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285A -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285A
KR20130140285A KR20120063514A KR20120063514A KR20130140285A KR 20130140285 A KR20130140285 A KR 20130140285A KR 20120063514 A KR20120063514 A KR 20120063514A KR 20120063514 A KR20120063514 A KR 20120063514A KR 20130140285 A KR20130140285 A KR 2013014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llection
mobile terminal
main server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이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희 filed Critical 이철희
Priority to KR201200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0285A/ko
Priority to PCT/KR2013/005164 priority patent/WO2013187686A1/ko
Publication of KR2013014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인식한 후에 수거함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모바일 단말기로 인터넷을 통해 재활용품 수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메인서버로부터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에 의하여 수거함에 투입할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의 종류가 선택되면 재활용품에 부착되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바코드 또는 QR코드)의 유무에 따라 식별코드가 있을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식별코드가 인터넷을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e)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투입구에 설치된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재활용품의 중량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재활용품 수거함에서 수신된 중량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한 후에 일치하면 설정된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와 재활용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과 더불어 재활용품 수거함이 인터넷을 통해 메인서버로 접속되어 재활용품의 식별코드나 이미지정보 및 중량정보에 따라 수거여부를 비교 및 판별하여 보다 정확한 재활용품의 수거와 더불어 생활폐기물과 같이 버려지는 재활용품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수거함을 설치 할 수 없는 일반주택, 소형점포, 사무실 등과 같은 경우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의 바코드 또는 이미지 촬영 후 자체제작 공급된 소형 수거망에 투입 및 수거함으로써 회원에게 재활용품의 분리 및 수거에 따라 적립해준 포인트나 마일리지 등의 획득과 메인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물품구매나 성금기부 또는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현금으로 전환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재활용품 수거자에게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적은 비용으로 수거할 수 있는 등 자원절약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Collecting Recycling Articles through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of}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통해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인식한 후에 수거함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품은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폐기물 처리에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처리 대상이다.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은 사용 후 분리수거를 통하여 수집하여 용도에 맞게 다시 사용하여야 한다. 재활용품은 대략 6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신문, 헌책, 박스, 포장지, 우유팩, 음료수팩 등 종이류이고, 둘째는 의류 및 담요 등이며. 셋째는 음료수캔, 통조림캔, 부탄가스 용기 등의 캔류이고, 넷째는 스테인리스 스틸 그릇, 수저, 냄비, 동파이프 등의 고철류이며, 다섯째는 청색병, 갈색병, 무색병 등의 병류이고, 그리고 여섯째는 식료품통이나 샴푸통, 요구르트병 등 합성수지류이다.
이러한 재활용품은 분리수거를 통하여 자원의 재활용과 더불어 환경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종래에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또는 회수를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1998-0043002호의 재활용 가능한 자원 회수방법과 그 장치는, 재활용 가능한 자원, 즉 페트병, 금속 또는 알루미늄 캔, 유리병 등의 표면에 표기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자원의 재질과 색상 그리고 종류를 판단하고, 자원의 재질과 색상에 의해 분리수거하는 한편, 회수된 자원의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금액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0-0072479호의 재활용 폐기물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재활용 폐기물을 물품종류별, 배출자별, 수거지역별, 수거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폐기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와, 상기 중개서버가 재활용 폐기물의 해당 배출자에게만 이에 관한 정보를 비공개로 통보하고, 상기 배출자와 수거자간에 비공개로 거래조건을 중개하여 전달함으로써, 재활용 폐기물의 해당 배출자가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공개 거래단계와, 상기 비공개 거래단계에서 거래가 체결되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 재활용 폐기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개서버가 관리하는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입찰에 부쳐 누구든지 이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개 거래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85752호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관리 시스템은, 국가 관공서, 주택 및 상가, 집하장, 재생공장 및 매립 소각장에 네트워크 구축 및 상호 인터넷 정보공유가 가능하도록 인터넷망을 형성하여 생활쓰레기를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가 부착된 쓰레기봉투와, 쓰레기 수거용 달력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수거하고 수거된 쓰레기는 바코드 판독기를 통하여 분리공정 수행하고 재활용 또는 매립 및 소각 처리하여 쓰레기를 버린 주민에게 인센티브 및 시정 명령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것으로, 관공서의 클라이언트와, 주택 및 상가의 클라이언트와, 집하장 시스템과, 소각장 및 매립장 클라이언트로 구성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최소단위로 1일 점검이 가능하고 요일별 생활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원인자 부담원칙을 적용, 생활 쓰레기 간접실명제를 도입하여 각 가정마다 바코드 스티커와, 환경 달력을 배포하여 쓰레기 최소화 및 자원화를 극대화하는 효과와 분리수거를 통하여 유통단계에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15250호의 네트워크화된 폐품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400), 품목 코드 스캐너 및 프로세서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폐품 처분 유닛(10)을 포함하고, 폐품 처분 유닛의 사용자에 연관된 상품 선호, 및 적어도 제1 품목에 대해 폐품 처분 유닛으로부터 스캔된 정보를 수신하고, 스캔된 정보와 사용자 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품목을 배치하고, 사용자 주문에 잠재적 대체 품목을 추가하도록 설정된 명령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720) 원격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7-0108828호의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은, 각 지역, 각 구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 종류 및 상태에 따라 감별, 분류하여 적재하고, 상기 투입된 재활용품의 가치에 상응하는 다른 가치로 사용자가 교환 또는 적립할 수 있도록 해줌과 아울러, 이에 대한 모든 재활용품 처리 정보와 동작오류 감지시 동작상태의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중앙 관리 서버와 상호 정보를 주고받는 재활용품 무인 수거기 및 상기 재활용품 무인 수거기에서 전송된 재활용품의 정보와 상기 동작상태의 정보를 각 지역별, 각 구역별 및 각 기기별로 분류하여 저장하여, 상기 저장된 재활용품의 처리 정보를 사용자 및 영리 또는 비영리 단체에게 제공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21872호의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은, 회수되는 폐자원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회수되는 폐자원의 정보를 입력받아 재질별 무게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산출부에서 산출한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표시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로 상기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전송하는 