b)에 접속되며, 따라서 간극 A의 값은 안전을 위해 비교적 크다. 그로 인해, 간극 A는 국소적으로 약 400㎛인 경우에도 만족되지 않으며, 발열체(620)와 공통 배선(64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영역 전체에서 약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662a)과 전기접점(661a)에 접속하는 대향 배선(660a) 및 대향 전극(662b)과 전기접점(661b)에 접속하는 대향 배선(660b)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대향 배선(660a, 660b)은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도 4)에서 발열체(620)와 인접하게 인접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선(660a, 660b)은 발열체(620)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400㎛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즉, 발열체(620)와 대향 배선(660)의 사이에는 약 400㎛의 간극 B가 설치된다. 간극 B는 대향 배선(660)과 공통 전극(예를 들어 642a)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하기 위한 간격이며, 절연 코트층(680)이 설치되어 있을 때 최소값이 약 400㎛이다. 대향 배선(660)과 대향 전극(예를 들어 642a)은 다른 전원 접점(110a와 110b)에 접속되며, 따라서, 간극 B의 값은 안전을 위해 비교적 크다. 그로 인해, 간극 B는 국소적으로 약 400㎛인 경우에도 만족스럽지 않으며, 발열체(620)와 공통 배선(64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영역 전체에서 약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652)과 전기접점(651a) 및 전기접점(651b)에 접속하는 대향 배선(650)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즉,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대향 배선(660a, 660b)에 각각과 인접하고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선(650)은 대향 배선(660a, 660b)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100㎛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즉, 대향 배선(650)과 대향 배선(660a, 660b)의 사이에는 폭 약 100㎛의 간극이 설치된다. 간극 C는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을 별개의 배선으로서 배열하기 위해 요구된다.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은 같은 전원 접점에 접속되며, 따라서, 간극 C는 작을 수 있다. 간극 C의 감소량만큼, 기판(610)의 폭 방향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간극 C는 국소적으로 간극 A 미만이면 충분한 것은 아니며,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영역 전체에서, 간극 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610a)(도 4)에서, 공통 배선(640)과, 대향 배선(660a)과 전기접점(651a)은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대향 배선(660a)은 전기접점(651a)보다도 기판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 설치된 전기접점(661a)과 접속되기 위해, 전기접점(651a) 둘레로 연장한다. 이때, 공통 배선(640)과 대향 배선(660a)의 사이의 기판 폭 방향으로 간극 G는 본 실시예에서 약 400㎛이다. 간극 G는 공통 배선(640)과 대향 배선(660a)의 사이의 절연을 보증하기 위한 간격이며, 절연 코트층(680)이 설치되어 있을 때 간극의 최소값은 약 400㎛이다. 공통 배선(640)과 대향 배선(660a)은 다른 전원 접점(110a와 110b)에 접속되기 때문에, 간극 G의 값은 안전을 위해 비교적 크다. 그로 인해, 간극 G가 국소적으로 약 400㎛이 되는 경우에도 만족스럽지 않으며, 공통 배선(640)과 대향 배선(660a)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하는 영역의 전체에서 약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은 배선 방법에서는, 동일한 전원 접점 측에 접속되는 배선이 인접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배선간의 간격을 좁혀서 배치할 수 있다. 즉, 간극 G=간극 A>간극 C(간극 B>간극 C)가 충족된다. 그로 인해, 기판(610) 상의 배선을 위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기판 상에 배선을 배치하는 것에 의한 기판(610)이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600)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히터(6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가열 장치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610) 상의 배선의 구성도이다.
실시예 1에서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을 발열 영역 A와 발열 영역 B(2개 패턴) 사이에서 전환하고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발열 영역 A와 발열 영역 B와 발열 영역 C 사이에서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을 전환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폭 사이즈의 시트에 대하여 더 적합한 발열폭으로 시트 p가 가열될 수 있다. 실시예 2의 정착장치(40)의 구성은, 히터(600)에 관한 구성이외는 실시예 1의 기본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실시예의 대응 기능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할당되며, 간결성을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터(600)는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을 발열 영역 A와 발열 영역 B와 발열 영역 C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히터(6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체(620)은 3개의 공통 전극(642)에 의해 12개 구간으로 구획된다. 또한, 각각의 구간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2개의 대향 전극에 의해 24개의 소 구간으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 외에 스위치(SW673)이 설치된다. 기판(610) 상에는, 전기접점(641, 651, 661)외에 전기접점(671)이 설치된다.
