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438B1 - 압축기의 방음커버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방음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438B1
KR102271438B1 KR1020190013517A KR20190013517A KR102271438B1 KR 102271438 B1 KR102271438 B1 KR 102271438B1 KR 1020190013517 A KR1020190013517 A KR 1020190013517A KR 20190013517 A KR20190013517 A KR 20190013517A KR 102271438 B1 KR102271438 B1 KR 10227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mpressor
soundproof
noi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757A (ko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38B1/ko
Priority to EP19210511.2A priority patent/EP3690330A1/en
Priority to US16/743,838 priority patent/US11802574B2/en
Publication of KR2020009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 F04C29/066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with means to enclose the source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2Manual tu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둘 이상의 커버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압축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의 방음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는,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1커버 및 제1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방사소음 및 구조적 소음을 각각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으며, 조립이 편리하여 방음커버의 양산성 및 조립성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방음커버{SOUNDPROOF COVER OF A COMPRESSOR}
본 발명은 방음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압축기의 소음 저감을 위한 압축기의 방음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순으로 순환하여 열을 전달하는 싸이클을 가진다.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장치로써 압축기를 포함한다.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부에 구비된다. 압축기는 압축 방식에 따라 회전식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원심 압축기 등이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공기조화기의 필수적인 구성이지만 구동이 시작되면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음은 압축기 내부의 압축부가 냉매를 압축하면서 발생하는 방사소음과 상기 압축기의 가진력에 의한 구조소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압축기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소음 차단용 커버를 압축기에 씌운다. 소음 차단용 커버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소재로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49656호에 따르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제1흡음재와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제1흡음재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저소음형 실외기가 등장하였다.
상기 제1흡음재는 압축기에 부착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제1흡음재와 상기 압축기를 감싸며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제2흡음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개시하였다.
다만, 한국등록특허 제10-0749656호와 같이 흡음재가 압축기에 부착되는 구조는 압축기가 운전 중일 때 발생하는 진동이 흡음재와 마찰을 하게 되어 마찰 소음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흡음재가 발열되어 흡음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커버가 일체로 이루어져 압축기를 감싸며 구비될 경우 압축기가 운전의 운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상쇄되지 않아 진동에 의한 구조적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소음 차단용 커버는 일면과 타면이 벨크로 소재로 이루어져, 양 단이 서로 접하도록 압축기의 외주면을 둘러싼 후 벨크로 소재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압축기에 결합된다.
이 경우 소음 차단용 커버의 양 단은 벨크로 소재에 의해 서로 접하도록 고정되지만 압축기의 진동에 의해 점차 간격이 벌어져 소음이 누설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소음 차단용 커버의 양 단을 중첩되도록 하면 소음 차단용 커버 중 압축기의 상부에 씌우는 부분과 간격이 발생하여 소음이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소음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기의 진동에 의한 구조적 소음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음커버가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공기층을 형성하고 방음커버가 복수개의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구성은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방음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소음의 누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방음커버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비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방사소음 또는 압축기의 진동에 의한 구조적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방음커버는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압축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의 외부로 상기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커버에 있어서, 상기 방음커버는,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음커버는, 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3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커버의 구성이 상기 압축기의 방사소음, 구조적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커버를 연결하는 자성 재질의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방음커버에서 누설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방사소음 및 구조적 소음을 각각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으며, 조립이 편리하여 양산성 및 조립성 개선될 수 있다.
압축기와 방음커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소음이 방음커버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를 이용함으로써 방음커버의 외부로 누설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내부구성 중 특히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부분에 방음커버가 구비되어 소음을 집중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타공성 차음재와, 흡음재, 차음재가 서로 적층되어 흡음 및 차음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타공에 의한 공명기 구조가 형성되어 저주파수 대역의 흡음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방음커버의 분해도이다.
도4는 도2의 방음커버의 외부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방음커버의 분해도이다.
