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833A - 인-빌딩 소형 중계기 - Google Patents

인-빌딩 소형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833A
KR20210153833A KR1020200070662A KR20200070662A KR20210153833A KR 20210153833 A KR20210153833 A KR 20210153833A KR 1020200070662 A KR1020200070662 A KR 1020200070662A KR 20200070662 A KR20200070662 A KR 20200070662A KR 20210153833 A KR20210153833 A KR 20210153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ntenna module
relay module
ceiling pane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991B1 (ko
Inventor
이주현
박용현
최승태
오윤호
김명범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앤티에스 filed Critical (주) 에이앤티에스
Priority to KR102020007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외부에서 가시(可視)되지 않도록 천정패널을 기준으로 상측에 설치되는 중계모듈; 상기 중계모듈과 분리된 형태로 상기 천정패널의 하면에 설치되는 안테나모듈; 및 상기 천정패널을 관통하며 상기 중계모듈과 안테나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소형 중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빌딩 소형 중계기 {IN-BUILDING SMALL REPEATER}
본 발명은 통신용 소형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통화 중심의 1세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시작되어, 점차 초고속,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왔으며, 저속 광역망인 6GHz 이하 주파수 대역(ex. 3.5 GHz, 6 GHz)과, 초고속 근거리망에 쓰이는 26 내지 86 GHz 대역의 밀리미터파(mmWave)를 포함하는 5세대 이동통신망 즉, 5G(New Radio; NR)가 상용화됨에 이르렀다.
이때, 5G의 경우, 현재 상용화된 주파수 대역에 비해 광대역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하나, 고주파 대역이다 보니, 직진성이 강해 전파 도달거리가 짧고, 투과율이 낮다. 이로 인해, 충분한 서비스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서는 5G 이전의 이동통신망 대비 많은 수준의 기지국 구축이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요구되는 기지국을 모두 구축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고, 지리적 환경, 구조물에 의한 통신전파 차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 음영지역이 존재할 확률이 있어, 기지국 구축만으로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충분히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음영지역 해소와 더불어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기지국 구축 대비 저비용으로 장비의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중계기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중계기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며 기지국의 통신영역 즉,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통신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의 일상 중 대부분은 업무 장소 즉, 회사 건물 내에 체류하게 되므로, 건물 내 중계기 설치를 통해 음영지역을 해소하면서도 높은 품질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계기는 안테나가 내장된 형태로 마련되고, 그 크기 및 두께 또한 상당해,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될 경우,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가 크고 미관상 좋지 않아, 건물주의 반대로 인해 설치가 어려운 경우가 존재하였다.
이에, 종래의 중계기 자체를 천정패널 내부로 숨김으로써 실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볼 순 있겠으나, 5G의 경우,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텍스에 의한 손실 정도가 커, 충분한 서비스 커버리지 확보가 어렵고, 실내에 가시(可視)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통신 품질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제대로 된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게다가, 상술한 방안으로 중계기 설치가 고려될 경우, 중계기의 정상 동작여부를 확인 할 길이 없어, 통신 품질이 낮은 경우에 텍스에 의한 손실에 의한 것인지, 중계기의 고장으로 인한 것인지를 파악하기 어렵고, 만약, 중계기가 고장이 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해당 중계기가 매립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천정패널을 대다수 뜯어내며 해당 위치를 찾아내야하는 상황이 야기될 수도 있다. 즉, 천정 내 매립 설치되면 중계기의 관리 및 운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50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3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668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안정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가 용이한 중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소형 중계기는 외부에서 가시(可視)되지 않도록 천정패널을 기준으로 상측에 설치되는 중계모듈; 상기 중계모듈과 분리된 형태로 상기 천정패널의 하면에 설치되는 안테나모듈; 및 상기 천정패널을 관통하며 상기 중계모듈과 안테나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모듈은, 상기 안테나모듈을 통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지국에서 이동단말기로 가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모듈에 제공하면서 상기 안테나모듈로부터 이동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가는 신호를 제공받아 기지국과 이동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모듈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 외부 단말 및 상기 중계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을 통한 기지국과 이동단말기 간의 중계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통신부, 출력부 및 제어부가 실장되는 함체 형상의 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의 하면에 고정 설치될 경우, 상면이 상기 천정패널과 마주 접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이 밀폐되도록 덮어씌우되, 내주면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이 이루는 수용공간 내 실장된 상기 출력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소정 영역 개방된 노출창을 구비하는 덮개;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가 상기 노출창을 통해 외부에서 가시되도록 불빛으로 표시하는 발광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및 통신품질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단말과 무선 통신하며 상기 인-빌딩 소형 중계기의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안테나; 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지국과 이동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있어서, 안테나가 내장된 형태로 마련되는 종래 중계기와 달리, 중계모듈은 천정패널 내측에 매립 설치되고, 안테나가 실장된 안테나모듈은 천정패널 외측에 설치됨에 따라, 안테나모듈만이 외부에서 가시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장비 크기 자체도 줄어들면서,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적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둘째, 중계모듈과 안테나모듈이 천정패널을 기준으로 분리 설치되되, 중계모듈과 안테나모듈간의 신호 송/수신은 신호선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텍스에 의한 신호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된 안테나모듈로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손실요인이 없기에, 종래 중계기와 동일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실내 음역지역을 개선하며 충분한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보될 수 있다.
