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87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87B1
KR101798487B1 KR1020100051974A KR20100051974A KR101798487B1 KR 101798487 B1 KR101798487 B1 KR 101798487B1 KR 1020100051974 A KR1020100051974 A KR 1020100051974A KR 20100051974 A KR20100051974 A KR 20100051974A KR 101798487 B1 KR101798487 B1 KR 10179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ember
substrate
convex portion
carbon fibers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133A (ko
Inventor
이충호
이정민
남기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87B1/ko
Priority to US13/004,527 priority patent/US8487533B2/en
Priority to CN201110090163.XA priority patent/CN102270748B/zh
Priority to JP2011088148A priority patent/JP5836624B2/ja
Priority to EP11168213.4A priority patent/EP2393077A3/en
Publication of KR2011013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보강 부재를 구비한 밀봉부와,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 사이에 상기 표시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밀봉부의 강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표시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는 화질 특성이 우수하여 각광받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에 표시부가 배치되고, 표시부를 보호하도록 표시부 상부에 밀봉 기판이 배치된다. 또한 하부 기판과 밀봉 기판 사이에는 실링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열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 기판 또는 밀봉 기판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실링부의 열적 잔류 응력(thermal residual stress)에 의해 외력이 들어올 경우 표시 장치의 강도를 크게 약화시키거나 실링부를 따라 박리 응력(peel stress)에 의한 박리(disbo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밀봉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봉부의 구조 및 이러한 밀봉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가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와 단차를 갖는 볼록부로 구성된 밀봉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 사이에 상기 표시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사각링 형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각판 형상을 갖는 제1볼록부; 및 상기 제1볼록부와 단차를 갖고 형성된 타원링 형상, X자 형상, 스트립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제2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상부 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 부재는 상기 기판의 에지를 둘러싸도록 상기 밀봉부의 에지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복합 부재보다 상기 기판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하는 밀봉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 사이에 상기 표시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는 상기 복합 부재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는 상부 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 부재는 상기 기판의 에지를 둘러싸도록 상기 밀봉부의 에지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복합 부재보다 상기 기판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보강 부재를 구비한 밀봉부;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 사이에 상기 표시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합 부재의 베이스부와 단차를 갖고 상기 복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밀봉부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밀봉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면적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경량화, 슬림화, 비용 절감 및 강성 증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복합부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복합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도 9의 복합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6의 복합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2의 복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어떤 층이나 영역들은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복합부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A)는 기판(110), 표시부(130), 밀봉부(190A) 및 실링부(15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기판(110)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질은 절연성 유기물인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물일 수 있다.
기판(110) 상에 표시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공정이 진행되고 그러한 공정 동안 열이 가해지므로 기판(110)은 열에 의하여 팽창한다. 기판(110)의 팽창은 표시 장치(100)의 내구성 및 표시부(130)의 정밀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기판(110)은 열팽창율이 낮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3*10-6/K 내지 4*10-6/K의 열팽창율을 갖도록 한다.
표시부(130)는 유기 발광 소자, 액정 소자 등을 구비하고, 기판(110) 상에 배치된다.
밀봉부(190A)는 표시부(13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밀봉부(190A)는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표시부(130)를 보호한다. 밀봉부(190A)는 금속막(170) 및 복합 부재(180A)를 구비한다. 복합 부재(180A)는 금속막(170) 상에 형성된다. 즉, 복합 부재(180A)는 금속막(170)보다 표시부(130)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실링부(150)는 열에 의하여 경화되어 기판(110)과 밀봉부(190A)를 접합한다. 실링부(150)에 열을 가하는 공정 중에 밀봉부(190A)는 팽창할 수 있다. 밀봉부(190A)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정도가 크게 되면 기판(110)과의 접합력이 약화되고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100)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190A)는 열팽창율이 낮은 복합 부재(180A)를 포함하여 열을 가하는 공정 중 팽창하는 정도가 크지 않다. 복합 부재(180A)는 기판(110)보다 낮거나 유사한 열팽창율을 갖는다. 복합 부재(18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부재(180A)는 수지 매트릭스(181) 및 복수의 탄소 섬유(182: carbon fiber)를 구비할 수 있다.