도7은 도5의 방음커버의 외부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종래의 도면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압축기(1)는 캐비닛(10), 배출부(11), 구동부(13), 회전축(14), 압축부(15), 유입부(16), 고정부(17)를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기(1)는 유체가 저장되거나 유동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냉매가 토출되는 배출부(11)와 상기 캐비닛(10)의 측부에 연결되어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도록 유입부(16)가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를 통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구동부(13)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4)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캐비닛(10) 내부에서 배출부(11)의 하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3)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자기장을 생성하는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4)은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회전자는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구동부(13)는 회전자기장을 이용한 일축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15)는 상기 유입부(16)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회전자리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압축부(15)는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수행하는 스크롤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15)는 구동부(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는 배출부(11)의 하부에 구동부(13)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13)의 하부에 압축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4)은 상기 구동부(13)에서 상기 배출부(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며, 일단이 상기 구동부(13)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축부(15)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17)는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은 도2의 방음커버의 분해도이며, 도4는 도2의 방음커버의 외부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100)는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외부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며, 상기 방음커버(100)는 상기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어 압축기(1)를 수용하는 제1커버(110)와 상기 제1커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제2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한다는 것은, 반드시 압축기(1)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압축기(1)의 어느 일부라도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커버(100)는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흡음 또는 차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1)를 감싸며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음커버(100)는 상기 압축기(1)가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방사소음이 중 특히 압축부(15) 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기 위해 상기 압축부(15)를 포함하는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의 일부만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는 연결부(150a)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는 일면(1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113)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1)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130)는 일면(13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133)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1)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는 상기 일면(111)이 상기 압축기(1)의 배출부(11)와 유입부(16)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출부(11)와 유입부(16)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1113,1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의 측면(113)은 상기 일면(1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상부에서 상기 압축기(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일면(131)이 상기 압축기(1)의 고정부(17)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정부(17)는 상기 압축기(1)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멍(17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130)의 일면(131)은 상기 고정구멍(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7)의 고정구멍(171)과 상기 제2커버(130)의 구멍(131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멍(171)과 구멍(1311)에 나사(18)가 관통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30)의 측면(133)은 상기 일면(13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하부에서 상기 압축기(1)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100)는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는 연결부(150a)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50a)는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를 연결하고,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0a)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자성에 의해 착탈 가능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1커버(110) 또는 제2커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의 사이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방음커버(100)는 양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압축기(1)의 압축부(15)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방사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하기 위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가 상기 연결부(150a)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커버(130)가 상기 압축기(1)의 하부면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압축기(1)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의 진동에 의한 구조적 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는 상기 제1커버(110) 또는 상기 제2커버(130)를 형성하는 구성의 재질적 특성으로 실현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가 연결부(150a)를 사이에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음커버(100) 전체에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제1커버(110)의 일면(111)은 제2커버(130)의 일면(131)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각(11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110a)은 압축기(1)가 구비되는 지면과 상기 제1커버(110)의 일면(111)과의 경사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커버(110)의 일면(111)에 상기 경사각(11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음커버(100)의 상하부면은 서로 비평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11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방사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00)의 내부에서 서로 상쇄되어 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110) 또는 상기 제2커버(130) 중 상기 압축부(15)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커버는 상기 공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커버(130)가 상기 압축부(15)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되는 구조는 상기 제2커버(130)의 측면(133)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측면(133)에만 상기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제2커버(130)의 일면(131)에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판은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방음커버(10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부방향으로 제1판(1001), 