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821B1 -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 Google Patents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821B1
KR102286821B1 KR1020210074596A KR20210074596A KR102286821B1 KR 102286821 B1 KR102286821 B1 KR 102286821B1 KR 1020210074596 A KR1020210074596 A KR 1020210074596A KR 20210074596 A KR20210074596 A KR 20210074596A KR 102286821 B1 KR102286821 B1 KR 10228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mpressor
layer
pip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1915A (ko
Inventor
이상민
김지현
윤지현
이종우
배상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8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3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8Cylinder or housing parameters
    • F04B2201/0804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에 관한 것으로, 원통 형상의 쉘; 상기 쉘의 개구된 양단을 커버하는 제 1 쉘커버와 제 2 쉘커버; 상기 쉘의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설치 공간에 고정되는 다수의 레그; 상기 제 1 쉘커버에 연결되며,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 파이프; 상기 쉘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 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쉘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냉매의 보충을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 상기 쉘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쉘의 둘레면을 따라 밀착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진동 소음을 차단하며, 양단에 서로 접하여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compressor and sound proof of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 부재에 관한 것이다.
냉각 시스템이란, 냉매를 순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시스템은, 가전제품으로서 냉장고 또는 에어컨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서, 상기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및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압축기의 소형화 및 소음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55050호에는 압축기의 소음을 개선하기 위해 측면 차음부재와 상면 차음부재가 압축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의 구동중 발생되는 소음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압축기 및 압축기와 연결된 냉매관 등이 모두 상기 측면 차음부재 및 상면 차음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므로서 압축기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부피가 과도하게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 공간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압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자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냉장고의 경우 이러한 부피의 증가는 저장 용량의 축소를 초래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 형상의 압축기 쉘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 형상의 압축기 쉘에 장착이 용이한 압축기용 차음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 형상의 압축기 쉘의 둘레를 감싸는 차음부재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 형상의 압축기 쉘에 밀착되어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압축기용 차음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는, 원통 형상의 쉘; 상기 쉘의 개구된 양단을 커버하는 제 1 쉘커버와 제 2 쉘커버; 상기 쉘의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설치 공간에 고정되는 다수의 레그; 상기 제 1 쉘커버에 연결되며,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 파이프; 상기 쉘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 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쉘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냉매의 보충을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 상기 쉘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쉘의 둘레면을 따라 밀착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진동 소음을 차단하며, 양단에 서로 접하여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음부재는, 상기 쉘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 소음을 흡음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접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 2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와 터미널,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차음부재의 일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상기 쉘의 중앙에서 상기 제 2 쉘커버측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상기 쉘의 축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90°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용 차음부재는, 원통 형상의 압축기 둘레를 형성하는 쉘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 소음을 흡음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접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의 양단에는 상기 제 2 층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서로 접하여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층은 난연성 폴리 에틸렌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둘레에는 실 또는 와이어소재로 스티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을 결합시키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 2 층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벨크로의 암수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결속부와 제 2 결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용 차음부재는, 흡음 소재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압축기 쉘의 길이와 대응하는 폭과 상기 쉘의 둘레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시트; 상기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쉘을 감싼 상태에서 서로 결속되는 결속부;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양단에서 절개되며, 상기 쉘을 고정 장착시키는 레그가 노출되는 제 1 절개부 및; 상기 쉘에 연결된 터미널을 둘러싸는 브라켓과, 프로세스 파이프 그리고 토출 파이프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브라켓, 프로세스 파이프 그리고 토출 파이프가 노출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절개부와 인접한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서 절개되어, 상기 터미널과 프로세스 파이프 그리고 토출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 2 절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절개부는, 상기 터미널을 둘러싸는 상기 브라켓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는 터미널부와;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터미널부를 연결하도록 절개되며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토출 파이프가 함께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부의 폭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와 토출 파이프의 외측단 사이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는, 상기 터미널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이 관통되는 터미널 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와 쉘의 연결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 1 파이프 홀; 상기 토출 파이프와 쉘의 연결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토출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 2 파이프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에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단부에서 상기 제 1 파이프 홀 또는 제 2 파이프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까지 절개되는 제 3 절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음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제 2 층과 결속부에 의해 압축기의 쉘의 둘레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차음부재를 적용한 상태에서도 압축기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의 쉘 전체에 차음부재를 감싸게 되므로써 구조적으로 원통형상의 쉘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현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차음부재의 적용으로 상기 압축기 내부에 별도의 소음 방지를 위한 구조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제조 비용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쉘 외부에 상기 차음부재를 장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으로써, 쉘 내부에 소음 저감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되어 압축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차음 