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41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418B1
KR101808418B1 KR1020160048535A KR20160048535A KR101808418B1 KR 101808418 B1 KR101808418 B1 KR 101808418B1 KR 1020160048535 A KR1020160048535 A KR 1020160048535A KR 20160048535 A KR20160048535 A KR 20160048535A KR 101808418 B1 KR101808418 B1 KR 10180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main body
connec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894A (ko
Inventor
료타로 다케우치
히로키 오노
나오토 사사야마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2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부분까지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보강 금구와 상대방 보강 금구의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보강 금구와 상대방 보강 금구의 통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보강 금구는, 끼움 결합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외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암부와, 접속 암부의 선단에 있어서 상단에 기단이 접속되며,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좌우 한 쌍의 접촉 암부를 포함하며, 접속 암부의 기단에 있어서 하단에는,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다리부이며, 상기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1 접속 다리부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끼움 결합되어 통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단부에 설치된 보강 금구를 록킹 부재로서 기능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1은 종래 커넥터의 보강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a)는 제2 보강 금구를 나타낸 도면, (b)는 제1 보강 금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b)에 있어서, 851은 도시되지 않은 제1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1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보강 금구이며, 도 11의 (a)에 있어서, 951은 도시되지 않은 제2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보강 금구이다.
상기 제1 보강 금구(851)는,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본체부(852), 당해 본체부(852)의 양단으로부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측방 결합편(858), 당해 측방 결합편(858)의 하단에 접속된 제1 회로 기판에 납땜된 고정용의 제1 기판 접속부(856a), 상기 본체부(852)의 하단에 접속된 제1 회로 기판에 납땜된 고정용의 제2 기판 접속부(856b), 상기 측방 결합편(858)의 내측면에 형성된 측방 결합 볼록부(858a), 및 상기 측방 결합편(858)의 선단에 형성된 하우징 멈춤용 볼록부(85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금구(951)는,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커넥터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본체부(952), 당해 본체부(952)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제2 커넥터의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측방 결합편(958), 당해 측방 결합편(958)의 선단에 형성된 측방 결합 볼록부(958a), 상기 본체부(952)의 하단(도면에 도시된 자세에서는 상단)에 접속된 제2 회로기판에 납땜된 고정용의 기판 접속부(956), 및 상기 본체부(952)의 일면에 형성된 하우징 멈춤용 볼록부(952a)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움 결합되면, 제1 보강 금구(851)의 측방 결합 볼록부(858a)와 제2 보강 금구(951)의 측방 결합 볼록부(958a)가 서로 결합한다. 따라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록킹되며, 그 끼움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277365호
그러나, 상기 종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보강 금구(851)와 제2 보강 금구(951)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특히 제1 보강 금구(851)의 측방 결합편(858)에 충분한 유연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보강 금구(851) 및 제2 보강 금구(951)를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의 전원 라인에 접속해 둠으로써, 제1 회로 기판의 전원 라인과 제2 회로 기판의 전원 라인이, 제1 보강 금구(851) 및 제2 보강 금구(951)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경우,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이 실장되어 있는 전자기기 등이 낙하하거나 외력을 받을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제1 보강 금구(851)와 제2 보강 금구(951)의 통전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이른바 순시 정전(instantaneous interruption)이라 불리는 현상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 다리부를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부분까지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보강 금구와 상대방 보강 금구의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보강 금구와 상대방 보강 금구와의 통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금구를 구비한 커넥터이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 결합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 결합 가이드부와 끼움 결합하는 끼움 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외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암부와, 당해 접속 암부의 선단에 있어서 상단에 기단이 접속되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좌우 한 쌍의 접촉 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암부의 기단에 있어서 하단에는,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다리부이며, 상기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1 접속 다리부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접속 다리부는, 상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부와, 당해 수직부로부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하단이 상기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다리부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2 접속 다리부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접속 암부는, 상기 제1 접속 다리부의 전방 단부보다도 전방 부분의 폭이,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기단의 폭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접촉 암부의 폭은, 상기 접속 암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기단의 폭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접촉 암부는 접촉 상측 암부와 접촉 전방측 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상측 암부는, 기단이 상기 접속 암부의 선단에 있어서 상단에 접속되고, 선단이 하측을 향하여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를 걸치는 상측 피복부와, 당해 상측 피복부의 선단에 접속되며,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전방측 암부는, 상기 내측 피복부에 접속되며,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끼움 결합 오목부에 삽입된 상기 상대방 끼움 결합 가이드부에 설치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본체부 및 접속 암부의 측면에는, 땜납 상승 또는 플럭스 상승을 방지하는 배리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본체부 및 접속 암부의 측면에는, 니켈의 기초 도금 상에 금 도금이 실시되며,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금 도금에 레이저 빔이 조사됨으로써, 니켈이 표면에 노출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 다리부가,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부분까지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보강 금구와 상대방 보강 금구의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보강 금구와 상대방 보강 금구의 통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a)는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도면, (b)는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금구의 육면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 (d)는 (c)에 있어서 A-A 선 단면도, (e)는 상면도, (f)는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a)는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도면, (b)는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의 끼움 결합 공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a)는 제2 커넥터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제1 커넥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의 결합 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제1 보강 금구 및 제2 보강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a)는 제2 커넥터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제1 커넥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커넥터의 보강 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a)는 제2 보강 금구를 나타낸 도면, (b)는 제1 보강 금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금구의 육면도이다. 