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53B1 -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53B1
KR101499153B1 KR20140105746A KR20140105746A KR101499153B1 KR 101499153 B1 KR101499153 B1 KR 101499153B1 KR 20140105746 A KR20140105746 A KR 20140105746A KR 20140105746 A KR20140105746 A KR 20140105746A KR 101499153 B1 KR101499153 B1 KR 10149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oil
waste cooking
unit
information
was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 하 윤
Original Assignee
명 하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 하 윤 filed Critical 명 하 윤
Priority to KR2014010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폐식용유를 교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용액이 폐식용유인지의 진위를 판단하는 폐식용유 판별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폐식용유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와, 상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교반탱크로서,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를 통해 폐식용유를 공급받아 교반탱크 내부에서 화학처리하여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 바이오디젤 제조부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의 폐식용유 배출자 고유정보와 상기 중량계측부에서의 중량정보 및 폐식용유 중량측정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폐식용유 배출자 고유정보에 따른 누적 중량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폐식용유를 수거함과 동시에 바이오디젤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업체에서 폐식용유를 수거할 필요가 없어 수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식용유를 종량형으로 수거하고, 각 가정에 수거량에 기초하여 바이오디젤 연료를 재공급하도록 하여 폐식용유 수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번 수거되는 폐식용유의 진위여부를 판단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용액은 별도로 배출하도록 하여 제조되는 바이오디젤의 품질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Collecting and processing system the waste cooking oil}
본 발명은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식용유 종량형 수거 기능을 포함하여 소형 바이오디젤 연료를 제조할 수 있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의 에너지 파동과 환경오염 문제의 대두는 에너지의 탈석유 정책의 시초가 되었고, 에너지산업구조 개편, 에너지 기술 효율개선과 같은 많은 세부정책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1997년 교토에서 발의된 유엔 기후 변화 협약을 통하여 이산화탄소(CO2)의 발생량 규제는 대체 에너지의 개발을 촉진하게 되었으며, 2002년 요하네스버그의 선언에서는 대체에너지 중 바이오에너지의 사용 의무화를 강력하게 권고하는 정책이 포함되었다.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사용하는 에너지의 15%를 바이오에너지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우리나라에게 적절한 노력을 강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럽에서는 1997년 유럽에너지 백서를 통하여 2010년까지 총에너지의 12%를 바이오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을 마련하였고 바이오 액체 연료를 연간 1,800만 톤 이상 확대 생산하는 정책을 채택하였다.
현재 유럽에서 생산되는 액체 연료 중 바이오디젤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5%로써 유럽에서 사용되는 바이오디젤은 연간 150만 톤을 넘어서고 있으며, 바이오디젤 생산공정 또한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인 바이오디젤은 콩기름 등의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해서 만든 바이오연료로 바이오에탄올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된다. 보통 메탄올을 이용해 3가의 지방산에 글리세롤이 결합한 트라이글리세리드로부터 글리세롤을 분리한 다음, 지방산에스터를 만들어 내는 에스테르 교환방법을 통하여 만들게 된다.