부재를 쉘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내부에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지지 않는 소형화된 압축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 형상의 차음부재를 쉘의 레그에 제 1 절개부가 위치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차음부재가 상기 쉘을 감싸도록 하는 작업 만으로 상기 쉘의 외측에 위치된 터미널과 프로세스 파이프 및 토출 파이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상기 차음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의 외측에 배치되는 터미널과 프로세스 파이프 및 토출 파이프가 모두 쉘의 둘레면 일측의 인접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여 장착부재의 장착시 한번에 장착부재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단자 또는 다른 파이프와의 연결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음부재가 장착되기 전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차음부재가 장착되기 전 압축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압축기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상기 차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차음부재가 장착된 압축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차음부재가 장착된 압축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상기 차음부재의 장착 과정을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음부재가 장착되기 전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차음부재가 장착되기 전 압축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에는, 쉘(101) 및 상기 쉘(101)에 결합되는 쉘 커버(102,103)가 포함된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제 1 쉘커버(102)와 제 2 쉘커버(103)는 상기 쉘(10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하측에는, 레그(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50)는, 상기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제품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품에는 냉장고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품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실외기의 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누워져 있는 배치, 또는 축방향으로 누워 있는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쉘(10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10)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10)가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기계실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쉘(101)의 외면에는, 터미널(10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은 외부 전원을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어셈블리(140, 도 4 참조)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터미널(108)은 코일(141c, 도 4 참조)의 리드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의 외측에는, 브라켓(109)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09)에는, 상기 터미널(108)을 둘러싸는 다수의 브라켓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9)은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상기 터미널(108)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양측부는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된 쉘(101)의 양측부에는, 상기 쉘 커버(102,103)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쉘 커버(102,103)에는, 상기 쉘(101)의 개구된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 1 쉘커버(102) 및 상기 쉘(101)의 개구된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 2 쉘커버(103)가 포함된다. 상기 쉘 커버(102,103)에 의하여, 상기 쉘(101)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쉘커버(102)는 상기 압축기(10)의 우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쉘커버(103)는 상기 압축기(10)의 우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2 쉘커버(102,10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쉘커버(102)와 상기 제 2 쉘커버(103)는 상기 쉘(101)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쉘커버(102)와 제 2 쉘커버(103)는 포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쉘커버(102)는 후술할 제 2 지지스프링(186)의 탄성에 의한 변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에 의한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둘레는 절곡되어 상기 쉘(101)의 내측면과 면접촉 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쉘커버(103)는 상기 쉘(10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함몰되는 형상으로 포밍 형성될수 있으며,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쉘(101)의 개구된 단부에서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쉘커버(103)의 중앙은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지지스프링(166)의 탄성에 의한 변형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쉘커버(103)의 둘레 또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쉘(101)의 내측면과 면접촉 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 1 쉘커버(102)와 제 2 쉘커버(103)의 포밍 성형에 의해 상기 압축기(10)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쉘(101)은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쉘커버(102) 및 제 2 쉘커버(103)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도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의 특성상 진동에 취약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진동 소음의 외부 전달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의 외부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차음부재(200, 도 8 참조)가 상기 쉘(101)의 둘레에 배치된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쉘(101) 또는 쉘 커버(102,103)에 구비되어, 냉매를 흡입, 토출 또는 주입시킬 수 있는 다수의 파이프(104,105,10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파이프(104,105,106)에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104)와, 압축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105) 및 냉매를 상기 압축기(10)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흡입 파이프(104)는 상기 제 1 쉘커버(10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는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중앙에 배치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흡입 파이프(104)는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외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에 냉매 파이프가 연결될 때 작업 공간이 상방으로 확보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상기 압축기(10)의 전체 설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제 1 쉘커버(102)보다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라 함은, 상기 레그(50)로부터의 수직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절곡되어 냉매 배관과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압축기(1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쉘(101)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쉘(101)의 중심을 지나는 반경 방향의 연장선(l)을 기준으로 양측 중 일측에 모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쉘(101)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쉘커버(103)와 가까운 쪽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쉘(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터미널(108)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2)은 제 1 설정각도(θ1)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쉘(10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터미널(108)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과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3)은 제 2 설정각도(θ2)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설정각도(θ1) 보다 제 2 설정각도(θ2)를 더 크게 하여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가 상기 쉘(101)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다른 각도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는 대략 90°각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여 인접한 위치에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의 배치 구조는 상기 압축기(10)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터미널(108)에 단자를 연결하거나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토출 파이프(105)의 접속 작업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할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상기 