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928B1 - 고형연료 성형기 - Google Patents

고형연료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28B1
KR100913928B1 KR1020090037482A KR20090037482A KR100913928B1 KR 100913928 B1 KR100913928 B1 KR 100913928B1 KR 1020090037482 A KR1020090037482 A KR 1020090037482A KR 20090037482 A KR20090037482 A KR 20090037482A KR 100913928 B1 KR100913928 B1 KR 10091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molding machine
molding
pulverized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석
Original Assignee
한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석 filed Critical 한준석
Priority to KR102009003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연료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형연료 성형기(100)는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물공급부(30)와; 상기 분쇄물공급부(30)의 하류에 위치되며 분쇄물이 압축되면서 혼합되는 제1,2혼합부(40, 50)와; 상기 제1혼합부(40)와 제2혼합부(50)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방사상으로 막대 형상의 히터가 설치된 압출성형판(80)과; 상기 제2혼합부(50)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혼합된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부(7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물공급부(30)와 제1혼합부(40)의 하부에는 분쇄물 속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는 간극(d)이 형성되고; 상기 제1혼합부(40)의 상부 내부면에는 돌출부(4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양호한 고체 연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성형기 내부에서 수증기가 거의 생성되지 않아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고, 마찰열의 발생에 의해 분쇄물의 혼합과 이송이 원활하며, 또한 펠릿성형부의 외부에 열 재킷부가 구비되어 있어 균일한 고형연료의 성형이 가능하다.
고형연료, RDF, RPF, 압착, 성형, 폐기물

Description

고형연료 성형기{EXTRUSION PRESS FOR MAKING REFUSE-DERIVED FUEL}
본 발명은 고형연료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스크류가 내장된 성형기에 폐기물 내지 분쇄물(이하 '분쇄물'이라 한다)을 공급하고, 이 공급된 분쇄물을 스크류날개와 성형기와의 마찰과 전기히터의 발열에 의한 열에 의해 가열하면서 이송시킨 후, 이 이송된 분쇄물을 압출에 의해 펠릿 형상으로 성형하는 고형연료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환경 보호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이와 더불어 자원의 고갈에 따른 자원순환형 사회의 구축이 요청되고 있는바, 그 대책의 일환으로서 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폐기물의 재활용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폐플라스틱의 경우는 재활용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립이나 소각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물질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폐기물을 압축 고형화시킴으로써 저장 및 운반성이 우수하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고, 아울러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료(고형연료)화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Refuse-Derived Fuel: RDF)는 캔, 유리병 등의 불연물과 가연성 물질이 함께 혼합되어 있는 일반 생활폐기물로부터 불연물을 선별해 낸 다음 가연성 폐기물만 크기가 작게 파쇄한 후 펠릿 형태로 성형시킨 것으로 그 부피가 작기 때문에 저장과 수송 및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폐기물 중에서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가연성 폐기물을 선별, 파쇄, 건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고체상태의 연료로 제조한 것이 있는데, 이를 RPF( Refuse Paper & Plastic Fuel)라 하며 RDF보다 다소 연소열이 높다.