여기서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되는 식물성 기름중에서 최근에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많이 배출되는 폐식용유를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수질, 토양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기의 폐식용유는 재활용 없이 자연에 투기될 경우 초래되는 환경 파괴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례로, 병뚜껑만한 양의 폐식용유가 토양에 들어간다면 약 100년이 지나야 정화될 수 있으며, 아파트 주민의 경우 폐식용유의 양이 적어 배수관에 그냥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배수관이 굳게 되고 기름의 산화작용으로 배수관을 부식시켜, 일반 가정에서 나오는 이 작은 양의 폐식용유가 모여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폐식용유를 다량 발생하는 프랜차이즈(통닭집, 분식점 포함)의 경우에는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폐식용유 자체 수거 및 신유를 공급하거나 지역 수거업자들에게 위탁을 주어 수거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폐식용유를 하수 및 쓰레기 배출로 처리하고 있으며, 공공주택의 경우 폐식용유의 수거함을 별도로 두어 폐식용유를 분리수거하고 있으나, 각 가정의 인식부족과 분리배출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분리배출이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폐식용유 분리수거 시스템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식용유를 종량제 형태로 수거하고, 별도의 수거업체에서 수거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바이오디젤을 수거와 함께 바로 제조함으로써, 각 가정에 난방용 연료 등으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폐식용유 수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9290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식용유를 종량형으로 수거함과 동시에 바이오디젤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된 바이오디젤 연료를 난방용으로 각 가정에서 수거량에 기초하여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폐식용유를 교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용액이 폐식용유인지의 진위를 판단하는 폐식용유 판별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폐식용유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와, 상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교반탱크로서,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를 통해 폐식용유를 공급받아 교반탱크 내부에서 화학처리하여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 바이오디젤 제조부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의 폐식용유 배출자 고유정보와 상기 중량계측부에서의 중량정보 및 폐식용유 중량측정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폐식용유 배출자 고유정보에 따른 누적 중량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일측이 상기 바이오디젤 제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이오디젤 제조부에서 제조되는 바이오디젤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유무선망을 통해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 판단되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누적중량 정보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어부에 알람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해당하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배출부에서 일정량의 바이오디젤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는 농도센서, 비중센서 또는 전도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기측정된 단위 용량의 식용유 기준측정값과 비교하여 식용유인지의 진위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가 인식되는 RFID리더부와, 상기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와 상기 중량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바이오디젤 제조부는 원통형 호퍼형태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로부터 폐식용유를 공급받는 교반탱크와, 상기 교반탱크에 히트코일을 내장하여 교반탱크를 가열하는 히팅부와,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동력원에 의해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폐식용유를 교반하는 교반동작부와, 상기 본체 외부 일측에 태양광집열판을 설치하여 상기 히팅부 및 상기 교반동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폐식용유를 수거함과 동시에 바이오디젤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업체에서 폐식용유를 수거할 필요가 없어 수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식용유를 종량형으로 수거하고, 각 가정에 수거량에 기초하여 바이오디젤 연료를 재공급하도록 하여 폐식용유 수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번 수거되는 폐식용유의 진위여부를 판단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용액은 별도로 배출하도록 하여 제조되는 바이오디젤의 품질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의 주요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에 의해 폐식용유가 처리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바이오디젤을 공급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의 주요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100)은 폐식용유를 교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 상부 일측에 계패도어를 갖추어 폐식용유가 투입되는 투입부(20)와, 본체(1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30)와, 투입되는 용액이 폐식용유인지 진위를 판단하는 폐식용유 판별부(40)와, 투입부(20)로 투입되는 폐식용유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50)와, 본체(10)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판별부(40)에서 공급되는 폐식용유를 교반하여 바이오디젤을 제조하는 바이오디젤 제조부(60)와, 바이오디젤 제조부(60)에서 제조되는 바이오디젤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와, 사용자 고유정보, 폐식용유 중량정보, 중량측정 시간정보 등을 전송받아 사용자 고유정보에 따른 누적 중량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80)와, 제어부(80)에서 산출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200)와, 관리서버(200)로부터의 알람정보를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실내 또는 야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PVC 재질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0)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투입부(20)에 배출자가 폐식용유를 용이하게 투입하도록 적정 높이로 형성된다.
투입부(20)는 본체(10) 상부면 일측에 개구되어 중앙부로 하방경사진 투입면(21a)과 중앙부에 하방으로 관통된 투입공(21b)과 투입공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이물질 거름망(21c)을 포함하는 여과플레이트(21)와, 여과플레이트(21)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도어(22)는 모터동력원에 의해 작동되며, 아울러 개폐도어(22)의 개폐동작은 사용자 인식부(30)에서 사용자의 고유정보 인식에 따라 제어부(80)에서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더욱이, 투입부(20)에는 여과플레이트(21)면에 부착되는 폐식용유가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세정장치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개폐도어(22)의 개폐동작에 의해 여과플레이트(21)면을 세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식부(30)는 RFID리더부(31), 표시부(32), 입력부(33)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RFID리더부(31)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를 인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고유정보는 아파트의 동, 호수, 주민등록번호, 배출자의 이름, 핸드폰번호 등이 포함된다.