셋째, 안테나모듈의 몸체 하단에 구비된 노출창을 통해 출력부가 장치 외부에서 가시됨에 따라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 즉, 인-빌딩 소형 중계기의 상태 및 통신품질이 실시간 확인될 수 있으며, 이상 발생 시 안테나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매립 설치된 중계모듈이 매립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장비의 유지를 위한 보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넷째, 안테나모듈이 블루투스 안테나를 구비함에 따라, 외부단말을 통해 안테나모듈뿐 아니라 외부에서 가시되지 않는 중계모듈의 동작 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혹은 출력부를 통해 이상 징후를 포착 시 천정패널을 뜯어내지 않더라도 외부단말을 통한 인-빌딩 소형 중계기의 상태 점검 및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소형 중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소형 중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소형 중계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모듈을 도시한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소형 중계기(100)는 중계모듈(110), 안테나모듈(120) 및 신호선(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계모듈(110)은 외부에서 가시(가시)되지 않도록 천정패널(CP)을 기준으로 상측에 매립 설치된다. 이때, 중계모듈(110)은 후술할 안테나모듈(120)을 통해 이동단말기(M)에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지국(BS)에서 이동단말기(M)로 가는 신호(이하, ‘하향신호’라 칭함)를 안테나모듈(120)에 제공하면서 안테나모듈(120)로부터 이동단말기(M)에서 기지국(BS)로 가는 신호(이하, ‘상향신호’라 칭함)를 제공받아 기지국(BS)과 이동단말기(M)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모듈(110)은 기지국(BS)로부터 수신한 하향신호를 안테나모듈(120)에 제공하기 위한 신호로 신호 처리하여 안테나모듈(120) 측으로 보내고, 안테나모듈(120)로부터 수신한 상향신호를 기지국(BS)에 제공하기 위한 신호로 신호 처리하여 기지국(BS) 측으로 보내는 신호중계부(111), 중계모듈(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2) 및 상기한 구성이 수용되는 케이스(11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호중계부(111)의 구체적인 예시로, 신호중계부(111)는 기지국(BS)로부터 오는 상향신호를 적정 수준으로 증폭 및 전환시킨 RF 하향신호로 신호 처리하여 안테나모듈(120) 측에 보내며, 이를 수신한 안테나모듈(120)이 해당 신호를 송출함에 따라 해당 신호가 이동단말기(M)에 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계모듈(110) 및 안테나모듈(120)간에 주고받는 신호는 후술할 신호선(130)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비해 신호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계모듈(110)의 구성이 간략히 기술되었지만, 상기 구성 외에도 인-빌딩 중계기에 대해 공지된 기술 범위 내에서 기지국(BS) 및 이동단말기(M) 간의 중계를 위해 요구되는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C)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종래의 안테나 내장형 중계기와 달리 안테나(AT)를 제외하고 기지국(BS) 및 이동단말기(M) 간을 중계하기 위한 구성들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110C)는 일면이 개방된 기둥형상의 하부케이스(110C-a) 및 상기 하부케이스(110C-a)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상부케이스(110C-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0C)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다수개의 신호선(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T)가 구비되며, 해당 단자(T)는 케이스(110C) 내측에 실장된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 다수개의 신호선(130) 중 적어도 넷 이상의 신호선은 안테나모듈(120)의 안테나(AT)와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계모듈(110)의 신호중계부(111)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안테나모듈(120)과 중계모듈(110) 간의 통신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0C-a)에는 전원공급선, 기지국(BS)과 중계모듈(11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선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10C-a)의 타단에는 장비 구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발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냉각팬(CF)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0C-a)의 후면에는 중계모듈(110)을 천정패널(CP)의 상측 즉, 천정 내측 공간에 매립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I)가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모듈(120)은 천정패널(CP)의 하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안테나모듈(120)은 RF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AT), 외부 단말 및 중계모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121), 중계모듈(110) 및 안테나모듈(120)을 통한 기지국(BS)과 이동단말기(M) 간의 중계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122),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23) 및 복수개의 안테나(AT), 통신부(121), 출력부(122) 및 제어부(123)가 실장되는 함체 형상의 몸체(12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몸체(120B)는 베이스판(120B-a) 및 