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318B1 -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 Google Patents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318B1
KR101795318B1 KR1020160167182A KR20160167182A KR101795318B1 KR 101795318 B1 KR101795318 B1 KR 101795318B1 KR 1020160167182 A KR1020160167182 A KR 1020160167182A KR 20160167182 A KR20160167182 A KR 20160167182A KR 101795318 B1 KR101795318 B1 KR 10179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unit
rotor
housing
waste styro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최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호 filed Critical 최병호
Priority to KR102016016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02C13/2804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the beater elements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폐스티로폼이 투입되도록 상방에 개구된 호퍼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며, 하방 측면에는 폐스티로폼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하방 하면에는 복수의 하우징물배출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호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파쇄시키면서 상기 폐스티로폼에 남아있는 물이 분리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방에 복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가 구비된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 열을 가해 용융시키도록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에 설치되고, 복수의 히팅판이 구비된 용융부와; 상기 용융부를 통해 용융된 폐스티로폼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용융부에 결합된 토출관 및 스프링에 의해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상기 폐스티로폼이 가압될 경우에만 개방 동작되는 토출가압마개가 구비된 토출부와; 상기 파쇄부 및 이송부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물배출구로 배출된 물을 수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물수거부와; 상기 파쇄부 및 이송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VOLUME REDUCING MACHINE FOR WASTE STYROFOAM}
본 발명은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폐스티로폼은 물론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의 경우 수분을 분리하면서 파쇄, 압축 및 용융 처리가 가능한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STYROFOAM)은 폴리스틸렌을 발포하여 만들어지는 자재로서, 밀도가 극히 작아 부피에 비하여 경량이고, 복원성, 완충성, 방음성, 단열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 완충 포장재 및 건축 단열재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티로폼은 큰 부피로 인하여 수거 및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립시 부패되지 않으므로 사용 후 폐기 및 재활용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들어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 왔으며, 그 하나의 방법으로 폐스티로폼을 집어넣어 파쇄, 압축 및 용융 처리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4917호의 투입구(11), 파쇄부(12) 및 유출구(13)가 구비된 호퍼(10)와; 이동스크류(22)가 구비된 이송부(20)와; 상기 파쇄부(12) 및 이동스크류(2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와; 가열부(41), 토출부(42), 자열부(43) 및 유출스크류(44)가 구비된 용융유출부(40)와; 버너(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티로폼 감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은 첫째, 단순히 복수의 파쇄날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1개의 회전체 및 고정날만으로는 폐스티로폼의 파쇄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고,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으로부터 잘게 파쇄시켜 수분을 분리시키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둘째, 호퍼의 투입구를 제외하고는 개구되거나 개폐수단이 없기 때문에 호퍼 내부의 파쇄부 및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관찰하거나 청소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셋째, 버너로는 폐스티로폼을 용융시키기 위한 적정온도를 조절하고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넷째, 단순히 직경이 좁아지는 노즐형 토출부로는 폐스티로폼을 압축 및 용융 처리하면서 수분을 분리하는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폐스티로폼은 물론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의 경우 수분을 분리하면서 파쇄, 압축 및 용융 처리가 가능하고, 하우징 내부의 관찰 및 청소가 용이하며, 폐스티로폼을 용융시키기 위한 적정온도를 조절하고 유지시키는데 용이하고, 유해가스 및 먼지를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는, 폐스티로폼이 투입되도록 상방에 개구된 호퍼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며, 하방 측면에는 폐스티로폼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하방 하면에는 복수의 하우징물배출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호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파쇄시키면서 상기 폐스티로폼에 남아있는 물이 분리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방에 복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가 구비된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 열을 가해 용융시키도록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에 설치되고, 복수의 히팅판이 구비된 용융부와; 상기 용융부를 통해 용융된 폐스티로폼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용융부에 결합된 토출관 및 스프링에 의해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상기 폐스티로폼이 가압될 경우에만 개방 동작되는 토출가압마개가 구비된 토출부와; 상기 파쇄부 및 이송부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물배출구로 배출된 물을 수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물수거부와; 상기 파쇄부 및 이송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상태의 관찰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후방에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를 개폐가능하도록 개폐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 각각은, 보조날이 회전방향으로 1개 내지 복수로 돌출된 