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620B1 - 철도 차량의 차체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의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620B1
KR101812620B1 KR1020167000274A KR20167000274A KR101812620B1 KR 101812620 B1 KR101812620 B1 KR 101812620B1 KR 1020167000274 A KR1020167000274 A KR 1020167000274A KR 20167000274 A KR20167000274 A KR 20167000274A KR 101812620 B1 KR101812620 B1 KR 10181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oor
door opening
open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068A (ko
Inventor
케이 우치다
세이이치로 야기
에이이치 카토
치히로 오카야마
토시유키 히라시마
아키히코 타다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8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2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철도 차량의 차체는,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측면 모듈로 분할되는 측면 구조체와, 측면 구조체의 하측 단부가 접합되는 바닥 구조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측면 모듈은, 제1 모듈과, 제1 모듈로부터 차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2 모듈과,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차체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제1 모듈 및 제2 모듈에 접합되는 제3 모듈을 포함하며,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의 하단부는, 바닥 구조체에 대향하도록 접합되고, 제3 모듈을 측면에서 볼 때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하단부는, 바닥 구조체에 대향하고,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의 하단부보다 바닥 구조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속력을 가지며, 제3 모듈은,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통해 바닥 구조체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의 차체{RAILWAY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측면 모듈로 분할되는 측면 구조체를 구비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구조체는, 복수의 금속 패널을 서로 용접하여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 방식의 결합시, 금속 패널의 변형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고도의 용접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용접시 전기 및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속품이 미리 장착된 금속 패널에는 용접을 수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소정의 부품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된 복수의 측면 모듈을 체결 기구 등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측면 구조체를 조립하는 모듈 공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유럽특허공보 제1,353,832호 미국특허공보 제5,797,646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측면 구조체를 모듈화하는 경우, 차체 조립 공장까지 측면 모듈을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해 각각의 측면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측면 모듈의 조립 작업 중 차체 조립시, 차체 강성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측면 모듈을 바닥 구조체 및 지붕 구조체에 각각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측면 모듈을 바닥 구조체 및 지붕 구조체에 대해 정렬하는 작업과 함께 많은 결합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조립 작업에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 모듈의 접합시 차체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차체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차체는,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측면 모듈로 분할되는 측면 구조체로 구성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측면 구조체의 수직 방향의 일측 단부가 접합된 바닥 구조체 또는 지붕 구조체로 구성되는 제2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모듈은, 제1 모듈과,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차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2 모듈과,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 접합되는 제3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들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향되도록 접합되고, 상기 제3 모듈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의 단부보다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속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구조체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구조체의 수직 방향 일측 단부(하단부 또는 상단부)를 제2 구조체에 접합함에 있어서, 주로 제1 모듈의 단부와, 제1 모듈에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모듈의 단부를 제2 구조체에 접합함으로써 제1 구조체의 제2 구조체에 대한 접합량(예를 들면, 접합 길이 또는 접합 수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차체 조립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제1 모듈에 대하여 제2 모듈을 차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하더라도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제3 모듈에 의해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차체 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측면 모듈의 접합에 의한 차체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 차량의 차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중 요판(腰板) 모듈의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 차량의 차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의 차체(1)는, 바닥 구조체(2)(제2 구조체)와, 지붕 구조체(3)(제2 구조체)와, 바닥 구조체(2)의 차폭 방향 단부와 지붕 구조체(3)의 차폭 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 구조체(4)(제1 구조체)를 포함한다. 바닥 구조체(2), 지붕 구조체(3) 및 측면 구조체(4)의 차체 길이 방향 단부에는, 끝면 구조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다. 바닥 구조체(2)는, 차폭 방향 측방을 따라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빔(5a)(길이 부재)을 구비하는 언더 프레임(5)과, 사이드빔(5a)에 고정된 복수의 도어 개구 브라켓(6)과, 사이드빔(5a)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요판(腰板) 모듈(13)의 하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 판(7)을 구비한다.