제2판(1002), 제3판(1003)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판(1001)은 상기 공간의 내면을 형성하며 다수개의 구멍(1001h)이 형성되어 상기 소음을 차음할 수 있는 다공성 차음재가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판(1002)은 상기 제1판(1001)에 적층되어 상기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재가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판(1003)은 상기 제2판(1002)에 적층되어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소음을 차음하는 차음재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1판(1001)은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된 소음이 제일 먼저 도달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구멍(1001h)은 상기 소음 중 특정한 주파수 대역(1000hz 이하)의 흡음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구멍(1001h)은 상기 제1판(1001)에 타공되는 크기가 작을수록 공명기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멍(1001h)은 차폐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타공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1002)의 구성으로 채택되는 상기 흡음재는 구조에 따라 다공질 흡음재와 판상 흡음재 등 흡음성능을 구비한 다양한 재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다공성 흡음재의 경우 표면과 내부에 작은 기포 또는 가는 관 모양의 구멍이 있고 이 구멍 속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생긴 마찰 때문에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수되는 구조이고, 판상 흡음재의 경우 음파가 판을 진동시키면서 소리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판(1001)과 상기 제3판(1003)은 차음재에 구멍(1001h)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로 제1판(1001)과 제3판(1003)이 구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판(1001)과 제3판(1003)이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경우, 상기 방음커버(100)의 제조과정을 단축시키며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판(1001)은 다공성 차음재로, 제2판(1002)은 흡음재로, 제3판(1003)은 차음재로 채택되어 각각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6은 도5의 방음커버의 분해도이고, 도7은 도5의 방음커버의 외부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내지 도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100)는 제1커버(110), 제2커버(130), 제3커버(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는 일면(1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1)의 일단을 수용하며,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제1커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며, 상기 제3커버(150)는 상기 제2커버(13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면(1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1)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는 상기 일면(111)이 상기 압축기(1)의 배출부(11)와 유입부(16)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출부(11)와 유입부(16)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1113,1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10)의 측면(113)은 상기 일면(1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상부에서 상기 압축기(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의 일단 측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제1커버(110)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1)의 외면과 이격되고, 상기 압축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의 길이방향이란, 상기 압축기(1)의 종방향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제3커버(150)는 상기 일면(151)이 상기 압축기(1)의 고정부(17)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정부(17)는 상기 압축기(1)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멍(17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커버(150)의 일면(151)은 상기 고정구멍(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1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7)의 고정구멍(171)과 상기 제3커버(150)의 구멍(151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멍(171)과 구멍(1311)에 나사(18)가 관통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커버(150)의 측면(153)은 상기 일면(1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1)의 하부에서 상기 압축기(1)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의 타단 측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100)는 제1커버(110), 제2커버(130), 제3커버(150)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는 제1연결부(1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상기 제2커버(130)를 연결하고,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자성에 의해 착탈 가능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1커버(110) 또는 제2커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의 사이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130)와 상기 제3커버(150)는 제2연결부(1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140)는 상기 제2커버(130)와 상기 제3커버(15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커버(130)와 상기 제3커버(150)를 연결하고,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14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2커버(130)와 제3커버(150)가 자성에 의해 착탈 가능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2커버(130) 또는 제3커버(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2커버(130)와 제3커버(15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2커버(130)와 제3커버(150)의 사이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2커버(130)와 제3커버(15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커버(110), 제2커버(130), 제3커버(150) 각각 3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방음커버(100)는 양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100)는 제1커버(110), 제2커버(130), 제3커버(150) 각각 3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압축기(1)의 측면을 감싸는 구성으로써 상기 구동부(13) 또는 압축부(15)에서 발생하는 방사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음재, 흡음재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커버(150)는 상기 압축기(1)의 하부 측을 감싸는 구성으로써 상기 압축기(1)의 진동에 의한 구조적 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해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다공질 재질, 완충재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버(110)는 상기 압축기(1)의 상부 측을 감싸어 상기 제2커버(130) 또는 제3커버(150)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는 상기 제3커버(150)를 형성하는 구성의 재질적 특성으로 실현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110), 상기 제2커버(130), 제3커버(150)가 연결부(120,140)를 사이에 두고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음커버(100) 전체에 상기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7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제1커버(110)의 일면(111)은 제3커버(150)의 일면(151)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각(11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110a)은 압축기(1)가 구비되는 지면과 상기 제1커버(110)의 일면(111)과의 경사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커버(110)의 일면(111)에 상기 경사각(11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음커버(100)의 상하부면은 서로 비평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11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방사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00)의 내부에서 서로 상쇄되어 소음이 상기 방음커버(1)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커버(130)는 상기 압축부(15)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하는 