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081B1 -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 Google Patents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081B1
KR102636081B1 KR1020220006884A KR20220006884A KR102636081B1 KR 102636081 B1 KR102636081 B1 KR 102636081B1 KR 1020220006884 A KR1020220006884 A KR 1020220006884A KR 20220006884 A KR20220006884 A KR 20220006884A KR 102636081 B1 KR102636081 B1 KR 10263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unit
crushing
lif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666A (ko
Inventor
김화중
김재용
오희경
김영재
이명용
Original Assignee
(주)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티 filed Critical (주)보티
Priority to KR102022000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81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55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using different melting or softening temperatures of the materials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4Cutting wires, e.g. vibrating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쇄와 용융 기능이 적용되면서 스티로폼 수거 현장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이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폐기되는 스티로폼을 수집 초기부터 분리하고 그 부피를 재활용 가능한 잉곳(ingot) 형태로 만들어 매립이나 분진에 의한 오염량을 줄이고 재활용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스티로폼 분리 배출 후 재활용 센터까지 가면서 발생하는 운송료를 절감하고, 재활용 센터까지 이동중 발생하는 오염 문제를 개선하며, 재활용 센터에서 분리 수거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LIFE FRIENDLY STYROFOAM VOLUME REDUCER}
본 발명은 스티로폼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되거나 폐기되는 스티로폼을 수집 초기부터 분리하고 재활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매립이나 오염되는 량을 줄이고 재활용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스티로폼은 포장박스, 완충재, 양식장용 부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사용 이후에 스티로폼을 적절하게 폐기처리되지 않으면 매립에 의한 토양의 오염과 소각에 의한 대기의 오염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스티로폼의 재활용은 환경적인 차원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상기 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집된 폐스티로폼을 파쇄기를 통해 일정 크기로 파쇄시키도록 하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3968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35590호, 그리고 용해장치를 통해 부피가 줄어들도록 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1956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기 또는 스티로폼을 용해시키는 용해장치는 모두 재활용센터에 설치되는 장치들로서 휴대할 수 없으며, 이에따라 현장에서 스티로폼을 수거한 후 이를 재활용센터까지 운행해야 하는 운송료 부담이 있고, 재활용 센터까지 스티로폼을 운송하는데 따른 오염 발생의 문제점은 물론, 재활용센터에서 분리 수거하는 인력 사용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경제적인 부담이 많았다.
한편,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630호에서와 같이 휴대용 용해장치도 공개되어 있지만, 이러한 휴대용 용해장치는 스티로폼을 일정크기로 분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해 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자가 스티로폼을 임의로 분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작업자가 스티로폼을 임의의 크기로 분쇄시 분진(예; 미세입자)이 흩날리면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의 파쇄기나 용해장치는 각각 개별적인 기구물들로서 휴대성이 없으며, 휴대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스티로폼의 처리 효율성은 낮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630호(공고일 2001.05.15.) 등록특허공보 제10-0939680호(공고일 2010.02.03.) 등록특허공보 제10-1935590호(공고일 2019.01.04.)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1956호(공개일 2021.07.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쇄와 용융 기능이 적용되면서 스티로폼 수거 현장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재활용되거나 폐기되는 스티로폼을 수집 초기부터 분리하고 재활용 가능한 잉곳(ingot) 형태로 만들어 매립이나 분진에 의한 오염량을 줄이고 재활용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는, 스티로폼 투입구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면서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스티로폼을 소정의 크기로 1차 파쇄하는 제 1 파쇄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파쇄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스티로폼을 이송시키면서 2차 파쇄하는 제 2 파쇄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파쇄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재활용 가능한 잉곳(ingot) 형태로 용융시키는 용융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용융부에 의해 잉곳 형태로 용융된 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잉곳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가 형성되는 투입 영역,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쇄부와 상기 용융부 및 상기 잉곳 저장부가 수용되는 처리 영역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투입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를 통한 상기 투입 영역으로의 스티로폼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투입 영역과 상기 처리 영역의 경계라인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한 스티로폼의 투입 여부에 따라 상기 경계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안전도어;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도어는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를 통해 스티로폼 투입이 감지되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개방되고 감지된 상기 스티로폼이 상기 제 1 파쇄부의 파쇄영역으로 투입된 이후에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닫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도어판이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티로폼의 투입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파쇄부와 상기 용융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파쇄부에 의해 스티로폼이 1차 파쇄시 발생하는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이 상기 제 2 