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608B1 -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608B1
KR101800608B1 KR1020150161830A KR20150161830A KR101800608B1 KR 101800608 B1 KR101800608 B1 KR 101800608B1 KR 1020150161830 A KR1020150161830 A KR 1020150161830A KR 20150161830 A KR20150161830 A KR 20150161830A KR 101800608 B1 KR101800608 B1 KR 10180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ed
water
ethanol
gon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075A (ko
Inventor
왕명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푸른솔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푸른솔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6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곤드레를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수득함로써, 독성이 없고 무해하며, 혈당상승을 감소시키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혼합식물 추출물과 혼합됨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향상시켜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을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향상되어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이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드는 단계(S10)와,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ntidiabetic composition containing of cirsium setidens nakai extract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곤드레를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수득함로써, 독성이 없고 무해하며, 혈당상승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혼합식물 추출물과 혼합됨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향상시켜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을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향상되어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대표적인 만성 성인병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5% 정도로 최소한 25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에도 당뇨병의 환자 수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점차로 환자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상기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인슐린의 부족으로 인해 발병하는데, 상기 인슐린은 폴리펩티드성 호르몬으로, 췌장에 있는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체내 대부분의 세포에서 포도당을 사용하는데 필요로 한다.
그러나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량이 부족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슐린 이외의 다른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며, 신체 세포들이 포도당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장애가 생겨 혈당치가 증가하거나 과량의 당분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대사성 질환에 속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당뇨병의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 등이 있으며, 그 중 약물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약제의 작용 기전에 따라 설폰요소제(sulfonylureas and repaglinide), 바이구아나이드제(biguanides), 티아졸리딘다이온제(thiazolidinediones)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α-glucosidase inhibitors)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설폰요소제는 대부분 간에서 대사되고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췌장의 베타-세포의 탈분극을 유도하고 세포 내의 칼슘 유입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지만, 심혈관련 부작용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바이구아나이드제는 간에서의 당 생성과 글루코겐 분해 억제를 통한 간의 당 생성을 억제하는 약재로서 간과 말초 조직인 근육에서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나, 복부 팽만감, 설사를 포함한 소화계 부작용을 수반하며, 신장 질환, 간 질환, 호흡 부전, 저산소혈증, 감염증 등의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고, 상기 티아졸리딘다이온제는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경구용 혈당강하제였으나, 심각한 간 독성의 발생으로 판매가 금지되었으며, 상기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음식물 중의 소당류와 이당류의 분해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식후 혈당의 급속한 상승과 그에 따른 혈액 내의 인슐린 반응을 감소시키지만, 아밀라아제 억제능을 보유하고 있어 아밀라아제의 활성도 함께 억제함으로써 고분자인 전분질의 분해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아 복부팽만감, 불쾌감, 설사 등의 소화기 부작용이 수반되므로 소량씩 천천히 복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443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뽕잎 추출물 : 계피 추출물 : 포도씨 추출물의 중량비가 각각 55~65 : 5~35 : 5~35 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은 주정 : 물의 비율이 5 : 5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뽕잎 추출물과 주정 : 물의 비율이 7 : 3인 추출용매로 추출한 계피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경구용 혈당강하제가 가지고 있는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의 부작용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계피는 메틸하이드록시 칼콘 폴리머(methylhydroxy chalcone polymer; MHCP)라는 활성물질을 가지고 있고, 포도씨는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라는 물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 물질들은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혈당강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약하여 체내의 혈당상승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음식 섭취 후 혈당의 상승에 따른 인슐린 반응의 민감도가 낮아 혈당강하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곤드레를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수득함로써, 독성이 없고 무해하며, 혈당상승을 감소시키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혼합식물 추출물과 혼합됨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향상시켜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을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향상되어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이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드는 단계(S10)와,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곤드레를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수득함로써, 독성이 없고 무해하며, 혈당상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혼합식물 추출물과 혼합됨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향상시켜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을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향상되어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방식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알파 아밀라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를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 모델에 이용한 생체 내 실험에 있어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를 정상 마우스 모델에 이용한 생체 내 실험에 있어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은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향상되어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방식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알파 아밀라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를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 모델에 이용한 생체 내 실험에 있어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를 정상 마우스 모델에 이용한 생체 내 실험에 있어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곤드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약 1m이고, 뿌리가 곧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있다. 상기 곤드레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무기질 및 비타민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염 효과 및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곤드레를 추출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수득함으로써,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곤드레 추출물이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향상시키고, 식후 혈당 저하 테스트를 통해 곤드레 추출물이 혈당강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자원 중 한란, 자란 및 삼릉을 선정하여, 상기 한란, 자란 및 삼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한란, 자란, 및 삼릉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식물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상기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추출물이 혼합됨으로써,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향상시키며, 체내의 혈당상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추출물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곤드레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를 더 상승하게 한다.