복수의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은, 서로 사이드빔(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사이드빔(5a)의 측면에 용접(W)(예를 들어, 스폿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 중 사이드빔(5a)에 측방에 용접된 부분은,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 각각의 구조체의 측면에서 볼 때, 사이드빔(5a)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빔(5a)은, 수평 벽부와, 상기 수평 벽부의 차량 내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측 수직 벽부와, 상기 수평 벽부의 차량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측 수직 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 역시, 수평 벽부와, 상기 수평 벽부의 차량 내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측 수직 벽부와, 상기 수평 벽부의 차량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측 수직 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은, 상기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의 하측 수직 벽부에서 사이드빔(5a)에 용접(W)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의 상단은, 사이드빔(5a)의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커버 판(7)의 수평 벽부는, 사이드빔(5a)의 수평 벽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지붕 구조체(3)는, 지붕 본체(8)와, 지붕 본체(8)의 차폭 방향 단부에 고정되어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처마도리(軒桁)(9)(길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빔(5a)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처마도리(9)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빔(5a) 및 처마도리(9)는, 차체 길이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긴 부재이다.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는, 측면에서 볼 때 위쪽을 향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는, 조립 완료 후에 차체(1)의 차체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이 자중으로 아래쪽으로 휘는 것을 고려하여 캠버(camber)가 장착되어 있다.
측면 구조체(4)에는, 창문 개구(15)와, 창문 개구(15)의 차체 길이 방향 일측(도 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도어 개구(19)와, 창문 개구(15)의 차체 길이 방향 타측(도 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도어 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 구조체(4)는,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측면 모듈(11 내지 14, 17, 18, 21, 22)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모듈(11 내지 14, 17, 18, 21, 22)은, 적어도 패널 모양의 각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 구조체(4)는,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과, 요판 모듈(13)과, 창문 막판(幕板) 모듈(14)과, 도어 막판 모듈(18, 2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은, 요판 모듈(13) 및 막판 모듈(14, 18, 22)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도로 제조된다. 특히,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은, 요판 모듈(13) 및 막판 모듈(14, 18, 22)보다 차폭 방향 휨 강도(상단부 및 하단부를 차폭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휨에 대한 강도)가 더 높다.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은, 요판 모듈(13) 및 막판 모듈(14, 18, 22)보다 두꺼운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은, 제1 도어 개구(19)를 개폐하는 미닫이 형식의 도어(20)를 수납할 수 있는 제1 도어 포켓(11a)을 구비하고, 그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은, 제2 도어 개구(23)를 개폐하는 미닫이 형식의 도어(24)를 수납할 수 있는 제2 도어 포켓(12a)을 구비하고, 그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로부터 차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창문 개구(15)(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은, 제1 도어 개구(19)와 창문 개구(1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은, 제2 도어 개구(23)와 창문 개구(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은, 제1 도어 개구(19)를 구획하도록 제1 도어 개구(19)의 차체 길이 방향 일측(도 1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은, 제2 도어 개구(23)를 구획하도록 제2 도어 개구(23)의 차체 길이 방향 타측(도 1의 왼쪽)에 배치된다.
요판 모듈(13)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의 사이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그 차체 길이 방향의 양측이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요판 모듈(13)의 차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요판 모듈(13)은, 창문 개구(15)의 하부에 위치하고, 요판 모듈(13)의 상변이 창문 개구(15)의 하변을 형성하고 있다. 요판 모듈(13)은, 측면 구조체(4)를 구성하는 각 모듈 중 창문 개구(15)의 바로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바닥 구조체(2)에 가장 가까운 부재이다.
요판 모듈(13)을 측면에서 볼 때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도 1의 빗금친 부분)의 하단부는, 바닥 구조체(2)의 커버 판(7)에 대향하고,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의 하단부보다 바닥 구조체(2)에 대해 자유롭다. 다시 말하면, 요판 모듈(13)을 측면에서 볼 때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도 1의 빗금친 부분)의 하단부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의 하단부보다 차체(1)의 휨 변형 발생시 바닥 구조체(2)에 대한 상대 변위의 허용도가 높다. 상세하게, 본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13)을 측면에서 볼 때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하단부는, 커버 판(7)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바닥 구조체(2)에 대해 미접합 상태로 구성된다. 즉, 요판 모듈(13)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을 통해 바닥 구조체(2)에 지지받는 구조로 설치된다.
