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72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72B1
KR101830972B1 KR1020110022646A KR20110022646A KR101830972B1 KR 101830972 B1 KR101830972 B1 KR 101830972B1 KR 1020110022646 A KR1020110022646 A KR 1020110022646A KR 20110022646 A KR20110022646 A KR 20110022646A KR 101830972 B1 KR101830972 B1 KR 10183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ase
shaft
braking
parking brak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984A (ko
Inventor
세이지 노리따
마나부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82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64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8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287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2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55/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F16D55/36Brake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discs all lying side by side
    • F16D55/38Brake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discs all lying side by side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동시키는 제동 기구를 전동 케이스에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전동 케이스(20)의 사이드 클러치축(27)의 한쪽의 축단부에 브레이크 디스크(41)를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디스크(41)를 압박하는 환형상의 작동 부재(42)를 구비하고, 이 작동 부재(42)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41)의 압박 방향을 전동 케이스(20)의 중앙측으로부터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외측 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여, 사이드 클러치축(27)을 지지하는 베어링(38)을 둘러싸는 위치에 작동 부재(42)를 배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 조작 시에는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구를 확실하게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6)로 조작되는 주차 브레이크(40)를 전동 케이스(20)에 구비하고, 주변속 레버(14)의 요동축(60)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에 의해 조작되는 무단 변속 장치(21)를 전동 케이스(20)에 구비하고 있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 시에 지지 축심(Y)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작동 아암(53)의 후단부(53R)로부터의 당김 조작력을 주차 브레이크(40)의 작동 아암(53)으로 전달하는 제동 조작 부재(54)를 구비하고, 작동 아암(53)의 전단부(53F)로부터의 당김 조작력으로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중립 조작 부재(64)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작업차{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주행 장치로 주행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의 전동축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구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와,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주차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제어하여 주행 속도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로부터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조작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업차로서 특허 문헌 1에는 전동 케이스(문헌에서는 미션 케이스)의 전동축(문헌에서는 부변속축)의 축단부에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구비하고, 이것에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작용시키는 캠 디스크를 구비하고, 이 캠 디스크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 아암 등을 구비한 제동 기구(문헌에서는 주차 브레이크)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캠 디스크의 외면에는 이 캠 디스크의 회전 방향에서 깊이가 다른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이 결합 구멍과 브레이크 케이스 사이에 볼이 배치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의 제동 기구는 캠 디스크와 볼로 캠 기구가 구성되어, 조작 아암을 조작함으로써 캠 디스크가 회전하고, 캠 기구의 작용에 의해 캠 디스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끼리를 접촉시켜 전동축에 대해 제동력을 작용시켜, 결과적으로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업차로서 특허 문헌 2 에는 기체의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조절하는 변속 조작구(문헌에서는 주변속 레버)를 구비하고, 제동 조작구(문헌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 혹은 세이프티 페달)를 구비하고, 제동 조작구로 주차 브레이크(문헌에서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동 상태로 조작한 경우에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수단을 구비한 콤바인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서는 중립 복귀 수단이, 변속 조작구의 기단부에 연결하는 캠 플레이트와, 이 캠 플레이트의 캠 구멍의 부위에 배치된 규제 롤러로 구성되어, 주차 조작구로 제동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규제 롤러의 변위에 수반하여 캠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7974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2420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주차 브레이크는 전동축의 축단부에 구비한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캠 디스크로부터 전동축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압력을 작용시키는 구조이므로, 이 캠 디스크와 볼로 구성되는 캠 기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전동 케이스에 확보할 필요가 있어, 이 공간의 치수만큼 돌출되는 구조로 된다.
콤바인을 예로 들면,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부에 구비한 페달이나 레버 등에 의해 제동 조작되는 것이므로,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에 가까운 부위에 주차 브레이크를 배치하여 로드나 와이어 등의 조작계의 소형화, 단순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주차 브레이크가 전동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의 것에서는, 소형의 콤바인과 같이 전동 케이스와 운전부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이 주차 브레이크가 운전부의 측으로 돌출되게 되어, 운전부로서 확보되는 공간을 협소화시키는 경우도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동시키는 제동 기구를 전동 케이스에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 조작을 행하였을 때에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캠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서는, 변속 조작구를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변속 조작구는 어떤 변속 위치라도, 그 변속 위치를 유지하는 마찰식 등의 보유 지지 구조로부터의 보유 지지력이 작용하므로,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보유 지지 구조로부터 작용하는 보유 지지력을 초과하는 힘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비교적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는 캠 구조에서는, 대형화는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것에서는,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또한 중량 증가화를 초래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 조작을 행하였을 때에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전동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와 같이 전동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에서는, 배선이나 스위치류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큰 토크를 얻기 위해 기어식 감속 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하기 쉬워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 조작 시에는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구를 확실하게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주행 장치로 주행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의 전동축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이며,
