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821B1 - 팰릿 베이스와 데크의 가요성 조립 - Google Patents

팰릿 베이스와 데크의 가요성 조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821B1
KR101817821B1 KR1020137003464A KR20137003464A KR101817821B1 KR 101817821 B1 KR101817821 B1 KR 101817821B1 KR 1020137003464 A KR1020137003464 A KR 1020137003464A KR 20137003464 A KR20137003464 A KR 20137003464A KR 101817821 B1 KR101817821 B1 KR 10181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pallet
moving body
mov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676A (ko
Inventor
도날드 이. 윌콕스
찰스 에스. 아레나
Original Assignee
에이.알. 아레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알. 아레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알. 아레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1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1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8Snap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9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34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4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9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8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 B65D2519/0034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contact surface being substantially in the form of a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mechanical connection, e.g. snap-fit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 B65D2519/00985Dismountable elements the pallet being not usable as a pallet after dis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 Y10T29/49824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to elastically deform work part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6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snap f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4Flexible member is joint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lle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데크와 베이스를 가지고, 데크와 베이스가 선택적으로 역전가능한 인터락으로 결합되는 수지 팰릿이 설명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역전가능한 방법으로서 팰릿을 구성하기 위하여 인터락킹부분으로 팰릿을 조립함으로서 이러한 팰릿을 제작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Description

팰릿 베이스와 데크의 가요성 조립 {FLEX ASSEMBLY OF PALLET BASE AND DECK}
본 발명은 팰릿(pallet)과 이러한 팰릿을 구성하기 위하여 인터락킹 부분(interlocking part)을 이용한 팰릿의 가요성(可撓性) 조립으로 이러한 팰릿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 팰릿이 갖는 것 이상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지로 성형된 팰릿을 더욱 개선하기 위한 많은 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아직까지 목재 팰릿이 지배적이며,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팰릿은 경쟁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래기술의 수지 팰릿에서 확인된 하나의 제안은 성형된 저면부 또는 베이스와는 별도로 상부 또는 데크를 성형하고 두 부분을 상호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서는 미국특허 제6,029,583호, 제3,835,792호, 제5,417,167호와 제6,622,641호가 있다. 다른 두 미국특허 제6,354,228호와 제5,333,555호는 판재 또는 판체를 구부려 팰릿의 스트링거(stringer)에 결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에 의하여 제안된 상호연결방식은 취약하고 쉽게 파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스크류나 접착제와 같은 특별한 고정구가 사용됨으로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팰릿 부품은 함께 용접되는데 이는 만족스러운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제점으로서는 사용된 재료의 용접가능성, 넓은 면적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것에 대한 곤란성과, 청소를 위하여 부품들을 분해하기 어려운 점 등이 있다.
강철봉이나 강철스트립,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의 여러 보강삽입체가 수지 팰릿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수지 팰릿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자재의 사용은 시장의 경우 보다 코스트가 높고 팰릿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본문에 기술된 예시 실시형태는 이들 결점을 극복한다. 특히 어떤 실시형태는 단단히 인터락킹되고 내구성이 있으며 포크리프트(forklift)나 팰릿 잭(pallet jack)에 의하여 빈번히 사용되는 것에도 견딜 수 있는 다중부품 수지성형 팰릿과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예시 실시형태는 수지성형 팰릿의 제조비용을 줄이는 한편 이들의 내구성을 높이어 수지성형 팰릿이 목재 팰릿에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
가요성 조립은 정상상태에서는 간섭하는 웅형(雄形) 및 자형(雌形)의 비가요성 결합구조(locking feature)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동체를 다음의 과정으로 고정적으로 조립하고 분해하는 방법이다.
1. 하나 이상의 동체를 굽혀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조가 정상사용시의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결합구조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단계.
2. 동체의 결합구조를 결합시키는 단계.
3.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휨운동을 풀어주는 단계.
4. 선택적으로, 이러한 과정의 역순으로 분해하는 과정.
예시 실시형태는 고정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형수지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의 팰릿 데크(pallet deck)를 성형수지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의 팰릿 베이스(pallet base)에 고정적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래 보다 강하고 보다 튼튼한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락(interlock)과 인터락킹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선된 인터락은 자동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 청소나 부품의 교환 또는 보수가 필요할 때 분해될 수 있다.
인터락은 자체의 가요성을 가지지 않으나 인터락이 조립될 수 있도록 굽혀지거나 만곡될 수 있는 휨 구간(flexible spans)에 의하여 연결되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포함한다. 인터락 사이의 구간을 만곡시킴으로서 이들의 분리거리가 변화되고 돌출형인 웅형부재와 자형부재가 서로 맞물리어 굽힘력이 제거되고 부품들이 이들의 초기성형상태로 복원될 때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휨구간의 굽힘이나 만곡은 정상상태에서 팰릿에 가하여지는 하중 효과의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팰릿에서 가장자리에 가하여지는 하중의 힘은 팰릿이 처지도록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굽힘이나 만곡은 팰릿에 가하여지는 하중의 힘에 의하여 나타나는 처짐의 경향에 대하여 반대가 되는 운동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상향만곡운동이다. 이러한 결과로 정상상태에서 팰릿에 가하여지는 힘은 적극적인 인터락킹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이는 예시 실시형태에 따라 인터락킹된 팰릿이 이러한 팰릿에 가하여지는 여러 우발적인 상황이나 빈번한 사용에 대하여 보다 강인하고 튼튼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동체를 결합하기 위한 인터락의 예시 실시형태는 (a) 다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동체와, (b) 제2 동체를 포함하고, 제2 동체는 (i) 내부에 배치되어 각 제1 인터락킹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 또는 (ii)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가 각 제1 인터락킹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며, 각 제1 인터락킹부재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서로 맞물리어 인터락킹될 때 대응하는 제2 인터락킹부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이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동체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의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이다.
다른 예시 실시형태는 팰릿을 구성하기 위한 인터락을 갖는 동체를 인터락킹하기 위한 방법은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a) (i) 다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동체와, (ii)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가 각 제1 인터락킹부재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동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제2 돌출부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될 때 대응하는 제1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을 가짐으로서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에 결합되고, (b) 동체를 굽힐 수 있도록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서 제1 동체와 제2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만곡가능한 부분을 굽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며, (c)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어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의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이다.
또 다른 예시 실시형태는 인터락으로 연결된 다수의 동체를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a) 인터락으로 연결된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조립체가 (i)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동체와, (ii)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가 각 제1 인터락킹부재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동체를 포함하며, 각 제2 돌출부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될 때 대응하는 제1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에 결합되게 하며, (b) 동체를 굽히도록 동체에 힘을 가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며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c)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어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중의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동체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락을 제공하는 바, 이 인터락은 a) 적어도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1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을 가지며, b) 제1 인터락킹 및 제2 인터락킹의 적어도 하나가 일측 동체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타측 동체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타측 인터락킹요소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하고, c) 적어도 하나의 동체가 굽혀진 후에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제2 인터락킹요소 사이에 형성된 인터락이 유지되며, d)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 및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될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적어도 팰릿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중의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이다.
또 다른 예시 실시형태는 팰릿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터락을 갖는 동체를 인터락킹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a) i) 적어도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1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을 가지며, ii) 제1 인터락킹 및 제2 인터락킹의 적어도 하나가 일측 동체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타측 동체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타측 인터락킹요소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하고, iii) 적어도 하나의 동체가 굽혀진 후에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제2 인터락킹요소 사이에 형성된 인터락이 유지되며, iv)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 및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될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적어도 팰릿의 일부를 구성하고, b) 동체를 굽히기 위하여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굽힘가능한 부분을 굽히는 단계, c) 제1 인터락킹부재를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어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중의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이다.
또 다른 예시 실시형태는 인터락으로 연결된 다수의 동체를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a) 인터락으로 연결된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조립체가 i) 적어도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1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을 가지며, ii) 제1 인터락킹 및 제2 인터락킹의 적어도 하나가 일측 동체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타측 동체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타측 인터락킹요소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하고, iii) 적어도 하나의 동체가 굽혀진 후에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제2 인터락킹요소 사이에 형성된 인터락이 유지되며, iv)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 및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될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적어도 팰릿의 일부를 구성하고, (b) 동체를 굽히도록 동체에 힘을 가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며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c)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어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중의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이다.
본 발명을 다른 영역 및/또는 장치(예를 들어, 운송용 컨테이너 및/또는 구성분야를 포함한다)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내용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특정한 실시예는 단순히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직선형 물체와 만곡형 물체에서 중심축선의 위치를 보인 설명도.
도 2 내지 도 4는 두부분으로 된 팰릿을 예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호연결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도 2는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을 책장(冊張)의 형태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향만곡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요소를 변형 또는 굽히는데 요구된 파운드 단위의 힘과 결합량(인치) 사이의 관계를 보인 것으로, 동체를 변형 또는 굽히기 위하여 가하여지는 힘의 크기와 그 결과에 따른 결합량을 보인 그래프.
도 6 내지 도 9는 굽힘효과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6과 도 7은 베이스의 굽힘효과를 보이고 도 8과 도 9는 데크의 굽힘효과를 보인 설명도.
