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260B1 -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260B1
KR102454260B1 KR1020210187828A KR20210187828A KR102454260B1 KR 102454260 B1 KR102454260 B1 KR 102454260B1 KR 1020210187828 A KR1020210187828 A KR 1020210187828A KR 20210187828 A KR20210187828 A KR 20210187828A KR 102454260 B1 KR102454260 B1 KR 10245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yclables
pressing
incentiv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영주
한창수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베르트
Priority to KR102021018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06Q30/021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based on s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기기에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인식하여 해당 재활용품의 가치에 상당하는 인센티브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용품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하여 재활용률을 높이는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Incentive system using recycl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기기에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인식하여 해당 재활용품의 가치에 상당하는 인센티브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용품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하여 재활용률을 높이는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으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기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기 위한 각국 정부 및 기업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재활용품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있으나, 분리수거가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수거된 재활용품이 실제로 재활용되는 비율도 상당히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재활용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재활용률을 높임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하기 위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74381호에 개시된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재활용품 수거 장치 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를 통해 사용자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투입되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재활용품인지 확인하여 재활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투입된 물품이 재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물품을 투입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블랙리스트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상기 재활용품 수거 장치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간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공유하며, 상기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투입된 물품이 반출되도록 상기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구비된 반출구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투입된 물품이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투입된 재활용품의 대가에 상당하는 포인트를 적립하여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포인트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에 투입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비에 상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여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포인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재활용에 대한 보상이 미흡하고 그 보상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가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재활용률을 높이는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74381호('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운용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기기에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인식하여 해당 재활용품의 가치에 상당하는 인센티브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용품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하여 재활용률을 높이는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은,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기기; 상기 재활용기기에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재활용기기를 통해 수거되는 재활용품의 수를 카운팅하고 재활용품의 종류 및 무게를 판별하여 인센티브를 산출 및 집계하는 인센티브 집계부;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지불할 거래방식을 선택하는 지불방식 선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활용기기는, 페트병과 캔, 공병, 고철, 폐비닐, 스티로폼 등의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수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기가 연속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병과 폐비닐, 스티로폼은 수거부를 통해 본체 내부로 수거되고, 상기 페트병과 캔, 고철을 수거하기 위한 재활용기기는, 수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수거부를 통해 수거된 재활용품을 압착시켜 부피를 줄이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된 재활용품을 한 곳으로 모으는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재활용품이 투입홀로 투입되어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면서 압착시키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의 하부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된 재활용품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안내돌기,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압축된 재활용품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회오리 형상의 배출안내돌기, 상기 회전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배출부; 상기 압착부재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승강안내공, 상기 압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승강기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승강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어가 래크기어와 맞물린 상태에서는 압착부재를 상승시키고, 승강기어가 래크기어에서 벗어나면 압착부재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하는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증부(200)는 지역화폐 카드번호 입력, QR코드, NFC, 블루투스, 홍체인식, 지문인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하며, 상기 압착부재의 하면과 배출부의 회전체 상면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압착되는 재활용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에서 집계되는 인센티브 금액은 재활용품의 과거 판매 금액을 참조하여 산출되고, 재활용품의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₂저감량 DB와 매칭하여 CO₂저감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CO₂저감량에 따라 인센티브가 집계되고, 상기 지불방식 선택부는,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현금, 지역화폐, 상품권 또는 포인트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에서 집계된 인센티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환경단체 또는 지역단체에 기부하도록 하는 기부 유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용기기에 수거되는 재활용품의 수를 카운팅 및 무게와 종류를 판별하여 인센티브를 집계하고 집계된 인센티브 금액을 사용자에게 현금이나 핀테크기업, 정부 및 지자체, 일반 기업이 제공하는 화폐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재활용품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하여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기기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재활용품의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과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기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은,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기기(100); 상기 재활용기기(100)에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부(200); 상기 재활용기기(100)를 통해 수거되는 재활용품의 수를 카운팅하고 재활용품의 종류 및 무게를 판별하여 인센티브를 산출 및 집계하는 인센티브 집계부(300);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지불할 거래방식을 선택하는 지불방식 선택부(40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기기(100)는 다수 개의 기기가 연속설치되며, 페트병과 캔을 수거하는 기기(100a), 공병을 수거하는 기기(100b), 고철을 수거하는 기기(100c), 폐비닐과 스티로폼 등을 수거하는 기기(100d)로 구분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이 중 공병은 수거부(111)를 통해 기기 내부로 수거되며 갯 수를 카운팅하여 인센티브 집계부(300)를 통해 집계된다.
