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303B1 -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303B1
KR101808303B1 KR1020160110897A KR20160110897A KR101808303B1 KR 101808303 B1 KR101808303 B1 KR 101808303B1 KR 1020160110897 A KR1020160110897 A KR 1020160110897A KR 20160110897 A KR20160110897 A KR 20160110897A KR 101808303 B1 KR101808303 B1 KR 10180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zza
meat
casing
filled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학수
Original Assignee
(주) 도야지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도야지식품 filed Critical (주) 도야지식품
Priority to KR102016011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1Pizza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02Sausage filling or stuff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68Particular types of chee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5Saus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형의 케이싱 내에 피자속을 투입시킨 밀봉시킨 다음 케이싱을 단위 길이씩 꼬임하여 봉입형의 피자 성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피자 성형물을 저온 가열 조리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에 따른 편리성과 한입에 간편한 섭취가 가능한 취식성을 제공하는 한편,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 자체의 질감과 탱탱한 탄력, 그리고 피자 고유의 풍미가 제공되도록 한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aled-type pizza}
본 발명은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형의 케이싱 내에 피자속을 투입하여 밀봉시킨 다음, 케이싱을 단위 길이씩 꼬임하여 봉입형의 피자 성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피자 성형물을 저온 가열 조리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에 있어서의 편리성과 한입에 간편한 섭취가 가능한 취식성을 제공하는 한편,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 자체의 질감과 탱탱한 탄력, 그리고 피자 고유의 풍미가 함께 제공되도록 한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피자는 남녀노소 모두가 즐기는 간식이나 식사대용으로 섭취되고 있는 식품으로, 일반적으로 피자는 밀가루를 주원료로 한 피자 도우에 토마토 소스와 치즈 등의 토핑(topping)을 적층되게 투입한 다음, 오븐에서 200℃ 내지 350℃ 이상의 온도로 고온 가열하여 조리된다.
그리고, 상기 피자는 주재료와 부재료 및 소스로 이루어지는데, 통상 부재료인 토핑재료와 소스를 다양하게 바꾸어 여러 종류의 피자를 제조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가 충족되도록 한다.
이러한 피자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최초, 중력분, 설탕, 소금, 식용유, 이스트,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반죽한 다음, 이를 30℃에서 1시간 1차 발효 후 다시 실온에서 15 ~ 20분 2차 발효를 실시하여 피자 도우를 얻는다.
이후, 상기 1차 과정을 통해 얻은 피자 도우를 구이틀에 둥글게 펼친 다음, 그 상부에 토마토, 양, 마늘, 생크림, 버터, 파슬리, 소고기 등을 혼합하여 만든 피자소스를 첨가하고, 상기 피자소스를 적층시킨 피자 도우의 상부에, 소고기, 햄, 양파, 옥수수, 피망, 피자치즈 등으로 이루어진 피자 토핑을 얹는다.
