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319B1 - 스티로폼 감용기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319B1
KR101050319B1 KR20100042980A KR20100042980A KR101050319B1 KR 101050319 B1 KR101050319 B1 KR 101050319B1 KR 20100042980 A KR20100042980 A KR 20100042980A KR 20100042980 A KR20100042980 A KR 20100042980A KR 101050319 B1 KR101050319 B1 KR 10105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extrusion
hopper
transfer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도
Original Assignee
장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도 filed Critical 장일도
Priority to KR2010004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 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압출부가 분쇄부의 하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타측에 분쇄된 스티로폼을 압출하여 배출하는 압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부재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압출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가 상기 압출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을 다시 한 번 분쇄함과 동시에 분쇄된 스티로폼이 압출되는 과정 중에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스티로폼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로폼 감용기{STYROFOAM DIMINISHER}
본 발명은 분쇄된 스티로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 번 분쇄하며, 분쇄와 압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용적을 줄이고,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하며, 열, 화학적인 방법이 아닌 물리적인 힘과 마찰력으로 충분한 감용을 할 수 있는 스티로폼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은 폴리스틸렌 발포제를 통칭하는 것으로써, 밀도가 극기 작아 부피에 비하여 경량이며, 복원성, 완충성, 단열성 및 가공성 등이 양호하여 완제품의 완충 포장재나 건축 단열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은 큰 부피로 인하여 수집 및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립시 부패되지 않음으로, 사용 후 폐기 및 재활용 처리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에서는 폐스티로폼의 경우 열, 화학적인 처리를 통하여 액자 등을 만드는 원자재로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들어,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 왔으며, 그 하나의 방법으로는 스티로폼을 수용하여 파쇄시키는 파쇄날이 내장된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파쇄된 스티로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장치가 내장된 스티로폼 감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로폼 감용기는 호퍼에 투입되는 스티로폼이 완벽하게 파쇄되지 못하여 파쇄된 스티로폼을 히터장치에 투입시킬 경우에 투입구가 차단되어 효율적으로 스티로폼을 용융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티로폼 감용기는 스티로폼을 용융시킬 경우 내장된 히터장치에 의하여 스티로폼을 가열하여야 하므로 히터를 설치하기 위한 컨트롤박스 등 전기시설로 인하여 설치비용이 고가이며, 장치의 크기가 매우 큰 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일정 장소에 고정형식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큰 부피의 스티로폼을 스티로폼 감용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더불어 열, 화학적인 감용 방식은 스티로폼의 재활용에 따르는 에너지의 투입이 많고, 환경오염의 요인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티로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된 스티로폼이 파쇄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형성된 파쇄부와, 파쇄된 스티로폼이 유출되도록 다수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결된 원통형의 몸통과,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파쇄된 스티로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크류와 상기 몸통과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상기 파쇄부와 이동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스트로폼이 용융되도록 가열되는 가열부와, 상기 용융된 스티로폼을 토출시키는 토출부와, 자열이 발생되도록 구동되는 자열부와, 용융된 스티로폼을 토출부로 유출시키는 유출스크류로 이루어진 용융유출부와;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가열시키는 버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감용기(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4917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스티로폼 감용기의 상기 용융유출부에는 파쇄된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파쇄된 스티로폼을 용융유출하는 과정 중에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스티로폼의 압출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분쇄된 스티로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 번 분쇄하며, 분쇄와 압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용적을 줄이고,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하며, 열, 화학적인 방법이 아닌 물리적인 힘과 마찰력으로 충분한 감용을 할 수 있는 스티로폼 감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스티로폼이 수용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퍼내에 수용된 스티로폼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의 하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타측에 분쇄된 스티로폼을 압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부재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압출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가 상기 압출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이송압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감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호퍼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호퍼내에 수용되는 스티로폼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압출부는 상기 호퍼와 연통되도록 상기 분쇄부의 하측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날로 구성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며 내부에 상기 이송부재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압출하여 타측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관과, 상기 압출관의 내주면에 상기 압출관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출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 돌출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분쇄된 스티로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공기통로로 구성되는 압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는 상기 이송압출부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호퍼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압출부는 상기 호퍼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부가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날로 구성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이송부재가 수용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압출하여 타측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관과, 상기 압출관의 내주면에 상기 압출관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출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 돌출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분쇄된 스티로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공기통로로 구성되는 압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출관의 타측에 형성된 노즐에는 상기 노즐의 내부방향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쇄날은 상기 호퍼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을 분쇄하여 상기 이송부재로 이송하고, 상기 분쇄날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주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하측 절곡부와; 상기 하측 절곡부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부의 일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절곡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 절곡부의 상단부 내측으로 곡선으로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송압출부가 분쇄부의 하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타측에 분쇄된 스티로폼을 압출하여 배출하는 압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부재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압출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가 상기 압출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을 다시 한 번 분쇄함과 동시에 분쇄된 스티로폼이 압출되는 과정 중에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가 호퍼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호퍼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고, 상기 이송압출부가 하우징, 이송부재 및 압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다시 한 번 분쇄함과 동시에 분쇄된 스티로폼이 압출되는 과정 중에 스티로폼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분쇄부가 상기 이송압출부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분쇄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압출부가 상기 