차음부재(200)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상기 쉘(101) 상의 일 영역에 모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쉘(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 쉘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2 쉘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주입된 냉매의 저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로관점에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로의 크기는, 상기 쉘(101)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면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감소하여 냉매의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냉매에 포함된 유분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유분이 분리된 냉매가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매의 압축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유분은, 냉각 시스템에 존재하는 작동유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커버지지부(102a)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지지부(102a)에는, 후술할 제 2 지지장치(185)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중앙에는 상기 제 2 지지장치(185)와 결합되는 부분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쉘 돌출부(102C)가 형성될수 있다. 상기 쉘 돌출부(102C)는 상기 커버지지부(102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지지부(102a)보다 다소 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지지부(102a) 및 상기 제 2 지지장치(102a)는, 압축기(10)의 본체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의 본체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의미하며, 일례로 전후 왕복운동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는, 피스톤(130), 마그넷 프레임(138), 영구자석(146), 서포터(137) 및 흡입 머플러(150)등과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공진 스프링(176a,176b), 리어 커버(170), 스테이터 커버(149), 제 1 지지장치(165) 및 제 1 지지장치(165)등과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쉘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스토퍼(10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2b)는 상기 압축기(10)의 운반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등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의 본체, 특히 모터 어셈블리(140)가 상기 쉘(101)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스토퍼(102b)는, 후술할 리어 커버(17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압축기(10)에 흔들림이 발생할 때, 상기 리어 커버(170)가 상기 스토퍼(102b)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14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내주면에는, 스프링체결부(101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는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는 후술할 제 1 지지장치(165)의 제 1 지지스프링(16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와 상기 제 1 지지장치(16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본체는 상기 쉘(101)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압축기의 내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에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30) 및 상기 피스톤(13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리니어 모터로서 모터 어셈블리(140)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40)가 구동하면, 상기 피스톤(130)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150)를 거쳐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한다. 일례로, 냉매가 상기 흡입 머플러(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150)에는, 다수의 머플러(151,152,153)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머플러(151,152,153)에는, 서로 결합되는 제 1 머플러(151), 제 2 머플러(152) 및 제 3 머플러(15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머플러(151)는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머플러(152)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후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머플러(153)는 상기 제 2 머플러(15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방향 관점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제 3 머플러(153), 제 2 머플러(152) 및 제 1 머플러(151)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150)에는, 머플러 필터(15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머플러 필터(153)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와 상기 제 2 머플러(152)가 결합되는 경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머플러 필터(153)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머플러 필터(153)의 외주부는 상기 제 1,2 머플러(151,152)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축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 즉 도 4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 중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로부터 압축공간(P)을 향하는 방향, 즉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상기 피스톤(13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축공간(P)은 압축될 수 있다.
반면에, "반경 방향"이라 함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운동 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4의 세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피스톤 본체(131)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플랜지(132)가 포함된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는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는 상기 실린더(120)의 외측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제 1 머플러(151)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공간(P)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흡입공(133)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133)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공(133)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흡입 밸브(135)가 제공된다. 상기 흡입 밸브(135)의 대략 중심부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 공간(P)의 전방에는, 상기 압축 공간(P)에서 배출된 냉매의 토출공간(160a)을 형성하는 토출커버(160) 및 상기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 공간(P)에서 압축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밸브 어셈블리(161,163)가 제공된다. 상기 토출공간(160a)은 토출커버(160)의 내부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부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공간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161,163)에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냉매를 상기 토출커버(160)의 토출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토출 밸브(161) 및 상기 토출 밸브(161)와 토출커버(160)의 사이에 제공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조립체(163)가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 조립체(163)에는, 밸브 스프링(163a) 및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을 상기 토출커버(160)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163b)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는, 판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지지부(163b)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밸브 스프링(163a)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밸브(161)의 후방부 또는 후면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되면 상기 압축공간(P)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압축공간(P)은 개방되어, 상기 압축공간(P) 내부의 압축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간(P)은 상기 흡입 밸브(135)와 상기 토출 밸브(16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밸브(135)는 상기 압축 공간(P)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압축 공간(P)의 타측, 즉 상기 흡입 밸브(135)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이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토출압력보다 낮고 흡입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 밸브(135)가 개방되어 냉매는 상기 압축 공간(P)으로 흡입된다. 반면에,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상기 흡입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흡입 밸브(13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간(P)의 냉매가 압축된다.