전기접점(671)(671a, 671b)은, 도시하지 않은 단자(740)(740a, 740b)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SW673)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스위치(SW673)는 전원 접점(110b)과 전기접점(671)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이다. 스위치(SW673)는 제어 회로(1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원 접점(110a)과 전기접점(671)을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히터(600)는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을 3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는 작업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고, 정착 처리에 사용되는 시트 P의 폭 사이즈 정보를 취득한다. 시트 P의 폭 정보에 따라서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 스위치(SW673)의 온/오프의 편성을 제어하고, 발열체(620)의 발열 폭이 시트 P를 가열 처리하기에 적합한 발열 폭이 되게 제어한다.
시트 P가 대사이즈의 경우(예를 들어 A3 사이즈 시트의 길이 방향 급송 또는 A4 사이즈 시트 P를 가로배향 급송), 제어 회로(100)는 발열체(620)를 발열 폭 B에서 발열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100)는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 및 스위치(SW673) 모두를 온 상태로 한다. 이때, 히터(600)는 약 297mm의 시트 P를 충족시키도록 약 320mm의 영역이 균일하게 발열한다.
시트 P가 중 사이즈인 경우(예를 들어 B4 사이즈 시트를 길이방향 급송 또는 B5 사이즈 시트를 가로배향 급송) 시트 P의 폭 사이즈는 약 257mm이 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0)는 발열체(620)가 발열 폭 C로 발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100)는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 스위치(SW663)를 온 상태로 하고, 스위치(SW673)을 오프 상태로 한다. 그 결과, 발열체(620)의 24개 소 구간 중 20개 소 구간이 발열한다. 이때, 히터(600)는 약 267mm의 영역이 균일하게 발열되고, 그래서, 약 257mm 폭 시트를 가열하기에 적합하다.
시트 P가 소사이즈의 경우(예를 들어 A4 사이즈 시트의 길이방향 급송 또는 A5 사이즈 시트의 가로배향 급송), 제어기는 발열체(620)을 발열 폭 A를 발열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0)는 스위치(SW643), 스위치(SW653)을 온 상태로 하고, 스위치(SW673)을 오프 상태로 한다. 그 결과, 발열체(620)의 24개 소 구간 중 16개 소 구간이 발열한다. 이때, 히터(600)는 약 210mm의 시트 P에 맞도록 약 213mm의 영역이 균일하게 발열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610) 상의 배선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672a)과 전기접점(671a)에 접속된 대향 배선(670a) 및 대향 전극(672b)와 전기접점(671b)에 접속된 대향 배선(670b)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대향 배선(670a, 670b)은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도 4)에서 발열체(620)와 인접하게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선(670a, 670b)은 발열체(620)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400㎛ 이격된다. 즉, 발열체(620)와 대향 배선(670)의 사이에는 폭 약 400㎛의 간극 B가 설치된다. 간극 B는 대향 배선(670)과 공통 전극(예를 들어(642a))과의 사이의 절연을 절연 코트층(680)에 의해 보증하도록 제공되며, 최소값이 약 400㎛이다. 대향 배선(670)과 대향 전극(예를 들어 642a)은 다른 전원 접점(110a와 110b)에 접속되므로, 간극 B의 값은 안전을 위해 비교적 크다.
대향 전극(662a)과 전기접점(661a)에 접속된 대향 배선(660a) 및 대향 전극(662b)과 전기접점(661b)에 접속된 대향 배선(660b)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다. 대향 배선(660a)은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그에 인접한 대향 배선(670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대향 배선(660b)은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그에 인접한 대향 배선(670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선(660a)은 대향 배선(670a)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100㎛ 이격된다. 대향 배선(660b)은 대향 배선(670a)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100㎛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대향 배선(670)과 대향 배선(660)의 사이에는 약 100㎛의 간극 C가 제공된다.
간극 C는 대향 배선(670)과 대향 배선(660)을 개별 배선으로서 배열하기 위해 요구된다.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은 같은 전원 접점에 접속되며, 따라서, 간극 C의 값은 작을 수 있다. 간극 C의 감소분만큼 기판(610)의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간극 C은 국소적으로 간극 A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도 충분하지 않으며,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영역 전체에서 간극 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652)과 전기접점(651a) 및 전기접점(651b)에 접속된 대향 배선(650)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대향 배선(660a, 660b)에 인접하면서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향 배선(650)은 대향 배선(660a, 660b)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100㎛ 떨어져 있다. 즉, 대향 배선(650)과 대향 배선(660a, 660b)의 사이에는 폭 약 100㎛의 간극 D가 설치된다.