상기 제동 기구가, 서로 압접함으로써 상기 전동축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압박 방향으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압접시키는 작동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전동축을 상기 전동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둘러싸는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 방향이, 상기 전동축의 중앙측으로부터 이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작동 부재가, 전동축의 중앙측으로부터 외측 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는 압박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압접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에 의해 전동축을 구속하여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또한, 작동 부재가 전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이 작동 부재를 베어링의 외주의 스페이스에 있어서 전동축의 중앙측으로 변위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와 같은 작동 부재의 배치에 의해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동 기구가 축단부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동시키는 제동 기구를 구비한 전동 케이스가 소형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전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이 작동 부재를 상기 압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축을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조작축을 조작함으로써 작동 부재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수반하여 캠 기구가 작동 부재를 전동축의 축심 방향으로 작동시켜, 제동을 실현한다. 또한, 작동 부재가 베어링보다 대경으로 되는 구성이므로,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경우에는, 작은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경우에는, 소경의 것과 비교하여 작동 부재의 외주 부분을 전동축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크게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 부재의 외주 부분을 전동축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크게 이동시키므로, 예를 들어 캠 기구에 캠면을 구비하는 것에서는 캠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캠 기구의 원활한 작동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전동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의 제동 기구의 돌출량이 억제되므로, 운전부의 공간의 협소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축으로부터 좌우의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 구동력을 전달하는 좌우의 전동계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온 상태와, 구동력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슬리브가 상기 축심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클러치 슬리브가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서로 압접하여 좌우의 상기 주행 장치 중 대응하는 것에 제동력을 작동시키는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상기 전동축에 구비되고, 이 좌우의 마찰 디스크보다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상기 베어링이 배치되어, 이 좌우의 베어링의 1개로부터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상기 제동 기구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1 블록과,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2 블록과,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3 블록이 상기 축심을 따라서, 이 순서로 상기 전동 케이스에 지지되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전동 케이스에 대해 제1 블록을 구비하고, 다음에 제2 블록을 구비하고, 다음에 제3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제1 블록과 함께 복수의 마찰 디스크를 전동 케이스에 구비하고, 제2 블록과 함께 베어링을 구비하고, 제3 블록과 함께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동 케이스 전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주행 구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와,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주차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제어하여 주행 속도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 조작구와, 상기 주차 브레이크로부터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조작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이며,
상기 제동 조작구의 조작력을 상기 주차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주차 조작 기구와, 상기 변속 조작구를 상기 변속 영역으로부터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조작 기구가, 상기 제동 조작구의 조작력에 의해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제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 아암과, 이 작동 아암의 제동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에 당김 조작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작동 아암의 일단부측에 연결하는 제동 조작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립 복귀 기구가, 상기 작동 아암의 타단부측에 연결하는 중립 조작 부재로 구성되고, 이 중립 조작 부재는 상기 작동 아암의 제동 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변속 조작구에 중립 방향으로의 복귀력을 당김 조작력으로서 작용시키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동 조작구를 제동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작동 아암이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제동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동 조작 부재로부터의 당김 조작력이 주차 브레이크로 전달되고, 주차 브레이크는 제동 상태에 도달한다. 또한, 작동 아암이 제동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이 작동 아암의 타단부측에 연결하는 중립 조작 부재로부터의 당김 조작력이 변속 조작구로 전달되고, 변속 조작구는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즉,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조작하는 경우에도,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도 당김 조작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이므로, 제동 조작 부재도 중립 조작 부재도 소경의 로드나 와이어로 충분한 것으로 되어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확실한 작동을 실현한다.
그 결과,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 조작 시에는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구를 확실하게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구가 소형 경량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변속 조작구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전진측의 변속 영역으로 조작함으로써 주행 기체의 전진 속도를 증대시키고, 상기 변속 조작구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후진측의 변속 영역으로 조작함으로써 주행 기체의 후진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중립 조작 부재가, 전진측의 변속 영역에 있는 상기 변속 조작구에 중립 방향으로의 복귀력을 작용시키는 제1 중립 조작 부재와, 후진측의 변속 영역에 있는 상기 변속 조작구에 중립 방향으로의 복귀력을 작용시키는 제2 중립 조작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제1 중립 조작 부재와 제2 중립 조작 부재의 2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변속 조작구가 어떤 변속 영역에 있어도,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 조작 시에는 변속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은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동 조작구가,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상태로 하는 제동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이 제동 위치로의 조작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가 상기 운전부에 구비되어도 좋다.
주차 브레이크와 제동 조작구를 단거리로 연결하는 위치에 작동 아암과 제동 조작 부재가 배치되므로, 이들의 소형화가 가능해져, 제동 조작구로 주차 브레이크를 제동 조작한 경우에는 운전부에 구비한 로크 기구에 의해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 케이스가, 좌우의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을 구비하고, 이 전동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하는 온 상태 및 전동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한 좌우의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축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전동축의 축단부에 상기 주차 브레이크가 구비되고,
좌우의 상기 클러치 기구를 동시에 오프 상태로 하는 오프 위치로 조작 가능한 클러치 조작구가 상기 운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동 조작구가 제동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 조작구의 오프 위치로의 조작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구비되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제동 조작구가 제동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클러치 조작구를 오프 위치로 조작할 수 없으므로,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주행 장치에 작용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동 조작구가 제동 위치에 먼저 조작된 상태에서는, 규제 수단이 클러치 조작구의 오프 위치로의 조작을 규제함으로써 무효의 조작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조작구를 조작했을 때에 오프 위치로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제동 조작구가 이미 오프 위치에 있는 것을 감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방부의 측면도.
도 2는 콤바인 전방부의 평면도.
도 3은 전동 케이스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전동 케이스의 하부의 종단 정면도.
도 5는 주차 브레이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부재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로크 상태의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2)의 전단부에 예취부(3)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10)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2)에 대해 예취부(3)로부터 예취 곡물대가 공급되는 탈곡 장치(4)와, 이 탈곡 장치(4)에서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수확 작업 시에 예취부(3)와 탈곡 장치(4)를 구동한 상태에서 주행 기체(2)를 전진시킴으로써, 예취부(3)로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여 곡물대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한 곡물대를 탈곡 장치(4)로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곡립 탱크에 저류하는 작동이 행해진다.
운전부(10)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스텝(11)과,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2)이 구비되는 동시에, 운전 좌석(12)의 전방 위치에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종 레버(13)가 구비되고, 운전 좌석(12)의 측부 위치에 변속 조작구로서의 주변속 레버(14)와, 부변속 레버(15)가 구비되고, 스텝(11)에는 제동 조작구로서의 주차 브레이크 페달(16)과, 클러치 조작구로서의 클러치 페달(17)이 구비되어 있다.