요판 모듈(13) 중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겹치는 부분에는, 고정용으로 1개의 작은 구멍(13a)과 복수의 큰 구멍(13c)이 형성되어 있다. 요판 모듈(13) 중 제2 도어 포켓 모듈(12)과 겹치는 부분에는, 고정용 긴 구멍(13b)과 복수의 큰 구멍(13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용 구멍(13a 내지 13d)에는, 체결장치(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가 삽입되어 요판 모듈(13)이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작은 구멍(13a)에 체결장치를 삽입하고, 수평으로 긴 구멍(13b)에 체결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요판 모듈(13)의 수직 방향 위치가 결정되어 창문 개구(15)의 하변이 형성되고, 그 다음에, 무부하 구멍인 큰 구멍(13c)에 체결장치를 삽입함으로써 용이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창문 막판 모듈(14)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그 차체 길이 방향의 양측이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창문 막판 모듈(14)의 차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 각각의 길이보다 길다. 접합 방법은, 요판 모듈(13)과 동일하다. 창문 막판 모듈(14)은, 창문 개구(15)의 상부에 위치하고, 창문 막판 모듈(14)의 하변이 창문 개구(15)의 상변을 형성하고 있다. 창문 막판 모듈(14)은, 측면 구조체(4)를 구성하는 각 모듈 중에서, 창문 개구(15)의 바로 위의 영역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지붕 구조체(3)에 가장 가까운 부재이다.
창문 막판 모듈(14)을 측면에서 볼 때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상단부는, 지붕 구조체(3)의 처마도리(9)에 대향하고, 또한,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의 상단부보다 지붕 구조체(3)에 대해 자유롭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창문 막판 모듈(14)을 측면에서 볼 때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상단부는, 지붕 구조체(3)의 처마도리(9)에 대해 미접합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창문 막판 모듈(14)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을 통해 지붕 구조체(3)에 지지받는 구조로 설치된다.
창문 개구(15)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요판 모듈(13) 및 창문 막판 모듈(14)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 개구(15)는, 투명한 창문 판(16)으로 덮여 있으며, 상기 창문 판(16)의 단부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에 접착되어 있다.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상기 제3 도어 포켓 모듈(17)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도어 개구(19)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 개구(19)를 구획하도록, 제1 도어 개구(19)의 차체 길이 방향 타측(도 1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은, 제1 도어 개구(19)를 개폐하는 미닫이형식의 도어(20)를 수납할 수 있는 제3 도어 포켓(17a)을 구비하고, 그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접합되어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은, 그 하단부가 도어 개구 브라켓(6)에 체결장치(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로 접합되어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이 접합되는 접합부로서 복수의 고정 구멍(6a)(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6)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에 접합되는 부분과, 제3 도어 포켓 모듈(17)에 접합되는 부분이 하나의 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이 도어 개구 브라켓(6)에 체결되는 체결 부분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3 도어 포켓 모듈(17) 각각의 구조체의 측면에서 볼 때 사이드빔(5a)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고정 구멍(6a)이, 하나의 도어 개구 브라켓(6) 구조체의 측면에서 볼 때 사이드빔(5a)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은, 그 상단부가 도어 막판 모듈(18)에 체결장치(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로 접합되어 있다. 도어 막판 모듈(18)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에 접합되는 부분과, 제3 도어 포켓 모듈(17)에 접합되는 부분이 하나의 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 막판 모듈(18)의 차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3 도어 포켓 모듈(17) 각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어 막판 모듈(18)은, 지붕 구조체(3)에 대해 미접합되도록 설치된다. 도어 개구(19)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 제3 도어 포켓 모듈(17), 도어 개구 브라켓(6) 및 도어 막판 모듈(18)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공간에 설치된다.