한편,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상기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상기 토출 밸브(16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상기 압축공간(P)으로부터 토출되어, 토출커버(160)의 토출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163a)은 상기 토출 밸브(16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토출 밸브(161)가 닫혀지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커버(160)의 토출공간(160a)을 유동한 냉매를 배출시키는 커버파이프(162a)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커버파이프(162a)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커버파이프(162a)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파이프(162a)를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105)로 전달하는 루프 파이프(16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루프 파이프(162b)의 일측부는 상기 커버파이프(162a)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상기 커버파이프(162a)로부터 상기 쉘(101)의 내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감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프레임(11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壓入, press fitting)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 및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16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40)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48) 및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46)이 포함된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 및 이너 스테이터(148)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146)은 1개의 극을 가지는 단일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3개의 극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마그넷 프레임(13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에 결합되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이 왕복 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영구자석(146)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에는, 코일 권선체(141b,141c,141d) 및 스테이터 코어(141a)가 포함된다. 상기 코일 권선체(141b,141c,141d)에는, 보빈(141b) 및 상기 보빈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41c)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권선체(141b,141c,141d)에는, 상기 코일(141c)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외부로 인출 또는 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단자부(141d)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41a)에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다수의 코어 블럭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코어 블럭은, 상기 코일 권선체(141b,141c)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에는 스테이터 커버(149)가 제공된다. 즉,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부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와 상기 프레임(110)을 체결하기 위한 커버체결부재(149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체결부재(149a)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이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을 지지하는 서포터(13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137)는 상기 피스톤(130)의 후측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머플러(150)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 마그넷 프레임(138) 및 상기 서포터(137)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밸런스 웨이트(17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79)의 중량은, 압축기 본체의 운전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1 지지장치(165)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어 커버(17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리어 커버(170)에는 3개의 지지레그가 포함되며, 상기 3개의 지지레그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지지레그와,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 사이에는, 스페이서(181)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81)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로부터 상기 리어 커버(170)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170)는 상기 서포터(137)에 스프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머플러(15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부(15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입 머프러(15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이 공진 운동할 수 있도록 각 고유 진동수가 조절된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176b)이 더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176b)에는, 상기 서포터(137)와 스테이터 커버(149)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 1 공진 스프링(176a) 및 상기 서포터(137)와 리어 커버(170)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 2 공진 스프링(176b)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176b)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1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수행되며,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상기 제 1 공진 스프링(176a)에 결합되는 제 1 스프링지지부(137a)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주변의 부품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다수의 실링부재(127,128,129a,129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실링부재(127,128,129a,129b)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토출커버(16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1 실링부재(127)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실링부재(127,128,129a,129b)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실린더(12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2 실링부재(128)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실링부재(127,128,129a,129b)에는, 상기 실린더(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사이에 제공되는 제 3 실링부재(129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실링부재(129a)는, 프레임의 내주면과 실린더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포켓의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프레임(110)과 실린더(1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실링부재(127,128,129a,129b)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제 4 실링부재(129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링부재(127,128,129a,129b)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토출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기(10)의 본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장치(1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장치(165)는 상기 제 2 쉘커버(10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지지장치(165)에는, 제 1 지지스프링(166)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스프링(166)은, 상기 스프링체결부(10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장치(18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지지장치(185)는 상기 제 1 쉘커버(102)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지지장치(185)에는, 제 2 지지스프링(186)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스프링(186)은, 상기 커버지지부(102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는 상기 차음부재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차음부재가 장착된 압축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차음부재가 장착된 압축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쉘(101)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음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것 처럼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쉘(101)의 축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세로 폭과, 상기 쉘(101)의 둘레와 대응하거나 다소 길게 형성되는 가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면을 형성하는 부분을 시트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차음부재(200)는 상기 쉘(101)과 접하는 내면을 형성하는 제 1 층(210)과, 상기 제 1 층(210)의 일면에 접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을 형성하는 제 2 층(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210)은 흡음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을 소재로 하여 펠트, 