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53B1 -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53B1
KR101825453B1 KR1020167002708A KR20167002708A KR101825453B1 KR 101825453 B1 KR101825453 B1 KR 101825453B1 KR 1020167002708 A KR1020167002708 A KR 1020167002708A KR 20167002708 A KR20167002708 A KR 20167002708A KR 101825453 B1 KR101825453 B1 KR 10182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adhesive
hot
polyester resin
acid residue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135A (ko
Inventor
데루 사카키바라
고지 마에다
유스케 누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다가 알코올 잔기를 구비한다. 상기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50∼8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 잔기가, 프로필렌글리콜 잔기를 5∼6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POLYESTER RESIN, HOT MELT ADHESIVE, AND HOT MELT ADHESIVE SOLUTION}
본 발명은, 핫멜트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제, 및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 용액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제는, 예를 들면, 필름, 천, 종이 등의 기재(基材)의 표면 상에, 히트 실링(heat sealing)용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거나, 열전사 라벨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제가, 예를 들면, 용융되고 나서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되고, 또한 이것이 냉각됨으로써, 기재 상에 핫멜트 접착제의 고화물(固化物)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층이 형성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고온 가열을 위한 설비와 고온의 핫멜트 접착제를 냉각시키기 위한 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핫멜트 접착제를 용제에 분산시켜 얻어지는 핫멜트 접착제 용액이라면, 전술한 바와 같은 설비는 불필요하므로, 도포를 위한 설비의 간략화가 가능하며, 또한 도포 공정의 효율화도 가능하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조제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상온하에서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응집하거나, 핫멜트 접착제 용액이 겔화하기 쉬워,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보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핫멜트 접착제로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의 점착성은, 상온 하에서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하에서의 점착성이 낮은 것과 용제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높은 것을 양립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 용액은, 아직도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일본특표 2004-518007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 및 겔화가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상온하에서의 점착성이 낮은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핫멜트 접착제 용액, 이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다가 알코올 잔기를 구비하는 핫멜트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상기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50∼8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 잔기가, 프로필렌글리콜 잔기를 5∼6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는,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2개의 에스테르 결합 사이에 개재되는, 탄소수 4∼10의 직쇄 골격을 구비한다.
제3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아디프산 잔기, 세바스산 잔기, 및 도데칸 이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한다.
제4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테레프탈산 잔기 및 이소프탈산 잔기 중 적어도 한쪽의 기를 더 함유한다.
제5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잔기가, 2개의 에스테르 결합 사이에 개재되는, 탄소수 2∼6의 직쇄 골격을 구비하는 디알코올 잔기를 더 함유한다.
제6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5 태양에 있어서, 상기 디알코올 잔기가, 에틸렌글리콜 잔기, 1,4-부탄디올 잔기, 및 1,6-헥산디올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한다.
제7 태양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8 태양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용액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를 배합하여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조제할 수 있고, 이 핫멜트 접착제 용액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 및 겔화가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이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사용하여 상온 하에서의 점착성이 낮은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용액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를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다가 알코올 잔기를 구비한다.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50∼8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한다. 다가 알코올 잔기는, 프로필렌글리콜 잔기를 5∼6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핫멜트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한 조성을 가지므로,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제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매우 높아진다. 그러므로, 상온 하에서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응집하거나, 핫멜트 접착제 용액이 응집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보존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한 조성을 가지므로, 핫멜트 접착제 용액으로부터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 하에서의 점착성이 억제된다. 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적합한 결정성이 부여되고, 이것이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하에서의 점착성 저감에 기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함유한다.