상기 재활용기기(100) 중 페트병과 캔, 고철을 수거하는 기기(100a)(100c)의 내부에는 재활용품을 압착하여 수거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페트병과 캔, 고철을 수거하는 재활용기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부(111)가 구비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부로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부(120); 상기 수거부(111)를 통해 수거된 재활용품을 압착시켜 부피를 줄이는 압착부(130); 상기 압착부(130)에서 압착된 재활용품을 한 곳으로 모으는 수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120)는 본체(110)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수거부(111)를 통해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가압하는 가압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실린더(122)가 구비되어 가압체(121)를 승하강시키면서 재활용품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압착부(130)는 압착부재(131), 배출부(132), 작동부(133)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부재(131)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되, 가압체(12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중앙에는 재활용품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면서 재활용품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132)는 압착부재(131)의 하부에서 구동모터(132d)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회전체(132a)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132a)의 중앙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재활용품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돌기(132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132a)이 상면에는 회오리 형상의 배출안내돌기(132c)가 구비되어 압축된 재활용품이 수집부(140) 측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132a)의 하부에는 회전체(13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d)가 장착된다.
상기 작동부(133)는 본체(110)의 일측에 승강안내공(133a)이 형성되며, 압착부재(131)의 일측에 래크기어(133b)가 형성되어 본체(110)에 형성된 승강안내공(133a)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승강기어(133c)가 장착된 구동모터(133d)가 고정되며, 상기 승강기어(133c)는 래크기어(133b)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33d)의 구동으로 승강기어(133c)가 회전하게 되면 압착부재(131)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기어(133c)가 래크기어(133b)에서 벗어나게 되면 압착부재(13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작동을 반복실시하게 되면서 압착부재(131)가 재활용품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부재(131)의 상면은 외측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활용품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압착부재(131)의 하면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압착되는 재활용품이 수집부(14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부재(131)의 하면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재활용품이 균일하게 배출되지 않고 정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131)이 하면에는 불규칙하게 돌출형성되는 압착돌기(134)가 구비되며, 상기 압착돌기(134)는 압착부재(131)의 하강시 재활용품을 눌러 압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페트병은 재활용기기 내부에 구비된 분쇄시스템(1)에 의해 분쇄되어 수거될 수도 있다.
상기 분쇄시스템(1)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공간(41)을 갖는 함체로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캐스터(43)를 갖는 케이스(40)와; 상기 설치공간(41)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투입되는 패트병을 분쇄하는 분쇄기(10)와; 상기 분쇄기(10)의 커터유닛(200)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쇄기(10)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분쇄기(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분쇄기(10)를 통해 분쇄된 펠릿을 수집 및 수거하는 배출부(60)와; 상기 분쇄기(10)의 투입구(107)와 케이스(40)의 상측 일면을 덕트 연결하여 케이스(40)의 외부에서 분쇄기(10)까지 패트병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부(20)와; 상기 투입부(20)를 통해 투입되는 패트병의 중량 및 재질을 감지하는 센서부(70)와; 패트병을 투입하는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센서부(70)가 감지한 패트병의 정보를 종합하여 투입되는 패트병의 비용을 계량할 수 있도록 RFID를 갖는 계량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기(10)는, 도 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구동회전되는 회전축(610)을 기준으로 상부에 페트병이 투입되는 분쇄공간(601)과 하부에 분쇄된 펠릿을 수집하는 수집공간(603)을 갖는 본체부(600)와, 상기 회전축(610)에 연동하여 페트병을 소정 크기의 펠릿으로 분쇄하는 분쇄유닛(7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분쇄유닛(700)은, 상기 회전축(610)에 축결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공간(601)에 투입되는 대형의 페트병을 상기 본체부(600)의 칼날판(620)을 통과하여 분쇄하는 제1분쇄팁(715)을 갖는 대형의 제1분쇄커터(710)와; 상기 제1분쇄커터(710)와 동일축 복수개로 장착되어 상기 제1분쇄커터(710)에 의해 잘개 분쇄된 페트병을 상기 본체부(600)의 칼날판(620)을 통과하여 더욱 작은 크기의 펠릿으로 분쇄하는 제2분쇄팁(725)을 갖는 소형의 제2분쇄커터(720)와; 상기 본체부(6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쇄커터(710)의 제1분쇄팁(715)이 치합되는 면적의 두께를 점차 얇게 하는 단차를 형성된 단차팁(625)을 갖는 칼날판(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칼날판(620)의 단부에는, 상기 제2분쇄커터(720)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제2분쇄팁(725)에 대응하여 잘개 부서진 페트병을 펠릿으로 더욱 작게 분쇄할 수 있도록 요철팁(621)이 치합되며, 상기 요철팁(621)은 제2분쇄팁(725)의 사다리꼴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팁경사부(623)를 더 