부직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2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쉘(10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210)은 흡음성 외에 고온의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의 제조 및 유통 과정 및 구동 중의 온도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거나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 1 층(210)은 폴리 에틸렌 소재가 아닌 고온의 환경에서도 안전한 다른 흡음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 형상의 상기 쉘(101)을 안전하게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20)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220)은 상기 제 1 층(210)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층(210)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음부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층(2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층(22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쉘(101)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22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탄성 변형에 의해 다소 인장된 상태로 상기 쉘에 장착하여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은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서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을 고정하기 위한 테두리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201)는 실 또는 와이어로 스티치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의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시트가 제공되어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이 보다 견고하게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을 연결하는 추가의 고정부(20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202)는 상기 테두리부(201)를 형성하는 실 또는 와이어에 의해 스티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2)는 상기 차음부재(200)의 세로 폭 방향 또는 가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2)에 의해 상기 제 2 절개부(250)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201)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제 2 절개부(250)의 둘레에서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층(210)은 상기 제 2 층(22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층(210)이 5mm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 2 층(220)은 1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층(210)은 차음의 기능을, 그리고 상기 제 2 층(220)은 상기 차음부재(200)의 밀착 고정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층(220) 또한 차음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200)의 양단에는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231,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31,232)는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을 감싼 상태에서 양단이 서로 맞닿거나 접하는 상태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31,232)는 상기 차음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결속부(231)와,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결속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속부(231)와 제 2 결속부(232)는 각각 암수 벨크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음부재(200)의 세로 폭 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차음부재(200)의 양단이 서로 완전히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31,232)는 벨크로 구조가 아닌 다른 접착 또는 구속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압축기(10)의 정비의 용이를 위해 벨크로 구조와 같이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차음부재(200)에는 제 1 절개부(240)와 제 2 절개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240)와 제 2 절개부(250)는 모두 상기 차음부재(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가공시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이 겹쳐진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단하여 상기 차음부재(200)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절개부(240)와 제 2 절개부(250)를 별도의 가공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 1 절개부(240)와 제 2 절개부(250)를 동시 성형 가능하며, 나아가 상기 차음부재(200)의 전체 둘레 형상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절개부(240)는 상기 레그(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차음부재(200)의 외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240)는 상기 차음부재(200)의 세로 폭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레그(50)가 모두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절개부(240)의 절개된 폭(W1)은 일측의 상기 쉘(101)과 연결된 한쌍의 상기 레그(50) 상단 사이의 거리(L1)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제 1 절개부(240)에 의해 상기 쉘(101)에 장착된 4개의 레그(50)가 모두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절개부(250)는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터미널부(251)와 파이프부(2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251)는 상기 터미널(108)을 둘러싸는 상기 브라켓(109)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상기 터미널(108) 및 상기 브라켓(109)이 상기 터미널부(25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부(251)는 상기 차음부재(200)의 단부와는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부(252)와 연결되어 절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파이프부(252)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토출 파이프(105)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차음부재(200)의 외측단에서 상기 터미널부(251)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부(251)의 절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파이프부(252)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토출 파이프(105)가 동시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의 외측단에서 상기 토출 파이프(105)의 외측단까지의 거리(L2)와 대응하는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파이프부(252)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으며 한 번의 작업으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토출 파이프(105)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부(252)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차음부재(200)의 외측단과 상기 터미널부(25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절개부(250)는 전체가 하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음부재(20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의 노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10)에서 상기 차음부재(200)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 내지 12는 상기 차음부재의 장착 과정을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쉘(101)의 내부에 압축기 본체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 1 쉘커버(102)와 제 2 쉘커버(103)를 장착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200)가 원통 형상의 상기 쉘(101)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상기 차음부재의 장착을 위해서는, 우선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압축기(10)의 일측에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음부재(200)의 제 1 층(210)이 상기 쉘(101)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 2 층(220)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차음부재(200)는 상기 압축기(10)의 제조과정 중 또는 냉장고 또는 에어컨의 조립 전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압축기(10)가 상기 냉장고 또는 에어컨의 실외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음부재(2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차음부재(200)가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레그(50)에 의해 이격되는 상기 쉘(101)과 설치 공간의 바닥면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차음부재(200)를 배치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차음부재(200)는 상기 제 1 절개부(240)가 상기 레그(50)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절개부(240)를 통해 상기 레그(50)가 노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음부재(200)는 정확한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50)가 상기 제 1 절개부(24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 1 절개부(240)는 4개의 상기 레그(50)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는 정확한 위치에서 가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을 감싸도록 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터미널(108)과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그(50)가 