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479B1 -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479B1
KR101831479B1 KR1020137016935A KR20137016935A KR101831479B1 KR 101831479 B1 KR101831479 B1 KR 101831479B1 KR 1020137016935 A KR1020137016935 A KR 1020137016935A KR 20137016935 A KR20137016935 A KR 20137016935A KR 101831479 B1 KR101831479 B1 KR 10183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side wall
storage case
vehicle bod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110A (ko
Inventor
신야 아베
야스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more than two arms (boom included), e.g. two-part boom with additional dipper-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이드 카메라의 차체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이드 카메라용의 배선에 특별한 보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건설 기계는,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측 위치에 설치되는 운전실과,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우측 위치에 설치되는 유틸리티 박스(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건설 기계에 있어서, 유틸리티 박스(22)는, 우측벽(22D), 좌측벽(22H) 및 상부가 개폐 가능하고, 또 시정 가능한 개폐 덮개(22A)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의 우측의 측방을 촬상하는 사이드 카메라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23)가 설치되고, 이 수납 케이스(23)는, 볼트(29)로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에 고정되고, 또한 사이드 카메라용의 하니스(33)가 관통 구멍(23F), (22F)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SIDE CAMERA ATTACHME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이나 크레인 차 등의 건설 기계의 측방을 감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사이드 카메라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는 주위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엔진실 후방의 카운터 웨이트의 상부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 작업 시에 건설 기계의 후방의 안전을 감시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로서, 전후 좌우의 4군데에 타이어가 설치되어 일반의 공도를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휠식 유압 셔블이 있다. 이러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는, 운전실이 건설 기계의 좌측(차량 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붐, 아암 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장치는 운전실의 우측방의 차량 중앙부에 설치되고, 주행시는, 이 작업 장치가 절첩된 저장 자세를 취하고 있으므로, 운전자에 있어서 차량의 우측방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의 우측방에 사이드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 사이드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을 운전실의 모니터에 표시하여, 차량의 우측방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한 건설 기계가 알려져 있다.
도 8은, 사이드 카메라가 설치된 건설 기계(휠식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건설 기계(1)는, 주행체(2)와, 주행체(2)의 상측에 배치되고, 차체 프레임(3A)을 갖는 선회체(3)와, 이 선회체(3)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작업 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3)는, 전방에 운전실(5)을, 후방에 카운터 웨이트(6)를 각각 구비하고, 이들 운전실(5)과 카운터 웨이트(6) 사이에 연료 탱크(7) 및 엔진 룸(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 9, 10은 주행체(2)의 전후 좌우에 각각 설치된 타이어이다.
건설 기계(1)에는, 연료 탱크(7)의 전방에 개폐 가능한 사이드 도어(11)를 갖는 유틸리티실이 설치되어 있고, 이 유틸리티실에는, 차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압 기기나 정비용의 공구 등이 수용되어 있다. 도 9는 사이드 도어(11)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a)는 사이드 도어(11)를 닫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b)는 사이드 도어(11)를 열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사이드 도어(11)는, 그 후방부가 연료 탱크(7)의 전방부에 힌지(도시 생략)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도어(11)에는, 그 내측에 사이드 카메라(12)가 설치되고, 촬상 렌즈가 사이드 도어(11)에 형성된 구멍부으로부터 외측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도어(11)는, 유틸리티실 내의 유압 기기의 메인터넌스나 정비용의 공구를 취출할 때에 개폐된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하는 유틸리티실 내에는, 핸드 레일(17)이 설치되고, 사이드 도어(11)는, 전술한 유압 기기의 메인터넌스 등 이외에, 선회체(3) 상에서의 다른 메인터넌스 작업을 위하여 스텝(13, 14, 15, 16)을 사용해서 선회체(3) 상면부로 올라갈 때 핸드 레일(17)을 이용할 때에도 개폐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31726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카메라를 사이드 도어에 설치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사이드 도어가 차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사이드 카메라용의 배선도 도어의 개폐를 고려해서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이드 카메라의 차체로의 조립성이 나쁘다. 또 도어의 개폐에 수반하여 배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처치도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배선의 보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구조가 복잡해지기 쉽다. 또한, 도어를 닫았을 때에 사이드 카메라가 유틸리티실 내에 돌출되기 때문에, 내부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배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기 쉽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이드 카메라의 차체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이드 카메라용의 배선에 특별한 보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는, 건설 기계의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우 일측 위치에 설치되는 운전실과,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작업 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운전실과 반대측이 되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우 타측 위치에 설치되는 유틸리티실을 구비한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에 적용된다. 