본 발명에서의 고형연료는 종이, 목재, 섬유,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쓰레기를 선별하여 분쇄, 건조 및 압축 성형한 연료 즉, 쓰레기 고형연료(Refuse Derived Fuel; RDF), WDF(Waste Derived Fuel), PRF(Processed Refuse Fuel), RPF(Recycled Plastic Fuel)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가연성 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압축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로서 특허등록 제0253681호가 알려져 있는데, 이 고형연료 성형장치는 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가 회전되면서 분쇄물을 수송하고, 수송된 분쇄물은 압출다이의 압출구멍을 통해 덩어리로 압출시켜 성형하는 것으로 분쇄물의 마찰과 압출력에 의해 실린더의 내면과 압출다이가 쉽게 마모되면서 압출능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 경우 실린더나 압출다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0861721호가 제안된바 있는데, 이 기술은 스크류가 내장된 몸체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분쇄물통과홀이 형성된 분쇄성형판을 구비하여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이 이 분쇄성형판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1차 압출성형되며, 분쇄성형판을 통과한 분쇄물은 다시 압출판을 통해 2차 압출성형되도록 한 것인데, 이때 압출판에는 고리형의 히터봉이 삽입되어 있어 이에 의해 압출판의 압출구멍을 통과하는 분쇄물이 쉽게 녹음과 동시에 서로 접착되면서 성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형연료 성형기에는 투입되는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폐기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게 되면 폐기물 속의 수분이 팽창되어 토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고형연료도 함께 토출되어 고형연료가 비산되기도 하며 아울러 큰 소음을 일으켜 작업자가 위험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성형기에는 고형연료의 적절한 성형을 위해 히터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 히터는 성형기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어 단순히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데에만 일조할 뿐, 그 전 단계에서 일어나는 폐기물의 원활한 이송과 혼합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이에 더하여 고리 형상의 히터가 장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히터가 고장난 경우 장치를 모두 분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히터가 고리형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가열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국부적인 가열 및 제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한 고형연료 성형기에는 하나의 스크류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 동 모터나 스크류 등의 구성 부품이 고장나거나 손상되게 되면 장치 정체를 정지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용량이 적어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하다.
이에 더하여 성형기에 폐기물을 공급할 때에는 폐기물을 적당한 길이로 분쇄하여 분쇄물 상태로 공급하고 있으나, 종종 길이가 긴 폐기물이 분쇄물 속에 혼입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긴 길이의 분쇄물이 분쇄성형판의 분쇄물통과홀을 통과하지 못하고 분쇄물통과홀에 걸쳐 있게 됨으로써 이를 제거하기 위해 성형기를 분해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고형연료 성형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투입되는 분쇄물 속에 포함된 수분을 원활히 배출되며 아울러 분쇄물의 이송과 성형이 원활한 고형연료 성형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물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가열할 수 있으며, 또한 구성부품이 고장난 경우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수리 및 교환이 가능하며 아울러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고형연료 성형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고형연료 성형기를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물공급부와; 상기 분쇄물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며 분쇄물이 압축되면서 혼합되는 제1,2혼합부와; 상기 제1혼합부와 제2혼합부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방사상으로 막대 형상의 히터가 설치된 압출성형판과; 상기 제2혼합부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혼합된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물공급부와 제1혼합부의 하부에는 분쇄물 속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혼합부의 상부 내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펠릿 성형부가 다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한 쌍의 성형판과, 상기 성형판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토출파이프 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파이프의 외측에는 열매체가 순환되는 자켓부가 설치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양호한 고형 연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성형기 내부에서 수증기가 거의 생성되지 않아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기의 내벽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혼합 및 이송 과정에서 분쇄물이 이 돌출부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열을 발생시켜 이에 의해 분쇄물의 혼합과 이송이 원활하며, 또한 펠릿성형부에 열 재킷부가 구비되어 있어 이에 의해 균일한 고형연료의 성형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막대 형상의 히터가 독립적으로 장착 및 제어됨으로써 일부 히터가 고장난 경우에도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쉽게 교환 및 수리가 가능하며 또한 한 쌍의 스크류에 의해 고형연료를 이송 및 성형하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긴 길이의 분쇄물이 혼입되어 공급되는 경우에도 압출날개가 구비되어 있어 긴 길이의 분쇄물을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성형기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성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나머지 도면들은 본 발명의 고형연료 성형기의 각 부분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형연료 성형기(100)는 크게 스크류축(1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물공급부(30), 분쇄물이 압축되면서 혼합되는 공간인 제1혼합부(40)와 제2혼합부(50), 혼합된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부(70) 및 분쇄물을 이송하면서 압축 및 혼합하는 스크류(1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구동부(20)는 모터(21)와 감속기(도시 않음) 및 동력전달부(22)로 이루어져 모터(21)의 회전을 감속기에 의해 적당한 속도로 감속시킨 뒤 동력전달장치(22)에 전달하면 동력전달장치(22)는 모터(21)의 회전력을 스크류축(11)에 전달하여 스크류축(11)이 회전되도록 한다.