덮개(120B-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판(120B-a)는 고정수단(F)에 의해 천정패널(CP)의 하면에 고정 설치될 경우, 상면이 천정패널(CP)과 마주 접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참고로, 베이스판(120B-a)이 천정패널(CP)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경우에는 고정수단(F)에 이격부재(S)가 끼워지고, 베이스판(120B-a)은 이격부재(S)의 간격만큼 천정패널(CP)에서 이격된 채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판(120B-a)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안테나(AT)가 장착되고, 몸체(120B)와 복수개의 안테나(AT)를 제외한 구성 즉, 통신부(121), 출력부(122) 등은 하나의 PCB에 장착되어, 베이스판(120B-a)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20B-a)의 중앙에는 베이스판(120B-a)에 장착된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후술할 다수개의 신호선(130)이 관통 인입되는 관통홀(H)이 구비된다.
덮개(120B-b)는 베이스판(120B-a)의 하면이 밀폐되도록 덮어씌우되, 내주면과 베이스판(120B-a)의 하면이 이루는 수용공간 내 실장된 출력부(12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소정 영역 개방된 노출창(W)을 구비한다. 이때, 노출창(W)은 하나의 예로 덮개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마련될 수 있으며, 노출창(W)의 개방된 소정 영역 즉, 너비는 출력부(122)의 폭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부(122)의 폭보다 작거나 크게 마련될 수 있으며, 출력부(122)가 가시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재질로 마련된 커버부재(미도시)가 관통홀 즉, 노출창(W)을 커버함으로써, 덮개(120B-b)가 베이스판(120B-a)의 하면을 완벽히 밀폐시키면서도 노출창(W)을 통해 출력부(122)가 가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120B-b)는 베이스판(120B-a)와 인접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설치면인 천정패널(CP)을 기준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함몰되되, 단부는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베이스면(120B-a)과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덮개(120B-b)의 내측에는 베이스면(120B-a)과 결합되는 고정돌기(FB)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베이스판(120B-a)의 하면에는 고정돌기(FB)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FB)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으며, 고정돌기(FB)와 결합돌기 중 어느 한 측이 다른 한 측으로 인입되어 서로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판(120B-a)과 덮개(120B-b)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20B)에 실장되는 구성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면, 복수개의 안테나(AT)는 5G 무선 통신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기 위해 전파의 송신 및 수신이 모두 가능한 하나의 안테나(AT)가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되며, 베이스판(120B-a)에 등 간격 이격 배치되며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5G 이상의 차세대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도록 몸체(120B)에 장착되는 안테나(AT)의 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안테나(AT)는 옴니(omni)형, 패치(patch)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몸체(120B)가 설치면 즉, 천정패널(CP)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패치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외부단말을 통해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및 통신품질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외부단말과 무선 통신하며 인-빌딩 소형 중계기(100)의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네스크탑 등 무선 통신을 통해 인-빌딩 소형 중계기(100)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면서, 설정 및 제어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부(121)는 중계모듈(110)로부터 하향신호를 수신하고, 이동단말기(M)로부터 오는 상향신호를 중계모듈(110)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선(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통신부분(미도시) 및 외부단말 및 중계모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분이 블루투스 안테나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통신부분을 통해 중계모듈(110)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에, 중계모듈(110) 측에는 블루투스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외부단말을 통해 중계모듈(110) 및 안테나모듈(120)의 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각 모듈의 제어부(112, 123)는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외부단말을 통해 외부에서 가시되지 않는 중계모듈(110)의 동작 상태를 점검 및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지속적인 통신 품질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이상 발생 시 즉각적인 후속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인-빌딩 중계기(100)의 관리 및 운용이 용이할 수 있다.
