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045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045B1
KR101833045B1 KR1020110113660A KR20110113660A KR101833045B1 KR 101833045 B1 KR101833045 B1 KR 101833045B1 KR 1020110113660 A KR1020110113660 A KR 1020110113660A KR 20110113660 A KR20110113660 A KR 20110113660A KR 101833045 B1 KR101833045 B1 KR 10183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sure chamber
rotary compressor
low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817A (ko
Inventor
이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045B1/ko
Priority to US13/665,128 priority patent/US9206689B2/en
Priority to ES12191026T priority patent/ES2721479T3/es
Priority to EP12191026.9A priority patent/EP2589746B1/en
Priority to CN201210434196.6A priority patent/CN103089650B/zh
Publication of KR2013004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9Lubricant s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2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터리 압축기의 지지구조를 개선하고 로터리 압축기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한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진동, 저소음의 압축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로터리 압축기의 크기가 소형화 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리 압축기를 에어컨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압축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가 마련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터리 압축기의 지지구조를 개선하고 로터리 압축기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한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전기모터 등과 같은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 냉매 등과 같은 유체에 압력을 가해 압축하고 압축된 유체를 토출시키는 장치로 공기조화기와 냉장고 등과 같은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압축기는 압축을 이루는 방식에 따라 용적형 압축기와 터보형 압축기로 분류 되는데 이 중 용적형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유체가 압축되는 로터리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로터리 압축기는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구동부에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하도록 하는 압축부와, 케이스의 흡입구에 연결되며 압축부와 통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스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흡입관이 연결되는데, 흡입관은 케이스의 흡입구와 함께 용접된다.
냉매가 어큐뮬레이터로 유입되면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저장된다. 액냉매의 경우에는 기회된 후 압축기의 압축실로 유입된다. 종래에 어큐뮬레이터는 액냉매 상태로 압축실에 유입되어 압축기의 밸브 등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에 섞여 토출되는 오일이 다시 압축기로 복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압축부는 용접으로 고정되며, 케이스에 구동부가 압입되고 압축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구동부가 케이스에 압입되기 때문에 구동부와 압축부의 소음,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진동,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의 장착으로 인하여 로터리 압축기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로터리 압축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며, 소음, 진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압축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가 마련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제1케이스 내부와 상기 제2케이스 내부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제1흡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와 연결되며, 냉매의 유입을 위하여 상기 제1케이스 내부의 상측에 입구부가 마련되는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관과 상기 제1케이스 하측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오일이 상기 제2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와 연결되며, 오일이 상기 제2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절곡되어 상기 제1케이스 하측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와 연결되며,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 오일이 상기 제2케이스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망 구조로 이루어진 망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흡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의 상측과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케이스 내측의 가스를 상기 제1케이스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제1케이스로 소음,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성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제1케이스로 소음,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 내측에서 밴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케이스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측의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는 마련되는 저압실, 상기 제2케이스 내측에 마련되는 고압실, 상기 고압실로부터 상기 저압실의 외측으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저압실의 체적은 상기 고압실로 유입되는 액상 냉매의 체적의 1/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저압실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압실에는 냉매가 상기 저압실에서 상기 고압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저압실과 상기 고압실을 연결하며, 상기 제2케이스에 마련된 제1흡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에 연결되며 오일을 상기 고압실 내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 오일이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과 상기 제1케이스의 하측과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오일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 모세관 현상을 통해 오일이 복귀할 수 있도록 모세관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 오일이 복귀할 수 있도록 망 구조로 이루어진 망상부일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토출부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압실 내측에서 밴딩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저압실 외측으로 소음,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진동, 저소음의 압축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로터리 압축기의 크기가 소형화 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리 압축기를 에어컨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와, 제1케이스(1)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케이스(2)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2)의 내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0)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부(20)를 구비한다, 구동부(10) 및 압축부(20)는 원통 형상의 밀폐된 제2케이스(2) 내부에 설치된다.