도 10은 동시에 인터락이 이루어지도록 면과 단부의 상향만곡효과를 보인 설명도.
도 11은 팰릿의 데크와 베이스 사이의 중앙포스트를 인터락킹하기 위한 중앙포스트 조립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12는 굽힘과 결합 사이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 13은 가요성 조립방법의 하여 조립된 팰릿과 다른 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팰릿의 분리시험의 비교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14는 단일굽힘으로 상향만곡형 변형을 이용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교차굽힘을 이용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양방향 굽힘을 이용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브릿징 포그 포켓(bridging fork pocket)을 갖는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다중 데크요소를 갖는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리빙 힌지(living hinge)가 구비된 데크를 갖는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0은 힌지로 연결되는 두 부분이 구비된 데크를 갖는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1은 분리형 고정편이 구비된 팰릿을 갖는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2는 자형 돌기가 구비된 벽체를 갖는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3은 웅형 돌기가 구비된 벽체를 갖는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4는 가요성 조립을 이용한 커버의 설명도.
도 25는 스냅락(snap lock)과 함께 여러 예시적인 인터락킹 구조를 갖는 팰릿의 실시형태를 보인 설명도.
도 26은 베이어닛 락(bayonet lock)의 예시 실시형태를 보인 설명도.
가요성 조립은 정상상태에서는 간섭하는 웅형 및 자형의 비가요성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동체를 다음의 과정으로 고정적으로 조립하고 분해하는 방법이다.
1. 하나 이상의 동체를 굽혀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조가 정상사용시의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결합구조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단계.
2. 동체의 결합구조를 결합시키는 단계.
3.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휨운동을 풀어주는 단계.
4. 이러한 과정의 역순으로 분해하는 과정.
한 실시형태에서 동체를 결합하기 위한 인터락은 (a) 다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제1 돌출부가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동체와, (b)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동체를 포함하고, 각 제2 돌출부는 각 웅형부재의 삽입을 위한 자형부재를 포함하며, 각 제2 돌출부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서로 맞물리어 인터락킹될 때 대응하는 제1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는 캠버축선(camber axis)를 가지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굽혀져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된다. 제1 동체라 할 수 있는 동체의 웅형 또는 자형 인터락킹요소에 대한 참조는 제1 인터락킹요소 및/또는 부재에 대하여서도 참조될 수 있고 제2 동체의 대응하는 자형 또는 웅형 인터락킹요소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술된 각 예시 실시형태의 제2 인터락킹요소 및/또는 부재에 관하여서도 참조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동체는 여러 조합, 구성 및 구조의 웅형 및/또는 자형 인터락킹요소를 포함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터락킹요소는 웅형 및 자형 인터락킹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는 팰릿의 베이스와 데크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 및 제2 동체는 또한 요소의 중앙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 및 제2 동체는 평면형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는 모두 평면형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하나는 평면형이고 다른 하나의 동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만곡된 형태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하나는 평면형이고 다른 하나의 동체는 돔형(domed)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웅형부재는 돌기이고 자형부재는 요구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 모두는 상향만곡형 또는 돔형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평면형 동체 및 제2 평면형 동체 모두는 캠버축선를 가지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평면형 동체와 제2 평면형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굽혀져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두개의 캠버축선를 가지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굽혀져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평면형 동체 및 제2 평면형 동체 모두가 두개의 캠버축선를 가지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평면형 동체와 제2 평면형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굽혀져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2 동체는 제2 요소의 모서리에 배치된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웅형부재가 삽입되는 자형부재는 각이 진 앵글형(angled)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리빙 힌지 또는 힌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다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부품이 힌지로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인터락은 제1 또는 제2 요소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시 실시형태에서, 인터락을 갖는 한쌍의 동체를 인터락킹하기 위한 방법은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a) (i) 제1 요소의 주연 또는 외주연을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제1 돌출부가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동체와, (ii) 제2 요소의 주연 또는 외주연을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제2 돌출부가 각 웅형부재가 삽입되는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동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제2 돌출부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될 때 대응하는 제1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캠버축선을 가지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굽혀져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되고, (b) 동체를 굽힐 수 있도록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캠버축선을 형성함으로서 제1 동체와 제2동체의 적어도 하나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며, (c)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어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 실시형태에서, 인터락으로 연결된 다수의 동체를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이 (a) 인터락으로 연결된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조립체가 (i) 제1 요소의 주연 또는 외주연을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제1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의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동체와, (ii) 제2 요소의 주연 또는 외주연을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제2 돌출부가 각 웅형부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동체를 포함하며, 각 제2 돌출부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될 때 대응하는 제1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캠버축선을 가지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굽혀져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에 결합되게 하며, (b) 동체를 굽힐 수 있도록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캠버축선을 형성함으로서 제1 동체와 제2동체의 적어도 하나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의 적어도 하나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며, (c)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를 분리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여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어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인터락으로 연결된 다수의 동체를 분리하는 상기 방법의 단계 b는 동체를 굽히고 캠버축선을 형성하도록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며 웅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을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하고, 가하여지는 힘의 크기는 다수의 웅형부재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에서 대응하는 다수의 자형부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 실시형태에서, 수지, 목재, 금속, 합성물, 혼합물 및 그 조합 등을 포함하여 여러 재료가 달리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기술된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문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형태만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어떠한 제한을 두고자 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서만 제한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달리 한정하지 않는 한, 본문에 사용된 모든 기술용어와 과학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통상의 전문가라면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문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법이나 물질이 실제로 사용되거나 예시 실시형태의 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좋은 방법과 물질에 대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직선형 물체와 만곡형 물체에서 중심축선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중심축선은 빔이나 축의 단면의 축선으로서 이를 따라 길이방향의 스트레스나 압력이 가하여지지 않는다. 만약 단면이 대칭이고 등방성이며 굽힘이 있기 전에 만곡되지 않은 경우, 중심축선은 기하학적으로 중심이다. 이러한 물체에서 중심축선의 일측부는 긴장상태인 반면에 축선의 타측부는 압축상태이다. 이러한 중심축선은 도 1에서 축선 X 로 표시하였다.
본문에서 설명되는 팰릿과 컨테이너는 데크, 베이스, 벽 및 상부벽과 같은 다수의 동체를 포함한다. 동체는 그 고유의 가요성에 의하여 굽혀질 수 있거나 리빙 힌지나 힌지에 의한 것과 같이 의도적으로 굽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체를 굽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기하학적 효과를 갖는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1
중심축선을 따라서 오목면의 지점들(points)과 중심축선에 근접한 볼록면의 지점들은 수렴한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2
볼록면의 지점들은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발산한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3
동체에 굽혀지지 않은 상태에 대하여 회전각이 형성되고 굽힘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함께 접히고 인터락킹되어 상호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두개의 동체, 즉, 팰릿 베이스(20)와 데크(25)를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면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설명을 단순화하며 팰릿의 두 부분의 인터락킹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지 팰릿에 결합되는 통상적인 보강리브, 거셋(gussets)과 채널은 도시하지 않았다.
여러 도면에서 보인 인터락킹 요소는 웅형 및 자형의 인터락킹 요소를 포함한다. 이들 도면은 구성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면에 보인 웅형 및 자형 요소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동체의 웅형 및 자형 요소는 웅형 및 자형 요소의 조합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제2 동체는 이에 대응하는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인터락킹 요소는 여러 조합, 구조 및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이 배치되는 동체와 동일 또는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팰릿은 전형적으로 직립형 페데스탈(pedestal) 또는 컬럼(column)(21)을 갖는 베이스(20)로 구성되며 팰릿 베이스의 사각형 각 변에 이들 컬럼이 3개씩 배열되어 있다. 용어 "페데스탈" 또는 "컬럼"은 상부 구조의 하중이 베이스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면에 전달하는 구조적인 요소를 일컫는다. 페데스탈 또는 컬럼의 형상과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달라질 수 있는 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인터락킹되는 웅형 및 자형부재가 페데스탈 또는 컬럼에 제공되거나 동체 자체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컬럼이 베이스의 각 모서리에 대략적으로 배치되고 컬럼이 대략 두 모서리 컬럼 사이에서 베이스의 각 변에 배치된다. 베이스의 변부를 따라 8개의 컬럼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중앙컬럼(30)이 베이스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컬럼(30)은 주연의 컬럼과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t릿의 상판, 즉 데크는 8개의 컬럼(26)을 가지며 이들 컬럼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 컬럼(21)과 인터락킹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 컬럼이 데크 컬럼과 만나는 영역에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형태인 확실한 인터락이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자형부재(22)(23)는 베이스 컬럼(21)에 형성되어 있고 웅형부재(27)(28)가 데크 컬럼(26)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서로 바뀔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팰릿의 상판, 즉, 데크는 베이스의 중앙컬럼(30)에 접촉하는 중앙컬럼(31)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베이스(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8개의 주연 컬럼(21)을 보이고 있는 바, 각 컬럼은 팰릿 데크(2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대응하는 컬럼(26)의 돌출부와 인터락킹될 수 있는 자형부재의 형태인 인터락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웅형부재(27)는 앵글형이고 팰릿 데크(25)의 모서리영역을 향하며, 선형의 웅형부재(28)는 데크(25)의 각 변의 중앙에 배치되고 웅형부재에 가장 근접한 외측변부를 향한다. 팰릿 베이스(20)에는 앵글형 웅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앵글형의 자형부재(22)가 배치되어 있으며, 팰릿 베이스(20)의 각 변의 중앙에 형성된 선형의 자형부재(23)에는 팰릿 데크(25)의 선형의 웅형부재(28)가 삽입된다.