간극 D는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을 별개의 배선으로서 배열하기 위해 요구된다.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은 같은 전원 접점 측에 접속되고 따라서 간극 C의 값은 작을 수 있다. 간극 C의 감소분만큼, 기판(610)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극 C가 국소적으로 간극 A 미만인 경우에도 충분하지 않으며,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영역 전체에서 간극 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비교하여 비교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12-37613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예 1의 발열체 회로도이다. 종래예 1에서는, 기판(1021)의 폭 방향으로 배선층(1029g)과 배선층(1029h)이 병치된다. 또한, 기판(1021)의 폭 방향에 배선층(1029i)과 배선층(1029j)이 병치된다. 배선층(1029g)과 배선층(1029h), 배선층(1029i)와 배선층(1029j)은 다른 전원접점과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층(1029g)과 배선층(1029h) 사이 및 배선층(1029i)과 배선층(1029j)의 사이에는 큰 전위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배선간의 단락 방지 때문에, 배선층(1029g)과 배선층(1029h)의 사이와, 배선층(1029i)과 배선층(1029j)의 사이의 간격은 큰 간격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예 1에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되는 배선 간격을 약 400㎛으로 한 경우, 본 실시예는 종폭 방향으로 배선에 요구되는 공간의 폭을 약 600㎛만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을 3패턴으로 전환하는 히터(600)에서는, 실시예 1과 비하여, 기판(610) 상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수가 많다. 즉, 발열 영역의 패턴의 수의 증가는 기판(610) 상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의 패턴의 증가는 기판(610)의 폭 방향의 크기를 확대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증가하는 배선이 모두 동일한 전원 접점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배선간의 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극 A>간극 C=간극 D(간극 B>간극 C=간극 D)가 충족된다. 따라서, 기판 상의 추가적 배선에 기인한 폭 방향으로의 기판(610)의 크기 증가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발열체(620)의 발열 영역의 패턴수가 4개 이상이어도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 상의 배선수의 증가의 결과로 전환가능한 발열 영역의 패턴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기판의 폭방향 크기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히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가열 장치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서의 히터상의 배선의 구성도이다. 실시예 1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배치된 전기접점으로부터 발열체(620)에 급전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3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배치된 전기접점으로부터 발열체(620)에 급전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실시예 1의 설명한 전기접점(661b)과 전기접점(661a)이 공통 전기접점(661a)으로 합쳐진다. 전기접점(651b)은 전기접점(651a)에 합쳐진다. 전기접점(651b)은 전기접점(651a)에 합쳐진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기판(610) 상의 배열하는 전기접점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3의 정착장치(40)의 구성은 히터(600)에 관한 구성이외는 실시예 1의 기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실시예의 대응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610) 상의 배선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히터(600)는 기판(6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 설치된 전기접점(641a, 651a, 661a)에 의해 발열체(620)에 급전이 이루어진다. 공통 배선(640)은 길이 방향으로 기판(610)의 일 단부측에서 기판의 일 단부측(610a)을 향해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공통 배선(640)의 일단은 전기접점(641a)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서는, 실시예 1의 전기접점(641a, 641b)이 단일 전기접점으로 통합되며, 그에 의해 1개의 전기접점이 생략된다.
대향 배선(650)은 발열체(620)보다도 기판(610)의 폭 방향 타단부 측에서 기판(610)의 일단부측(610a)으로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대향 배선(650)은 전기접점(651a)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서는, 실시예 1의 전기접점(651a, 651b)을 단일 전기접점으로 합쳐서 하나의 전기접점이 생략된다.
대향 배선(660a)은 발열체(620)보다도 기판(610)의 짧은 방향 타단부 측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의 일단부측(610a)으로 연장하고 있다. 대향 배선(660a)의 일 단부는 전기접점(661a)에 접속된다. 대향 배선(660b)은 발열체(620)보다도 기판(610)의 짧은 방향 타단부 측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의 일단부측(610a)으로 연장하고 있다. 대향 배선(660b)의 일 단부는 전기접점(661a)에 접속된다. 대향 배선(660a 및 660b)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서, 전기접점(651a)을 둘러싼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시예 1의 전기접점(661b)이 단일 전기접점(661a)에 합쳐질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해서 3개 전기접점이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기판(610)의 길이를 약 9mm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길이 방향으로 공통 전극(642g)과 전기접점(651b)의 사이의 약 26mm의 간격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간격은, 벨트(603) 내에 배치되는 히터(600)에 커넥터(700)를 설치할 경우에 기계적으로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급전을 행하는 구성에서는, 공통 배선(640)의 길이 방향에서(길이 방향으로 일 단부측과 타단부측 사이) 전위가 비대칭이된다. 이것은 배선 자체의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배선 자체에 기인한 전압 강하에 의해, 발열체(620)에 공급되는 전력이 길이방향으로 비대칭적이고, 발열체(620)의 비균일 발열을 초래할 수 있다. 발열체(620)의 발열 비균일성을 고려하여, 실시예 1의 대칭적 배열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선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 강하는 매우 작고, 따라서, 정착 처리 작업시 무시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히터에 대한 급전은 기판의 일 단부측(610a)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대향 전극(662a)과 전기접점(661a)에 접속된 대향 배선(660a)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대향 배선(670a)은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그에 인접한 발열체(62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향 배선(670a)은 발열체(620)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400㎛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즉, 발열체(620)와 대향 배선(660)의 사이에는 폭 약 400㎛의 간극 B가 설치된다. 간극 B는 대향 배선(670)과 공통 전극(예를 들어 642a)과의 사이의 절연을 보증하기 위해 제공되며, 절연 코트층(680)이 설치되어 있을 때 약 400㎛이다. 대향 배선(670)과 대향 전극(예를 들어 642a)은 다른 전원 접점(110a와 110b)에 접속되기 때문에, 간극 B의 값은 안전을 위해 비교적 크다.