제4 도어 포켓 모듈(21)은, 제2 도어 포켓 모듈(12)과 상기 제4 도어 포켓 모듈(2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도어 개구(23)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 도어 개구(23)를 구획하도록, 제1 도어 개구(23)의 차체 길이 방향 일측(도 1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4 도어 포켓 모듈(21)은, 제2 도어 개구(23)를 개폐하는 미닫이 형식의 도어(24)를 수납할 수 있는 제4 도어 포켓(21a)을 구비하고, 그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도어 포켓 모듈(12) 및 제4 도어 포켓 모듈(21)은, 그 하단부가 도어 개구 브라켓(6)에 체결장치(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로 접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은 모두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 등에 대한 접합 형태가 동일하므로 대표로 제1 도어 포켓 모듈(1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구 브라켓(6)은, 사이드빔(5a)에 용접(W)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은, 도어 개구 브라켓(6)의 수평 벽부의 위쪽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개구 브라켓(6)의 상측 수직 벽부의 차량 외측 부분에 맞닿아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은, 도어 개구 브라켓(6)에 대해 고정 구멍(6a)을 통과한 체결장치(26)(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에 의해 차량 내측(측방) 및 하측에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은, 제1 도어 포켓(11a)과, 제1 도어 포켓(11a)의 상측에 설치된 장착 판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판부(11b)에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체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처마도리(9)는, 차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개개의 모듈(11 내지 14, 17, 18, 21, 22)보다 길게 형성된다. 처마도리(9)의 차폭 방향 안쪽 측면에는, 홈부(9a)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9a)는,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장착 판부(11b)(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부이며, 압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된다.
홈부(9a)는, 결합 시트(27)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25)과, 장착 판부(11b)를 향해 개구되도록 홈부(9a)의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9b)이 형성된다. 홈부(9a)의 내부 공간(25)에는, 결합 시트(27)가 차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슬릿(9b)의 상하 폭은, 내부 공간(25)의 상하 폭과 결합 시트(27)의 상하 폭보다 작게 구성된다.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장착 판부(11b)는, 슬릿(9b)을 통해 결합 시트(27)에 체결장치(28)(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장착 판부(11b)와 결합 시트(27)에 의해 처마도리(9)의 슬릿(9b)의 상하 가장자리부가 압입 방식으로 접합되어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이 처마도리(9)에 접합되게 된다. 슬릿(9b)의 상하 폭은, 체결장치(28) 중 슬릿(9b)을 통과하는 부분(축부)의 상하 폭보다 크다. 또한, 결합 시트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일 수도 있고, 공지된 와셔일 수도 있다. 체결장치(28)로서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너트 등 암나사를 구비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너트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요판 모듈(13)의 하단부와 도어 개구 브라켓(6) 사이에는, 간극(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29)에 실링 부재(30)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창문 판(16)에는, 스페이서(31)가 삽입되고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외부 측면에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31)의 내측에서 볼 때, 창문 판(16)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외부 측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창문 판(16)의 하단과 요판 모듈(13)의 상단 사이에는, 실링 부재(32)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고, 창문 판(16)의 상단과 창문 막판 모듈(14)의 하단 사이에도 실링 부재(32)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판 모듈(13)은, 바닥 구조체(2)의 커버 판(7)에 고정되지 않는다. 요판 모듈(13)의 하단과 커버 판(7) 사이에는 간극(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29)에 실링 부재(30)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요판 모듈(13)에는, 내장 부품인 의자 부재(36)가 장착되는 받침 부재(35)가 고정되어 있다. 즉, 요판 모듈(13)은, 받침 부재(35)를 개재하고 의자 부재(36)가 일체화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체(1)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판 모듈(13)은, 측면 외판(38)과, 측면 외판(38)의 내부 측면에 용접된 보강 부재(39)를 구비하고 있다. 요판 모듈(13)은, 상기 보강 부재(39)의 일측 최상부(頂部)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외부 측면에 맞닿아 있다. 측면 외판(38)의 하단부는 차폭 방향 안쪽을 향해 구부러져 평평한 하면을 형성하고, 측면 외판(38)의 상단부도 차폭 방향 안쪽을 향해 구부러져 평탄한 상면을 형성하고 있다.