출력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산출 집계된 이산화탄소 저감량 자료를 비용정산 자료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지자체 단위로 실시하고 있는 탄소마일리지 제도 등과 같은 탄소배출억제지원제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국제적인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권리로 매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품 분리배출 및 자동회수를 통한 생활환경 개선, 국민의 환경의식 고취, 산업의 그린화 유도와 같은 사회적, 공익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1235호의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는, 재활용품 회수 장치에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에 대하여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에 대한 재활용품 종류와 수량/무게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 내역과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고유ID 정보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재활용품 회수 정보에 포함된 재활용품 회수 내역의 재활용품 종류와 수량/무게를 판독하여 재활용품 회수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활용품 회수 금액을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 처리된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와 사용자 고유ID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고유ID 정보에 대응하는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이용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고유ID 정보와 연계 저장된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중 상기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이용요청 양을 차감하고, 상기 차감된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이용요청 양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이용을 요청한 기관으로 제공하여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1240호의 재활용품 회수 포인트를 이용한 탄소 포인트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는, 재활용품 회수 장치에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에 대하여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에 대한 재활용품 종류와 수량/무게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 내역과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통신번호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회수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재활용품 회수 정보에 포함된 재활용품 회수 내역의 재활용품 종류와 수량/무게를 판독하여 재활용품 회수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활용품 회수 금액을 재활용품 회수 포인트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 처리된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와 사용자 고유ID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고유ID 정보에 대응하는 탄소 포인트 이용여부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사용자 고유ID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재활용 회수 포인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재활용 회수 포인트를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ID 정보에 대응하는 탄소 포인트의 일부(또는 전체)를 대체할 탄소 포인트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ID 정보와 상기 산출된 통신요금 대체 금액에 대응하는 탄소 포인트를 탄소배출권 운용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ID 정보에 대응하는 탄소 포인트의 일부(또는 전체)가 상기 전환 처리된 탄소 포인트를 통해 대체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7975호의 수거용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수거용 쓰레기를 위한 수거 용기에 부착되며, 발행일 정보, 용량 정보, 행정 구역 정보 또는 수거 업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차원 바코드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이차원 패턴이 인쇄된 스티커 타입의 이차원 바코드; 관공서 서버와 연결되어 비용 결제에 따라 상기 이차원 바코드를 발급하고, 발급된 이차원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공서 서버에 전송하는 지정 판매 단말기; 상기 이차원 바코드의 이차원 패턴을 복호화하고 상기 발행일 정보, 행정 구역 정보 또는 수거 업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독출하는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 수거 업체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로 독출된 정보를 상기 수거용 쓰레기의 수거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수거 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수거 장치; 및 상기 수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관공서 서버에 전송하는 수거 업체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원 바코드가 인쇄된 납부필증과 인식단말기 사용으로 음식물/재활용 쓰레기 배출과 수거 과정에서 납부필증의 불법제작, 불법유통 및 불법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용기종량제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수거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통계 자료 수집/생성이 용이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46617호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은, 전용의 잡병투입구와 상기 잡병투입구에 연결된 잡병수거함, 깡통투입구와 상기 깡통투입구에 연결된 깡통수거함을 구비하고,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잡병측정부를 상기 잡병수거함과 깡통수거함 하부에 구비한 잡병수거부와; 상품정보가 기록된 PET 또는 CAN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PET-CAN투입구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PET-CAN투입구와 연결되며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PET과 CAN을 구별하여 분리수거하는 구획된 PET-CAN수거함을 내부에 구비한 PET-CAN수거부와; 전용의 공병투입구와 상기 공병투입구에 연결된 공병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공병투입구 내부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크기와 모양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환불수거 대상에 해당하는 공병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공병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재활용품이 상기 공병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개수를 카운트하여 분리수거하는 공병수거부와; 플라스틱투입구와 상기 플라스틱투입구에 연결된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투입구와 상기 폐비닐투입구에 연결된 폐비닐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수거함의 상측에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무게측정부를 구비한 폐비닐수거부와; 상기 수거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잡병수거부의 잡병측정부, PET-CAN수거부의 바코드인식부, 공병수거부의 감지기, 공병데이터베이스 및 폐비닐수거부의 무게측정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연결되어 투입된 재활용품을 판별하고, 각 수거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 대해 각 수거부로부터 재질별 분리수거량을 입력받아 CO2 저감량 및 보상금을 산출 및 집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산출 결과를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 결과와 재질별, 품목별 분리수거량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모뎀으로 구성된 출력부로 구성된 통합분리수거기와; 상기 통합분리수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각의 통합분리수거기로부터 분리수거량을 수집하여 저장 및 집계하는 집계서버와; 상기 집계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한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재활용 분리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구성하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재활용 기피 품목까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생활쓰레기 감량 및 폐기물의 원천감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 참여자에게 즉각적이고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재활용 분리수거에 자발적 참여가 가능하며, 재활용품의 분리수거자료의 객관성이 확보되고, 정확한 통계자료의 확보가 가능하여 공평하고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00704호의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은, 