조종 레버(13)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 중립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조종 레버(13)는 좌우로 조작됨으로써 주행 기체(2)의 조향ㆍ선회를 행하고, 전후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예취부(3)의 승강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14)는 무단 변속 장치(21)를 변속 조작함으로써 주행 속도의 무단계의 변속을 행하는 것으로, 주행 기체(2)를 정차시키는 중립 위치(N)와, 이 중립 위치(N)로부터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진 변속 영역(F)과, 중립 위치(N)로부터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진 변속 영역(R)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변속 레버(15)는 부변속 장치(22)(도 3, 도 4를 참조)의 변속 조작을 행한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은, 도 7에 도시하는 비조작 위치로부터 제동 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초과하는 영역까지 스테핑(stepping)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동 위치까지 조작됨으로써 전동 케이스(20)에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40)(도 4, 도 5를 참조)를 제동 상태로 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클러치 페달(17)은, 도 7에 도시하는 비조작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초과하는 영역까지 스테핑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오프 위치까지 조작됨으로써 전동 케이스(20)에 내장된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도 3, 도 4를 참조)를 동시에 오프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2)의 일시적인 정차를 실현한다. 즉, 이 클러치 페달(17)은 스테핑 조작됨으로써 예취부(3)나 탈곡 장치(4)의 구동 상태를 유지한 채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되는 동력만을 차단한다. 따라서, 주행 기체(2)가 두렁가 등에 도달했을 때에 클러치 페달(17)을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되는 동력만을 차단하여 주행 기체(2)를 정차시키고, 이 정차 상태에 있어서 예취부(3)에서의 곡물대의 예취를 계속적으로 행하여, 쓰러진 곡물대 등을 낭비 없이 수확하여 탈곡 장치(4)에 공급하는 형태에서의 작업을 실현한다.
운전 좌석(12)의 하부 위치에는 엔진(5)이 구비되고,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위치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20)(미션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21)가 연결되어 있고, 이 무단 변속 장치(21)로 엔진(5)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계가 형성되고, 이 무단 변속 장치(21)로부터의 구동력은 전동 케이스(20)로 전달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5)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4)로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계가 형성되고, 전동 케이스(20)로부터의 구동력을 예취부(3)로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계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21)는 엔진(5)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액시얼 플런저형의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21P)와, 액시얼 플런저형의 유압 모터(21M)를 구비하고, 이들을 유압 회로로 접속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무단 변속 장치(21)에서는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조절 아암(21A)이 조작됨으로써 각도가 조절되는 가동 경사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엔진(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에 있어서 주변속 레버(14)에 의해 조절 아암(21A)이 조작됨으로써 유압 펌프(21P)의 가동 경사판이 조작되어, 이 가동 경사판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유압 모터(21M)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동 방향과 유량이 조절되어, 유압 모터(21M)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가 무단계로 제어된다. 이에 의해, 주행 기체(2)의 전진과 후진의 전환을 실현하는 동시에 전진과 후진의 어떤 주행에 있어서도 주행 속도의 무단계에 의한 변속이 실현된다.
〔전동 케이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20)에는 상기 부변속 레버(15)의 조작에 의해 변속 조작이 행해지는 부변속 장치(22)와, 상기 조종 레버(13)가 좌우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조작이 행해지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브레이크(25)와, 주차 브레이크(40)를 구비하고, 이 전동 케이스(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1)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3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출력축(31)의 외측 단부에는 스프로킷(3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스프로킷(32)에 대해 크롤러 주행 장치(1)의 크롤러 벨트가 권취된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전동 케이스(20)에는 무단 변속 장치(21)의 유압 모터(21M)의 출력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부변속축(23)과, 이 부변속축(23)에 대해 평행 자세로 되는 제1 중간축(24)이 구비되고, 이들 부변속축(23)과 제1 중간축(24) 사이에 복수의 기어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부변속축(23)과 제1 중간축(24)과 복수의 기어로 부변속 장치(22)가 구성되어 있다. 이 부변속 장치(22)에서는, 부변속축(23)에 구비한 슬리브를 부변속 레버(15)로 조작함으로써 부변속축(23)으로부터 제1 중간축(2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선택되어 3단의 변속이 실현된다.
부변속축(23)의 단부가 전동 케이스(20)의 좌측으로 돌출되고, 이 부변속축(23)의 돌출부에 출력 풀리(7)를 구비하여, 이 출력 풀리(7)로부터 예취부(3)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벨트 전동계를 구비함으로써 예취부(3)에 대해 주행 기체(2)의 주행 속도에 동기한 속도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제1 중간축(24)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센터 기어(26)와 일체 회전하는 전동축으로서의 사이드 클러치축(27)이 전동 케이스(20)에 지지되어 있다. 이 사이드 클러치축(27)에는 센터 기어(26)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클러치 슬리브(28)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 브레이크(25)는 이 좌우의 클러치 슬리브(28)의 작동에 의해 오프 상태(차단 상태) 또는 온 상태(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와, 좌우의 클러치 슬리브(28)의 작동에 의해 제동력이 제어되는 좌우의 브레이크 기구(25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클러치 슬리브(28)에는 출력 기어(28G)가 구비되고, 사이드 클러치축(27)과 평행 자세의 제2 중간축(29)이 전동 케이스(20)에 구비되고, 출력 기어(28G)로부터의 구동력을 출력축(31)으로 전달하는 중간 기어 기구(30)가 제2 중간축(29)과 출력축(3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좌우의 클러치 슬리브(28)의 작동으로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를 단속(차단 또는 전동)함으로써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클러치 기구(25C)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 클러치 슬리브(28)를 더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기구(25B)로부터의 제동력을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러치 기구(25C)는 클러치 슬리브(28)의 내측 단부측[전동 케이스(20)의 중앙측]에 형성한 이부와, 센터 기어(26)의 양측부에 형성된 이부를 구비하여 도그 클러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외측 단부에는 클러치 슬리브(28)의 내측 단부측을 센터 기어(26)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클러치 스프링(34)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센터 기어(26)의 이부에 클러치 슬리브(28)의 이부가 맞물리는 상태에서 클러치 기구(25C)가 온 상태(전동 상태)로 되고, 센터 기어(26)의 구동력이 중간 기어 기구(30) 등을 통해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된다. 이 클러치 기구(25C)의 온 상태는 클러치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클러치 슬리브(28)가 클러치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센터 기어(2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센터 기어(26)의 이부와 클러치 슬리브(28)의 이부가 이격되는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클러치 기구(25C)가 오프 상태(차단 상태)로 되어 크롤러 주행 장치(1)로의 구동력이 차단된다.