제2케이스(2)의 하부 일 측에는 제1케이스(1)와 연통되는 제1흡입구(3)가 마련된다. 제1케이스(1)의 하부에는 오일이 저장되어 있다.
제2케이스(2)의 상측에는 제1케이스(1)의 상측과 연결되며, 제2케이스(2) 내부의 압축부(20)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제1케이스(1)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7)가 설치된다. 토출부(7)는 관의 형상을 할 수 있다. 토출부(7)는 제2케이스(2) 내부의 구동부(10)와 압축부(20)의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테플론관 계열 튜브와 같은 고무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토출부(7)는 진동, 소음을 경감시키기 위해 길이가 길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케이스(1) 내측에서 밴딩된다. 이로 인해 제2케이스(2) 내부의 압축부(20)와 구동부(10)의 소음, 진동이 제1케이스(1)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토출부(7)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토출부(7)의 소재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저소음, 저진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케이스(1)의 하부에는 압축부(20)와 구동부(10)의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마련된다. 도면 1에는 제1탄성부재(5)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댐퍼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의 위치는 제1케이스(1)의 하측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탄성부재(5)는 제1케이스(1)에 장착되며, 제1케이스(1)에 장착을 위한 홈(미도시)을 통해 끼우는 방식으로 제1케이스(1)에 장착된다. 제1탄성부재(5)는 예압을 통해 압축된다.
구동부(10)는 고정되어 있는 고정자(12)와 고정자(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11)와, 회전자(11)에 압입되는 회전축(13)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자(12)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11)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자(11)에 압입되어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3)은 회전력을 압축부(20)에 전달하게 된다.
압축부(20)는 회전축(13)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편심부(21)와, 편심부(21) 외측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롤러(22)와, 롤러(22)가 수용되는 압축실(26)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실린더(25)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실(26)을 밀폐시키도록 실린더(25)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축(13)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상부 베어링(23)과 하부 베어링(2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5)의 일측에는 제1케이스(1)의 내부와 연결된 제1흡입구(3)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압축실(26)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압축실(26)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부 베어링(23) 일측에는 토출구(미도시)로 안내된 냉매가스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구(미도시)와 연통되는 토출공(27)이 형성된다. 토출공(27)측 상부 베어링(23)의 상부에는 토출공(27)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장치(28)가 마련된다.
제1흡입구(3)로는 이산화탄소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어 압축실(26)로 공급되고, 오일에 의하여 압축실(26) 내부가 메워지게 된다. 오일은 압축부(20)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는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의 사이에 공간(8)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공간(8)은 어큐뮬레이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 사이에 공간(8)이 형성되고 토출부(7)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밴딩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소음이 흡수될 수 있다.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 사이의 공간(8)은 종래 어큐뮬레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어큐뮬레이터의 체적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로 유입되는 액냉매의 체척의 1/2이상일 수 있다.
제1케이스(1)의 일측에는 1케이스(1)의 외측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제2흡입구(4)가 마련된다. 어큐뮬레이터(2) 대신 제1케이스(1)의 외측에서 냉매를 흡입할 수 있다. 냉매의 효율적인 흡입과 제1케이스(1) 내부의 오일이 빠져나기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1케이스(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100) 내에서 냉매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제1케이스(1)의 제2흡입구(4)를 통해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 사이의 공간(8)으로 유입된다. 제2케이스(2) 사이의 제1흡입구(3)를 통해 로터리 압축기(100)의 압축실(26)로 흡입된다. 액상 냉매의 경우에는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 사이의 공간에서 기회되어 기체 상태로 압축실(26)에 유입된다.
