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103B1 -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103B1
KR101634103B1 KR1020150060292A KR20150060292A KR101634103B1 KR 101634103 B1 KR101634103 B1 KR 101634103B1 KR 1020150060292 A KR1020150060292 A KR 1020150060292A KR 20150060292 A KR20150060292 A KR 20150060292A KR 101634103 B1 KR101634103 B1 KR 101634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pressure
plla
sensitive adhesive
lac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훈
김영운
이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가소제(platicizer);를 포함하며, 상기 락톤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박리 강도, 접착력 및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는 높은 접착능 및 지속 가능성을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는 전자소재, 자동차소재, 포장재,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pressure-sensi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rmoplastic elastomer}
본 발명은 지속가능 원료기반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식물로부터 유래된 락톤과 L-락타이드로부터 합성된 삼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Pressure-sensitives adhesive, PSA)는 상온에서 용매, 열, 촉매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아주 작은 압력으로 피착면에 접착이 가능하고 응집력과 탄성을 지니고 있어 강하게 접착하다가 딱딱한 평활면으로부터 박리가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착제를 각종 기재에 도포한 것을 점착제품이라 하며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 분야에 걸쳐 고기능성 점착제품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수요증가로 시장 규모 역시 확대 되었다.
특히, 전기 전자 절연 테이프,자동차용 테이프,의료용 테이프,라벨용 테이프,건축 토목의 양생 및 방수용 테이프, 마스킹 테이프, 표면 보호용 테이프, 강판 가공용 테이프,도로 표시용 테이프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점착제는 신속하게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액체와 같은 점도를 나타내고, 표면과의 분리 과정에서 깔끔하게 분리되기 위해 고체와 같은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단일 물질 내에서 결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이러한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탄성체, 점착 부여제 등을 혼합하여 그 특성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Marc A. Hillmyer 등은 삼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 바 있다(Macromolecules, 2011, 44, 78-94). 상세하게는 폴리(락타이드)-폴리(멘티드)-폴리(락타이드)의 삼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제를 혼합한 점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는 박리 접착력(peel adhesion)이 최대 3.2 N/cm를 나타내고, 접착력(tack)은 최대 1.1 N을 나타내며, 이때 점착제의 조성은 40 중량%의 점착 부여제 및 60 중량%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과 같은 점착제는 바이오 기반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상용화된 점착제에 비해 탄성체를 과량 포함하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탄성체 기반 점착제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가소제(platicizer)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개발하였으며, 상기 점착제의 박리 강도, 접착력 및 전단 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가소제(platicizer);를 포함하며,
상기 락톤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4172531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6의 직쇄 알킬 또는 C3-6의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A는 C1 -6의 직쇄 알킬렌으로서,
상기 알킬렌의 각 탄소는 비치환 또는 C1 -6의 직쇄 알킬 또는 C3 -6의 분지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톤, 개시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으로 괴상 개환 중합 반응(ring-opening transesterification polymerization, ROTEP)을 수행하여 폴리(락톤)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 및 L-락타이드를 혼합하여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이형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박리 강도, 접착력 및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는 높은 접착능 및 지속 가능성을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는 전자소재, 자동차소재, 포장재,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의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로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3은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를 만능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로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4는 PDL(100),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를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로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5는 PLLA-PDL-PLLA(20-100-20)와, PLLA-PDL-PLLA(20-100-20)에 점착 부여제(tackifier)만 혼합한 경우를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로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6은 PLLA-PDL-PLLA(20-100-20)에 점착 부여제(tackifier)만 혼합한 경우 및 PLLA-PDL-PLLA(20-100-20)에 점착 부여제와 가소제(plasticizer)를 모두 혼합한 경우를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로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7은 PLLA-PDL-PLLA(20-100-20)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동적 기계적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시트에 도포하여 80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점착제 층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박리 강도(peel adhesion)를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시트에 도포하여 80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점착제 층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점착제 층과 다양한 상용화된 점착제를 사용하여 박리를 수행하였을 때 완전히 제거가 되는지 여부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시트에 도포하여 80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점착제 층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접착력(tack)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시트에 도포하여 80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점착제 층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전단 강도(shear)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가소제(platicizer);를 포함하며,
상기 락톤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41725313-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6의 직쇄 알킬 또는 C3-6의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A는 C1 -6의 직쇄 알킬렌으로서,