브레이크 기구(25B)는 클러치 슬리브(28)의 외측 단부측[전동 케이스(20)의 외벽측]에 있어서, 이 클러치 슬리브(28)에 지지되는 것과 전동 케이스(20)에 지지되는 것을 교대로 배치한 복수의 마찰 디스크(35)를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마찰 디스크(35)를 압접시키는 압박 부재(3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클러치 슬리브(28)가 센터 기어(26)의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상태[클러치 기구(25C)가 온 상태]에서는 복수의 마찰 디스크(35)는 압접하는 일 없이 비제동 상태에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클러치 슬리브(28)가 클러치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시프트한 경우에는, 클러치 기구(25C)가 오프 상태에 도달한 후에, 복수의 마찰 디스크(35)가 압접하는 상태에 도달하고,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도달한다.
좌우의 클러치 슬리브(28)는 전동 케이스(20)에 구비된 좌우의 시프터(37)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이 좌우의 시프터(37)는 전동 케이스(20)의 외면에 구비한 좌우의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독립되어 조작된다. 즉, 조종 레버(13)의 좌우 방향으로의 조작에 연계하여 조작되는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이 제어 밸브로부터의 작동유를 유압 실린더에 공급하는 유로계(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어, 제어 밸브에 대해 엔진(5)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예를 들어 조종 레버(13)를 중립 자세로부터 좌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조작의 초기에는 클러치 슬리브(28)의 작동에 의해 좌측의 클러치 기구(25C)의 오프 작동이 행해져, 좌측의 지면을 중심으로 하는 완선회가 실현된다. 이 상태에서 조종 레버(13)를 크게 좌측으로 조작한 경우에, 클러치 슬리브(28)가 더 작동함으로써 좌측의 브레이크 기구(25B)의 제동력을 좌측의 크롤러 벨트에 작용시키므로 좌측의 크롤러 벨트의 접지면을 중심으로 하는 신지 선회가 실현된다. 또한, 조종 레버(13)를 우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작동 방향이 반대로 되는 것이지만 동일한 선회가 실현된다.
〔전동 케이스ㆍ주차 브레이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축(27)(전동축의 일례)의 양단부는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3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전동 케이스(20)에 지지되어 있고, 이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축심(X)과 동축심 상에서, 이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우측 단부측에 주차 브레이크(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주차 브레이크(40)는 사이드 클러치축(27)을 구속함으로써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주차 브레이크(40)는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우측의 축단부에 있어서 사이드 클러치축(27)에 지지되는 것과 전동 케이스(20)에 지지되는 것을 교대로 배치한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41)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41)를 압접시키도록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중앙측[전동 케이스(20)의 중앙측과 일치함]으로부터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외측 단부측을 향하는 압박 방향으로 작동 가능한 환형상의 작동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작동 부재(42)는 전동 케이스(20)[후술하는 제2 블록(20B2)]에 대해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환형상 홈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작동 부재(42)를,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전동 케이스(20)[후술하는 제3 블록(20B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작축(43)이 지지되어, 작동 부재(42)가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했을 때에 작동 부재(42)를 압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 기구(44)가 전동 케이스(20)에 구비되어 있다. 이 작동 부재(42)와 캠 기구(44)로 주차 브레이크(40)의 제동 기구가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43)의 내측 단부에는 그 일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되는 조작면(43A)이 형성되고, 작동 부재(42)의 외주에는 조작면(43A)이 접촉하는 오목 형상의 접촉면(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부터, 조작축(43)이 회전 작동한 경우에는 조작면(43A)으로부터의 조작력을 작동 부재(42)의 접촉면(42A)으로 전달하고, 작동 부재(42)를, 축심(X)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조작축(43)의 외측 단부에는 조작축(43)으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된 조작 아암(45)이 연결되어 있고, 이 조작 아암(45)의 선단과 전술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 사이에 조작 구조가 구비된다(조작 구조의 상세는 후술함).
또한, 전동 케이스(20)의 우측에 주차 브레이크(40)가 배치되고, 이 주차 브레이크(40)의 우측에 근접하는 위치에 운전부(10)가 배치되므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력을 주차 브레이크(40)로 전달하는 조작 구조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이 콤바인에서는, 주차 브레이크(40)의 외면에 대해 우측의 크롤러 벨트가 접근하는 위치 관계로 되지만, 주차 브레이크(40)의 소형화에 의해 돌출량이 억제되어, 크롤러 벨트와 주차 브레이크(40)의 간격을 확보하면서 콤바인 전체의 소형화도 실현한다.
캠 기구(44)는 전동 케이스(20)[후술하는 제2 블록(20B2)]에 보유 지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복수의 볼(44A)과, 작동 부재(42)에 형성된 캠 홈(4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 아암(45)의 조작 단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의 조작에 수반하여 조작축(43)이 회전한 경우에는, 이 조작축(43)으로부터의 조작력에 의해 작동 부재(42)가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회전 시에 작동 부재(42)를 압박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캠 홈(44B)은 이 회전 방향의 하측을 얕게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차 브레이크(40)는 작동 부재(42)를, 주차 브레이크(40)가 배치된 측의 베어링(38)을 둘러싸는 위치, 즉 축심(X)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 베어링(38)과 작동 부재(42)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한 배치상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부터 축심(X)의 방향에서의 주차 브레이크(40)의 소형화를 실현하여, 이 주차 브레이크(40)가 운전부(10)의 방향으로의 돌출량을 저감시키고 있다.
사이드 클러치축(27)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마찰 디스크(35) 중 전동 케이스(20)에 지지되는 것은, 전동 케이스(20)의 본체에 연결되는 제1 블록(20B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블록(20B1)보다 외측에는 베어링(38)을 지지하는 제2 블록(20B2)이 배치된다.