스크류축(11)은 도 2에서와 같이 그 일단이 분쇄물공급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스크류축(11)은 베어링에 의해 축지지되면서 체인이나 벨트 또는 치차 등의 동력전달장치(2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2혼합부(40, 50)를 관통하여 후술하는 압출성형판(80)의 중앙부에 안치된 베어링에 의해 축지지되는데, 이 스크류축(11)의 외주면 둘레에는 나선 형태의 스크류날개(12)가 스크류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구동부(20)의 모터(21)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장치(22)에 의해 전달되면 이에 의해 스크류축(11)이 성형기(10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분쇄물 을 혼합 및 절단하면서 성형기(100)의 하류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나선 형태의 스크류날개(12)는 스크류축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압출성형판(80)의 전단과 펠릿성형부(70) 전단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축(11)에는 스크류날개(12) 대신에 나선 각도가 스크류날개(12)와 다르게 형성된 압출날개(14)가 스크류축(11)의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이 압출날개(14)에 의해 긴 길이의 분쇄물도 압출성형판(80)의 통과공(84)에 걸리지 않고 원활히 이송되며, 아울러 분쇄물을 펠릿성형부(70)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72)에 조금씩 밀어 넣어 적절한 밀도의 고형 현료가 성형되는데, 이때 압출날개(14)는 압출성형판(80)의 전단과 펠릿성형부(70) 전단의 2곳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크류(10)는 전후 또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스크류(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한 쌍의 스크류(10)는 평행으로 설치된다.
구동부(2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분쇄물공급부(30)는 성형기(100)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10)에 분쇄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데, 적절히 선별되고 적정한 크기로 절단된 분쇄물이 그 상부에 설치된 호퍼(32)에 공급되면 이 호퍼(3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분쇄물공급부(30)로 인입되고, 이 분쇄물공급부(30)에 인입된 분쇄물은 스크류(10)의 회전에 의해 혼합되면서 분쇄물공급부(3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1혼합부(40)로 배출된다.
제1혼합부(40)는 원통 형상으로서 이 내부에서 분쇄물공급부(30)로부터 배출 된 분쇄물이 혼합되면서 압축된다.
한편, 생활 폐기물 속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수분이 함유된 폐기물(분쇄물)이 그대로 후술하는 가열장치(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분쇄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면서 성형기(100)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 가압된 수증기가 성형기(100)의 하류측으로 빠져 나가면서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성형된 고형연료 펠릿을 튀어나가게 하므로 안전상 위험할 뿐만 아니라 큰 소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위협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분쇄물 속의 수분이 성형기(100)로부터 적절히 제거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공급부(30)와 제1혼합부(40)의 하부를 그 단면이 사각 형태의 사각 강봉(41)을 적정한 간극(d)을 두면서 성형기(100)의 반원 형상을 따라 성형기(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여 형성함으로써 스크류날개(12)에 의해 분쇄물이 압착되면서 분쇄물로부터 이탈되어 나온 수분이 이 간극(d)을 통해 성형기(100)의 하부로 배출되어 집수통(31)에 의해 수집되도록 한다.
스크류날개(12)에 의해 분쇄물공급부(30)로부터 이송된 분쇄물은 스크류날개(12)에 의해 이송되는 것과 동시에 혼합되는데, 플라스틱 폐기물과 같은 경우 상온에서는 딱딱한 상태이고 이 경우 혼합성이 나쁘기 때문에 혼합성과 이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분쇄물에 적절한 열을 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혼합부(40)의 상부에 그 단면이 원형인 원형 강봉(42)을 반원 형상을 따라 성형기(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성형기(100)의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42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날개(12)가 이 돌출부(42A)에 근접하게 되면 이 돌출부(42A)에 의해 마찰열이 생성되도록 하여 분쇄물 속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 유연하게 되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혼합부(40)의 하류측 끝단에는 도 4(a, b)에서와 같이 그 중앙 부위에 스크류축(11)과 베어링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H)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칸막이대(82)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분쇄물 통과공(8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압출성형판(8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에 의해 제1혼합부(40)와 제2혼합부(50)가 구획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혼합부(40)로부터 스크류날개(12)에 의해 혼합되면서 이송되는 분쇄물은 제1혼합부(40)의 벽면에 형성된 돌출부(42A)와의 마찰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건조되는 것과 동시에 스크류날개(12)와의 간섭에 의해 분쇄물은 더욱 작게 분쇄되면서 압출성형판(80)에 형성된 다수의 분쇄물 통과공(84)을 통해 제2혼합부(50)로 이송된다.
