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62B1 - 히라타케속(屬)(Pleurotus sp.)의 신종(新種) 및 그 육성방법 - Google Patents

히라타케속(屬)(Pleurotus sp.)의 신종(新種) 및 그 육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62B1
KR101840262B1 KR1020157001160A KR20157001160A KR101840262B1 KR 101840262 B1 KR101840262 B1 KR 101840262B1 KR 1020157001160 A KR1020157001160 A KR 1020157001160A KR 20157001160 A KR20157001160 A KR 20157001160A KR 101840262 B1 KR101840262 B1 KR 10184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ratake
species
erin
days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744A (ko
Inventor
마리코 이시카와
사토시 이나토미
켄지 오우치
타케시 오쿠
Original Assignee
호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9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과제]
일본국내에 자생하지 않는 에린기, 엘레오셀리니, 바이링구 및 네브로덴시스와 일본국내에 자생하는 히라타케 등의 히라타케속 품종에서 종간교배에 의해 신종을 육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신종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히라타케와 바이링구, 네브로덴시스 혹은 페룰라를 교배시키는 것으로, 또는 에린기 또는 엘레오셀리니 등과 함께 교배하는 것이 가능한 균주를 얻어서, 에린기의 유전자와 히라타케의 유전자를 내재하는 히라타케속의 신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히라타케속(屬)(Pleurotus sp.)의 신종(新種) 및 그 육성방법{NOVEL SPECIES OF PLEUROTUS S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히라타케속(Pleurotus sp.)의 두개 이상의 종(種)을 사용해서 신종을 육성하는 방법과 그 신종에 관한 것 이다.
종래에 일본국내에서 자생하는 히라타케속의 종(이하, 국내종이라 한다)으로는, 히라타케(P. ostreatus(Jacq.:Fr.)kummer), 토키이로히라타케(P. salmoneostramineus L. Vass.), 타모기타케(P. cornucopiae(Paulet) Rolland var. citrinopileatus(Sing.) Ohira), 쿠로아와비타케(P. abalonus Y.H.Han, K.M. Chen&S. Cheng) 및 우스히라타케(P. pulmonarius (Fr.) Quel.)등이 알려져있다. 그중에서도 히라타케는 특용 임산물로서 익숙해져있지만, 유통이나 요리의 과정에서 버섯갓이 부서지기 쉬운 등의 결점이 있어서, 1989년경부터 국내의 생산량이 감소해왔다.
한편, 일본국내에는 자생하지 않는 히라타케속의 종(이하, 외국종이라고 한다)으로는, 에린기(P. eryngii (DC.:Fr.)Quel), 네브로덴시스(P. nebrodensis (DC.:Fr.)Quel.), 페룰라(P. eryngii(DC.:Fr.)Quel. var. ferulae Lanzi), 엘레오셀리니(P. eryngii(DC.:Fr.)Quel. var. elaeoselini) 및 바이링구(Bai-Ling-Gu)(P. eryngii(DC.:Fr.)Quel. var. tuoliensis C.J.Mou) 등이 알려져 있고(비특허문헌1, 비특허문헌2), 1995년경부터 에린기가 일본에서 생산 판매되어, 수년 후에는, 바이링구 등도 판매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에린기와 인기상품이 되어서 국내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뒤이어 나온 바이링구 등은, 에린기는 유사하다는 등의 이유로 새로운 시장으로서 마켓을 넓히는데까지는 이르지 않아서, 색다른 품종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히라타케속에 있어서는, 최근, 외국종에서 종간(種間)에서의 교배가 확인되고 있다(비특허문헌2). 그러나, 국내종과 외국종과의 교배의 예는 없고, 계통수에 대해서도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교배가 불가능하게 되어있다(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 그 때문에 국내종과 외국종 양쪽의 특징을 모두 갖추는 신종의 개발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특허문헌 1 내지 6).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개 2011-109941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11-110046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 2009-22218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 2008-104380호 공보
특허문헌 5: 특개 2007-37455호 공보
특허문헌 6: 특개 2006-67930호 공보
비 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G. Ventirella rt al. Pleurotus eryngii var. elaeoselini var. nov. from Sicily, Mycotaxon, 76, 419-427(2000)
비특허문헌 2: G. Kawai et al. Taxonomic position of a chinese Pleurotus "Bai-Ling-Gu": it belongs to Pleurotus eryngii(DC. :Fr.O Quel. and evolved independently in China, Mycoscience, 49, 75-87(2008)
비특허문헌: D. Bao et al. The biological species of oyster mushroom(Pleurotus spp.)from Asia based on mating compatibility tests, J Wood Sci, 50, 162-168(20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국내종과 외국종과의 종간에서 교배가능한 조합을 발굴해서, 국내종과 외국종의 특징을 함께 갖춘 신종(종간잡종)과 그 종간잡종을 육성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해온 결과,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의 바이링구, 네브로덴시스 또는 페룰라를 교배시키는 것에 성공해서, 그 교배주(株)에 에린기 또는 엘레오셀리니 등을 교배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풍부한 종간잡종의 육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또는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신종(종간잡종)을 제공한다.