특히, 전동 케이스(20)의 우측에서는 제2 블록(20B2)보다 외측에 제3 블록(20B3)이 배치되고, 이것에 주차 브레이크(40)의 브레이크 디스크(41)와 조작축(43)이 지지되고, 이 제3 블록(20B3)과 제2 블록(20B2)에 끼워지는 위치에 작동 부재(42)가 배치되고, 조작축(43)은 제3 블록(20B3)의 상부의 전방측 근처 개소에 지지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40)가 배치된 부위에서는, 제1 블록(20B1)과 제2 블록(20B2)과 제3 블록(20B3)을 축심(X)을 따라서 겹치고, 이들이 복수의 볼트(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과는 반대측의 부위에서는, 제1 블록(20B1)과 제2 블록(20B2)을 축심(X)을 따라서 겹치고, 이들이 복수의 볼트(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축(27)의 단부에 있어서 마찰 디스크(35)를 지지하는 제1 블록(20B1)과, 베어링(38)을 지지하는 제2 블록(20B2)을 전동 케이스(20)의 본체의 양측부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이드 클러치 브레이크(25)의 브레이크 기구(25B)를 조립할 때에는, 클러치 슬리브(28)와 제1 블록(20B1) 사이에 복수의 마찰 디스크(35)를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전동 케이스(20)의 본체에 조립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베어링(38)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2 블록(20B2)에 베어링(38)을 지지한 상태에서, 베어링(38)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제2 블록(20B2)을 제1 블록(20B1)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40)의 브레이크 디스크(41) 및 조작축(43)을 지지하는 제3 블록(20B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주차 브레이크(40)를 조립할 때에는, 제2 블록(20B2)의 외면측에 캠 기구(44)와 작동 부재(42)를 끼워 넣는 형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41)를 지지한 제3 블록(20B3)을 제2 블록(20B2)에 겹치도록 배치하여, 이들의 위치 관계나 제1 블록(20B1)이나 제2 블록(20B2)의 내부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조립 부착을 행하여, 볼트(48)로 연결 고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블록(20B1), 제2 블록(20B2), 제3 블록(20B3)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으므로, 메인터넌스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등의 조작 구조〕
이 콤바인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제동 위치까지 스테핑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40)를 제동 상태로 조작하는 기계식 주차 조작 기구와,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되었을 때에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키는 기계식 중립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11)의 하면측에 연결된 브래킷에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5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축(51)에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페달 아암(16A)이 연결되고, 이 페달 아암(16A) 중 지지축(51)보다 후단부측에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비조작 위치로 복귀시키는 압박력을 얻는 복귀 스프링(52)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자세(전후 방향으로 긴 치수로 됨)의 작동 아암(53)의 중앙부가 지지축(51)에 연결되고, 이 작동 아암(53)의 후단부(53R)[작동 아암(53)의 일단부측]와, 주차 브레이크(40)의 조작 아암(45)이 로드 형상의 제동 조작 부재(54)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축(51)과 작동 아암(53)과 제동 조작 부재(54)로 주차 조작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스텝(11)의 전방부 위치에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제동 위치를 초과하는 영역까지 스테핑된 경우에, 이 스테핑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구는 횡방향 자세의 축체(55)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 플레이트(56)와, 로크 플레이트(56)에 연결하는 로크 조작 아암(57)과, 로크 플레이트(56)를 해제 방향으로 압박하는 해제 스프링(58)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56)에는 결합 오목부(56A)가 형성되고, 이 결합 오목부(56A)에 결합 분리 가능한 로크 핀(16P)이 페달 아암(16A)의 상부 위치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는 결합 오목부(56A)를 가진 로크 플레이트(56)와, 로크 조작 아암(57)과, 로크 핀(16P)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작업자가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하는 경우에는, 페달 아암(16A)과, 지지축(51)과, 작동 아암(53)이 지지 축심(Y)을 중심으로 제동 방향(도 7, 도 9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제동 조작 부재(54)로부터의 당김 조작력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40)의 조작 아암(45)을 조작하여 제동 상태를 현출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한 상태에서 로크 조작 아암(57)을 당김 조작하고,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스테핑을 해제함으로써 로크 플레이트(56)의 결합 오목부(56A)에 로크 핀(16P)이 결합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비조작 위치로 복귀시키는 변위가 저지되어, 주차 브레이크(40)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상태가 유지된다. 주차 브레이크(40)에 의한 제동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로크 조작 아암(57)의 조작에 의해 결합 오목부(56A)를 로크 핀(16P)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복귀 스프링(52)의 압박력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비조작 위치까지 복귀되어, 제동력도 해제된다.
운전 좌석(12)의 횡측의 사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전동 케이스(20)의 상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에 요동축(60)이 연결되어 있다. 횡방향 자세의 요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요동 플레이트(61)에 주변속 레버(14)의 기단부가 연결되고, 이 요동 플레이트(61)와 무단 변속 장치(21)의 조절 아암(21A)이 조속(調速) 로드(62)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작동 아암(53)의 전단부(53F)[작동 아암(53)의 타단부측]에는 수평 자세의 결합 핀(63)이 설치되고, 이 결합 핀(63)과 요동 플레이트(61)의 후방부측 사이에 제1 중립 조작 부재(64A)가 구비되고, 결합 핀(63)과 요동 플레이트(61)의 전방부측 사이에 제2 중립 조작 부재(64B)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중립 조작 부재(64A)와 제2 중립 조작 부재(64B)는 작동 아암(53)이 제동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주변속 레버(14)에 대해 당김 조작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중립 방향으로 복귀력을 작용시키는 중립 조작 부재(64)의 일례이고, 하단부에는 결합 핀(63)이 삽입 관통하는 긴 구멍(64H)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 아암(53)과 중립 조작 부재(64)[제1 중립 조작 부재(64A)ㆍ제2 중립 조작 부재(64B)]로 중립 복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40)가 스테핑 조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52)의 압박력에 의해 작동 아암(53)의 전단부(53F)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으므로, 주변속 레버(14)로 변속 조작이 행해질 때에도 제1 중립 조작 부재(64A)와 제2 중립 조작 부재(64B)의 긴 구멍(64H)의 단부가 결합 핀(63)에 접촉하지 않고, 주변속 레버(14)에 의한 변속 조작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 조작된 경우에는, 작동 아암(53)이 지지 축심(Y)을 중심으로 하여 제동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작동 아암(53)의 전단부(53F)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결합 핀(63)도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14)가 전진 변속 영역(F) 혹은 후진 변속 영역(R)에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 핀(63)이 제1 중립 조작 부재(64A)와 제2 중립 조작 부재(64B)의 긴 구멍(64H)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 테두리에 접촉하고,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N)의 방향으로 요동시켜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킨다.