이후, 상기의 피자도우를 오븐이나 피자 가마에 넣고 200℃ 내지 350℃에서 15분 정도 굽는 고온 가열조리를 통해 피자를 얻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피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통상 제조하는 것으로, 피자도우, 소스, 토핑의 조성물에 따라 피자의 맛과 향의 차이는 가지나, 그 제조방법에 따른 특이성을 가지지 못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즉, 종래 도우형 피자는, 피자도우, 소스, 토핑의 조성물에 따라 피자의 맛과 향의 차이에 의해 피자 본래의 풍미는 제공되지만, 상기 피자를 구성하는 피자 도우는 그 특성상 밀가루를 이용하여 만들고, 또 다량의 기름기와 다량의 기름기에 의한 느끼한 맛이 제공되므로, 상기 다이어트를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기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자는 피자 도우의 표면에 적층된 피자소스와, 피자토핑이 외부에 노출되고 부피가 비대하여 운반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 외부 노출에 의해 피자소스 및 피자토핑의 부패가 야기될 수 있어, 보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섭취시 피자 도우를 절개하여 섭취하여야 하므로, 간편한 섭취가 어렵고, 또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1. 특허공개 제10-2010-0058881호 2. 특허등록 제10-1311385호 3. 특허등록 제10-1135192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형의 케이싱 내에 피자속을 투입하여 밀봉시킨 다음, 케이싱을 단위 길이씩 꼬임하여 봉입형의 피자 성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피자 성형물을 저온 가열 조리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에 있어서의 편리성과 한입에 간편한 섭취가 가능한 취식성을 제공하는 한편,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 자체의 질감과 탱탱한 탄력, 그리고 피자 고유의 풍미가 제공되도록 한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은,
당면을 데침하여 데침된 당면을 수득하는 당면 전처리 공정과;
분쇄과정을 통해 육고기를 분쇄기에 투입시켜 분쇄하여 육고기 분쇄육을 수득하는 육고기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된 분쇄육과, 전처리된 당면과, 반경성 가공치즈와, 토마토 소스와, 전분을 배합하는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이 완료된 충진 토핑물을 충진기에 투입시켜, 관상의 케이싱 내에 토핑물을 충진하는 봉입단계와, 상기 토핑물이 충진된 관상의 케이싱의 단부를 단위 길이씩 꼬임하여, 꼬임에 의해 양단이 밀봉된 단위 밀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위 길이의 봉입형 피자 성형체들을 성형하는 봉입형 피자 성형체 성형공정과;
상기 봉입형 피자 성형체들을 가열 조리하여, 봉입형 피자 성형체를 구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을 가열하여 익혀서, 봉입형 피자 성형체가 가열 조리된 봉입형 피자를 형성하는 저온 가열 조리공정; 및
상기 가열 조리된 봉입 성형체들을 식힌 다음, 진공 포장기를 통해 진공 포장하는 진공 포장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경성 가공치즈로는 툼바치즈가 사용되고, 상기 저온 가열 조리공정에서는 툼바치즈의 융점인 90℃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면 전처리 공정은 당면을 18℃ 내지 22℃의 정제수에 함침시켜 불림하는 상온 불림과정과; 상기 불림된 당면을 65℃ 내지 75℃의 정제수에 투입한 다음, 2 내지 4분 동안 저온 가열하여 데치는 저온 데침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육고기 전처리 공정에는 분쇄과정에 의해 수득된 육고기 분쇄육을 90℃ 내지 100℃의 끊는 정제수에 투입시킨 다음, 15분 내지 25분 동안 데치는 고온 데침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에서 고온 데침된 육고기 분쇄육이 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에서 야채 보조 첨가물과, 버섯 보조 첨가물, 및 양념 보조 첨가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 첨가물이 부가하여 첨가된다.
또한, 상기 육고기는 생돼지고기, 생닭고기, 생소고기, 생칠면조 고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봉입형 피자 성형체 성형공정에서 토핑 충진물을 충진한 케이싱은 15mm 내지 150mm의 단위 길이로 양단이 꼬임되어서, 15mm 내지 150mm의 봉입형 피자 성형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봉입형 피자는, 밀폐된 케이싱 내에 피자 토핑물이 충진 및 저온 가열 조리된 관계로, 피자 토핑물 본래의 맛과 향이 케이싱 내에 잔류한다.