그리고, 도 1 에 있어서, (a)는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도면, (b)는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5에 있어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 (d)는 (c)에 있어서 A-A 선 단면도, (e)는 상면도, (f)는 하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이며,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일방으로서의 제1 커넥터이다. 당해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며, 후술될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일방으로서의 제2 커넥터(101)와 서로 끼움 결합된다. 또한, 당해 제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타방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으로서의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면,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낸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것이고,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 각부가 도면에 도시된 자세인 경우에 적절한 것이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1 하우징(11)을 가진다. 당해 제1 하우징(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인 대략 직사각형의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을 구비하며, 제2 커넥터(101)가 끼움 결합되는 측, 즉, 끼움 결합면(11a) 측(도 2에 있어서는 상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대략 직육면 형상의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오목부(12) 내에는 섬부로서의 제1 볼록부(13)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는 당해 제1 볼록부(1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부(14)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볼록부(13) 및 측벽부(14)는, 오목부(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는, 오목부(12)의 일부로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오목홈부(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볼록부(13) 양측의 측면에는 오목홈 형상의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4) 내측의 측면에는 오목홈 형상의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와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는, 오목홈부(12a)의 바닥면에 있어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와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로서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소정 피치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 각각에 수용되는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도,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같은 형태의 피치로 복수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타발하고,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피지지부(63)와, 상기 피지지부(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62)와, 상기 피지지부(63)의 상단에 접속된 상측 접속부(67)와, 당해 상측 접속부(67)의 내측 방향 단부 근방에 형성된 제2 접촉부(66)와, 당해 제2 접촉부(66)에 접속된 하측 접속부(64)와, 당해 하측 접속부(64)의 자유단 근방에 형성된 제1 접촉부(6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지지부(63)는, 상하 방향, 즉,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62)는, 피지지부(63)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고, 좌우 방향, 즉,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땝 등에 의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상측 접속부(67)는, 피지지부(63)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상기 상측 접속부(67)의 내측 방향 단부에는, 하측을 향하여 구부러지고,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돌출한 만곡된 제2 접촉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접속부(64)는, 상기 제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U자 형상의 측면 형상을 구비한 부분이다. 상기 하측 접속부(64)의 자유단, 즉, 상기 내측의 상단 근방에는,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만곡된 제1 접촉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실장면(11b)측(도 3에서는 하측)으로부터,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 내에 끼움 결합되고, 피지지부(63)가 측벽부(14)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의 측벽에 의하여 양측으로부터 밀착 지지됨으로써,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제1 단자(61)가 제1 하우징(11)에 장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는, 오목홈부(12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제1 단자(6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춘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확실히 알 수 있듯이, 서로 마주보는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즉,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한 후술할 제2 단자(161)가 삽입되면, 이에 따라,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움 결합 가이드부로서의 제1 돌출 단부(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돌출 단부(21) 각각에는, 상기 오목부(12)의 일부로서 끼움 결합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움 결합 오목부(22)는, 대략 직육면체형의 오목부이며, 오목홈부(12a) 각각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 결합 오목부(22) 내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된 후술할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 단부(21)는, 측벽부(14)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제1 돌출 단부(21)의 측벽부로서의 측벽 연장부(21c)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측벽 연장부(21c)에 접속된 끝벽부(21b)를 구비한다. 제1 돌출 단부(21) 각각에 있어서, 끝벽부(21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측벽 연장부(21c)는, 연속한 대략 ㄷ자 형상의 측벽을 형성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끼움 결합 오목부(22)의 3 방향을 구획하여 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 단부(21)에는, 보강 금구로서의 제1 보강 금구(51)가 설치된다. 당해 제1 보강 금구(51)는, 제1 돌출 단부(21)에 형성된 제1 금구 지지 오목부(26) 내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당해 제1 금구 지지 오목부(26)는, 끼움 결합면측으로부터 보아, 연속한 대략 ㄷ자 형상이며, 제1 돌출 단부(21)의 상면(21a)에 개구되어 있고, 당해 상면(21a)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 하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돌출된 슬릿 형상의 공간이다.
또한, 상기 끝벽부(21b) 및 측벽 연장부(21c)에 의하여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의 측벽은, 제1 금구 지지 오목부(26)에 의하여 내벽부(21f)와 외벽부(21k)으로 분할된다. 상기 내벽부(21f)는, 대략 ㄷ자 형상이며, 측벽부(1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외벽부(21k)는, 끝벽부(21b)의 중앙부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만 존재하고, 끝벽부(21b)의 양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 및 측벽 연장부(21c)에 대응하는 부분은 결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금구 지지 오목부(26)는, 끝벽부(21b)의 양단부 근방에 대응하고, 끝벽부(21b)의 외면에 개방된 제1 접속 암부 수용 개구부(26e), 및 측벽 연장부(21c)에 대응하고, 상기 측벽 연장부(21c)의 외면에 개구된 제2 접속 암부 수용 개구부(26a)를 구비한다. 외벽부(21k)의 중앙부(21g)의 외벽면은,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가장 외측면이다.