그리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유틸리티실은, 우측벽, 좌측벽 및 상부가 개폐 가능하고 또 시정(施錠) 가능한 개폐 덮개에 의해 구획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틸리티실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좌우 타측의 측방을 촬상하는 사이드 카메라와, 이 사이드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유틸리티실의 내부에 있어서 고정 수단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예를 들어 유틸리티실의 우측벽에 사이드 카메라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이드 카메라의 차체 프레임으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카메라용의 배선에 특별한 보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단한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유틸리티실의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우측벽 또는 좌측벽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카메라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적어도 좌측면벽, 우측면벽 및 앞면벽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벽 및 우측면벽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를 상기 유틸리티실의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하기 위한 피고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면벽 및 우측면벽의 어느 다른 쪽에는, 상기 사이드 카메라의 촬상 렌즈가 외부에 면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유틸리티실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유틸리티실은, 상기 우측벽 또는 좌측벽 중, 상기 차체 프레임의 좌우 타측에 위치하는 측벽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좌우 타측의 테두리부보다도 상기 운전실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와 상기 유틸리티실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타측의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운전창측을 향해서 배열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는, 상기 유틸리티실의 후방부에 오일 저장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 저장 탱크의 전방측 하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오일 저장 탱크의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유틸리티실은, 그 후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우 타측 위치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방이고 또, 상기 유틸리티실의 측방에 위치하여, 스텝으로서 이용 가능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카메라의 차체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이드 카메라용의 배선에 특별한 보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가 적용된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건설 기계의 우측 전방 쪽을 확대해서 도시한 우측 전방 쪽 사시도이며, (a)는 유틸리티 박스의 개폐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b)는 유틸리티 박스의 개폐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3은 사이드 카메라를 수납한 수납 케이스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고 있고, (a)는 수납 케이스 설치 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수납 케이스 설치 후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사이드 카메라를 수납한 수납 케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납 케이스를 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카메라를 수납한 수납 케이스를 유틸리티 박스에 설치했을 때의 설치 개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수납 케이스의 유틸리티 박스로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설치 개소의 단면도이며, (a)는 설치 전의 단면도, (b)는 설치 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사이드 카메라가 설치된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건설 기계의 우측 전방 쪽을 확대해서 도시한 우측 전방 쪽 사시도이며, (a)는 사이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b)는 사이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가 적용된 건설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건설 기계(1)는, 주행체(2)와, 주행체(2)의 상측에 배치되고, 차체 프레임(20)을 갖는 선회체(3)와, 이 선회체(3)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작업 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3)는, 좌측 전방에 운전실(5)을, 후방에 카운터 웨이트(6)를 각각 구비하고, 카운터 웨이트(6)의 전방측에는, 카운터 웨이트(6)와 인접해서 엔진 룸(8)이 설치되고, 프론트 작업 장치(4)를 사이에 두고 운전실(5)의 반대측(우측)에는, 엔진 룸(8)의 전방 위치에,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오일 저장 탱크(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 9, 10은 주행체(2)의 전후 좌우에 각각 설치된 타이어이다. 또한, 오일 저장 탱크(21)의 전방에는, 내부에 공구 등이 수용되고, 개폐 덮개(22A)에 의해 개폐 가능한 유틸리티 박스(22)와, 내부에 사이드 카메라(32)(도 1 도시 생략)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23)와, 선회체(3)의 상면부로 올라갈 때에 사용되는 제1 스텝(24), 제2 스텝(25), 제3 스텝(26)이 설치된다. 또한, 이들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의 (a) 및 (b)는, 건설 기계(유압 셔블)의 우측 전방 쪽을 확대하여 도시한 우측 전방 쪽 사시도이며, (a)는 유틸리티 박스(22)의 개폐 덮개(22A)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b)는 유틸리티 박스(22)의 개폐 덮개(22A)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또한, 도 2의 (a) 및 (b)의 각 도에 있어서, 우측은 건설 기계의 전방부측이며, 좌측은 건설 기계의 후방부측이다.