팰릿 베이스(20)와 데크(25)의 주연영역에서 인터락킹되는 웅형부재(27)(28)와 자형부재(22)(23)는 비교적 견고하고 비가요성이다. 가요성인 대부분의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와는 다르게, 예시 실시형태에 의하여 제안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는 이들의 작동에 있어서 강인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확실하고 비가요성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견고하다는 용어는 물체가 가요성이 아니고 평상시의 형상으로부터 굽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라면 가요성이라는 용어는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굽혀질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동체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굽히는데 요구된 파운드 단위의 힘과 결합량(인치) 사이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동체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굽히는데 요구된 힘의 양과 결합량 사이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베이스(20)와 데크(25)의 대응하는 컬럼(21)(26)을 상호연결하는 수지, 또는 강철, 알루미늄, 합성물 또는 목재와 같은 다른 적당한 물질의 연결구간은 베이스(20) 및/또는 데크(25)의 굽힘으로 웅형부재 및 자형부재가 인터락킹될 수 있도록 하는 상향만곡상태가 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는 웅형 및 자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가요성을 갖는 반면에 웅형 및 자형부재는 견고하다. 이는 결합요소가 가요성을 가지고 동체는 비교적 견고한 스냅-탭(snap-tap) 결합방식과는 상이하다(그러나, 예시 실시형태에서, 스냅-탭 또는 스냅결합구가 더욱 큰 강도를 제공하거나 견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베이스(20)를 이용하여 도 6과 도 7에서 가장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컬럼(21)은 베이스(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자형부재(22)는 이격거리(offset distance)(24) 만큼 베이스(20)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평상시 평탄한 형태의 베이스(2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평탄한 형태에서, 두 컬럼(21) 사이의 거리는 인터락거리(interlock distance)라 한다. 베이스(20)가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은 방향으로 굽혀질 때, 요소의 구조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형상이 변화하며, 컬럼(21)을 베이스(20)에 연결하는 수지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베이스(20)가 상향만곡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컬럼(21)의 말단부(distal portion)는 굽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위치에 대하여 외측으로 이동하는 한편, 컬럼(21)의 기단부(proximal portion)는 굽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위치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동한다. 베이스(20)의 굽힘은 컬럼(21)이 굽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본래의 각도에 대하여 각 θ의 위치에 놓인다. 베이스(20)의 굽힘은 컬럼(21) 사이의 거리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컬럼(21) 사이의 플렉스거리(flex distance)로 증가하도록 한다. 이는 컬럼이 가볍게 벌어지도록 하여 중첩되는 팰릿 데크로부터의 웅형부재가 베이스의 자형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달리 표현한다면, 베이스(20)의 굽힘은 컬럼(21)이 벌어져 자형부재(22) 사이의 거리가 벗어난 거리, 즉 이탈거리(departure distance) 만큼 증가하며, 이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계산된다.
컬럼 사이에 나타날 수 있는 증가된 거리의 양은 동체와 컬럼의 재료특성, 보강리브나 거셋의 구성, 그리고 동체에 형성된 채널, 동체를 굽히는데 사용된 힘의 양, 그리고 동체를 굽히기 위하여 동체에 대하여 가압되는 물체의 형상과 크기 등의 여러 요인의 함수이다.
동체에 요구된 굽힘양은 결합요소의 방향과 배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컬럼에서 베이스로부터 자형부재 까지의 거리는 거리의 양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컬럼 사이의 개방정도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증가하여야 한다. 이는 굽힘과정에서 컬럼이 이동할 수 있는 각도 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베이스로부터 자형부재가 컬럼상에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증가하므로, 동일한 각도 θ에서 얻을 수 있는 분리정도는 더 커진다. 각도 θ의 싸인값에 이격거리(24)를 곱하면 자형부재(22) 사이의 증가된 공간분리의 값을 얻을 수 있다. 가요성 베이스(20)의 구간으로부터 자형부재(22) 까지의 이격거리(24)가 크면 클수록,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가 굽혀질 때 자형부재가 이동하는 이탈거리의 크기는 더 커질 것이다. 가요성 베이스(20)의 구간으로부터 자형부재(22) 까지의 이격거리(24)에 따라서,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은 베이스(20)의 굽힘상태는 데크 돌출부의 웅형부재(27)가 베이스의 자형부재(22)에 직접 배치되도록 조립하는데 적합하다. 한 실시형태에서, 요구된 굽힘양은 동체의 한 면을 따라 배치된 한 셋트의 웅형부재를 대응하는 자형부재에 먼저 삽입함으로서 감소될 수 있다.
반대효과는 데크(25)가 도 8에서 보인 그 평상시의 위치로부터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향만곡된 위치로 굽혀질 때 나타난다. 비록 웅형부재(27)를 삽입하기 위한 데크(25)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작아도, 데크(25)가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향만곡될 때 웅형부재(27)는 짧은 내부돌출거리로 굽혀진다. 팰릿은 하중을 지지하는 데크의 상판과 컬럼을 지지하는 저면 스트랩 사이에 약 5"의 분리공간을 요구한다. 인터락은 5" 컬럼의 중간에서 만나도록 하거나 이들의 단부를 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터락의 결합은 상판 또는 저면판의 굽힘특성(bendability)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팰릿의 저면판은 상판인 데크 보다 가요성이 더 클 수 있으며, 인터락을 상판과 저면판 사이에 연장된 컬럼의 중앙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어 베이스를 굽힐 때 베이스 인터락이 충분히 벌어짐으로서 데크의 인터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와 데크는 각각의 굽힘이 이들 둘 사이에 최적한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7과 도 9에서 보인 직삼각형은 인터락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굽힘각도를 개략적으로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다. 베이스 컬럼에서 자형부재는 베이스의 굽힐 수 있는 구간으로부터 이격거리(24)를 갖는다. 직삼각형은 컬럽(21)을 굽히는 각도 θ의 싸인값에 이격거리를 곱하여 베이스(20)의 구간이 상향만곡될 때 자형부재 사이의 증가된 굽힘거리 또는 이탈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도 9에서 보인 삼각형은 각도 θ의 싸인값과 작은 이격거리(29)를 곱하여 데크가 도 9에서 보인 상태로 상향만곡될 때 데크(25)의 웅형부재(27)가 보다 짧은 플렉스거리로 이동하는 것을 보이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단 하나의 동체만을 굽혀 타측 동체에 삽입함으로서 팰릿을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체는 보다 긴 이격거리를 갖는 높이가 높은 컬럼을 가질 수 있다.
결합구조가 중앙의 굽힘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조립되는 동체는 가장 효과적으로 결합구조를 위한 조립간격을 형성하도록 동체를 따른 지점들의 수렴과 발산을 이용한다. 두개의 평행한 동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정도로 굽혀질 때 이들의 표면은 종이더미의 정연한 가장자리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한다. 이는 결합구조가 슬라이딩운동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동체만 굽혀질 때, 결합구조는 슬라이딩과 회전의 조합된 운동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형태에서, 동체의 결합은 일측 동체의 인터락킹 요소가 이에 대응하는 타측 동체의 인터락킹 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동체를 타측 동체(상향만곡상태 또는 이완된 상태)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회전운동을 허용하는데 필요한 간격을 제거하기 위하여 만곡된 결합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간격을 둔 평행한 동체는 보다 효과적이 고정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하학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앙의 굽힙축선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돌출부룰 이용할 수 있다.
결합구조가 중앙의 굽힘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조립되는 동체는 가장 효과적으로 결합구조를 위한 조립간격을 형성하는 회전각도를 이용한다.