그리고, 상기 끝벽부(21b)에 있어서 내측면에는, 제1 볼록부(13)를 향하여 돌출된 내측 끝 볼록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내측 끝 볼록부(25)에 있어서 제1 볼록부(13)와 대향하는 대향 평면(25a)은, 제1 커넥터(1) 각부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에 관한 위치 결정을 행할 때의 기준면으로서 기능하는 평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금구(51)는, 금속판에 타발하고,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하우징(11)의 외벽부(21k)의 중앙부(21g)에 고정되는 본체부로서의 제1 본체부(52)와, 당해 제1 본체부(52)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접속 암부(53)와, 당해 접속 암부(53)에 접속된 접촉 암부(54)와, 상기 제1 본체부(52)의 상단에 접속된 중앙 가이드부(5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 암부(54)는, 접속 암부(53)에 접속된 접촉 상측 암부(54A)와, 당해 접촉 상측 암부(54A)에 접속된 접촉 전방측 암부(54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본체부(52)는, 전체적으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부재이지만, 그 좌우 양단에는, 상기 제1 본체부(52)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고, 선단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코너부(52a)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양단의 코너부(52a)를 포함한 제1 본체부(52)는, 상측으로부터 보아, 즉,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52)의 하단에는, 제1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 다리부로서의 제2 접속 다리부(56b)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제2 접속 다리부(56b)는, 상단 근방이, 제1 본체부(52)와 같은 형태로, 상하 방향(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도중에서 구부러지고, 선단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으며,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속 다리부(56b)는, 그 선단의 하단이,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이다.
그리고, 상기 코너부(52a)의 선단에 접속 암부(5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접속 암부(53)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부분이며, 그 기단에 있어서 하단에, 제1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 다리부로서 제1 접속 다리부(56a)가 접속되고, 그 선단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접촉 상측 암부(54A)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접속 다리부(56a)는, 접속 암부(53)와 같은 형태로, 제1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부분이며,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접속 다리부(56a)는, 상하 방향(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접속 암부(53)에 접속되는 수직부(56a1)와, 상기 수직부(56a1)의 하단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수평부(56a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다리부(56a)는, 그 하단(수평부(56a2)의 하단)이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접촉 상측 암부(54A)는, 기단이 접속 암부(53)의 상단에 접속되며, 선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약 180도 만곡된 형상을 갖추고, 측벽 연장부(21c)의 위를 넘어 배치되는 상측 피복부(54a)와, 상기 상측 피복부(54a)의 선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하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측방 연장부(21c)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피복부(54b)를 구비한다. 상기 상측 피복부(54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보강 금구(51)가 제1 돌출 단부(21)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측벽 연장부(21c)의 일부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전방측 암부(54B)는, 기단이 내측 피복부(54b)의 하단에 있어서 전방 단부(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내측 끝)에 접속되고,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 전방측 암부(54B)는, 제1 하우징(11)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팽창하여 돌출된 만곡 볼록부(54c)를 구비한다. 상기 만곡 볼록부(54c)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101)의 후술할 제2 보강 금구(151)가 구비된 접촉 측판부(155)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 보강 금구(5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춘다. 상기 제1 보강 금구(51)의 판 두께는, 전체에 걸쳐 거의 일정하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확실히 알 수 있듯이,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만곡 볼록부(54c)끼리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즉, 좌우의 만곡 볼록부(54c)끼리의 사이에 제2 커넥터(101)의 제2 보강 금구(151)가 삽입되면, 그것에 의하여, 좌우의 만곡 볼록부(54c)까리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 및 제2 접속 다리부(56b)의 하단은,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접속 고정된다. 따라서, 접촉 전방측 암부(54B)의 만곡 볼록부(54c)가 탄성적으로 변위하도록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은, 2개의 접속 다리부 중에서 만곡 볼록부(54c)의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으로부터 접촉 전방측 암부(54B)의 만곡 볼록부(54c)까지의 부분이다. 즉, 제1 접속 다리부(56a), 접속 암부(53), 접촉 상측 암부(54A) 및 접촉 전방측 암부(54B)를 합친 부분의 스프링 길이는, 상기 부분에 따른 경로상의,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으로부터 만곡 볼록부(54c)까지의 거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1 접속 다리부(56a)는, 접속 암부(53)의 기단(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 끝)에 있어서 하단에 접속되고, 또한, 그 선단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으로부터 만곡 볼록부(54c)까지의 거리인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접촉 전방측 암부(54B)의 만곡 볼록부(54c)의 탄성적인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곡 볼록부(54c)는, 제2 보강 금구(151)의 접촉 측판부(155)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 및 제2 접속 다리부(56b)의 하단이 접속 고정된 제1 기판의 접속 패드가 전력 라인에 연결된 것이라 하면, 제1 보강 금구(51)가 전력용 단자로서도 기능하며, 제1 보강 금구(51)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제2 접속 다리부(56b)의 하단으로부터의 전류와,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으로부터의 전류가 접속 암부(53)에 있어서 합류하며, 접촉 전방측 암부(54B)에까지 흐르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 암부(53)의 폭은, 도 4와 같이 되어 있다. 접속 암부(53)의 기단, 즉, 제1 본체부(52)의 코너부(52a)에 접속된 부분에 있어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후방 단부(56r)와의 접속 부분의 폭(W1)보다도,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전방 단부(56f)와의 접속 부분의 폭(W2)이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52)에 있어서 제2 접속 다리부(56b)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코너부(52a)의 선단까지에 걸친 부분의 폭은, 폭(W1)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암부(53)의 선단에 있어서 상단, 즉, 접촉 상측 암부(54A)가 접속된 부분에 있어서, 접촉 상측 암부(54A)의 전방 단부(54f) 및 후방 단부(54r)와의 접속 부분의 폭(W4)은, 폭(W2)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접촉 상측 암부(54A)에 있어서,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에 걸친 전체의 폭은, 폭(W4)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암부(53)의 선단에 있어서 하단의 외형 형상은, 접촉 상측 암부(54A)의 후단(54r)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 반경(W3)은, 폭(W1)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 암부(53)에 있어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전방 단부(56f)보다도 선단 가까이의 부분 및 접촉 암부(54)의 폭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속 암부(53)에 있어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전방 단부(56f)보다도 선단 가까이의 부분으로부터 접촉 상측 암부(54A)의 선단까지의 경로의 폭은, 제1 본체부(52)에 있어서 제2 접속 다리부(56b)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접촉 전방측 암부(54B)의 기단까지의 경로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접속 다리부(56b)의 하단으로부터 전류에,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으로부터의 전류가 합류하고, 더욱 많은 전류가 접촉 전방측 암부(54B)에까지 흐르게 되어도, 경로의 폭이 증대되어 있으므로, 도전 저항이 낮고, 발열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일이 없다.