대향 전극(652a)와 전기접점(651a)에 접속된 대향 배선(660a)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대향 배선(650)은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에서 그에 인접한 대향 배선(660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향 배선(650)은 대향 배선(660a)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100㎛ 이격된다. 즉, 대향 배선(670)과 대향 배선(660a, 660b)의 사이에는 약 100㎛의 간극이 설치된다.
간극 C는 대향 배선(670)과 대향 배선(660)을 별개의 배선으로서 배치하기 위해 요구된다. 대향 배선(660a)과 대향 배선(650)은 같은 전원 접점에 접속되므로 간극 C는 작을 수 있다. 간극 C의 감소량만큼 기판(610)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극 C는 국소적으로 간극 A 미만인 경우에도 충분하지 않으며,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영역 전체에서 간극 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662b)와 전기접점(651a)에 접속된 대향 배선(660b)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610)의 중앙 영역(610c)(도 4)에서, 이는 그에 인접한 대향 배선(650)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향 배선(660b)은 대향 배선(650)으로부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약 100㎛ 이격된다. 즉, 대향 배선(650)과 대향 배선(660a, 660b)의 사이에는 폭 약 100㎛의 간극이 설치된다.
간극 D는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을 별개의 배선으로서 배치하기 위해 요구된다.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은 같은 전원 접점에 접속되므로, 간극 C의 값은 작을 수 있다. 간극 C의 감소량만큼 기판(610)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극 C는 국소적으로 간극 A 미만인 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대향 배선(660)과 대향 배선(65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영역 전체에서 간극 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620)의 길이 방향으로 분포되는 복수의 발열체(620a, 620b 및 620k, 620l)에 1개의 전기접점(641a)이 접촉되는 경우, 실시예 1과 비하여, 기판(610) 상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선수가 많다. 전기접점을 단일 전기접점으로 통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판(6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배선의 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추가적 배선은 모두 동일한 전원 접점에 접속되고, 따라서, 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극 A>간극 C=간극 D(간극 B>간극 C=간극 D)가 충족된다. 따라서, 기판(610)의 짧은 방향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발열체가 단일 전기접점에 모여서 배선수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배선 사이의 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상의 추가적 배선에 기인한 폭 방향으로의 기판(610)의 크기 증가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히터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히터의 배선의 배열을 예시한다. 실시예 3에서는, 기판(6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서, 전기접점이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전기접점수를 삭감함으로써, 기판(610)의 길이 확대가 억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의 구성에 추가로, 동일한 전원 접점에 접속되는 전기접점(651a, 661a)의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기접점의 제공에 요구되는 기판(610) 상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 확대가 추가로 억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4의 정착 장치(40)의 구성은 히터(600)에 관한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3의 것들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실시예의 대응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간결성을 위해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접점(641a, 651a, 661a)은 절연 코트층(680)으로 피복되지 않고, 그 표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누설이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거리가 증가하면, 누설이나 단락의 위험이 저감되지만,한편, 실시예 1과 같이 전기접점을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기판(610)의 길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인접한 전기접점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접점(641)은 전원 접점(110a)에 접속되고, 전기접점(661a)은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다. 즉, 전기접점(641a, 661a)은 서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기접점(641a, 661a) 사이에 연면방전에 기인한 단락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기접점(641)과 전기접점(661)의 사이에 연면방전을 방지하는 위한 절연 거리인 2.5mm 이상의 간격(간극 E)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700)의 설치 오차 및/또는 기판(610)의 열팽창을 고려해 간극 E는 약 4mm이다. 전기접점(641a와 661a)의 배열의 비평행성에 기인하여 전기접점(641a와 661a)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면, 간격의 최소값이 간극 E로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접점(651a, 661b)은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기접점(651a, 661a)은 동일 전원 접점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기접점(651a와 661a)의 사이(간극 F)에 연면방전에 의한 단락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간극 F에서는 연면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거리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커넥터(700)의 설치 오차 및/또는 기판(610)의 열팽창을 고려해서 본 실시예에서 간극 F의 크기는 약 1.5mm이다. 전기접점(651a와 661a) 사이의 비평행성에 기인하여 전기접점(651a와 661a)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때, 간격의 최소값이 간극 F로 간주된다.