복합 부재(180A)는 수지 매트릭스(181)에 탄소 섬유(182)가 함침되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탄소 섬유(182)는 열과 행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즉 탄소 섬유(182)는 도 2의 X방향으로 배치된 탄소 섬유(182)들과 도 2의 Y방향으로 배치된 탄소 섬유(18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체영역별로 균일하고 낮은 열팽창율을 갖는 복합 부재(180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탄소 섬유(182)들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합 부재(180A)가 원하는 열팽창율을 갖도록 탄소 섬유(182)의 교차 각도를 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소 섬유(182)는 각 탄소 섬유(182)를 씨줄과 날줄로 서로 엮어 직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X방향으로 배치된 탄소 섬유(182)들과 도 2의 Y방향으로 배치된 탄소 섬유(182)들을 천과 같은 형태로 직조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복합 부재(180A)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탄소 섬유(182)는 기판(110)보다 낮은 열팽창율을 갖는다. 특히 탄소 섬유(182)의 길이 방향으로의 열팽창율은 마이너스(-)값을 갖는다. 또한 탄소 섬유(182)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밀봉부(190A)의 수분 침투 방지 능력을 향상한다.
수지 매트릭스(181)는 15*10-6/K 내지 120*10-6/K의 열팽창율을 갖는다. 탄소 섬유(182)와 수지 매트릭스(181)를 섞어서 원하는 열팽창율을 갖는 복합 부재(180A)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기판(110)보다 낮은 열팽창율을 갖거나 기판(110)과 유사한 열팽창율을 갖는 복합 부재(180A)를 형성한다. 이때 탄소 섬유(182)의 양과 수지 매트릭스(181)의 양을 조절하여 복합 부재(180A)의 열팽창율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180A)는 복수의 층을 구비하고 각 층은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함유한다. 또한 각 층은 수지 매트릭스에 탄소 섬유가 함침되어 형성된다. 복합 부재(180A)의 각 층은 일 방향으로 배열된 탄소 섬유를 갖도록 형성하고, 각 층을 적층한다. 결과적으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탄소 섬유를 갖는 복합 부재(180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복합 부재(180A)는 제1층(180a), 제2층(180b), 제3층(180c) 및 제4층(180d)을 구비한다. 각 층(180a, 180b, 180c, 180d)은 수지 매트릭스(181a, 181b, 181c, 181d) 및 탄소 섬유(182a, 182b, 182c, 182d)를 함유한다.
제1층(180a) 및 제4층(180d)의 탄소 섬유(182a, 182d)의 배열 방향과 제2층(180b) 및 제3층(180c)의 탄소 섬유(182b, 182c)의 배열 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구체적으로, 제1층(180a) 및 제4층(180d)의 탄소 섬유(182a, 182d)의 배열 방향은 제1방향(도 3의 Y방향)이고, 제2층(180b) 및 제3층(180c)의 탄소 섬유(182b, 182c)의 배열 방향은 제2방향(도 3의 X방향)이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합 부재(180A)의 열팽창율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제1층(180a) 및 제4층(180d)의 탄소 섬유(182a, 182d)의 배열 방향과 제2층(180b) 및 제3층(180c)의 탄소 섬유(182b, 182c)의 배열 방향이 이루는 각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밀봉부(190A)의 형상은 복합 부재(180A)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며, 복합 부재(180A)는 금형을 이용하여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복합 부재(180A)는 표시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복합 부재(180A)와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높이 및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밀봉부(190A)의 두께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 밀봉부(190A)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면적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켜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봉부(190A)의 높이가 평평한(flat) 밀봉부 두께의 3배가 되면 면적 관성 모멘트는 대략 27배(3^3) 증가하기 때문에 강성이 크게 증가한다. 상기 볼록부로 인해 밀봉부(190A)의 내측에는 오목부(189)가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부(189)에 게터를 삽입하더라도 밀봉부(190A)와 표시부(1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복합 부재(180A)의 형상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하겠다.