특히, 상기 저온 불림과 저온 가열 조리에 의해 탱탱한 탄성을 갖는 당면과, 저온 가열에도 고유한 탄성을 유지하는 툼바치즈 자체에 의해서, 취식 과정에 툼바치즈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아니하고, 또 입안에서 툼바치즈 본래의 고소한 맛과, 당면과 툼바치즈에 의한 탱탱한 식감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봉입형 피자(실험군)와, 편의점 등지에서 범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도우형 피자인 불고기 피자(대조군)의 기호도 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흡연을 하거나 감기에 걸리지 않아 미각 및 후각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인정되는 일반 남녀 성인 각 10명의 검사단(20명)이 각 항목에 대하여 5단계 평점법(5점: 매우 만족, 4점: 약간만족, 3점: 보통, 2점: 약간불만, 1점: 매우불만)으로 평점하고, 상기 평점결과를 평균하여 관능검사 결과를 얻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식감 외관
봉입형 피자
(실험군)
4.4 4.1 4.2 4.8 4.6
도우형 피자
(대조군)
4.0 3.6 3.6 3.4 3.5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헤 제조된 봉입형 피자는, 범용의 도우형 피자에 대비하여, 맛이나 향, 색, 식감, 외관 등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리고, 본 제조방법에 있어 토핑 충진물은 케이싱 내에 충진되어 밀봉된 관계로 상온 보관성이 우수하고, 또 휴대 및 운반성이 용이하여 야외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가 가능한 특징을 갖고, 상기 증숙, 또는 훈연을 포함하는 저온 가열 조리에 의해 케이싱 내에 충진된 툼바치즈와 당면의 형상과 탄성이 유지되고, 충진 토핑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식재료 자체의 영양 손실이 최소화되어 건강에 유익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의 순차적인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봉입형 피자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툼바치즈를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충진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도 3a)와, 툼바치즈를 모짜렐라 치즈로 대용하여 제조한 봉입형 피자(도 3b)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처리된 당면을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도 4a)와, 당면을 배합하지 아니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도 4b)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당면을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시켜 제조된 봉입형 피자(실험군)과, 당면을 배합하지 아니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시켜 제조된 봉입형 피자(대조군)에 대하여, 탄력성과, 응집성, 및 깨짐성을 비교 측정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봉입형 피자는, 외형적으로 관상의 케이싱 내에 충진 토핑물을 충진하여 봉입한 다음, 상기 봉입된 케이싱의 단부를 꼬임을 통해 밀봉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충진 토핑물의 외부 노출이 방지되어 우수한 운반 및 보관성을 갖고, 간편한 가열 조리를 통해 주위 오염없이 섭취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에는 저온 가열 처리에 의해 탱탱한 식감을 갖는 당면과, 반경성 가공치즈인 툼바치즈가 배합되어서, 이를 통해 제조된 봉입형 피자는 케이싱 내부에 충진된 당면과 툼바치즈에 의해 안정된 형태성을 겸비하면서, 섭취시 탱탱한 식감이 제공된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을 각 공정별로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의 순차적인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봉입형 피자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툼바치즈를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충진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도 3a)와, 툼바치즈를 모짜렐라 치즈로 대용하여 제조한 봉입형 피자(도 3b)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처리된 당면을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도 4a)와, 당면을 배합하지 아니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도 4b)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당면을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시켜 제조된 봉입형 피자(실험군)과, 당면을 배합하지 아니한 충진 토핑물을 케이싱에 충진시켜 제조된 봉입형 피자(대조군)에 대하여, 탄력성과, 응집성, 및 깨짐성을 비교 측정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당면 전처리 공정]
최초 당면 2300 내지 2700의 그램을 18℃ 내지 22℃의 정제수에 함침시켜 불림한 다음, 상기 불림된 당면을 65℃ 내지 75℃의 정제수에 투입시켜 2 내지 4분 동안 저온 가열시켜 데친다.
본 공정에서와 같이 상기 불림된 당면을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고열 가열하여 데치지 아니하고, 당면을 상온의 정제수에서 1차 불림한 다음, 상기 1차 불림된 당면을 65℃ 내지 75℃의 정제수에 함침하여 저온 가열하여 데치는 저온 데침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면, 당면의 조직을 구성하는 녹말의 분해가 억제되어 퍼짐 등 형상이나 탄력의 손실없이 안정된 형태성을 유지하고, 또 섭취시 쫄깃하면서 탱탱한 식감이 제공된다.