참고로, 외부단말을 통한 인-빌딩 중계기(100)의 제어는 각 모듈의 on/off, 내부 설정값 확인 및 변경 등일 수 있으며, 외부단말을 통한 인-빌딩 중계기(100)의 상태 점검 및 제어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출력부(122)를 통해 장비의 이상 징후가 포착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122)는 중계모듈(110) 및 안테나모듈(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가 노출창(W)을 통해 외부에서 가시되도록 불빛으로 표시하는 발광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22)는 인-빌딩 중계기(100)의 통신 품질을 실시간으로 점검 또는 확인 가능하도록 노출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력부(122)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마련되어, 점등여부를 통해 인-빌딩 소형 중계기(100)의 on/off가 표시될 수 있으며, 불빛의 색상변화를 통해 중계기(100)의 정상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정상일 경우에 파란색(blue),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빨간색(red)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2)는 다수개의 LED가 배열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통신 품질에 따라 각기 다른 수의 LED가 점멸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선(130)은 천정패널(CP)을 관통하며 중계모듈(110)과 안테나모듈(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개의 신호선(130)의 일단은 중계모듈(110)에 구비된 단자(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안테나모듈(130)의 복수개의 안테나(AT) 및 통신부(121)와 출력부(122)가 장착된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복수개의 안테나(AT)가 네 개인 경우에 다수개의 신호선(130) 중 네 개의 신호선(130)은 복수개 안테나(AT) 각각과 연결되고, 나머지 신호선(130) 중 어느 하나의 신호선(130)은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선(130)은 PCB에 장착된 구성(121, 122)들이 구동되도록 중계모듈(110)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일 수 있다.
참고로, 중계모듈(110)과 안테나모듈(120)간을 신호선(1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은 상호 주고받는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테나모듈(120)이 천정패널(CP)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종래의 안테나 내장형 중계기가 설치되는 것에 비해 외부에 노출되는 장비 크기 자체도 줄어들면서, 설치면(T)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적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내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게다가, 중계모듈(110)과 안테나모듈(120)이 천정패널(CP)를 기준으로 분리 설치되되, 중계모듈(110)과 안테나모듈(120)간의 신호 송/수신은 신호선(130)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천정패널(CP)에 의한 신호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된 안테나모듈(120)로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손실요인이 없기에, 종래 중계기와 동일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실내 음역지역을 개선하며 충분한 서비스 커버리지가 확보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인-빌딩 소형 중계기
110 : 중계모듈
111 : 신호중계부
112 : 제어부
110C : 케이스
110C-a : 하부케이스
110C-b : 상부케이스
T : 단자
I : 설치부재
120 : 안테나모듈
AT : 안테나
121 : 통신부
122 : 출력부
123 : 제어부
120B : 몸체
120B-a : 베이스판
H : 관통홀
120B-b : 덮개
W : 노출창
FB : 고정돌기
F : 고정수단
S : 이격부재
BS : 기지국
M : 이동단말기
CP : 천정패널

Claims (5)

  1. 외부에서 가시(可視)되지 않도록 천정패널을 기준으로 상측에 설치되는 중계모듈;
    상기 중계모듈과 분리된 형태로 상기 천정패널의 하면에 설치되는 안테나모듈; 및
    상기 천정패널을 관통하며 상기 중계모듈과 안테나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모듈은, 상기 안테나모듈을 통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지국에서 이동단말기로 가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모듈에 제공하면서 상기 안테나모듈로부터 이동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가는 신호를 제공받아 기지국과 이동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소형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모듈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
    외부 단말 및 상기 중계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을 통한 기지국과 이동단말기 간의 중계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통신부, 출력부 및 제어부가 실장되는 함체 형상의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소형 중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천정패널의 하면에 고정 설치될 경우, 상면이 상기 천정패널과 마주 접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이 밀폐되도록 덮어씌우되, 내주면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이 이루는 수용공간 내 실장된 상기 출력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소정 영역 개방된 노출창을 구비하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소형 중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가 상기 노출창을 통해 외부에서 가시되도록 불빛으로 표시하는 발광소자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소형 중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모듈 및 안테나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및 통신품질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단말과 무선 통신하며 상기 인-빌딩 소형 중계기의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안테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소형 중계기.