재활용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부와, 상기 재활용 용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재활용 용기에 대한 보상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와, 상기 보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활용 용기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의 분리수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재활용품의 분리수거를 위한 정확한 감지나 측정 또는 해당 재활용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가 불비하여 분리수거에 대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재활용품의 분리수거를 위하여 수거함에서 직접 제어를 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제한적인 처리 속도와 수거함의 제작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재활용 가능한 자원의 표기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자원의 재질과 색상 그리고 종류 등을 판단하지만, 바코드 손상 또는 건전지, 증정용품용기, 화장품용기, 의류 등과 같이 생산시점부터 바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제품은 수거가 불가능한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1998-00430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0-00724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857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152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7-01088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218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123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12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79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466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0070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메인서버를 통해 바코드 손상 또는 건전지, 화장품용기, 증정용품용기, 의류 등과 같이 생산시점부터 바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제품을 포함하여 병, 캔, 합성수지, 소형의 휴대용 가전기기, 의류 등 다양한 재활용품에 관한 제반 정보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활용품에 관한 정확한 판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품의 분리수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 위치 및 수거함의 위치 등을 제공하여 회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함을 설치할 수 없는 일반주택, 소형점포, 사무실, 요식업체 등과 같은 장소에서도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바코드 유무와는 상관없이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수거함을 통해 재활용품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활용품의 분리수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함의 기능을 최적화된 장치로 간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메인서버에서 복수의 수거함 내에 장착된 수거망 또는 소형 수거망에 일정량 이상으로 재활용품이 채워지면 수거함DB에서 산출된 정보로부터 수거자에게 수거 예상시점, 일정, 시간, 장소, 수거량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거자에 의한 재활용품의 수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병이나 캔 등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automatic vending machine) 일측 또는 자동판매기와 일체로 수거함을 설치하여 자동판매기로부터 발생되는 재활용품을 바로 투입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품의 분리수거를 위한 등록된 회원에 대하여 재활용품의 매매시세에 부합되는 재질과 중량으로 산출된 포인트나 마일리지 등의 보상을 제공하고, 이것으로 웹사이트를 통해 물품구매, 성금기부,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현금으로 전환 또는 사용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단말기로 인터넷을 통해 재활용품 수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메인서버로부터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에 의하여 수거함에 투입할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의 종류가 선택되면 재활용품에 부착되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바코드 또는 QR코드)의 유무에 따라 식별코드가 있을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식별코드가 인터넷을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e)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투입구에 설치된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재활용품의 중량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재활용품 수거함에서 수신된 중량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한 후에 일치하면 설정된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b-1)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거함이 없거나 또는 수거함을 설치 할 수 없는 일반주택, 소형점포, 사무실, 요식업체와 같은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를 촬영한 후에 공급된 소형 수거망에 투입 및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품정보를 통해 중량 및 부피를 산출하여 일정량 이상으로 재활용품이 채워지면 수거자 단말기로 수거 예상시점, 일정, 시간, 장소, 수거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수거자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회원이 보유한 소형 수거망의 총 중량정보와 일정 범위 내에서의 중량 일치 여부에 따라 수거자 단말기에 의해 재활용품의 중량에 대비하는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서버는 재활용품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재활용품의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포인트의 적립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폐기를 개방시켜 재활용품이 수거망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도록 하고, 재활용품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c-1) 재활용품에 확인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에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도록 하고 투입구에 투입된 재활용품을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가 투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재활용품의 중량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메인서버는 재활용품 수거함에서 수신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를 재활용품DB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c-3) 상기 메인서버는 유사정보의 판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중량에 대비하는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서버는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재활용품의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포인트의 적립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폐기를 개방시켜 재활용품이 수거망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도록 하고,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정 범위 밖에 있을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품DB에 저장된 데이터는 병, 캔, 컵, 합성수지 또는 소형의 전기 및 전자제품, 건전지를 포함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의 무게, 부피, 식별코드 유무, 제품의 모양 및 형상, 제품명, 용량, 제조사, 수입원, 원산지 및 재질 정보 포함하고,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해당 제품을 각각 분리하여 수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재활용품 수거함에 수거된 재활용품의 부피를 카운트하여 메인서버에 수거함의 부피정보를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해당 수거함에서 수신된 부피정보를 수거함DB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부피 이상이 되면 인터넷을 통해 수거자 단말기로 해당 수거함의 수거 예상시점, 일정, 시간, 장소, 수거량을 포함하는 수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재활용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및 판별하거나 또는 재활용품 수거함으로부터 재활용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및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서버는 광고DB로부터 광고정보를 재활용품 수거함으로 