상기 한란은 난초과에 속하는 상록다년생 초본식물로, 잎은 좁고 길며 혁질상으로 길이는 50㎝ 정도 되며 진녹색으로 끝은 뾰족하고 광택이 난다.
상기 한란의 효능은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노화와 피로에 지친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를 탄력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자란은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키 높이가 30 내지 70 cm이고 줄기는 다육질이며 황백색이다.
상기 자란의 효능은 폐를 보해주고 지혈, 수렴작용을 하며 종기를 가시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삼릉은 키 높이가 70 내지 100 cm이고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며 매끄럽다. 잎몸은 실 모양이고 길이는 60 내지 60 cm, 너비는 0.7 내지 1.2 cm이며 잎의 밑면에 1 개의 능선이 세로로 나 있다.
상기 삼릉의 효능은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피부에 생기를 부여하여 각종 염증을 삭히고 예방해주고, 노인성질환과 부인과 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고 발효 및 숙성과정을 거쳐 혼합식물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발효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식물 발효물은 혼합식물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것으로, 상기 혼합식물 발효물을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함으로써,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을 더 향상시키며, 체내의 혈당상승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혼합식물 발효물이 촉매역할을 하여 곤드레 추출물의 혈당강하의 유효성분들을 많이 배출시킴으로써, 곤드레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를 높여준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p.) 균주이며, 상기 유산균으로 혼합식물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스(Lactobcillus rhamnose),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써모필러스(Lactobcillus thermophil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p.) 균주는 비피도박테이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이움 롱금(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이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드는 단계(S10)와,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S4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키고 혼합하는 단계(S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단계(S50)에서 얻어진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이 상기 단계(S1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키고 혼합하는 단계(S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드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곤드레 전초는 잎, 줄기, 가지 및 뿌리를 의미한다. 상기 곤드레 전초를 채집하고 세척한 후, 동결건조, 오븐건조 또는 그늘에서 건조(음지건조)한다.
상기 건조된 곤드레 전초를 미세하게 잘라 시료를 만드는데, 상기 과정은 시료의 표면적을 넓혀 추출단계에서 곤드레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곤드레 전초를 동결건조기에 넣고 -45 내지 -35 ℃의 온도에서 예비동결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온도가 -45℃ 미만이면 진공동결건조공정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35 ℃ 초과이면 동결속도가 느려지고 빙결점이 커저 세포파괴에 따른 열화의 요인이 되고,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며, 동결온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발포와 표면경화, 융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예비동결단계를 통해 얻은 동결된 곤드레 전초를 40 내지 50 ℃, 진공도 0.1 ~ 0.5 Torr에서 진공동결건조를 한다.
진공동결건조에서 온도가 40 ℃ 미만이면 수분이 승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50 ℃ 초과이고, 진공도 저하시 곤드레 전초에 수축 및 변질이 발생하여 곤드레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예비동결단계를 통해 고체화(얼음)된 수분을 진공동결건조에서 승화시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곤드레 전초 블록이 형성된다. 이러한 곤드레 전초 블록이 장기보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기 오븐건조는 오븐기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45 내지 60 ℃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온도가 40 ℃ 미만이고, 1 시간 미만이면 수분이 승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60 ℃ 초과이고, 3 시간 초과이면 곤드레 전초가 수축되거나 일부분이 타기 시작하여 곤드레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15 내지 25 ℃에서 5 내지 7 일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음지건조는 자연통풍방식으로 건조하는 것으로, 서늘한 그늘에서 곤드레 전초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건조를 하게 되면 주위의 다양한 미생물들이 자연적으로 착생(着生)하여 번식함으로써, 곤드레가 가지고 있는 혈당강하 유효성분들이 많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가 15 ℃ 미만이고, 5 일 미만이면, 수분이 승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5 ℃ 초과이고, 7 일 초과이면 곤드레 전초에 곰팡이가 많이 생성되어 곤드레 전초가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의 양이 시료 중량 대비 10 배 미만이면 곤드레에서 유효성분을 제대로 추출할 수 없고, 25 배 초과이면 유탁액이 발생하여 추출물을 분리하기 어렵고 추출물의 순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온도가 20 ℃ 미만이고, 20 시간 미만이면 곤드레에서 유효성분을 제대로 추출할 수 없고, 60 ℃ 초과이고, 30 시간 초과이면 열에 의해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30)에서도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기 위해 20 내지 60 ℃ 및 20 내지 30 시간의 범위에 벗어나면 곤드레의 유효성분을 제대로 추출할 수 없고, 열에 의해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와트만 지(Whatman paper)로 여과하는 단계를 거친 다음,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100 내지 300 rpm의 교반 속도로 10 내지 20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얻는다.