표시부(32)는 상기의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와 중량계측부(50)에서 측정된 중량정보 등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며, 별도로 제어부(80)에서 시스템 사용관련 안내정보도 출력될 수 있다.
입력부(33)는 배출자가 RFID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입력하여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자면, 배출자의 핸드폰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을 키패드로 입력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폐식용유 판별부(40)는 농도센서, 비중센서 또는 전도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기측정된 단위용량의 식용유 기준측정값과 비교하여 투입부(20)로부터 공급되는 용액이 식용유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배출자가 투입부(20)로 투입시키는 용액이 순수한 식용유만 포함된 용액인지, 식용유 이외에 물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이 포함된 용액인지를 기준측정값과 비교하여 허용치에 해당되면 공급밸브(51a')를 개폐하여 바이오디젤 제조부(60)로 용액을 공급시키고, 불순물이 포함되어 기준허용치에 해당되지 않으면, 배출관(51b)을 통해 별도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중량계측부(50)는 본체(10) 하부 즉, 여과플레이트(21) 하부에 투입공으로부터 투입되는 폐식용유가 저장되는 저장조(51)와 저장조(51) 하부에 중량측정을 위한 디지털 저울(52)이 설치된다. 아울러 중량계측부(50)에서는 투입되는 폐식용유의 중량정보와 중량측정 시간정보를 제어부(80)로 전송하게 된다.
바이오디젤 제조부(60)는 교반탱크(61), 히팅부(62), 교반동작부(63) 및 태양광전원공급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교반탱크(61)는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의 호퍼형태로 폐식용유 판별부(40)에서 판별된 폐식용유가 밸브(51a')개폐에 의해 공급관(51a)을 통해 공급된다.
히팅부(62)는 교반탱크(61)에 히트코일이 내장되어 교반탱크(61)를 가열하게 되며, 제어부(80)는 교반할 때에 폐식용유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트코일에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교반동작부(63)는 교반탱크(61) 내부, 즉 호퍼 내부 중앙부에 모터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3a)과, 회전축(63a) 하단부에 결합되는 임펠러(63b)에 의해 폐식용유를 교반하도록 한다.
태양광전원공급부(64)는 본체(10) 상단부 일측에 태양광집열판(64a)이 설치되어, 태양광집열판에 집열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상기 히팅부(62)와 교반동작부(63)의 모터동력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외부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부(70)는 일측이 교반탱크(61)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측이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바이오디젤 제조부(60)에서 제조된 바이오디젤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수거 처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에 의해 폐식용유가 처리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배출자가 자신의 RFID카드를 RFID리더부(31)에 접촉시키거나, 입력부(33)의 키패드에 배출자 고유정보를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어부(80)에서는 배출자 고유정보를 확인한 후(S410), 투입부(20)의 개폐도어(22)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이때에 기수거된 폐식용유에 의한 악취가 올라오지 않도록 교반탱츠측 밸브(51a')가 자동적으로 잠겨 냄새가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출자는 폐식용유 용액을 개폐도어(22)가 열려진 투입부(20) 내부로 투입시키면, 투입된 폐식용유 용액은 여과플레이트(21)면을 따라 투입공으로 이송되면서 이물질 거름망에 이물질이 제거된 용액이 저장조(51)에 임시로 저장된다(S420).
다음으로, 저장조(51) 일측에 설치되는 폐식용유 판별부(40)에서 저장조(51)에 투입된 용액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센서로 농도, 비중, 전도도 등을 센싱하여 제어부(80)에서 기측정된 식용유 기준측정값과 비교한다(S430).