상기 알킬렌의 각 탄소는 비치환 또는 C1 -6의 직쇄 알킬 또는 C3 -6의 분지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탄성체로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제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탄성체로 결정 구조(crystal structure)의 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비정질상(amorphous phase)을 나타내는 락타이드(D,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락타이드)-폴리(멘티드)-폴리(락타이드)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함량을 약 20 중량% 내지 40 중량% 감소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고가의) 열가소성 탄성체의 사용량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저가의) 점착 부여제와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서 경제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점착 부여제와 가소제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함으로서 점착제 특성의 변화의 폭을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락톤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락톤)은 폴리(ε-데카락톤)(poly(ε-decalacto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 125 중량부 내지 2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0 중량부 내지 25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점착 부여제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박리 강도 및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27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25 중량부 내지 1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가소제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미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유연성이 저하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7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강도 및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의 몰 질량(molar mass)은 50 kg/mol 내지 200 kg/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kg/mol 내지 150 kg/mo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0 kg/mol 내지 125 kg/mol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의 몰 질량이 50 kg/mol 미만일 경우에는 박리강도 및 전단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00 kg/mo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제조에 있어서 삼블록 공중합체 용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 나아가,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 및 폴리(L-락타이드)의 질량비는 100 : 6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1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 및 폴리(L-락타이드)의 질량비가 100 : 6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제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00 :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삼블록 공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이 열가소성 탄성체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 테르핀 유래 점착 부여제(terephene-based tackifier),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지방족계, acid modified aliphatic, 지환족계, 방향족계), 콜타르 유래 점착 부여제(coal-based tackifier) 및 알킬 페놀계 점착 부여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대두유 기반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sticizer), 구연산, 구연산에스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에스테르, 프탈레이트계(phthalate계), 포스페이트계(phosphate계), 알리파틱 디에스테르계(aliphatic diester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박리 강도, 접착력 및 전단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톤, 개시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으로 괴상 개환 중합 반응(ring-opening transesterification polymerization, ROTEP)을 수행하여 폴리(락톤)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 및 L-락타이드를 혼합하여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락톤, 개시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으로 괴상 개환 중합 반응(ring-opening transesterification polymerization, ROTEP)을 수행하여 폴리(락톤)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전단계로, 폴리(락톤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 1에서는 단량체인 락톤과 개시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통해 괴상 개환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폴리(락톤)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의 락톤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로써, 7-고리 데카락톤(ε-decalactone)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41725313-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6의 직쇄 알킬 또는 C3-6의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A는 C1 -6의 직쇄 알킬렌으로서,
상기 알킬렌의 각 탄소는 비치환 또는 C1 -6의 직쇄 알킬 또는 C3 -6의 분지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개시제는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촉매로는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tin(Ⅱ) 2-ethylhexanoat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단계 1의 개시제 및 촉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괴상 개환 중합 반응으로 락톤을 중합할 수 있는 개시제 및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의 몰 질량(molar mass)은 50 kg/mol 내지 200 kg/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kg/mol 내지 150 kg/mo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0 kg/mol 내지 125 kg/mol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의 몰 질량이 50 kg/mol 미만일 경우에는 박리강도 및 전단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00 kg/mo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제조에 있어서 삼블록 공중합체 용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 및 L-락타이드를 혼합하여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결정 구조의 L-락타이드를 사용하여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며,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