차체 프레임(20)에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방 중앙 위치에, 프론트 작업 장치(4)가 연결되는 작업 장치 연결부(27)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20) 상에서 작업 장치 연결부(27)의 좌측에는 운전실(5)(도 1 참조)이 설치되고, 우측에는 오일 저장 탱크(21)와 유틸리티실로서의 유틸리티 박스(22)와 내부에 사이드 카메라(32)를 구비한 수납 케이스(23)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 저장 탱크(21)는, 급유구(21C)를 갖는 상면판과 좌우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면판(21D)과, 그들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판(21E)과 후면판, 저면판(모두 도시 생략)에 의해 6면이 형성된 용기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오일 저장 탱크(21)의 전면판(21E)에는, 탱크의 의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화장 커버(2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장 커버(21B)는, 전면판(21E)의 하부를 남겨서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화장 커버(21B)의 하부에는 화장 커버(21B)의 하면과 오일 저장 탱크(21)의 전면판(21E)과 차체 프레임(20)의 상면에 의해 오목부(21A)가 형성된다.
유틸리티 박스(22)는, 차체 프레임(20)의 우측 단부측에 위치하는 우측벽(22D)과, 작업 장치 연결부(27)측에 위치하는 좌측벽(22H)과 그들을 전후에서 접속하는 전후의 측벽(도시 생략)에 의해 측부가 구획 형성된 유틸리티 박스 본체(22B)와,이 유틸리티 박스 본체(22B)의 상부 개구부를 도시하지 않은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덮개(22A)와, 개폐 덮개(22A)의 시정을 행하는 시정구(22C)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이 유틸리티 박스(22)는, 후단부의 일부가 오일 저장 탱크(21)의 전면에 설치된 오목부(21A)에 수용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우측벽(22D)의 우측방의 차체 프레임(20) 상에 소정 폭의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제1 스텝(24)이 형성되도록 우측벽(22D)이 차체 프레임(20)의 우측 단부로부터 내측(좌측)에 위치하도록 차체 프레임(20)에 설치된다. 유틸리티 박스(22)의 개폐 덮개(22A)는, 상면에 평면부를 갖고, 개폐 덮개(22A)를 폐쇄했을 때, 이 평면부가 제2 스텝(25)을 구성한다. 또한, 오일 저장 탱크(21)의 전면판(21E)의 상부에는, 화장 커버(21B)에 형성된 절결로부터 돌출하는 제3 스텝(26)이 설치되고, 이들 제1 스텝(24), 제2 스텝(25), 제3 스텝(26) 및 핸드 홀드부나 핸드 레일부(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오일 저장 탱크(21) 상에 용이하게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22A)의 힌지는, 개폐 덮개(22A)를 개폐시킬 때에, 개폐 덮개(22A)가 오일 저장 탱크(21)의 화장 커버(21B)의 하부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오목부(21A)보다도 전방측]에 설치된다.
수납 케이스(23)는, 오목부(21A) 내에 수용되어 설치되고,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벽(23A), 우측면벽(23D), 좌측면벽(23B)과, 상면벽 및 하면벽에 의해 5면이 폐색되고, 후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면벽(23D)에는, 소경의 개구(23E)가 형성되고, 좌측면벽(23B)에는 2개의 볼트 구멍(23C)과, 2개의 볼트 구멍(23C) 사이에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23F)이 형성된다. 볼트 구멍(23C)에는, 좌측면벽(23B)의 내면에 웰드 너트(28)가 고착된다(도 6 참조). 또한, 수납 케이스(23) 내에는, 우측면벽(23D)의 개구(23E)의 근방과 좌측면벽(23B) 사이에 스테이(30)가 설치된다. 수납 케이스(23) 내에 설치되는 사이드 카메라(32)는, L 자형의 브래킷(31)에 고정되고, 이 브래킷(31)을 사이드 카메라(32)의 촬상 렌즈가 개구(23E)로부터 외부를 면하도록 볼트에 의해 스테이(30)에 고정함으로써 설치된다. 사이드 카메라(32)에 접속된 하니스(33)는, 관통 구멍(23F)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납 케이스(23)는,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1A)에 수용되어 좌측면벽(23B)이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23)는 유틸리티 박스(22)에 고정되었을 때에, 우측면벽(23D)이 오일 저장 탱크(21)의 상측면판(21D)의 우측면판 및 화장 커버(21B)의 측면과 동일면이 되고, 전면벽(23A)이 화장 커버(21B)의 전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도 3의 (a) (b)에 의해, 수납 케이스(23)의 유틸리티 박스(22)로의 고정 구조를 설명한다.