전기접점(661a)의 견지에서,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일 단부측에서, 제3 전기접점으로서의 전기접점(661a)과 제1 전기접점으로서의 전기접점(641a)이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다. 전기접점(661a)과 전기접점(651a)의 사이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약 1.5mm)은 전기접점(661)과 전기접점(641a)의 사이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약 4mm)보다도 작다. 즉, 간극 E>간극 F가 충족된다. 전기접점(661a)과 전기접점(651a) 사이의 간격이, 그 전체에서, 간극 E 미만으로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판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전기접점의 순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전기접점(641a)은 기판(610a)의 중앙 영역(610c)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접점(641a)은 다른 전기접점이 접속되는 전원 접점(110b)과는 다른 전원 접점(110a)와 접속된다. 따라서, 전기접점(641a)은 전기접점의 배열체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와 종래예 사이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도 15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2-37613호에 개시된 종래예 2의 히터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상술된 종래예 1의 히터의 회로도이다. 종래예 2의 히터(1006)는 두 개의 발열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실시예 1과는 배선의 배열이 다르다. 도 16의 종래예 1의 히터(1006)는 3개 발열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고, 배선의 배열은 실시예 2와 다르다.
도 15 및 도 16에서, 전극(1025)에 접속된 배선층(1029)은 기판(1021)의 길이방향 단부로 연장한다. 기판(1021)의 단부 부분에서, 배선이 노출되고, 배선 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전원 접점(103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이러한 구조에서, 본 실시예의 전기접점에 대응하는 부분은 기판(1021)의 대향 단부에서 기판(102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기판(610)의 폭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을 때 단락이 확실히 방지되는 상태로 급전을 실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정착 장치(40)에 설치된 종래예 1 및 종래예 2의 배선 배열을 사용한 히터(1006)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와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에서, 종래예 2의 히터는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전기접점이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변경된다. 종래예 2에서, 종래예 1의 히터는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접점이 배열되도록 변형된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전기접점의 배열은 본 발명의 것과 동일하다. 즉, 통합될 수 있는 전기접점이 통합되고, 감소될 수 있는 전기접점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었다.
비교예 1의 히터에서, 배선은 두 개의 다른 폭의 시트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비교예 1의 히터에서, 발열체가 큰 폭 시트에 대해 발열할 때, 배선층(1029c) 및 배선층(1029e)이 전원 접점(1031a)과 접속되고, 배선층(1029f) 및 배선층(1029d)이 도 15의 부분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 접점(1031b)과 접속된다. 종래예 1의 히터에서, 발열체가 소폭 시트에 대해 발열할 때,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층(1029c)와 배선층(1029f)가 전원 접점(1031a)에 접속되고, 배선층(1029e)과 배선층(1029d)이 전원 접점(1031b)에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층(1029c, 1029d, 1029e, 1029f)은 서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될 수 있다. 배선층(1029c, 1029d, 1029e, 1029f)에 접속되는 전기접점(도시하지 않음)은 서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될 수 있다.
비교예 1에서는, 본 실시예 및 실시예 3과 같이, 복수의 배선을 단일 전기접점에 통합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접점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 영역 중, 전기접점의 배열을 위한 영역의 폭은 약 24mm(약 3mm의 전기접점 4개와, 약 4mm의 전기접점 간격이 2개의 합)이다.
비교예 2의 히터는 세 개 폭 시트(대, 중 및 소)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배열된 배선을 구비한다. 비교예 2의 히터에서, 배선층(1029c, 1029d, 1029g, 1029h, 1029i, 1029j)은 서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층(1029c, 1029d, 1029g, 1029h, 1029i, 1029j)과 접속된 전기접점(미도시)도 서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된다.
비교예 2에서, 본 실시예나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복수의 배선을 단일 전기접점으로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접점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기판(610)의 길이방향 범위의 전기접점의 배열을 위한 영역의 폭은 약 34 mm(약 3 mm 전기접점 6개와 인접한 전기접점 사이의 약 4 mm의 간격 4개의 합)이다.