이에,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 및 L-락타이드를 혼합하여 ABA 구조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는 L-락타이드 단량체 외에 별도의 첨가물(촉매 등)을 포함하지 않고 반응시켜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가 수행되는 반응 온도는 90 ℃ 내지 140 ℃일 수 있으나, 상기 단계 2가 수행되는 반응 온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되는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 및 폴리(L-락타이드)의 질량비는 100 : 6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1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되는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 및 폴리(L-락타이드)의 질량비가 100 : 6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제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00 :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삼블록 공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이 열가소성 탄성체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에서는 점착제 조성물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의 점착 부여제는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 테르핀 유래 점착 부여제(terephene-based tackifier),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지방족계, acid modified aliphatic, 지환족계, 방향족계), 콜타르 유래 점착 부여제(coal-based tackifier) 및 알킬 페놀계 점착 부여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계 3의 가소제는 대두유 기반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sticizer), 구연산, 구연산에스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에스테르, 프탈레이트계(phthalate계), 포스페이트계(phosphate계), 알리파틱 디에스테르계(aliphatic diester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단계 3에서 혼합되는 점착 부여제의 양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 125 중량부 내지 27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중량부 내지 25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4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단계 3에서 점착 부여제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박리 강도 및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27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3에서 혼합되는 가소제의 양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25 중량부 내지 17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단계 3에서 가소제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미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유연성이 저하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7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강도 및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이형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 필름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가소제(platicizer);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제 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박리 강도 및 접착력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단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층은 1.9 N/cm 내지 2.6 N/cm의 박리 강도(peel strength), 2.4 N 내지 3.0 N의 접착력(tack force) 및 20,000 분 내지 100,000 분의 전단 강도(shear strength)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사용된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층은 전단 강도가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어 상용화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층은 현저히 우수한 전단 강도를 나타내어 상용화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1
단계 1: 폴리 (ε- 데카락톤 )( poly (ε- decalactone ), PDL ) 제조
질소로 채워진 글로브 박스(glove box) 내에서, 스터링 바가 들어있는 압력용기(pressure vessel)에 ε-데카락톤(ε-decalactone, DL) 640 당량(640 equiv),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1 당량(1 equiv), 주석 2-에틸헥사노에이트(tin(Ⅱ) 2-ethylhexanoate, Sn(Oct)2) 1 당량(1 equiv) 혼합하여 중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중합 용액을 포함하는 용기를 봉인하고, 글로브 박스에서 꺼낸 후, 40 시간 동안 110 ℃의 온도인 오일 배스에서 괴상 개환 중합 반응(ring-opening transesterification polymerization, ROTEP)을 수행하여 폴리(ε-데카락톤)(PDL)을 제조하였다.
밀도(Density): 0.974 ± 0.007 g/cm3.
1H NMR (500 MHz, CDCl3): δ 4.83 (quin, J = 6.3 Hz, 588H, Hd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4.22 (t, J = 4.9 Hz, 4H, Hc from incorporated initiator), 3.67 (t, J = 4.9 Hz, 4H, Hb from incorporated initiator), 3.57 (br, 2H from the end unit of PDL), 2.25 (t, J = 7.6 Hz, 1176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65-1.55 (m, 1176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54-1.47 (m, 2352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36-1.17 (m, 3528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0.88-0.85 (t, J = 7.0 Hz, 1764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3C NMR (125 MHz, CDCl3): δ 173.3, 73.8, 34.5, 33.8, 33.7, 27.5, 25.0, 24.9, 24.8, 22.6, 14.0.
단계 2: 폴리 (L- 락타이드 )- 폴리 (ε- 데카락톤 )-폴리(L- 락타이드 )(poly(L-lactide)-poly(ε- decalactone )- poly (L- lactide ), PLLA - PDL - PLLA (5-100-5))의 삼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반응이 수행된 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글러브 박스로 옮겨 용기에 톨루엔을 첨가한 후, 135 ℃의 온도에서 30 분 동안 재가열하여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ε-데카락톤)을 용해시켰다. 이후, 상기 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용기에 L-락타이드 75 당량(75 equiv, 목표 몰 질량 10 kg/mol)을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중합 용액을 포함하는 용기를 봉인하고, 글로브 박스에서 꺼낸 후, 12 시간 동안 110 ℃의 온도인 오일 배스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을 공기 분위기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 10% w/v 용액)을 첨가하여 종결시키고, - 70 ℃ 내지 - 60 ℃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침전시켰다.
마지막으로, 90 ℃ 온도의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폴리(L-락타이드)-폴리(ε-데카락톤)-폴리(L-락타이드)(PLLA-PDL-PLLA(5-100-5))를 제조하였다.
밀도(Density): 1.006 ± 0.002 g/cm3.
1H NMR (500 MHz, CDCl3): δ 5.15 (q, J = 7.1 Hz, 63, 140, and 299H, Hf from the repeating unit of PLLA), 4.83 (quin, J = 6.3 Hz, 588H, Hd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4.36 (m, 2H, He from the end unit of PLLA), 4.22 (t, J = 4.9 Hz, 4H from incorporated initiator), 3.67 (t, J = 4.9 Hz, 4H from incorporated initiator), 2.25 (t, J = 7.6 Hz, 1176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65-1.55 (m, 1176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and 189, 420, and 897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LLA), 1.54-1.47 (m, 2352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36-1.17 (m, 3528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0.88-0.85 (t, J = 7.0 Hz, 1764H from the repeating unit of PDL).
