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074B1 -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074B1
KR102465074B1 KR1020220065697A KR20220065697A KR102465074B1 KR 102465074 B1 KR102465074 B1 KR 102465074B1 KR 1020220065697 A KR1020220065697 A KR 1020220065697A KR 20220065697 A KR20220065697 A KR 20220065697A KR 102465074 B1 KR102465074 B1 KR 10246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ssion reduction
user
unit
empty container
carbon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원
박영희
Original Assignee
카본엑스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본엑스북(주) filed Critical 카본엑스북(주)
Priority to KR102022006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8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relating to the adaptation of receptacles to carry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빈용기 회수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한 조작 패널,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위치한 투입구,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투입구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판단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빈용기를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에 따라 복수의 제품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제품 그룹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의 탄소발자국 정보를 보유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빈용기를 투입하면, 상기 판단 모듈은 투입된 상기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투입된 상기 빈용기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제품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품 그룹의 상기 대표 제품의 상기 탄소발자국 정보를 토대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동시켜 출력한다.

Description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Reverse Vending Machine and System for Saving Carbon Dioxide Reduction Point Using the Same Based on Carbon Footprint}
본 발명은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높은 화석 연료 비중과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도 과거 30년 사이에 평균 온도가 약 1.4℃ 상승하며 온난화 경향이 뚜렷해 지고 있다.
보고에 따르면, 지구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할 경우 폭염, 한파 등 인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재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승 온도를 1.5℃로 제한할 경우 생물의 다양성, 건강, 생계, 식량, 및 경제 성정 등에 대한 위험이 대폭 감소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지구 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탄소배출 저감은 국가 뿐 아니라 개인으로 확대되어, 개인이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행하거나 에너지 절약 등의 탄소배출 저감 행위를 장려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빈용기 보증금 반환 제도는 반복 사용이 가능한 PET병이나 유리병을 이용한 음료 제품에 대해 사용된 용기의 회수 및 재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 가격에 소정의 보증금을 포함시켜 소비자가 빈용기를 판매처에 반환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제도이다.
이를 위해, RVM (Reverse Vending Machine)이라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사용하여 수거된 내역에 따라 적립금을 적립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관련해 소비자에게 제품의 온실 가스 배출량 정보를 정확하고 투명하게 공개하여 환경에의 영향이 적은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기후 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한 소비 및 생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이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탄소발자국은 환경 성적 표시 환경 영향 범주 중 하나로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생산, 수송 유통, 사용, 폐기 증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온실 가스)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나타낸 지표이며 라벨 형태로 제품에 표시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58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515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개인의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장려하기 위한 빈용기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개인의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장려하여 이러한 행위에 대해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기반으로 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적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한 조작 패널,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위치한 투입구,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투입구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판단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빈용기를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에 따라 복수의 제품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제품 그룹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의 탄소발자국 정보를 보유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빈용기를 투입하면, 상기 판단 모듈은 투입된 상기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투입된 상기 빈용기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제품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품 그룹의 상기 대표 제품의 상기 탄소발자국 정보를 토대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동시켜 출력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빈용기 회수 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판단 모듈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분류 모듈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분류 모듈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제1 분류함 및 제2 분류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투입된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각 제품 그룹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 및 탄소발자국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산출된 탄소배출 저감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센서부의 측정 결과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투입된 빈용기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 모듈은, 상기 판단 모듈로부터 상기 판단부의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판단결과 수신부 및 수신한 판단 결과를 토대로 투입된 빈용기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 모듈은, 투입된 빈용기가 PET병이거나 캔인 경우 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빈용기 회수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주소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고유 에코 ID를 발급하기 위한 ID 발급부, 상기 빈용기 회수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빈용기 회수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탄소배출 저감량을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 또는 상기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탄소배출 저감량에 해당하는 보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기 위한 보상 지급부를 구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D 발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패치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해싱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및 해싱 프로그램 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주소를 발급하기 위한 블록체인 주소 발급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블록체인 주소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고유 에코 ID를 생성하기 위한 에코 ID 생성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스마트 컨트랙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 및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탄소배출 저감량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에 배포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토큰으로 산정하기 위한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 산정된 상기 탄소 토큰을 상기 사용자의 상기 블록체인 주소로 송금하기 위한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토큰으로 산정하기 위한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 산정된 상기 탄소 토큰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으로 송금하기 위한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금 환전 요청에 따라 상기 환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환전 요청 처리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환전 요청 처리에 따라 현금-탄소 토큰 환전을 수행하기 위한 현금-탄소 토큰 환전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배포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을 사용자 단말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회 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회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배포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을 SNS에 공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의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장려하기 위한 빈용기 회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의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장려하여 이러한 행위에 대해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기반으로 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적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의 판단 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의 분류 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의 컨트롤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의 ID 발급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록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의 보상 지급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는, 적어도 본체(101), 본체(101)의 전면에 위치한 조작 패널(110), 본체(101)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위치한 투입구(120), 및 본체(101) 내부의 투입구(120)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판단 모듈(1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패널(110)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 패널(110)의 일부에 정보 입력을 위한 키보드, 바코드 또는 신분증을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 지문 센서, 및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ID,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거나, 스캐너에 신분증을 스캔하거나, 지문 센서에 지문을 스캔하거나, 카메라를 통한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판단 모듈(130)은, 빈용기를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에 따라 복수의 제품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제품 그룹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의 탄소발자국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다.