한편, 2개 폭 시트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히터의 경우에, 기판(610)의 범위에 대한 라인의 전기접점의 배열의 폭은 다음과 같다. 이는 약 24 mm(약 3 mm 전기접점 3개, 약 4 mm 전기접점 간격 1개 및 약 1.5 mm 전기접점 간격 1개)이다.
한편, 3개 폭 시트와 동작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히터의 경우에, 기판(610)의 범위에 대한 배선의 전기접점의 배열의 폭은 다음과 같다. 이는 약 19 mm(약 3 mm 전기접점 4개, 약 4 mm 전기접점 간격 1개 및 약 1.5 mm 전기접점 간격 2개)이다.
상술한 분석의 결과가 표 1에 예시되어 있다. 표에서, 2개 발열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는 히터는 실시예 4a이고, 3개 발열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는 히터는 실시예 4b이다.
실시예 4a 비교예 1 실시예 4b 비교예 2
발열 영역 패턴수 2 2 3 3
전극수 3 4 4 6
전극부의 총 폭 14.5mm 24mm 19mm 34mm
표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열 영역 패턴의 수가 동일한 다른 조건에서, 전기접점 수는 종래예에서보다 본 실시예에서 작다. 따라서, 전기접점에 관한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동일 전원 접점에 접속된 전기접점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전기접점이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때 인접한 전기접점 사이의 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접점의 배열의 전체 폭(전기접점의 폭과 간격을 포함하는 전체 폭)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전기접점이 배열체로 배열될 때 기판(610)의 길이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70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기판(610)의 길이가 고정될 때, 예의 형성에서보다 본 실시예에서 많은 수의 발열영역의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 기판(610)의 길이는 실시예 3에 비해 더 감소되지만, 본 발명은 이런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서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복수의 전기접점이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은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 세 개의 전기접점이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세 개의 전기접점 중 두 개의 전기접점이 동일 전원 접점에 접속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원 접점(110a)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41a)은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61a)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51a)은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661a)의 타단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조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실시예 1에서, 전기접점(661a)(661b)과 전기접점(651a)(651b), 사이의 간격이 전기접점(641a)(641b) 및 전기접점(661a)(651b)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전기접점의 배열의 폭은 기판의 일 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610)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된 두 개의 전기접점이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 제공되고, 동일 전원 접점에 접속된 두 개의 전기접점이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 제공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서 동일 전원 접점에 접속된 두 개의 전기접점 사이의 간격은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서 다른 전원 접점에 접속된 두 개의 전기접점 사이의 것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원 접점(110a)에 접속되는 전기접점이 기판의 일 단부측(610a)에 제공되고,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두 개의 전기접점이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 제공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판의 타단부측(610b)에서 제공되어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두 개의 전기접점 사이에 간격은 2.5 mm 미만이다.
본 예에서, 기판의 폭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접점은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전기접점은 기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본 경우에, 동일 전원 접점에 접속된 전기접점은 감소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전기접점(661a, 671a)이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접점(110a)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41a)은 길이 방향으로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61a)의 일 단부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51a)은 길이 방향으로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62a)의 타단부측에 제공된다.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71a)은 폭 방향으로 전원 접점(110b)에 접속된 전기접점(예로서, 661a)의 타단부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런 배열에서, 전기접점(661a)(661b)과 전기접점(651a)(661b) 사이의 간격은 전기접점(641a)(641b)과 전기접점(661a)(651b)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접점(671a)과 전기접점(651a) 사이의 간격은 전기접점(671a)과 전기접점(641a)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자체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히터이며,
기판,
전원의 접지 및 비접지 측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상기 접지 및 비접지 측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부로서,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는 인접한 전극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부,
인접한 전극부 사이의 급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인접한 전극부 사이에 각각 제공된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배선부로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제1 배선부 자체와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발열 영역에서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부로서, 상기 제2 배선부는 폭 방향으로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배선부, 및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발열 영역에서 상기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배선부로서, 상기 제3 배선부는 폭 방향으로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 배선부
를 포함하고,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특정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수들은 상황에 따라 본 기술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에서 변형될 수 있다.
히터(600)의 발열 영역은 시트가 그 중심이 정착 장치의 중심과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에 기초한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히터(600)의 발열 영역은 시트가 그 일 단부가 정착 장치의 단부와 정렬된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에 맞도록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 영역 A에 대응하는 발열체가 발열체(620c 내지 620j)가 아니고, 발열체(620a 내지 620e)이어도 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발열 영역이 소사이즈 시트를 위한 것으로부터 대사이즈 시트를 위한 것으로 전환될 때, 발열 영역은 대향 단부 양자 모두에서 확장되지 않으며, 대향 단부 부분 중 하나에서만 확장된다.