이 중립 복귀 기구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 조작한 경우에, 주차 브레이크(40)가 제동 상태에 도달하는 타이밍 이전에 주변속 레버(14)가 중립 위치(N)로 복귀되도록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페달(17)은 하측에 푸시 로드(66)와, 조작 플레이트(67)가 연결되어 있고, 조작 플레이트(67)의 하측에 클러치 밸브(68)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67)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이고, 상단부측이 되는 한쪽의 면에 푸시 로드(66)가 연결되고, 하측이 되는 다른 쪽의 면의 하측에 전술한 클러치 밸브(68)와, 규제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이 규제 수단은 클러치 페달(17)이 오프 위치(도시하지 않음)까지 스테핑 조작된 상태에서의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제동측으로의 스테핑 조작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클러치 밸브(68)는 상면에 조작편(68A)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조작편(68A)이 하방으로 압박 조작된 경우에, 좌우의 시프터(37)를 작동시키는 좌우의 유압 실린더에 대해 동시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클러치 페달(17)이 오프 위치까지 스테핑 조작된 경우에는, 좌우의 클러치 슬리브(28)를 작동시켜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가 오프 상태에 도달한다.
규제 수단은 전후 방향 자세의 축부(69)와, 이 축부(69)에 의해 중간 위치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규제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규제 부재(70)는 굴곡 성형된 막대 형상재를 사용함으로써 일단부측에 조작 단부(70A)가 형성되고, 타단부측에 규제 단부(70B)가 형성되고, 클러치 페달(17)이 스테핑 조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단부(70A)와 규제 단부(70B)가 대략 동등한 레벨로 유지된다. 또한, 이 규제 부재(70)의 조작 단부(70A)가 조작 플레이트(67)의 하측에 배치되고, 규제 단부(70B)가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페달 아암(16A)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로부터, 클러치 페달(17)이 스테핑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 플레이트(67)의 하면이 조작 단부(70A)에 접촉하여 압하력을 작용시키므로 규제 부재(70)가 축부(69)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여 규제 단부(70B)가 상방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이 규제 단부(70B)가 하방측에 있는 위치를 비규제 위치라고 칭하고, 규제 단부(70B)가 상방측에 있는 위치를 규제 위치라고 칭한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 조작되었을 때에 페달 아암(16A)(제동 조작구에 연결하는 부재의 일례)이 작동하는 영역을 작동 경로로서 포착하면, 규제 부재(70)의 규제 단부(70B)가 비규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 경로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고, 규제 단부(70B)가 규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 경로에 들어가도록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페달 아암(16A)의 하단부 부분에는 규제 단부(70B)에 접촉하는 접촉편(16B)이 형성되고, 이 접촉편(16B)이 규제 위치의 규제 단부(70B)와 접촉하는 위치 관계로 된다. 또한, 규제 부재(70)가,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접촉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규제 수단의 구성으로부터,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먼저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서, 이후에 클러치 페달(17)을 스테핑 조작한 경우에는, 페달 아암(16A)의 접촉편(16B)에 규제 부재(70)의 규제 단부(70B)가 접촉함으로써, 클러치 페달(17)의 스테핑이 규제되어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가 오프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는 없다. 이것과는 반대로, 클러치 페달(17)을 먼저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서, 이후에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 조작한 경우에는, 규제 부재(70)의 규제 단부(70B)에 페달 아암(16A)의 접촉편(16B)에 접촉함으로써, 클러치 페달(17)의 스테핑 조작이 규제되어 주차 브레이크(40)가 제동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는 없다.
특히, 규제 부재(70)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력을 클러치 페달(17)로 전달하는 동시에, 이것과는 반대로 클러치 페달(17)의 조작력을 주차 브레이크 페달(16)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왼발로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17)을 오른발로 스테핑 조작한 경우나, 클러치 페달(17)을 오른발로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왼발로 스테핑 조작한 경우에는, 한쪽의 페달의 조작력이 다른 쪽의 페달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운전자는 좌우의 발에 페달로부터 전달되는 감촉으로부터 부적절한 조작이 행해진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주차 브레이크 등의 작동 형태〕
이들 구성으로부터,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 조작된 경우에는, 이 조작력에 의해 작동 아암(53)이 제동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작동 아암(53)의 후단부(53R)가 들어 올려져, 제동 조작 부재(54)의 당김 조작력이 주차 브레이크(40)의 조작 아암(45)으로 전달된다. 이 당김 조작력에 의해 조작축(43)이 회전하고, 작동 부재(42)가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캠 기구(44)가 작동 부재(42)를 압박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 결과,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41)가 압접 상태에 도달하여, 이 주차 브레이크(40)로부터의 제동력이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로크 플레이트(56)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로크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제동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 조작할 때에 주변속 레버(14)가 전진 변속 영역(F)과 후진 변속 영역(R) 중 어느 하나의 변속 영역으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 아암(53)의 전단부(53F)가 하강하는 것에 따라 주변속 레버(14)의 요동 플레이트(61)에 대해 제1 중립 조작 부재(64A)와 제2 중립 조작 부재(64B)의 어느 하나로부터 당김 조작력이 작용하여, 요동 플레이트(61)를, 요동축(60)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키고,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N)로 복귀시켜 주행 기체(2)를 정차시킨다.
또한, 수확 작업 시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17)을 스테핑 조작한 경우에는, 예취부(3)와 탈곡 장치(4)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주행 기체(2)를 정차시켜, 곡물대의 낭비가 없는 예취를 실현하게 되고, 이와 같이 클러치 페달(17)을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 조작하는 경우가 있어도, 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이 규제되어, 주차 브레이크(40)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는 문제는 해소된다.