13C NMR (125 MHz, CDCl3): δ 173.3, 169.6, 73.8, 69.0, 34.5, 33.8, 33.7, 27.5, 25.0, 24.9, 24.8, 22.6, 16.6, 14.0.
단계 3: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PLLA-PDL-PLLA(5-100-5)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7 중량%의 PLLA-PDL-PLLA 용액을 제조하였다.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10 중량%의 점착 부여제 용액을 제조하고, 대두유 기반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sticizer)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3 중량%의 가소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PLLA-PDL-PLLA(5-100-5) 용액, 점착 부여제 용액 및 가소제 용액을 혼합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단계 1 내지 3의 공정을 도 1의 반응식 및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4 중량%의 PLLA-PDL-PLLA(5-100-5) 용액, 10 중량%의 점착 부여제 용액 및 6 중량%의 가소제 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L-락타이드를 150 당량(150 equiv, 목표 몰 질량 20 kg/mol)을 첨가하여 PLLA-PDL-PLLA(10-100-10)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4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3에서 4 중량%의 PLLA-PDL-PLLA(10-100-10) 용액, 10 중량%의 점착 부여제 용액 및 6 중량%의 가소제 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L-락타이드를 300 당량(300 equiv, 목표 몰 질량 40 kg/mol)을 첨가하여 PLLA-PDL-PLLA(20-100-20)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6
상기 실시예 5의 단계 3에서 4 중량%의 PLLA-PDL-PLLA(20-100-20) 용액, 10 중량%의 점착 부여제 용액 및 6 중량%의 가소제 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PLA-PDL-PLA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의 단계 2에서 L-락타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D,L-락타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PMMA-PBA-PMMA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폴리(n-부틸 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oly(n-butyl acrylate)-poly(methyl methacrylate), PMMA-PBA-PMMA, KurarityTM)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7 중량%의 PMMA-PBA-PMMA 용액을 제조하였다.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10 중량%의 점착 부여제 용액을 제조하고, 대두유 기반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sticizer)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3 중량%의 가소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PMMA-PBA-PMMA 용액, 점착 부여제 용액 및 가소제 용액을 혼합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PS-PI-PS/PS-PI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poly(styrene)-poly(isoprene)-poly(styrene)/poly(styrene)-poly(isoprene)(81/19 중량%), PS-PI-PS/PS-PI, Kraton® D)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7 중량%의 PS-PI-PS/PS-PI 용액을 제조하였다.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10 중량%의 점착 부여제 용액을 제조하고, 대두유 기반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sticizer)를 클로로포름에 첨가하여 3 중량%의 가소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PS-PI-PS/PS-PI 용액, 점착 부여제 용액 및 가소제 용액을 혼합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삼블록 공중합체의 특성 분석
(1) 삼블록 공중합체의 몰 질량(molar mass)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된 PDL과,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5의 단계 1과 단계 2를 통해 제조된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의 몰 질량을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ε-데카락톤)(PDL)에 비해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5의 단계 1과 단계 2를 통해 제조된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의 피크가 오른쪽으로 쉬프트되어 몰 질량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에서 양말단 블록인 PLLA 블록은 각각 8.2 중량%, 16.7 중량% 및 30.0 중량%를 나타냈으며, 부피 분율은 6.3 부피%, 13.1 부피% 및 24.4 부피%를 나타내었다.