또한, 제1 접속 다리부(56a)는, 접속 암부(53)와 같은 면에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커넥터(1)의 실장 면적이 증가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제1 접속 다리부(56a)는,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이므로,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접속 고정되는 부분인 하단의 면적이 커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접속 패드에 대한 고정이 더욱 확실하게 됨과 함께, 제1 접속 다리부(56a)와 접속 패드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제1 접속 다리부(56a)를 포함하는 접속 암부(53)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측면,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52)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측면에는, 땜납 상승 또는 플럭스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부(5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리어부(58)는, 제1 접속 다리부(56a)를 포함하는 접속 암부(53)의 전후 방향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5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한 띠 형상의 부분이며, 제1 접속 다리부(56a)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할 때에, 용융된 땜납 또는 땜납에 포함된 플럭스가 용융하여 제1 접속 다리부(56a) 및 제2 접속 다리부(56b)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는 현상인, 땜납 상승 또는 플럭스 상승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강 금구(51)가, 금속판의 표면에 기초 도금으로서 니켈(Ni) 도금이 실시된 부재이며, 제1 접속 다리부(56a)를 포함하는 접속 암부(53)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측면,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52)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측면에는 금(Au) 도금이 더 실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도 5의 (b), (d)~(f)와 같이 레이저 빔(59)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빔(59)이 조사된 부분에는 금이 용융하여 니켈이 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배리어(58)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b) 및 (e)와 같이, 비스듬하게 방향으로 조사되고 있는 레이저 빔(59-1, 59-2)에 대하여, 제1 보강 금구(51)를 도 5의 (e)에 있어서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접속 다리부(56a)를 포함하는 접속 암부(53)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52) 표면측의 측면에 배리어부(58)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d) 및 (f)와 같이, 비스듬하게 방향으로 조사되고 있는 레이저 빔(59-3, 59-4)에 대하여, 제1 보강 금구(51)를 도 5의 (f)에 있어서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접속 다리부(56a)를 포함하는 접속 암부(53)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52) 이면측의 측면에 배리어부(58)가 형성된다. 그리고, 레이저 빔(59-1~59-4)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빔(59)으로서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1 접속 다리부(56a)가, 접속 암부(53)와 같은 면에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속 암부(53)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 끝에 있어서 하단에 접속되며, 또한, 그 선단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에 레이저 빔(59)이 조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에 배리어부(58)가 형성되어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1 접속 다리부(56a)의 하단을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와 연결된 접속 패드에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가이드부(57)는, 제1 보강 금구(51)가 제1 돌출 단부(21)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내벽부(21f)의 상면 및 끝벽부(21b)에 있어서 내측면의 일부를 덮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가이드부(57)는, 기단이 제1 본체부(52)의 상단에 접속되고, 선단이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상측 피복부(57a)와, 당해 상측 피복부(57a)의 선단에 기단이 접속되며, 선단이 하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내측 피복부(57b)를 구비한다.