호퍼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부가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축 및 상기 이송축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부재와 압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원가 및 고장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을 상기 이송압출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출관의 타측에 형성된 노즐에 상기 노즐의 내부방향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압출관에 의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된 스티로폼의 표면을 용융시켜 분쇄된 스티로폼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의 압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된 스티로폼의 이동시 부스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단단한 형태로 압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분쇄날이 상기 호퍼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을 분쇄하여 상기 이송부재로 이송하고, 상기 분쇄날은 고정부, 하측 절곡부, 수직 절곡부 및 내측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호퍼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쇄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압출부 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티로폼 감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분쇄부의 회전축과 이송압출부의 이송축이 일체형으로 연통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분쇄부의 회전축의 외주연에 분쇄날이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호퍼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이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후 이송압출부에 의헤 이송 및 압출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티로폼 감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티로폼 감용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호퍼(10), 분쇄부(20) 및 이송압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호퍼(10)는 내부에 스티로폼(도 5의 7)이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스티로폼(7)이 수용될 수 있도록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호퍼(10)의 상측에는 상기 호퍼(10)의 상측을 개폐하는 별도의 개폐판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부(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된 스티로폼(7)을 분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압출부(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20)의 하측방향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압출부(30)의 타측에는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압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부재(330)가 구비된다.
상기 압출부재(330)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진다.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332)가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10) 및 분쇄날(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호퍼(1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분쇄날(220)은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압출부(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310), 이송부재(320) 및 압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호퍼(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분쇄부(20)의 하측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이송축(321) 및 이송날(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축(321)은 상기 하우징(31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재(9)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과 함께 정역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상부 풀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320)의 이송축(321)의 일단부에는 하부 풀리(321a)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축(321)의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9)의 회전축(91)의 타단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풀리(211) 및 상기 하부 풀리(321a) 사이에는 벨트부재(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9)의 회전축(91)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할 경우 상기 구동부재(9)의 회전축(91)의 타단과 일단이 일체형으로 축결합된 상기 이송축(321)이 상기 구동부재(9)의 회전축(91)의 정역회전을 따라 정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풀리(321a)가 정역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풀리(211) 및 상기 하부 풀리(321a) 사이에 구비된 상기 벨트부재(B) 또한, 상기 하부 풀리(321a)를 따라 정역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풀리(211)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이송축(321)과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재(9)에 의해 함께 정역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날(322)은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32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재(3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출관(331), 돌출부재(332) 및 공기통로(3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관(331)은 상기 하우징(310)과 연통되도록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의 타측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관(331)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압출관(331)의 내부에 상기 이송부재(320)의 타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관(331)은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압출하여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도 5참조).
이때, 상기 이송날(322)은 상기 압출관(331)의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압출관(3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출관(331)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332)는 상기 압출관(331)의 내주면에 상기 압출관(33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출관(3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333)는 상기 돌출부재(332)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333)는 상기 압출관(331), 돌출부재(332) 및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분쇄된 스티로폼(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호퍼(10)를 통해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분쇄된 스티로폼(7)의 직경이 상기 공기통로(333)의 깊이보다 클 경우 분쇄된 스티로폼(7)의 일단부는 상기 압출관(331)의 내측방향을 향한 상태가 되고, 분쇄된 스티로폼(7)의 타단부는 상기 공기통로(333)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20)의 이송날(322)이 다시 한 번 상기 공기통로(333)에 타단부가 수용된 분쇄된 스티로폼(7)의 일단부를 분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분쇄된 스티로폼(7)이 상기 압출관(3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압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쇄부(20)가 호퍼(1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분쇄날(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압출부(30)가 하우징(310), 이송부재(320) 및 압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다시 한 번 분쇄함과 동시에 분쇄된 스티로폼(7)이 압출되는 과정 중에 스티로폼(7)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7)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분쇄부(20)의 회전축(210)과 이송압출부(30)의 이송축(321)이 일체형으로 연통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분쇄날(220)이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여기서, 상기 분쇄부(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10) 및 분쇄날(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이송압출부(3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재(9)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은 상기 구동부재(9)의 회전축(210)의 타단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재(9)의 회전축(91)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분쇄날(22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날(220)은 상기 회전축(210)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압출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310), 이송부재(320) 및 압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호퍼(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부(20)가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이송축(321) 및 이송날(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축(321)은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날(322)은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32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재(330)는 압출관(331), 돌출부재(332) 및 