그리고 기준측정값과 비교하여 샘플링된 용액이 기준허용치 내에 포함되면 중량계측부(50)에서 투입된 폐식용유의 중량정보와 중량측정 시간정보를 제어부(80)로 전송한 다음(S440), 교반탱크(61)측 밸브를 열어서 저장조(51)에 저장되는 폐식용유 용액을 바이오디젤 제조부(60)로 이송시킨다(S450).
아울러, 샘플링된 용액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기준허용치 내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장조(51) 내에 투입된 용액이 폐식용유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저장조(51) 내에 저장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함(S480)과 함께 저장조(51) 내부가 세척되도록 한다(S490).
교반탱크(61)측으로 이송되는 폐식용유는 히팅부(62)에 의해 교반탱크(61) 내에서 적정온도로 가열된 폐식용유에 메탄올 및 촉매를 넣어 교반동작부(63)의 작동에 의해 교반시킨다. 그런 다음 일정시간 침전시켜 글리세린층을 분리시키고 바이오디젤을 생성시키게 된다(S460).
여기서 바이오디젤을 생성시키기 위한 히팅과정과 교반과정에서 사용되는 동력원은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하지 않고 본체(10) 상단부에 설치된 태양광전원공급부(64)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교반탱크(61) 내에서 생성된 바이오디젤은 제어부(80)에서 산출한 배출자의 누적 중량정보값을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거나, 누적 중량정보값에 기초하여 배출부(70)에서 일정량의 바이오디젤을 외부로 배출하여 난방용 등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S470).
이에 도 5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바이오디젤을 공급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어부(80)에서 산출된 누적 중량정보 및 중량측정 시간정보 등을 유무선망을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200)에서는 누적중량 정보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관리자 단말기(400) 또는 제어부(80)로 관련 알람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80)에서는 관련 누적 중량정보값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RFID 카드를 통해 인식될 경우, 인식된 배출자의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표시부(32)를 통해 누적 중량정보값에 기초한 난방용 바이오디젤 수급가능량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배출자가 바이오디젤의 수급을 필요로 할 경우, 입력부(33)에 필요량을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필요량을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배출구를 통해 바이오디젤이 일정량 배출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누적 중량정보값을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400)에서 매월 단위로 각 사용자단말기에 누적 중량정보값에 기초한 바이오디젤 수급가능량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10 : 본체 20 : 투입부
21 : 여과플레이트 22 : 개폐도어
30: 사용자 인식부 31 : RFID리더부
32 : 표시부 33 : 입력부
40 : 폐식용유 판별부 50 : 중량계측부
51 : 저장조 52 : 디지털 저울
60 : 바이오디젤 제조부 61 : 교반탱크
62 : 히팅부 63 : 교반동작부
64 : 태양광전원공급부 70 : 배출부
80 : 제어부
200 : 관리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5)

  1. 내부에 폐식용유를 교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용액이 폐식용유인지의 진위를 판단하는 폐식용유 판별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폐식용유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와;
    상기 본체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교반탱크로서,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를 통해 폐식용유를 공급받아 교반탱크 내부에서 화학처리하여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 바이오디젤 제조부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의 폐식용유 배출자 고유정보와 상기 중량계측부에서의 중량정보 및 폐식용유 중량측정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폐식용유 배출자 고유정보에 따른 누적 중량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바이오디젤 제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이오디젤 제조부에서 제조되는 바이오디젤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유무선망을 통해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 판단되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누적중량 정보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어부에 알람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해당하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배출부에서 일정량의 바이오디젤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는 농도센서, 비중센서 또는 전도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기측정된 단위 용량의 식용유 기준측정값과 비교하여 식용유인지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가 인식되는 RFID리더부와,
    상기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와 상기 중량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폐식용유 배출자의 고유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디젤 제조부는
    원통형 호퍼형태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식용유 판별부로부터 폐식용유를 공급받는 교반탱크와,