KR1020200070662A 2020-06-11 2020-06-11 인-빌딩 소형 중계기 KR10234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62A KR102343991B1 (ko) 2020-06-11 2020-06-11 인-빌딩 소형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62A KR102343991B1 (ko) 2020-06-11 2020-06-11 인-빌딩 소형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833A true KR20210153833A (ko) 2021-12-20
KR102343991B1 KR102343991B1 (ko) 2021-12-28

Family

ID=7903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662A KR102343991B1 (ko) 2020-06-11 2020-06-11 인-빌딩 소형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9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922B1 (ko) * 2023-10-26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옥내 통신라인 분선 연결기기
KR102646919B1 (ko) * 2023-10-23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형 통신기기
KR102646921B1 (ko) * 2023-10-25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Lte 통신라인용 통신 공유장치
KR102646920B1 (ko) * 2023-10-24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 접속형 다기능 통신중계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577Y1 (ko) * 1997-07-16 2000-02-01 이돈신 이동통신 중계용 안테나 시스템
KR20040025083A (ko) 2002-09-18 2004-03-24 셀레콤 주식회사 안테나 내장형 중계기 시스템
KR200451567Y1 (ko) * 2010-04-28 2010-12-22 (주)호서텔레콤 무선 랜 중계기
KR101256683B1 (ko) 2006-11-02 2013-04-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Rf 방식으로 구현된 일체형 초소형 중계장치
KR20160099835A (ko) * 2015-02-13 2016-08-23 박진영 비엘이 소자를 갖는 안테나
KR101795318B1 (ko) 2016-12-09 2017-11-07 최병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577Y1 (ko) * 1997-07-16 2000-02-01 이돈신 이동통신 중계용 안테나 시스템
KR20040025083A (ko) 2002-09-18 2004-03-24 셀레콤 주식회사 안테나 내장형 중계기 시스템
KR101256683B1 (ko) 2006-11-02 2013-04-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Rf 방식으로 구현된 일체형 초소형 중계장치
KR200451567Y1 (ko) * 2010-04-28 2010-12-22 (주)호서텔레콤 무선 랜 중계기
KR20160099835A (ko) * 2015-02-13 2016-08-23 박진영 비엘이 소자를 갖는 안테나
KR101795318B1 (ko) 2016-12-09 2017-11-07 최병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919B1 (ko) * 2023-10-23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형 통신기기
KR102646920B1 (ko) * 2023-10-24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 접속형 다기능 통신중계기
KR102646921B1 (ko) * 2023-10-25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Lte 통신라인용 통신 공유장치
KR102646922B1 (ko) * 2023-10-26 2024-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옥내 통신라인 분선 연결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91B1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991B1 (ko) 인-빌딩 소형 중계기
US20220231399A1 (en) Antenna systems for controlled coverage in buildings
CN111106426B (zh) 窗天线
EP216667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lift system having the same
US20130234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ctive Antenna System with Near-field Radio Frequency Probes
CN110383941B (zh) 通过障碍物的毫米波通信
US20130045692A1 (en) Femto Access Point Operable with different Spatial Characteristic Antenna Patterns
KR20110083612A (ko) Hf신호, 제어 및 모니터링 신호, 공급 직류 전압을 전송하기 위하여 단 하나의 hf공급 라인을 공유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위한 원격 안테나 장치
US2016020564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KR100329221B1 (ko)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89372A (ja) 無線アンテナ付き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器具と無線アンテナ部材
EP370030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 a lighting system
CN114424405A (zh) 具有数据传输功能的照明设备
JP2015226201A (ja)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780803B1 (ko) 상하향링크 비대칭 릴레이 통신 시스템
JP2006222740A (ja) 無線基地局
KR20140132920A (ko) 엘리베이터용 통신중계시스템
KR20190026193A (ko)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08068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지는 리프트시스템
KR20220119987A (ko) 전자파 차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S2765861T3 (es) Disposición para ampliar el alcance de sistemas de radio MIMO a zonas de sombra
JP6787036B2 (ja) 表示装置
KR200164704Y1 (ko) 휴대전화기용중계기
KR101304435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시스템
KR20220144536A (ko) 공공안전망용 분산 안테나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