유틸리티 박스(22)의 후단부의 오목부(21A)에 수용되는 부분의 우측벽(22D)에는 2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2E)과, 이 볼트 삽입 관통 구멍(22E, 22E) 간에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22F)이 형성된다. 이 볼트 삽입 관통 구멍(22E)과 관통 구멍(22F)은, 수납 케이스(23)의 좌측면벽(23B)에 형성되는 볼트 구멍(23C)과 관통 구멍(23F)에 대응하고, 그들이 위치 정렬된다. 그리고 유틸리티 박스(22) 내로부터 볼트 삽입 관통 구멍(22E), 볼트 구멍(23C)에 볼트(29)가 삽입 관통되고, 볼트(29)의 나사부가 볼트 구멍(23C)에 설치된 웰드 너트(28)에 체결된다(도 6 참조).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볼트(29)의 헤드부와 우측벽(22D) 사이에는, 와셔(34)가 개재된다.
그리고 사이드 카메라(32)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33)는, 수납 케이스(23)의 좌측면벽(23B)의 관통 구멍(23F)으로부터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의 관통 구멍(22F)을 통과하고, 유틸리티 박스(22) 내로 유도되어, 유틸리티 박스(22) 내에서 사이드 카메라(32)를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 등과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23)의 좌측면벽(23B)의 내측에 고정된 웰드 너트(28)에, 유틸리티 박스(22)의 내측으로부터 볼트(29)를 나사 결합시켜서 체결함으로써,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에 설치한 구성이며,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으로부터 제거할 때는, 유틸리티 박스(22)의 내측으로부터가 아니면 볼트(29)를 늦출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틸리티 박스(22)의 개폐 덮개(22A)는 시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으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수납 케이스(23)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어 카메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카메라(32)는 개폐를 수반하지 않는 수납 케이스(23)에 설치되고, 유틸리티 박스(22)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이드 카메라(32) 자체나 하니스(33)에 특별한 보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도 향상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23)는, 오일 저장 탱크(21)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21A) 내에 수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 돌출하는 부분이 없고, 장해물 등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납 케이스(23)의 전방 또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방에 형성되는 제1 스텝(24)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작업자의 선회체(3)의 상면부 등으로의 승강이 용이해져, 원활한 승하차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23) 앞면벽(23A)을 오일 저장 탱크(21)의 화장 커버(21B)를 따르게 하고, 또한 우측면벽(23D)을 오일 저장 탱크(21)의 상측 면판(21D)의 우측 면판과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렌즈를 향하게 하는 개구(23E)를 그 우측면벽(23D)에 형성했기 때문에, 카메라 시야 범위가 인접하는 오일 저장 탱크(21)등의 구성물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어, 충분한 측방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납 케이스(23)와 유틸리티 박스(22)의 고정을, 웰드 너트(28) 및 볼트(29) 대신에, 설치 핀(35)에 의해 행하는 것이다. 수납 케이스(23)의 좌측면벽(23B)에는, 볼트 구멍(23C) 대신에, 핀 삽입 관통 구멍(23G)이 천공되고,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에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22E) 대신에 핀 삽입 관통 구멍(22G)이 천공된다.