상기 제 1 절개부(240)를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양단을 잡고 상기 쉘(101)을 감싸게 되면 상기 쉘(101)의 둘레 전체를 감쌀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을 감싸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108)은 상기 터미널부(251)를 통해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파이프부(252)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터미널(108)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를 노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차음부재(200)를 감싸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절개부(250)를 통해 상기 터미널(108)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을 완전히 감싸게 되면 상기 차음부재(200)의 양단이 서로 맞닿거나 겹쳐지게 되며, 상기 제 1 결속부(231)와 제 2 결속부(232)가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차음부재(200)의 양단을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속부(231)와 제 2 결속부(232)를 서로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차음부재(200)는 탄성 변형되면서 인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결속부(231)와 제 2 결속부(232)를 결속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제 2 층(220)이 상기 쉘(101)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될 수 있어 상기 제 1 층(210)이 완전히 상기 쉘(101)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차음부재(200)의 차음 효과를 한층 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제 2 절개부(250)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음부재(200)는 상기 제 1 층(210)과 제 2 층(220) 두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음부재(200)의 가로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는 각각 암수 벨크로 형상의 상기 제 1 결속부(231)와 제 2 결속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상기 레그(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한쌍의 제 1 절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상기 터미널(108)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터미널 홀(261)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1 파이프 홀(262)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파이프 홀(2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홀(261)과 상기 제 1 파이프 홀(262) 및 제 2 파이프 홀(263)은 각각 상기 브라켓(109),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 그리고 토출 파이프(105)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108), 상기 브라켓(109),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 및 토출 파이프(105)가 상기 차음부재(2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파이프 홀(262)은 상기 제 2 파이프 홀(263)에 비해 상기 차음부재(2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이프 홀(262)에는 제 3 절개부(26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절개부(262a)는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파이프 홀(262)의 외측단과 상기 차음부재(200)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절곡 형성되는 형상의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상기 제 1 파이프 홀(26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음부재(200)의 장착시 상기 제 2 파이프 홀(263)에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먼저 끼워서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노출시킨 후 상기 차음부재(200)가 상기 쉘(101)을 감싸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제 3 절개부(262a)를 통해 상기 제 1 파이프 홀(26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파이프 홀(263)에도 제 3 절개부(262a)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어 절곡된 형상의 토출 파이프(105)가 용이하게 상기 제 2 파이프 홀(263)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원통 형상의 쉘;
    상기 쉘의 개구된 양단을 커버하는 제 1 쉘커버와 제 2 쉘커버;
    상기 쉘의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설치 공간에 고정되는 다수의 레그;
    상기 제 1 쉘커버에 연결되며,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 파이프;
    상기 쉘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 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쉘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냉매의 보충을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
    상기 쉘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파이프 및
    상기 쉘의 둘레면을 따라 밀착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진동 소음을 차단하며, 양단에 서로 접하여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부재는,
    시트를 이루는 복수의 층과,
    상기 복수의 층을 고정하기 위해 결속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양단에서 절개되며, 상기 레그가 노출되도록 절개되는 제 1 절개부와,
    상기 제 1 절개부와 인접한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서 절개되어, 상기 터미널,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가 모두 관통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상기 쉘의 축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90°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는,
    상기 쉘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 소음을 흡음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접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 2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상기 쉘의 중앙에서 상기 제 2 쉘커버측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원통 형상의 압축기 둘레를 형성하는 쉘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펠트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 소음을 흡음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접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제 2 층으로 구성된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의 양단에는 상기 제 2 층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서로 접하여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층의 세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을 연결하고, 상기 결속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양단에서 절개되며, 상기 압축기의 레그가 노출되도록 절개되는 제 1 절개부와,
    상기 제 1 절개부와 인접한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서 절개되어, 상기 압축기의 터미널과, 상기 압축기의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압축기의 토출 파이프가 모두 관통되는 제 2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상기 쉘의 축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90°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난연성 폴리 에틸렌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둘레에는 실 또는 와이어소재로 스티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을 결합시키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 2 층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벨크로의 암수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결속부와 제 2 결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9. 흡음 소재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압축기 쉘의 길이와 대응하는 폭과 상기 쉘의 둘레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시트;
    상기 시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쉘을 감싼 상태에서 서로 결속되는 결속부;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양단에서 절개되며, 상기 쉘을 고정 장착시키는 레그가 노출되는 제 1 절개부;
    상기 쉘에 연결된 터미널을 둘러싸는 브라켓과, 프로세스 파이프 그리고 토출 파이프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브라켓, 프로세스 파이프 그리고 토출 파이프가 노출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시트를 이루는 복수의 층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절개부와 인접한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서 절개되어, 상기 터미널,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가 모두 관통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상기 토출 파이프는 상기 쉘의 축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90°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개부는,
    상기 터미널을 둘러싸는 상기 브라켓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는 터미널부와;
    상기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터미널부를 연결하도록 절개되며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 및 토출 파이프가 함께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의 폭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와 토출 파이프의 외측단 사이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차음부재.