금속막(170)은 복합 부재(180A)보다 더욱 치밀한 구조를 가진다. 금속막(170)과 복합 부재(180A)가 함께 사용되어 밀봉부(190A)는 표시부(130)로 입사되는 수분 및 이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금속막(170)은 복합 부재(180A)에 비하여 열팽창율이 크다. 또한 금속막(170)은 기판(110)보다 열팽창율이 클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190A)는 복합 부재(180A)를 구비하므로 밀봉부(190A) 전체의 열팽창율은 낮게 유지된다. 특히 복합 부재(180A)의 두께를 금속막(170)보다 크게 하여 밀봉부(190A)의 열팽창율을 효과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기판(110)과 밀봉부(190A) 사이에는 실링부(150)가 배치된다. 실링부(150)는 표시부(130)의 둘레에 형성된다. 실링부(150)는 기판(110)과 밀봉부(190A)를 접합하고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한다. 구체적으로 실링부(150)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복합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상측에 복합 부재의 사시도와 하측에 상기 사시도의 A-A' 및 B-B'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합 부재(280A)는 기저부(281), 상기 기저부(2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볼록부(285) 및 상기 기저부(281)와 상기 볼록부(285)를 연결하는 경사부(283)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280A)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2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볼록부(2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볼록부(285)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281)와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280A)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볼록부(285)에 의해 복합 부재(280A)의 내측에 오목부(289)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280A)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오목부(289)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부재(380A)는 기저부(381), 상기 기저부(3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볼록부(385), 상기 기저부(381)와 상기 볼록부(385)를 연결하는 경사부(383)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380A)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381)는 상기 볼록부(385)를 경계로 하여, 제1면이 실링부(150)와 접촉하는 제1영역(381a)과 네 개의 코너가 완만하게 곡선을 갖는 사각판 형상의 제2영역(381b)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록부(385)는 사각링 형상이다. 상기 볼록부(385)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381)와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380A)의 전체 높이가 증가한다. 상기 볼록부(385)에 의해 복합 부재(380A)의 내측에 사각링 형상의 오목부(389)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380A)의 하부에 금속막이 배치되고, 오목부(389)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480A)는 기저부(481), 상기 기저부(4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1볼록부(485), 상기 기저부(481)와 상기 제1볼록부(485)를 연결하는 경사부(483), 및 상기 제1볼록부(48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2볼록부(487)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480A)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4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제1볼록부(4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제1볼록부(485)는 상기 제2볼록부(487)를 경계로 제1영역(485a)과 타원 형상의 제2영역(48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볼록부(487)는 타원링 형상이고, 상기 제1볼록부(485)와 단차를 갖는다.
상기 제1볼록부(485) 및 제2볼록부(487)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481)와 차례로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480A)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제1볼록부(485)에 의해 복합 부재(480A)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48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487)에 의해 사각 형상의 오목부(489a)에 타원 형상의 오목부(489b)가 추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480A)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오목부(489a, 489b)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580A)는 기저부(581), 상기 기저부(5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1볼록부(585), 상기 기저부(581)와 상기 제1볼록부(585)를 연결하는 경사부(583), 및 상기 제1볼록부(58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2볼록부(587)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580A)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5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제1볼록부(5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제2볼록부(587)는 상기 제1볼록부(485)와 단차를 갖는다. 상기 제2볼록부(587)는 상기 복합 부재(580A)의 대각선 방향으로 X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볼록부(587)는 중심부(587e)와 상기 중심부(587e)에서 분기된 스트립 형상의 다수의 리브들(587a, 587b, 587c, 587d)로 구성된다.