파쇄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을 집진하도록 구동전원 인가에 따라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판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파쇄부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레일부를 따라 승,하강되는 칼날 또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격자판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파쇄부는, 상기 제 1 파쇄부의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파쇄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상기 용융부의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가압 이송되는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2차 파쇄하는 칼날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융부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출수단측 이송경로를 에워싸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에 열을 가하는 가열판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용융부에는 상기 제 1 파쇄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용융부의 가열에 따른 열을 상기 제 1 파쇄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파쇄부를 예열시키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에 열이 가해져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예열관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열관에는 2차 파쇄된 스티로폼에 열이 가해져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유해가스 처리부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는 사용자 인식부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스티로폼 처리에 따른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형 제어패널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쇄와 용융 기능이 적용되면서 스티로폼 수거 현장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재활용되거나 폐기되는 스티로폼을 수집 초기부터 분리하고 그 부피를 재활용 가능한 잉곳(ingot) 형태로 만들어 매립이나 분진에 의한 오염량을 줄이고 재활용율을 높여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스티로폼 분리 배출 후 재활용 센터까지 가면서 발생하는 운송료를 절감하고, 재활용 센터까지 이동중 발생하는 오염 문제를 개선하며, 재활용 센터에서 분리 수거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잉곳 저장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잉곳 저장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안전도어의 닫힘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안전도어의 열림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파쇄부인 격자판 구조물이 하강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파쇄부인 격자판 구조물이 상승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집진부에 대한 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일정 부피를 가지는 스티로폼이 잉곳 형태의 스티로폼으로 가공되는 상태를 보인 공정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정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잉곳 저장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잉곳 저장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안전도어의 닫힘 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안전도어의 열림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파쇄부인 격자판 구조물이 하강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파쇄부인 격자판 구조물이 상승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집진부에 대한 확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는 스티로폼 수거 현장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본체부(10), 제 1 파쇄부(20), 제 2 파쇄부(30), 용융부(40), 잉곳 저장부(50),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안전장치(70), 집진부(80), 유해가스 처리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는 전면 상단에 스티로폼 투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장치(7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가 형성되는 투입 영역(S1),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쇄부(20, 30)와 상기 용융부(40) 및 상기 잉곳 저장부(50)가 수용되는 처리 영역(S2)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의 전면 하단에는 사용자 인식부(12)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스티로폼 처리에 따른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형 제어패널(1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파쇄부(20)는 상기 본체부(10)내에 형성되면서 제어부(6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처리 영역(S2) 상단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스티로폼(T1)을 소정의 크기로 1차 파쇄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파쇄부(2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레일부(20a)를 따라 승,하강되는 것으로, 이는 칼날 또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격자판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에따라 선행기술들과 같이 파쇄날의 맞물림 방식의 문제점인 위험도 또는 스티로폼의 역류나 진동 및 소음을 해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격자판 구조물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에 투입되는 스티로폼(T1)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형 스티로폼(T2)으로 파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와 이에 연결되는 기어들과 체인 또는 벨트나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격자판 구조물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면 그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파쇄부(30)는 상기 본체부(10)내의 처리영역(S2) 하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의해 소정의 격자 크기로 파쇄된 스티로폼(T2)을 이송시키면서 2차 파쇄하는 것이며, 구동모터(31)와 이송스크류(32) 및 칼날부(3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상기 처리 영역(S2) 하단에서 상기 제 1 파쇄부(20)의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스크류(32)는 상기 구동모터(31)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의해 소정의 격자 크기로 1차 파쇄된 스티로폼(T2)을 상기 용융부(40)의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칼날부(33)는 상기 이송스크류(32)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의해 1차 파쇄된 스티로폼(T2)이 가압 이송될 때 가압 이송되는 상기 1차 파쇄된 스티로폼(T2)을 2차 파쇄하는 것이다.