그리고, 당해 내측 피복부(57b)의 하단 중앙부에는, 내측 끝 볼록부(25)를 수용하는 볼록부 수용 개구(57c)가 형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제1 보강 금구(51)가 제1 돌출 단부(21)에 설치된 상태에 있더라도, 대향 평면(25a)은 끼움 결합 오목부(22) 내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 수용 개구(57c)가 내측 끝 볼록부(25)와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1 보강 금구(51)의 제1 돌출 단부(21)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제2 커넥터(101)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a)는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도면, (b)는 비스듬하게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을 가진다. 당해 제2 하우징(1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인 대략 직육면 형상의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의 제1 커넥터(1)에 끼움 삽입되는 쪽, 즉, 끼움 결합면(111a)측(도 7에 있어서 상측)에는,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홈부(113)와, 당해 오목홈부(113)의 외측을 구획하여 정함과 동시에,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2 볼록부(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볼록부(112)는, 오목홈부(113)의 양측을 따라, 또한, 제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볼록부(112) 각각에는,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2 단자(16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에 대응하는 피치로, 또흔 대응하는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부(113)는, 제2 기판에 실장되는 쪽, 즉, 실장면(111b)측(도 7에 있어서 하측)이 바닥판에 의하여 닫혀져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도시되지 않은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62)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접속된 제1 접촉부(165)와, 당해 제1 접촉부(165)의 상단에 접속된 접속부(164)와, 당해 접속부(164)의 외측 단부에 접속된 제2 접촉부(16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제2 하우징(111)에 주위를 둘러싸여 지지되는 부분이며, 도시되지 않은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162)는, 본체부의 좌우 방향, 즉,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에 접속되고, 제2 하우징(111)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오버 몰드 성형 내지 인서트 성형으로 불리는 성형 방법에 의하여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된다. 즉, 제2 하우징(111)은, 제2 단자(161)를 미리 내부에 셋팅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절연성 재료를 충진함으로써 성형된다. 따라서, 제2 단자(161)는, 본체부가 제2 하우징(111) 내에 매몰되고, 제1 접촉부(165), 접속부(164) 및 제2 접촉부(166)의 표면이 제2 볼록부(112)의 각 측면 및 끼움 결합면(111a)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1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움 결합 가이드부로서의 제2 돌출 단부(1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돌출 단부(122)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각각 제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두께가 두꺼운 부재이며, 그 상면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 단부(122)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가 구비한 제1 돌출 단부(21)의 끼움 결합 오목부(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 단부(122)는,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22b)와, 양단이 측벽부(122b)에 접속된 끝벽부(122a)와, 보강 금구 수용 오목부(122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대방 보강 금구로서의 제2 보강 금구(151)는, 상기 보강 금구 수용 오목부(122c)에 수용되며, 제2 돌출 단부(122)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보강 금구(151)는, 금속판에 타발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제2 본체부(152)와, 상기 제2 본체부(152)의 상단에 접속된 중앙 피복부(157)와, 상기 중앙 피복부(1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측방 피복부(154)와, 상기 측방 피복부(154)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속된 지지용 돌출편(158)과, 상기 측방 피복부(154)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속된 접촉 측판부(155)와, 상기 접촉 측판부(155)의 하단에 접속된 기판 접속부(156)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 피복부(157)는, 도 6과 같이, 제2 보강 금구(151)가 제2 돌출 단부(122)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단부(122) 상면의 대부분을 덮는 정도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상기 측방 피복부(154)는, 중앙 피복부(157)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제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 근방의 상면과 평행하게 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 측판부(155)는, 제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 근방 외측의 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돌출편(158)은, 제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 부근의 내측 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부재이다. 그리고, 측방 피복부(154)와 그 양측 가장자리에 접속된 지지용 돌출편(158) 및 접촉 측판부(155)는, 연속한 U자 형상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기판 접속부(156)는, 제2 하우징(111)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땝 등에 의하여 접속 고정된다.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움 결합시키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의 끼움 결합 공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의 결합 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제1 보강 금구 및 제2 보강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a)는 제2 커넥터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제1 커넥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됨과 함께, 제1 보강 금구(51)의 제1 고정부(56a) 및 제2 고정부(56b)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 고정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1 보강 금구(51)의 제1 접속 다리부(56a) 및 제2 접속 다리부(56b)가 접속된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같은 형태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제2 보강 금구(151)의 기판 접속부(156)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 고정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2 보강 금구(151)의 기판 접속부(156)가 접속된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우선, 작동자(operator)는,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끼움 결합면(11a)과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끼움 결합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볼록부(112)의 위치가 제1 커넥터(1)가 대응하는 오목홈부(12a)의 위치와 합치하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의 위치가 제1 커넥터(1)가 대응하는 끼움 결합 오목부(22)의 위치와 합치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춤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상대측에 접근시키는 방향, 즉, 끼움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커넥터(101)의 제2 볼록부(112) 및 제2 돌출 단부(122)가 제1 커넥터(1)의 오목홈부(12a) 및 끼움 결합 오목부(22)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끼움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통전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61) 각각의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제2 커넥터(101)의 제2 단자(161)가 삽입되고,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와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가 접촉하며, 제1 단자(61)의 제2 접촉부(66)와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6)가 접촉한다. 그 결과,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된 제1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된 제2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통전된다.