상기 제1볼록부(585) 및 제2볼록부(587)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581)와 차례로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580A)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제1볼록부(585)에 의해 복합 부재(580A)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58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587)에 의해 사각 형상의 오목부(589a)에 X자 형상의 오목부(589b)가 추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580A)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589a, 589b)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680A)는 기저부(681), 상기 기저부(6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1볼록부(685), 상기 기저부(681)와 상기 제1볼록부(685)를 연결하는 경사부(683), 및 상기 제1볼록부(68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2볼록부(687)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680A)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6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제1볼록부(6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제2볼록부(687)는 스트립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들(687a, 687b, 687c, 687d, 687e)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리브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볼록부(685) 및 제2볼록부(687)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681)와 차례로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680A)의 전체 높이가 증가한다. 상기 제1볼록부(685)에 의해 복합 부재(680A)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68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687)에 의해 사각 형상의 오목부(689a)에 스트립 형상의 다수의 오목부(689b)가 추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680A)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오목부(689a, 689b)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B)는 기판(110), 표시부(130), 밀봉부(190B) 및 실링부(150)를 포함한다.
도 9의 표시 장치(100B)는 복합 부재(180B)의 형상이 도 1의 표시 장치(100A)의 복합 부재(180A)의 형상과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밀봉부(190B)는 표시부(13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밀봉부(190B)는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표시부(130)를 보호한다. 밀봉부(190B)는 금속막(170) 및 복합 부재(180B)를 구비한다. 복합 부재(180B)는 금속막(170) 상에 형성된다. 즉, 복합 부재(180B)는 금속막(170)보다 표시부(130)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복합 부재(18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부(190B)의 형상은 복합 부재(180B)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며, 복합 부재(180B)는 금형을 이용하여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밀봉부(190B)는 표시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높이 및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밀봉부(190B)의 두께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 밀봉부(190B)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면적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켜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봉부(190B)의 높이가 평평한(flat) 밀봉부 두께의 3배가 되면 면적 관성 모멘트는 대략 27배(3^3) 증가하기 때문에 강성이 매우 크게 증가한다. 상기 볼록부로 인해 밀봉부(190B)의 내측에는 오목부(189)가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부(289)에 게터가 형성되더라도 밀봉부(190B)와 표시부(1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복합 부재(180B)의 형상은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하겠다.
밀봉부(190B)는 상부 면의 일 영역에 돌출부(1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60)는 PCB 등의 외부 장치를 표시 장치(100B)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부재이다. 일 예로서, 상기 돌출부(160)는 외측면이 나사선 형상을 갖는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60)는 밀봉부(190B)의 복합 부재(18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60)는 복합 부재(180B)의 최상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60)는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에 따라 그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돌출부(160)의 높이는 연결되는 외부 장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도 9의 복합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상측에 복합 부재의 사시도와 하측에 상기 사시도의 A-A' 및 B-B'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280B)는 기저부(281), 상기 기저부(2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볼록부(285) 및 상기 기저부(281)와 상기 볼록부(285)를 연결하는 경사부(283)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280B)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2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볼록부(285)의 상부 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26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볼록부(285)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281)와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280B)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볼록부(285)에 의해 복합 부재(280B)의 내측에 오목부(289)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280B)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오목부(289)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380B)는 기저부(381), 상기 기저부(3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볼록부(385), 상기 기저부(381)와 상기 볼록부(385)를 연결하는 경사부(383)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380B)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381)는 상기 볼록부(385)를 경계로 하여, 제1면이 실링부(150)와 접촉하는 제1영역(381a)과 네 개의 코너가 완만하게 곡선을 갖는 사각판 형상의 제2영역(381b)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저부(381)의 제2영역(381b)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36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볼록부(385)는 사각링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볼록부(385)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381)와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380B)의 전체 높이가 증가한다. 상기 볼록부(385)에 의해 복합 부재(380B)의 내측에 사각링 형상의 오목부(389)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380B)의 하부에 금속막이 배치되고, 오목부(389)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합 부재(480B)는 기저부(481), 상기 기저부(4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1볼록부(485), 상기 기저부(481)와 상기 제1볼록부(485)를 연결하는 경사부(483), 및 상기 제1볼록부(48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2볼록부(487)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480B)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4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제1볼록부(4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제1볼록부(485)는 상기 제2볼록부(487)를 경계로 제1영역(485a)과 타원 형상의 제2영역(48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볼록부(485)의 제2영역(485b)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46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제2볼록부(487)는 타원링 형상이고, 상기 제1볼록부(485)와 단차를 갖는다.