즉,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히라타케에 대해서 네브로덴시스를 교배시키는 것으로,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교배에 의한 종간잡종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의 육성방법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종간잡종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의 종간잡종과 에린기 또는 엘레오셀리니 중 어느 하나와 교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의 육성방법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외국종인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의 2종 간에서 교배를 해서 얻어지는 외국종의 종간잡종과 청구항 2의 종간잡종을 교배하는 것으로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종간잡종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의 육성방법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5의 방법에서 얻어진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이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종간 교배에 의해 얻어진, 기탁번호 NITE BP-1378의 히라타케속의 신종이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의 종간교배에 의해 얻어진, 기탁번호 NITE BP-1379의 히라타케속의 신종이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종간교배에 의해 얻어진,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의 종간잡종을 버섯재배용 배지에서 재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종간잡종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히라타케의 유전자와 에린기의 유전자가 혼재하는 신종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에 대해서 각각의 효과를 아래에 서술한다.
청구항 1 및 2에 관한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 중의 네브로덴시스의 교배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국내종과 외국종과의 종간잡종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외국종 중 히라타케와 교배할 수 없었던 종도 히라타케 유전자를 내재하는 종과의 교배를 가능하게 했다. 그래서, 종래 존재하지 않았던 신종에 의해 새로운 시장의 개척에 공헌할 수 있게 되었다.
청구항 3 및 4에 관한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는 교배할 수 없었던 외국종의 에린기 또는 엘레오셀리니와의 교배를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인기가 높은 에린기의 형질을 히라타케에 도입하는 것, 또는 히라타케의 특징적인 형질을 에린기에 도입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관은 히라타케와 비슷하지만 먹는 맛은 에린기의 맛을 나타낸다. 혹은, 버섯갓의 색은 히라타케에 근사한 색이지만 형상은 에린기처럼 쿠키타(莖太) 버섯을 육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5 내지 6에 관한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교배를 하는데 있어서, 외국종에서 교배가능한 패턴으로 외국종간의 종간잡종을 작출하고, 그 작출된 교배주에 국내종의 히라타케를 교배하는 것으로, 보다 많은 바리에이션(variation)의 종간잡종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예를 들면, 교배친에 사용한 종에 특유의 영양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히라타케 또는 외국종의 각 종내의 교배로는 종래 나타나는 것이 불가능했던 색채를 나타나도록 품종을 육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 및 8에 관한 발명은, 국내종과 외국종과의 교배에 의해 얻어진 신종을 제공한다. 교배를 하지 않아도 종간잡종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을 교배시켜서 얻은 신종을 버섯재배용 배지에 접종해서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신규시장의 개척이 가능, 경제적인 발전도 기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 국내종, 외국종 및 본원 발명에 의해 얻어진 기탁번호 NITE BP-1378과 NITE BP-1379에 대해서의 계통관계를 UPGMA 방법에 따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외국종에 대해서, 에린기, 바이링구, 페룰라에 대해서는,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입수하는 것은 용이하다. 한편, 엘레오셀리니나 네브로센시스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입수가 곤란하지만, 균주의 보존기관에서 입수하던가 유럽 시장(이탈리아 등)에서 수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링구에 대해서는 네브로덴시스와 혼동되고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입수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라타케속 중의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의 바이링구, 네브로덴시스 또는 페룰라를 교배하는 것으로 종간잡종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그 종간잡종을 이용해서 다른 외국종과 교배를 하는 것으로, 히라타케와는 교배할 수 없었던 에린기 등의 외국종과의 종간잡종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종의 히라타케의 유전자와 외국종의 유전자가 혼재하는 신종이 작출되는 것으로, 형질이 다양화하고 히라타케속의 새로운 신종을 작성한다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외국종과 종간잡종의 육성과정에서, 국내종의 히라타케와 외국종의 바이링구, 네브로덴시스 또는 페룰라 와의 교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 즉 종간잡종이 구비하는 에린기 등과 교배할 수 있는 능력과 동등의 효과가 얻어지는 교배가 적어도 1회 행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네브로덴시스와 바이링구를 교배해 두고, 다음으로 그 교배주와 히라타케를 교배해도 좋고, 네브로덴시스와 에린기를 교배해두고, 다음으로 그 교배주와 히라타케를 교배해도 좋다. 다르게는, 네브로덴시스와 바이링구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그 교배주와 에린기를 교배시켜 교배주를 더 얻고나서 그 교배주와 히라타케를 교배하는 것도 좋다.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 바이링구 또는 페룰라가 교배되기 전에 교배가능한 조합에 있어서 몇번이고 교배가 반복되어도 좋고,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 바이링구 또는 페룰라가 교배된 후에 몇번의 다른 교배가 반복되어도 좋다.
히라타케와 외국종과의 종간잡종의 작출에 대해서는, 육종기술 분야에 있어서 상법(常法)인 교배법을 이용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음 방법에 따른다. 교배친이 되는 버섯으로부터 포자를 낙하시켜, 단포자분리를 행하고, 한천배지 위에서 단포자로부터 균사를 발아시켜서 일핵균사를 얻는다. 그리고, 다른 교배친이 되는 버섯으로부터도 같은 식으로 해서 일핵균사를 얻고, 양쪽의 일핵균사를 한천배지 위에서 대치해서 배양한다. 배양이 진행되면 교배한 균사는 클램프를 형성한다. 즉 클램프가 관찰된 균사를 분리하면 교배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한천배지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 등, 버섯의 균사의 배양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한천배지를 이용하면 좋다.