요판 모듈(13)의 하단은, 바닥 구조체(2)의 사이드빔(5a)(측면부)의 상단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사이드빔(5a)의 상단의 차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요판 모듈(13)의 하단부와 도어 개구 브라켓(6) 사이의 간극(29)에 실링 부재(30)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창문 판(16)의 외측 부분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31)를 개재하고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외부 측면에 겹쳐지고, 상기 스페이서(31)의 내측에서 볼 때, 창문 판(16)이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외부 측면에 접착제(40)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창문 판(16)의 하단과 요판 모듈(13)의 상단 사이에는, 실링 부재(32)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측면 구조체(4)의 하단부 및 상단부를 각각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접합함에 있어서, 제1 도어 포켓 모듈 내지 제4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하단부 및 상단부를 각각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접합하고, 요판 모듈(13) 및 막판 모듈(14, 18, 22)은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미접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측면 구조체(4)의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대한 접합량(예를 들면, 접합 길이 또는 접합 수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차체 조립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각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이 차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각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은,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직접 접합되지 않은 요판 모듈(13) 및 막판 모듈(14 ,18, 22)에 의해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차체 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이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대해 접합되는 차체 길이 방향의 범위(접합 범위)는, 각각의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차체 길이 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형성되고, 그 각각의 접합 범위가 차체 길이 방향으로 짧게 구성되기 때문에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가 측면에서 볼 때 원호 모양으로 만곡(캠버)된 상태에서도 쉽게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닥 구조체(2)는,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하단부가 접합되는 고정 구멍(접합부)이 형성된 도어 개구 브라켓(6)을 구비하기 때문에,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위치가 정밀하게 정해지므로 도어 개구(19, 23)를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 상측의 장착 판부(11b)는, 처마도리(9)의 홈부(9a)의 내부 공간(25)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결합 시트(27)에 체결장치(28)로 체결되므로 차체 길이 방향의 위치 조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즉,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장착 작업시, 장착 위치 정밀도의 향상과 작업 용이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을 "제1 모듈"로 하고,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을 "제2 모듈"로 하면, 요판 모듈(13) 및 창문 막판 모듈(14)이 "제 3 모듈"에 해당하고,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이 "제 4 모듈"에 해당한다. 또한,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을 "제1 모듈"로 하고, 제3 도어 포켓 모듈(17)을 "제2 모듈"로 하면, 도어 막판 모듈(18)이 "제3 모듈"에 해당한다. 또한, 내장 부품 자체가 제3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중 요판 모듈(113)의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요판 모듈(113)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에 삽입되고, 제1 도어 포켓 모듈(11)과 제2 도어 포켓 모듈(12) 사이부분을 차체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요판 모듈(113)의 차량 길이 방향의 각 단면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의 각 단면에 대향하도록 맞닿아 있다. 그리고 요판 모듈(113)은, 브라켓(141)을 통해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에 체결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요판 모듈(113)의 외부 측면은, 제1 도어 포켓 모듈(11) 및 제2 도어 포켓 모듈(12)의 외부 측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213)의 측면 외판(238)의 상측 부분에, 제1 도어 포켓 모듈(11)에 가까워지도록 굴곡진 단차부(23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238a) 상측의 상단부(238b)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외부 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창문 판(16)은, 스페이서(31)를 개재하고 측면 외판(238)의 상단부(238b)의 외부 측면에 겹쳐져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31)의 내측에서 볼 때, 창문 판(16)이 상단부(238b)의 외부 측면에 접착제(40)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창문 판(16)의 하단과 측면 외판(238)의 단차부(238b)의 상면 사이에는, 실링 부재(32)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13)의 하단과 바닥 구조체(2) 사이의 간극(29)에는, 탄성 가압력에 의해 방수되는 단면 U자 형상의 실링 부재(130)가 밀착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313)의 측면 외판(338)의 하단은, 바닥 구조체(102)의 측면부 상단(사이드빔(5a) 또는 도어 개구 브라켓(6)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또한,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요판 모듈(313)의 하단 아래쪽에는, 도어 개구 브라켓(106)이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어 