전송하고,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수신된 광고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 내에 이동통신사와 무선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기가 내장되어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고, 무선송수신기는 와이브로(Wibro)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 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의 현재 위치와 최단거리 수거함의 위치를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되면 회원가입을 위한 정보,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정보를 재활용품 수거함으로 제공하는 메인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에 참여하는 회원에 관한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회원DB;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재활용품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재활용품DB;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복수의 수거함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수거함DB;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역 또는 브랜드에 관한 광고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광고DB; 및 상기 메인서버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 방범을 위한 일정 영역의 영상정보,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전송하고, 투입된 재활용품을 수거하여 적재하며, 상기 메인서버와 데이터의 송수신, 일정 거리내의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서버의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재활용품 수거함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은,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투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정보를 생성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수거망으로 낙하시키는 개폐기와, 재활용품 수거함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일정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CCTV와, 재활용품의 수거에 관한 정보와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화재로 인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상기 메인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모바일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기와, 상기 카메라, 중량센서, CCTV, 터치스크린, 화재감지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거나 메인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거나 개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와 재활용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과 더불어 재활용품 수거함이 인터넷을 통해 메인서버로 접속되어 재활용품의 식별코드나 이미지정보 및 중량정보에 따라 수거여부를 비교 및 판별하여 보다 정확한 재활용품의 수거와 더불어 생활폐기물과 같이 버려지는 재활용품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수거함을 설치 할 수 없는 일반주택, 소형점포, 사무실 등과 같은 경우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의 바코드 또는 이미지 촬영 후 자체제작 공급된 소형 수거망에 투입 및 수거함으로써 회원에게 재활용품의 분리 및 수거에 따라 적립해준 포인트나 마일리지 등의 획득과 메인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물품구매나 성금기부 또는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현금으로 전환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재활용품 수거자에게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적은 비용으로 수거할 수 있는 등 자원절약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는 신성장동력의 고부가가치 서비스로 제조업자 및 수입업자에게는 수거한 재활용품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자책임제도(EPR)에 의한 재활용 의무 대상자인 기업 및 단체는 이를 통해 분담금, 부과금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공받은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로 웹사이트를 통해 물품구입을 할 경우 제조사 및 수입업자의 품질 좋은 재고 제품들을 저렴한 가격에 포인트로 전환 또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정보를 사용하는 대금과 교환하여 재판매함으로서 재활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소비절약을 생활화하는 국민의식전환 등의 간접적인 효과와 경제적으로는 생활폐기물로 섞여 무심코 버려지는 재활용품의 회수율을 높여 생산, 판매하는 기업과 함께 경제적 효과 및 환경적으로 무한효과를 창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거함 또는 소형 수거망에 투입된 제품의 내용물이 없는 중량 데이터정보를 통해 재활용품을 수거함으로써, 제품 내에 내용물이 남아있거나 이물질을 투여하거나 또는 손상을 입하지 않도록 하고, 무심코 버려지는 재활용품의 회수율을 높여 재사용될 수 있는 재활용품에 대한 중간과정에서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에서 수거자 단말기로 해당 재활용품 수거함의 수거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재활용품 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재활용품 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인터넷(40)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10)와 복수의 재활용품 수거함(20), 복수의 수거자 단말기(60)가 메인서버(50)와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을 한다. 모바일 단말기(10)는 무선인터넷 통신망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망이 연결되고,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사용자가 보유한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노트북 등 휴대가 가능한 기기가 포함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어플 또는 앱 이라고 약칭함)의 다운로드 및 실행이 가능한 것이다.
재활용품 수거함(20)은 메인서버(50)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 방범을 위한 일정 영역의 영상정보,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전송하고, 투입된 재활용품을 수거하여 적재하며, 상기 메인서버(50)와 데이터의 송수신, 일정 거리내의 모바일 단말기(1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서버(50)의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재활용품 수거함(20)은 재활용품을 수거 및 보관하기 위한 일정 크기 및 부피의 함체로 이루어져 있다.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21)에는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투입구(21) 바닥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정보를 생성하는 중량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재활용품 수거함(20)의 투입구(21) 아래에는 투입구(21)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수거망(25)으로 낙하시키는 개폐기(2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재활용품 수거함(20)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일정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CCTV(27)가 설치되어 방범이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품 수거함(20) 전면에는 재활용품의 수거에 관한 정보와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28)이 설치되어 있다. 터치스크린(28)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8)으로부터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재활용품 수거함(20)에는 화재감지기(29)가 설치되어 화재로 인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품 수거함(20)의 화재 발생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재활용품 수거함(20)에는 메인서버(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30)와, 모바일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기(31)와, 상기 카메라(22), 중량센서(23), CCTV(27), 터치스크린(28), 화재감지기(29)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송수신부(30)를 통해 메인서버(50)로 전송하거나 메인서버(5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터치스크린(28)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거나 개폐기(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6)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26)는 마이콤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장착된 제어용 회로기판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무선송수신기(31)는 모바일 단말기(10)에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재활용품 수거함(20)은 재활용품을 수거하기 위한 특정의 장소에 설치된다. 