상기에 있어서, 교배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교배방법을 채용해야만 하는게 아니라, 세포융합이나 유전자 도입 등의 다른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출된 종간잡종의 재배방법은, 히라타케속의 버섯재배의 예전기술을 이용해서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히라타케, 에린기 및 바이링구에 이용되고 있는 재배방법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종간잡종의 버섯재배용 배지에 대해서는, 그 배지재료로서, 톱밥, 콘코브(corn cob), 코튼 껍질(cotton hull), 코코넛 쉘(coconut shell), 볏짚, 비이트펄프(beet pulp), 대두피(soybean hull), 대두박(soybean meal), 콘그리츠(corn grits), 밀기울(bran), 쌀겨, 보리(대맥), 밀가루(소맥), 보릿겨(대맥강), 귀리, 겉겨, 옥수수 겨, 콘밀(cornmeal), 옥수수섬유(corn fiber), 옥수수껍질(corn hull), 마일로(milo), 채종박(菜種粕), 대두유박, 참깨유박, 커피박, 버개스(bagasse) 또는 타피오카(tapioka) 등의 콩류, 곡류 또는 근채류 등 다양한 초본류나 목본류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콩비지(오카라), 소주박(燒酒粕), 맥주박 등의 식품가공에서 생기는 찌꺼기도 사용가능하다. 배지재료의 선택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는 히라타케, 에린기 및 바이링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종간잡종의 특징에 맞춰서, 버섯재배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다소의 설계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종간잡종의 버섯재배에서 사용하는 용기는, 버섯재배용 병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버섯재배용 포대로 재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버섯재배용 병을 사용한 경우에는, 기계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공업생산적으로 재배하는데에는 버섯재배용 병의 사용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관한 종간잡종의 버섯재배방법은, 상기 배지재료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배지재료를 교반(攪拌)한 후, 수분율이 60에서 70% 정도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거기다가 교반해서 배지를 조정하고, 해당 배지를 재배용 병에 충전하여, 가열살균하고 나서, 본 발명에 관한 종간잡종의 균사를 접종하고, 계속해서 배양하여, 그 후 발생처리를 하고나서 생육시키는 방법이다.
표준적인 배양관리는 다음과 같다. 온도는, 20℃에서 23℃로 바람직하게는 22℃로 관리한다. 습도는 80%~90%사이로 관리한다. 환기는, 배양실의 탄산가스 농도가 3000ppm을 넘지 않도록 관리한다. 배양실 안은 어둡게 해둔다.
표준적인 발생 및 생육관리는 다음과 같다. 온도는 14℃에서 15℃로 관리한다. 습도는 80%~90%로 관리한다. 환기는, 발생실의 탄산가스 농도가 750ppm이하가 되도록 관리한다. 발생 및 생육 중에는 형광등으로 100Lx정도의 빛을 조사한다.
히라타케속의 각종 재배관리는 상기 환경으로 좋지만, 배양, 발생 및 생육일수 등은, 종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배양일수에 대해서는, 히라타케는 21일,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는 28일, 바이링구 및 페룰라는 35일, 네브로덴시스는 42일이다. 발생 및 생육일수에 대해서는 히라타케는 9일, 에린기, 엘레오셀리니, 바이링구 및 페룰라는 14일, 네브로덴시스는 18일 이다.
종간잡종의 경우, 재배관리도 작출된 품종에 따라 다르거나, 신종재배조건의 차이로부터 재배관리조건이 변화하게 되기 때문에, 종간잡종을 복수작성하여, 육성목적으로 하는 환경에 적합한 종간잡종을 선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히라타케와 같이 단기간의 재배 사이클의 품종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배양일수나 생육일수를 단기간으로 설정해두고, 상기의 표준적인 관리하에서 버섯 재배를 하고, 목적으로 하는 형질을 구비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검정하고, 검정결과, 목적을 달성한 경우에는, 그 목적을 달성한 종간잡종을 선발하면 좋다.
또한,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를 사용해서 수회에 걸쳐서 교배를 반복하는 것으로 얻어진 비교적 단기간에 재배가능한 균사예로서 2균주를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 기술기반기구 특허 미생물 기탁센터(NPMD)에 기탁한다. 각각, NITE BP-1378, NITE BP-1379로서 기탁되어 있다.
본 발명을, 이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어딘가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국내종의 히라타케, 토키이로히라타케, 타모기타케, 쿠로아와비타케 및 우스히라타케와 외국종의 에린기, 네브로덴시스, 페룰라, 엘레오셀리니 및 바이링구의 각각의 히라타케 속의 버섯으로부터 단포자분리를 해서 1핵균사를 얻었다. 각각의 종 내에서 각각의 1핵균사를 대치배양해서 교배할지 아닐지를 관찰해서, 종(種)내에서 1핵균사를 4극(極)으로 분류했다.
4극의 각 극으로부터 2주(株)의 1핵균사를 선택하고, 각 종에서 합계 8주의 1핵균사를 사용하여 종간에 교배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든 조합에서 대치배양을 해서, 교배의 성사여부를 검토했다. 그 결과를 표 1에서 보여준다. 표 1에서는, 교배를 한 조합은 +로 표시, 교배를 하지 않았던 조합은 -로 표시했다. 또한, 각각의 종간교배의 모든 조합에 대해서 교배한 조합의 수를 교배율로서 100분율로 표시했다.
히라타케 토키이로히라타케 타모기타케 쿠로아와비타케 우스 히라타케 에린기 네브로덴시스 페룰라 엘레오셀리니 바이링구
히라타케 0.0% 0.0% 0.0% 0.0% 0.0% 56.3% 9.4% 0.0% 18.8%
토키이로히라타케 - 0.0% 0.0% 0.0% 0.0% 0.0% 0.0% 0.0% 0.0%
타모기타케 - - 0.0% 0.0% 0.0% 0.0% 0.0% 0.0% 0.0%
쿠로아와비타케 - - - 0.0% 0.0% 0.0% 0.0% 0.0% 0.0%
우스히라타케 - - - - 0.0% 0.0% 0.0% 0.0% 0.0%
에린기 - - - - - 62.5% 75.0% 78.1% 71.9%
네브로덴시스 + - - - - + 54.7% 31.3% 50.0%
페룰라 + - - - - + + 70.3% 62.5%
엘레오셀리니 - - - - - + + + 12.5%
바이링구 + - - - - + + + +
다음으로, 네브로덴시스와 히라타케의 교배주에 대해서 재배시험을 행했다.
실시예 2
네브로덴시스와 히라타케를 교배시켜서, 임의로 90주를 선택하고, 버섯재배용 배지에 해당 90주의 균사를 각각 하나하나에 접종(接種)하여, 버섯의 발생상황을 조사했다. 버섯의 재배는 다음과 같이 시행했다.
버섯재배방법에 대해서.
버섯재배용 배지는, 에린기의 발생이 양호한 다음의 배합의 배지를 사용했다. 중량비로 콘코브: 두피(豆皮): 밀겨울: 쌀겨가 64: 18: 9: 9의 배합으로 배합해서, 교반 후 물을 첨가해서 64%로 했다.
버섯재배용 배지를 850ml의 버섯재배용 병에 충전하고, 배지를 압압하는 것과 함께 위쪽에서부터 안까지 관통하는 구멍을 배지 상면중앙에서부터 안쪽으로 향하게 설치하고, 병입구에 캡을 끼워 붙인 후, 살균을 118℃로 15분 행했다. 살균후의 버섯재배용 병은, 20℃까지 냉각한 후 네브로덴시스와 히라타케의 교배주의 균사를 접종했다. 그 후, 온도 22~23℃, 습도 80~90%로 21~42일간 배양하고, 계속해서 균 긁어내기를 해서, 온도 14~15℃, 습도 80~90%로 6~10일간 발생처리를 하고, 발아 후에는 온도 14~15℃, 습도 80~90%로 3~10일간 생장시켜서 수확을 했다.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와의 교배주의 재배의 결과에 대해서, 그 재배적 특성이나 형태적인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배양일수에 대해서는, 히라타케의 표준적인 배양일수는 21일로, 네브로덴시스의 표준적인 배양일수는 42일 이었지만, 신종의 교배주에 대해서는, 18일에서 36일간으로, 측정치가 불규칙하게 보여졌다.
(2) 생육일수(발생처리를 하고나서 수확까지의 기간을 말한다)에 대해서는, 9일에서 20일간으로 측정치가 불규칙하게 보여져, 히라타케에 가까운것 중간적인 것 네브로덴시스에 가까운 것 등을 얻는 것이 가능했다.
(3) 형태적 특성이나 식미(食味)에 대해서도, 히라타케에 근사한 형태나 맛을 나타내는 것,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의 중간형, 네브로덴시스에 근사한 것 등의 다종다양한 품종을 얻는 것이 가능했다.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의 교배주