추가로 결합구조가 굽힘중심으로부터 배치되고 더 깊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우선 실시형태는 동체의 주연 또는 외주연에 배치되는 결합구조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경우, 일부의 결합구조는 동체를 변형시킴이 없이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결합구조는 일련의 굽힙단계로 동체를 굽혀 결합되어야 하며, 이는 아직 결합되지 않은 결합구조를 분리하기 위한 2차굽힘을 요구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결합구조는 돔형(domed fashion)으로 굽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락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는 인터락이 베이스와 데크 사이에 긴장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긴장상태는 베이스와 데크가 아주 가볍게 상향만곡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상태는 하중이 팰릿의 데크상에 가하여질 때 평탄하게 된다. 이는 인터락의 힘이 두 팰릿의 동체에 가하여져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인터락의 긴장상태는 데크 인터락에 압축력이 가하여지고 베이스 인터락에 긴장력이 가하여질 수 있도록 한다. 팰릿 인터락의 다른 우수한 설계는 인터락의 정위치에 함께 배치되는 디텐트(detent)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텐트는 인터락이 상대측에 대하여 완전히 경합될 때 클릭음이 발생할 것이다. 또한 디텐트는 팰릿의 조립이 이를 분해할 때 보다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 실시형태에 따른 두 부분으로 구성된 수지 팰릿구조의 다른 요인은 재료의 물리적인 특성 및 화학적인 특성이 관련될 수 있다. 스트레스, 압박, 크리프(creep) 및 기타 다른 고려가 인터락이 강인하고 긴 수명을 갖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팰릿의 베이스 또는 데크의 상향만곡은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돔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두개의 수직축선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들 부분을 나란히 또는 단부와 단부를 이어 굽히어 각 팰릿의 반부분이 돔형을 이루어 웅형부재와 자형부재가 동시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필요한 모든 것은 팰릿의 베이스(20)와 데크(25)의 양측면과 단부가 함께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한편 베이스와 데크를 상향만곡되게 굽힐 수 있도록 팰릿의 중앙영역에 양력을 가하는 것이다. 이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이들의 플렉스거리로 이동시켜 이들이 인터락킹될 수 있도록 한다. 양력이 해제되고 베이스(20)와 데크(25)가 이들의 본래위치로 복귀될 때 인터락이 이들을 하게 단단히 고정한다. 이로써 이루어지는 조립은 팰릿이 거친 환경에서 사용되는 동안에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특별히 튼튼하고 내구성을 갖는다.
팰릿의 베이스와 데크를 돔형으로 만곡시키는 것, 즉, 상향만곡시키도록 굽히는 것은 팰릿이 하중을 받아 움직여지는 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팰릿의 베이스와 데크가 이들이 함께 결합될 때까지 이들 부분을 굽혀 돔형이 되도록 함으로서 인터락킹되었을 때, 팰릿은 정성적인 사용중에 인터락을 조립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과 같이 팰릿의 부분들은 상향만곡형 또는 돔형의 형태로 굽히게 되는 힘이 가하여지지는 않으므로 이들 팰릿의 부분들은 팰릿의 사용수명기간동안에 확고한 인터락킹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조립된 팰릿은 세척이나 부품의 교환 또는 보수를 위하여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돔형의 형태로 굽혀질 수 있다.
요약컨데, 인터락 조합은 굽혀지지 않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대향되게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는 인터락 사이의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가 굽혀질 수 있는 동체상에 배치되며, 웅형부재와 자형부재가 이격거리(od) 만큼 가요성 동체로부터 벗어나 있어 동체가 굽혀져 인터락이 각도θ로 경사지며 인터락이 굽혀지지 않은 위치로부터 이탈거리(dd) 만큼 벗어나도록 하고, 인터락의 이탈거리(dd)는 각도 θ의 싸인값에 요소로부터 인터락의 이격거리(od)를 곱한 것과 같으며, 굽힘에 의하여 얻게 되는 이탈거리는 동체가 인터락에 충분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거나 인터락으로부터 동체를 충분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쌍의 동체를 조합으로 연결하는 대향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갖는 인터락은 동체에서 인터락거리 만큼 간격을 두고 있는 인터락을 포함하고, 동체는 인터락 사이의 구간에서 가요성을 가짐으로서 동체를 굽히는 것으로 인터락이 각각의 각도 θ 만큼 경사지게 되며, 인터락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가 각 이격거리(od) 만큼 가요성 동체의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동체가 굽혀져 인터락이 경사질 때 인터락이 각 이탈거리(dd) 만큼 인터락거리로부터 이동하며, 각 인터락의 이탈거리(dd)는 각각의 각도 θ의 싸인값에 각 이격거리(od)를 곱한 것과 같고, 전체의 각 이탈거리 만큼 인터락을 이동시킴으로서 인터락이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팰릿의 베이스와 데크를 조합으로 연결하는 대향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갖는 인터락은 베이스의 구간이 간격을 두고 인터락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러한 베이스의 구간은 인터락이 경사지도록 상향만곡형태로 충분히 굽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요성을 가지며, 인터락이 벌어져 경사짐으로서 인터락이 경사지지 않으면 불가능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인터락을 갖는 한쌍의 동체를 견고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이용하여 인터락킹하는 방법이 한 동체의 가요성 구간만큼 인터락을 분리하는 단계, 요소의 가요성 구간으로부터 인터락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어긋나게 배치하는 단계, 굽혀지지 않은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인터락을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동체 구간을 굽히는 단계와,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조립하고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비파괴방식으로 동체 구간을 굽힘으로서 인터락이 벗어나도록 하는 것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락으로 상호 연결되는 한쌍의 동체는 동체의 본래상태에서는 조립될 수 없는 견고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갖는 인터락을 포함하고, 동체의 인터락은 적어도 하나의 동체를 본래의 상태로부터 굽혀 인터락이 조립되거나 분해될 수 있는 위치로 경사지게 하도록 배치되며, 인터락이 조립되었을 때, 이들이 가요성 요소를 굽히지 않고는 분해될 수 없다.
예시 실시형태는 팰릿의 부분들이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축선에서 굽혀져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굽힘축선은 팰릿의 폭이 좁은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 축선, 팰릿의 폭이 넓은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 축선, 팰릿의 부분들의 중심을 지나는 모든 대각선의 축선, 또는 팰릿의 부분들을 정점의 중심에서 돔형으로 굽힐 수 있는 팰릿 부분들의 중심을 지나는 모든 축선을 포함한다. 우선 실시형태는 특별한 순서로 굽히는 것에 관련이 있는 바, 먼저 팰릿의 폭이 넓은 측부에서 중심요소 또는 부재를 결합하도록 폭이 좁은 부분의 축선을 따라 굽힌 다음, 팰릿의 폭이 좁은 부분에서 모서리와 중심요소 또는 부재를 결합하도록 폭이 넓은 부분의 축선을 따라 굽힌다.
플렉스 락(flex lock)은 각 주연부재 또는 요소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고 팰릿의 상부 데크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이들 플렉스 락은 조립을 위한 회전방향으로 팰릿의 중심을 향하여 팰릿의 각 부재 또는 요소로부터 연장되어 있다.팰릿의 베이스의 부재 또는 요소의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부 데크의 하측으로 연장된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부재 또는 요소들 사이의 유효구간을 줄이므로서 팰릿의 편향을 줄인다. 이러한 구성은 일측 팰릿 부분의 구조물에 근접하도록 인접한 부재 또는 요소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조합으로 인터락킹되는 거의 평행한 한쌍의 동체는 인터락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가 경고하고 동체의 가요성 구간에 의하여 분리되어 동체 구간의 굽힘으로 인터락의 간격이 변화하여 동체구간이 굽혀지지 않으면 불가능한 인터락이 함께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의 등식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 팰릿의 예시 실시형태에 대하여 제공된 것으로, 팰릿의 한 동체의 굽힘각도가 동체의 양측에서 웅형부재가 대응하는 자형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컬럼의 개방으로 단단한 인터락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사이의 유효한 결합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도 7 및 도 9에서 보인 각도 θ를 결정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컬럼이 움직이는데 필요한 거리(또는 각도)는 먼저 동체의 일측부를 따라 배치된 웅형부재의 한 셋트를 대응하는 자형부재에 삽입함으로서 감소될 수 있다. 등식은 간단히 지지된 빔(beam)에 적용한 것으로, 빔의 길이는 2L 이고 X = L 또는 1/2 빔길이 이다. 각도 θ 에 대한 등식은 Y 에 대한 등식으로부터 유도되고 X 에 대한 Y 의 차이는 휨곡선(deflection curve)의 기울기이다. 합리적이고 전형적인 값이 대입되었을 때, 약 0.125" ~ 약 0.75"의 결합범위(좋은 범위는 약 0.25" ~ 약 0.5" 이다)는 요구된 각도 θ를 얻기 위하여 가요성의 굽힘을 조절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이격거리(od)는 팰릿에서 약 5"으로 제한되나 일측 팰릿 부분에 대하여서는 현저히 작을 수 있다. 데크와 베이스는 약 5" od 를 공유하고 공유하는 비율은 각 동체의 견고성에 관련이 있다. 또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결합(engagement)은 데크와 베이스 사이에 연장된 컬럼의 크기에 대하여 제한된다. 수지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의 팰릿의 컬럼은 약 5-9"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으므로 약 0.125 ~ 약 0.75"의 범위에서 결합되는 것에 필요한 것 보다 더 멀다(좋은 범위는 약 0.25"~ 약 0.5"의 범위이다. 좋은 결과의 그래프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4
아래의 등식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 팰릿의 예시 실시형태의 상부 및 하부 동체의 관성모멘트에 대한 비례강도(proportional stiffness)를 설명하고 있다. 상부 데크는 1" 두께의 빔에 대하여 계산되고 베이스는 0.5" 빔에 대하여 계산되었다. 전체 팰릿의 높이는 5"가 되었다. 이러한 정보는 중심(重心)과, 적극적으로 상효작용하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로 함께 고정적으로 데크와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서 얻게 되는 증가된 강도의 비율을 계산하는데 적용된다. 비율을 약 65:1로 대입하여 등식헤서 보인 전형적인 계산은 팰릿의 데크와 베이스가 고정적으로 인터락킹되었을 때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비율의 좋은 범위는 약 40:1 내지 약 80:1 이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5
도 11은 팰릿의 베이스(20)와 데크(25) 사이의 중앙포스트를 인터락킹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우선하여 사용된 8개의 모서리와 측면각부 대신에 베이스(20)에 모서리 각부만을 도시하였다. 베이스(20)에는 직립형의 원통형 중앙포스트(30)가 구성되어 있고, 팰릿 데크(25)에는 포스트(30)내에 삽입할 수 있는 중앙포스트(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돔형 베이스(20)는 중앙포스트(30)를 상측으로 상승시킴으로서 데크(25)의 포스트(40)가 중앙포스트(30)측을 하\ㅑㅇ하여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포스트는 중공형일 수 있고, 포스트(30)(40) 사이의 결합은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꼭 맞는 것이 좋다.