발열 요소(620)의 형성 방법은 실시예 1 및 2에 개시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에서,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발열체(620) 상에 공통 전극(642)과 대향 전극(652, 662)이 적층된다. 그러나, 기판(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전극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전극간에 발열체(620a 내지 620l)가 형성될 수 있다.
벨트(603)는 히터(600)에 의해 그 내면에서 지지되고, 롤러(70)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러에 둘레로 벨트가 연장하고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동되는 소위 벨트 유닛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저 열용량화의 관점에서 실시예 1 내지 4와 같은 구성이 바람직하다.
벨트(603)와 협력하여 닙부 N을 형성하는 부재는 롤러(70) 같은 롤러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는 복수의 롤러 둘레로 연장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소위 가압 벨트 유닛일 수 있다.
프린터(1)인 화상 형성 장치는 풀컬러를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모노크롬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예로서, 복사기, FAX 및 이들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 등일 수 있다.
화상 가열 장치는 시트 P 상에 토너 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반 정착 토너 화상을 완전 정착 화상으로 정착하기 위한 장치나 이미 정착된 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화상 가열 장치로서의 정착장치(40)는 예를 들어 화상의 광택이나 표면 특성을 조절하는 표면가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는 가장 광범위한 해석에 준하여야 한다.

Claims (15)

  1.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는 급전부와 시트 상의 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엔드리스 벨트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하며, 상기 엔드리스 벨트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엔드리스 벨트와 접촉할 수 있는, 히터이며,
    기판,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부로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는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부,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의 급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배선부로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제1 배선부 자체와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배선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발열 영역의 발열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부로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배선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발열 영역의 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배선부로서, 상기 제3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3 배선부의 외측에 있고,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외측의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1 배선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3. 제2항에 있어서,
    접점부가, 상기 제3 배선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전기 접점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전기 접점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3 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일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타단부측에 인접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3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전기 접점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전기 접점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3 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일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타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전기 접점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전기 접점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3 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일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타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3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7. 화상 가열 장치이며,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구비하는 급전부,
    시트 상의 화상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벨트,
    상기 벨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벨트의 내측에 제공된 기판,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부로서, 상기 제1 전극부들과 상기 제2 전극부들은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부,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의 급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배선부로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제1 배선부 자체와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배선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발열 영역의 발열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부로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배선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발열 영역의 발열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배선부로서, 상기 제3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최대폭을 갖는 시트가 가열될 때,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를 포함하는 모든 배선부를 통해 급전되어 상기 발열부들 모두가 발열하고, 상기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시트가 가열될 때,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의 일부를 통해 급전되어 상기 발열부들 중 일부가 발열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극부들과 상기 제1 배선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화상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3 배선부의 외측에 있고,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의 외측의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1 배선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화상 가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접점부가, 상기 제3 배선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화상 가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전기 접점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전기 접점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3 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일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타단부측에 인접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3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화상 가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전기 접점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전기 접점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3 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일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타단부측에 인접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극부들과 상기 제1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화상 가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부의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 전기 접점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전기 접점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기판의 일단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3 전기 접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일단부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3 전기 접점부의 타단부측에 인접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3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점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화상 가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들에 상기 제1 전기 접점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점부 모두를 통해 급전되는 경우, 발열부들 중 인접하는 발열부들을 통한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인, 화상 가열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교류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15. 히터이며,
    기판,
    전원의 접지측부와 비접지측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상기 접지측부와 비접지측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부로서,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는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부,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의 급전에 의해 발열하도록 인접하는 전극부들 사이에 각각 제공된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배선부로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기판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제1 배선부 자체와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배선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발열 영역의 발열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부로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배선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발열 영역의 발열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 배선부로서, 상기 제3 배선부는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측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부 너머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선부와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전극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히터.