상기 교반 속도가 100 rpm 미만이고, 10 시간 미만이면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이 제대로 혼합되지 않으며, 300 rpm 초과이고, 20 시간 초과이면 곤드레 혼합액에서 거품과 유탁액이 발생되어 곤드레의 유효성분이 온전하게 검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감압 농축과정은 압력을 낮추어 정상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매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곤드레 추출물이 열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20 내지 50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혼합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50)은 한란, 자란 및 삼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선택하여 같은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한란, 자란 및 삼릉을 모두 선택한 경우 1 : 1 : 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을 사용한다.
상기 한란, 자란 및 삼릉이 혼합되기 전에 한란, 자란 및 삼릉을 그물망에 투입되고 15 내지 25 ℃에서 10 내지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온도가 15 ℃ 미만이고, 10 일 미만이면, 수분이 승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5 ℃ 초과이고, 15 일 초과이면 한란, 자란 및 삼릉에 곰팡이가 많이 생성되어 한란, 자란 및 삼릉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한란, 자란 및 삼릉이 1 : 1 : 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을 사용할 경우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면서 20 내지 60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안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얻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게 된다.
상기 온도가 20 ℃ 미만이고, 20 시간 미만이면 한란, 자란 및 삼릉에서 유효성분을 제대로 추출할 수 없고, 60 ℃ 초과이고, 30 시간 초과이면 열에 의해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단계(S50)에서 얻어진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이 상기 단계(S4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더 함유되어 혼합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키되, 상기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후의 초기 균수가 105 내지 108 cfu/㎖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산균의 초기 균수가 105 cfu/㎖ 미만이면 발효시간이 길어지며, 108 cfu/㎖ 초과이면 유산균을 접종하기 위해서는 유산균의 생산에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산균 접종이 끝난 후 20 내지 35 ℃에서 100 내지 200 일 동안 발효및 숙성을 진행시킨다. 발효 및 숙성 온도가 20 ℃ 미만이고, 100 일 미만이면 발효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35 ℃ 초과이고, 200 일 초과이면 열에 약한 유산균이 사멸하거나 초산화되어 혼합식물 발효물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발효 및 숙성 과정을 거친 혼합식물 발효물은 상기 단계(S4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켜 혼합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곤드레 추출물은 혈당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건강식품 및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용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에멀션,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용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 곤드레 추출물 제조의 실시예 1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동결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동결건조는 -40 ℃의 온도에서 예비동결단계와, 상기 예비동결단계를 통해 얻은 동결된 곤드레 전초를 45 ℃, 진공도 0.3 Torr에서 진공동결건조를 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 곤드레 추출물 제조의 실시예 2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오븐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오븐건조는 55 ℃에서 2 시간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3 > 곤드레 추출물 제조의 실시예 3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 시험예 1 > 곤드레 전초의 건조방식에 따른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평가
알파 글루코시다제는 소장점막 상피세포 밖에서 전분이나 이당류들이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단당류 특히 포도당의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기질로 p-니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pNPG)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0.75 unit/mL의 효모기원의 α-글루코시다제 40 uL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곤드레 추출물을 10 uL 첨가하여 37 ℃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3 mM의 pNPG 용액(in phosphate buffer) 950 ul 첨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곤드레 추출물은 0.2, 0.4, 1.0 mg/mL 농도로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37 ℃에서 30분간 반응 후 0.1 M Na2CO3 2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곤드레 추출물은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데, 그 중 곤드레 전초를 음지건조하여 추출한 곤드레 추출물(실시예 3)의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우수하였다.