재배특


배양일수

21일

42일

18~36일

생육일수

9일

18일

9~20일

수량성(收量性)(w/w)
수율(收率)
22.1%

수율 17.6%

수율 15.8%~23.7%


형태적특성


버섯 갓

형태

요형(凹型)

요형(凹型)
깔때기형, 요형(凹型), 평형(平型)



회갈색

담황백색

백색, 담황백색, 회갈색


버섯 자루

형태

가늘고 짧음

약간 굵음
가늘고 김, 가늘고 짧음, 약간 굵음


백색

담황백색

백색, 담황백색




식미




아린맛이 있음


단맛이 있음

아린맛이 있는 것, 아린맛이 완화되어 있는 것, 밤과 같은 단맛이 있는 것 등 다양화했다.


식감

부드러워서 씹히는 맛이 좋지않음

오독오독한 식감으로 씹히는 맛이 좋음
히라타케에 유사한 식감을 갖는 것, 네브로덴시스에 유사한 식감의 것, 어느쪽과도 유사한다고 말할 수 없는 등 다양화가 보여짐
실시예 3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와의 교배주와 에린기 또는 엘레오셀리니와의 교배에 대해서, 각각으로부터 단포자분리를 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교배를 시행했다. 그 교배결과에 대해서 표 3에 나타냈다. 표 3중의 숫자는, 각각의 종간교배의 모든 조합 중 교배한 수를 100분률로 나타냈다.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를 교배한 것으로, 에린기나 엘레오셀리니와도 교배가능하게 되고, 에린기 또는 엘레오셀리니와 히라타케와의 유전자를 내재하는 버섯을 작출하는 것이 가능했다.

에린기

엘레오셀리니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와의 교배주

34.4%

10.0%
실시예 4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와의 교배주로부터 단포자분리를 하고, 한편으로는 에린기와 엘레오셀리니와의 교배주로부터 단포자분리를 해서, 양쪽의 1핵균사를 대치배양하는 것으로 교배를 시행하여,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와의 교배주와 에린기와 엘레오셀리니와의 교배주와의 교배주를 70주 얻어서, 실시예 2의 버섯재배방법과 같은식으로 재배를 했다.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와의 교배주와 에린기와 엘레오셀리니와의 교배주와의 교배주의 재배의 결과에 대해서, 그 재배적 특성이나 형태적 특성을 표 4에 나타냈다.
(1) 배양일수는 21일에서 36일까지로 측정치가 불규칙했다.
(2) 생육일수에 대해서는 10~14일이었다.
(3) 형태적 특징은, 버섯 갓이나 기둥의 형태 등 히라타케에 근사한 색이나 형태, 에린기에 근사한 색이나 형태의 형질을 표현한 것이나 히라타케와 에린기의 중간적인 것 혹은, 히라타케 또는 에린기보다도 네브로덴시스에 근사한 것 등 다종다양했다. 또한, 색에 대해서는 RHScolour chart를 참고했다.

재배
특성

배양일수

21~36일

생육일수

10~14일

수량성

수율은 20.3~31.6%


형태적 특성



버섯 갓

형태

깔때기형, 요형(凹型), 평형(平型), 철형(凸型)


백색, 담황색, 청회색, 회갈색, 암회갈색, 갈색, 농갈색 그외(159c ORANGE-WHITE GROUP, 22A YELLOW-ORANGE GROUP 등)

버섯
기둥

형태

세장(細長), 세단(細短), 태장(太長), 태단(太短), 중태(中太)


백색, 황백색, 담화색


식미


단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나 별로 맛이 느껴지지 않는 것 등이 있었다.