상기 제1볼록부(485) 및 제2볼록부(487)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481)와 차례로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480B)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제1볼록부(485)에 의해 복합 부재(480B)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48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487)에 의해 사각 형상의 오목부(489a)에 타원 형상의 오목부(489b)가 추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480B)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오목부(489a, 489b)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합 부재(580B)는 기저부(581), 상기 기저부(5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1볼록부(585), 상기 기저부(581)와 상기 제1볼록부(585)를 연결하는 경사부(583), 및 상기 제1볼록부(58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2볼록부(587)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580B)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5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제1볼록부(5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제2볼록부(587)는 상기 제1볼록부(585)와 단차를 갖는다. 상기 제2볼록부(587)는 상기 복합 부재(580B)의 대각선 방향으로 X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볼록부(587)는 중심부(587e)와 상기 중심부(587e)에서 분기된 스트립 형상의 다수의 리브들(587a, 587b, 587c, 587d)로 구성된다.
상기 리브들(587a, 587b, 587c, 587d) 중 인접한 두 개의 리브들 사이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56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560)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들(587a, 587b, 587c, 587d)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볼록부(585) 및 제2볼록부(587)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581)와 차례로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580B)의 전체 높이 및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제1볼록부(585)에 의해 복합 부재(580B)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58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587)에 의해 사각 형상의 오목부(589a)에 X자 형상의 오목부(589b)가 추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580B)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589a, 589b)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복합 부재(680B, 680B')는 기저부(681), 상기 기저부(68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1볼록부(685), 상기 기저부(681)와 상기 제1볼록부(685)를 연결하는 경사부(683), 및 상기 제1볼록부(685)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제2볼록부(687)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680B, 680B')는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681)의 제1면은 실링부(150)와 접촉한다.
상기 제1볼록부(685)는 사각판 형상이다.
상기 제2볼록부(687)는 스트립 형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들(687a, 687b, 687c, 687d, 687e)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리브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들(687a, 687b, 687c, 687d, 687e) 중 일부에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660a)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볼록부(685) 상의 하나 이상의 리브들(687a, 687b, 687c, 687d, 687e) 사이에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660b)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볼록부(685) 및 제2볼록부(687)는 상기 기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681)와 차례로 단차를 갖기 때문에 복합 부재(680A)의 전체 높이가 증가한다. 상기 제1볼록부(685)에 의해 복합 부재(680A)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68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687)에 의해 사각 형상의 오목부(689a)에 스트립 형상의 다수의 오목부(689b)가 추가 형성된다. 상기 복합 부재(680A)의 하부에 금속막(170)이 배치되고, 오목부(689a, 689b)에는 게터(getter)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6의 복합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C)는 기판(110), 표시부(130), 밀봉부(190C) 및 실링부(150)를 포함한다.