커버로써, 상기 공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판은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방음커버(10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부방향으로 제1판(1001), 제2판(1002), 제3판(1003)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판(1001)은 상기 공간의 내면을 형성하며 다수개의 구멍(1001h)이 형성되어 상기 소음을 차음할 수 있는 다공성 차음재가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판(1002)은 상기 제1판(1001)에 적층되어 상기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재가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판(1003)은 상기 제2판(1002)에 적층되어 상기 방음커버(100)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소음을 차음하는 차음재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1판(1001)은 상기 압축기(1)에서 발생된 소음이 제일 먼저 도달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구멍(1001h)은 상기 소음 중 특정한 주파수 대역(1000hz 이하)의 흡음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구멍(1001h)은 상기 제1판(1001)에 타공되는 크기가 작을수록 공명기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멍(1001h)은 차폐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타공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1002)의 구성으로 채택되는 상기 흡음재는 구조에 따라 다공질 흡음재와 판상 흡음재 등 흡음성능을 구비한 다양한 재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다공성 흡음재의 경우 표면과 내부에 작은 기포 또는 가는 관 모양의 구멍이 있고 이 구멍 속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생긴 마찰 때문에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수되는 구조이고, 판상 흡음재의 경우 음파가 판을 진동시키면서 소리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판(1001)과 상기 제3판(1003)은 차음재에 구멍(1001h)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로 제1판(1001)과 제3판(1003)이 구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판(1001)과 제3판(1003)이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경우, 상기 방음커버(100)의 제조과정을 단축시키며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판(1001)은 다공성 차음재로, 제2판(1002)은 흡음재로, 제3판(1003)은 차음재로 채택되어 각각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200)의 제1커버(210)의 일면(211)은 상기 유입부(16)가 관통되는 구멍(2115)과 상기 배출부(11)가 관통되는 구멍(2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부(15)는 상기 회전축(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높이(h1)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회전축(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높이(h2)를 형성하고 제2커버(230)는 상기 제1높이(h1)와 상기 제2높이(h2)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제3커버(250)의 일면(251)은 상기 캐비닛(10)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200)는 상기 압축기(1)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구동부(13)와 압축부(15)를 포함하는 압축기(1)의 외면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3커버(250)의 일면(251)은 상기 압축기(1)의 하부면과 일정한 높이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압축부(15) 또는 구동부(13)에서 발생한 방사소음은 상기 제2커버(2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의 진동에 의한 구조적 소음은 상기 제3커버(250)의 일면이 상기 압축기(1)의 하부면과 일정한 높이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210), 제2커버(230), 제3커버(250)는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230)는 상기 공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220,240)와 상기 판의 적층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커버가 압축기를 수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방음커버(300)의 제1커버(310)의 일면(311)은 캐비닛(10)이 관통되는 구멍(3113)과 유입부(16)가 관통되는 구멍(31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부(15)는 상기 회전축(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높이(h1)를 형성하고, 제2커버(330)는 상기 제1높이(h1)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1)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부(17)는 나사(18)가 삽입되는 고정구멍(171)을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350)의 일면(351)은 상기 고정구멍(17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18)가 관통되는 구멍(3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는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며, 특히 압축부(15)에서 상기 소음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바, 상술한 구조에 의할 경우 상기 압축부(15)에서 발생한 방사소음을 집중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310), 제2커버(330), 제3커버(350)는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330)는 상기 공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커버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220,240)와 상기 판의 적층 구조, 각각 커버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압축기 10: 캐비닛
11: 배출부 13: 구동부
14: 회전축 15: 압축부
16: 유입부 17: 고정부
18: 나사 100: 방음커버
110: 제1커버 130: 제2커버
150: 연결부 120: 제1연결부
140: 제2연결부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공간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커버에 있어서,
    상기 방음커버는
    상기 압축기의 일단과 마주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일단을 수용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는 제1커버;
    상기 압축기의 타단과 마주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타단을 수용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측면은 상기 압축부와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측면은 상기 구동부와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압축부를 둘러싸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캐비닛 중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 영역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측면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공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공간의 내면을 형성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음을 차음하는 제1판;
    상기 제1판에 적층되어 상기 소음을 흡음하는 제2판; 및
    상기 제2판에 적층되어, 상기 방음커버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소음을 차음하는 제3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7.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압축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의 외부로 상기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커버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일측에 냉매의 유입을 위한 유입부와 상기 냉매의 토출을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배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커버는
    상기 유입부가 관통되는 구멍과 상기 배출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일단을 수용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는 제1커버;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커버;