탄소발자국은 환경성적표지 환경영향 범주 중 하나로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생산, 수송 유통, 사용, 폐기 등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온실가스)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나타낸 지표이며 라벨 형태로 제품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110)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투입구(120)를 통해 빈용기를 투입하면, 판단 모듈(130)은 투입된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투입된 빈용기가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제품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품 그룹의 대표 제품의 탄소발자국 정보를 토대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동시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빈용기 회수 장치(100)는, 본체(101) 내부의 판단 모듈(130)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분류 모듈(140) 및 본체(101) 내부의 분류 모듈(140)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제1 분류함(150) 및 제2 분류함(160)을 더 구비한다.
사용자가 조작 패널(110)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투입구(120)를 통해 빈용기를 투입하면, 판단 모듈(130)을 거친 빈용기가 분류 모듈(140)에서, 예를 들어 PET병, 캔, 유리병 등으로 분류되어 해당하는 제1 분류함(150) 또는 제2 분류함(160)으로 보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의 판단 모듈(13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판단 모듈(130)은, 투입된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31), 복수의 제품 그룹, 각 제품 그룹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 및 탄소발자국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산출된 탄소배출 저감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3), 센서부(131)의 측정 결과와 저장부(133)에 저장된 속성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132), 비교부(132)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투입된 빈용기가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134), 및 판단부(134)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결과 출력부(135)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의 분류 모듈(14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 모듈(140)은, 판단 모듈(130)로부터 판단부(134)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판단결과 수신부(141) 및 수신한 판단 결과를 토대로 투입된 빈용기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1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류부(142)에 의해 투입된 빈용기가 유리병이라고 판단되면 제1 분류함(150)으로 이송되고 PET병이라고 판단되면 제2 분류함(16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 모듈(140)은 투입된 빈용기가 PET병이거나 캔인 경우 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도이다.
센서부(131), 저장부(133), 분류부(142), 및 압축부(143)는 물리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각 부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하나의 컨트롤러(50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빈용기 회수 장치(100)는, 투입된 빈용기를 제1 분류함(150) 또는 제2 분류함(160)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의 컨트롤러(5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31), 저장부(133), 분류부(142), 및 압축부(143)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하나의 컨트롤러(500)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500)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투입된 빈용기가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제품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분류 모듈(140)은 해당 빈용기를 별도의 제3 분류함(미 도시)으로 분류하고, 판단 모듈(130)은 가장 근접한 제품 그룹에 속하는 대표 제품의 탄소발자국 정보를 토대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 모듈(130)은 해당 빈용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3)에 저장해 두었다가 향후 제품 그룹 업데이트를 통해 빈용기가 속하는 제품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7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7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주소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고유 에코 ID를 발급하기 위한 ID 발급부(720), 외부의 빈용기 회수 장치(100)에 무선으로 연동하여 사용자의 고유 에코 ID에 대응하는 탄소배출 저감량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710),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탄소배출 저감량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730),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탄소배출 저감량 또는 기록부(730)에 의해 기록된 탄소배출 저감량에 해당하는 보상을 사용자에게 지급하기 위한 보상 지급부(7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ID 발급부(720)는 개인의 '에코 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를 발급하고, 기록부(730)는 재활용 폐기물(빈용기)의 투입 및 분류에 따른 매 탄소배출 저감 행위(트랜잭션)마다 어떠한 자원을 얼마만큼 재활용하여 탄소 배출을 저감하였는지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보상 지급부(740)는 산출된 탄소배출 저감량을 토대로 '탄소 토큰'을 보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ID 발급부(720)는 개인의 휴대폰 번호와 연동된 블록체인 주소를 토대로 개인 에코 ID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여기서, 개인의 휴대폰 번호는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ID 발급부(120)가 발급하는 에코 ID는 휴대폰 번호나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ID 등과 같이 일시적이거나 한시적인 식별자가 아닌 개인의 평생 에코 기록을 위해 평생 변하지 않을 식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부(730)는 매 트랜잭션마다 또는 일정 주기로 또는 사용자 임의로 탄소배출 저감량, 저감한 잠재 자원 이용량, 보상 지급된 탄소 토큰 수량을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저장하여 블록체인에 배포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상 지급부(740)는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빈용기 회수 장치(100)로부터 탄소배출 저감량을 수신하여 소정의 보상 정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감한 탄소 배출량 10g당 1 탄소 토큰을 사용자의 개인 블록체인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상 지급부(740)는 기록부(730)와 별도로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탄소 토큰을 지역화폐, 백화점 이나 쇼핑몰 등의 포인트, 문화상품권, 고교봉사시간 등으로 환전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700)은,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통한 요청을 수신하면, ID 발급부(720)가 사용자에게 평생 에코 ID를 발급한다. 이를 위해, ID 발급부(720)는 신규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에 대해 고유 해시번호를 생성해서 이를 블록체인 지갑 주소와 연동시킨다.
