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201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201A
KR20230116201A KR1020220012826A KR20220012826A KR20230116201A KR 20230116201 A KR20230116201 A KR 20230116201A KR 1020220012826 A KR1020220012826 A KR 1020220012826A KR 20220012826 A KR20220012826 A KR 20220012826A KR 20230116201 A KR20230116201 A KR 2023011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ousing
groove
sound insulating
ins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건
김현호
송용재
김기석
노희동
정두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201A/ko
Priority to PCT/KR2022/019121 priority patent/WO2023146105A1/ko
Priority to EP22924358.9A priority patent/EP4435337A1/en
Publication of KR2023011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201A/ko
Priority to US18/744,262 priority patent/US202403373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공기조화장치(예; 에어컨)의 히트 펌프 실외기에서, 저소음을 구현하기 위한 소음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소음 차폐 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 공간에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1차음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방진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기조화장치(예; 에어컨)를 구성하는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 설비에 사용되는 장치 또는 기지는 공조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대별하면 공기조화장치, 열원기기 또는 열매 반송 계통의 기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과 같은 공기조화장치는 공조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은 압축기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하우징 재질은 차음 부재와 흡음 부재를 겹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차음 부재는 음을 차단하며, 상기 하우징의 흡음 부재는 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흡음 부재와 상기 차음 부재의 재질 조합을 흡/차음 부재라고 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400Hz 이상의 소음은 흡/차음 부재로 달성이 가능하나, 400Hz 이하의 소음이 흡/차음 부재에 의해 저감되는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오히려 차음 부재의 진동으로 인하여 저주파 소음이 증폭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에 적용되는 차음 부재의 두께는 균일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차음 부재에서는, 압축기의 진동이나 음에 의해 표면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차음 부재 전체에 전달되어 하나의 플레이트(plate)와 같이 진동하여, 저주파 소음(특히 400Hz 이하)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는,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차폐하는 차음 부재의 표면에 방진용 홈을 마련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는, 400Hz 이하의 저주파 소음이 증폭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음 부재 표면에 적어도 하나 방진용 홈을 형성하여, 차음 부재 표면에서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진동이 차음 부재 전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소음 증폭 현상을 개선한 소음 차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1차음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된 상기 제1차음 부재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서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의 소음을 차폐하는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방으로 개방되며, 외부로 노출된 일면을 포함하는 차음 부재; 및 상기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진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폐하기 위해 마련된 하우징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진용 홈을 형성하여 400Hz 이하의 저주파 소음이 증폭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전의 압축기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방진용 홈을 갖는 차음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a 또는 도 2b의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 부재에 발생한 진동의 감쇄 과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조화장치에서 압축기로 인한 소음이 개선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전의 압축기와, 차음 커버가 결합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서 방진용 홈을 갖는 차음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전의 압축기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방진용 홈을 갖는 차음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a 또는 도 2b의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기 및 하우징(10)을 포함할 있다. 상기 실외기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소음을 발생하는 유닛(20)(예: 압축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을 발생하는 유닛(20)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s)에 직립 상태로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닛(20)에서 발생된 소음은 상기 하우징(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1하우징(101)에 결합될 수 있는 제2하우징(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02)은 착탈 장치(15)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101)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장치(15)는,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나, 또는 걸림 구조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예를 들어, 한쪽에 갈고리 부재를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걸림 고리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갈고리 부재와 상기 걸림 고리 부재가 맞닿아져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착탈 장치(15a)에는 상기 제1차음 부재(13)와의 연결을 위한 제1재봉선(151a)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 포함된 제1하우징(101)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앞면(13a)을 포함하는 제1차음 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 포함된 제2하우징(102)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제2앞면(17a)을 포함하는 제2차음 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1하우징(101)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나, 상기 제1하우징(101)의 표면에 마련되는 구조는 제2하우징(102)에도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차음 부재(13)의 제1앞면(13a) 또는 상기 제2차음 부재(17)의 제2앞면(17a)은, 예를 들어, 외부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의 제1앞면(13a)은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일 수 있다. 