    상기 압축기의 타단과 마주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축기의 타단을 수용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외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2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커버;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제3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제3커버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측면은 상기 압축부와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측면은 상기 구동부와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압축부를 둘러싸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캐비닛 중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 영역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측면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의 상기 일면은 상기 캐비닛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일면은 상기 캐비닛이 관통되는 구멍과 상기 유입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높이를 형성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높이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를 지면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나사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의 일면은 상기 고정구멍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압축기의 하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의 진동에 따른 구조적 소음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15. 삭제
  16. 삭제
  17. 제11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 및 상기 제3커버는 각각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공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판;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공간의 내면을 형성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음을 차음하는 제1판;
    상기 제1판에 적층되어 상기 소음을 흡음하는 제2판; 및
    상기 제2판에 적층되어, 상기 방음커버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소음을 차음하는 제3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3커버의 상기 일면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방음커버
KR1020190013517A 2019-02-01 2019-02-01 압축기의 방음커버 KR10227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17A KR102271438B1 (ko) 2019-02-01 2019-02-01 압축기의 방음커버
EP19210511.2A EP3690330A1 (en) 2019-02-01 2019-11-21 Soundproof cover of a compressor
US16/743,838 US11802574B2 (en) 2019-02-01 2020-01-15 Soundproof cover of a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17A KR102271438B1 (ko) 2019-02-01 2019-02-01 압축기의 방음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757A KR20200095757A (ko) 2020-08-11
KR102271438B1 true KR102271438B1 (ko) 2021-07-01

Family

ID=6888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17A KR102271438B1 (ko) 2019-02-01 2019-02-01 압축기의 방음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02574B2 (ko)
EP (1) EP3690330A1 (ko)
KR (1) KR102271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276A (zh) * 2020-10-09 2022-04-12 广东美的精密模具科技有限公司 无风感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器
JP7488986B2 (ja) * 2021-03-23 2024-05-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223A (ja) * 2004-10-18 2006-04-27 Hideo Watanabe 寝具や衣料などの防虫や防水用のファスナー
JP2016183572A (ja) * 2015-03-25 2016-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用防音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823U (ko) * 1988-07-27 1990-05-23
US4982812A (en) * 1989-10-24 1991-01-08 Hwang Min Su Noise-preventive means for compressor used in air conditioner
US5272285A (en) * 1992-08-20 1993-12-21 Scott Mfg., Inc. Sound attenuating machinery cover
KR960004924Y1 (ko) * 1993-11-20 1996-06-17 통일공업 주식회사 소음 · 진동 흡수용 흡음판의 구조
US5997258A (en) * 1994-05-31 1999-12-07 Bristol Compressors, Inc. Low noise refrigerant compressor having closed shells and sound absorbing spacers
US5588810A (en) * 1995-09-01 1996-12-31 Bristol Compressors, Inc. Low noise refrigerant compressor
KR19990016603U (ko) * 1997-10-29 1999-05-25 전주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저감장치
KR19990058727A (ko) * 1997-12-30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압축기 방음구조
KR100288872B1 (en) * 1998-01-20 2001-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ise reductio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H11294365A (ja) * 1998-04-09 1999-10-26 Sharp Corp 密閉型圧縮機
US6558248B1 (en) * 2001-07-24 2003-05-06 Comfort Creators, Inc. Openable screened floor vent cover
KR100734480B1 (ko) * 2001-11-22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KR100749656B1 (ko) 2006-12-15 2007-08-14 주식회사 케이티 저소음형 실외기
JP2009014228A (ja) * 2007-07-03 2009-01-22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2011179709A (ja) * 2010-02-26 2011-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室外機及びこの室外機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20090161A (ko) * 2011-02-07 2012-08-17 서준성 식품용 밀폐용기
KR101833045B1 (ko) * 2011-11-03 201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JP6020148B2 (ja) * 2012-03-20 2016-11-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N204902188U (zh) * 2012-08-17 2015-12-23 特灵国际有限公司 压缩机的隔音罩以及包括压缩机与隔音罩的制冷系统
KR102063073B1 (ko) * 2013-02-05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소음방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217013B1 (ko) * 2014-03-03 2021-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1838077B1 (ko) * 2016-10-17 201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방음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745910B2 (ja) * 2016-12-21 2020-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の組立方法
IT201800007655A1 (it) * 2018-07-31 2020-01-31 Carel Ind Spa Gruppo compressore di macchina frigorifera per uso domestico o commerciale e macchina frigorifera per uso domestico o commerciale che lo compren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223A (ja) * 2004-10-18 2006-04-27 Hideo Watanabe 寝具や衣料などの防虫や防水用のファスナー
JP2016183572A (ja) * 2015-03-25 2016-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用防音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02574B2 (en) 2023-10-31
US20200248715A1 (en) 2020-08-06
EP3690330A1 (en) 2020-08-05
KR20200095757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73B1 (ko) 컴팩트 저소음 회전식 압축기
KR102271438B1 (ko) 압축기의 방음커버
KR102286821B1 (ko)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KR101764027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889A (ko) 리니어 압축기
JP2007285146A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KR20090062750A (ko) 전동식 압축기
CN110778499B (zh) 家用或商用制冷机的压缩机单元和包括其的家用或商用制冷机
KR20200089876A (ko) 압축기의 방음커버
JP2003222086A (ja) 密閉型圧縮機
JP2004232524A (ja) 回転式圧縮機
JP7364950B1 (ja) 回転電気機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圧縮機、送風機、及び冷凍装置
CN208924000U (zh) 电机
JP200425158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WO2006120879A1 (ja) 密閉型流体機械
KR102162335B1 (ko) 리니어 압축기
JP2008261599A (ja) 空気調和機
KR100638201B1 (ko) 압축기의 베이스
JP2006314595A (ja) 騒音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170075972A (ko) 압축기
KR20170001492U (ko) 소음 저감이 가능한 차량용 진공펌프
JP4295255B2 (ja) 騒音低減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2595063B1 (ko) 지지 장치
CN114622384A (zh) 具有内部消声空隙的用于设备马达的隔振器
KR20190051935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