또한 포스트(30)(40)는 도 11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베이어닛 조인트(bayonet joint)의 각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데크(25)가 베이스(20)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포스트(40)가 모든 방향에서 포스트(3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데크(25)가 베이스(20)에 맞추어지도록 회전복귀될 때, 베이어닛 조인트가 결합되고 포스트(30)(40)가 함께 고정된다. 이는 데크(25)와 베이스(20) 사이의 부가적인 고정강도를 높이고 포스트가 함께 고정됨으로서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팰릿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 팰릿조립체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분리하기 위한 실질적인 힘을 받게 된다. 대개 이들 힘은 팰릿 잭(pallet jack)의 바퀴가 팰릿의 하측부분의 팰릿 스트랩(pallet strap)상에 배치되었을 때 팰릿의 하측에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팰릿을 들어올리는 힘이다. 예시 실시형태는 통상적인 스냅 락(snap lock)의 방식으로 결합된 것에 비하여 이러한 힘을 견디는 강도가 실질적으로 더 크도록 한다. 스냅 락의 방식은 결합을 위하여 충분히 약하고 유연하여야 하기 때문에 분리에 대한 저항의 강도가 제한되는 반면에, 가요성 조립방법을 이용하는 인터락킹 구조는 이들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재질이나 디자인이 허용하는 한 견고하고 튼튼하다. 인터락킹 구조는 달리 제한없이 반원형, 삼각형, 타원형, 사각형 접촉영역,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우선 실시형태는 분리력의 축선을 따라 결합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힘을 견딜 수 있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부분의 요소에 연결된 리브를 갖는 사각형 상자체이다.
가요성 조립은 조립을 위하여 가하여지는 힘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굽힘으로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팰릿의 경우, 분리는 팰릿을 중앙에서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팰릿의 주연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실시형태는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분해력을 저지하기 위하여 인터락킹 결합의 방향과 평행한 수평축선에서 결합되는 스냅 락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스냅 락은 스냅 핑거(snap finger)의 후단면의 경사각도에 기초하는 팰릿의 조립력에 대하여 적절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스냅 핑거가 손상됨이 없이 조립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스냅 핑거의 선단변부의 면에서 팰릿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스냅 락일 수 있다. 또한, 우선 실시형태에서, 스냅 핑거는 팰릿의 부분들이 손상됨이 없이 조립력 보다 크고 달리 적용된 적이 없는 힘의 크기로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단변부의 경사면의 기울기 보다 커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냅 핑거를 굽히도록 하는데 보다 큰 힘을 요구하는 스냅 핑거의 선단변부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두 동체가 접촉이 없는 영역 또는 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결합요소내에 간격 또는 유연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체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러한 형태의 연결은 최대분리량이 한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동체는 중력 또는 스프링요소를 통하여 접촉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동체가 무단히 분해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요구될 때, 결합요소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여러 수단, 달리 제한없이 핀, 파스너, 용접, 스냅고정, 디텐트(detent)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동체가 구조적인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함께 연결고정될 때, 결합방향으로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인터락을 프리로드(preload)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요소의 간격 때문에 나타나는 편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결합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억지끼워맞춤이나 테이퍼형 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요성 조립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과정은 부품들이 아직 따뜻하여 굽히기가 보다 용이할 때, 특히 패밀리 몰드(family mold)가 사용될 때 성형과정과 통합될 수 있다. 부가적인 이점은 부품들이 냉각중에 뒤틀림이 최소화되도록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본문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이후 설명되는 다음의 다른 디자인 또는 조립체 이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동체를 함께 용접하거나 접착할 때, 세척이나 보수를 위하여 제품을 분해할 수 없다. 스냅결합방식의 이용은 결합요소를 굽혀야 하는 필요성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취약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스냅구조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요구된 간격 때문에 느슨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핀 또는 고정구의 이용은 조립을 위하여 부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고 부품은 위치를 이탈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예시 실시형태는 최소의 변형으로 실질적인 힘을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패널을 요구하고, 특히 힘이 패널이 수직인 한 방향으로만 가하여지는 벌크 컨테이너의 베이스나 벽과 같은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벌크 컨테이너의 팰릿 베이스나 정수압이 외측으로 가하여지는 느슨한 하중이 실리는 벌크 컨테이너의 측벽의 경우가 될 것이다.
가요성 조립은 두 부분이 중앙의 회전점에서 굽혀질 때 두 부분이 수평축선을 따라 이동하는 변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변위는 굽힘각도와 회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이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팰릿의 중앙각부인 회전점에서, 결합을 위한 변위가 없으므로 다른 고정결합방법이 요구된다. 이는 결합없이 수행되어 두 부분이 수직평면에서 내외측으로 활동하고, 스냅결합, 고정구, 접착제 또는 용접을 이용하나, 우선 실시형태는 회전 또는 베이어닛 결합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결합은 먼저 모든 4개의 변에서 하측 부분을 굽혀서 상측과 하측 부분이 함께 직각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상측 부분만을 회전시켜 결합되게 하여 사각형이 되도록 함으로서 수행된다. 이러한 결함 매카니즘은 스냅방식의 결합과 같은 다른 방식 이상으로 가요성 결합에 대한 유사한 이점을 제공하여 간극이 없고 분리력에 대항하면서 결합구조가 실질적으로 견고하고 강하게 될 수 있다.
예시 실시형태의 부가적인 이점은 조립된 상태에서 팰릿 부분 사이의 갭(gap)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인터락킹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냅 락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간극을 필요로 한다. 결합이 대형화되고 가요성 탭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보다 큰 간극이 요구된다. 이러한 간극은 팰릿에 하중이 실렸을 때 팰릿의 두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갭 측으로 이동하여 두 부분 사이에서 하중의 이동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체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예시 실시형태에서, 락(lock)은 두 부분 사이의 갭을 제거하여 이들 사이의 최적한 하중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극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 두 부분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는 것은 갭에 오염물이 채워질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실시예
팰릿 분리시험
팰릿 잭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힘과 같이 팰릿의 하부 베이스로부터 상부의 데크를 분리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힘에 대한 여러 팰릿조립방법의 상대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4개의 필릿 샘플이 시험되었다. 폭 7" x 길이 48"의 크기를 갖는 팰릿의 스트립이 팰릿 잭이 가장 빈번하게 접근하게 되는 팰릿의 장변부에 형성된 하나의 포크 포켓 개방부를 격리하기 위하여 시험되었다. 유압잭이 하나의 포크 포켓 개방부에서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 데크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유압잭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로드셀(load cell)이 사용되었다. 잭의 각 스트로크 변위는 0.71"이었다. 각각 0.71"의 변위가 증가할 때마다 요구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스트로크후에 힘이 기록되었다. 4개의 각 팰릿 샘플이 파손될 때까지 시험되었다. 4개의 팰릿은 일반적인 3가지의 팰릿조립방법과 본문에 기술된 예시 실시형태의 주제인 가요성 조립방법으로 시험되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팰릿의 재질은 합성수지이다.
1. 가요성 조립.
2. 용접조립.
3. 목재를 못으로 조립한 못-목재 조립.
4. 스냅결합조립.
시험의 결과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실시형태에서, 인터락은 특별한 순서에 따라 자형부재와 웅형부재를 연결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자형부재와 웅형부재를 연결하는 순서는 동체를 다음과 같이 번호를 지정한 3 x 3 매트릭스인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될 수 있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6
아래에 보인 각 도면에서, 각 동체는 이러한 매트릭스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래에서 보인 것은 도 15에서 보인 동체, 교차굽힘의 실시형태이다.
Figure 112013012126392-pct00007
요소(76)를 포함하는 동체의 부분은 매트릭스에서 블록 1에 해당한다. 유사하게, 요소(77A)를 포함하는 동체의 부분은 매트릭스에서 블록 2에 해당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15의 요소번호와 매트릭스 사이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요소# 매트릭스# 요소# 매트릭스#
76 1 66 6
77A 2 72 7
64 3 79 8
74 4 70 9
68 5
다음의 표는 상기 매트릭스에 따른 조립순서의 일반적인 설명을 보이고 있다.