식감

네브로덴시스, 히라타케,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 중 어느 하나에 근사한 식감을 갖는 것이나 그중 어느 하나의 중간적인 것 등 다양했다.
다음으로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를 사용해서 수회에 걸쳐 교배를 반복한 것으로 얻어진 실용적인 균사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예 5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 기술기반기구 특허미생물 기탁센터(NPMD)에 NITE BP-1378 및 NITE BP-1379로서 기탁시켜져 있는 균주는,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에린기, 엘레오셀리니를 사용해서, 임의로 선택한 신품종으로부터 단포자분리를 시행해서 얻어진 1핵균사의 대치배양에 의한 교배를 반복해서 얻은 균주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히라타케와 네브로덴시스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1품종을 선발했다(교배주 1이라 한다). 한편, 에린기와 엘레오셀리니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1품종을 선발했다(교배주 2라 한다). 다음으로 교배주 1과 교배주 2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1품종을 선발했다(교배주 3이라 한다). 교배주 3과 히라타케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1품종을 선발했다(교배주 4라 한다). 교배주 4와 에린기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1품종을 선발했다(교배주 5라 한다). 교배주 5와 히라타케를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1품종을 선발했다(교배주 6이라 한다). 교배주 5와 교배주 6을 교배해서 교배주를 얻고, 형태 등을 검정해서, 그 교배주 중에서 2균주를 선발해서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 기술기반기구 특허미생물 기탁센터(NPMD)에 기탁하고, 기탁번호 NITE BP-1378 및 NITE BP-1379가 되었다.
다음으로 기탁된 각각의 균주의 미생물학적 제형질(諸形質)에 대해서 각종 한천배지에서의 배양 예예 대해서 아래에 나타낸다.
실시 예 6
기탁번호 NITE BP-1378과 기탁번호 NITE BP-1379를 각각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medium)에서 전(前)배양하고, 코르크 보러(cork borer)로 직경 5.0mm로 구멍을 뚫어서, 아래의 각 배지에 접종(接種)해서 암(暗)배양했다.
기탁번호 NITE BP-1378의 결과
(1) 맥아엑기스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의 콜로니(colony) 직경은 23.5mm, 균총(菌叢)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매우 희박하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氣中)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와 비교하면 조금 적고, 히라타케와 비교하면 같은 정도였다.
(2)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42.5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많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조금 많았다.
(3) 사부로(Sabouraud)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22.3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많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조금 많았다.
(4) 합성 무코르(Mucor)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의 콜로니 직경은 17.1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동등하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보다 높았다. 기중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하면 조금 많았다.
(5) YpSs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49.4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중간 정도이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하면 적었다.
(6) 짜페크-독스(Czapex-Dox)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의 콜로니 직경은 32.9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매우 희박하고, 에린기와 비교해서는 밀도가 높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는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하면 같은 정도였다.
(7) 오트밀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의 직경은 59.2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중간정도이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는 적었다.
(8) 페놀옥시다아제(phenoloxidase) 검정(檢定)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0.5% 탄닌산 첨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에서, 배양 6일째에 균사는 생장하지 않고, 또한 불활착(不活着) 증상을 나타내는 것과 함께 접종원(接種源)의 주변배지가 조금 갈변화했다. 에린기, 히라타케도 같은 결과였다.
0.5% 몰식자산(沒食子酸) 첨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에서, 배양 6일 째에는 균사는 생장하지 않고, 접종원의 주변배지가 갈변화했다. 계속해서 배양을 한 결과 균사가 활착하고, 접종 후 9일째에 콜로니의 직경은 24.2mm가 되었다.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한편, 히라타케에서는 균사의 활착 및 생장이 보여지지 않고, 접종원의 주변배지의 갈변화만이 보였다.
(9) 최적생장온도: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 직경 5mm의 균사 조각을 접종하고, 25℃에서 2일간 전배양한 후, 각 온도에서 각각 배양했다. 6일 후에 생장한 콜로니 반경을 측정한 결과, 최적생장온도는 28℃ 부근이었다. 또한 5℃에서는 거의 균사가 생장하지 않고, 34℃에서는 생장이 현저하게 나빴다.
(10) 최적생장 pH: PD 액체배지 25ml를 멸균 후, 염산 또는 수산화 칼륨으로 pH를 무균적(無菌的)으로 pH 3.0~10.0의 범위에서 매 0.5마다 조정했다. 그 후 직경 5mm의 균사조각을 접종해서, 15일간 정치(靜置)배양한 후, 각 건조중량을 측정한 결과, 최적생장 pH은 6.0부근이었다. 또한, 본균주의 생장은 pH 4.5~9.0의 범위에서 양호했다.
기탁번호 NITE BP-1379의 결과
(1) 맥아엑기스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의 콜로니 직경은 49.0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매우 희박하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매우 적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2)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61.2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많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조금 많았다.
(3) 사부로(Sabouraud)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39.8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많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조금 많았다.
(4) 합성 무코르(Mucor)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의 콜로니 직경은 19.5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희박하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희박, 히라타케와 비교하여 동등했다. 기중 균사의 양은 중간 정도였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많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조금 적었다.
(5) YpSs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63.5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중간 정도이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하면 적었다.
(6) 짜페크-독스(Czapex-Dox)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의 콜로니 직경은 60.4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매우 희박하고, 에린기와 비교해서는 밀도가 높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는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7) 오트밀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6일째 콜로니 직경은 75.6mm,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 및 히라타케와 같은 정도였다. 기중 균사의 양은 중간정도이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이고 히라타케와 비교해서 적었다.
(8) 페놀옥시다아제(phenoloxidase) 검정배지에서의 생육상태(25℃)
0.5% 탄닌산 첨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에서, 배양 6일째에 균사는 생장하지 않고, 또한 불활착(不活着) 증상을 나타내는 것과 함께 접종원(接種源)의 주변배지가 조금 갈변화했다. 에린기, 히라타케도 같은 결과였다.
0.5% 몰식자산(沒食子酸) 첨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에서, 배양 6일 째에는 균사는 생장하지 않고, 접종원의 주변배지가 갈변화했다. 계속해서 배양을 한 결과 균사가 활착하고, 접종 후 9일째에 콜로니의 직경은 8.0mm가 되었다. 균총의 색은 백색이었다. 균총의 밀도는 높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또한 기중 균사의 양은 적고, 에린기와 비교해서 같은 정도였다. 한편, 히라타케에서는 균사의 활착 및 생장이 보여지지 않고, 접종원의 주변배지의 갈변화만이 보였다.
(9) 최적생장온도: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 직경 5mm의 균사 조각을 접종하고, 25℃에서 2일간 전배양한 후, 각 온도에서 각각 배양했다. 6일 후에 생장한 콜로니 반경을 측정한 결과, 최적생장온도는 28℃ 부근이었다. 또한 5℃에서는 거의 균사가 생장하지 않고, 34℃에서는 생장이 현저하게 나빴다.
(10) 최적생장 pH: PD 액체배지 25ml를 멸균 후, 염산 또는 수산화 칼륨으로 pH를 무균적(無菌的)으로 pH 3.0~10.0의 범위에서 매 0.5마다 조정했다. 그 후 직경 5mm의 균사조각을 접종해서, 15일간 정치배양한 후, 각 건조중량을 측정한 결과, 최적생장 pH은 6.0부근이었다. 또한, 본균주의 생장은 pH 4.5~9.0의 범위에서 양호했다.
실시 예 7
기탁번호 NITE BP-1378과 기탁번호 NITE BP-1379를 실시 예 2의 버섯재배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버섯을 발생시켰다. 그 재배결과에 대해서, 재배적 특성이나 형태적 특성 등에 대해서 표 5에 나타냈다. 버섯 갓의 색이나 기둥의 형태 등은 에린기보다도 히라타케의 형태에 근사했다. 또한, 색에 대해서는 RHS colour chart를 참고로 했다.
NITE BP-1378 NITE BP-1379