형성되며, 상기 팁경사부(623)에 대응하여 상기 제2분쇄커터(720)의 제2분쇄팁(725)은 상기 제2분쇄커터(720)의 둘레를 따라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팁(715)의 측에는 살빼기홈(719)이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분쇄커터(710)는 상기 회전축(610)의 키(615)에 대응하여 일정한 각도를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각도의 제1키홈(717)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페트병을 분쇄기(10)를 통해 분쇄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절단저항 및 마찰저항의 감소를 통해 모터의 부하감소, 절단날의 마모감소, 절단소음감소 및 수명연장과 더불어 중량감소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증부(200)는 사용자가 재활용품을 재활용기기(100)의 수거부(111)에 투입하기 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증부(200)는 지역화폐 카드번호 입력, QR코드, NFC, 블루투스, 홍체인식, 지문인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는 수거부(1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AL 카메라가 스캔하여 판별하고, 카운트부를 통해 재활용품의 수를 카운팅하며, 무게측정부를 통해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는 재활용품의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₂저감량 DB와 매칭하여 CO₂저감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CO₂저감량에 따라 인센티브가 집계된다.
상기 지불방식 선택부(400)는 인센티브 집계부(300)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현금, 지역화폐, 상품권, 포인트 등으로 제공하게 된다.
즉, 결제시스템의 다양화로 인해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소기의 성과를 이룰 수 있고, 기업에서는 이미지 개선과 광고, 환경부담금 감면, 자사 화폐를 이용한 소비유도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200)에서 집계된 인센티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환경단체 또는 지역단체에 기부하도록 하는 기부 유도부(50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재활용기기(100)에 사용자 정보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T1)
사용자 정보 인증 과정은 지역화폐 카드번호 입력, QR코드, NFC, 블루투스, 홍체인식, 지문인식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재활용기기(100)에 재활용품이 수거되면 이를 인식하게 되고, 재활용기기(100)에 수거된 재활용품의 종류,재질을 AI 카메라가 스캔하여 판별하고, 카운트부는 재활용품의 갯 수를 카운팅하며, 무게측정부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인센티브를 집계한다.(ST2)
상기 ST2단계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사용자에게 지불하되, 지불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ST3)
인센티브의 지불방식은 현금, 지역화폐, 상품권 또는 포인트로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인센티브는 재활용기기(100)에 구비된 정산부를 통해 정산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센티브를 정산을 받지 않고 기부를 할수도 있다.(ST4)
기부는 인센티브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금액의 인센티브는 환경단체, 지역단체 등에 기부할 수 있으며, 재활용기기(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기부하고자 하는 단체를 선택하여 기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재활용기기
110: 본체
120: 가압부
130: 압착부
140: 수집부
200: 인증부
300: 인센티브 집계부
400: 지불방식 선택부
500: 기부 유도부
600: 본체부
700: 분쇄유닛

Claims (3)

  1.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기기(100);
    상기 재활용기기(100)에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부(200);
    상기 재활용기기(100)를 통해 수거되는 재활용품의 수를 카운팅하고 재활용품의 종류 및 무게를 판별하여 인센티브를 산출 및 집계하는 인센티브 집계부(300);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지불할 거래방식을 선택하는 지불방식 선택부(400)로 구성되며,
    상기 재활용기기(100)는,
    다수 개의 기기가 연속설치되며, 페트병과 캔을 수거하는 기기(100a), 공병을 수거하는 기기(100b), 고철을 수거하는 기기(100c), 폐비닐과 스티로폼 등을 수거하는 기기(100d)로 구분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상기 공병과 폐비닐, 스티로폼은 수거부를 통해 본체 내부로 수거되고,
    상기 재활용기기(100) 중 페트병과 캔, 고철을 수거하는 기기(100a)(100c)는,
    수거부(111)가 구비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부로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부(120);
    상기 수거부(111)를 통해 수거된 재활용품을 압착시켜 부피를 줄이는 압착부(130);
    상기 압착부(130)에서 압착된 재활용품을 한 곳으로 모으는 수집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120)는,
    상기 본체(110)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수거부(111)를 통해 수거되는 재활용품을 가압하는 가압체(121);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가압체(121)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22)가 구비되어 재활용품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압착부(130)는,
    재활용품이 투입홀로 투입되어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면서 압착시키는 압착부재(131);
    상기 압착부재(131)의 하부에서 구동모터(132d)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착된 재활용품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회전체(132a), 상기 회전체(132a)의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재활용품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돌기(132b), 상기 회전체(132a)의 상면에 압축된 재활용품을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회오리 형상의 배출안내돌기(132c), 상기 회전체(132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2d)가 구비되는 배출부(132);