파쇄날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쇄로터는, 상기 제1 파쇄로터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보조날이 회전방향으로 돌출된 파쇄날이 복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파쇄로터의 전방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쇄로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 파쇄로터는,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의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 각각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제1 고정단과, 상기 제3 파쇄로터의 하방에 상기 제3 파쇄로터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제2 고정단과,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와 제3 파쇄로터의 사이 및 상기 제3 파쇄로터의 하방 각각에는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하방으로 통과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날은, 상기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 각각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된 그룹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파쇄부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수용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상방 일부가 개구되면서 일측이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와 연통되고, 하방에는 복수의 물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가 수용된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는, 이송날이 나선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융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부는,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폐스티로폼배출구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토출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서로 플렌지 결합되고, 상기 히팅판 각각이 설치된 복수의 용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관 각각은, 복수의 밸브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용융부는, 상기 밸브체결홀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융 및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서 발생한 가스 및 잔존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용융관 내부가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가압될 경우 밸브스프링에 탄성 지지된 밸브핀이 개방 동작되는 스프링밸브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파쇄부의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 각각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된 로터스프로켓과, 상기 제2 파쇄로터가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리버스스프로켓과, 상기 로터스프로켓 및 리버스스프로켓 각각에 맞물린 로터체인과, 상기 로터스프로켓 및 리버스스프로켓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출력축이 상기 로터체인과 맞물린 로터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스크류스프로켓과, 상기 스크류스프로켓에 맞물린 스크류체인과, 상기 스크류스프로켓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출력축이 상기 스크류체인과 맞물린 스크류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용기 전반에 걸쳐 전원을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 및 용융부를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로터구동모터 및 스크류구동모터 각각의 온오프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용융부의 히팅판 각각의 온오프 및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를 표시하는 히팅제어부와, 감용기 전체의 전원 온오프,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 및 용융부의 작동을 수동으로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의 로터구동모터 및 스크류구동모터의 과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비상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 이송부 및 용융부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이 파쇄, 압축 및 용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가스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면서 압축공기홀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복수의 흡입홀이 관통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팬과, 상기 배출관의 흡입홀 및 배출팬 사이에 설치된 가스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정화수단은, 전기집진방식, 플라즈마방식 또는 필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되거나 복수의 방식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는, 일반 폐스티로폼은 물론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의 경우 수분을 분리하면서 파쇄, 압축 및 용융 처리가 가능하고, 하우징 내부의 관찰 및 청소가 용이하며, 폐스티로폼을 용융시키기 위한 적정온도를 조절하고 유지시키는데 용이하고, 유해가스 및 먼지를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하우징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동력전달부가 보이도록 하우징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파쇄부의 제2 파쇄로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2 파쇄로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보조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9는 도 3의 실시예 중 파쇄부의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4의 실시예 중 파쇄부가 보이도록 하우징의 측면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3의 실시예 중 이송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3의 실시예 중 이송부, 용융부 및 토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의 용융관에 결합된 스프링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 및 15는 도 2의 실시예 중 토출부의 토출가압마개의 개방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어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7은 도 3의 실시예 중 가스배출수단의 흡입홀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는, 도 2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파쇄부(200), 이송부(300), 용융부(400), 토출부(500), 물수거부(600), 동력전달부(700), 제어부(800) 및 가스배출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도 1 내지 3 및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스티로폼이 투입되도록 상방에 개구된 호퍼(110)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며, 하방 측면에는 폐스티로폼배출구(120)가 관통 형성되고, 하방 하면에는 복수의 하우징물배출구(13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상태의 관찰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후방에 개폐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140)를 개폐가능하도록 개폐도어(150)가 힌지 결합된다. 