설치 핀(35)은, 원판 형상의 헤드부(35A)와, 이 헤드부(35A)에 수직으로 설치된 축부(35B)와, 축부(35B)의 선단측에 설치된 플래쉬(35C)와, 축부(35B)의 기단부측에 축부(35B)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기부(35D)가 설치된다. 플래쉬(35C)는, 선단측이 뾰족한 웨지형 형상으로 축 대칭인 2군데에 설치되어 있고 , 보통 때는 스프링 등의 가압력에 의해 도 7의 (a)와 같이 직경 확장되어 있지만, 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동일 방향으로 직경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 핀(35)은, 플래쉬(35C) 및 기부(35D)가 수납 케이스(23)의 좌측면벽(23B)의 핀 삽입 관통 구멍(23G)을 삽입 관통하고, 그들이 외부에 돌출한 상태로 헤드부(35A)가 좌측면벽(23B)의 내면에 고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23)를 설치 핀(35)의 플래쉬(35C)와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의 핀 삽입 관통 구멍(22G)을 위치 정렬하고, 설치 핀(35)의 플래쉬(35C)를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의 핀 삽입 관통 구멍(22G)에 압입하고, 도 7의 (b)의 상태로 함으로써, 수납 케이스(23)는 유틸리티 박스(22)에 고정된다. 설치 핀(35)의 플래쉬(35C)를 유틸리티 박스(22)의 핀 삽입 관통 구멍(22G)에 압입할 때, 플래쉬(35C)는, 핀 삽입 관통 구멍(22G)을 통과할 때에 일단 직경 축소 하지만, 핀 삽입 관통 구멍(22G)을 통과하면 스프링 등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다. 이에 의해, 유틸리티 박스(22)의 개폐 덮개(22A)를 여는 일 없이,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의 우측벽(22D)으로부터 제거할 때는, 유틸리티 박스(22)의 개폐 덮개(22A)를 열고, 작업자가 유틸리티 박스(22)의 내부에 손을 넣고, 설치 핀(35)의 플래쉬(35C)를, 화살표 A 방향[도 7의 (a) 참조]에 압박하여 직경 축소시킴으로써 설치 핀(35)의 축부(35B)를 핀 삽입 관통 구멍(22G)으로부터 인발함으로써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에 압박하는 것만으로, 수납 케이스(23)를 유틸리티 박스(22)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실(5)이 차체 프레임(20)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고, 유틸리티 박스(22), 수납 케이스(23)가 전방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운전실을 전방 우측에, 유틸리티 박스, 수납 케이스를 전방 좌측에 설치해도 되고, 그 경우는, 상술한 좌우 관계가 각각 반대로 되어 구성된다.
3 : 선회체
4 : 프론트 작업 장치(작업 장치)
5 : 운전실
20 : 차체 프레임
21 : 오일 저장 탱크
22 : 유틸리티 박스(유틸리티실)
22A : 개폐 덮개
22D : 우측벽
22E : 볼트 삽입 관통 구멍
22F : 관통 구멍
22G : 핀 삽입 관통 구멍
22H : 좌측벽
23 : 수납 케이스
23A : 전면벽
23B : 좌측면벽
23C : 볼트 구멍
23D : 우측면벽
23E : 개구
23F : 관통 구멍
23G : 핀 삽입 관통 구멍
24 : 제1 스텝(스텝)
28 : 웰드 너트(피고정 수단)
29 : 볼트(고정 수단)
32 : 사이드 카메라
33 : 하니스(배선)
35 : 설치 핀(고정 수단)
35C : 플래쉬

Claims (5)

  1. 건설 기계의 선회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우 일측 위치에 설치되는 운전실과,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작업 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운전실과 반대측이 되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우 타측 위치에 설치되는 유틸리티실을 구비한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실은, 우측벽, 좌측벽 및 상부가 개폐 가능하고 또 시정 가능한 개폐 덮개에 의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틸리티실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좌우 타측의 측방을 촬상하는 사이드 카메라와, 이 사이드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유틸리티실의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우측벽 또는 좌측벽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카메라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적어도 좌측면벽, 우측면벽 및 전 면벽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벽 및 우측면벽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를 상기 유틸리티실의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하기 위한 피고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면벽 및 우측면벽의 어느 다른 쪽에는, 상기 사이드 카메라의 촬상 렌즈가 외부에 면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유틸리티실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실은, 상기 우측벽 또는 좌측벽 중, 상기 차체 프레임의 좌우 타측에 위치하는 측벽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좌우 타측의 테두리부보다도 상기 운전실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와 상기 유틸리티실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타측의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운전실측을 향해서 배열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는, 상기 유틸리티실의 후방부에 오일 저장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 저장 탱크의 전방측 하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오일 저장 탱크의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유틸리티실은, 그 후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좌우 타측의 위치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방이고, 또한, 상기 유틸리티실의 측방에 위치하고, 스텝으로서 이용 가능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5. 삭제
KR1020137016935A 2010-11-29 2011-11-28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KR101831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5511 2010-11-29
JP2010265511A JP5600050B2 (ja) 2010-11-29 2010-11-29 建設機械のサイドカメラ取付構造