또한, 제1케이스(1)의 하측 공간에는 오일 및 냉매가 누적되며, 이러한 오일 및 냉매는 압축기의 진동을 감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는 철강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케이스(2)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며, 제1케이스(1) 내부는 저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케이스(1)가 제2케이스(2)에 비해 얇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1)의 하측과 측면에 탄성부재(5, 6)가 마련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6)는 제1케이스(1)의 측면에서 제2케이스(2)를 지지하고 있다. 제2탄성부재(6)는 제1탄성부재(5)와 같은 방식으로 제1케이스(1)에 장착된다.
제2케이스(2)의 제1흡입구(3)에는 제1케이스(1) 내부의 오일과 냉매가 제2케이스(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30)이 마련된다. 로터리 압축기(100)가 작동하면 압축실(26)에서 냉매 가스와 함께 오일이 제2케이스(2)에서 제1케이스(1)로 토출된다. 제2케이스(2) 내부에 오일이 고갈되는 경우 압축기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며, 부품이 마모되게 된다. 따라서 저압실인 제1케이스(1) 내부에서 고압실인 제2케이스(2) 내부로 오일을 유입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100)는 이를 위해 흡입부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관(30)에 마련된 오일홀(31)이 흡입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관(30)은 제1흡입구(3)에서 연결되어, 제1케이스(1)의 하측으로 연결되며, 효율적인 냉매 유입을 위하여 제1케이스(1)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관(30)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꺾이게 되는 절곡 지점을 중심으로 4개의 구간을 가지게 된다. 이 중 흡입관(30)과 제1케이스(1) 하측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오일이 제2케이스(2) 내부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해주는 오일홀(31)을 포함한다. 이는 흡입관(30)이 제1케이스(1) 내부에 저장된 오일에 잠길 수 있게 하여 흡입관(30)으로 오일이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1흡입구(3)가 마련되는 지점의 경우, 압축부(20) 내부의 실린더(25)가 한 회전할 때마다 저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흡입구(3)와 연결된 흡입관(30) 내부도 저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케이스(1) 하측에서 오일홀(31)을 통해 오일이 흡입관(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관(30)으로 유입된 오일은 제1흡입구(3)로 유입되어 압축부(20) 내부로 복귀한다.
흡입관(30)에 마련되는 오일홀(31)의 단면적은 1π~2π정도로 마련된다. 또한, 흡입관(30)은 구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부로 모세관이 사용된다. 제1흡입구(3)에 모세관(40)이 연결되어 있다. 모세관(40)은 절곡되어 있어 제1케이스(1) 하측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는 모세관(40)이 제1케이스(1) 하측이 오일에 잠기게 하게 하기 위함이다.
모세관을 액체 내에 세웠을 때, 관 내의 액체가 관에 묻은 액체이면 관 내의 액면이 올라가고, 관에 묻지 않는 액체이면 관 내의 액면이 내려가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를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액체 분자와 관의 재료인 물질 분자의 부착력이 액체의 응집력보다 크면 관 내의 액면은 표면보다 높아지게 되나, 액체 분자와 관의 재료인 물질 분자의 부착력이 액체의 응집력보다 작으면 관내의 액면은 표면보다 낮아지게 된다.
모세관(40)은 제1케이스(1) 하측의 오일에 잠기게 되며, 오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1흡입구(3) 근처까지 올라가게 된다. 제1흡입구(3)는 주기적으로 저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올라온 오일은 압축실(26)로 유입되게 된다. 냉매는 제1흡입구(3)를 통해 압축실(26)로 흡입된다.
모세관의 단면적은 3π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모세관(40)을 이용하는 경우,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30)을 이용하는 것보다 설치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흡입부는 오일이 제2케이스(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망 구조로 이루어진 망상부(50)이다.