그리고, 제1 단자(61)의 스프링부로서의 기능에 의하여,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가 제2 단자(161)를 양측으로부터 밀착 지지한다. 따라서, 제2 단자(161)가 제1 단자(61)에 의하여 강하고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제2 단자(161)가 제1 단자(6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끼움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그런데, 면적이 넓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각각 실장되어 있으므로, 작동자는, 제1 커넥터(1)의 끼움 결합면과 제2 커넥터(101)의 끼움 결합면을 눈으로 볼수 없으며, 손으로 찾아서 끼움 결합을 행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손으로 찾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맞춤을 할 수 없으며, 제1 커넥터(1)의 위치와 제2 커넥터(101)의 위치가 어긋나버리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제1 커넥터(1)에 대하여 제2 커넥터(101)가 위치 어긋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제1 커넥터(1)의 끼움 결합면에 대하여 제2 커넥터(101)의 끼움 결합면이 경사진 상태가 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자가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끼움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커넥터(1) 중 어느 일측의 제1 돌출 단부(21)에, 제2 커넥터(101) 중 어느 일측의 제2 돌출 단부(122)가 맞닿아 접하게 되어버리며, 상기 제1 돌출 단부(21)는, 제2 돌출 단부(122)로부터 끼움 결합 방향의, 즉, 도 2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밀어 누르는 큰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돌출 단부(21)에는 제1 보강 금구(51)가 설치되며, 제1 돌출 단부(21)는 제1 보강 금구(51)의 중앙 가이드부(57) 및 접촉 상측 암부(54A)에 의하여 덮여 있으므로, 제2 돌출 단부(122)로부터 밀어 누르는 큰 힘을 받더라도, 상기 밀어 누르는 힘은, 제1 보강 금구(51)의 제1 접속 다리부(56a) 및 제2 접속 다리부(56b)를 통하여 제1 기판에 전달되므로, 상기 제1 돌출 단부(21)에는 거의 전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제1 돌출 단부(21)가 손상을 입는다든지, 파손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제2 돌출 단부(122)에는 제2 보강 금구(151)가 설치되며, 제2 돌출 단부(122)는 제2 보강 금구(151)의 중앙 피복부(157) 및 측방 피복부(154)에 의하여 덮여 있으므로, 제1 돌출 단부(21)로부터 밀어 누르는 큰 힘을 받더라도, 상기 밀어 누르는 힘은, 제2 보강 금구(151)의 기판 접속부(156)를 통하여 제2 기판에 전달되므로, 상기 제2 돌출 단부(122)에는 거의 전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제2 돌출 단부(122)가 손상을 입는다든지, 파손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끼움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통전된 상태가 됨과 함께, 제1 커넥터(1)가 갖춘 제1 보강 금구(51)와 제2 커넥터(101)가 갖춘 제2 보강 금구(151)가 상호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보강 금구(51)와 제2 보강 금구(151)가 통전된 상태가 되며, 전력 라인의 통전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과 같이, 제1 보강 금구(51)의 내측에 제2 보강 금구(151)가 삽입되고, 제1 보강 금구(51) 좌우의 접촉 전방측 암부(54B)에 있어서 만곡 볼록부(54c)가 제2 보강 금구(151) 좌우의 접촉 측판부(155)에 접촉한다. 이때, 좌우의 만곡 볼록부(54c)는, 제2 보강 금구(151) 좌우의 접촉 측판부(155)에 의하여 눌려 넓어지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으로, 즉, 외측으로 변위한다. 그러면, 접촉 전방측 암부(54B), 상기 접촉 전방측 암부(54B)가 접속된 접촉 상측 암부(54A) 및 상기 접촉 상측 암부(54A)가 접속된 접속 암부(53)가 구비된 스프링 특성에 의하여, 즉, 스프링부로서의 기능에 의하여, 상기 만곡 볼록부(54c)의 표면이 접촉 측판부(155)의 표면에 압박된다.
따라서, 만곡 볼록부(54c)의 표면과 접촉 측판부(155)의 표면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유지되므로, 제1 보강 금구(51)와 제2 보강 금구(151)와의 통전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제1 보강금구(51)는, 제1 접속 다리부(56a), 접속 암부(53), 접촉 상측 암부(54A) 및 접촉 전방측 암부(54B)까지의 긴 스프링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만곡 볼록부(54c)는, 긴 스프링 길이를 가진 스프링부인 제1 접속 다리부(56a)로부터 접촉 전방측 암부(54B)까지의 부분의 자유단에 위치하며, 탄성적인 변위량이 커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이 실장되어 있는 전자기기 등이 낙하하거나 외력을 받을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 제1 보강 금구(51)에 대하여 제2 보강 금구(151)가 상대적으로 변위한 경우가 있더라도, 만곡 볼록부(54c)는, 접촉 측판부(155)의 변위에 추종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보강 금구(51)와 제2 보강 금구(151)의 통전 상태가 확실히 유지되고, 통전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이른바 순간 정전(instantaneous interruption)이라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제1 보강 금구(51)는, 제1 접속 다리부(56a) 및 제2 접속 다리부(56b)가, 제1 기판의 전력 라인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대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 다리부(56a)로부터의 전류와 제2 접속 다리부(56b)로부터의 전류가, 접속 암부(53)에서 합류하고, 접촉 전방측 암부(54B)에까지 흐르게 되지만, 상기 접촉 전방측 암부(54B)에 있어서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전방 단부(56f)보다도 선단 가까이의 부분으로부터 접촉 상측 암부(54A)의 선단까지 경로의 폭이, 제1 본체부(52)에 있어서 제2 접속 다리부(56b)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접촉 전방측 암부(54B)의 기단까지 경로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접속 다리부(56b)로부터의 전류에, 제1 접속 다리부(56a)로부터의 전류가 합류하여, 더욱 많은 전류가 접촉 전방측 암부(54B)에까지 흐르도록 되더라도, 경로의 폭이 증대되어 있으므로, 도전 저항이 낮고, 발열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일이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 다리부(56a)로부터 접촉 전방측 암부(54B)까지의 부분은, 긴 스프링 길이를 얻기 위한 경로가 길어지지만, 폭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저항이 낮고, 발열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는,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제1 단자(61)와,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제1 보강 금구(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돌출 단부(21)이며,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 돌출 단부(122)와 끼움 결합하는 제1 돌출 단부(21)를 포함하고, 제1 보강 금구(51)는, 제1 돌출 단부(21)에 고정되는 제1 본체부(52)와, 제1 본체부(52)의 좌우 양단에 기단이 접속되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돌출 단부(21)의 측벽 연장부(21c)의 외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암부(53)와, 접속 암부(53)의 선단에 있어서 상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제2 하우징(111)에 장전된 제2 보강 금구(151)와 접촉하는 좌우 한 쌍의 접촉 암부(54)를 포함하며, 접속 암부(53)의 기단에 있어서 하단에는, 제1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다리부(56a)에 있어서,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보강 금구(151)와 접촉하는 부분까지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제1 보강 금구(51)와 제2 보강 금구(151)의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보강 금구(51)와 제2 보강 금구(151)의 통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다리부(56a)는, 상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부(56a1)와, 수직부(56a1)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평부(56a2)를 포함하며, 수평부(56a2)의 하단이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고, 접속 패드로의 고정이 더욱 확실하게 됨과 동시에, 제1 접속 다리부(56a)와 접속 패드 사이의 접속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52)의 하단에는, 제1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다리부(56b)에 있어서, 제1 커넥터(1)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인 제2 접속 다리부(56b)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접속 다리부(56a)에 더하여, 제2 접속 다리부(56b)도 제1 기판상의 접속 패드와 접속되므로, 제1 보강 금구(51)의 제1 기판에 대한 접속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더욱 많은 개소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도전 저항이 저하된다.