또한, 주차 시에는 엔진(5)이 정지 상태에 있으므로, 시프터(37)를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에는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고, 클러치 슬리브(28)는 클러치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중앙측의 이동 단부에 도달하고,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는 온 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40)의 제동력을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차 브레이크 등의 조작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
(1) 전동 케이스(20)에 기어식 전후진 전환 기구를 구비하여, 무단 변속 장치로서 주행 속도의 무단계의 변속만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에서는, 주변속 레버(14)가 중립 위치(N)와 변속 영역 사이에서 조작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것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 조작된 경우에는, 변속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키도록 단일의 중립 조작 부재(64)를 구비하면 된다. 또한, 중립 조작 부재(64)는 당김 조작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므로, 이것을 와이어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동 조작 부재(54)도 당김 조작력을 작용시키는 와이어로 구성해도 좋다.
(2)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로크 조작 아암(57)의 수동 조작에 의해 로크 상태로 이행하여,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스테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스테핑 조작 시에 자동적으로 로크 상태에 도달하도록 로크 기구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수동 조작 등에 의해 로크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3) 또한, 클러치 페달(17)이 스테핑 조작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스테핑 조작을 확실하게 규제하도록, 예를 들어 클러치 페달(17)을 스테핑 조작한 경우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규제 부재(70)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출퇴하는 규제 부재(70)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6)로부터 조작력이 출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력이 클러치 페달(17)로 전달되지 않아, 확실한 규제를 실현한다.
〔실시 형태의 작용ㆍ효과〕
주차 브레이크(40)에서는 작동 부재(42)가 베어링(38)을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어 작동 부재(42)를 브레이크 디스크(41)보다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의 것과 비교하여 외측으로의 돌출량의 저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동 케이스(20)가 운전부(10)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라도, 주차 브레이크(40)가 운전부(10)의 방향으로 나오는 문제를 억제하고, 크롤러 벨트에 접촉하는 문제도 억제한다.
또한, 작동 부재(42)가 베어링(38)보다 대경이므로,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 부재(42)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작은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경우에도 작동 부재(42)의 외주 부분을 필요로 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캠 기구(44)에 있어서의 캠 홈(44B)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원활한 작동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전동 케이스(20)의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브레이크(25)를 조립할 때에는, 제1 블록(20B1)과 제2 블록(20B2)을 겹치는 상태에서 시각에 의해 복수의 마찰 디스크(35)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40)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제1 블록(20B1)과 제2 블록(20B2)을 겹치는 상태에서, 제3 블록(20B3)을 더 겹치게 되므로, 브레이크 디스크(41) 및 조작축(43)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조립 부착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1 블록(20B1), 제2 블록(20B2), 제3 블록(20B3)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으므로, 메인터넌스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된 경우에는, 이 조작력이 작동 아암(53)의 후단부(53R)의 상승에 의해 제동 조작 부재(54)를 끌어올리고, 당김 조작력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40)가 조작되는 구성이므로, 제동 조작 부재(54)에 소경의 로드나 와이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주변속 레버(14)가 전진 변속 영역(F)과 후진 변속 영역(R) 중 어느 하나의 변속 영역으로 조작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된 경우에는 작동 아암(53)의 전단부(53F)의 하강에 의해 제1 중립 조작 부재(64A)와 제2 중립 조작 부재(64B)의 어느 하나로부터의 당김 조작력이 요동 플레이트(61)에 작용하여 주변속 레버(14)를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킨다. 이 구성에서는 당김 조작력에 의해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키는 구성이므로 중립 조작 부재(64)에 소경의 로드나 와이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곡물대의 낭비가 없는 예취를 행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17)을 스테핑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이 스테핑되는 경우가 있어도, 규제 부재(70)가 주차 브레이크(40)의 제동 위치로의 조작을 규제 부재(70)에 의해 규제하므로, 주차 브레이크 페달(16)을 오조작한 것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 브레이크(40)를 불필요하게 주차 상태로 유지하는 문제도 해소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a) 주차 브레이크(40)를 사이드 클러치축(27) 이외에,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변속축(23)(전동축의 일례), 혹은 제1 중간축(24)(전동축의 일례)의 축단부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축단부에 주차 브레이크(4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둘러싸는 위치에 작동 부재(42)를 배치함으로써, 이 주차 브레이크(40) 전체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b) 주차 브레이크(40)를 구비하는 전동축으로서, 좌우의 클러치 기구(25C)만을 구비한 축, 혹은 좌우의 브레이크 기구(25B)만을 구비한 축의 축단부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축단부에 주차 브레이크(40)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그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둘러싸는 위치에 작동 부재(42)를 배치함으로써, 이 주차 브레이크(40)의 전체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c) 캠 기구(44)로서 볼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작동 부재(42)와 전동 케이스(20) 중 어느 하나의 면, 혹은 양쪽의 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서는 적은 부품 개수로 캠 기구(44)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캠 기구(44)로서 볼(44A)을 작동 부재(42)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전동 케이스(20)에 대해 캠 홈(44B)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한 차량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1 : 주행 장치
2 : 주행 기체
10 : 운전부
14 : 변속 조작구(주변속 레버)
16 : 제동 조작구(주차 브레이크 페달)
17 : 클러치 조작구(클러치 페달)
20 : 전동 케이스
20B1 : 제1 블록
20B2 : 제2 블록
20B3 : 제3 블록
21 : 무단 변속 장치
25C : 클러치 기구
27 : 전동축(사이드 클러치 축)
28 : 클러치 슬리브
35 : 마찰 디스크
38 : 베어링
40 : 주차 브레이크
41 : 브레이크 디스크
42 : 작동 부재
43 : 조작축
44 : 캠 기구
53 : 작동 아암
54 : 제동 조작 부재
64 : 중립 조작 부재
64A : 제1 중립 조작 부재
64B : 제2 중립 조작 부재
F : 전진측의 변속 영역(전진 변속 영역)
R : 후진측의 변속 영역(후진 변속 영역)
N : 중립 위치
X : 축심
Y : 축심(지지 축심)

Claims (21)

  1. 주행 장치로 주행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의 전동축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주행 장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이며,