그리고 압출성형판(80)에 형성되어 방사상의 다수의 분쇄물 통과공(84)을 형성하는 칸막이대(82) 각각에는 압출성형판(8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중심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히터 장착홀(85)이 형성되어 있어 이 히터 장착홀(85) 각각에 막대(bar) 모양의 전기히터(83)가 절연재와 함께 설치되는데, 이 다수의 전기히터(83)의 발열에 의해 분쇄물이 더욱 가열되어 건조되면서 제2혼합부(50) 내부로 인입되고, 이에 의해 분쇄물 내에 잔류하는 수분이 증발되는 동시에 분쇄물이 적당히 녹으면서 서로 접착되어 성형되기에 적당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 쇄물이 압착되기 이전 단계에서 전기히터(83)로 분쇄물을 가열하므로 마지막 압착단계에서 분쇄물을 가열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분쇄물 속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 등이 멸균할 수 있는 동시에 분쇄물 속의 악취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장착홀(85)에 장착되는 전기히터(83)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분쇄물의 특성에 따라 그 제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압출성형판(8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장착홀(85) 각각에 전기히터(83)를 설치하여 이들 각각의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써 분쇄물에 적절한 양의 열을 공급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고형연료 성형기는 성형되는 고형연료의 종류 즉, 고형연료가 RDF인지 아니면 RPF인지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형연료를 최적의 상태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제1혼합부(40)의 하류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혼합부(50)가 위치되며 이 제2혼합부(50)에서 제1혼합부(40)로부터 스크류(10)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이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면서 잘게 부수어지는데, 이 제2혼합부(50)의 상하 내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원형 강봉(52)을 평행으로 배열하여 내부로 돌출부(52A)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52A)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되게 하여 이송과정에서 분쇄물의 냉각되지 않고 그 온도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이송과 혼합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제2혼합부(50)의 하류측에는 도 6(a, b)에서와 같이 제2혼합부(50)로부터 이송된 분쇄물에 열을 가하면서 원통형의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 부(70)가 위치되는데, 이 펠릿성형부(70)는 전후로 각각 설치되며 다수개의 토출공(73)이 형성된 한 쌍의 성형판(74)과, 이들 성형판(74)에 형성된 토출공(73)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토출파이프(71)와, 이 토출파이프(71)의 외측으로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열매체가 순환되는 자켓부(72)로 이루어지며, 이 자켓부(72)의 상하에는 열매체가 입출되는 입구부(76)와 출구부(77)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매체는 기름으로서 약 200℃ 전후로 가열된 상태로 공급되며, 이에 의해 분쇄물이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혼합부(50)로부터 스크류(10)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은 마지막으로 스크류축(11)의 끝단에 설치된 압출날개(14)에 의해 조금씩 밀려 토출파이프(도시 않음)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자켓부(72)를 순환하는 열매체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어 연화되면서 쉽게 성형되어 최하단에 부착된 성형판(74)을 통해 성형기 외부로 배출되어 연료 펠릿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형연료 성형기의 작용을 사용례를 도시한 도7과 관련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분쇄물공급부(30)에 폐지류, 폐비닐 등이 분쇄된 가연성 폐기물의 분쇄물이 투입되면 이 분쇄물은 구동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11)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압착되면서 그 내부에 포함된 수분은 분쇄물공급부(30)의 하부에 형성된 간극(d)을 통해 집수통(31)으로 배출되고, 고체 상태의 분쇄물은 스크류(11)에 의해 제1혼합부(40)로 이송된다.
제1혼합부(40)로 이송된 분쇄물은 스크류(10)에 의해 계속 압축되면서 제1혼 합부의 상부 벽면에 형성된 돌출부(42A)와 마찰 접촉하여 마찰열이 발생되며, 이에 의해 분쇄물공급부(30)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한 분쇄물 속의 수분은 분쇄물로부터 분쇄물공급부(30)의 하부에 형성된 간극(d)을 통해 집수통(31)으로 배출되고, 마찰열은 분쇄물 내부의 수분을 기화시키면서 건조시킨다.