도면 제목 설명
13 돔형 편향 상향만곡으로 1-2-3-4-5-6-7-8-9를 결합.
14 돔형 편향 상향만곡으로 1-2-3-4-5-6-7-8-9를 결합.
15 교차굽힘 상향만곡으로 2-4-5-6-8을 결합하고 하향만곡으로 1-3-7-9를 결합.
16 양방향 굽힘 4-5-6을 결합하고 1-2-3-7-8-9를 결합.
17 브릿징 포크 포켓 회전시켜 5를 결합하고 4-6을 결합하며 이후 1-2-3-7-8-9를 결합한다. 강도를 부가하기 위하여 포크 포켓에 돌기삽입.
18 다중형 팰릿 4개의 데크편을 각각 결합.
19 리빙 힌지 15와 유사
20 힌지 15와 유사
21 분리형 고정편 15와 유사
22 벽 자형 가요성 조립 하나 이상의 벽을 굽혀 조립된 벽, 자형.
23 벽 웅형 가요성 조립 하나 이상의 벽을 굽혀 조립된 벽, 웅형.
24 커버 가요성 조립 벽과 유사하나, 오일-캔의 가요성 커버.
도 14는 돔형의 편향을 이용한 예시적인 단일굽힘(Single Flex)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예시 실시형태(50)에서, 동체(51)(52)가 함께 결합되어 팰릿을 구성한다. 결합은 동체(51)(52) 중의 하나를 돔형의 상향만곡으로 굽혀 각 웅형 및 자형부재(52와 53, 54와 55, 56과 57)가 결합될 수 있고 굽혀진 동체(51 또는 52)를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호결합하는 인터락킹이 이루어진다.
도 15는 팰릿을 구성하도록 결합되는 동체부재(61)(6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교차굽힘(Alternating Flex) 실시형태(60)를 설명하고 있다. 동체부재(61)(62)는 각각 결합되어 인터락을 형성하는 각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를 포함한다. 각 웅형 및 자형부재의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동체(61)(62)를 상향만곡시켜 웅형 및 자형부재(65와 66, 78과 79, 67과 68, 77과 77A, 73과 7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동체(61)(62)를 하향만곡시켜 나머지 각 웅형 및 자형부재(69과 70, 75와 76, 70과 71, 63과 64)가 결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도 16은 팰릿을 구성하도록 결합되는 각 쌍의 웅형 및 자형부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방향 굽힘형(Flex-2-direction) 실시형태(80)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웅형 및 자형부재의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동체(81)(82)를 굽혀 웅형 및 각 자형부재(97과 98, 91과 92, 85와 86)를 결합하고 다시 적어도 하나의 동체(81)(82)를 다른 방향으로 굽혀 웅형 및 각 자형부재(95와 96, 89와 90, 83과 84, 99와 100, 93과 94, 87과 88)를 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17은 팰릿을 구성토록 결합되는 동체(106)(107)를 포함하는 브릿징 포크 포켓(Bridging Fork Pocket)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동체(106)(107)는 팰릿을 구성하기 위하여 동체(106)(107)를 연결토록 결합되는 각 웅형 및 자형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동체(106)(107)의 결합은 회전시켜 웅형 및 각 자형부재(117)(116)를 결합하고 각 웅형 및 자형부재(122와 123, 110과 111)를 결합하며 이어서 결합요소(120과 121, 114와 115, 108과 109)와 요소(124와 125, 118과 119, 112와 113)를 결합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돌기는 포크 포켓에 삽입되어 부가적인 강도가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렉스 락(flex lock)이 각 주연의 각부 또는 각부의 외측내에 배치되고 팰릿의 상부 데크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이들 락은 팰릿의 각 각부로부터 조립을 위한 상향만곡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방향으로 팰릿의 중앙을 향해 연장된다. 베이스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고 상부 데크의 하측으로 연장된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컬럼 사이의 유효구간을 줄임으로서 팰릿의 편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구조는 상부 데크와 베이스 컬럼 사이의 중요한 접속부에서 구조가 연속하여 단일체 팰릿의 구조에 가깝도록 하기 위하여 인접한 컬럼에 도달하도록 연장된다.
도 18은 동체(141)(14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다중형 팰릿(Multi-piece Pallet) 실시형태(140)를 보인 것으로, 동체(141)(142)는 팰릿을 구성토록 이들 동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웅형 및 자형부재를 포함한다. 다중형 팰릿 실시형태는 각 자형부재(별도로 부호를 붙이지 않음)에 결합하는 여러 웅형부재(143 A-D, 144 A-D, 145 A-D, 146 A-D)를 포함하는 4개의 커버편(143,144, 145 및 146)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도 19는 동체(186)(187)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리빙 힌지(Living Hinge) 실시형태(185)를 보인 것으로 이들 동체는 팰릿을 구성토록 동체(186)(187)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각 웅형 및 자형부재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185)는 동체(187)상에 배치된 리빙 힌지(188)를 포함한다(그러나 다른 예시 실시형태에서는 리빙 힌지가 다른 동체부재에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리빙 힌지(188)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굽혀 도 15에서 보인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웅형 및 자형부재(203과 204, 197과 198, 191과 192)가 결합되고 이어서 다른 방향으로 굽혀 웅형 및 각 자형부재(201과 202, 195와 196, 189와 190, 193과 194, 199와 200, 205와 206)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 20은 동체(251)(252)와 동체(252)에 베치된 힌지(253)를 포함하는 팰릿(250)의 예시적인 힌지(Hinge)형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그러나 다른 예시 실시형태에서는 힌지가 다른 동체요소 2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빙 힌지 실시형태(185)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힌지(253)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굽혀 도 15에서 보인 예시 실시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웅형 및 자형부재(256과 257, 262와 263, 268과 269)가 결합되고 이어서 각 웅형 및 자형부재(266과 267, 260과 261, 254와 255, 258과 259, 264와 265, 270과 271)가 결합된다.
도 21은 각 웅형 및 자형부재를 갖는 동체(286)(287)와 팰릿을 구성하기 위하여 동체(286)(287)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분리형 고정편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분리형 고정편 실시형태(285)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분리형 고정편은 동체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결합은 도 15에서 보인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동체(286)(287)를 굽혀 웅형 및 각 자형부재(302와 303, 303A와 296, 297과 290, 291과 291A)가 결합되고 이어서 요소(300과 301, 301A와 294, 295와 295A, 288과 289, 289A와 304, 305와 305A, 298과 299, 299A와, 292, 293과 293A)가 결합된다.
도 22는 4개의 벽(351)(352)(353)(354)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벽 자형 가요성 조립체(Wall Female Flex Assembly)(350)를 보인 것으로, 각 벽은 변부영역을 따라서 한 셋트의 웅형부재(355) 또는 자형부재(356)를 가짐으로서 웅형부재(355)가 대응하는 자형부재(356)에 결합하여 모서리에서 벽부재가 함께 결합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 실시형태(350)에서, 벽부재(351)는 적어도 하나의 벽부재(351)(352)를 굽혀 웅형부재(355)가 자형부재(356)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벽부재(352)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벽부재(351)(352)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웅형부재(355)와 자령부재(356)가 결합되어 인터락킹된다.
도 23은 벽(386)(387)(388)(389)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벽 가요성 조립체(Wall Flex Assembly)(385)를 보인 것으로, 이들 벽은 다수의 자형결합부재(390)와 이에 대응하는 웅형결합부재(39)를 포함한다. 벽조립체는 자형결합부재(390)와 벽부재(387)(389)의 웅형결합부재(391)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예를 들어 벽요소(38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벽요소를 굽혀 조립될 수 있는 것으로 벽부재(386)가 굽히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벽부재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24는 원통형 동체(402)와 원형 커버(401)를 갖는 예시적인 커버 가요성 조립체(Cover with Flex Assembly)(400)를 보인 것이다. 커버(401)와 동체(402)의 결합은 동체(402)의 상측 개방부의 웅형 인터락부재(403)와 커버(401)의 변부를 따라 배치된 자형결합부재(403)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커버(401)가 굽혀지거나 상향만곡되거나 동체(402)가 굽혀지거나 상향만곡되어 웅형결합부재(404)가 자형결합부재(403)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커버(401) 또는 동체(402)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웅형결합부재(404)와 자형결합부재(403) 사이의 인터락킹 상태가 유지된다.
예시적인 구조와 방법이 그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 변경과 수정이 있을 수 있고 동등한 실시형태가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문에 언급된 각 특허, 특허출원, 공보, 텍스트 및 문헌 등은 그 전체가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여러 실시형태, 특정 실시형태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있으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여러 수정, 대체, 생략 및 변경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동등한 내용을 포함하는 다음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서만 한정될 수 있는 것이다.
20: 베이스, 21: 컬럼, 22, 23: 자형부재, 24: 이격거리, 25: 팰릿 데크, 26: 컬럼, 27, 28: 웅형부재, 30: 중앙컬럼.