상기 용융부(40)는 상기 본체부(10)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파쇄부(30)에 의해 가압 이송되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T3)을 재활용 가능한 잉곳(ingot) 형태로 용융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용융부(40)는 상기 이송스크류(32)의 출수단측 이송경로를 에워싸면서 2차 파쇄된 상기 스티로폼(T3)에 열을 가하는 가열판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가열판 구조물은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전원 인가에 따라 가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융부(40)에는 상기 제 1 파쇄부(20)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용융부(40)의 가열에 따른 열을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파쇄부(20)를 예열시키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T3)에 열이 가해져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예열관(41)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파쇄부(20)는 상기 예열관(41)에 의해 예열 처리되면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스티로폼(T1)을 승,하강하면서 격자형으로 1차 파쇄시 그 1차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파쇄부(20)가 상기 예열관(41)에 의해 예열되면,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접촉하는 스티로폼(T1)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스티로폼(T1)은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의해 격자형 구조를 가지는 스티로폼(T2)으로 쉽게 파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파쇄부(20)의 예열에는 상기 용융부(40)의 가열동작 후 남아 있는 잔열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잉곳 저장부(50)는 상기 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적용되는 서랍형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용융부(40)에 의해 잉곳 형태로 용융된 스티로폼(T4)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잉곳 저장부(50)는 상기 용융부(40)를 통과하여 용융이 끝난 스티로폼(T3)이 잉곳 형태의 스티로폼(T4)으로 성형되어 빠져 나오면 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는 상기 잉곳 저장부(50)에 저장되는 잉곳 형태의 스티로폼(T4)이 쌓이면 한 번에 그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전장치(70)는 감지부(71)와 안전도어(7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71)는 상기 투입 영역(S1)에 형성되면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를 통한 상기 투입 영역(S1)으로의 스티로폼(T1)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감지부(71)는 상기 투입 영역(S1)의 상면에서 상기 처리 영역(S2)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이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는 상기 제어부(60)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전도어(72)는 상기 투입 영역(S1)과 상기 처리 영역(S2)의 경계라인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71)에 의한 스티로폼(T1)의 투입 여부에 따라 상기 경계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도어(72)는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를 통해 스티로폼(T1)이 투입이 감지되면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개방되고 감지된 상기 스티로폼(T1)이 상기 제 1 파쇄부(20)의 파쇄영역으로 투입된 이후에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닫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도어판이며, 상기 구동부(미도시)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감지부(71)에 의해 스티로폼(T1)의 투입이 감지돈 신호가 입력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안전도어(72)를 개방시켜, 상기 제 1 파쇄부(20)로 상기 스티로폼(T1)이 자유 낙하 방식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제 1 파쇄부(20)로 상기 스티로폼(T1)이 투입된 이후에는 상기 안전도어(72)를 닫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에 스티로폼(T1)의 투입이 없는 사용 중지 상태에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손이나 기타 야생동물이 스티로폼 투입영역(S1)에 진입하더라도, 이물질이나 작업자의 손 또는 야생동물은 닫힘된 상기 안전도어(72)에 의해 스티로폼 처리영역(S2)으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면서, 작업자나 야생동물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 유입에 따른 기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슬라이딩 도어판인 상기 안전도어(72)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는 물론,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와 랙 기어 또는 기어들과 체인 또는 풀리와 벨트의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판을 직선 이동시키리 수 있는 구조물이면 그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진부(80)는 상기 제 2 파쇄부(30)와 상기 용융부(4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의해 스티로폼(T2)이 1차 파쇄시 발생하는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이 상기 제 2 파쇄부(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을 집진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집진부(80)는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을 집진하도록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전원 인가에 따라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판 구조물로서, 상기 정전판 구조물에서의 정전기로 인해, 자유 낙하하는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은 상기 정전판에 달라 붙으면서 상기 제 2 파쇄부(30)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파쇄부(30)를 이루는 구동모터(31)는 물론 이송스크류(32)가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로 인해 오작동하거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해가스 처리부(90)는 상기 예열관(41)에 연결되는 덕트와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배기팬 구조물로서, 상기 2차 파쇄된 스티로폼(T3)에 열이 가해져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우선 제 1 공정으로서 사용자 인식부(12) 및/또는 제어패널(13)을 통해 사용자 인식이 이루어지면, 제 2 공정으로서 작업자는 터치형 제어패널(13)을 통해 작업을 설정한 후 스티로폼 투입구(11)를 통해 처리하고자 하는 스티로폼(T1)을 투입한다.