[육고기 전처리 공정]
육고기 4500 내지 5500의 그램을 정제수에 함침시켜 핏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핏물이 제거된 육고기를 분쇄기에 투입 분쇄하여 육고기 분쇄육을 수득한다.
상기 분쇄과정을 통해 수득된 육고기 분쇄육은 가열 조리되지 아니하고 후술되는 충진 토핑물에 배합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에서는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득된 육고기 분쇄육을 90℃ 내지 100℃의 끊는 정제수에 투입시킨 다음, 15분 내지 25분 동안 데쳐서(삶아서) 완전히 익히는 고온 데침과정을 부가하여, 상기 고온 데침과정을 통해 완전히 익힌 육고기 분쇄육을 충진 토핑물에 배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육고기로는 생돼지고기, 생닭고기, 생소고기, 생칠면조 고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택되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생돼지고기를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육고기 분쇄육을 고온으로 데치면 최초 4500 내지 5500의 그램을 갖는 육고기 분쇄육에 포함된 수율은 40% 가량 배출되어서, 최종 고온 데침을 마친 육고기 분쇄육은 2800 내지 3500의 그램을 갖는다.
또한, 상기 끊는 정제수에 월계수 잎 4 내지 7 그램이나 2 내지 5 그램의 후추를 함께 투입시켜, 고온 데침되는 육고기 분쇄육 본래의 잡내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
상기 당면 전처리 공정에 의해 저온 데침되어 5mm 내지 20mm의 길이로 절단된 당면과, 상기 육고기 전처리 공정을 통해 고온 데침된 분쇄육으로 이루어진 주재료와, 양념 보조 첨가물과, 반경화성 치즈인 툼바치즈 600 내지 700 그램과, 토마토 소스 1200 내지 1400 그램과, 소맥전분 450 내지 550 그램과, 옥수수콘 600 내지 700 그램과, 야채 보조 첨가물과, 버섯 보조 첨가물를 배합하여 충진 토핑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념 보조 첨가물로, 정제염 50 내지 60 그램과, 젖산 칼륨용액 45 내지 55 그램과, 다진마늘 70 내지 90 그램과, 갈색설탕 100 내지 120 그램과, 화학 조미료(미원) 45 내지 55 그램과 후추분말 1 내지 3 그램을 혼합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야채 보조 첨가물로는 양배추, 피망, 당근, 양파 등 다양한 야채류가 채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진 양배추 750 내지 850 그램과, 다진 당근 550 내지 600 그램과, 다진 양파 350 내지 400 그램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버섯 보조 첨가물로는 다진 느타리 버섯, 다진 송이 버섯, 다진 새송이 버섯, 다진 양송이 버섯 등 다양한 다진 버섯들이 채택되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다진 새송이 버섯 450 내지 500 그램을 투입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충진 토핑물에 배합한 당면은 저온 데침공정에 의해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쫄깃하면서 탱탱한 식감을 제공하고, 또 툼바치즈는 통상 피자에서 범용으로 사용되는 연성치즈인 모짜렐라 치즈와 달리, 90℃ 이하의 온도에서는 반경화되어 알갱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당면을 배합한 충진 토핑물을 포함하는 봉입형 피자(실험군)와, 당면을 배합하지 아니한 충진 토핑물을 포함하는 봉입형 피자(대조군)에 대하여, 탄력성과, 응집성 및 깨짐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충진 토핑물에 전처리된 당면을 투입시켜 배합하면, 봉입형 피자의 탄력성과, 응집성과, 깨짐성과, 강도와, 경도와, 씹음성 및 부착성(응집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봉입형 피자 성형체 성형공정]
상기 배합이 완료된 충진 토핑물을 충진기에 투입시켜 관상의 케이싱 내에 충진 토핑물을 충진하고, 상기 충진 토핑물이 충진된 관상의 케이싱의 단부는 단위 길이씩 꼬임되어서, 꼬임에 의해 양단이 봉합된 단위 길이의 봉입형 피자 성형체들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 토핑물을 충진한 케이싱은 통상 20mm 내지 25mm의 지름을 갖고, 또 케이싱 단부의 꼬임을 통해 성형되는 봉입형 피자 성형물의 단위 길이는, 통상 15mm 내지 150mm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으로는 돈장(돼지 창자) 케이싱, 양장(양의 창자) 케이싱, 콜라겐 케이싱, 셀롤로오스 케이싱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케이싱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콜라겐 케이싱은, 소의 가죽을 구성하는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돈장 케이싱이나 양장 케이싱과 비슷한 식감을 제공하면서 식용으로 섭취가 가능하고, 특히 우수한 가스 투과성에 의해 우수한 훈연성을 갖는다.