도 16의 표시 장치(100C)는 복합 부재(180C)의 형상이 도 1의 표시 장치(100A)의 복합 부재(180A)의 형상과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밀봉부(190C)는 표시부(13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밀봉부(190C)는 금속막(170) 및 복합 부재(180C)를 구비한다. 복합 부재(180C)는 금속막(170) 상에 형성된다. 즉, 복합 부재(180C)는 금속막(170)보다 표시부(130)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복합 부재(180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부(190C)의 형상은 복합 부재(180C)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며, 복합 부재(180C)는 금형을 이용하여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밀봉부(190C)는 표시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높이 및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밀봉부(190C)의 두께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 밀봉부(190C)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면적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켜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볼록부로 인해 밀봉부(190C)의 내측에는 오목부(189)가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부(289)에 게터가 형성되더라도 밀봉부(190C)와 표시부(1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부(190C)의 복합 부재(180C)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부재(180C)는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 면의 일 영역에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미도시)를 일체로 추가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부재(180C)는 기판(110)을 보호하기 위해, 복합 부재(180C)의 에지에서 기판(110)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0)는 상기 복합 부재(180C)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40)는 상기 기판(110)의 에지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판(110)의 에지가 타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부(190C)는 정적인 강도 향상 뿐만 아니라 핸들링 또는 동적인 충격에 강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합 부재(180C)는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다양한 복합 부재(280C, 380C, 480C, 580C, 680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합 부재(280C, 380C, 480C, 580C, 680C)는 에지에서 기판(110)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40, 340, 440, 540, 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0, 240, 340, 440, 540, 640)는 기판(110)의 에지를 모두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40, 240, 340, 440, 540, 640)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40, 240, 340, 440, 540, 640)는 기판(110)의 외부로 연장된 회로 배선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조립 공정의 편의에 의해 회로 배선 부분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의 다른 구성 부분은 도 4 내지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5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2의 복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D)는 기판(110), 표시부(130), 밀봉부(190D) 및 실링부(150)를 포함한다.
도 22의 표시 장치(100D)는 밀봉부(190D)의 형상이 도 1의 표시 장치(100A)의 밀봉부(190A)의 형상과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밀봉부(190D)는 표시부(13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밀봉부(190D)는 금속막(170) 및 복합 부재(180D)를 구비한다. 복합 부재(180D)는 금속막(170) 상에 형성된다. 즉, 복합 부재(180D)는 금속막(170)보다 표시부(130)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복합 부재(180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를 구비할 수 있다.
복합 부재(180D)는 평평하고, 상기 복합 부재(180D)의 상부면은 장변 방향을 따라 벽판상(壁板狀)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120)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120)는 장변 방향의 두 모서리 측의 리브(120a, 120d)와 상기 리브(120a, 120d)와 평행하게 내측에 형성된 리브(120b, 120c)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120)는 상기 복합 부재(180D)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합 부재(180D)의 단면의 면적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켜 처짐 및 비틀림 변형이 적게 일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복합 부재(180D)는 인발(pultrusion)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전술된 금형을 이용한 제작 방식에 비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부재(180D)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의 일부에 돌출부(125)를 추가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는 PCB 등의 외부 장치를 표시 장치(100D)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부재이다. 일 예로서, 상기 돌출부(125)는 외측면이 나사선 형상을 갖는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5)는 밀봉부(190D)의 복합 부재(180D)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5)는 복합 부재(180B)의 최상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는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에 따라 그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돌출부(125)는 별도의 돌출부(125), 예를 들어 볼트 형태의 연결 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180D)가 결정화되기 전에 상기 돌출부(125)를 상기 복합 부재(180D)의 소정 위치에 삽입하고, 상기 복합 부재(180D)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돌출 부(125)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복합 부재(180D)는 기판(110)을 보호하기 위해,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부재(180D)의 에지에서 기판(110)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복합 부재(180D)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기판(110)의 에지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판(110)의 에지가 타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부(190D)는 정적인 강도 향상 뿐만 아니라 핸들링 또는 동적인 충격에 강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림형 대형 TV의 경우 사이즈 대비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휨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얇고 가벼운 복합 부재와 금속막 일체형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복합 부재의 면적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보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밀봉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합 부재의 베이스부에 상기 복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 또는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이다.