< 실시예 4 > 곤드레 추출물과 자란 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예 4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자란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자란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자란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자란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5 > 곤드레 추출물과 한란 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예 5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한란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한란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한란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한란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6 > 곤드레 추출물과 삼릉 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예 6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삼릉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삼릉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삼릉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삼릉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7 >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추출물(한란+자란)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예 7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한란 및 자란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한란 및 자란은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식물을 제조하고, 상기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8 >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추출물(자란+ 삼릉 )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예 8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자란 및 삼릉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자란 및 삼릉은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식물을 제조하고, 상기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9 >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추출물(한란+ 삼릉 )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예 9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한란 및 삼릉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한란 및 삼릉은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식물을 제조하고, 상기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10 >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 예 10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한란, 자란 및 삼릉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한란, 자란 및 삼릉은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식물을 제조하고, 상기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실시예 11 > 곤드레 추출물과 혼합식물 발효물을 혼합시키는 제조의 실시 예 11
(S10) :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음지건조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들었다. 상기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20 ℃에서 7 일 동안 곤드레 전초를 건조하였다.
(S20) :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30) :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20 배의 양으로 물을 사용하여 30 ℃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었다.
(S40) :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200 rpm의 교반 속도로 12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었다.
(S50) : 한란, 자란 및 삼릉을 세척하고, 그물망에 투입한 후 20 ℃에서 15 일 동안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세절하였다. 상기 한란, 자란 및 삼릉은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식물을 제조하고, 상기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에서 1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혼합식물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S60) : 상기 단계(S40)에서 얻어진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키되, 상기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후의 초기 균수가 106 cfu/㎖가 되도록 하며, 상기 유산균 접종이 끝난 후 23 ℃에서 120 일 동안 발효 및 숙성을 진행시키면서 혼합식물 발효물을 얻었다. 상기 혼합식물 발효물은 상기 단계(S40)에서 얻은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시켜 혼합을 하였다.
< 비교예 1 >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제조의 비교예 1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와 비교평가 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인 뽕잎, 계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등록특허 제10-0869443호)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뽕잎, 계피 및 포도씨를 각각 Waring blender(믹서)로 파쇄하고, soxhlet 장치(추출기)를 사용하여 원료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주정과 물이 혼합된 추출 용매로 24 시간 환류추출한 후 뽕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혼합하여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2 >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평가
시험예 2는 시험예 1의 평가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그리고, 비교예 2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경구용 혈당강하제인 아카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11 및 비교예 1과 비교 평가하였다.
0.75 unit/mL의 효모기원의 α-글루코시다제 40 uL에 상기 실시예 3 내지 11에서 제조한 조성물, 비교예 1의 조성물, 비교예 2를 10 uL 첨가하여 37 ℃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3 mM의 pNPG 용액(in phosphate buffer) 950 ul 첨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 비교예 1의 조성물, 비교예 2는 0.2, 0.4, 1.0 mg/mL 농도로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37 ℃에서 30분간 반응 후 0.1 M Na2CO3 2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은 비교예 1보다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은 비교예 2인 아카보스와 비교했을 때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유사하거나 높은 수준이었다.
< 시험예 3 > 알파 아밀라제 효소 저해활성 평가
시험예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 비교예 1의 조성물, 비교예 2를 가지고 알파-아밀라제(α-Amyl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 비교예 1의 조성물, 비교예 2를 각각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킨 후 50 ㎕의 양으로 준비하되, 0.01, 0.05, 0.10, 0.25, 0.50 mg/mL 농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돼지 췌장에서 분리한 알파아밀라제 (0.3 unit) 500 ㎕를 첨가하고, pH 6.8, 37 ℃에서 10분간 예비배양(preincubation) 한 후 다시 37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DNS 발색시약 500 ㎕를 넣고 나서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 정지 후 100 ℃에서 15분간 끓여 발색을 시키고 충분히 냉각시킨 후 반응액에 3배의 물을 가하면서 교반을 하고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은 비교예 1보다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11의 조성물은 비교예 2인 아카보스와 비교했을 때 알파 아밀라제 저해활성이 유사하거나 높은 수준이었다.
< 시험예 4 > 당뇨쥐에 있어서 식후 혈당 감소 평가
시험예 4는 당뇨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 3, 10, 11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혈당 감소 평가를 하였다.
체중 250 ~ 300 g의 수컷 Sprague-Dawley 흰쥐 12마리에게 0.1 M 구연산완충용액에 용해시킨 스트렙토조토신을 대퇴부 근육에 1회 주사(75 mg/kg 체중)하여 당뇨병을 유발하였다. 1주일 후 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키고 꼬리에서 채혈하여 간이혈당계(Glucotrend)로 측정한 혈당이 200 mg/dl 이상으로 나타나 당뇨병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동물의 평균체중이 유사하게 네 군으로 나누었다.