    상기 제동 기구가, 서로 압접함으로써 상기 전동축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압박 방향으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압접시키는 작동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전동축으로부터 좌우의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 구동력을 전달하는 좌우의 전동계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온 상태와, 구동력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슬리브가 상기 전동축의 축심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클러치 슬리브가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서로 압접하여 좌우의 상기 주행 장치 중 대응하는 것에 제동력을 작동시키는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상기 전동축에 구비되고, 이 좌우의 마찰 디스크보다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베어링이 배치되어, 이 좌우의 베어링의 1개로부터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상기 제동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전동축을 상기 전동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둘러싸는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 방향이, 상기 전동축의 중앙측으로부터 이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마찰 디스크보다도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된 베어링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작동 부재를 내장하는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좌우의 상기 마찰 디스크보다도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에 배치된 베어링을 내장하고 있는 부위의 전동 케이스 부분의 외측 단부측에,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내장하고 지지하는 덮개형 부재가 배치되고, 이 덮개형 부재의 내면측에, 상기 전동축의 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압박되는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한 반력 수용면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형 부재에는, 이 덮개형 부재의 외면측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보다도 상기 전동축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상기 작동 부재에 걸쳐 조작축이 장비되고, 이 조작축의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작동 부재의 압박 작동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상기 반력 수용면측으로 압박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전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이 작동 부재를 상기 압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축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 캠 홈과 그 캠 홈에 대하여 결합 분리되는 볼과의 결합 개소가 구비된 것이고,
    상기 작동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위치의 상기 캠 홈과 상기 볼의 결합 개소끼리의 상기 소정 간격 내에,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조작축의 결합부가 배치되고, 또한 그 결합부와, 상기 캠 홈과 상기 볼의 결합 개소는, 환형상의 상기 작동 부재의 직경 방향 폭 내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1 블록과,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2 블록과,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3 블록이 상기 축심을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전동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이 작동 부재를 상기 압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축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 캠 홈과 그 캠 홈에 대하여 결합 분리되는 볼과의 결합 개소가 구비된 것이고,
    상기 작동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는 위치의 상기 캠 홈과 상기 볼의 결합 개소끼리의 상기 소정 간격 내에,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조작축의 결합부가 배치되고, 또한 그 결합부와, 상기 캠 홈과 상기 볼의 결합 개소는, 환형상의 상기 작동 부재의 직경 방향 폭 내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1 블록과,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2 블록과,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3 블록이 상기 축심을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1 블록과,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2 블록과,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3 블록이 상기 축심을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마찰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1 블록과,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2 블록과,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지지되는 제3 블록이 상기 축심을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로 주행하는 주행 기체에 대해 운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 중 운전부를 향하는 외면에 상기 제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KR1020110022646A 2010-09-16 2011-03-15 작업차 KR101830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8280 2010-09-16
JPJP-P-2010-208279 2010-09-16
JP2010208279A JP5486444B2 (ja) 2010-09-16 2010-09-16 作業車
JP2010208280A JP5432871B2 (ja) 2010-09-16 2010-09-16 作業車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057A Division KR101877199B1 (ko) 2010-09-16 2018-02-12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84A KR20120029984A (ko) 2012-03-27
KR101830972B1 true KR101830972B1 (ko) 2018-02-21

Family

ID=461342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646A KR101830972B1 (ko) 2010-09-16 2011-03-15 작업차
KR1020180017057A KR101877199B1 (ko) 2010-09-16 2018-02-12 작업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057A KR101877199B1 (ko) 2010-09-16 2018-02-12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30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136A (ja) 2002-06-21 2004-01-29 Iseki & Co Ltd 走行車等の駐車ブレーキ装置
JP2006199212A (ja) * 2005-01-21 2006-08-03 Yanmar Co Ltd 農作業機のブレーキ装置
JP2006207666A (ja) 2005-01-26 2006-08-10 Kaaz Corp ブレーキ付きク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183Y2 (ko) * 1986-08-08 1992-11-26
JPH04140573A (ja) * 1990-09-28 1992-05-14 Kubota Corp 作業車
JPH07111817A (ja) * 1993-10-20 1995-05-02 Seirei Ind Co Ltd 移動農機の登坂安全走行装置
JP5034681B2 (ja) * 2007-05-30 2012-09-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136A (ja) 2002-06-21 2004-01-29 Iseki & Co Ltd 走行車等の駐車ブレーキ装置
JP2006199212A (ja) * 2005-01-21 2006-08-03 Yanmar Co Ltd 農作業機のブレーキ装置
JP2006207666A (ja) 2005-01-26 2006-08-10 Kaaz Corp ブレーキ付きク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84A (ko) 2012-03-27
KR20180021029A (ko) 2018-02-28
KR101877199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832B1 (ko) 작업차의 속도 유지 구조
JP5486444B2 (ja) 作業車
WO2009110280A1 (ja) 乗用型田植機
JP5432871B2 (ja) 作業車
JP2012064152A (ja) 作業車
US9885416B2 (en) Transmission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machine, of the type that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rimary motor shaft and the wheels of said machine
KR101877199B1 (ko) 작업차
JP2005119466A (ja) 作業車両の走行変速装置
JP4828972B2 (ja) 作業車両の前後進切換制御装置
JP4423163B2 (ja) コンバイン
JP3847176B2 (ja) 作業車の走行用伝動装置
JP5436278B2 (ja) 作業車両
JP4404744B2 (ja) コンバイン
JP4474793B2 (ja) 走行装置
JP5275964B2 (ja) 草刈機の刈刃クラッチ
JP2002302022A (ja) クローラトラクタのブレーキ装置
JP3635852B2 (ja) 苗移植機
JP4386276B2 (ja) 摩擦式のレバー保持構造
JP4245544B2 (ja) コンバイン
JP3464970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装置
JP5781390B2 (ja) 油圧式無段変速機構を有する作業用車両
JP2003200747A (ja) 変速操作装置
JP2561395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走行操作装置
JP3672485B2 (ja) 作業車の走行操作装置
JP2002096753A (ja) 作業車の走行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