    상기 압착부재(131)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며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승강안내공(133a), 상기 압착부재(131)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크기어(133b), 상기 래크기어(133b)에 맞물려 회전하는 승강기어(133c),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승강기어(133c)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3d)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어(133c)가 래크기어(133b)와 맞물린 상태에서는 압착부재(131)를 상승시키고, 승강기어(133c)가 래크기어(133b)에서 벗어나면 압착부재(12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하는 작동부(133)가 구비되고,
    상기 압착부재(131)의 하면과 배출부(132)의 회전체(132a) 상면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압착되는 재활용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압착부재(131)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불규칙하게 돌출형성되어 재활용품의 압착률을 높이는 압착돌기(1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200)는 지역화폐 카드번호 입력, QR코드, NFC, 블루투스, 홍체인식, 지문인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하며,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에서 집계되는 인센티브 금액은 재활용품의 과거 판매 금액을 참조하여 산출되고, 재활용품의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₂저감량 DB와 매칭하여 CO₂저감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CO₂저감량에 따라 인센티브가 집계되고,
    상기 지불방식 선택부(400)는,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에서 집계된 인센티브를 현금, 지역화폐, 상품권 또는 포인트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인센티브 집계부(300)에서 집계된 인센티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환경단체 또는 지역단체에 기부하도록 하는 기부 유도부(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KR1020210187828A 2021-12-24 2021-12-24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KR10245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28A KR102454260B1 (ko) 2021-12-24 2021-12-24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28A KR102454260B1 (ko) 2021-12-24 2021-12-24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260B1 true KR102454260B1 (ko) 2022-10-14

Family

ID=8359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828A KR102454260B1 (ko) 2021-12-24 2021-12-24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420B1 (ko) * 2022-12-26 2023-05-16 이연옥 탄소저감용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85A (ko) * 2012-06-14 2013-12-24 이철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60112A (ko) * 2013-11-25 2015-06-03 임유선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5854A (ko) * 2014-03-10 2015-09-18 (주)더모스트컨설팅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101674381B1 (ko) 2014-05-20 2016-11-09 (주)솔루션아이티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관리 서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198800B1 (ko) * 2019-10-14 2021-01-05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85A (ko) * 2012-06-14 2013-12-24 이철희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60112A (ko) * 2013-11-25 2015-06-03 임유선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5854A (ko) * 2014-03-10 2015-09-18 (주)더모스트컨설팅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101674381B1 (ko) 2014-05-20 2016-11-09 (주)솔루션아이티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관리 서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198800B1 (ko) * 2019-10-14 2021-01-05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420B1 (ko) * 2022-12-26 2023-05-16 이연옥 탄소저감용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68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재활용쓰레기 회수방법
KR102454260B1 (ko) 재활용기기를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US9704142B2 (en) System and kiosk apparatus for collecting end-of-life mobile phones
KR100973548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2296093B1 (ko) 재활용품 분리 수거 장치
US9542815B2 (en) Banking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9361767B2 (en) Banking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CN109215219B (zh) 提高自动售货机盘点速度的方法及系统
US8701985B2 (en) Banking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9697699B2 (en) Banking apparatus with deposit accepting device
US8870066B2 (en) Banking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CN104794830A (zh) 一种自助购物结账装置及自助购物结账方法
KR20110034340A (ko)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KR100962713B1 (ko) 패트병과 캔 처리장치를 가진 크린하우스
KR101161751B1 (ko)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
CN110992580A (zh) 一种智能饮料瓶自动回收机
CN210574026U (zh) 一种检测模块及其纸币鉴别模块
KR20030003978A (ko) 캔-공병 회수장치
KR20030003979A (ko) 캔-공병 회수시스템
CN112669514B (zh) 一种新型结构的磁头
CN208188970U (zh) 一种自助收银装置
CN110969772A (zh) 一种自动出袋式共享购物袋借袋机及其使用方法
KR102506734B1 (ko)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CN205091844U (zh) 一种超市智能收款购物车
CN202795543U (zh) 智能点验钞机上的多方位胶纸感应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