PCT/JP2011/077336 WO2012073872A1 (ja) 2010-11-29 2011-11-28 建設機械のサイドカメラ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110A KR20140030110A (ko) 2014-03-11
KR101831479B1 true KR101831479B1 (ko) 2018-02-22

Family

ID=4617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935A KR101831479B1 (ko) 2010-11-29 2011-11-28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47772B1 (ko)
JP (1) JP5600050B2 (ko)
KR (1) KR101831479B1 (ko)
CN (1) CN103228848B (ko)
WO (1) WO2012073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9502B (zh) * 2012-03-16 2016-08-10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5949793B2 (ja) * 2014-01-17 2016-07-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204859B2 (ja) * 2014-03-26 2017-09-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102570492B1 (ko) 2015-12-28 2023-08-23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JP6909901B2 (ja) * 2016-02-23 2021-07-28 株式会社フジタ 建設機械用俯瞰画像生成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7029436B2 (ja) * 2017-02-21 2022-03-03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6842392B2 (ja) * 2017-09-08 2021-03-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810085B2 (ja) * 2018-03-28 2021-01-06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6860747B2 (ja) * 2018-06-06 2021-04-2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32A (ja) * 1998-07-31 2000-02-1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上部旋回体の車体カバー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984B2 (ja) * 1994-11-14 2000-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H1037252A (ja) * 1996-07-22 1998-02-1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車両周辺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332028B2 (ja) * 2003-12-25 2009-09-16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表示器制御システム
JP4670488B2 (ja) * 2005-06-03 2011-04-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後方監視装置
JP5020528B2 (ja) * 2006-04-11 2012-09-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監視装置
JP4673269B2 (ja) * 2006-08-30 2011-04-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782714B2 (ja) * 2007-03-19 2011-09-2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監視カメラ盗難防止構造
US7967371B2 (en) * 2007-03-20 2011-06-28 Caterpillar Inc. Machine having camera and mounting strategy therefor
DE202007005756U1 (de) * 2007-04-19 2008-08-28 Wirtgen Gmbh Selbstfahrende Baumaschine
KR100945190B1 (ko) * 2007-10-02 2010-03-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
JP2009113736A (ja) * 2007-11-09 2009-05-28 Sony Corp カメラ取り付け構造、カメラ取り付け方法および車両の外装パネル部品
JP2010043419A (ja) * 2008-08-11 2010-02-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5079738B2 (ja) * 2009-05-15 2012-11-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32A (ja) * 1998-07-31 2000-02-1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上部旋回体の車体カバ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17225A (ja) 2012-06-21
WO2012073872A1 (ja) 2012-06-07
EP2647772A1 (en) 2013-10-09
EP2647772A4 (en) 2018-02-14
EP2647772B1 (en) 2022-01-05
JP5600050B2 (ja) 2014-10-01
CN103228848A (zh) 2013-07-31
KR20140030110A (ko) 2014-03-11
CN103228848B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479B1 (ko) 건설 기계의 사이드 카메라 설치 구조
KR101060836B1 (ko) 건설 기계의 후방 감시 장치
EP2333166B1 (en)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unified vibration absorber and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US20070072063A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40018883A (ko) 건설 기계
US20180223503A1 (en) Working Machine
JP2014047462A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WO2013057869A1 (ja) キャブおよびキャブを備えた建設機械
JP2000064348A (ja) 建設機械
JP4782714B2 (ja) 建設機械の監視カメラ盗難防止構造
JP6988241B2 (ja) 建設機械
JP3608157B2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収納構造
US11773566B2 (en) Cab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JP2014047463A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JP6004455B2 (ja) 建設機械
KR101778827B1 (ko) 건설 기계
JP311959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収納構造
JPH07197488A (ja) 油圧ショベルの外装カバー
JP5546822B2 (ja) 建設機械
KR20040027344A (ko) 유압셔블의 공구수납장치
JP5368415B2 (ja) 建設機械
JP6944436B2 (ja) 建設機械
JP6926039B2 (ja) 建設機械
WO2023228664A1 (ja) 作業車両
JP6860747B2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