Claims (27)

  1. 팰릿이며,
    (a) 다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동체로서, 다수의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인터락킹부재는 강성을 갖는, 제1 동체와,
    (b) 제2 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체는,
    (i) 제2 동체 내부에 위치하고 강성을 각각 가지며, 제1 인터락킹부재 각각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 또는
    (ii) 다수의 제2 돌출부로서, 다수의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가 제1 인터락킹부재 각각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인터락킹부재는 강성을 갖는, 다수의 제2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인터락킹부재 각각은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될 때 제2 인터락킹부재와 결합되도록 배치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이 제2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제2 동체의 말단부분 외측으로의 기울어짐과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동체의 말단부분 내측으로의 기울어짐 중 적어도 하나를 허용함으로써, 제1 인터락킹부재가 제2 인터락킹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각각 그들의 중앙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이 조립된 상태일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평면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이 조립된 상태일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모두 평면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이 조립된 상태일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하나는 평면형이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만곡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이 조립된 상태일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하나는 평면형이고, 다른 하나는 돔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이 조립된 상태일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 모두가 상향만곡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의 제1 동체 및 평면형의 제2 동체 모두가 가요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가요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와 제2 동체 모두가 평면형이고 가요성을 가져서,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 중 적어도 두개가 다수의 대응하는 제2 인터락킹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와 각각 결합하는 것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락킹부재가 앵글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힌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각은 힌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킹은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제1 또는 제2 인터락킹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17. 팰릿을 구성하기 위한 인터락을 갖는 동체들을 인터락킹하기 위한 방법이며,
    (a) (i) 다수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동체로서, 다수의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제1 인터락킹부재는 강성을 갖는, 제1 동체와,
    (ii) 다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동체로서, 다수의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가 제1 인터락킹부재 각각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제2 인터락킹부재는 강성을 갖는, 제2 동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동체를 굽히기 위해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동체 및 제2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만곡가능한 부분을 굽히는 단계로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 외측으로 기울어지고,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의 말단부분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단계와,
    (c) 적어도 제1 돌출부 상의 제1 인터락킹부재가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 상의 제1 인터락킹부재 중 적어도 두개의 제1 인터락킹부재와 결합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를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되는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수의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는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될 때 다수의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와 각각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가요성을 가져서 제2 인터락킹부재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분 외측으로의 기울어짐과 제1 인터락킹부재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분 내측으로의 기울어짐 중 적어도 하나를 허용함으로써, 제1 인터락킹부재 중 적어도 두개가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 중 하나와 각각 결합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동체를 굽히기 위해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동체 및 제2 동체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적어도 두개의 제2 돌출부의 말단부분 외측으로 기울어지고, 제1 인터락킹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1 돌출부 중 적어도 두개의 말단부분 내측으로 기울어지며, 가하여지는 힘의 크기는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인터락킹부재의 다수 중 하나와 각각 결합하는 것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되는 것은 다수의 제1 인터락킹부재 중 적어도 두개가 다수의 제2 인터락킹부재 중 하나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동체 및 제2 동체를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팰릿이며,
    a) 적어도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요성을 가져서 제1 동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제2 동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와 결합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는 강성을 가지고,
    b)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의 타측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하고,
    c) 적어도 하나의 동체가 굽혀진 후에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 사이에 형성된 인터락이 유지되며,
    d)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될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팰릿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21. 팰릿을 구성하기 위한 인터락을 갖는 동체들을 인터락킹하기 위한 방법이며,
    (a) i)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가요성을 가져서 제1 동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제2 동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제2 인터락킹요소와 결합하도록 하고,
    ii)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의 타측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하고,
    iii) 적어도 하나의 동체가 굽혀진 후에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 사이에 형성된 인터락이 유지되며,
    iv)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가 결합될 때,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팰릿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단계와,
    (b) 동체를 굽히기 위해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만곡가능한 부분을 굽히는 단계로서,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를 포함하는 제2 동체의 말단부분 외측으로 기울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를 포함하는 제1 동체의 말단부분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단계와,
    (c)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와 결합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는 단계와,
    (d) 힘을 제거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되는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 및 제2 동체 중 하나가 팰릿의 베이스이고, 다른 하나가 팰릿의 데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동체를 굽히기 위해 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동체 및 제2 동체를 상향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동체와 제2 동체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를 포함하는 제2 동체의 말단부분 외측으로 기울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를 포함하는 제1 동체의 말단부분 내측으로 기울어지며, 가하여지는 힘의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가 제1 동체 및 제2 동체의 대향된 측부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와 결합하는 것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인터락킹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인터락킹요소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동체 및 제2 동체를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딩시켜 제1 동체 및 제2 동체가 인터락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37003464A 2010-07-13 2011-07-13 팰릿 베이스와 데크의 가요성 조립 KR101817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395010P 2010-07-13 2010-07-13
US61/363,950 2010-07-13
PCT/US2011/001225 WO2012009011A1 (en) 2010-07-13 2011-07-13 Flex assembly of pallet base and de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676A KR20130052676A (ko) 2013-05-22
KR101817821B1 true KR101817821B1 (ko) 2018-01-11

Family

ID=4546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464A KR101817821B1 (ko) 2010-07-13 2011-07-13 팰릿 베이스와 데크의 가요성 조립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130180437A1 (ko)
EP (1) EP2593375B1 (ko)
JP (1) JP6134981B2 (ko)
KR (1) KR101817821B1 (ko)
CN (1) CN103124680B (ko)
AU (1) AU2011279732B2 (ko)
BR (1) BR112013000965B1 (ko)
CA (1) CA2805107C (ko)
CL (1) CL2013000123A1 (ko)
IL (1) IL224187B (ko)
MX (1) MX2013000529A (ko)
WO (1) WO2012009011A1 (ko)
ZA (1) ZA2013007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0173A1 (en) * 2010-06-22 2011-12-29 Joinlock Pty Ltd Key and keyway connectors
DE102010042803B4 (de) * 2010-10-22 2020-09-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uteilverbindung
US8959678B2 (en) * 2011-07-01 2015-02-24 Rock Island Industries All truss foundation unit,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foundation unit kit
CA2877833A1 (en) * 2012-06-27 2014-01-03 Douglas A. Olvey Corrugated pallet
US9398710B2 (en) * 2014-08-07 2016-07-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nclosure f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USD746536S1 (en) 2014-10-17 2015-12-29 Design Pallets, Inc. Top for a foldable pallet
USD746535S1 (en) 2014-10-17 2015-12-29 Design Pallets, Inc. Bottom for a foldable pallet
USD775524S1 (en) 2015-05-21 2017-01-03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tray
USD776397S1 (en) 2015-05-21 2017-01-10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pallet
USD776398S1 (en) 2015-05-21 2017-01-10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pallet
USD767850S1 (en) 2015-08-03 2016-09-27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pallet
USD767849S1 (en) 2015-08-03 2016-09-27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pallet
USD800988S1 (en) 2015-10-05 2017-10-24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pallet with angled sidewalls
CN105292888B (zh) * 2015-10-23 2018-02-16 张洪 一种双面承重货板
USD808608S1 (en) 2016-04-11 2018-01-23 Green Ox Pallet Technology, Llc Foldably constructed pallet
EP3254983B1 (de) * 2016-06-08 2019-05-15 Cabka GmbH & Co. KG Verbundpalette zum transport und zur langzeitlagerung von fässern
TWI576288B (zh) * 2016-07-19 2017-04-01 Modular pallet device
US10081453B2 (en) 2016-11-21 2018-09-25 Chep Technology Pty Limited Plastic pallet with support blocks having upper towers and associated methods
CN106945910B (zh) * 2017-04-07 2020-03-17 四川科恒创科技有限公司 一种板式托盘及其使用方法
JP7024251B2 (ja) * 2017-08-21 2022-02-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運搬台
CN208665789U (zh) * 2017-08-31 2019-03-29 Mhm 产品私人有限公司 可重复使用的箱子组件
EP3521190A1 (de) * 2018-02-01 2019-08-07 Schoeller Allibert GmbH Transportsystem mit palette und plattenelement
US10882660B2 (en) 2018-05-31 2021-01-05 Chep Technology Pty Limited Repairable plastic pallet with carvings in the top deck and associated methods
US20200109731A1 (en) * 2018-10-04 2020-04-09 Jeanne L. Hall Corner bracket structure
DE202019100863U1 (de) 2019-02-15 2019-03-15 Plasgad Plastic Products Acs Ltd. Anti-Durchhang-Vorrichtungen und Anordnungen zum Stapeln von Paletten
DE102019203480B4 (de) * 2019-03-14 2020-11-12 2In1 Ag Palette
CA3076403A1 (en) * 2020-03-19 2021-09-19 AdvanTec Global Innovations Inc. Repowering system for vehicles and vessels
US20220402648A1 (en) * 2021-06-22 2022-12-22 Glenn H. Morris, Jr. Pallet Substitute with Pallet Bloc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54Y1 (ko) * 2002-09-02 2002-11-21 홍호명 밑받침이 분리 결합되는 파레트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8849A (en) * 1966-07-11 1968-08-27 Carey K. Eastwood Collapsible pallet box
US3413752A (en) * 1967-11-14 1968-12-03 Charles O. Perry Body having a snap-type fastener
JPS5326763Y1 (ko) * 1970-02-28 1978-07-07
JPS5124695Y1 (ko) * 1970-11-17 1976-06-24
US3835792A (en) 1971-04-05 1974-09-17 T Wharton Pallet construction
US3747794A (en) * 1971-06-28 1973-07-24 R Bitney Pallet box
DE2229243A1 (de) * 1972-05-26 1973-12-06 Ockhardt Kuno Palette zum transport von stueckguetern
US3824933A (en) * 1972-09-14 1974-07-23 Jaw Bar Plastics Corp Load bearing pallet and interlock
US4198034A (en) * 1975-05-21 1980-04-15 Extrados Company Limited Fence structure
US4159681A (en) * 1977-10-03 1979-07-03 Vandament Daniel D Reinforced, light-weight pallet
US4148407A (en) * 1978-04-24 1979-04-10 Sinclair Lorne R Collapsible container with loading ramp
US4635562A (en) * 1984-10-29 1987-01-13 Pinckney Molded Plastics, Inc. Sidewall assembly for tote box
US4597338A (en) * 1984-11-14 1986-07-01 Pinckney Molded Plastics, Inc. Pallet
JPH0613079Y2 (ja) * 1987-08-10 1994-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物品載置パレット
US4775068A (en) * 1988-01-11 1988-10-04 Xytec Plastics, Inc. Collapsible container with removable access panel
US4906510A (en) * 1988-07-20 1990-03-06 Adolph Coor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inge for laminated corrugated material
US5042396A (en) * 1988-07-29 1991-08-27 Shuert Lyle H Plastic pallet
USD346681S (en) * 1993-04-21 1994-05-03 Pigott Brandon L Two part interlocking plastic pallet
US5579686A (en) * 1988-08-09 1996-12-03 Nucon Corporation Plastic pallet assembly
ATE142583T1 (de) 1990-02-20 1996-09-15 Bruce Alexander Mcphee Palette ohne nägel
JPH05504923A (ja) * 1990-02-26 1993-07-29 シャート ライル エイチ ラック積み可能な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
US5170722A (en) * 1990-12-27 1992-12-15 Motion Products Company Limited Partnership Pallet assembly
US5417167A (en) 1993-03-03 1995-05-23 Salflex Polymers Ltd. Plastic pallet
MY119197A (en) 1994-09-02 2005-04-30 Bhp Steel Jla Pty Ltd Pallet formed from interlocking members.