즉 아파트나 근린생활주택가, 상업지역이나 자동판매기 주변 또는 재활용품의 발생이 빈번한 대형 마트나 슈퍼마켓 또는 주점 등 재활용품이 수거가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메인서버(50)는 인터넷(40)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10)가 접속되면 회원가입을 위한 정보,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정보를 재활용품 수거함(20)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서버(50)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10), 재활용품 수거함(20) 및 수거자 단말기(60)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재활용품 수거함(20) 내에 이동통신사와 무선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기(31)가 내장되어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10)와 데이터를 통신하고, 무선송수신기(31)는 와이브로(Wibro)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 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서버(50)에는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에 참여하는 회원에 관한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50)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회원DB(51),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재활용품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50)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재활용품DB(52),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복수의 수거함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50)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수거함DB(53) 및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20)의 터치스크린(28)을 통해 지역 또는 브랜드에 관한 광고정보를 메인서버(50)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광고DB(54)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에 관하여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10)로 인터넷(40)을 통해 재활용품 수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50)의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11). 그리고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회원가입을 수행한다(S12). 이때, 모바일 단말기(10)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메인서버(50)의 웹사이트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S13). 모바일 단말기(10)는 회원가입 후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에 회원가입을 할 수도 있다. 회원가입은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아이디 및/또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가입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되는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의 현재 위치와 최단거리 수거함의 위치를 메인서버(50)로부터 수신하여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회원가입과 더불어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완료된 후에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14), 메인서버(5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에 의하여 수거함(20)에 투입할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15). 이때, 재활용품의 종류는 병, 캔, 컵, 합성수지 또는 소형의 전기 및 전자제품, 건전지나 배터리 등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을 선택하면 해당 재활용품의 세부적인 품목의 선택이 가능하다. 즉 해당 종류의 세부항목에 관한 정보를 표시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병의 경우에 재질에 따른 세부항목으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 병의 종류에 따른 세부항목으로 음료수병 또는 술병, 제품의 생산자 상표에 따른 세부항목으로 롯데 또는 해태 등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의 종류가 선택되면 재활용품에 부착되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바코드 또는 QR코드)의 유무의 판별(S16)에 따라 식별코드가 있을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0)로 해당 재활용품의 식별코드를 촬영한다(S17). 모바일 단말기(10)로 촬영된 식별코드는 인터넷(40)을 통해 메인서버(50)로 전송된다(S18).
메인서버(5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수신된 식별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검색한다(S19).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데이터는 병, 캔, 컵, 합성수지 또는 소형의 전기 및 전자제품, 건전지 등을 포함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의 무게, 부피, 식별코드 유무, 제품의 모양 및 형상, 제품명, 용량, 제조사, 수입원, 원산지 및 재질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 등의 무게는 내용물이 없는 상태의 중량을 포함한다.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20)의 투입구(21)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면(S20),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는 투입구(21)에 설치된 중량센서(23)에서 재활용품의 중량이 측정되도록 하고(S21), 중량센서(23)로부터 측정된 재활용품의 중량정보를 송수신부(30)를 통해 메인서버(50)로 전송한다(S22).
메인서버(5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수신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재활용품 수거함(20)에서 수신된 중량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S23)한 후에 일치하면 설정된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51)에 적립되도록 한다(S24).
한편, 상기 단계(S16)에서, 재활용품에 확인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에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20)의 투입구(21)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도록 한다(S25). 투입구(21)에 투입된 재활용품을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가 투입구(21)에 설치된 카메라(22)로부터 재활용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고(S26), 중량센서(23)로부터 재활용품의 중량을 측정한다(S27). 제어부(26)는 카메라(22)에서 촬영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센서(23)에서 측정된 중량정보를 송수신부(30)를 통해 메인서버(50)로 전송한다(S28).
메인서버(50)는 재활용품 수거함(10)에서 수신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를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정보를 판별한다(S29). 그리고 메인서버(50)는 유사정보의 판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S30)하여 투입된 재활용품의 중량에 대비하는 포인트 또는 설정된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51)에 적립되도록 한다(S31).
따라서 메인서버(50)는 재활용품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재활용품의 수거함(20)의 제어부(26)로부터 터치스크린(28)을 통해 포인트의 적립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폐기(24)를 개방시켜 재활용품이 수거망(25)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도록 한다. 그러나 메인서버(50)는 재활용품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로부터 터치스크린(28)을 통해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S32).
한편, 메인서버(50)는 광고DB(54)로부터 광고정보를 재활용품 수거함(20)으로 전송하고,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는 수신된 광고정보를 터치스크린(28)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는 재활용품 수거함(20)을 통해 지역의 소식이나 광고 등이 회원들에게 노출되도록 하여 회원들에게 광고효과를 노릴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는 재활용품 수거함(20)으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부피를 카운트한다(S41). 제어부(26)는 재활용품 수거함(20)에 투입된 부피정보를 메인서버(50)로 전송하고(S42), 메인서버(50)는 해당 수거함에서 수신된 부피정보를 수거함DB(53)에 저장한다(S43). 메인서버(50)는 수거함DB(53)에 저장된 해당 수거함의 부피정보가 일정 부피 이상이 되면(S44), 인터넷(40)을 통해 수거자 단말기(60)로 해당 수거함의 수거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수거자가 수거 예상시점, 일정, 시간, 장소, 수거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받으면서 수거함을 편리하고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것이다(S45).