다가 카르본산 잔기 중의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의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50∼80 몰%의 범위 내이다. 이 범위 내에 있어서, 용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우수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확보된다. 즉, 이 비율이 50 몰% 이상이 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적합한 결정성이 부여되며, 이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 용액으로부터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 하에서의 점착성이 억제된다. 또한 이 비율이 80 몰% 이하가 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과도한 결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억제되고, 이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제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높아진다. 이 비율이 55∼75 몰%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60∼70 몰%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다가 카르본산 잔기 중의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예를 들면, 2개의 에스테르 결합(에스테르기; -(CO)-O-) 사이에 개재되는, 탄소수 4∼10의 직쇄 골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에스테르 결합은,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이 다가 카르본산 잔기에 결합되어 있는 다가 알코올 잔기의 사이의 결합이다. 직쇄 골격에는 측쇄가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결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직쇄 골격의 탄소수가 4 이상이면, 핫멜트 접착제 용액으로부터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 하에서의 점착성이 특히 억제된다. 또한, 이 탄소수가 10 이하이면, 용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특히 높아진다.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특히 아디프산 잔기, 세바스산 잔기 및 도데칸 이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잔기 및 이소프탈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다가 알코올 잔기는, 프로필렌글리콜 잔기(1,2-프로판디올 잔기)와, 프로필렌글리콜 잔기 이외의 디알코올 잔기를 함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가 알코올 잔기는, 프로필렌글리콜 잔기를 5∼6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한다. 이 비율이 5 몰% 이상이 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과도한 결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억제되고, 이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제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 비율이 60 몰% 이하가 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적합한 결정성이 부여되고, 이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 용액으로부터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하에서의 점착성이 억제된다. 이 비율이 10∼55 몰%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20∼50 몰%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글리콜 잔기 이외의 디알코올 잔기는, 2개의 에스테르 결합 사이에 개재되는, 탄소수 2∼6의 직쇄 골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에스테르 결합은, 디알코올 잔기와, 이 디알코올 잔기에 결합되어 있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의 사이의 결합이다. 직쇄 골격에는 측쇄가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결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직쇄 골격의 탄소수가 2 이상이면, 핫멜트 접착제 용액으로부터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의 상온하에서의 점착성이 특히 억제된다. 또한, 이 탄소수가 6 이하이면, 용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특히 높아진다.
디알코올 잔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잔기, 1,4-부탄디올 잔기, 및 1,6-헥산디올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잔기는, 3가 이상의 기를 더 함유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잔기 중의 3가 이상의 기의 비율은, 1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가 카르본산 잔기의 공급원이 되는 다가 카르본산, 다가 카르본산의 유도체 등의 모노머(다가 카르본산 성분이라고 함)와, 다가 알코올 잔기의 공급원으이 되는 다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의 유도체 등의 모노머(다가 알코올 성분이라고 함)를, 공중합시킴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공지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방법의 일례에서는, 먼저 소정량의 다가 카르본산 성분과 다가 알코올 성분을, 무용매로 혼합함으로써, 혼합물을 얻는다. 혼합물 중의 다가 카르본산 성분과 다가 알코올 성분의 몰비는, 예를 들면 1:1.4∼1:2.4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2이다.
이 혼합물을, 예를 들면 170∼250 ℃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또한 부생성물인 물 등을 증류 제거하면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시킨다. 필요에 따라, 또한 반응계를 감압 하, 230∼260 ℃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동시에 부생성물을 회수하면서, 중축합 반응(감압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시에, 적절한 에스테르화 촉매, 에스테르 교환 촉매, 중축합 촉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연화점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용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특히 높아진다. 이 연화점은, 30∼130 ℃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40∼110 ℃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연화점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원료인 모노머 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0∼2000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170000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70000∼150000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지나치게 높으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제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된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값(폴리스티렌 환산)이다.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용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류, 지방족 탄화수소류, 지환족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글리콜에테르류, 염화 탄화수소류, 및 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케톤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톨루엔, 콜타르 나프타, 아세트산 에틸, 메틸에틸케톤 및 시클로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접착제 용액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용제 이외의 적절한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용액은, 블록킹 방지제; 접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정제; 대전 방지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재; 및 금속분이나 안료 등의 분체형 또는 입자형의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도 있다. 블록킹 방지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탈크, 알루미나, 탄산 칼슘, 인산 칼슘, 우레탄 비즈, 아크릴 비즈, 및 실리콘 비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접착 부여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및 로진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티누빈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안정제는, 예를 들면, 인산, 아인산, 이들의 염, 및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탈크,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금속분, 안료 등의 분체형 또는 입자형의 첨가제는, 예를 들면, 산화 티탄을 함유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 용액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제,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가 배합됨으로써, 조제된다.
핫멜트 접착제 용액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4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이 비율이 5 질량% 이상이 되면, 핫멜트 접착제 용액이 적합한 점도를 가지고, 핫멜트 접착제 용액이 적절한 기재에 도포되는 경우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비율이 40 질량% 이하가 되면, 상온 하에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가, 특히 억제된다. 이 비율이 10∼35 질량%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5∼30 질량%의 범위 내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핫멜트 접착제 용액이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되고, 또한 가열 건조됨으로써 핫멜트 접착제 용액으로부터 용제가 제거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층이 기재 상에 형성된다.