[저온 가열 조리공정]
상기 봉입형 피자 성형체들은 가열 조리과정을 거쳐, 봉입형 피자 성형체를 구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충진된 토핑물을 가열하여 익혀진 봉입형 피자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공정은, 75℃ 내지 80℃의 온도로 예열된 훈열실 내에서 50분 내지 70분 동안 훈연하여, 봉입형 피자 성형체를 구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들이 저온 훈연하여 조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훈열실의 훈연재로 참나무를 채택하여, 봉입형 피자에 참나무의 훈열향이 그대로 베이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으로 우수한 가스 투과성을 갖는 콜라겐 케이싱을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훈연향이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에 고르게 배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증숙실 내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85℃ 내지 88℃의 스팀을 분사하여, 봉입형 피자 성형체를 구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들이 스팀에 의해 가열하여 조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봉입형 피자 성형체를 100℃ 내지 350℃의 고온 상태에서 가열 조리하지 아니하고, 반경성 가공치즈인 툼바치즈의 융점 90℃보다 낮은 온도에서 저온 상태에서 가열 조리하면,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의 툼바치즈는 전체적으로 용융되지 아니하고 고상을 유지하므로,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봉입형 피자는 안정된 형태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진 토핑물을 구성하는 야채 보조 첨가물과, 버섯 보조 첨가물의 고온 가열 조리에 따른 영양 손실률이 최소화되고, 또 섭취시 각 야채 보조 첨가물과 버섯 보조 첨가물이 갖는 고유한 식감과 향과 풍미, 및 영양이 제공될 수 있다.
[진공 포장 및 저온 가열 조리공정]
상기 가열 조리된 봉입 성형체들을 냉장실에서 식힌 다음, 진공 포장기를 통해 진공 포장한 다음, 상기 진공 포장된 봉입형 피자를 살균 처리하는 살균 처리한다.
삭제

Claims (6)

  1. 당면을 데침하여 데침된 당면을 수득하는 당면 전처리 공정과;
    분쇄과정을 통해 육고기를 분쇄기에 투입시켜 분쇄하여 육고기 분쇄육을 수득하는 육고기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된 분쇄육과, 전처리된 당면과, 반경성 가공치즈와, 토마토 소스, 및 전분을 배합하는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이 완료된 충진 토핑물을 충진기에 투입시켜, 관상의 케이싱 내에 토핑물을 충진하는 봉입단계와, 상기 토핑물이 충진된 관상의 케이싱의 단부를 단위 길이씩 꼬임하여, 꼬임에 의해 양단이 밀봉된 단위 밀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위 길이의 봉입형 피자 성형체들을 성형하는 봉입형 피자 성형체 성형공정과;
    상기 봉입형 피자 성형체들을 가열 조리하여, 봉입형 피자 성형체를 구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충진된 충진 토핑물을 가열하여 익혀서, 봉입형 피자 성형체가 가열 조리된 봉입형 피자를 형성하는 저온 가열 조리공정; 및
    상기 가열 조리된 봉입 성형체들을 식힌 다음, 진공 포장기를 통해 진공 포장하는 진공 포장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경성 가공치즈로는 툼바치즈가 사용되고, 상기 저온 가열 조리공정에서는 툼바치즈의 융점인 90℃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 전처리 공정은 당면을 18℃ 내지 22℃의 정제수에 함침시켜 불림하는 상온 불림과정과; 상기 불림된 당면을 65℃ 내지 75℃의 정제수에 투입한 다음, 2 내지 4분 동안 저온 가열하여 데치는 저온 데침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고기 전처리 공정에는 분쇄과정에 의해 수득된 육고기 분쇄육을 90℃ 내지 100℃의 끊는 정제수에 투입시킨 다음, 15분 내지 25분 동안 데치는 고온 데침과정이 더 부가되어,