(2) 삼블록 공중합체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 분석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PLLA-PDL-PLLA(20-100-20), PLA-PDL-PLA(20-100-20), PMMA-PBA-PMMA, PS-PI-PS/PS-PI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만능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및 열 중량 분석기(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도 4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삼블록
공중합체의 종류
fhardblock a Tg
(℃)b
Tm
(℃)b
△Hf
(Jg-1)c
Crystallinity
(%)d
Td
(℃)e
Young' modulus, E
(MPa)
tensile strength, σb
(MPa)
strain at
break,εb
(%)
Storage modulus, G'
(MPa)
PLLA-PDL-PLLA
(5-100-5)
6.3 -50.53 159 0.2 2.7 284 1.13±
0.1
0.14±
0.1
323±
10
0.63
PLLA-PDL-PLLA
(10-100-0)
13.1 -50.55 159 1.5 9.4 241 2.00±
0.2
4.23±
0.2
1420±
59
0.97
PLLA-PDL-PLLA
(20-100-20)
24.4 -49.60 161 8.6 30.5 225 2.86±
0.3
13.6±
0.5
1212±
25
1.24
PLA-PDL-PLA
(20-100-20)
25.1 -49.58 233 1.89±
0.4
1.70±
0.4
1249±
88
0.83
PMMA-PBA-PMMA
(KurarityTMLA2140e)
23.2 -49.109 347 1.00±
0.1
6.24±
0.5
543±
77
0.3548
PS-PI-PS/PS-PI
(Kraton®D)
13.6 -59.90 333 1.24±
0.1
13.6±
0.3
3235±
60
0.4449,50
*a: Calculated volume fraction of hard block using the densities of 25 ℃에서의 PLLA, PLA, PS, PMMA, PDL, PBA, 및 PI의 밀도값(각각 1.290, 1.248, 1.035, 1.180, 0.974, 1.190, 및 0.899 g/cm3)을 사용하여 계산된 경질 블록(hard block)의 부피 분율.
*b: DSC의 두번째 히팅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 유리 전이 온도(Tg) 및 용융 온도(Tm).
*c: 삼블록의 융해열(heat of fusion, △Hf).
*d: 100 % 결정질의 PLLA으로 계싼된 이론적인 융해열 기반 결정도(crystallinity).
*e: 질소 분위기 및 20 ℃/min 조건의 TGA에 의하여 5 % 중량이 손실되는 온도.
도 3 및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LA-PDL-PLLA(5-100-5),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의 인장 강도는 0.1 MPa에서 13.6 MPa이고, 영률(Young's modulus)은 1.1 MPa에서 2.9 MPa로 PLL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PLLA-PDL-PLLA(20-100-20)는 PLA-PDL-PLA(20-100-20)에 비해 인장 강도가 약 8 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며, 영률 등의 물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용화된 삼블록 공중합체(PMMA-PBA-PMMA, PS-PI-PS/PS-PI)보다 우수하거나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LA-PDL-PLLA는 2 개의 유리 전이 온도(TgPDL : 약 - 50 ℃, TgPLLA : 약 - 53~60 ℃)와 1 개의 용융 온도(TmPLLA : 약 160 ℃)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말단부 블록이며 경질 ㅂ부분(hard phase)인 PLLA가 PDL로 구성된 연질 부분(rubbery phase)과 혼합되었으나 미세 구역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점착제 조성물의 특성 분석
(1)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 ) 분석
상기 실시예 5의 단계 2에서 제조된 PLLA-PDL-PLLA(20-100-20)와, PLLA-PDL-PLLA(20-100-20)에 점착 부여제(tackifier)만 혼합한 경우, 및 PLLA-PDL-PLLA(20-100-20)에 점착 부여제와 가소제(plasticizer)를 모두 혼합한 경우에 대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LA-PDL-PLLA(20-100-20)와 점착 부여제로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를 혼합하였을 경우에는 PLLA-PDL-PLLA(20-100-20)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비하여 높아지며,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 전이 온도는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LA-PDL-PLLA(20-100-20)에 점착 부여제로 송진 유래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와 가소제로 대두유 기반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sticizer)를 모두 혼합하였을 경우에는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가소제로 인해 유리 전이 온도가 PLLA-PDL-PLLA(20-100-20)와 점착 부여제만 혼합한 경우보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해, 혼합된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는 삼블록의 중간 블록인 소수성의 PDL과 더욱 혼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동적 기계적 특성(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평가
상기 실시예 5의 단계 2에서 제조된 PLLA-PDL-PLLA(20-100-20)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동적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저장 탄성율(storage moduli, G')을 나타내는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저장 탄성율은 0.3 내지 1.0 × 105 Pa로, PLLA-PDL-PLLA(20-100-20)의 저장 탄성율(약 106 Pa) 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점착 특성(adhesion performance)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시트에 도포하여 80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점착제 층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점착제 층과 다양한 상용화된 점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테스트(adhesive test), 180 ° 박리 시험(180 ° pell test), 프로브 점착 테스트(prove tack test)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8 내지 11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착제 조성(PSAformulations) 점착 특성(Adhesive Performance)