공기통로(3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관(331)은 상기 하우징(310)과 연통되도록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의 타측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관(331)은 내부에 상기 이송부재(320)가 수용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관(331)은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압출하여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날(322)은 상기 압출관(331)의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압출관(3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출관(331)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관(331)의 내주면에 상기 압출관(33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출관(3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333)는 상기 돌출부재(332)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333)는 상기 압출관(331), 돌출부재(332) 및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분쇄된 스티로폼(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호퍼(10)를 통해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분쇄된 스티로폼(7)의 직경이 상기 공기통로(333)의 깊이보다 클 경우 분쇄된 스티로폼(7)의 일단부는 상기 압출관(331)의 내측방향을 향한 상태가 되고, 분쇄된 스티로폼(7)의 타단부는 상기 공기통로(333)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20)의 이송날(322)이 다시 한 번 상기 공기통로(333)에 타단부가 수용된 분쇄된 스티로폼(7)의 일단부를 분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분쇄된 스티로폼(7)이 상기 압출관(3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압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쇄부(20)가 상기 이송압출부(3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구동부재(9)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분쇄날(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압출부(30)가 상기 호퍼(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부(20)가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이송축(321) 및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송부재(320)와 압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원가 및 고장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이송압출부(30)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관(331)의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에는 도 1,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331a)의 내부방향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 등의 히터부재(40)가 상기 노즐(331a)을 감싼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히터부재(40)의 온도는 상기 압출관(331)에 의해 압출된 스티로폼(7)과 상기 압출된 스티로폼(7)의 압출면과의 접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정도의 온도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40)는 스티로폼(7)의 용융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스티로폼(7)의 감용은 물리적인 힘과 압출시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스티로폼 감용에 소요되는 과도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열, 화학반응에 따른 냄새 등의 환경오염 요인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적인 파쇄와 마찰력으로 감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차량 등에 탑재하여 이동식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며, 차량 탑재형으로 사용할 경우 종래의 열, 화학 처리식 감용기와 같이 별도의 열, 화학 처리를 위한 동력 및 에너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출관(331)의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에 상기 노즐(331a)의 내부방향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재(4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압출관(331)에 의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된 스티로폼(7)의 표면을 용융시켜 분쇄된 스티로폼(7)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의 압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펠릿 등으로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날(220)은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하여 상기 이송부재(32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분쇄날(22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221), 하측 절곡부(222), 수직 절곡부(223) 및 내측 절곡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1)는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1)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용접고정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날(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분쇄날(220)이 훼손되었을시 훼손된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분쇄날(2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21)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볼트고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직 절곡부(223)는 상기 고정부(221)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 내주면 방햐응로 사선(\, /)으로 각각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절곡부(223)는 상기 하측 절곡부(222)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부(222)의 일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절곡부(224)는 상기 수직 절곡부(223)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곡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 절곡부(223)의 상단부 내측으로 곡선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쇄날(220)이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하여 상기 이송부재(320)로 이송하고, 상기 분쇄날(220)은 고정부(221), 하측 절곡부(222), 수직 절곡부(223) 및 내측 절곡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쇄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압출부(30) 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이송압출부(30)가 분쇄부(20)의 하측방향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타측에 분쇄된 스티로폼(7)을 압출하여 배출하는 압출부재(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부재(330)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332)가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7)을 다시 한 번 분쇄함과 동시에 분쇄된 스티로폼(7)이 압출되는 과정 중에 스티로폼(7)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된 스티로폼(7)의 압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7; 스티로폼, 9; 구동부재,
91, 210; 회전축, 10; 호퍼,
20; 분쇄축, 211; 상부 풀리,
220; 분쇄날, 221; 고정부,
222; 하측 절곡부, 223; 수직 절곡부,
224; 내측 절곡부, 30; 이송압출부,
310; 하우징, 320; 이송부재,
321; 이송축, 321a; 하부 풀리,
322; 이송날, 330; 압출부재,
331; 압출관, 331a; 노즐,
332; 돌출부재, 333; 공기통로,
40; 히터부재, B; 벨트부재

Claims (5)

  1. 내부에 스티로폼(7)이 수용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된 스티로폼(7)을 분쇄하는 분쇄부(20)와;
    상기 분쇄부(20)의 하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타측에 분쇄된 스티로폼(7)을 압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부재(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부재(330)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332)가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이송압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부(20)는 상기 호퍼(1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하는 분쇄날(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압출부(30)는 상기 호퍼(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분쇄부(20)의 하측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수용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구동부재(9)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축(321)과,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321)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날(322)로 구성되는 이송부재(320)와;
    상기 하우징(31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3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며 내부에 상기 이송부재(320)의 타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압출하여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관(331)과, 상기 압출관(331)의 내주면에 상기 압출관(33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출관(3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332)와, 상기 돌출부재(332)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331), 돌출부재(332) 및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분쇄된 스티로폼(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공기통로(333)로 구성되는 압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감용기.