또한, 후술할 동력전달부(700) 및 제어부(800)를 설치할 공간을 마련하면서 감용기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60) 및 지지다리(17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110)에는 투입된 폐스티로폼이 파쇄되는 과정에서 파쇄된 폐스티로폼 및 먼지 등이 상기 호퍼(110)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합성수지 및 고무 등의 연질의 가림막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을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킨 이유는 후술할 파쇄부(200)의 거름망(260)과 함께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바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파쇄부(200)의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에 반복적으로 파쇄되면서 파쇄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흘러 내려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물배출구(130)를 형성시킨 이유는 후술할 이송부(300)의 이송관(320)에 복수로 형성된 물배출구(321)와 함께 상기 파쇄부(200) 및 이송부(300)를 통하여 파쇄, 이송 및 압축되는 과정에서 폐스티로폼에 남아있는 물이 폐스티로폼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후술할 물수거부(600)에 수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개폐구(140) 및 개폐도어(150)를 구비시킨 이유는 폴리스틸렌을 발포하여 만들어지는 스티로폼의 특성상 파쇄 과정에서 폐스티로폼 알갱이들이 하우징(100) 내벽, 파쇄부(200) 및 이송부(300)에 달라붙거나 모터 과부하로 내부관찰 및 청소가 요하는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파쇄부(200)는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10)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파쇄시키면서 상기 폐스티로폼에 남아있는 물이 분리되도록 상기 호퍼(110)의 하방에 복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 각각은 보조날(201)이 회전방향으로 1개 내지 복수로 돌출된 파쇄날(202)이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파쇄로터(220)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파쇄로터(210)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보조날이 회전방향으로 돌출된 파쇄날이 복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파쇄로터(210)의 전방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쇄로터(2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3 파쇄로터(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 파쇄로터(210) 및 제2 파쇄로터(220)의 하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날(202)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 각각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된 그룹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쇄부(200)는 제1 고정단(240), 제2 고정단(250) 및 거름망(2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단(240)은 상기 제1 파쇄로터(210) 및 제2 파쇄로터(220)의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파쇄로터(210) 및 제2 파쇄로터(220) 각각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단(250)은 상기 제3 파쇄로터(230)의 하방에 상기 제3 파쇄로터(230)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름망(260)은 상기 제1 파쇄로터(210) 및 제2 파쇄로터(220)와 제3 파쇄로터(230)의 사이 및 상기 제3 파쇄로터(230)의 하방 각각에는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하방으로 통과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거름망(260)은 상기 제1 파쇄로터(210) 및 제2 파쇄로터(220)의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 거름망(261)과 상기 제3 파쇄로터(230)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2 거름망(2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단(250)은 상기 제2 거름망(26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를 서로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면서 나선형으로 복수로 형성된 각각의 파쇄날(202)에 보조날(201)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 고정단(240), 제2 고정단(250) 및 거름망(260)을 더 포함시킨 이유는, 파쇄율을 향상시켜 일반 폐스티로폼은 물론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의 경우도 수분을 분리하면서 파쇄하기 위함으로,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은 일반 스티로폼에 비해 질기고 단단하므로 더욱 강하고, 반복적으로 파쇄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1차적으로 상기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1 고정단(240)을 통하여 폐스티로폼이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되면서 상기 제1 거름망(261)을 통과할때까지 반복적으로 파쇄한 다음 2차적으로 상기 제3 파쇄로터(230) 및 제2 고정단(250)을 통하여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다시 반복적으로 파쇄시켜 상기 제2 거름망(262)을 통과하여 후술할 이송부(300)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폐스티로폼이 반복적으로 파쇄되어 알갱이로 되면서 수분이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 각각의 보조날(20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파쇄날(202)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300)는 도 3 및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120)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200)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수용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상방 일부가 개구되면서 일측이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120)와 연통되고, 하방에는 복수의 물배출구(32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310)가 수용된 이송관(32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상기 