용매는 자유로이 통과하지만 용질은 통과하지 못하는 막인 반투성막으로 용액과 용매를 구분하는 경우, 용매는 용액 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을 삼투라고 한다. 용액과 용매가 반투막에 의해 분리되었을 때, 삼투 현상으로 옹매에서 용액 쪽으로 용매가 흘러 용액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 때, 용액 쪽에 더 큰 압력을 가하면 용매가 용액쪽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데 이 때 가하는 압력을 삼투압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망상부(50)는 삼투압 현상을 이용한다. 제1흡입구(3)에서 제1케이스(1) 하측의 오일로 늘어뜨려진 망상부(50)는 반투성막의 역할을 하여, 오일이 망 사이로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승 유도된다. 제1흡입구(3)까지 상승 유도된 오일은 제1흡입구(3)가 저압이기 때문에, 고압의 압축실(26)로 빨려 들어간다.
망상부(50)는 금속이나 천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며, 망 구조를 형성하여 삼투압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망상부(50)에 의해 압축부(20)로부터 제1케이스(1) 내측으로 토출된 오일은 제2케이스(2) 내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로터리 압축기 1: 제1케이스
2: 제2케이스 3: 제1흡입구
4: 제2흡입구 5: 제1탄성부재
6: 제2탄성부재 7: 토출부
8: 공간 10: 구동부
11: 고정자 12: 회전자
13: 회전축 20: 압축부
21: 편심부 22: 롤러
23: 상부베어링 24: 하부베어링
25: 실린더 26: 압축실
27: 토출공 28: 밸브
30: 흡입관 31: 오일홀
40: 모세관 50: 망상부

Claims (21)

  1. 압축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가 마련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제1케이스 내부와 상기 제2케이스 내부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제1흡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구와 연결되며, 냉매의 유입을 위하여 상기 제1케이스 내부의 상측에 입구부가 마련되는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오일이 상기 제2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홀은 상기 흡입관과 상기 제1케이스 하측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제2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상측과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케이스 내측의 가스를 상기 제1케이스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제1케이스로 소음,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연성 있는 소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제1케이스로 소음,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 내측에서 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케이스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3.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측의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는 마련되는 저압실;
    상기 제2케이스 내측에 마련되는 고압실;
    상기 고압실로부터 상기 저압실의 외측으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실에는 냉매가 상기 저압실에서 상기 고압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저압실과 상기 고압실을 연결하며, 상기 제2케이스에 마련된 제1흡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구에 연결되며 오일을 상기 고압실 내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 오일이 복귀할 수 있도록 오일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실의 체적은 상기 고압실로 유입되는 액상 냉매의 체적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저압실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홀은 상기 흡입관과 상기 제1케이스의 하측과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9. 삭제
  20. 삭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토출부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압실 내측에서 밴딩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저압실 외측으로 소음,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0110113660A 2011-11-03 2011-11-03 로터리 압축기 KR10183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60A KR101833045B1 (ko) 2011-11-03 2011-11-03 로터리 압축기
US13/665,128 US9206689B2 (en) 2011-11-03 2012-10-31 Rotary compressor with vibration reduction and oil control
ES12191026T ES2721479T3 (es) 2011-11-03 2012-11-02 Compresor rotativo
EP12191026.9A EP2589746B1 (en) 2011-11-03 2012-11-02 Rotary Compressor
CN201210434196.6A CN103089650B (zh) 2011-11-03 2012-11-02 旋转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60A KR101833045B1 (ko) 2011-11-03 2011-11-03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17A KR20130048817A (ko) 2013-05-13
KR101833045B1 true KR101833045B1 (ko) 2018-02-28

Family

ID=4722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60A KR101833045B1 (ko) 2011-11-03 2011-11-03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06689B2 (ko)
EP (1) EP2589746B1 (ko)
KR (1) KR101833045B1 (ko)
CN (1) CN103089650B (ko)
ES (1) ES272147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407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196766A (zh) * 2014-07-24 2014-12-10 三一能源重工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压缩机油箱和底座的弹性支撑