  2. 내부에 스티로폼(7)이 수용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된 스티로폼(7)을 분쇄하는 분쇄부(20)와;
    상기 분쇄부(20)의 하측방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고, 타측에 분쇄된 스티로폼(7)을 압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부재(330)가 구비되며, 상기 압출부재(330)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출부재(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332)가 상기 압출부재(3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이송압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부(20)는 상기 이송압출부(30)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되어 구동부재(9)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하는 분쇄날(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압출부(30)는 상기 호퍼(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부(20)가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과 일체형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분쇄부(20)의 회전축(210)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축(321)과, 상기 이송축(321)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나선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321)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분쇄부(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을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날(322)로 구성되는 이송부재(320)와;
    상기 하우징(31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310)의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이송부재(320)가 수용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스티로폼(7)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압출하여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압출관(331)과, 상기 압출관(331)의 내주면에 상기 압출관(33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압출관(3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332)와, 상기 돌출부재(332) 사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관(331), 돌출부재(332) 및 상기 이송부재(320)에 의해 분쇄된 스티로폼(7)이 압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3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분쇄된 스티로폼(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공기통로(333)로 구성되는 압출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감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관(331)의 타측에 형성된 노즐(331a)에는 상기 노즐(331a)의 내부방향으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부재(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감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220)은 상기 호퍼(10)내에 수용되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스티로폼(7)을 분쇄하여 상기 이송부재(320)로 이송하고,
    상기 분쇄날(220)은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221)와;
    상기 고정부(221)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 내주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하측 절곡부(222)와;
    상기 하측 절곡부(222)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절곡부(222)의 일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부(223)와;
    상기 수직 절곡부(223)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절곡부(223)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 절곡부(223)의 상단부 내측으로 곡선으로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감용기.
  5. 삭제
KR20100042980A 2010-05-07 2010-05-07 스티로폼 감용기 KR10105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2980A KR101050319B1 (ko) 2010-05-07 2010-05-07 스티로폼 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2980A KR101050319B1 (ko) 2010-05-07 2010-05-07 스티로폼 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319B1 true KR101050319B1 (ko) 2011-07-19

Family

ID=4492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2980A KR101050319B1 (ko) 2010-05-07 2010-05-07 스티로폼 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5537A (zh) * 2018-11-02 2019-01-18 王志坚 细碎刀轴
KR20230111666A (ko) *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984B1 (ko) * 1985-12-23 1990-09-25 다까시 아다까 압축 분쇄 장치
KR20050015872A (ko) * 2003-08-06 2005-02-21 곽희덕 고성능 스크류 압축식 스티로폼 감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984B1 (ko) * 1985-12-23 1990-09-25 다까시 아다까 압축 분쇄 장치
KR20050015872A (ko) * 2003-08-06 2005-02-21 곽희덕 고성능 스크류 압축식 스티로폼 감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5537A (zh) * 2018-11-02 2019-01-18 王志坚 细碎刀轴
KR20230111666A (ko) *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KR102636081B1 (ko) * 2022-01-17 2024-02-14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703B2 (en) Method for processing synthetic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recycling
CN102933360B (zh) 用于制备塑料材料的装置
TWI568559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TWI524977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TWI501852B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US7309224B2 (en) Device for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for recycling purposes
US20040238983A1 (en) Resin waste melting and volume reducing device, and volume reducing method using the device
BR112014008870B1 (pt) dispositivo para o pré-tratamento e subsequente transporte, plastificação ou aglomeração de plásticos, em especial resíduos de termoplásticos para reciclagem
BR112014008779B1 (pt) dispositivo para o pré-tratamento e subsequente transporte, plastificação ou aglomeração de plásticos
KR101309034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1050319B1 (ko) 스티로폼 감용기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0926995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
CN205522104U (zh) 一种车载废旧泡沫加工装置
KR101289776B1 (ko) 저 인장강도를 가지는 폐타이어 고무분말 제조장치
KR101091214B1 (ko)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재활용 장치
KR102030024B1 (ko)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1279902B1 (ko) Epe 감용기
KR101519976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압축 성형장치
JP2010158853A (ja) 減容加工装置及び減容加工方法
CN210308545U (zh) 一体式造粒机
KR200304705Y1 (ko) 재생펠렛제조장치
JP2008178761A (ja) 発泡プラスチック類の減容装置
KR200490503Y1 (ko) 소형화 가능한 폐합성수지 융해장치
CN213382423U (zh) 一种塑料挤出造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