재배
특성

배양일수

21일

21일

생육일수

12일

12일

수량성(收量性)

수율 31.6%

수율 31.6%































버섯 갓



형태
철형(凸型)으로 테두리가 안쪽으로 말려들어가 있다. 성숙하면 갓의 중앙부분은 조금 움푹패이고, 테두리 말림은 약해진다. 표면은 평활(平滑)하다. 평형(平型)으로 테두리가 안쪽으로 말려들어가 있다. 성숙하면 갓의 중앙부분은 조금 움폭패이고, 테두리의 말림은 약해진다. 표면은 평활하다.
크기 30~40mm 35~45mm

회갈색(N1 99A, GREY-BROWN GROUP) 회갈색(NI 99B, GREY-BROWN GROUP)연하게 섬유모양이 보여진다.


버섯
자루
크기·형태 65~75×8~9mm의 원통형 60~65×8~10mm의 원통형

백색(155D, WHITE-GROUP)
표면은 평활하다. 내부는 충실하다.
백색(155D, WHITE-GROUP)
표면은 평활하다. 내부는 충실하다.


주름
자루에 내려붙기(垂生)하고, 선단(先端)은 평활
회백색(156B, GREYED-WHITE GROUP)
자루에 내려붙기(垂生)하고, 선단(先端)은 평활 회백색(156A, GREYED-WHITE GROUP)

담자기
(擔
子器)

형태

긴 곤봉형태, 4포자형

긴 곤봉형태, 4포자형
크기 23~27×6~9㎛ 24~27×5~7㎛

담자
포자


형태

원통형

원통형
크기 9.0~11.0×3.5~5.0㎛ 6.5~10.5×2.5~4.5㎛
포자무늬의 색
백색

백색
테두리 시스티디아
(cystidia)


형태


곤봉형태


곤봉형태
크기 18.0~22.0×4.5~7.0㎛ 19.0~23.0×4.0~7.0㎛







독특한 감칠맛, 풍미가 있다.