열가소성 탄성체
(중량 %)
점착
부여제
(중량 %)
가소제
(중량 %)
박리 강도
(N/cm)
접착력
(N)
전단 강도
(min)
PLLA-PDL-PLLA(5-100-5) 35 50 15 2.60±0.07 2.66±0.34 1512±14
PLLA-PDL-PLLA(5-100-5) 20 50 30 0.22±0.02 2.73±0.41 4±0.5
PLLA-PDL-PLLA(10-100-10) 35 50 15 1.92±0.09 2.37±0.24 18518±577
PLLA-PDL-PLLA(10-100-10) 20 50 30 0.67±0.04 2.30±0.06 1501±174
PLLA-PDL-PLLA(20-100-20) 35 50 15 2.60±0.14 2.96±0.46 22612±1092
PLLA-PDL-PLLA(20-100-20) 20 50 30 1.15±0.05 2.22±0.20 711±138
PLA-PDL-PLA(20-100-20) 35 50 15 2.47±0.04 2.22±0.42 15649±502
PMMA-PBA-PMMA(KurarityTM) 35 50 15 3.09±0.03 3.67±0.30 6083±797
PMMA-PBA-PMMA(KurarityTM) 20 50 30 < 0.045 0.54±0.03 42±10
PS-PI-PS/PS-PI(Kraton®D) 35 50 15 0.61±0.05 0.97±0.36 127±2
duct tape (width: 25 mm) 5.53±0.19 2.41±0.20 1172±477
scotch®tape (width: 18 mm) 1.90±0.05 0.91±0.05 >30000
electrical tape
(width: 18 mm)
1.37±0.12 2.58±0.14 503±29
post-it®tape note
(width: 10 mm)
< 0.045 0.14±0.02 < 0.5
도 8 내지 11 및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PLLA-PDL-PLLA(20-100-20)을 35 중량% 포함하고, 점착 부여제 50 중량%,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박리 강도는 약 2.60 N/cm를 나타내고, 접착력은 2.96 N을 나타내며, 특히 전단 강도는 22612 분으로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PLLA-PDL-PLLA(10-100-10)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보다 오히려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PLLA-PDL-PLLA(20-100-20)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박리 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9를 살펴보면, 가소제의 함량에 따라 접착력이 다소 변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2.0 N 내지 3.0 N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도 10을 살펴보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LLA-PDL-PLLA(5-100-5)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기계적 특성이 부족하여 접착 테스트에서 이물질이 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5에서 제조된 PLLA-PDL-PLLA(10-100-10) 및 PLLA-PDL-PLLA(20-100-20)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고, 특히, PLLA-PDL-PLLA(20-100-20)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어 이물질이 남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박리 강도, 접착력 및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는 높은 접착능 및 지속 가능성을 나타내며, 나아가, 전자소재, 자동차소재, 포장재,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L-락타이드)-폴리(락톤)-폴리(L-락타이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가소제(platicizer);를 포함하며,
    상기 락톤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4172531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 -6의 직쇄 알킬 또는 C3 -6의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A는 C1 -6의 직쇄 알킬렌으로서,
    상기 알킬렌의 각 탄소는 비치환 또는 C1 -6의 직쇄 알킬 또는 C3 -6의 분지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삼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 125 중량부 내지 275 중량부; 및 가소제 25 중량부 내지 1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의 몰 질량(molar mass)은 50 kg/mol 내지 200 k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블록 공중합체에서 폴리(락톤) 및 폴리(L-락타이드)의 질량비는 100 : 6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점착 부여제(rosin ester tackifier), 테르핀 유래 점착 부여제(terephene-based tackifier),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콜타르 유래 점착 부여제(coal-based tackifier) 및 알킬 페놀계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에폭시화 대두유 오일 가소제(epoxidized soybean oil plasticizer), 구연산, 구연산에스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에스테르, 프탈레이트계(phthalate계), 포스페이트계(phosphate계), 알리파틱 디에스테르계(aliphatic diester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7. 락톤, 개시제 및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으로 괴상 개환 중합 반응(ring-opening transesterification polymerization, ROTEP)을 수행하여 폴리(락톤)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리(락톤) 및 L-락타이드를 혼합하여 삼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삼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5041725313-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6의 직쇄 알킬 또는 C3-6의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A는 C1 -6의 직쇄 알킬렌으로서,