다음의 제 3 공정으로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으로의 스티로폼(T1) 투입상태는 안전장치(70)에 포함되는 감지부(71)에 감지되어 제어부(60)로 출력되는 것이다.
다음의 제 4 공정으로서, 상기 제어부(60)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안전장치(70)에 포함되는 안전도어(72)를 열림 제어하게 되면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1)에 투입된 상기 스티로폼(T1)은 처리영역(S2)에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격자형 구조를 이루는 제 1 파쇄부(20)의 위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다음의 제 5 공정으로서, 상기 제어부(60)는 열림 제어된 상기 안전도어(72)를 닫힘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의 제 6 공정으로서, 상기 제어부(60)는 용융부(40)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격자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 파쇄부(20)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다음의 제 7 공정으로서, 상기 제 1 파쇄부(20)는 상방향 이송을 통해 상기 스티로폼(T1)을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스티로폼(T2)으로 1차 파쇄하게 되고, 1차 파쇄된 상기 스티로폼(T2)은 경사진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자유낙하됨과 동시에, 제 2 파쇄부(30)에 포함되는 구동모터(31)를 구동 제어하여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집진부(8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게 되면서, 상기 집진부(80)는 상기 제 1 파쇄부(20)에 의해 스티로폼(T1)이 격자형 크기로 1차 파쇄시 발생하는 스티로폼 미세 입자들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집진하게 되므로,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가 상기 제 2 파쇄부(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이송스크류(32)는소정의 크기로 1차 파쇄된 상기 스티로폼(T2)을 용융부(40)의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인접 배치되는 칼날부(33)는 가압 이송되는 상기 스티로폼(T2)을 2차 파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제 8 공정으로서, 상기 용융부(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가열되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T3)을 용융시켜 잉곳 형태의 스티로폼(T4)으로 용융시키는 것이다.
다음의 제 9 공정으로서, 상기 용융부(40)의 가열동작으로 상기 스티로폼(T4)이 잉곳 형태로 용융시 유해가스가 발생하므로, 상기 유해가스는 제어부(60)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는 유해가스 처리부(90)에 의해 본체부(1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해가스 처리부(90)에는 예열관(4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해가스 처리부(90)가 구동하면, 상기 예열관(41)을 통해 유해가스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로 그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제 10 공정으로서, 상기 용융부(40)에 의해 용융되어 잉곳 형태로 가공되는 스티로폼(T4)은 회전하는 상기 이송스크류(32)에 의해 잉곳 저장부(50)로 투입되면서 저장되는 것이고, 이에따라 작업자는 상기 잉곳 저장부(50)에 저장되는 잉곳 형태의 스티로폼(T4)을 모아 재활용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부 11; 스티로폼 투입구
12; 사용자 인식부 13; 제어패널
20; 제 1 파쇄부 20a; 레일부
30; 제 2 파쇄부 31; 구동모터
32; 이송스크류 33; 칼날부
40; 용융부 41; 예열관
50; 잉곳 저장부 60; 제어부
70; 안전장치 71; 감지부
72; 안전도어 80; 집진부
90; 유해가스 처리부 S1; 투입 영역
S2; 처리 영역 T1, T2, T3, T4; 스티로폼

Claims (13)

  1. 스티로폼 투입구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면서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스티로폼을 소정의 크기로 1차 파쇄하는 제 1 파쇄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파쇄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스티로폼을 이송시키면서 2차 파쇄하는 제 2 파쇄부;
    상기 본체부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파쇄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재활용 가능한 잉곳(ingot) 형태로 용융시키는 용융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용융부에 의해 잉곳 형태로 용융된 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잉곳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부에는 상기 제 1 파쇄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용융부의 가열에 따른 열을 상기 제 1 파쇄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파쇄부를 예열시키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에 열이 가해져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예열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가 형성되는 투입 영역,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쇄부와 상기 용융부 및 상기 잉곳 저장부가 수용되는 처리 영역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투입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를 통한 상기 투입 영역으로의 스티로폼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투입 영역과 상기 처리 영역의 경계라인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한 스티로폼의 투입 여부에 따라 상기 경계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안전도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는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를 통해 스티로폼 투입이 감지되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개방되고 감지된 상기 스티로폼이 상기 제 1 파쇄부의 파쇄영역으로 투입된 이후에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닫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도어판이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티로폼의 투입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쇄부와 상기 용융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파쇄부에 의해 스티로폼이 1차 파쇄시 발생하는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이 상기 제 2 파쇄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을 집진하는 집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스티로폼 미세입자들을 집진하도록 구동전원 인가에 따라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판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쇄부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레일부를 따라 승,하강되는 칼날 또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격자판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쇄부는,