독특한 감칠맛, 풍미가 있다.
식감 적당한 굳기를 갖고 있어서, 씹는 맛이 좋다. 적당한 굳기를 갖고 있어서, 씹는 맛이 좋다.
실시 예 8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에린기, 엘레오셀리니, 종간잡종기탁번호 NITE BP-1378 및 종간잡종기탁번호 NITE BP-1379 각각에 대해서 ITS 영역의 염기배열을 조사해서 비교했다.
(1)ITS영역의 염기배열을 결정
PDA평판배지에서 배양한 히라타케, 에린기, 엘레오셀리니, 네브로덴시스, NITE BP-1378 및 NITE BP-1378 및 NITE BP-1379의 6균주의 균사체를 각각 집균해서, 동결 건조한 것으로부터 DNA 추출키트「Plant Geno-DNA-Template(TaKaRa사)」를 이용해서 DNA를 각각 추출했다. 추출한 각각의 DNA를 주형(鑄型)으로서, ITS1(5'-TCCGTAGGTGAACCTGCGG)및 ITS4(5'-TCCTCCGCTTATTGATATGC)의 프라이머 페어(primer pairs)에 의해, 리보솜(ribosome) DNA의 내부 전사 스페이서 영역(이하, ITS영역이라 한다.)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에 따라 증폭하고, 얻어진 PCR산물을 정제하고, 시퀀싱(sequencing)을 해서 연기배열을 결정했다. 시퀀싱은 주식회사 벡스(BEX)에 의뢰하고, ABI Prism 3130 Genetic Analyzer(Applied Biosystems Japan)를 이용한 다이 터미네이터(Dye Terminator) 법에 따라시행했다.
(2)유전적 특성의 분석
상기 6균주의 각각의 ITS영역의 염기배열에 의거해서, MEGA(5.05)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Kimura2-parameter로 진화학적 거리를 계산, UPGMA법으로 분자진화학적 관계를 도 1에 나타냈다. 이때,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의 수치는 1000으로 했다.
그 결과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버섯의 최종 동정(同定)을 행한 결과, NITE BP-1378은 히라타케속의 버섯「P. eryngii」의 배열과 상동성(相同性)이 매우 높고, NITE BP-1379는 「P. eryngii」와 「P. ostreatus」의 두개의 배열과 상동성이 높다라는 결과가 되었다. 이점으로부터, NITE BP-1379는, 히라타케와 에린기의 양쪽의 유전자를 둘다 갖춘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한편,
NITE BP-1378은, ITS영역에 있어서는, 에린기에 근사하지만, 실시예 7의 결과에서부터 버섯의 형태는 에린기보다도 히라타케에 근사해서,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히라타케와 에린기의 형질이 혼재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농업 및 식품분야에 있어서, 신종 버섯의 생산 및 제공, 신종 버섯을 이용한 가공품의 제공, 신종 버섯을 이용한 메뉴의 제공 등에 유용하다.
수탁번호
MH006403 NITE BP-1378
MH006404 NITE BP-1379
<110> Hokto Kabushikikaisya <120>A method for discriminating Pleurotus eryngii varieties <160>8 <210>1 <211>572 <212>DNA <213>Pleurotus ostreatus (Jacq.:Fr.) Kummer <400>1 ttgttgctgg cctctagggg catgtgcacG cttcactagt ctttcacccc tgtgaacttt 60 tgatagatct gtgaagtcgt ctttcaagtC gtcagacttg gtttgctggg atttaaacgt 120 ctcggtgtga caacgcagtc tatttactta acacacccca aatgtatgtc tacgaatgtc 180 atttaatggg ccttgtgcct ataaaccata atacaacttt caacaacgga tctcttggct 240 ctcgcatcga tgaagaacgc agcgaaatgc gataagtaat gtgaattgca gaattcagtg 300 aatcatcgaa tctttgaacg caccttgcgc cccttggtat tccgaggggc atgcctgttt 360 gagtgtcatt aaattctcaa actcactttg gttttttcca attgtgatgt ttggattgtt 420 gggggctgct ggccttgaca ggtcggctcc tcttaaatgc attagcagga cttctcattg 480 cctctgcgca tgatgtgata attatcactc atcaatagca cgcagaatag agtccagctc 540 tctaatcgtc cgcaaggaca attgacaatt ga 572 <210>2 <211>629 <212>DNA <213>Pleurotus eryngii (DC.:Fr.) Quel. ver. nebrodensis Inzenga <400>2 ttgttgctgg cctctagggg catgtgcacg cttcactagt ctttcaaccc ctgtgaactt 60 ttgatagatc tgtgaagtcg tctctcaagt cgtcagactt ggtttgctgg gatttaaATG 120 tcttagtgtg actacgcagt ctatttactt atacaccccc aaatgtatgt ctacgaatgt 180 catttaatgg gccttgtgcc tataaaccat aatacaactt tcaacaacgg atctcttggc 240 tctcgcatcg atgaagaacg cagcgaaatg cgataagtaa tgtgaattgc agaattcagt 300 gaatcatcga atctttgaac gcaccttgcg ccccttggta ttccgagggg catgcctgtt 360 tgagtgtcat taaattctca aactcactct ggtttttcca attgtgatgt ttggattgtt 420 gggggctgct ggccttgaca ggtcggctcc tcttaaatgc attagcagga cttctcattg 480 cctctgcgca tgatgtgata attatcactc atcaatagca cgcatgaata gagtctggct 540 ttctaaccgt ccgcaaggac aatttgacaa tttgacctca aatcaggtag gactacccgc 600 tgaacttaag catatcaata agcggagga 629 <210>3 <211>555 <212>DNA <213>Pleurotus eryngii (DC.:Fr.) Quel <400>3 ttgttgctgg cctctagggg catgtgcacg cttcactagt ctttcacccc tgtgaacttt 60 tgatagatct gtgaagtcgt ctctcaagtc gttagacttg gtttgctggg atgtaaacgt 120 ctcggtgtga ctacgcagtc tatttactta taacacccca aatgtatgtc tacgaatgtc 180 atttaaaggg ccttgtgcct ataaaccata atacaacttt caacaacgga tctcttggct 240 ctcgcatcga tgaagaacgc agcgaaatgc gataagtaat gtgaattgca gaattcagtg 300 aatcatcgaa tctttgaacg caccttgcgc cccttggtat tccgaggggc atgcctgttt 360 gagtgtcatt aaattctcaa actcactctg gtttttccaa ttgtgatgtt tggattgttg 420 ggggctgctg gccttgacag gtcggctcct cttaaatgca ttagcaggac ttctcattgc 480 ctctgcgcat gatgtgataa ctatcactca tcaatagcac gcatgaatag agtttggctc 540 tctaaccgtc cgcaa 555 <210>4 <211>605 <212>DNA <213>Pleurotus eryngii (DC.:Fr.) var. elaeoselini <400>4 ttgttgctgg cctctagggg catgtgcacg cttcactagt ctttcaaccc ctgtgaactt 60 ttgatagatc tgtgaagtcg tctctcaagt cgttagactt ggtttgctgg gatgtaaacg 120 tctcggtgtg actacgcagt ctatttactt ataacacccc aaatgtatgt ctacgaatgt 180 catttaaagg gccttgtgcc tataaatcat aatacaactt tcaacaacgg atctcttggc 240 tctcgcatcg atgaagaacg cagcgaaatg cgataagtaa tgtgaattgc agaattcagt 300 gaatcatcga atctttgaac gcaccttgcg ccccttggta ttccgagggg catgcctgtt 360 tgagtgtcat taaattctca aactcactct ggtttttcca attgtgatgt ttggattgtt 420 gggggctgct ggccttgaca ggtcggctcc tcttaaatgc attagcagga cttctcattg 480 cctctgcgca tgatgtgata attatcactc atcaatagca cgcatgaata gagtctggct 540 ctctaaccgt ccgcgaggac aatttgacaa tttgacctca aatcaggtag gactacccgc 600 tgaac 605 <210>5 <211>584 <212>DNA <213>Pleurotus sp. NITE BP-1378 <400>5 ttgttgctgg cctctagggg aatgtgcacg cttcactagt ctttcacccc tgtgaacttt 60 tgatagatct gtgaagtcgt ctctcaagtc gttagacttg gtttgctggg atgtaaacgt 120 ctcggtgtga ctacgcagtc tatttactta taacacccca aatgtatgtc tacgaatgtc 180 atttaaaggg ccttgtgcct ataaaccata atacaacttt caacaacgga tctcttggct 240 ctcgcatcga tgaagaacgc agcgaaatgc gataagtaat gtgaattgca gaattcagtg 300 aatcatcgaa tctttgaacg caccttgcgc cccttggtat tccgaggggc atgcctgttt 360 gagtgtcatt aaattctcaa actcactctg gtttttccaa ttgtgatgtt tggattgttg 420 ggggctgctg gccttgacag gtcggctcct cttaaatgca ttagcaggac ttctcattgc 480 ctctgcgcat gatgtgataa ctatcactca tcaatagcac gcataaatag agtctggctc 540 tctaaccgtc cgcaaggaca attgacaatt gactcaatca ggta 584 <210>6 <211>566 <212>DNA <213>Pleurotus sp. NITE BP-1379 <400>6 ttgttgctgg cctctagggg catgtgcacg cttcactagt ctttcacccc tgtgaacttt 60 tgatagatct gtgaagtcgt ctytcaagtc gtyagacttg gtttgctggg atktaaacgt 120 ctcggtgtga cwacgcagtc tatttactta wmacacccca aatgtatgtc tacgaatgtc 180 atttaawggg ccttgtgcct ataaaccata atacaacttt caacaacgga tctcttggct 240 ctcgcatcga tgaagaacgc agcgaaatgc gataagtaat gtgaattgca gaattcagtg 300 aatcatcgaa tctttgaacg caccttgcgc cccttggtat tccgaggggc atgcctgttt 360 gagtgtcatt aaattctcaa actcactytg gttttttcca attgtgatgt ttggattgtt 420 gggggctgct ggccttgaca ggtcggctcc tcttaaatgc attagcagga cttctcattg 480 cctctgcgca tgatgtgata aytatcactc atcaatagca cgcakaatag agtccrgctc 540 tctaaycgtc cgcaaggaca attgac 566