KR1020210074596A 2016-05-03 2021-06-09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KR10228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596A KR102286821B1 (ko) 2016-05-03 2021-06-09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927A KR20170124915A (ko) 2016-05-03 2016-05-03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KR1020210074596A KR102286821B1 (ko) 2016-05-03 2021-06-09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27A Division KR20170124915A (ko) 2016-05-03 2016-05-03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15A KR20210071915A (ko) 2021-06-16
KR102286821B1 true KR102286821B1 (ko) 2021-08-09

Family

ID=602028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27A KR20170124915A (ko) 2016-05-03 2016-05-03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KR1020210074596A KR102286821B1 (ko) 2016-05-03 2021-06-09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27A KR20170124915A (ko) 2016-05-03 2016-05-03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39528A1 (ko)
KR (2) KR20170124915A (ko)
CN (1) CN109154287B (ko)
DE (1) DE112017002329T5 (ko)
WO (1) WO2017191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413B1 (ko) * 2018-01-17 2018-07-19 고기영 초크커버
TW202016484A (zh) * 2018-05-25 2020-05-01 澳洲商比利澳洲私人有限公司 冷凍的改善
US11971192B2 (en) * 2019-07-10 2024-04-30 Robert Bosch Llc Environmental control unit including noise reduction features
KR102445813B1 (ko) * 2021-02-05 202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음장치
KR20230116201A (ko) * 2022-01-28 2023-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590A (ja) 2007-01-24 2008-09-04 Daikin Ind Ltd 圧縮機用防音材
JP2010168940A (ja) 2009-01-21 2010-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77B2 (ja) * 1991-09-05 1996-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縮機の製造方法
JP3301831B2 (ja) * 1993-10-05 2002-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横型回転圧縮機のターミナル被覆装置
KR20030055050A (ko)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용 차음 커버
KR100834104B1 (ko) * 2003-09-09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JP2009156141A (ja) * 2007-12-26 2009-07-16 Bridgestone Kbg Co Ltd 防音材
KR20090077285A (ko) * 2008-01-10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JP4955742B2 (ja) * 2009-08-28 2012-06-20 株式会社パー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防音シート及び該防音シートの製造方法
JP5857705B2 (ja) * 2011-12-13 2016-0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の防音装置
CN204853729U (zh) * 2015-08-06 2015-12-09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压缩机隔音罩及空调室外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590A (ja) 2007-01-24 2008-09-04 Daikin Ind Ltd 圧縮機用防音材
JP2010168940A (ja) 2009-01-21 2010-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2329T5 (de) 2019-02-21
US20190139528A1 (en) 2019-05-09
CN109154287B (zh) 2020-09-04
CN109154287A (zh) 2019-01-04
WO2017191937A1 (ko) 2017-11-09
KR20170124915A (ko) 2017-11-13
KR20210071915A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821B1 (ko)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KR102257493B1 (ko) 리니어 압축기
US10400757B2 (en) Linear compressor
KR10225965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0025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3834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59654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38338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38346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83075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59638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70124911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3833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57642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74092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2460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68247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6552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58151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162335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24604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57648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24606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200053781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20092022A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