제2차음 부재(17)의 제2앞면(17a)은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는 제1앞면(13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방진용 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진용 홈(133)은, 예를 들어,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진용 홈(133)은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제1방진용 홈(133)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의 제1앞면(13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방진용 홈(133)은 격자 무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격자 무늬 형상에 한정될 필요없이, 마름모 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의 제1앞면(13a)에는 복수 개의 제1방진용 홈들(133)이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등 간격 배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복수 개의 제1방진용 홈들(133)은 제1착탈 장치(15a)에 가까워질수록 간격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착탈 장치(15a)에는 상기 제1차음 부재(13)와의 연결을 위한 제1재봉선(151a)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의 제1앞면(13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방진용 홈(133)은 직선으로 형성되지만, 직선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선이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진용 홈(133)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정사각형이나 삼각형이나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진용 홈(133)은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평 홈(13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직 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평 홈(13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직 홈(1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평 홈(13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직 홈(132)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진용 수평 홈(131) 및/또는 제1방진용 수직 홈(132)의 두께는 제1차음 부재(13)의 두께의 1/2과 대략적으로 유사하거나, 제1차음 부재(13)의 두께의 1/2보다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진용 수평 홈(131) 및/또는 제1방진용 수직 홈(132)의 두께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는, 유닛(20)이 하우징(10)에 수용되는 경우, 꺾여지는 모서리(12)가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12) 부근에 수직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141a, 141b, 141c)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141a, 141b, 141c)은 제1차음 부재(13)의 제1앞면(13a)에서 내부 공간(s)에 도달하도록, 제1하우징(10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141a, 141b, 141c)의 길이는, 마련된 절개부의 개수를 고려하여 정하여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는 제2앞면(17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방진용 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진용 홈(136)은, 예를 들어,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진용 홈(136)은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제2방진용 홈(136)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의 제2앞면(17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방진용 홈(136)은 격자 무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격자 무늬 형상에 한정될 필요없이, 마름모 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의 제2앞면(17a)에는 복수 개의 제2방진용 홈들(136)이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등 간격 배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복수 개의 제2방진용 홈들(136)은 제2착탈 장치(15b)에 가까워질수록 간격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착탈 장치(15b)에는 상기 제2차음 부재(17)와의 연결을 위한 제2재봉선(151b)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의 제2앞면(17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방진용 홈(136)은 직선으로 형성되지만, 직선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선이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방진용 홈(136)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정사각형이나 삼각형이나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방진용 홈(136)은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평 홈(134)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직 홈(1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평 홈(134)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직 홈(13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평 홈(134)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직 홈(135)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방진용 수평 홈(134) 및/또는 제2방진용 수직 홈(135)의 두께는 제2차음 부재(17)의 두께의 1/2과 대략적으로 유사하거나, 제2차음 부재(17)의 두께의 1/2보다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진용 수평 홈(134) 및/또는 제2방진용 수직 홈(135)의 두께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는, 유닛(20)이 하우징(10)에 수용되는 경우, 꺾여지는 모서리가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부근에 수직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143a, 143b, 143c)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143a, 143b, 143c)은 제2차음 부재(17)의 제1앞면(17a)에서 내부 공간(s)에 도달하도록, 제2하우징(10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143a, 143b, 143c)의 길이는, 마련된 절개부의 개수를 고려하여 정하여 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방진용 홈(133)(또는 제2방진용 홈(136))에 포함된 제1방진용 수평 홈(131)(또는 제2방진용 수평 홈(134))의 두께(또는 깊이)는 제1차음 부재(13)(또는 제2차음 부재(17))의 두께의 1/2과 대략적으로 유사하거나, 제1차음 부재(13)(또는 제2차음 부재(17))의 두께의 1/2보다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진용 홈(133)(또는 제2방진용 홈(136))의 두께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가 결합된 상태)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01) 재질은 제1차음 부재(13)와 제1흡음 부재(14)를 겹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흡음 부재(14)는 다공성 재질, 예를 들어 펠트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는 제1하우징(101) 내부 공간(s)을 향하는 제1뒤면(13b)(내부면)과, 제1하우징(101) 외부로 향하는 제1앞면(13a)(외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는 내부면(13b)에 제1흡음 부재(14)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02) 재질은 제2차음 부재(17)와 제2흡음 부재(18)를 겹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흡음 부재(18)는 다공성 재질, 예를 들어 펠트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는 제2하우징(102) 내부 공간(s)을 향하는 제2뒤면(17b)(내부면)과, 제2하우징(102) 외부로 향하는 제2앞면(17a)(외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음 부재(17)는 내부면(17b)에 제2흡음 부재(18)가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 부재에 발생한 진동의 감쇄 과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예: 도 2a의 제1하우징(101) 또는 도 2b의 제2하우징(102)의 표면에 발생하는 소음/진동 전달 경로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재질 또는 표면 단면적 차이가 발생하면, 해당 부위에서 소음 또는 진동 반사가 발생하고(임피던스 부정합, Impedance Mismatching) 그 중 소음 또는 진동 전달 경로의 단면적 차이를 이용하여 진동 반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음 부재(13) 또는 제2차음 부재(17)의 어느 한 부분에서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이 제1차음 부재(13) 또는 제2차음 부재(17)의 일면을 통해 전달되는데, 음의 전달 경로에서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제1방진용 홈(133)이 형성된 부분 또는 제2방진용 홈(136)이 형성된 부분)에서 일정 진동이 반사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제1차음 부재(13) 또는 제2차음 부재(17) 전체로 진동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진동 감쇄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음 부재(13) 또는 제2차음 부재(17)를 무한한 평판(Plate)으로 가정할 경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제1차음 부재(13) 또는 제2차음 부재(17)의 진동(진동 속도 v)이 저감되면, 평판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파워는 진동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낮아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W: 음향 파워 (Watt),