Claims (12)

  1.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를 교배친으로서 사용하여 얻어진, 기탁번호 NITE BP-1378로 특정되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
  2. 히라타케, 네브로덴시스, 에린기 및 엘레오셀리니를 교배친으로서 사용하여 얻어진, 기탁번호 NITE BP-1379로 특정되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
  3.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을 버섯재배용 배지에 접종해서 버섯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라타케속의 종간잡종의 재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7001160A 2012-07-31 2012-12-10 히라타케속(屬)(Pleurotus sp.)의 신종(新種) 및 그 육성방법 KR101840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9032 2012-07-31
JP2012169032A JP5595453B2 (ja) 2012-07-31 2012-07-31 ヒラタケ属(Pleurotussp.)の新種及びその作出方法
PCT/JP2012/007868 WO2014020653A1 (ja) 2012-07-31 2012-12-10 ヒラタケ属(Pleurotus sp.)の新種及びその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744A KR20150039744A (ko) 2015-04-13
KR101840262B1 true KR101840262B1 (ko) 2018-03-21

Family

ID=5002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160A KR101840262B1 (ko) 2012-07-31 2012-12-10 히라타케속(屬)(Pleurotus sp.)의 신종(新種) 및 그 육성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31869B2 (ko)
JP (1) JP5595453B2 (ko)
KR (1) KR101840262B1 (ko)
CN (1) CN104717881B (ko)
CA (1) CA2878902C (ko)
HK (1) HK1208778A1 (ko)
SG (1) SG11201500736RA (ko)
TW (1) TWI496885B (ko)
WO (1) WO2014020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9639B (zh) * 2022-08-17 2022-11-22 云南菌视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银耳液体菌种短周期生产方法及银耳液体菌种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930A (ja) 2004-09-03 2006-03-16 Asahimatsu Shokuhin Kk 新品種きのこ及びその交配株の作製方法並びに新品種きのことその交配株
JP2009240241A (ja) 2008-03-31 2009-10-22 Unitika Ltd ヒラタケ新菌株及びその人工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7969B2 (ja) * 1994-07-18 2009-12-02 ホクト株式会社 子実層非形成菌株の育種方法
JP5106837B2 (ja) * 2006-11-28 2012-12-26 旭松食品株式会社 実用バイリング・エリンギ交配株
CN101836597A (zh) * 2009-03-18 2010-09-22 西南科技大学 红侧耳灰白色变异新菌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930A (ja) 2004-09-03 2006-03-16 Asahimatsu Shokuhin Kk 新品種きのこ及びその交配株の作製方法並びに新品種きのことその交配株
JP2009240241A (ja) 2008-03-31 2009-10-22 Unitika Ltd ヒラタケ新菌株及びその人工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500736RA (en) 2015-05-28
TW201410144A (zh) 2014-03-16
HK1208778A1 (zh) 2016-03-18
WO2014020653A1 (ja) 2014-02-06
JP5595453B2 (ja) 2014-09-24
US10131869B2 (en) 2018-11-20
KR20150039744A (ko) 2015-04-13
CN104717881A (zh) 2015-06-17
TWI496885B (zh) 2015-08-21
US20150296735A1 (en) 2015-10-22
CA2878902A1 (en) 2014-02-06
CN104717881B (zh) 2016-04-20
JP2014027881A (ja) 2014-02-13
CA2878902C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35842B (zh) 一株蜜环菌yn01(wt)及其应用
Yang et al. An endophytic strain of the genus Bacillus isolated from the seeds of maize (Zea mays L.) has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maize pathogenic strains
US20220369648A1 (en) Endophytic falciphora oryzae fo-r20 and its application
CN111876333B (zh) 一株高产多糖香菇菌株xg-3及其应用
CN113736666A (zh) 一种黑牛肝菌菌株与应用
CN107893034B (zh) 一种金针菇病原细菌的鉴定及抗病白色金针菇菌株的筛选方法
CN110343621A (zh) 一种棘孢木霉菌株及其应用
CN113088455B (zh) 一种适合工厂化栽培的香菇菌种及其分子鉴定方法
KR101840262B1 (ko) 히라타케속(屬)(Pleurotus sp.)의 신종(新種) 및 그 육성방법
Kumara et al. Improvement of strains of two oyster mushroom cultivars using duel culture technique
CN113337408B (zh) 一种香菇菌株jxb5及其应用
CN112961787B (zh) 一种杨柳田头菇菌株及其栽培方法
KR101544927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8-24s 및 이의 자손
CN106434381A (zh) 纯白真姬菇菌株及其分子标记、特异性引物对和应用
CN106635822B (zh) 一种榆黄蘑菌株及其杂交育种方法
CN112410226B (zh) 一种金黄色大球盖菇菌株
CN114540199B (zh) 一种球状香菇菌株七河珍香1号及Indel指纹图谱鉴定方法
KR101455702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9ab64
CN117683645B (zh) 一种亮盖灵芝菌株l4914及其栽培方法与应用
CN112063533B (zh) 一株真姬菇菌株
Qian et al. Interspecies hybridization between Auricularia cornea cv. Yu Muer and Auricularia heimuer cv. Bai Muer through protoplast fusion
Jyothi et al. Development of improved strain of Pleurotus species by interspecific hybridization.
CN116622515A (zh) 一种香菇菌株及其用途
CN117903954A (zh) 一株七妹羊肚菌菌株ks5及其栽培方法
CN115926999A (zh) 高产多糖灵芝新菌株hmgim-s140529及其分子标记和人工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