개구 브라켓(106) 중 요판 모듈(313)의 하단에 대향하는 부분은, 차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진 슬로프부(10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요판 모듈(313)과 도어 개구 브라켓(106) 사이의 간극(129)에 들어간 물은, 자중에 의해 슬로프부(106a)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6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313)의 하단이, 바닥 구조체(202)의 측면부 상단(사이드빔(5a) 또는 도어 개구 브라켓(6)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또한, 제1 도어 포켓 모듈(11)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 구조체(202)는 요판 모듈(313)의 하단 바로 아래 부분에 배치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요판 모듈(313)의 하단부와 바닥 구조체(202) 사이의 간극(229)은,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7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13)의 하단부와 도어 개구 브라켓(306)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29)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볼 때, 도어 개구 브라켓(306)에 드레인 구멍(30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간극(29)을 통해 침입한 물이 드레인 구멍(306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8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서는, 도어 개구 브라켓(6)의 외부면에 별개의 슬로프 부재(230)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슬로프 부재(230)는, 사이드빔(5a)이나 도어 개구 브라켓(6)보다 얇게 형성된다. 슬로프 부재(230) 중 요판 모듈(13)의 하단에 대향하는 부분은, 차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진 슬로프부(2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요판 모듈(13)과 슬로프 부재(230) 사이의 간극에 들어간 물은, 자중에 의해 슬로프부(230a)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9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서는, 사이드빔(205) 및 도어 개구 브라켓(406)의 상단부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보다 차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요판 모듈(313)의 하단은, 바닥 구조체(사이드빔(205) 및 도어 개구 브라켓(406))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그 상단보다 차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0 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서는, 사이드빔(305) 및 도어 개구 브라켓(406)의 상단부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보다 차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이드빔(305)의 상단부(305a)가, 위쪽으로 갈수록 차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요판 모듈(413)의 측면 외판(438)의 하단부(438a)는, 사이드빔(305)의 상단부(305a)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면 외판(438)의 하단부(438a)와 사이드빔(305)의 상단부(305a) 사이에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간극(3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요판 모듈(413)과 사이드빔(305) 사이의 간극(329)에 들어간 물은, 자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1 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서는, 사이드빔(405) 및 도어 개구 브라켓(406)의 상단부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보다 차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이드빔(405)의 상단부(405a)는, 차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요판 모듈(13)의 하단과 사이드빔(405)의 상단부(405a) 사이에, 실링 부재(30)로서 실리콘 등이 코킹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2 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차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서는, 사이드빔(505) 및 도어 개구 브라켓(406)의 상단부가, 제1 도어 포켓 모듈(11)보다 차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이드빔(505)의 상단부(505a)와, 요판 모듈(513)의 측면 외판(538)의 하단부(538a)가, 서로 간극(329)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사이드빔(505)의 상단부(505a)와 측면 외판(538)의 하단부(538a)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실링 부재(230)가 계합되어 간극(329)을 막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구성을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예들은 서로 임의로 조합,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 예 중 일부의 구성이나 방법을 다른 실시 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요판 모듈(13), 창문 막판 모듈(14) 및 도어 막판 모듈(18, 22) 모두가, 바닥 구조체(2) 및 지붕 구조체(3)에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일부가 바닥 구조체(2) 또는 지붕 구조체(3)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요판 모듈(13)의 하단부는, 바닥 구조체(2)의 사이드빔(5a)(측면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한, 사이드빔(5a) 상단의 차폭 방향 안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요판 모듈(13)의 하단부는, 바닥 구조체(2)에 대해 미접합된 상태로 설치되지만,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의 하단부에 비해 바닥 구조체(2)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속력을 받는다면 다른 예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판 모듈(13)의 하단부 일부를 바닥 구조체(2)에 접합하더라도 요판 모듈(13)의 바닥 구조체(2)에 대한 접합량(예를 들면, 접합 길이 또는 접합 수 등)을,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 각각의 바닥 구조체(2)에 대한 접합량에 비해 적게 구성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단, 요판 모듈(13)의 차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도어 포켓 모듈(11, 12, 17, 21) 각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 이러한 방식은, 창문 막판 모듈(14) 및 도어 막판 모듈(18, 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도어를 미닫이로 하고, 그 도어를 수납하는 도어 포켓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플러그(plug) 도어로 하는 경우에는 도어 포켓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차체는, 차체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측면 모듈의 접합에 의한 차체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철도 차량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 차체