도 4에서,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회원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재활용품 수거함(20)에서 재활용품을 투입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터치스크린(28)을 통해 회원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한 후에 투입구(21)로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터치스크린(28)을 통해 식별코드의 유무를 선택하여 투입구(21)에 설치된 카메라로 식별코드를 촬영할 것인지 아니면 재활용품의 이미지를 촬영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재활용품 수거함(20)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28)을 통해 회원정보의 입력과 더불어 재활용품의 정보를 입력한다(S51). 그리고 투입구(21)에 재활용품을 투입하면(S52),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가 카메라(22)를 통해 재활용품의 식별코드나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한다(S53). 또한, 제어부(26)는 중량센서(23)로부터 재활용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S54). 제어부(26)는 재활용품의 식별코드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를 송수신부(30)를 거쳐 인터넷(40)을 통해 메인서버(50)로 전송한다(S55). 메인서버(50)는 해당 재활용품 수거함(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비교하고(S56), 비교한 정보로부터 일치 또는 유사범위 내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57). 메인서버(50)는 재활용품 수거함(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정보의 일치하거나 또는 유사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해당 회원에게 재활용품의 중량에 대비되는 포인트 또는 설정된 포인트가 적립되도록 한다(S58). 그리고 메인서버(50)는 재활용품 수거함(20)의 제어부(26)로 하여금 개폐기(24)가 개방되도록 하여 재활용품이 수거망(25)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도록 한다. 그러나 메인서버(50)는 재활용품 수거함(2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정보의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유사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함(20)의 터치스크린(28)을 통해 에러메시지를 출력되도록 한다(S59).
또한, 도 5에서,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 회원이 모바일 단말기(10)와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별도의 소형 수거망에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일반 가정, 소점포, 사무실 또는 요식업체 등에서 재활용품 수거함(20)을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된다.
따라서 회원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61), 모바일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재활용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한다(S62).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는 촬영된 재활용품 정보를 인터넷(40)을 통해 메인서버(50)로 전송한다(S63). 메인서버(50)는 수신된 재활용품 정보를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거나 또는 유사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S64). 메인서버(50)에서 재활용품 정보가 일치하거나 유사범위 내에 있다면 소형 수거망(25)에 재활용품을 투입하도록 한다(S65).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는 여분의 재활용품에 대한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정보를 상기 단계(S62) 내지 단계(S65)가 반복되는 동안 메인서버(50)는 해당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S66). 그리고 메인서버(50)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10)의 고유번호, 즉 전화번호나 회원ID 등을 통해 소형 수거망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부피를 산출한다(67). 메인서버(50)는 소형 수거망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부피가 일정 부피에 도달하면, 수거자 단말기(60)로 회원이 보유한 소형 수거망(25)의 위치, 수량, 총중량, 수거 예상 시점, 일정, 시간 등을 전송한다(S68). 수거자는 회원이 보유한 소형 수거망(25)을 수거 할 때에 소형의 중량기를 통해 한번 더 측량하여 수거자 단말기(60)에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또는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거와 함께 해당 회원에게 포인트 적립 등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69).
그러므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재활용품의 식별코드나 이미지정보를 바탕으로 재활용품DB(52)에 저장된 정보의 비교 및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원에게 지급된 소형 수거망의 부피에 따른 투입정보를 수거자 단말기(60)로 전송하여 수거자가 회원으로부터 재활용품 수거망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과 같이 버려지는 재활용품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회원에게 재활용품의 분리 및 수거에 따라 적립해준 포인트의 획득과 수거자에게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적은 비용으로 수거할 수 있는 등 자원절약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모바일 단말기 20: 재활용품 수거함 21: 투입구 22: 카메라 23: 중량센서 24: 개폐기 25: 수거망 26: 제어부 27: CCTV 28: 터치스크린 29: 화재감지기 30: 송수신부 31: 무선송수신기 40: 인터넷 50: 메인서버 51: 회원DB 52: 재활용품DB 53: 수거함DB 54: 광고DB 60: 수거자 단말기

Claims (13)

  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단말기로 인터넷을 통해 재활용품 수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메인서버로부터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에 의하여 수거함에 투입할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의 종류가 선택되면 재활용품에 부착되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의 유무에 따라 식별코드가 있을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식별코드가 인터넷을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e)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투입구에 설치된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재활용품의 중량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재활용품 수거함에서 수신된 중량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한 후에 일치하면 설정된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b-1)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거함이 없거나 또는 수거함을 설치 할 수 없는 일반주택, 소형점포, 사무실, 요식업체와 같은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를 촬영한 후에 공급된 소형 수거망에 투입 및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품정보를 통해 중량 및 부피를 산출하여 일정량 이상으로 재활용품이 채워지면 수거자 단말기로 수거 예상시점, 일정, 시간, 장소, 수거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수거자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회원이 보유한 소형 수거망의 총 중량정보와 일정 범위 내에서의 중량 일치 여부에 따라 수거자 단말기에 의해 재활용품의 중량에 대비하는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재활용품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재활용품의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포인트의 적립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폐기를 개방시켜 재활용품이 수거망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도록 하고,
    재활용품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c-1) 재활용품에 확인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에 회원에 의하여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도록 하고 투입구에 투입된 재활용품을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가 투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재활용품의 중량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메인서버는 재활용품 수거함에서 수신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를 재활용품DB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및