본 발명은 복합 부재가 3차원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기구적인 강성(휨문제 제거, 굽힘 강성 증가, 낙하 신뢰성 향상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기구적인 강성이 높아지면 표시 장치는 별도의 강성 유지를 위한 베젤(Bezel) 및 밀봉부에 베젤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 등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부재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3차원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복합 부재 내측에 오목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밀봉부와 하부 기판 사이에 게터(Getter)와 같은 물질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합 부재의 에지를 하부 기판 방향으로 돌출시켜 정적인 강도 향상과 더불어 하부 기판의 에지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부재에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PCB 등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부품 또는 연결 부위 구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100B, 100C, 100D: 표시 장치
110: 기판, 130: 표시부
150: 실링부 170: 금속막
180A, 280A, 380A, 480A, 580A, 680A, 180B, 280B, 380B, 480B, 580B, 680B,180C, 280C, 380C, 480C, 580C, 680C, 180D: 복합 부재
190A, 190B, 190C, 190D: 밀봉부
181, 181a, 181b, 181c, 181d: 수지 매트릭스
182, 182a, 182b, 182c, 182d: 탄소 섬유
281, 381, 481, 581, 681: 기저부
283, 383, 483, 583, 683: 경사부
285, 385: 볼록부
485, 585, 685: 제1볼록부
487, 587, 687: 제2볼록부
125, 160, 260, 360, 460, 560, 660a, 660b: 돌출부
189, 289, 389, 489a, 489b, 589a, 589b, 689a, 689b: 오목부
140, 240, 340, 440, 540, 640: 연장부
120: 리브

Claims (35)

  1.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가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와 단차를 갖는 볼록부로 구성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함유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복합 부재보다 상기 기판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각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사각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각판 형상을 갖는 제1볼록부; 및
    상기 제1볼록부와 단차를 갖고 형성된 타원링 형상의 제2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각판 형상을 갖는 제1볼록부; 및
    상기 제1볼록부와 단차를 갖고 형성된 X자 형상의 제2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각판 형상을 갖는 제1볼록부; 및
    상기 제1볼록부와 단차를 갖고 형성된 스트립 형상의 제2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부 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는 상기 기판의 에지를 둘러싸도록 상기 밀봉부의 에지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소 섬유는 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탄소 섬유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탄소 섬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소 섬유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의 열팽창율은 상기 기판의 열팽창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층은 각각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배치된 탄소 섬유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층에 배치된 탄소 섬유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함유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복합 부재보다 상기 기판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복합 부재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는 상부 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는 상기 기판의 에지를 둘러싸도록 상기 밀봉부의 에지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소 섬유는 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탄소 섬유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탄소 섬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소 섬유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의 열팽창율은 상기 기판의 열팽창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층은 각각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배치된 탄소 섬유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층에 배치된 탄소 섬유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7. 제16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8.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대향하고, 금속막 및 복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보강 부재를 구비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 및 복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함유하고, 상기 금속막은 상기 복합 부재보다 상기 기판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합 부재의 베이스부와 단차를 갖고 상기 복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합 부재의 상부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부를 접합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의 두께가 상기 금속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의 두께가 상기 금속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00051974A 2010-06-01 2010-06-01 표시 장치 KR10179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974A KR101798487B1 (ko) 2010-06-01 2010-06-01 표시 장치
US13/004,527 US8487533B2 (en) 2010-06-01 2011-01-11 Display apparatus having a rigid encapsulation unit
CN201110090163.XA CN102270748B (zh) 2010-06-01 2011-04-08 显示装置
JP2011088148A JP5836624B2 (ja) 2010-06-01 2011-04-12 表示装置
EP11168213.4A EP2393077A3 (en) 2010-06-01 2011-05-3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974A KR101798487B1 (ko) 2010-06-01 2010-06-0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33A KR20110132133A (ko) 2011-12-07
KR101798487B1 true KR101798487B1 (ko) 2017-11-17

Family

ID=4411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974A KR101798487B1 (ko) 2010-06-01 2010-06-0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87533B2 (ko)
EP (1) EP2393077A3 (ko)
JP (1) JP5836624B2 (ko)
KR (1) KR101798487B1 (ko)