파쇄부(200)에서 상기 이송부(300)의 이송관(320)으로 향하면서 떨어지도록 가이드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310)는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상기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120)를 향하면서 후술할 용융부(400)까지 이송되도록 이송날(311)이 나선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융부(400)까지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320)도 상기 이송스크류(310)와 함께 상기 용융부(4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용융부(400)는 도 3,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 열을 가해 용융시키도록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120)에 설치되고, 복수의 히팅판(4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은 상기 하우징(100)의 폐스티로폼배출구(12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후술할 토출부(500)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서로 플렌지 결합되고, 상기 히팅판(410) 각각이 설치된 복수의 용융관(4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융관(420)을 복수로 구성시킨 이유는 플렌지 결합으로 청소, 분해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토출부(500)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용융되면서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을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히팅판(410) 각각은 상기 용융관(420) 각각을 통과중인 폐스티로폼에 용융되도록 열이 충분히 전달되면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용융관(420) 각각을 감싸는 탈부착식 히팅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판(410)을 복수로 구성시킴으로써, 파쇄되어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 잔존한 물기를 열로 증발시키면서 상기 폐스티로폼을 용융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융부(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관(420) 내부가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가압될 경우 용융 및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서 발생한 가스 및 잔존한 물이 상기 용융관(420)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프링밸브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융관(420) 각각은 복수의 밸브체결홀(4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밸브체(430)는 상기 밸브체결홀(421)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융관(420) 내부가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가압될 경우 밸브스프링(431)에 탄성 지지된 밸브핀(432)이 개방 동작되어 폐쇄된 밸브홀(433)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밸브체(430)를 통하여 상기 용융관(42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폐스티로폼에서 발생한 가스 및 잔존한 물이 배출됨으로써, 상기 용융관 내부에 가스가 차서 발생하는 소음 및 토출 불량을 해소할 수 있고, 잔존한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체결홀(421)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토출부(500)는 도 2, 3, 12,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부(400)를 통해 용융된 폐스티로폼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용융부에 결합된 토출관(520) 및 스프링(511)에 의해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상기 폐스티로폼이 가압될 경우에만 개방 동작되는 토출가압마개(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관(520)은 분해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용융부(400)의 용융관(410)과 플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11)은 일측은 상기 토출관(520)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토출가압마개(51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토출가압마개(510) 개폐 동작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토출가압마개(5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마개손잡이(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500)에 스프링력으로 동작하는 토출가압마개(510)를 구성시킨 이유는 상기 용융부(400)를 통하여 이송 및 용융된 폐스티로폼이 토출을 시작할 때 충분히 가압된 상태로 토출시킴으로써, 압축율을 높이고, 가압되는 과정에서 잔존하는 물이 분리되어 상기 이송부(300)에 구비된 이송관(320)의 물배출구(321)로 분리된 물이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는 토출수단에 별도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개폐수단이 없이 단순히 개방된 토출구만이 구성됨에 따라 이송 및 용융된 폐스티로폼이 토출을 시작할 때 충분히 가압되지않아 압축 및 용융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토출부(500)에 스프링력으로 일정 가압력 이상에서 개방 동작하는 토출가압마개(510)를 구성시킨 것이다.
더하여, 도 14 및 15는 상기 토출부(500)의 토출가압마개(510)의 개방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프링(511)에 의해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상기 폐스티로폼이 가압될 경우에만 가압된 상기 폐스티로폼이 상기 토출가압마개(510)를 밀어내어 개방 동작되고, 폐스티로폼(S)이 토출된다.
물수거부(600)는 도 2,3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 및 이송부(300)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물배출구(130)로 배출된 물을 수거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하우징물배출구(130)와 상기 이송관(320)에 형성된 물배출구(321) 및 상기 물수거부(60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폐스티로폼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된 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7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 및 이송부(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로터스프로켓(710), 리버스스프로켓(720), 로터체인(730), 로터구동모터(740), 스크류스프로켓(750), 스크류체인(760) 및 스크류구동모터(770)를 포함한다.
로터스프로켓(7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파쇄부(200)의 제1 파쇄로터(210), 제2 파쇄로터(220) 및 제3 파쇄로터(230) 각각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쇄로터(210)의 회전축(211)에 고정 결합된 제1 로터스프로켓(711)과 상기 제2 파쇄로터(220)의 회전축(221)에 고정 결합된 제2 로터스프로켓(712) 및 상기 제3 파쇄로터(230)의 회전축(231)에 고정 결합된 제3 로터스프로켓(713)으로 구성된다.