생성된 평생 에코 ID와 연동하여 탄소배출 저감량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은 기록부(730)로 전송되고 탄소배출 저감량이 기록된 스마트 컨트랙트가 외부의 블록체인으로 배포된다.
또한,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은 보상 지급부(740)로 전달되고, 탄소배출 저감량 해당하는 탄소 토큰이 사용자의 블록체인 주소로 지급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탄소 토큰을 사용자가 선택한 재화로 환전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의 ID 발급부(72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ID 발급부(720)는 탄소배출 저감 활동의 이력 및 평생 기록과 통합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에코 ID를 생성 및 발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ID 발급부(720)는,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패치하고 사용자 정보를 해싱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및 해싱 프로그램 모듈(721),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주소를 발급하기 위한 블록체인 주소 발급 프로그램 모듈(722), 및 블록체인 주소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대한 고유 에코 ID를 생성하기 위한 에코 ID 생성 프로그램 모듈(7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ID 발급부(720)에 의해 생성된 에코 ID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휴대폰 번호) 해시 및 대응하는 블록체인 주소와 함께 데이터베이스(800)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록부(73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부(730)는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731), 탄소배출 저감량 데이터를 스마트 컨트랙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732), 및 변환 모듈(732)에 의해 변환된 탄소배출 저감량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에 배포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모듈(7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부(7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47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을 사용자 단말(490)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회 모듈(4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회 모듈(48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91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을 SNS에 공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빈용기 회수 장치(10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700)의 보상 지급부(74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 지급부(740)는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741),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토큰을 산정하기 위한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742), 산정된 탄소 토큰을 사용자의 블록체인 주소(744)로 송금하기 위한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743)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 지급부(740)는 무선통신부(710)를 통해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741),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토큰을 산정하기 위한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742), 산정된 탄소 토큰을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1144)으로 송금하기 위한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74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상 지급부(740)는 사용자의 현금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환전 요청 처리 프로그램 모듈(1145) 및 환전 요청 처리에 따라 현금-탄소 토큰 환전을 수행하기 위한 현금-탄소 토큰 환전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1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의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장려하기 위한 빈용기 회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의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장려하여 이러한 행위에 대해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기반으로 한 탄소배출 저감량을 적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빈용기 회수 장치
101: 본체
110: 조작 패널
120: 투입구
130: 판단 모듈
131: 센서부
132: 비교부
133: 저장부
134: 판단부
135: 판단결과 출력부
140: 분류 모듈
141: 판단결과 수신부
142: 분류부
143: 압축부
150: 제1 분류함
160: 제2 분류함
500: 컨트롤러
510: 이송부
610: 무선통신부
700: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710: 무선통신부
720: ID 발급부
721: 데이터 패치 및 해싱 프로그램 모듈
722: 블록체인 주소 발급 프로그램 모듈
723: 에코 ID 생성 프로그램 모듈
730: 기록부
731: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732: 데이터 변환 모듈
733: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모듈
740: 보상 지급부
741: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742: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
743: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
744: 사용자 블록체인 주소
800: 데이터베이스
910: 블록체인
920: 조회 모듈
930: 사용자 단말
1144: 사용자 계정
1145: 환전 요청 처리 프로그램 모듈
1146: 현금-탄소 토큰 환전 모듈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한 조작 패널;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위치한 투입구;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투입구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판단 모듈
    을 구비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빈용기를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에 따라 복수의 제품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제품 그룹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의 탄소발자국 정보를 보유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빈용기를 투입하면, 상기 판단 모듈은 투입된 상기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투입된 상기 빈용기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제품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품 그룹의 상기 대표 제품의 상기 탄소발자국 정보를 토대로 탄소배출 저감량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동시켜 출력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투입된 빈용기의 재질, 형상, 크기, 색상,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각 제품 그룹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제품 및 탄소발자국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산출된 탄소배출 저감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센서부의 측정 결과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속성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투입된 빈용기가 상기 복수의 제품 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판단 모듈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분류 모듈;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분류 모듈의 하류 방향에 위치한 제1 분류함 및 제2 분류함
    을 더 구비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모듈은, 상기 판단 모듈로부터 상기 판단부의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판단결과 수신부 및 수신한 판단 결과를 토대로 투입된 빈용기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분류부를 포함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모듈은, 투입된 빈용기가 PET병이거나 캔인 경우 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빈용기 회수 장치.