US5497709A (en) * 1994-10-28 1996-03-12 Larry Winget Plastic pallet assembly
BR9609007A (pt) * 1995-06-07 1999-12-14 Ropak Corp Recipiente desmontável com paredes laterais articuladas.
CN2226574Y (zh) * 1995-07-14 1996-05-08 何文祯 一种拆组式加强栈板
US5791261A (en) * 1995-09-05 1998-08-11 Plastic Pallet Production, Inc. Modular pallet system
US5809905A (en) * 1995-09-05 1998-09-22 Plastic Pallet Production, Inc. Vertical interlocking modular pallet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5676067A (en) * 1996-03-06 1997-10-14 Breindel; Alan C. Modular interlocking flat storage pallet
US6317981B1 (en) * 1996-06-10 2001-11-20 Clive Smith Associates Containers
US6029583A (en) 1996-07-02 2000-02-29 Allibert-Contico, L.L.C. Pallet with attachable upper and lower members
US5860369A (en) * 1996-11-26 1999-01-19 Plastic Pallet Production, Inc. Interlocking modular pallet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AUPO469197A0 (en) * 1997-01-21 1997-02-13 Coddington, Leigh Modular pallet structure
JPH10230937A (ja) * 1997-02-19 1998-09-02 Sekisui Plastics Co Ltd 集合包装用発泡体製パレット及び集合包装体
US5829595A (en) * 1997-03-03 1998-11-03 Trienda Corporation Thin sheet thermoformed pallet sleeve
CN2283381Y (zh) * 1997-03-12 1998-06-10 陈禧堂 一种塑胶拉头
JP2823009B2 (ja) * 1997-04-01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複式パレット
US6109190A (en) * 1999-10-19 2000-08-29 Plastic Pallet Production, Inc. Materials handling pallet
US6263807B1 (en) * 1999-12-06 2001-07-24 Ir Operating Corporation Reinforced plastic pallet
CN2478937Y (zh) * 2000-12-29 2002-02-27 深圳市美盈森环保包装技术有限公司 可拼装包装箱
US6622641B2 (en) 2001-10-03 2003-09-23 Rehrig Pacific Company Pallet
US20050193927A1 (en) * 2001-10-16 2005-09-08 Herring Conrad C. Rackable composite shipping pallet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loads
US6857377B2 (en) * 2001-10-16 2005-02-22 Conrad C. Herring Load bearing structure for a shipping pallet
US7322299B2 (en) * 2002-03-28 2008-01-29 Greene Joseph P Interlocking modular tubular pallet
US7007815B2 (en) * 2003-02-04 2006-03-07 Steel King Industries, Inc. Pallet rack with camber beams
US6938559B2 (en) * 2003-09-19 2005-09-06 Kurt Wullenweber Metal and plastic pallet assembly
US7413698B2 (en) * 2004-06-01 2008-08-19 Novo Foam Products Llc Method of molding load-bearing articles from compressible cores and heat malleable coverings
US7921784B2 (en) * 2004-07-29 2011-04-12 Rehrig Pacific Company Snap-together pallet
US20060254476A1 (en) 2005-05-12 2006-11-16 Macdonald Warren M Collapsible nestable pallet
US20060254473A1 (en) * 2005-05-16 2006-11-16 Creighton Thomas W Knockdown pallet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and knocking-down the same
US7293509B2 (en) * 2005-08-02 2007-11-13 Rehrig Pacific Company Pallet for use with lift jack
US7438623B2 (en) * 2005-09-06 2008-10-21 Wen-Pin Lin Geometric construction system
CN2844026Y (zh) * 2005-11-17 2006-12-06 刘汉昌 包装用提扣
BRPI0700676F1 (pt) * 2007-03-01 2019-01-15 Forte Tecnologia & Consultoria Ltda pallet
DE102007019415A1 (de) * 2007-04-23 2008-10-30 Georg Utz Holding Ag Verfahren zur nachträglichen Verstärkung einer spritzgegossenen Kunststoffpalette
US8047378B2 (en) * 2007-10-01 2011-11-01 Ken Eskenazi Reusable shipping container
IL197105A0 (en) * 2009-02-18 2009-11-18 B B P Technologies Ltd A non-flat deck-board pal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54Y1 (ko) * 2002-09-02 2002-11-21 홍호명 밑받침이 분리 결합되는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0437A1 (en) 2013-07-18
EP2593375A4 (en) 2015-07-22
CL2013000123A1 (es) 2013-07-19
US9771178B2 (en) 2017-09-26
US20150147112A1 (en) 2015-05-28
MX2013000529A (es) 2013-06-05
JP2013530899A (ja) 2013-08-01
EP2593375B1 (en) 2016-12-07
KR20130052676A (ko) 2013-05-22
JP6134981B2 (ja) 2017-05-31
CN103124680B (zh) 2015-09-30
EP2593375A1 (en) 2013-05-22
WO2012009011A8 (en) 2013-02-21
BR112013000965A2 (pt) 2016-05-24
CA2805107A1 (en) 2012-01-19
BR112013000965B1 (pt) 2019-09-03
IL224187B (en) 2018-03-29
ZA201300753B (en) 2014-03-26
AU2011279732A1 (en) 2013-02-21
CN103124680A (zh) 2013-05-29
AU2011279732B2 (en) 2015-02-26
WO2012009011A1 (en) 2012-01-19
CA2805107C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821B1 (ko) 팰릿 베이스와 데크의 가요성 조립
US8191486B2 (en) Nestable pallet
US4013021A (en) Plastics material pallet
JP6054877B2 (ja) セルフスタッキング型エンドレスコンベアベルトに備えられるリンク手段の改良された側面プレート要素
US9079683B2 (en) Pallet base and pallet provided with said base
KR102175516B1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US5537935A (en) Stringer and pallet making use of such stringers
US20060201398A1 (en) Plastic pallet having diagonally corrugated deck
US11040799B1 (en) Pallet with impact resistance
US20050160949A1 (en) Interlocking modular tubular pallet
JP2007062837A (ja) 段ボール製パレット
US201800232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structural members
JP2004150090A (ja) パネル同士の結合構造およびパネル並びにパネル同士の結合方法
US20050115184A1 (en) Panel connection
US20080271647A1 (en) Pallet
JP7272692B2 (ja) スロープユニット
JP7382051B2 (ja) パレット
US20040226489A1 (en) Interlocking modular tubular pallet
JP3051868U (ja) 梱包箱
JP4238191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における側板の連結構造
JP4213334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1285735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JP3188645U (ja) 金属パレット
JP3878632B2 (ja) 補強梁及びユニット式建物
JP3707941B2 (ja) ユニット建物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