리버스스프로켓(720)은 상기 제2 파쇄로터(220)가 상기 제1 파쇄로터(210) 및 제3 파쇄로터(22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터체인(730)은 상기 로터스프로켓(710) 및 리버스스프로켓(720) 각각에 맞물리고, 로터구동모터(740)는 상기 로터스프로켓(710) 및 리버스스프로켓(720)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출력축(741)이 상기 로터체인(730)과 맞물린 모터이다. 이때, 상기 제1 로터스프로켓(711), 제3 로터스프로켓(713), 리버스스프로켓(720) 및 로터구동모터(740)의 출력축(741)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체인(730)의 내측에 맞물리고 제2 로터스프로켓(712)은 상기 로터체인(730)의 외측에 맞물려 상기 제2 로터스프로켓(712)이 고정 결합된 제2 파쇄로터(220)는 제1 파쇄로터(210) 및 제3 파쇄로터(23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스프로켓(75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310)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고, 스크류체인(760)은 상기 스크류스프로켓(750)에 맞물리며, 스크류구동모터(770)는 상기 스크류스프로켓(750)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출력축(771)이 상기 스크류체인(760)과 맞물린 모터이다.
한편, 상기 로터구동모터(740) 및 스크류구동모터(770)는 상기 하우징(100)의 지지프레임(160)에 고정 설치되고,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및 정역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700)는 일 실시예로 체인스프로켓 방식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기어 또는 벨트풀리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 2 내지 4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용기 전반에 걸쳐 전원을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700) 및 용융부(400)를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지지프레임(1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제어부(810), 히팅제어부(820), 상태표시부(830), 비상정지부(840), 전원공급부(850)를 포함한다.
회전제어부(8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700)의 로터구동모터(740) 및 스크류구동모터(770)의 온오프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버튼 또는 터치패드 방식과 온오프 및 정역회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점등 또는 음성안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히팅제어부(8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용융부(400)의 히팅판(410) 각각의 온오프 및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를 표시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히팅판(410) 각각의 온도를 설정 가능하도록 버튼 또는 터치패드 방식과 설정된 온도 및 현재 온도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폐스티로폼이 일반스티로폼에 비해 고열을 필요로 하는 수분을 포함한 스티로폼의 경우 상기 히팅판(410)의 온도를 더욱 높여 수분을 포함한 스티로폼도 용이하게 용융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판(410) 각각의 온도제어 및 표시는 상기 히팅판(410) 각각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온도 검출값을 수신할 수 있다.
상태표시부(830)는 감용기 전체의 전원 온오프,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버튼 또는 터치패드 방식과 상태를 표시하도록 점등 또는 음성안내 방식과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비상정지부(84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700) 및 용융부(400)의 작동을 수동으로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700)의 로터구동모터(740) 및 스크류구동모터(770)의 과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서 경고음 출력을 위한 스피커(860)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비상정지를 요할 경우 비상정지버튼의 수동조작으로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모터의 과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시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50)는 상기 감용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회전제어부(810), 히팅제어부(820), 상태표시부(830) 및 비상정지부(840)를 비롯한 로터구동모터(740) 및 스크류구동모터(770) 등의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스배출부(900)는 도 2, 3, 11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 이송부(300) 및 용융부(400)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이 파쇄, 압축 및 용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가스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배출관(910), 배출팬(920) 및 가스정화수단(930)으로 구성된다.
배출관(91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면서 압축공기홀(911)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복수의 흡입홀(912)이 관통 형성된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0)의 이송관(320) 상방에 상기 흡입홀(912)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320)의 둘레면 상부에는 복수의 배출홀(3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홀(912) 및 배출홀(322) 각각은 파쇄된 폐스티로폼의 알갱이가 통과되지 않도록 그보다 작은 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홀(911)을 형성시킨 이유는 에어건 혹은 에어스프레이 등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배출관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하기 위함이다.