ρ: 공기의 밀도 (kg/m2),
c: 공기 음속 (m/s),
s: 차음재의 면적 (m2),
v: 차음재의 진동 속도 (m/s2)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조화장치에서 압축기로 인한 소음이 개선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이란 Sound Source (ex. 압축기(20)) 소음과 음원(sound source)을 흡음 부재 및/또는 차음 부재(제1흡음 부재(13)/제1차음 부재(14) 또는 제2흡음 부재(17)/제2차음 부재(18))로 밀폐했을 때의 소음간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손실이 0보다 크면 제1흡음 부재/제1차음 부재를 적용했을 때 제1흡음 부재/제1차음 부재 적용 전 대비 낮아진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0보다 낮은 경우는 반대로 소음이 증폭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20)에 마련될 흡음 부재/차음 부재의 경우, 400Hz 이하의 영역에서는 차음 부재의 진동으로 인하여 소음이 역으로 증폭되어 짐으로서, 보통 삽입 손실 값이 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손실이 0 이하가 되는 영역(400Hz 이하)에서 삽입 손실은 Octave Band 평균 3.7dB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전의 압축기와, 차음 커버가 결합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10)의 상단에 차음 커버(3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 커버(30)는 하우징(10)의 상단(100a)(예; 도 1에 도시된 상단(100a))을 개폐하고, 수용된 압축기(20)를 외부로부터 공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 커버(30)는 도 2a 및/또는 도 3에 도시된 제1차음 부재(13)와 제1흡음 부재(14)로 구성된 구조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 커버(30)는 제3차음 부재(예; 도 3에 도시된 제1차음 부재(13) 또는 제2차음 부재(17))와, 상기 제3차음 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제3흡음 부재(예; 도 3에 도시된 제1흡음 부재(14) 또는 제2흡음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차음 부재는 외부로 노출된 제3앞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 커버(30)의 제3앞면(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방진용 홈(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방진용 홈(303)은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격자 무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 커버(30)의 제3앞면(33)은 복수 개의 제3방진용 홈(303)에 의해 여러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방진용 홈(303)이 복수 개로 형성될 경우,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등간격 배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방진용 홈(303)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지만, 직선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선형이나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방진용 홈(30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1방진용 홈(30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2방진용 홈(3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1방진용 홈(301)과 제3-2방진용 홈(3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1방진용 홈(301)과 제3-2방진용 홈(3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교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방진용 홈(303)의 두께는 제3차음 부재의 두께의 1/2과 대략적으로 유사하거나, 제3차음 부재의 두께의 1/2보다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서 방진용 홈(303)을 갖는 차음 부재(33)의 평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제1차음 부재(13)의 평면 구조는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본 제1차음 부재(13)의 구조와 거의 동일할 수 있으나, 제1차음 부재(13)의 상단부에 차음 커버(30)와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착탈 장치(15c)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장치(15c)는,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나, 또는 걸림 구조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예를 들어, 한쪽에 갈고리 부재를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걸림 고리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갈고리 부재와 상기 걸림 고리 부재가 맞닿아져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착탈 장치(15c)에는 상기 제1차음 부재(13)와의 연결을 위한 재봉선(151c)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제2차음 부재(17)의 평면 구조는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본 제2차음 부재(17)의 구조와 거의 동일할 수 있으나, 제2차음 부재(17)의 상단부에 차음 커버(30)와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착탈 장치(15d)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장치(15d)는,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나, 또는 걸림 구조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예를 들어, 한쪽에 갈고리 부재를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걸림 고리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갈고리 부재와 상기 걸림 고리 부재가 맞닿아져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착탈 장치(15d)에는 상기 제2차음 부재(17)와의 연결을 위한 재봉선(151d)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들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제1차음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포함된 상기 제1차음 부재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면에 제1방진용 홈이 형성된,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진용 홈은 복수 개가 형성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진용 홈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진용 홈은,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평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평 홈과 만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직 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평 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수직 홈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교차하는 지점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진용 홈의 깊이는 대략적으로 상기 제1차음 부재의 두께의 1/2인,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상기 제1차음 부재의 제2면에 제1흡음 부재가 더 부착되는, 공기조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압축기의 수용을 위해 꺾이는 수직 모서리 부근에 복수의 절개부들이 상기 제1면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도달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에 차음 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폐쇄되고,
    상기 차음 커버는,
    제2차음 부재; 및
    상기 제2차음 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제2흡음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 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일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홈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홈은,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평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평 홈과 만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수직 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진용 수평 홈과 상기 제2방진용 수직 홈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교차하는 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진용 홈의 깊이는 대략적으로 상기 제2차음 부재의 두께의 1/2인, 공기조화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벨클로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한 공기조화장치.