    상기 교반탱크에 히트코일을 내장하여 교반탱크를 가열하는 히팅부와,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동력원에 의해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폐식용유를 교반하는 교반동작부와,
    상기 본체 외부 일측에 태양광집열판을 설치하여 상기 히팅부 및 상기 교반동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KR20140105746A 2014-08-14 2014-08-14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Active KR10149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746A KR101499153B1 (ko) 2014-08-14 2014-08-14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746A KR101499153B1 (ko) 2014-08-14 2014-08-14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153B1 true KR101499153B1 (ko) 2015-03-05

Family

ID=5302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5746A Active KR101499153B1 (ko) 2014-08-14 2014-08-14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1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77B1 (ko) 2018-04-25 2019-06-13 주식회사 비전씨앤디 폐식용유를 활용한 접착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20220014776A (ko) 2020-07-29 2022-02-07 이정숙 폐식용유 정제 방법
KR20220130563A (ko) 2021-03-17 2022-09-27 주식회사올수 폐유지 거래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45673B1 (ko) * 2022-11-03 2024-03-12 이상헌 스마트 폐식용유 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폐식용유 재활용 보상관리 시스템
KR102669407B1 (ko) 2023-03-29 2024-05-29 주식회사올수 폐유지 관리 서비스 및 폐유지 거래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784A (ko) * 2010-03-05 2011-09-15 송현서 재활용 용기를 이용한 폐식용유 수거 장치
KR20130140285A (ko) * 2012-06-14 2013-12-24 이철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784A (ko) * 2010-03-05 2011-09-15 송현서 재활용 용기를 이용한 폐식용유 수거 장치
KR20130140285A (ko) * 2012-06-14 2013-12-24 이철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77B1 (ko) 2018-04-25 2019-06-13 주식회사 비전씨앤디 폐식용유를 활용한 접착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20220014776A (ko) 2020-07-29 2022-02-07 이정숙 폐식용유 정제 방법
KR20220130563A (ko) 2021-03-17 2022-09-27 주식회사올수 폐유지 거래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99669B1 (ko) * 2021-03-17 2023-11-07 주식회사올수 폐유지 거래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45673B1 (ko) * 2022-11-03 2024-03-12 이상헌 스마트 폐식용유 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폐식용유 재활용 보상관리 시스템
KR102669407B1 (ko) 2023-03-29 2024-05-29 주식회사올수 폐유지 관리 서비스 및 폐유지 거래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WO2024204887A1 (ko) 2023-03-29 2024-10-03 주식회사올수 폐유지 관리 서비스 및 폐유지 거래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53B1 (ko) 폐식용유 수거 처리 시스템
US10370681B2 (en) Methods of anaerobic digestion of biomass to produce biogas
CN105436188B (zh) 垃圾分类处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3624061B (zh) 生活厨余垃圾收集处理系统
CN202447362U (zh) 城市居民单元楼有机垃圾高效发酵处理装置
CN104276680A (zh) 一种餐厨垃圾的处理方法及装置
di Cicco et al. Assessing energy performance and critical issues of a large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rough full-scale data benchmarking
KR10091577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
Di Maria et al.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of residual waste in areas without thermal treatment facilities: A life cycle analysis of an Italian management district
KR100918363B1 (ko) 바이오디젤 제조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6059972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conditioning organic waste by anaerobic bioconversion
CN105080930B (zh) 餐厨垃圾处理系统及方法
CN203664335U (zh) 生活厨余垃圾收集处理系统
CN110902909B (zh) 一种自动智能农村污水处理装置
CN210302729U (zh) 一种餐厨垃圾处理设备
KR101999269B1 (ko) 폐자원 스마트리사이클링 통합관리시스템
KR102454660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는 에너지 활용 시스템
CN109763547A (zh) 垃圾处理器的控制方法、装置及垃圾处理器
KR101412169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장치
CN203470449U (zh) 餐厨垃圾处理系统
JP6984445B2 (ja) 移動脱水車の配車システム、配車方法及び配車支援装置
KR20220104344A (ko) 음식물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 에탄올 및 메탄 생산 건물
CN206763111U (zh) 自压式水下切料出炭机
CN203333402U (zh) 一种餐厨垃圾的处理装置
US1218012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food waste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