배출팬(920)은 상기 흡입홀(912)로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먼지 및 가스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910)의 타측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스정화수단(930)은 상기 배출관(910)의 흡입홀(912) 및 배출팬(920) 사이에 설치되고, 가스 및 먼지가 정화되거나 필터링 되도록 전기집진방식, 플라즈마방식 또는 필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되거나 복수의 방식이 결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전기집진방식은 일반적으로 가스 또는 액체 중에서 그 속에 부유하는 먼지나 미립자를 전기의 정전력으로 제거하거나 또는 포집시키는 방식이고, 플라즈마방식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전자, 이온 및 오존으로 분해 처리하는 방식이며, 필터방식은 섬유필터 또는 바이오필터로 먼지 또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정화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는, 일반 폐스티로폼은 물론 수분이 포함된 폐스티로폼의 경우 수분을 분리하면서 파쇄, 압축 및 용융 처리가 가능하고, 하우징 내부의 관찰 및 청소가 용이하며, 폐스티로폼을 용융시키기 위한 적정온도를 조절하고 유지시키는데 용이하고, 유해가스 및 먼지를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 : 폐스티로폼
100 : 하우징
110 : 호퍼 120 : 폐스티로폼배출구
130 : 하우징물배출구 140 : 개폐구
150 : 지지프레임 160 : 지지다리
200 : 파쇄부
210 : 제1 파쇄로터 220 : 제2 파쇄로터
230 : 제3 파쇄로터 240 : 제1 고정단
250 : 제2 고정단 250 : 거름망
300 : 이송부
310 : 이송스크류 320 : 이송관
400 : 용융부 410 : 히팅판
420 : 용융관 430 : 스프링밸브체
500 : 토출부
510 : 토출가압마개 520 : 토출관
600 : 물수거부
700 : 동력전달부 710 : 로터스프로켓
720 : 리버스스프로켓 730 : 로터체인
740 : 로터구동모터 750 : 스크류스프로켓
760 : 스크류체인 770 : 스크류구동모터
800 : 제어부
810 : 회전제어부 820 : 히팅제어부
830 : 상태표시부 840 : 비상정지부
850 : 전원공급부 860 : 스피커
900 : 가스배출부 910 : 배출관
920 : 배출팬 930 : 가스정화수단

Claims (15)

  1. 폐스티로폼이 투입되도록 상방에 개구된 호퍼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며, 하방 측면에는 폐스티로폼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하방 하면에는 복수의 하우징물배출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호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파쇄시키면서 상기 폐스티로폼에 남아있는 물이 분리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방에 복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가 구비된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 열을 가해 용융시키도록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에 설치되고, 복수의 히팅판이 구비된 용융부와;
    상기 용융부를 통해 용융된 폐스티로폼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용융부에 결합된 토출관 및 스프링에 의해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상기 폐스티로폼이 가압될 경우에만 개방 동작되는 토출가압마개가 구비된 토출부와;
    상기 파쇄부 및 이송부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물배출구로 배출된 물을 수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물수거부와;
    상기 파쇄부 및 이송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 각각은,
    보조날이 회전방향으로 1개 내지 복수로 돌출된 파쇄날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쇄로터는,
    상기 제1 파쇄로터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보조날이 회전방향으로 돌출된 파쇄날이 복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파쇄로터의 전방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쇄로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 파쇄로터는,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의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 각각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제1 고정단과,
    상기 제3 파쇄로터의 하방에 상기 제3 파쇄로터의 파쇄날과 엇갈리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제2 고정단과,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2 파쇄로터와 제3 파쇄로터의 사이 및 상기 제3 파쇄로터의 하방 각각에는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하방으로 통과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상태의 관찰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후방에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를 개폐가능하도록 개폐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은,