동물에게 투여하는 용액은 대조군의 경우 가용전분(Sigma, St. Louis, MO) 2.0g, 포도당(Sigma, St. Louis, MO) 0.29g, 트윈 80(Shinyo) 1ml, 생리적 식염수 13 ml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3군의 경우, 가용전분 2.0g, 실시예 3의 조성물 1.0g, 트윈 80 1ml, 생리적 식염수 13 ml를 혼합하였다. 포도당은 곤드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당의 함량(29.0%) 만큼 첨가하였다.
실시예 10군의 경우, 가용전분 2.0g, 실시예 10의 조성물 1.0g, 트윈 80 1ml, 생리적 식염수 13 ml를 혼합하였다. 포도당은 곤드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당의 함량(29.0%) 만큼 첨가하였다.
실시예 11군의 경우, 가용전분 2.0g, 실시예 11의 조성물 1.0g, 트윈 80 1ml, 생리적 식염수 13 ml를 혼합하였다. 포도당은 곤드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당의 함량(29.0%) 만큼 첨가하였다.
12시간 절식한 동물에게, 체중 1kg 당 7.0ml 해당하는 양의 튜빙액을 위장으로 투여(gastric tubing)하여, 대조군은 1.0g/kg의 전분을 섭취시키고, 실시예 3군은 1.0g/kg의 전분 및 0.5g/kg의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섭취시키며, 실시예 10군은 1.0g/kg의 전분 및 0.5g/kg의 실시예 10의 조성물을 섭취시키고, 실시예 11군은 1.0g/kg의 전분 및 0.5g/kg의 실시예 11의 조성물을 섭취시켰다.
식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분에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간이혈당계(Glucotrend)로 혈당을 2-3회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시예 3, 10, 11군의 공복 혈당은 290 ~ 295 mg/dl이었다. 대조군의 경우 혈당증가치가 식후 60분에 120 mg/dl로, 실시예 3군의 경우 85 mg/dl로, 실시예 10군의 경우 78 mg/dl로, 실시예 11군의 경우 70 mg/dl로 최고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다. 실시예 3, 10, 11군의 경우 혈당증가치가 식후 30, 60, 90, 120, 150, 180, 210, 240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 10, 11의 조성물 섭취는 당뇨쥐에 있어서 뚜렷한 식후 혈당 상승억제 효과를 있었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조성물이 식후 혈당 상승억제에 가장 우수하였다.
< 시험예 5 > 정상 쥐에 있어서 식후 혈당 감소 평가
시험예 5는 정상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 3, 10, 11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혈당 감소 평가를 하였다.
체중 110 ~ 130 g의 수컷 Sprague-Dawley 흰쥐 16마리를 네 군으로 나누었다.
동물에게 투여하는 용액은 시험예 4에서 사용한 용액을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12시간 절식한 동물에게, 7.0ml/체중kg 에 해당하는 양의 튜빙액을 위장으로 투여(gastric tubing)하였다.
식후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분에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간이혈당계(Glucotrend)로 혈당을 2-3회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시예 3, 10, 11군의 공복 혈당은 80 ~ 85 mg/dl이었다. 대조군의 경우 혈당증가치가 식후 30분에 65 mg/dl로, 실시예 3군의 경우 45 mg/dl로, 실시예 10군의 경우 38 mg/dl로, 실시예 11군의 경우 30 mg/dl로 최고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3, 10, 11군의 경우 혈당증가치가 식후 30, 60, 90, 120, 150, 180, 210, 240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 10, 11의 조성물 섭취는 정상쥐에 있어서 뚜렷한 식후 혈당 상승억제 효과를 있었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조성물이 식후 혈당 상승억제에 가장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9)

  1.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곤드레 전초를 음지건조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며,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이 상기 곤드레 추출물에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4. 곤드레 전초를 세척한 후, 동결건조, 오븐건조 또는 음지건조 방식으로 건조하고 세절하여 시료를 만드는 단계(S10);
    상기 시료를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1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20);
    상기 단계 (S20)에서 상층액을 회수한 후, 남은 시료에 시료 중량 대비 10 내지 25 배의 양으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사용하여 20 내지 60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안 추출하여 2차 곤드레 추출액을 얻는 단계(S30); 및
    상기 단계 (S20)에서 얻은 1차 곤드레 추출액과 상기 단계 (S30)에서 얻은 2차 곤드레 추출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차 곤드레 추출액과 2차 곤드레 추출액을 100 내지 300 rpm의 교반 속도로 10 내지 20 시간 동안 혼합한 곤드레 혼합액을 감압 농축하여 곤드레 추출물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S4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혼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혼합되는 단계(S50)가 더 포함되며,
    상기 혼합식물은 한란, 자란 및 삼릉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식물이 20 내지 60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안 추출되며,
    상기 단계(S10)에서 음지건조는 그물망에 곤드레 전초를 넣고 그늘에서 건조시키되, 15 내지 25 ℃에서 5 내지 7 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0)에서 얻어진 혼합식물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 및 숙성된 혼합식물 발효물이 상기 단계(S10)에서 얻어진 곤드레 추출물에 함유되어 혼합되는 단계(S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p.) 균주이며, 유산균의 초기 균수는 105 내지 108 cfu/㎖이고,