    상기 알킬렌의 각 탄소는 비치환 또는 C1 -6의 직쇄 알킬 또는 C3 -6의 분지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9.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제1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이형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층은 1.9 N/cm 내지 2.6 N/cm의 박리 강도(peel strength), 2.4 N 내지 3.0 N의 접착력(tack force) 및 20,000 분 내지 100,000 분의 전단 강도(shear strength)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KR1020150060292A 2015-04-29 2015-04-29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101634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92A KR101634103B1 (ko) 2015-04-29 2015-04-29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92A KR101634103B1 (ko) 2015-04-29 2015-04-29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103B1 true KR101634103B1 (ko) 2016-06-28

Family

ID=5636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92A KR101634103B1 (ko) 2015-04-29 2015-04-29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1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359A (ko) 2016-12-08 2018-06-19 한국화학연구원 식물유 유래 다이머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접착제
KR102109359B1 (ko) * 2019-05-23 2020-05-13 한국화학연구원 리그닌과 식물유 기반 열가소성 탄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리그닌과 식물유 기반 열가소성 탄성체로 제조되는 성형체
KR20200065545A (ko) * 2018-11-30 2020-06-09 한국화학연구원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용 전구체의 제조방법, 전구체를 사용한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
CN115895593A (zh) * 2022-12-27 2023-04-04 普立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压敏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63A (ko) * 1997-07-25 1999-02-25 피.안토인 열가소성 중합체
KR20130039064A (ko) * 2011-10-11 2013-04-19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점착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63A (ko) * 1997-07-25 1999-02-25 피.안토인 열가소성 중합체
KR20130039064A (ko) * 2011-10-11 2013-04-19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점착테이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359A (ko) 2016-12-08 2018-06-19 한국화학연구원 식물유 유래 다이머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접착제
KR20200065545A (ko) * 2018-11-30 2020-06-09 한국화학연구원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용 전구체의 제조방법, 전구체를 사용한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
KR102124367B1 (ko) 2018-11-30 2020-06-18 한국화학연구원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용 전구체의 제조방법, 전구체를 사용한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경화성 형상기억 탄성중합체
KR102109359B1 (ko) * 2019-05-23 2020-05-13 한국화학연구원 리그닌과 식물유 기반 열가소성 탄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리그닌과 식물유 기반 열가소성 탄성체로 제조되는 성형체
CN115895593A (zh) * 2022-12-27 2023-04-04 普立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压敏胶及其制备方法
CN115895593B (zh) * 2022-12-27 2023-11-07 普立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压敏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8969B1 (en) Polyester-amide based hot melt adhesives
KR101634103B1 (ko)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EP2788446B1 (en) Vegetable oi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10662287B2 (en) Formulation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EP2411428B1 (de) Erstarrende klebstoffe mit silanvernetzung
JP5955779B2 (ja) ポリエーテルブロックコポリマー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組成物
CA2608210A1 (en) Aqueous emulsion of .alpha.-silyl terminated polymers that is stable in storage, production of said emulsion and use of the latter
EP2944660B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US11299651B2 (en) Toughened cyanoacrylate compositions
KR10182545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핫멜트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 용액
JP5580982B2 (ja)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20240123310A (ko) 장쇄 에폭사이드로부터의 폴리(3-하이드록시산) 중합체 및 이의 핫 멜트 접착제와 관련된 용도
CN112795351B (zh) 一种耐高温的湿气固化单组分聚氨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101816283B1 (ko) 폴리(ε-데카락톤)-폴리(L-락타이드) 다중가지 스타 형태의 열가소성 탄성 공중합체
CN108753241A (zh) 硅烷改性聚醚热熔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492028A (zh) 聚乳酸类热熔胶接着剂的制造方法
CN116867866A (zh) 粘合剂组合物以及粘合带
EP2821454B1 (en) Unsaturated photo-curable bio-based adhesive composition
JP2004137468A (ja) 無溶剤型湿気硬化性ホットメルトウレタン樹脂組成物
WO2024153567A1 (en) Isocyanate prepolymer and polyurethane adhesive prepared on basis thereof
CN118344837A (zh) 一种基于聚氨酯的热熔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