    상기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 각각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된 그룹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파쇄부를 통과한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수용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상방 일부가 개구되면서 일측이 상기 폐스티로폼배출구와 연통되고, 하방에는 복수의 물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가 수용된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이송날이 나선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융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는,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폐스티로폼배출구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토출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서로 플렌지 결합되고, 상기 히팅판 각각이 설치된 복수의 용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관 각각은,
    복수의 밸브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용융부는,
    상기 밸브체결홀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융 및 이송중인 폐스티로폼에서 발생한 가스 및 잔존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용융관 내부가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가압될 경우 밸브스프링에 탄성 지지된 밸브핀이 개방 동작되는 스프링밸브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파쇄부의 제1 파쇄로터, 제2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 각각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된 로터스프로켓과,
    상기 제2 파쇄로터가 상기 제1 파쇄로터 및 제3 파쇄로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리버스스프로켓과,
    상기 로터스프로켓 및 리버스스프로켓 각각에 맞물린 로터체인과,
    상기 로터스프로켓 및 리버스스프로켓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출력축이 상기 로터체인과 맞물린 로터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스크류스프로켓과,
    상기 스크류스프로켓에 맞물린 스크류체인과,
    상기 스크류스프로켓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출력축이 상기 스크류체인과 맞물린 스크류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감용기 전반에 걸쳐 전원을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 및 용융부를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로터구동모터 및 스크류구동모터 각각의 온오프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용융부의 히팅판 각각의 온오프 및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를 표시하는 히팅제어부와,
    감용기 전체의 전원 온오프,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 및 용융부의 작동을 수동으로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의 로터구동모터 및 스크류구동모터의 과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비상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 이송부 및 용융부를 통해 상기 폐스티로폼이 파쇄, 압축 및 용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가스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면서 압축공기홀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복수의 흡입홀이 관통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팬과,
    상기 배출관의 흡입홀 및 배출팬 사이에 설치된 가스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정화수단은,
    전기집진방식, 플라즈마방식 또는 필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되거나 복수의 방식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KR1020160167182A 2016-12-09 2016-12-09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KR10179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182A KR101795318B1 (ko) 2016-12-09 2016-12-09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182A KR101795318B1 (ko) 2016-12-09 2016-12-09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318B1 true KR101795318B1 (ko) 2017-11-07

Family

ID=6038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182A KR101795318B1 (ko) 2016-12-09 2016-12-09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31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585B1 (ko) * 2017-12-08 2018-06-22 곽희덕 폐 스티로폼 파쇄기
KR101965214B1 (ko) 2018-10-16 2019-04-03 최병수 감용기 투입용 폐스티로폼 분쇄물의 스크류 투입 강압장치
KR101965347B1 (ko) 2018-10-16 2019-04-03 최병수 가스와 수분제거 토출구로 잉곳의 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감용기 시스템
CN111729721A (zh) * 2020-06-30 2020-10-02 沈涛 一种循环式饲料粉碎装置
CN112265188A (zh) * 2020-10-19 2021-01-26 于振海 一种带有清洗机构的聚苯乙烯塑料废品用回收装置
CN112622108A (zh) * 2020-12-08 2021-04-09 安徽九天印务有限公司 一种食品软包装用塑料薄膜切割边角料回收装置
CN113580424A (zh) * 2021-07-27 2021-11-02 娄丹 一种塑料再生用破碎回收装置及其破碎方法