2: 바닥 구조체
3: 지붕 구조체
4: 측면 구조체
5a: 사이드빔(길이 부재)
6: 도어 개구 브라켓
9: 처마도리(길이 부재)
11: 제1 도어 포켓 모듈(제1 모듈)
12: 제2 도어 포켓 모듈(제2 모듈)
13, 113: 요판 모듈(제3 모듈)
14: 창문 막판 모듈(제3 모듈)
15: 창문 개구
17: 제3 도어 포켓 모듈(제2 모듈, 제4 모듈)
18, 22: 도어 막판 모듈(제3 모듈)
19: 제1 도어 개구
23: 제2 도어 개구
29, 129, 229, 329: 간극
30, 130, 230: 실링 부재
35: 받침 부재
36: 의자 부재

Claims (14)

  1.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측면 모듈로 분할되는 측면 구조체로 구성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측면 구조체의 수직 방향의 일측 단부가 접합된 바닥 구조체 또는 지붕 구조체로 구성되는 제2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모듈은, 제1 모듈과,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차체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2 모듈과,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 접합되는 제3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각각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향되도록 접합되고,
    상기 제3 모듈의 차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의 각각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3 모듈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의 단부보다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구속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구조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는, 창문 개구 또는 도어 개구로 구성되는 개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체에는, 상기 개구부로서의 창문 개구와,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창문 개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도어 개구와,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창문 개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도어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도어 개구와 상기 창문 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도어 개구와 상기 창문 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창문 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도어 개구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도어 개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도어 개구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도어 개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도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수납하기 위한 제1 도어 포켓을 구비하는 제1 도어 포켓 모듈이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도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수납하기 위한 제2 도어 포켓을 구비하는 제2 도어 포켓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 모듈은, 상기 제1 모듈과의 사이 공간에 상기 제1 도어 개구를 차체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개구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도어 개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는, 차폭 방향 측방에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빔과, 상기 사이드빔에 고정되는 도어 개구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구 브라켓에는, 상기 제1 모듈이 접합되는 접합부와, 상기 제4 모듈이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7. 제3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창문 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면 외판을 구비하는 요판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의 단부는,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해 미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의 단부는, 상기 제2 구조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의 단부는, 상기 바닥 구조체에 대향하고, 상기 바닥 구조체의 측면부의 상단보다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단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 삽입되는 실링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은, 의자 부재를 포함한 내장 부품이 장착되는 받침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체에는 제1 도어 개구 및 제2 도어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모듈 내지 제3 모듈은, 상기 제1 도어 개구와 상기 제2 도어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체에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설치된 창문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모듈은 요판 모듈 및 막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 개구는 상기 제1 모듈, 상기 제2 모듈, 상기 요판 모듈 및 상기 막판 모듈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차체.