    상기 제 1 파쇄부의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파쇄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상기 용융부의 방향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가압 이송되는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2차 파쇄하는 칼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출수단측 이송경로를 에워싸면서 2차 파쇄된 스티로폼에 열을 가하는 가열판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에는 2차 파쇄된 스티로폼에 열이 가해져 용융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유해가스 처리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는 사용자 인식부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스티로폼 처리에 따른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형 제어패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KR1020220006884A 2022-01-17 2022-01-17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KR10263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84A KR102636081B1 (ko) 2022-01-17 2022-01-17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84A KR102636081B1 (ko) 2022-01-17 2022-01-17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666A KR20230111666A (ko) 2023-07-26
KR102636081B1 true KR102636081B1 (ko) 2024-02-14

Family

ID=8742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884A KR102636081B1 (ko) 2022-01-17 2022-01-17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0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346B2 (ja) * 1990-12-25 2001-02-05 株式会社マルコシエンジニアリング 高含水無機質汚泥の乾燥処理方法
KR101050319B1 (ko) * 2010-05-07 2011-07-19 장일도 스티로폼 감용기
KR101795318B1 (ko) * 2016-12-09 2017-11-07 최병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KR102195265B1 (ko) * 2020-05-04 2020-12-24 (주)한얼환경산업 스티로폼 감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8456A (en) * 1990-06-27 1992-03-24 Union Carbide Industrial Gases Technology Corporation Cryogenic air separation system with dual feed air side condensers
KR200223630Y1 (ko) 2000-10-06 2001-05-15 장진택 휴대용 스티로폼 융해기
JP3133346U (ja) * 2006-12-15 2007-07-12 株式会社富功 飲料用アルミ缶・スチール缶・ペットボトル自動選別小型減容機
KR100939680B1 (ko) 2008-08-05 2010-02-03 최종호 폐스티로폼 파쇄기
KR20130140285A (ko) * 2012-06-14 2013-12-24 이철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35590B1 (ko) 2018-07-04 2019-01-04 주식회사 명진자원 스티로폼 파쇄장치
KR20210091956A (ko) 2020-01-15 2021-07-23 김창환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346B2 (ja) * 1990-12-25 2001-02-05 株式会社マルコシエンジニアリング 高含水無機質汚泥の乾燥処理方法
KR101050319B1 (ko) * 2010-05-07 2011-07-19 장일도 스티로폼 감용기
KR101795318B1 (ko) * 2016-12-09 2017-11-07 최병호 폐스티로폼 압축 감용기
KR102195265B1 (ko) * 2020-05-04 2020-12-24 (주)한얼환경산업 스티로폼 감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666A (ko)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105B1 (ko)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US20160167056A1 (en) Organizational recycl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20080081875A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200111130A (ko) 폐기물 파쇄장치
CN212493172U (zh) 一种防护性好的工程环保用废弃处理设备
CN102247907A (zh) 城市生活垃圾破袋破碎设备
CN107890939A (zh) 一种轻薄金属细碎处理装置及其细碎和分类工艺
KR102636081B1 (ko)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N205599270U (zh) 一种家用垃圾回收处理系统
KR20130109641A (ko) 냉각용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CN111266150A (zh) 具有环保除尘的工程建筑废料处理装置及其加工方法
KR100909894B1 (ko) 악취발생을 줄인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와 그 방법
KR102142584B1 (ko) 폐스티로폴 감용화 장치
KR100973074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CN210907364U (zh) 一种用于芯片制造废料回收装置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CN211164842U (zh) 一种塑料包装袋回收处理装置
KR100659224B1 (ko) 음식물쓰레기 전처리를 위한 다기능 시스템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CN217221651U (zh) 一种可回收金属的建筑垃圾处理装置
CN214926139U (zh) 一种塑料回收热熔装置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