기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합성 수지, 고무, 섬유, 목재, 유리, 금속, 및 종이로부터 선택된다.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침지법, 커텐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와이어 바법, 스프레이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및 다이 코팅법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표에 나타낸 다가 카르본산 및다가 알코올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표 중의 다가 카르본산 중의 각 화합물에 대한 수치는, 다가 카르본산 전체에 대한 각 화합물의 비율(몰 백분율)을 나타내고, 다가 알코올 중의 각 화합물에 대한 수치는, 다가 알코올 전체에 대한 각 화합물의 비율(몰 백분율)을 나타낸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 내에, 다가 카르본산 및 다가 알코올을 1:2의 몰비로 넣고, 또한 옥살산 티탄 칼륨을 0.1 질량%의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 내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250℃까지 승온(昇溫)함으로써,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시키고, 또한 부생성물인 물을 증류 제거했다. 이어서, 혼합물의 온도를 250∼260 ℃까지 승온시키고, 또한 압력을 1 ㎜Hg(1.3 hPa)까지 감압하여,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키고, 또한 부생성물인 디올을 회수하였다. 이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각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연화점, 유리 전이점,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값을, 후술하는의 표에 나타내었다.
각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0 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20 질량부, 톨루엔을 60 질량부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얻었다.
[안정성 시험]
시험 1(초기 상태)
조제 직후의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25℃의 분위기 중에 1시간 방치하였다. 그 결과, 핫멜트 접착제 용액 내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3」,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과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 중 적어도 한쪽이 인정된 경우를 「1」, 그 중간 상태를 「2」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2(상온 안정성)
상기 시험 1에서 「3」 또는 「2」로 평가된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25℃의 분위기 중에 120시간 방치하였다. 그 결과, 핫멜트 접착제 용액 내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3」,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과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 중 적어도 한쪽이 인정된 경우를 「1」, 그 중간 상태를 「2」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3(저온 안정성)
상기 시험 1에서 「3」 또는 「2」로 평가된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5℃의 분위기 중에 120시간 방치하였다. 그 결과, 핫멜트 접착제 용액 내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3」,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과 핫멜트 접착제 용액의 겔화 중 적어도 한쪽이 인정된 경우를 「1」, 그 중간 상태를 「2」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에 나타내었다.
[핫멜트 접착층의 제작]
기재로서 A-PET(아몰퍼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기재 상에, 상기 안정성 시험의 시험 1에서 「3」 또는 「2」로 평가된 핫멜트 접착제 용액을, 바 코터 #4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100℃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이로써, 기재 상에 두께 약 2㎛의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상온 점착성 시험]
핫멜트 접착층에 중첩되는 부재로서, A-PET(아몰퍼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부재를, 상기한 방법으로 제작한 핫멜트 접착층에 중첩한 상태에서, 부재와 핫멜트 접착층을, 온도 25℃, 습도 60%, 가압력 0.1 MPa, 압착 시간 10초간의 조건 하에서, 접합하였다.
이어서, 핫멜트 접착층과 부재의 사이의, 상온 하에서의 점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핫멜트 접착층과 부재와의 계면에서 점착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3」, 계면의 극히 일부에서 점착이 인정되는 경우를 「2」, 계면의 대부분에서 점착이 인정되는 경우를 「1」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에 나타내었다.
[박리 강도 시험]
핫멜트 접착층에 접착되는 부재로서, A-PET(아몰퍼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부재를, 상기 상온 점착성 시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한 핫멜트 접착층에 중첩한 상태에서, 부재와 핫멜트 접착층을, 가열 온도 140℃, 가압력 0.4 MPa, 압착 시간 5초간의 조건 하에서, 열압착했다.
이어서, 핫멜트 접착층과 부재와의 사이의 180° 박리 강도(N/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6010070694-pct00001
[표 2]
Figure 112016010070694-pct00002
[표 3]
Figure 112016010070694-pct00003
[표 4]
Figure 112016010070694-pct00004

Claims (10)

  1.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다가 알코올 잔기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상기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 및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함유하고,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50∼8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아디프산 잔기, 세바스산 잔기, 및 도데칸 이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고,
    상기 방향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는, 테레프탈산 잔기 및 이소프탈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 잔기가, 프로필렌글리콜 잔기를 5∼60 몰%의 범위 내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 잔기가, 에틸렌글리콜 잔기, 1,4-부탄디올 잔기, 및 1,6-헥산디올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는 디알코올 잔기를 더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제.