KR1020167000274A 2013-09-04 2013-09-04 철도 차량의 차체 KR101812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5221 WO2015033372A1 (ja) 2013-09-04 2013-09-04 鉄道車両の車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068A KR20160017068A (ko) 2016-02-15
KR101812620B1 true KR101812620B1 (ko) 2017-12-27

Family

ID=5262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74A KR101812620B1 (ko) 2013-09-04 2013-09-04 철도 차량의 차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3882B2 (ko)
JP (1) JP6034974B2 (ko)
KR (1) KR101812620B1 (ko)
CN (1) CN105452081B (ko)
WO (1) WO2015033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3380B1 (fr) * 2015-11-09 2018-08-31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Structure modulaire de vehicule ferroviaire simplifiee
DE102016112207A1 (de) * 2016-07-04 2018-01-0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ußenverkleidungselement für ein Fahrzeug
AT519328B1 (de) * 2016-11-08 2021-12-15 Siemens Mobility Austria Gmbh Trägeranordnung für einen Wagenkasten eines Fahrzeugs
JP7237692B2 (ja) * 2019-03-29 2023-03-13 株式会社総合車両製作所 鉄道車両構体
CN114940190A (zh) * 2022-05-16 2022-08-26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墙板平度外观粘板工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8981A1 (en) * 2001-01-26 2002-08-0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 rail vehicle carbody of modular construction
JP2007161084A (ja) * 2005-12-14 2007-06-28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車体構造
CN101032966A (zh) * 2006-03-09 2007-09-12 中国南车集团南京浦镇车辆厂 地铁车辆新型侧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050A (en) * 1979-08-01 1981-03-10 Nippon Sharyo Seizo Kk Structure of side frame and gable frame of car frame body
DE3838686C2 (de) * 1988-11-15 1993-10-21 Man Ghh Schienenverkehr Fahrzeugzelle
JP2506954Y2 (ja) * 1990-09-17 1996-08-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体の骨組み構造
JP2626372B2 (ja) * 1991-11-25 1997-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 両
FR2720994B1 (fr) 1994-06-13 1996-07-12 Gec Alsthom Transport Sa Véhicule routier ou ferroviaire et son procédé d'assemblage.
DE19852519A1 (de) * 1998-11-13 2000-05-18 Siemens Duewag Gmbh Modularer Wagenkasten eines großräumigen Fahrzeuges, insbesondere eines Schienenfahrzeug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8981A1 (en) * 2001-01-26 2002-08-0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 rail vehicle carbody of modular construction
JP2007161084A (ja) * 2005-12-14 2007-06-28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車体構造
CN101032966A (zh) * 2006-03-09 2007-09-12 中国南车集团南京浦镇车辆厂 地铁车辆新型侧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3372A1 (ja) 2015-03-12
US20160221588A1 (en) 2016-08-04
CN105452081B (zh) 2018-06-12
US9623882B2 (en) 2017-04-18
CN105452081A (zh) 2016-03-30
JPWO2015033372A1 (ja) 2017-03-02
KR20160017068A (ko) 2016-02-15
JP6034974B2 (ja)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620B1 (ko) 철도 차량의 차체
KR101250402B1 (ko) 차량용 후드 구조
CN107922008B (zh) 车辆的车身结构
CN107922009B (zh) 车辆的车身结构
CN108025771B (zh) 车辆的车身结构
JP4640127B2 (ja) ドアウエスト部構造
US8919869B2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US9346493B2 (en) Floo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body
RU2685954C2 (ru) Каркас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2018193003A (ja) 車体下部構造
JP593736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構造
EP2812229B1 (en) Vehicle bonnet
JP2008260448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US10046730B2 (en) Support element for absorbing forces in a vehicle
WO2015008511A1 (ja) 車両のフェンダーパネル支持構造
JP2004345544A (ja) カウルカバ構造
AU2005282177A1 (en) Elevator cag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cage
CN110304148B (zh) 车辆的顶棚构造、载荷传递部件及车辆的顶棚构造的制造方法
CN109987146B (zh) 车身上部结构
JP2008068715A (ja) 車両用ドア構造
JP256917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
CN114633813A (zh) 框架接合结构、框架接合的方法和车辆
JPH09256538A (ja) 天井パネル構造
JPH01204870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5889226B2 (ja) 筐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