KR101659923B1 (ko) 2015-06-17 2016-09-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을 위한 냉매 순환 방법
KR101659921B1 (ko) 2015-06-17 2016-09-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6860B1 (ko)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CN106678044B (zh) * 2017-01-17 2019-03-05 西安庆安制冷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全封闭型转子式压缩机
CN107387417B (zh) * 2017-07-31 2021-08-3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双层压缩机及其安装方法
CN107191381A (zh) * 2017-07-31 2017-09-2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双层压缩机及空调器
US11725664B2 (en) * 2017-11-29 2023-08-15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Noise and vibration management for smoke evacuation system
CN108980044A (zh) * 2018-08-31 2018-12-1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2271438B1 (ko) * 2019-02-01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방음커버
CN113389707A (zh) * 2021-07-05 2021-09-1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压缩机及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70A (ko) 2001-07-27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04232523A (ja) 2003-01-29 2004-08-19 Daikin Ind Ltd 回転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0125A (en) * 1965-04-22 1967-01-24 Whirlpool Co Compressor
JPS5916113B2 (ja) * 1979-08-27 1984-04-13 株式会社東芝 横型ロ−タリコンプレッサ
JPH02108889A (ja) * 1988-10-17 1990-04-20 Matsushita Refrig Co Ltd 回転式圧縮機
JPH0396693A (ja) * 1989-09-08 1991-04-22 Toshiba Corp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H06117381A (ja) * 1992-10-06 1994-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媒ポンプ
JPH06193578A (ja) * 1992-12-25 1994-07-12 Hitachi Koki Co Ltd 空気圧縮装置
JPH11294365A (ja) * 1998-04-09 1999-10-26 Sharp Corp 密閉型圧縮機
US6264446B1 (en) * 2000-02-02 2001-07-24 Copeland Corporation Horizontal scroll compressor
US6514047B2 (en) * 2001-05-04 2003-02-04 Macrosonix Corporation Linear resonance pump and methods for compressing fluid
KR100442389B1 (ko) * 2001-11-23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US6807821B2 (en) * 2003-01-22 2004-10-26 Bristol Compressors, Inc. Compressor with internal accumulator for use in split compressor
KR100629871B1 (ko) 2004-08-06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050007298A (ko) 2004-10-15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장치를 갖는 압축기
KR100819609B1 (ko) * 2006-12-08 200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JP5506953B2 (ja) * 2010-12-27 2014-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
KR20130055407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70A (ko) 2001-07-27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04232523A (ja) 2003-01-29 2004-08-19 Daikin Ind Ltd 回転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9650A (zh) 2013-05-08
US9206689B2 (en) 2015-12-08
EP2589746B1 (en) 2019-01-23
KR20130048817A (ko) 2013-05-13
ES2721479T3 (es) 2019-07-31
CN103089650B (zh) 2016-12-07
EP2589746A3 (en) 2016-04-20
US20130115122A1 (en) 2013-05-09
EP2589746A2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045B1 (ko) 로터리 압축기
EP3242024B1 (en) Linear compressor
US10533546B2 (en) Linear compressor
EP2594737A2 (en) Rotary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308425A1 (en) Rotary compressor
EP2020577B1 (en) Compressor
US7744357B2 (en) Scroll compressor
WO2003044373A1 (en) Hermetic compressor
JP2015132254A (ja) 圧縮機
KR20130011862A (ko) 스크롤 압축기
KR20090013041A (ko) 밀폐형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사이클 장치
KR200382915Y1 (ko)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의 연결 구조
KR10078341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이물질 차단 장치
JP2009162083A (ja) 圧縮機
WO2017141309A1 (ja) ロータリ圧縮機
KR20060086220A (ko)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JP2017101557A (ja) 密閉型圧縮機
JP2006177256A (ja) 往復動式圧縮機の潤滑油供給装置
JP2008180143A (ja) 密閉型圧縮機
KR20060033267A (ko) 어큐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압축기
KR20120076164A (ko) 밀폐형 압축기
KR100459449B1 (ko) 회전식 압축기의 어큐물레이터
JP4492590B2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4524203B2 (ja) 開放型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4144103A (ja) 密閉型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