스크류(10)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이 압출성형판(80)에 도달하게 되면 이들 압출성형판(80)에 형성된 통과공(84)을 통해 제2혼합부(50)에 인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다시 전기 히터의 발열에 의해 분쇄물이 건조되고 유연화된다.
이때 긴 길이의 분쇄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 분쇄물은 압출성형판(80)의 전단에 형성된 압출날개(14)에 의해 강제로 압출성형판(80)의 통과공(84) 속으로 밀려나가 제2혼합부(50)로 토출되게 된다.
제2혼합부(50)에 도달된 다소 높은 온도의 분쇄물은 다시 스크류날개(12)에 의해 이송되어 펠릿성형부(70)의 전단에 이르게 되고, 이때에는 스크류축(11)의 끝단 외주면에 부착된 압출날개(14)가 회전되면서 분쇄물을 그 외부의 열 자켓부(72)에 의해 가열되는 토출파이프 내부로 조금씩 밀려들어가 토출파이프 내부에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적당히 가열 및 압착됨으로써 적절한 형태의 펠릿으로 성형되면서 토출파이프 끝단의 토출공(73)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거함(75)에 수거됨으로서 이에 의해 펠릿의 성형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성형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성형기 내의 스크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공급부 및 제1혼합부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몇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혼합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성형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성형기의 사용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형연료 성형기 10: 스크류
11: 스크류축 12: 스크류날개
14: 압출날개 20: 구동부
21: 모터 22: 동력전달장치
30: 분쇄물공급부 31: 집수통
32: 호퍼 40: 제1혼합부
41: 사각 강봉 42: 원형 강봉
42A: 돌출부 50: 제2혼합부
52: 원형 강봉 52A: 돌출부
70: 펠릿성형부 71: 토출파이프
72: 자켓부 73: 토출공
74: 성형판 75: 수거함
76: 입구부 77: 출구부
80: 압출성형판 82: 칸막이대
83: 전기히터 84: 통과공
85: 장착홀 d: 간극
H: 관통홀

Claims (4)

  1. 그 내부에 스크류와 압출성형부를 구비하여 가연성 폐기물의 분쇄물을 압출 하여 펠릿 형상의 고형연료로 성형하는 고형연료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고형연료 성형기(100)는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물공급부(30)와;
    상기 분쇄물공급부(30)의 하류에 위치되며 분쇄물이 압축되면서 혼합되는 제1,2혼합부(40, 50)와;
    상기 제1혼합부(40)와 제2혼합부(50)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방사상으로 막대 형상의 전기히터(83)가 설치된 압출성형판(80)과;
    상기 제2혼합부(50)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혼합된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부(7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물공급부(30)와 제1혼합부(40)의 하부에는 분쇄물 속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는 간극(d)이 형성되고;
    상기 제1혼합부(40)의 상부 내주면에는 돌출부(4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펠릿 성형부(70)는 전후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토출공(73)이 형성된 한 쌍의 성형판(74)과, 상기 성형판(74)에 형성된 토출공(73)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토출파이프(71)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파이프(71)의 외측에는 열매체가 순환되는 자켓부(7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성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판(80)의 전단과 펠릿성형부(70) 전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압출성형판(80)의 전단과 펠릿성형부(70) 전단 2곳 모두의 스크류축(11)의 외주면에는 스크류날개(12)가 형성되는 대신에 압출날개(14)가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성형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부(50)의 상하부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52A)는 그 단면이 원형인 강봉(52)을 반원 형상을 따라 성형기(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상기 강봉(52)을 용접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성형기.