그리고, 접속 암부(53)는, 제1 접속 다리부(56a)의 전방 단부(56f)보다도 전방 부분의 폭이, 제1 본체부(52)에 접속된 기단의 폭보다도 크다. 따라서, 접속 암부(53)에 있어서 제1 접속 다리부(56a)로부터의 전류가 합류한 개소 아래 부분의 폭이 증대되므로, 도전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암부(54)의 폭은, 접속 암부(53)에 있어서 제1 본체부(52)에 접속된 기단의 폭보다도 크다. 따라서, 제2 보강 금구(151)와 접촉하는 부분까지의 경로가 길어지더라도, 그 폭이 증대되므로, 도전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52) 및 접속 암부(53)의 측면에는, 니켈의 기초 도금 위에 금 도금이 실시되고, 배리어부(58)는, 금 도금에 레이저 빔(59)이 조사됨으로써, 니켈이 표면에 노출된 부분이다. 따라서, 레이저 빔(59)을 조사함으로써, 땜납 상승 또는 플럭스 상승을 방지하는 배리어부(58)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그것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1a, 111a 끼움 결합면
11b, 111b 실장면
12 오목부
12a, 113 오목홈부
13 제1 볼록부
14, 122b 측벽부
15 제1 단자 수용 캐비티
15a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b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21 제1 돌출 단부
21a 상면
21b, 122a 끝벽부
21c 측벽 연장부
21f 내벽부
21g 중앙부
21k 외벽부
22 끼움 결합 오목부
25 내측 끝 볼록부
25a 대향 평면
26 제1 금구 지지 오목부
26a 제2 접속 암부 수용 개구부
26e 제1 접속 암부 수용 개구부
51, 851 제1 보강 금구
52 제1 본체부
52a 코너부
53 접속 암부
54 접촉 암부
54a, 57a 상측 피복부
54A 접촉 상측 암부
54b, 57b 내측 피복부
54B 접촉 전방측 암부
54c 만곡 볼록부
54f, 56f 전방 단부
54r, 56r 후방 단부
56a 제1 접속 다리부
56a1 수직부
56a2 수평부
56b 제2 접속 다리부
57 중앙 가이드부
57c 볼록부 수용 개구
58 배리어부
59-1, 59-2, 59-3, 59-4 레이저 빔
61 제1 단자
62, 162 테일부
63 피지지부
64 하측 접속부
65, 165 제1 접촉부
66, 166 제2 접촉부
67 상측 접속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2 제2 볼록부
122 제2 돌출 단부
122c 보강 금구 수용 오목부
151, 951 제2 보강 금구
152 제2 본체부
154 측방 피복부
155 접촉 측판부
156 기판 접속부
157 중앙 피복부
158 지지용 돌출편
161 제2 단자
164 접속부
852, 952 본체부
854, 952a 하우징 멈춤용 볼록부
856a 제1 기판 접속부
856b 제2 기판 접속부
858, 958 측방 결합편
858a, 958a 측방 결합 볼록부
956 기판 접속부

Claims (8)

  1. (a)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금구를 구비한 커넥터이며,
    (b)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 결합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 결합 가이드부와 끼움 결합하는 끼움 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좌우 양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외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암부와, 당해 접속 암부의 선단에 있어서 상단에 기단이 접속되며, 상기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좌우 한 쌍의 접촉 암부를 포함하며,
    (d) 상기 접속 암부의 기단에 있어서 하단에는,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다리부이며, 상기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제1 접속 다리부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촉 암부는 접촉 상측 암부와 접촉 전방측 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상측 암부는, 기단이 상기 접속 암부의 선단에 있어서의 상단에 접속되고, 선단이 하측을 향하여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를 걸치는 상측 피복부와, 당해 상측 피복부의 선단에 접속되며,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전방측 암부는, 상기 내측 피복부에 접속되며,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측벽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끼움 결합 오목부에 삽입된 상기 상대방 끼움 결합 가이드부에 설치된 상대방 보강 금구와 접촉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다리부는, 상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부와, 당해 수직부로부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수평부를 포함하며, 당해 수평부의 하단이 상기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기판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다리부이며, 상기 커넥터의 측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L자 형상인 제2 접속 다리부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암부는, 상기 제1 접속 다리부의 전방 단부보다도 전방 부분의 폭이,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기단의 폭보다도 큰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암부의 폭은, 상기 접속 암부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기단의 폭보다도 큰 커넥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접속 암부의 측면에는, 땜납 상승 또는 플럭스 상승을 방지하는 배리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접속 암부의 측면에는, 니켈의 기초 도금 상에 금 도금이 실시되며,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금 도금에 레이저 빔이 조사됨으로써, 니켈이 표면에 노출된 부분인 커넥터.