CN113635477A (zh) * 2021-07-29 2021-11-12 界首市亿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使螺杆吃料均匀的塑料破碎造粒保护装置
KR20210153833A (ko) 2020-06-11 2021-12-20 (주) 에이앤티에스 인-빌딩 소형 중계기
CN113954271A (zh) * 2021-08-31 2022-01-21 马琳 一种资源循环利用产业的塑料回收装置
CN113997463A (zh) * 2021-10-30 2022-02-01 安徽省华鑫铅业集团有限公司 一种铅蓄废旧电瓶拆解回收用塑料破碎造粒装置
CN114083713A (zh) * 2021-10-27 2022-02-25 王丽娟 一种聚苯乙烯泡沫塑料重塑造粒系统
CN114308210A (zh) * 2022-01-25 2022-04-12 杨满凤 一种中药加工用杏仁批量碾碎设备
KR102457403B1 (ko) 2022-06-15 2022-10-21 주식회사 이에프엔지니어링 폐스티로폼 테이프 및 라벨 자동 분리 기능을 포함하는 감용기용 파쇄장치
KR20230111666A (ko) *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03B1 (ko) 2003-01-22 2005-07-01 한국해양연구원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03B1 (ko) 2003-01-22 2005-07-01 한국해양연구원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기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585B1 (ko) * 2017-12-08 2018-06-22 곽희덕 폐 스티로폼 파쇄기
KR101965214B1 (ko) 2018-10-16 2019-04-03 최병수 감용기 투입용 폐스티로폼 분쇄물의 스크류 투입 강압장치
KR101965347B1 (ko) 2018-10-16 2019-04-03 최병수 가스와 수분제거 토출구로 잉곳의 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감용기 시스템
KR20210153833A (ko) 2020-06-11 2021-12-20 (주) 에이앤티에스 인-빌딩 소형 중계기
CN111729721B (zh) * 2020-06-30 2023-04-14 新余众望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饲料粉碎装置
CN111729721A (zh) * 2020-06-30 2020-10-02 沈涛 一种循环式饲料粉碎装置
CN112265188A (zh) * 2020-10-19 2021-01-26 于振海 一种带有清洗机构的聚苯乙烯塑料废品用回收装置
CN112622108A (zh) * 2020-12-08 2021-04-09 安徽九天印务有限公司 一种食品软包装用塑料薄膜切割边角料回收装置
CN112622108B (zh) * 2020-12-08 2024-04-12 安徽九天印务有限公司 一种食品软包装用塑料薄膜切割边角料回收装置
CN113580424A (zh) * 2021-07-27 2021-11-02 娄丹 一种塑料再生用破碎回收装置及其破碎方法
CN113580424B (zh) * 2021-07-27 2023-09-19 河南嘉境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塑料再生用破碎回收装置及其破碎方法
CN113635477B (zh) * 2021-07-29 2023-06-23 界首市亿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使螺杆吃料均匀的塑料破碎造粒保护装置
CN113635477A (zh) * 2021-07-29 2021-11-12 界首市亿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使螺杆吃料均匀的塑料破碎造粒保护装置
CN113954271A (zh) * 2021-08-31 2022-01-21 马琳 一种资源循环利用产业的塑料回收装置
CN113954271B (zh) * 2021-08-31 2023-11-03 南泥湾环保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资源循环利用产业的塑料回收装置
CN114083713A (zh) * 2021-10-27 2022-02-25 王丽娟 一种聚苯乙烯泡沫塑料重塑造粒系统
CN113997463A (zh) * 2021-10-30 2022-02-01 安徽省华鑫铅业集团有限公司 一种铅蓄废旧电瓶拆解回收用塑料破碎造粒装置
KR20230111666A (ko) *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KR102636081B1 (ko) * 2022-01-17 2024-02-14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N114308210A (zh) * 2022-01-25 2022-04-12 杨满凤 一种中药加工用杏仁批量碾碎设备
KR102457403B1 (ko) 2022-06-15 2022-10-21 주식회사 이에프엔지니어링 폐스티로폼 테이프 및 라벨 자동 분리 기능을 포함하는 감용기용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318B1 (ko)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KR940000068B1 (ko) 병원 쓰레기 폐기장치
JP3612454B2 (ja) 排気循環手段を備えた回転式破砕機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破砕機を用いた廃棄物処理装置
CN103128869B (zh) 废塑料回收利用系统
CN208098201U (zh)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MX2008016122A (es) Aspiradora de hojas.
CN105478203A (zh) 一种粉体包装袋破碎筛分机
CN209597669U (zh) 大米除尘装置
CN216036585U (zh) 一种废弃口罩用回收装置
US20230339000A1 (en) Dewatering Apparatus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27264B1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2547237A (zh) 一种污染物净化处理装置
KR20150126202A (ko) 폐형광등의 안전 수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6238167A (zh) 一种空心砖破碎装置
CN112871951B (zh) 危险废物深度降稠易输送机构及使用方法
CN214019422U (zh) 一种固废处理用分离装置
CN214599511U (zh) 一种用于建材废渣再利用的粉碎装置
CN113814256A (zh) 一种工程施工垃圾回收装置
KR20140019971A (ko) 재활용시스템용 배출가스 저감장치
KR1014798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6044812B (zh) 一种防火门填充料生产回收一体系统装置
CN217474407U (zh) 一种厨房垃圾回收装置
JP2008264750A (ja) 粉粒体分級機
KR20190027520A (ko) 친환경 스티로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