    상기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에서 고온 데침된 육고기 분쇄육이 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토핑물 배합공정에서 야채 보조 첨가물과, 버섯 보조 첨가물과, 및 양념 보조 첨가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물이 부가하여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형 피자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고기는 생돼지고기, 생닭고기, 생소고기, 생칠면조 고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입형 피자 성형체 성형공정에서 토핑 충진물을 충진한 케이싱은 15mm 내지 150mm의 단위 길이로 양단이 꼬임되어서, 15mm 내지 150mm의 봉입형 피자 성형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KR1020160110897A 2016-08-30 2016-08-30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KR10180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97A KR101808303B1 (ko) 2016-08-30 2016-08-30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97A KR101808303B1 (ko) 2016-08-30 2016-08-30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303B1 true KR101808303B1 (ko) 2017-12-12

Family

ID=6094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897A KR101808303B1 (ko) 2016-08-30 2016-08-30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3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864A (ja) 2000-01-05 2001-07-10 Itoham Foods Inc ソーセ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30051B1 (ko) * 2007-02-20 2008-05-16 윤정우 순대
KR101170308B1 (ko) 2012-04-24 2012-08-01 농업회사법인(주)육품정클러스터 육우를 이용한 육우 소시지의 제조방법 및 육우를 이용한 육우 소시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864A (ja) 2000-01-05 2001-07-10 Itoham Foods Inc ソーセ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30051B1 (ko) * 2007-02-20 2008-05-16 윤정우 순대
KR101170308B1 (ko) 2012-04-24 2012-08-01 농업회사법인(주)육품정클러스터 육우를 이용한 육우 소시지의 제조방법 및 육우를 이용한 육우 소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2045A (ko) 수비드 조리법에 의한 편의식 생선 조림 제조방법
CN104686917A (zh) 一种黑炭流沙点心及制作方法
CN102396731A (zh) 一种狮子头的制作方法
US20180325154A1 (en) Method of processing food and a product thereof
KR101808303B1 (ko) 봉입형 피자의 제조방법
JP7148676B2 (ja) 調味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1997093B1 (ko) 비타민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타민 김밥
KR101582257B1 (ko) 떡볶이 속을 함유한 어묵 반죽 제조 방법
KR100898060B1 (ko) 홈 베이커리용 반구운 바게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7870B1 (ko) 김치 피자 소스를 이용한 김치 부추 피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2373A (ko) 돈우육 떡갈비용 냉동떡갈비 제조방법
CN112790339A (zh) 一种脆骨豆豉及其制作工艺
CN113424935A (zh) 一种牛骨汤地瓜粉饺子及其制作方法
JP2012125238A (ja) 嚥下困難者用食肉加工食品及び、嚥下困難者用食肉加工食品の製造法
KR20010044230A (ko) 양념간장소스로 가공한 돼지족발
KR101984879B1 (ko) 룽고 라비올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룽고 라비올리
KR102382954B1 (ko) 김치 핫도그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520B1 (ko) 연근 가스의 제조방법
CN101623066A (zh) 一种方便云吞、水饺及其制作方法
CN101108010B (zh) 牛肉鲜方便粗粮粉
RU2259745C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азогри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KR19990002900A (ko) 혼합어육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CN105495106A (zh) 莲藕牛肉饼的制作方法
JP2013027372A (ja) 紙容器入りパ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7883B1 (ko) 달팽이 요리용 버터소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