CN (1) CN1022707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8323B2 (en) * 2010-10-20 2015-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device
CN106920888A (zh) * 2015-12-24 2017-07-0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及其制作方法
CN109309171B (zh) * 2018-09-29 2020-07-0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柔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868A (ja) * 1993-03-15 1994-11-25 Fuji Electric Co Ltd 薄膜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パネル
JPH07169567A (ja) * 1993-12-16 1995-07-04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JP2001118674A (ja) * 1999-10-19 2001-04-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有機el表示装置
JP2001290434A (ja) * 2000-04-04 2001-10-19 Nec Corp 表示装置
KR20030044665A (ko) 2001-11-30 2003-06-09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유기 el 패널용 봉지 커버
JP4117792B2 (ja) 2002-01-25 2008-07-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透明複合体組成物のシート
JP2003229249A (ja) * 2002-02-06 2003-08-15 Canon Electronic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KR20030083528A (ko)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대한전광 수직전기공급선을 구비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모듈
TW589915B (en) * 2002-05-24 2004-06-01 Sanyo Electric Co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4014267A (ja) 2002-06-06 2004-01-15 Nippon Sheet Glass Co Ltd El素子用封止板、及び該封止板多面取り用マザーガラス基板
US6998776B2 (en) 2003-04-16 2006-0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0669369B1 (ko) * 2003-10-16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JP2005317942A (ja) * 2004-03-29 2005-11-10 Toray Ind Inc 電気・電子機器
KR100570997B1 (ko) * 2004-06-29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JP2006085920A (ja) * 2004-09-14 2006-03-30 Nippon Steel Corp 有機el背面キャップ
KR101227132B1 (ko) * 2004-11-05 2013-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6185643A (ja) * 2004-12-27 2006-07-13 Optrex Corp 有機elパネル
US7167365B2 (en) * 2005-01-17 2007-01-23 Chunghwa Picture Tubes, Ltd. Back plate structur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US20070020451A1 (en) * 2005-07-20 2007-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isture barrier coatings
JP2007073405A (ja) * 2005-09-08 2007-03-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TWI428241B (zh) 2005-10-26 2014-03-01 Sumitomo Chemical Co 經浸漬樹脂之底板及其製造方法
US7537504B2 (en) 2005-12-06 2009-05-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encapsulating a display element with frit wall and laser beam
JP4837471B2 (ja) * 2006-02-20 2011-12-14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21974A (ko) 2006-06-23 2007-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7367B1 (ko) * 2006-07-12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US9493348B2 (en) * 2006-11-06 2016-11-15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Nanoparticulate encapsulation barrier stack
KR100847003B1 (ko) 2006-11-21 2008-07-17 대덕전자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탄소 섬유 보강재
JP4867743B2 (ja) * 2007-03-27 2012-02-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有機elモジュール
KR101458899B1 (ko) 2007-03-28 2014-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001047A1 (en) * 2007-06-07 2008-12-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N201178100Y (zh) * 2007-10-16 2009-01-07 西安海晶光电科技有限公司 带有机太阳能电池的有机电致发光显示屏
KR101925772B1 (ko) * 2008-07-10 2018-12-0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10114325A (ko) * 2010-04-13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08730B1 (ko) * 2010-10-22 2017-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04554B1 (ko) * 2010-11-01 2017-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3077A2 (en) 2011-12-07
JP2011253177A (ja) 2011-12-15
KR20110132133A (ko) 2011-12-07
CN102270748A (zh) 2011-12-07
EP2393077A3 (en) 2015-07-29
JP5836624B2 (ja) 2015-12-24
US20110289809A1 (en) 2011-12-01
CN102270748B (zh) 2016-12-07
US8487533B2 (en)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90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90237689A1 (en) Flexible display screen
US8093512B2 (en) Package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8525401B2 (en) Display panel with secured mechanical reliability
US9502678B2 (en)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46656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조명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6095301B2 (ja) 表示装置
KR101599610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8487B1 (ko) 표시 장치
WO2021017477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994050B (zh) 显示装置
JP6972854B2 (ja)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38534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2261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86005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14078379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13328056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620616A (zh) 一种支撑板、显示屏和电子设备
JP6003897B2 (ja) 中空封止構造
KR20190049399A (ko) 표시장치
JP2021086085A (ja) 表示装置
US20240040893A1 (en) Display device
TWI531473B (zh) 環境敏感電子元件封裝體及其製作方法
CN115132086A (zh) 显示屏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JP2022073564A (ja) 調光フィルムの端部封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