    (c-3) 상기 메인서버는 유사정보의 판별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중량에 대비하는 포인트가 해당 회원의 회원DB에 적립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재활용품의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포인트의 적립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폐기를 개방시켜 재활용품이 수거망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도록 하고,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가 일정 범위 밖에 있을 경우에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로부터 터치스크린을 통해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DB에 저장된 데이터는 병, 캔, 컵, 합성수지 또는 소형의 전기 및 전자제품, 건전지를 포함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의 무게, 부피, 식별코드 유무, 제품의 모양 및 형상, 제품명, 용량, 제조사, 수입원, 원산지 및 재질 정보를 포함하고,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해당 제품을 각각 분리하여 수거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재활용품 수거함에 수거된 재활용품의 부피를 카운트하여 메인서버에 수거함의 부피정보를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해당 수거함에서 수신된 부피정보를 수거함DB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부피 이상이 되면 인터넷을 통해 수거자 단말기로 해당 수거함의 수거 예상시점, 일정, 시간, 장소, 수거량을 포함하는 수거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재활용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및 판별하거나 또는 재활용품 수거함으로부터 재활용품의 식별코드 또는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재활용품DB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및 판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광고DB로부터 광고정보를 재활용품 수거함으로 전송하고, 재활용품 수거함의 제어부는 수신된 광고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 내에 이동통신사와 무선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기가 내장되어 회원의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고, 무선송수신기는 와이브로(Wibro)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 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의 현재 위치와 최단거리 수거함의 위치를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출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12.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되면 회원가입을 위한 정보, 재활용품 수거용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정보를 재활용품 수거함으로 제공하는 메인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에 참여하는 회원에 관한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회원DB;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재활용품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재활용품DB;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활용품 수거를 위한 복수의 수거함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수거함DB;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역 또는 브랜드에 관한 광고정보를 메인서버를 통해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광고DB; 및
    상기 메인서버로 재활용품의 이미지정보와 중량정보, 방범을 위한 일정 영역의 영상정보,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전송하고, 투입된 재활용품을 수거하여 적재하며, 상기 메인서버와 데이터의 송수신, 일정 거리내의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서버의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재활용품 수거함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수거함은,
    재활용품 수거함의 투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투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정보를 생성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수거망으로 낙하시키는 개폐기와, 재활용품 수거함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일정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CCTV와, 재활용품의 수거에 관한 정보와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화재로 인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상기 메인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모바일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송수신기와, 상기 카메라, 중량센서, CCTV, 터치스크린, 화재감지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송수신부를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거나 메인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거나 개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20120063514A 2012-06-14 2012-06-14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40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3514A KR20130140285A (ko) 2012-06-14 2012-06-14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PCT/KR2013/005164 WO2013187686A1 (ko) 2012-06-14 2013-06-12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3514A KR20130140285A (ko) 2012-06-14 2012-06-14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285A true KR20130140285A (ko) 2013-12-24

Family

ID=4975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3514A KR20130140285A (ko) 2012-06-14 2012-06-14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40285A (ko)
WO (1) WO2013187686A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53B1 (ko) * 2014-08-14 2015-03-05 명 하 윤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KR101653957B1 (ko) 2015-10-23 2016-09-05 배응준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WO2017150936A1 (ko) * 2016-03-03 2017-09-08 한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에 따른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91382A1 (en) * 2016-04-07 2017-10-12 John Labiak Modular recycling apparatus.
KR20180083008A (ko)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 폐기물의 분리 수거장치
KR102014648B1 (ko) * 2018-07-05 2019-08-26 고재성 폐기물 수거 업체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4272A (ko) * 2018-09-21 2020-03-31 한경남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116123B1 (ko) * 2019-08-28 2020-05-27 이윤택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
KR20200068853A (ko) * 2018-12-06 2020-06-16 문종민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210056590A1 (en) * 2015-06-17 2021-02-25 Matthew P. BERRY System for creating and enhancing targeted advertis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reusable and recyclable materials
KR102315548B1 (ko) * 2020-09-28 2021-10-20 최재식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수거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58806B1 (ko) * 2021-08-12 2022-02-08 안성찬 폐기물 재활용 관리 시스템
KR102368016B1 (ko) * 2020-12-29 2022-02-25 김동영 대형생활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38220B1 (ko) * 2022-04-13 2022-08-30 김경진 일회용 컵 수거 장치
KR102454260B1 (ko) * 2021-12-24 2022-10-14 주식회사 유진베르트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KR102490901B1 (ko) * 2021-11-26 2023-01-20 주식회사 세종지에스 전기차 충전 요금 납부 시스템