KR1020090037482A 2009-04-29 2009-04-29 고형연료 성형기 KR10091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482A KR100913928B1 (ko) 2009-04-29 2009-04-29 고형연료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482A KR100913928B1 (ko) 2009-04-29 2009-04-29 고형연료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928B1 true KR100913928B1 (ko) 2009-08-27

Family

ID=4121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482A KR100913928B1 (ko) 2009-04-29 2009-04-29 고형연료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9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17B1 (ko) 2010-03-15 2010-11-19 주길돈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KR101140562B1 (ko) * 2011-06-30 2012-05-22 다호물산 주식회사 가연성 폐기물 압출기
KR101307263B1 (ko) * 2013-07-09 2013-09-12 주식회사 지에이치테크 합성수지류와 종이류로 된 혼합 쓰레기의 고형연료 압출 성형기
KR101309034B1 (ko) 2010-11-19 2013-09-16 한준석 고형연료 성형기
KR101407206B1 (ko) 2013-08-01 2014-06-12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알피에프 제조 성형기용 성형다이
KR20160106878A (ko) 2015-03-03 2016-09-13 고려이엔알 주식회사 고체연료 성형기
KR101770922B1 (ko) 2016-06-17 2017-08-23 최병국 폐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고형연료 성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47A (ja) * 1993-08-04 1995-02-21 Miike Tekkosho:Kk 固形燃料製造装置
JPH0872059A (ja) * 1994-09-02 1996-03-19 Miike Tekkosho Kk プラスチックを含む廃棄物の減容固形化装置
JPH10137715A (ja) 1996-11-07 1998-05-26 Takuma Co Ltd 固形燃料成形装置
KR100861721B1 (ko) 2008-05-23 2008-10-06 김성완 고형화연료 성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47A (ja) * 1993-08-04 1995-02-21 Miike Tekkosho:Kk 固形燃料製造装置
JPH0872059A (ja) * 1994-09-02 1996-03-19 Miike Tekkosho Kk プラスチックを含む廃棄物の減容固形化装置
JPH10137715A (ja) 1996-11-07 1998-05-26 Takuma Co Ltd 固形燃料成形装置
KR100861721B1 (ko) 2008-05-23 2008-10-06 김성완 고형화연료 성형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17B1 (ko) 2010-03-15 2010-11-19 주길돈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KR101309034B1 (ko) 2010-11-19 2013-09-16 한준석 고형연료 성형기
KR101140562B1 (ko) * 2011-06-30 2012-05-22 다호물산 주식회사 가연성 폐기물 압출기
KR101307263B1 (ko) * 2013-07-09 2013-09-12 주식회사 지에이치테크 합성수지류와 종이류로 된 혼합 쓰레기의 고형연료 압출 성형기
KR101407206B1 (ko) 2013-08-01 2014-06-12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알피에프 제조 성형기용 성형다이
KR20160106878A (ko) 2015-03-03 2016-09-13 고려이엔알 주식회사 고체연료 성형기
KR101681207B1 (ko) * 2015-03-03 2016-11-30 고려이엔알 주식회사 고체연료 성형기
KR101770922B1 (ko) 2016-06-17 2017-08-23 최병국 폐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고형연료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1309034B1 (ko) 고형연료 성형기
US20110084418A1 (en) Method for shredding portions of bituminous material into recyclable granules
WO2008012951A1 (fr) procédé ET appareil pour traitement de solidification
KR100982072B1 (ko)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0743218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연료 제조장치
WO2008135757A1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0435218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930005706Y1 (ko) 발포수지제품의 폐재(廢材)의 감용(減容) 처리장치
KR100926995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
KR101299028B1 (ko) 고체연료 제조장치
KR100861721B1 (ko) 고형화연료 성형기
JPH1160798A (ja) 発泡スチロール廃材の破砕.溶融リサイクル装置
KR101001987B1 (ko)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 및 이를 포함한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
KR101455028B1 (ko) 이동식 축분 펠릿 제조시스템
KR20140060839A (ko)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265279A (ja) 成型炭製造装置、及び成型炭の製造方法
KR101044098B1 (ko) 고체연료 성형기
KR101147647B1 (ko) 폐비닐 재생용 압출기
TWM602470U (zh) 保麗龍廢料回收設備
KR101016804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제조시스템
KR101519976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압축 성형장치
KR20210072311A (ko) 유압방식의 고형연료 압출 성형기
KR101597938B1 (ko) 고형 연료 제조 장치
KR101407496B1 (ko) 폐기물 고형 연료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