KR1020150072117A 2014-05-26 2015-05-22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KR101851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8591 2014-05-26
JP2014108591 2014-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022A KR20150136022A (ko) 2015-12-04
KR101851043B1 true KR101851043B1 (ko) 2018-05-30

Family

ID=5319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117A KR101851043B1 (ko) 2014-05-26 2015-05-22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7802B2 (ko)
EP (1) EP2950159A1 (ko)
JP (1) JP6594038B2 (ko)
KR (1) KR101851043B1 (ko)
CN (1) CN105319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9660A (ja) * 2012-12-17 2014-07-31 Canon Inc 定着装置及び定着装置で用いるヒータ
US9519250B2 (en) 2015-01-14 2016-12-13 Canon Kabushiki Kaisha Heater and image heating apparatus, the heater having heat generating portions disposed offset from a center line of a substrate
JP2017167202A (ja) * 2016-03-14 2017-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加熱装置
JP7004514B2 (ja) * 2016-06-20 2022-01-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ヒータ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526271A (zh) * 2016-06-20 2017-12-29 东芝泰格有限公司 加热器以及图像形成装置
US10838332B2 (en) * 2016-07-21 2020-11-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device
JP2019078817A (ja) * 2017-10-20 2019-05-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ヒータ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514639B2 (en) * 2017-11-14 2019-12-2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Heating uni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210406B1 (ko) * 2017-12-18 2021-02-0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다수의 발열체 쌍을 가지는 정착기용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정착기
JP2020008811A (ja) * 2018-07-12 2020-01-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45741B2 (en) * 2018-11-09 2020-11-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first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a heater and second and third circuits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first circuit are linearly disposed on a circuit board surface
JP7237560B2 (ja) * 2018-12-19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82525B2 (ja) 2019-01-18 2023-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08260B2 (ja) * 2019-06-19 2024-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66843B2 (ja) * 2019-11-26 2024-04-15 株式会社リコー 加熱部材、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22388B2 (ja) 2020-07-01 2024-07-25 株式会社リコー ヒーター部材、加熱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7613A (ja) * 2010-08-04 2012-02-23 Sharp Corp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3439A (ja) * 2010-09-29 2012-04-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254192A (ja) * 2012-05-10 2013-12-19 Canon Inc 電力供給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用いた定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580B2 (ja) * 1992-03-19 2002-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ヒーター
JPH06202503A (ja) * 1992-12-26 1994-07-22 Canon Inc セラミックヒータ
US6084208A (en) 1993-02-26 2000-07-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device which prevents temperature rise in non-paper feeding portion, and heater
JPH06250539A (ja) * 1993-02-26 1994-09-09 Canon Inc 加熱装置
JP2001006846A (ja) * 1999-06-17 2001-01-12 Canon Inc 加熱体、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57055A (ja) * 2000-03-09 2001-09-21 Canon Inc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870140B2 (en) * 2003-05-21 2005-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Universal fuser heating apparatus with effective resistance switched responsive to input AC line voltage
JP4183186B2 (ja) * 2004-03-29 2008-11-19 京セラ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ヒータ
JP4599176B2 (ja) 2004-01-23 2010-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この装置に用いられるヒータ
JP4241476B2 (ja) 2004-04-01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12444A (ja) * 2004-06-22 2006-01-12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セラミック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4636866B2 (ja) 2004-12-14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4533233B2 (ja) 2005-05-02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US7729628B2 (en) 2005-09-13 2010-06-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a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a target low temperature
JP5042525B2 (ja) * 2006-05-17 2012-10-03 ハリソン東芝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279060A (ja) * 2006-05-19 2006-10-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製造装置用セラミックスヒーター
JP5224664B2 (ja) 2006-08-09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5224663B2 (ja) 2006-08-09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5053786B2 (ja) 2007-10-09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35545B2 (ja) 2009-05-11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5558953B2 (ja) 2010-07-27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65485B2 (ja) 2010-11-02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181355A (ja) 2011-03-01 2012-09-20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3044838A (ja) 2011-08-23 2013-03-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75460B2 (ja) 2012-05-14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体、及びその加熱体を備える画像加熱装置
JP5959944B2 (ja) 2012-06-05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6071366B2 (ja) * 2012-09-19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ヒータ及びこのヒータを搭載する像加熱装置
JP5801847B2 (ja) 2013-06-03 2015-10-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定着機用ヒ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7613A (ja) * 2010-08-04 2012-02-23 Sharp Corp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3439A (ja) * 2010-09-29 2012-04-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254192A (ja) * 2012-05-10 2013-12-19 Canon Inc 電力供給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用いた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7802B2 (en) 2016-11-15
US20150341985A1 (en) 2015-11-26
JP2016006499A (ja) 2016-01-14
EP2950159A1 (en) 2015-12-02
JP6594038B2 (ja) 2019-10-23
KR20150136022A (ko) 2015-12-04
CN105319913B (zh) 2019-11-05
CN105319913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043B1 (ko)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KR20150136021A (ko)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US9529310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JP6732414B2 (ja) ヒ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加熱装置
KR101924676B1 (ko) 히터, 히터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및 히터의 제조 방법
US9423736B2 (en) Heater and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548491B2 (ja) ヒ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加熱装置
KR20150136020A (ko)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KR20160030373A (ko) 히터, 히터를 포함하는 화상 가열 장치 및 히터의 제조 방법
JP2017174644A (ja) ヒ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加熱装置
JP2017173579A (ja) ヒ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