  8. 제1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제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 용액.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카르본산 잔기가, 상기 지방족 다가 카르본산 잔기와, 테레프탈산 잔기 및 이소프탈산 잔기 중 적어도 한쪽 기만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20167002708A 2013-07-30 2013-07-30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 KR101825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4613 WO2015015529A1 (ja) 2013-07-30 2013-07-30 ポリエステル樹脂、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ホットメルト接着剤溶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135A KR20160027135A (ko) 2016-03-09
KR101825453B1 true KR101825453B1 (ko) 2018-02-05

Family

ID=5243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708A KR101825453B1 (ko) 2013-07-30 2013-07-30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51258B2 (ko)
JP (1) JP6116078B2 (ko)
KR (1) KR101825453B1 (ko)
CA (1) CA2919445C (ko)
WO (1) WO2015015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0865B2 (en) 2013-08-21 2018-06-05 Sun Chemical Corporation Shrink wrap label coating to facilitate recycling
MX2016002157A (es) 2013-08-21 2017-01-05 Sun Chemical Corp Recubrimiento para etiqueta envolvente termoencogible para facilitar el reciclado.
JP6828245B2 (ja) * 2016-02-10 2021-02-1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102356309B1 (ko) * 2017-11-20 2022-01-28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열용융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2021008639A (ja) * 2020-10-30 2021-01-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102621143B1 (ko) 2023-03-07 2024-01-03 김효열 생분해성 점착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141A (ja) 2003-06-09 2005-01-06 Toyobo Co Ltd 押し出しラミネートアンカーコート剤用ポリエステル樹脂
JP2006206860A (ja) 2004-12-27 2006-08-10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785A (en) 1975-09-25 1977-03-28 Sumitomo Chem Co Lt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with low shrinkage
US4052368A (en) 1976-06-21 1977-10-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dispellable hot melt polyester adhesives
JP2002003810A (ja) 2000-06-21 2002-01-09 Toyobo Co Ltd 接着剤用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の接着剤
GB0101994D0 (en) 2001-01-25 2001-03-1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ed polumeric film
DE102007004102A1 (de) 2007-01-26 2008-07-31 Evonik Degussa Gmbh Kristalline Copolyester mit guter Löslichkeit in nicht halogenierten Lösungsmitteln und ihre Verwendung
JP2008248016A (ja) 2007-03-29 2008-10-16 Unitika Ltd 共重合ポリエステル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89117B2 (en) * 2008-10-30 2013-03-05 Eastman Chemical Company Hot melt adhesives for roll-applied labels
JP6003090B2 (ja) 2011-03-24 2016-10-05 東洋紡株式会社 バイオマスプラスチック塗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141A (ja) 2003-06-09 2005-01-06 Toyobo Co Ltd 押し出しラミネートアンカーコート剤用ポリエステル樹脂
JP2006206860A (ja) 2004-12-27 2006-08-10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135A (ko) 2016-03-09
CA2919445A1 (en) 2015-02-05
JP6116078B2 (ja) 2017-04-19
US9951258B2 (en) 2018-04-24
WO2015015529A1 (ja) 2015-02-05
JPWO2015015529A1 (ja) 2017-03-02
US20160194533A1 (en) 2016-07-07
CA2919445C (en)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45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
AU2012347925B2 (en) Vegetable oi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5615140B2 (ja)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
EP2826832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US20140349109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carboxylic acids and epoxides
US3975323A (en) Copolyesters,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incorporating same
CN113316624A (zh) 来自植物油或动物脂的紫外线辐射固化的压敏粘合剂
TW201638145A (zh) 具低voc及霧化値的黏合劑
PT2944660T (pt) Poliuretano termoplástico
KR101634103B1 (ko)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CN110494521B (zh) 可生物降解的热熔粘合剂
JP2009235150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6763B1 (ko)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JPH0391524A (ja) カルボキシル末端基を含むポリヒドロキシエステル、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US20140345797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fatty acids
JP5168150B2 (ja) 飽和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接着剤組成物
JP2013018942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
JP2005298588A (ja) ハイソリッド型接着剤組成物
JP2594341B2 (ja) ホツ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CA3140966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made from uv curing of plant oil-based polyesters
CN115505362A (zh) 复合低表面能薄膜的无溶剂聚氨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JP2020033442A (ja) 湿気硬化型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及び被着体の接着方法
JP2008127550A (ja) アイオノマー樹脂用接着剤組成物および複合体の製造方法
JPS5857481A (ja) 接着剤
JPH09184593A (ja) 樹脂被覆鋼管及び該鋼管用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