  16. 공기조화장치에서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의 소음을 차폐하는 하우징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방으로 개방되며, 외부로 노출된 일면을 포함하는 차음 부재; 및
    상기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진용 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홈은,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방진용 홈과 각각 만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진용 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홈은 각각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홈의 깊이는 대략적으로 상기 차음 부재의 두께의 1/2인, 하우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꺾이는 모서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절개부들이 형성되는, 하우징.
KR1020220012826A 2022-01-28 2022-01-28 공기조화장치 KR20230116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826A KR20230116201A (ko) 2022-01-28 2022-01-28 공기조화장치
PCT/KR2022/019121 WO2023146105A1 (ko) 2022-01-28 2022-11-29 공기조화장치
EP22924358.9A EP4435337A1 (en) 2022-01-28 2022-11-29 Air conditioning device
US18/744,262 US20240337392A1 (en) 2022-01-28 2024-06-14 Air condit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826A KR20230116201A (ko) 2022-01-28 2022-01-28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01A true KR20230116201A (ko) 2023-08-04

Family

ID=8747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826A KR20230116201A (ko) 2022-01-28 2022-01-28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337392A1 (ko)
EP (1) EP4435337A1 (ko)
KR (1) KR20230116201A (ko)
WO (1) WO20231461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630A (ko) * 2001-12-28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124915A (ko) * 2016-05-03 201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압축기용 차음부재
CN205977600U (zh) * 2016-07-13 2017-02-22 大金工业株式会社 空气处理装置中的压缩机罩
CN208920376U (zh) * 2018-10-11 2019-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减振块和具有其的空调室外机
KR20200089876A (ko) * 2019-01-18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방음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105A1 (ko) 2023-08-03
EP4435337A1 (en) 2024-09-25
US20240337392A1 (en) 202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873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noise
JP2008025233A (ja) 消音装置
JP2014240975A (ja) 音響構造体および音響室
US1845080A (en) Studio for acoustic purposes
US20230269527A1 (en) Audio device
KR20230116201A (ko) 공기조화장치
JP2007226216A (ja) 装置を内部に含む音響遮断用の筐体
JP2003216159A (ja) ダクト消音装置
US6571909B1 (en) Loudspeaker enclosure
JP2019152726A (ja) 通風機能を備えた防音板
JP2003319481A (ja) 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
JP3047844B2 (ja) 空気調和機
JP3071401U (ja) 消音装置
JP2000111111A (ja) フード
JPH10143167A (ja) 騒音制御装置
CN105869619B (zh) 鱼鳞降噪机
JP3065262B2 (ja) 吸音パネル
CN218120162U (zh) 消除噪音的分风箱
CN110137874A (zh) 一种高隔声接线盒
JP3087967B2 (ja) ダクト内電子消音用の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3043740B1 (ja) 通信機器の防音フード構造
JP7415323B2 (ja) 音声出力ユニット、サウンドマスキング設備
JPH02225985A (ja) 冷却装置の消音装置
KR101641458B1 (ko) 공기 흡입형 모터 소음기
Tsunetoshi et al. Investigation of the inlet and outlet location on the soundproofing ventilation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