KR20230080732A (ko) 2021-11-30 2023-06-07 김주홍 재활용품을 활용한 diy 품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1666A (ko) *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KR102629655B1 (ko) * 2023-07-20 2024-01-30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인공지능 기반 재활용품 선별 분리수거 플랫폼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KR102645785B1 (ko) * 2023-10-05 2024-03-08 주식회사 제4의공간 이미지 처리를 통한 제품 수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1323B1 (ko) * 2023-11-28 2024-03-28 리모캐스트 주식회사 신뢰 기반 포인트 적립 기능을 갖는 재활용 자원 무인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326B (zh) * 2014-12-01 2017-05-24 冶金自动化研究设计院 一种用于钢铁企业含铁固废循环利用的监控方法
CN107527076A (zh) * 2016-06-20 2017-12-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设备的识别方法及识别装置
CN113139524A (zh) * 2017-12-14 2021-07-2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的方法、装置及设备
CN108520589A (zh) * 2018-06-12 2018-09-11 孙福明 一种智能衣物回收箱
CN109615766A (zh) * 2018-12-28 2019-04-12 前海创享城市服务(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衣物回收方法及智能衣物回收箱
CN110111121A (zh) * 2019-01-17 2019-08-09 成都智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智能发布服务平台信息处理系统
CN110427105B (zh) * 2019-07-16 2023-04-07 北京思迪环保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hmi人机交互系统
CN110599676A (zh) * 2019-10-18 2019-12-20 佛山市阿啪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回收系统
CA3123055A1 (en) 2020-06-25 2021-12-25 Rehrig Pacific Company Pallet sled and delivery system
WO2022020737A1 (en) * 2020-07-24 2022-01-27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vessels with user accou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157A (ja) * 2002-10-15 2004-05-13 Toppan Printing Co Ltd 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装置および商品処理情報提供方法
JP2007257354A (ja) * 2006-03-23 2007-10-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ゴミ収集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及びゴミ収集管理プログラム
KR20100129639A (ko) * 2009-06-01 2010-12-09 최도균 재활용품 회수처리 기반 광고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131235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53B1 (ko) * 2014-08-14 2015-03-05 명 하 윤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US20210056590A1 (en) * 2015-06-17 2021-02-25 Matthew P. BERRY System for creating and enhancing targeted advertis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reusable and recyclable materials
KR101653957B1 (ko) 2015-10-23 2016-09-05 배응준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WO2017150936A1 (ko) * 2016-03-03 2017-09-08 한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쓰레기 처리에 따른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91382A1 (en) * 2016-04-07 2017-10-12 John Labiak Modular recycling apparatus.
KR20180083008A (ko)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 폐기물의 분리 수거장치
KR102014648B1 (ko) * 2018-07-05 2019-08-26 고재성 폐기물 수거 업체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4272A (ko) * 2018-09-21 2020-03-31 한경남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200068853A (ko) * 2018-12-06 2020-06-16 문종민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116123B1 (ko) * 2019-08-28 2020-05-27 이윤택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
KR102315548B1 (ko) * 2020-09-28 2021-10-20 최재식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수거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68016B1 (ko) * 2020-12-29 2022-02-25 김동영 대형생활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358806B1 (ko) * 2021-08-12 2022-02-08 안성찬 폐기물 재활용 관리 시스템
WO2023017932A1 (ko) * 2021-08-12 2023-02-16 안성찬 폐기물 재활용 관리 시스템
KR102490901B1 (ko) * 2021-11-26 2023-01-20 주식회사 세종지에스 전기차 충전 요금 납부 시스템
KR20230080732A (ko) 2021-11-30 2023-06-07 김주홍 재활용품을 활용한 diy 품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4260B1 (ko) * 2021-12-24 2022-10-14 주식회사 유진베르트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KR20230111666A (ko) *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KR102438220B1 (ko) * 2022-04-13 2022-08-30 김경진 일회용 컵 수거 장치
KR102629655B1 (ko) * 2023-07-20 2024-01-30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인공지능 기반 재활용품 선별 분리수거 플랫폼 시스템및 그 운용방법
KR102645785B1 (ko) * 2023-10-05 2024-03-08 주식회사 제4의공간 이미지 처리를 통한 제품 수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1323B1 (ko) * 2023-11-28 2024-03-28 리모캐스트 주식회사 신뢰 기반 포인트 적립 기능을 갖는 재활용 자원 무인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7686A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20005002A1 (en) Closed Loop Recycling Process and System
CN105336044B (zh) 针对设备的二手市场和自动售货系统
CA31781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obile phones
US20190392403A1 (en) Collecting and sorting garbage and managing recycling using sensing technology
US2007026046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recycling program
WO2007108910A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cessing recyclables
US20100312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aste oil
CN110135540A (zh) 含标识码装置和循环利用含标识码装置的装置系统及方法
KR20070108828A (ko)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
JP6795446B2 (ja) ごみ収集システム
CN110660155A (zh) 物品回收系统及方法
JP2019003429A (ja) 物品回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2120904A (ja) ネットごみ箱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循環促進システム
Mothukuri et al. Smart Food Fare Canteen: Automation of Bills and Serving
KR102465074B1 (ko)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KR20230167649A (ko) 보상 방법 선택이 가능한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AU2022100066A4 (en) Location-based Collection and Transport of Recyclable or Reusable Items
JP7246771B2 (ja) 物品回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70239A (ko) 생활폐기물 수거 대행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23025859A1 (en) System for collecting and recycling empty container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ystem
KR20230089873A (ko) 재생컵 회수 통합 관리 시스템
Cao IMPROVEMENT OF INTELLIGENT GARBAGE RECYCLING EQUIPMENT
AU2020257067A1 (en) Location-based Collection and Transport of Recyclable or Reusable Items
WO2022096591A1 (en) System for recycling empty containers for containing liquids or beverage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