KR1020160048535A 2015-04-23 2016-04-21 커넥터 KR101808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8042A JP6378642B2 (ja) 2015-04-23 2015-04-23 コネクタ
JPJP-P-2015-088042 2015-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94A KR20160126894A (ko) 2016-11-02
KR101808418B1 true KR101808418B1 (ko) 2017-12-12

Family

ID=5714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535A KR101808418B1 (ko) 2015-04-23 2016-04-21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985366B2 (ko)
JP (1) JP6378642B2 (ko)
KR (1) KR101808418B1 (ko)
CN (1) CN106067623B (ko)
TW (1) TWM53732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8642B2 (ja)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464270B2 (ja) * 2015-08-05 2019-02-06 京セラ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1579147S (ko) * 2016-09-07 2017-06-19
JP6873424B2 (ja) * 2017-01-11 2021-05-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806593B2 (ja) *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283488B1 (ko) * 2017-04-24 2021-07-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JP6761375B2 (ja) * 2017-05-29 2020-09-23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7069118U (zh) *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925883B2 (ja) *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950740B2 (ja) * 2017-07-24 2021-10-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
US10638608B2 (en) * 2017-09-08 2020-04-28 Apple Inc. Interconnect frames for SIP modules
DE102018000207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KR102542024B1 (ko) * 2018-02-23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959884B2 (ja) * 2018-03-13 2021-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JP2019186062A (ja) *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082207B1 (ko) * 2018-05-02 2020-0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1625950S (ko) * 2018-06-22 2019-03-04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7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607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CN111446592B (zh) * 2019-01-17 2021-11-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壳体和电连接器
TWM580268U (zh) * 2019-01-25 2019-07-0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assembly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USD954665S1 (en) * 2019-05-03 2022-06-14 Lumileds Holding B.V. Flexible circuit board
JP2020184459A (ja) 2019-05-08 2020-1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209929524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JP7353859B2 (ja) * 2019-08-09 2023-10-02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1656933S (ko) * 2019-10-01 2020-04-06
JP1656934S (ko) * 2019-10-01 2020-04-06
JP1661209S (ko) * 2019-10-02 2020-06-08
JP1661208S (ko) * 2019-10-02 2020-06-08
US20230006376A1 (en) * 2019-12-25 2023-01-05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1663235S (ko) 2020-02-13 2020-07-06
CN111355060B (zh) * 2020-03-13 2021-08-17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454995B2 (ja) *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N111769388B (zh) * 2020-06-16 2024-07-16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1682140S (ko) * 2020-10-06 2021-08-30
JP1682138S (ko) * 2020-10-06 2021-08-30
CN114498200B (zh) * 2020-10-23 2024-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1696084S (ko) * 2020-10-26 2021-10-04
JP1689505S (ko) * 2020-12-08 2021-07-12
JP7398496B2 (ja) * 2021-04-02 2023-1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TWM618644U (zh) * 2021-06-25 2021-10-21 詮欣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1733153S (ja) * 2022-04-12 2022-12-26 コネクタ
JP1733229S (ja) * 2022-04-12 2022-12-26 コネクタ
JP1733230S (ja) * 2022-04-12 2022-12-26 コネクタ
JP1733228S (ja) * 2022-04-12 2022-12-26 コネクタ
JP1733227S (ja) * 2022-04-12 2022-12-26 コネクタ
WO2023199844A1 (ja) * 2022-04-13 2023-10-19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1744153S (ja) * 2022-09-07 2023-05-16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527A (ja) * 2011-05-31 2011-11-17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半田吸い上がりバリア部を持つ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3206771A (ja) * 2012-03-29 2013-10-0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884B2 (ja)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23694B2 (ja)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JP5943774B2 (ja) * 2012-08-16 2016-07-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8979551B2 (en) * 2012-11-29 2015-03-17 Samtec, Inc.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JP6293431B2 (ja) * 2013-03-05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103872489B (zh) * 2014-01-24 2018-01-1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378642B2 (ja)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527A (ja) * 2011-05-31 2011-11-17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半田吸い上がりバリア部を持つ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3206771A (ja) * 2012-03-29 2013-10-0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37322U (zh) 2017-02-21
US10403991B2 (en) 2019-09-03
US20190372250A1 (en) 2019-12-05
JP6378642B2 (ja) 2018-08-22
CN106067623A (zh) 2016-11-02
CN106067623B (zh) 2018-07-24
US9985366B2 (en) 2018-05-29
KR20160126894A (ko) 2016-11-02
US10530079B2 (en) 2020-01-07
US20160315430A1 (en) 2016-10-27
US20180277972A1 (en) 2018-09-27
JP2016207478A (ja)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418B1 (ko) 커넥터
KR101985141B1 (ko) 커넥터
TWI716281B (zh) 連接器
TWI475765B (zh) Connector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6245964B2 (ja) コネクタ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JP7208115B2 (ja) コネクタ
KR101195355B1 (ko) 위킹 방지 단자 및 커넥터
TWI789046B (zh) 連接器及連接器對
JP6660427B2 (ja) コネクタ
JP5693338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2100253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