    상기 발효 및 숙성은 20 내지 35 ℃에서 100 내지 200 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동결건조는 -45 내지 -35 ℃의 온도에서 예비동결단계와, 상기 예비동결단계를 통해 얻은 동결된 곤드레 전초를 40 내지 50 ℃, 진공도 0.1 내지 0.5 Torr에서 진공동결건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오븐건조는 45 내지 60 ℃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50161830A 2015-11-18 2015-11-18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830A KR101800608B1 (ko) 2015-11-18 2015-11-18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830A KR101800608B1 (ko) 2015-11-18 2015-11-18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75A KR20170058075A (ko) 2017-05-26
KR101800608B1 true KR101800608B1 (ko) 2017-12-20

Family

ID=5905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830A KR101800608B1 (ko) 2015-11-18 2015-11-18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6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023B1 (ko) 2019-12-16 2020-05-11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KR102123838B1 (ko) 2019-12-16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mg5012
KR20210063041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웰파인 곤드레추출물과 새싹보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39B1 (ko) * 2018-05-29 2020-08-28 주식회사 이롬 마늘 및 곤드레 유산균 발효물,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9142347A (zh) * 2018-11-08 2019-01-04 湖南食品药品职业学院 一种白及粉快速鉴别方法
CN109520213A (zh) * 2018-12-03 2019-03-26 九州天润(武汉)中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真空冷冻干燥白及的冻干工艺
KR102272302B1 (ko) 2018-12-13 2021-07-05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CN111998617A (zh) * 2020-08-07 2020-11-27 湖南衡岳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白及冷冻干燥方法
KR102493040B1 (ko) * 2020-11-19 2023-0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엉겅퀴 잎 추출물을 이용한 셀레늄 나노 입자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희연 외 7명,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2), 308~315쪽 (2011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41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웰파인 곤드레추출물과 새싹보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023B1 (ko) 2019-12-16 2020-05-11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KR102123838B1 (ko) 2019-12-16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혈당 저하 효과를 갖는 유산균 mg5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75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608B1 (ko)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168872A (zh) 茶树花与茶叶复配工艺
KR10079597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3931829B (zh) 一种青刺茶的制备方法
WO2012002714A2 (ko) 폴리페놀과 에스-알릴시스테인이 강화된 흑마늘 및 그 제조방법
CN102600443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组合物、制法及应用
CN102726576A (zh) 桑叶降血糖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12931652A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陈皮金花条形红茶的制作工艺
KR101860196B1 (ko) 동충하초 발효커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되는 생산품
KR101892392B1 (ko) 고혈압 및 당뇨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9479613A (zh) 一种用离子维c桑叶培养虫草菌丝的组合物及其培养方法
CN101461432A (zh) 一种生物技术制作的降高血糖、降高血脂的保健茶
KR101392093B1 (ko) 약초콩을 이용한 기능성 무취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무취 청국장 환
CN109275760A (zh) 蒲公英功能茶的制备方法
CN109566806A (zh) 一种用于提升富硒藤茶保健效果的羊栖菜提取液
CN109125206A (zh) 一种铁皮石斛沥液原汁的提取制备方法以及在化妆品中的应用
CN108522731A (zh) 一种白豆蔻风味诺丽果奶茶粉
CN101836736B (zh) 蜂产品与桑寄生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38976B1 (ko) 발효 숙성 노니 열매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용 노니 파우더의 제조방법
KR101942429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57138B1 (ko)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751849B2 (ja) 嚥下障害改善剤
KR101962010B1 (ko) 고들빼기 발효 농축고 및 그 제조 방법
CN112717020A (zh) 一种用于防治棘胸蛙烂皮病的中草药制剂及应用
KR102000831B1 (ko) 대나무통 숙성 차가버섯 모링가차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