  7. 제1항에서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빈용기 회수 장치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주소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고유 에코 ID를 발급하기 위한 ID 발급부;
    상기 빈용기 회수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빈용기 회수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탄소배출 저감량을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탄소배출 저감량 또는 상기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탄소배출 저감량에 해당하는 보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기 위한 보상 지급부
    를 구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D 발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패치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해싱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및 해싱 프로그램 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주소를 발급하기 위한 블록체인 주소 발급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블록체인 주소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고유 에코 ID를 생성하기 위한 에코 ID 생성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스마트 컨트랙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모듈, 및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탄소배출 저감량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에 배포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토큰으로 산정하기 위한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 산정된 상기 탄소 토큰을 상기 사용자의 상기 블록체인 주소로 송금하기 위한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을 패치하기 위한 데이터 패치 프로그램 모듈, 상기 탄소배출 저감량에 대응하는 탄소 토큰으로 산정하기 위한 보상액 산정 프로그램 모듈, 산정된 상기 탄소 토큰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으로 송금하기 위한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금 환전 요청에 따라 상기 환전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환전 요청 처리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환전 요청 처리에 따라 현금-탄소 토큰 환전을 수행하기 위한 현금-탄소 토큰 환전 스마트 컨트랙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배포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을 사용자 단말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회 모듈을 더 구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배포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을 SNS에 공유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및 평생 에코 ID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20065697A 2022-05-27 2022-05-27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KR10246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97A KR102465074B1 (ko) 2022-05-27 2022-05-27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97A KR102465074B1 (ko) 2022-05-27 2022-05-27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074B1 true KR102465074B1 (ko) 2022-11-09

Family

ID=8404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697A KR102465074B1 (ko) 2022-05-27 2022-05-27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0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71B1 (ko)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1242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재활용품 회수내역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000704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
KR102265153B1 (ko) 2016-08-24 2021-06-17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개인 탄소 발자국의 계산
KR102397021B1 (ko) * 2021-12-13 2022-05-16 주식회사 그레이트퍼즐 투명 페트 용기 분리수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71B1 (ko)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1242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재활용품 회수내역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000704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
KR102265153B1 (ko) 2016-08-24 2021-06-17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개인 탄소 발자국의 계산
KR102397021B1 (ko) * 2021-12-13 2022-05-16 주식회사 그레이트퍼즐 투명 페트 용기 분리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98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cessing recyclables
CN109685551A (zh) 信息处理方法及其装置、服务器及信息处理系统
WO2013187686A1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600128B2 (en) Mobile expense report system
JP4864007B2 (ja) 電子機器の回収方法及び装置
CN102187363B (zh) 对来自聚合材料的能量或环境信用进行货币化及交易的系统和方法
CN113784806A (zh) 闭环回收工艺和系统
US20210012605A1 (en) Methods of recyclable electronic based reward system for invoking proper recycling procedures
KR20180006338A (ko) 식별 가능 태그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결제수단과 문서 전산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373148B2 (en) Trash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3688252A (zh) 用于提供允许分发现金的平台的工具包、系统和相关联的方法和服务
US11526860B1 (en) Mobile cash deposit system and method
CN105416918B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US20130103528A1 (en) Methods for using a shopping bag of reusable type with identification of digital type
KR101543457B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위조방지를 위한 인증라벨을 이용하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32642A1 (en) Use of an e-receipt to verify ownership and service of a product
JP2009104491A (ja) ゴミ分別回収支援システム
KR20120000704A (ko)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
EP36373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nvironmental impact
KR102465074B1 (ko)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TWI622006B (zh) 有價物交易系統及其交易方法
CN104856385B (zh) 智能钱包和基于其的用户账户信息获取方法
KR20230165647A (ko)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KR102407277B1 (ko) 종량제 물품 레이블 생성 장치, 이를 이용한 종량제 물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0275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배출 저감량 적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