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548B1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3548B1 KR100973548B1 KR1020100036186A KR20100036186A KR100973548B1 KR 100973548 B1 KR100973548 B1 KR 100973548B1 KR 1020100036186 A KR1020100036186 A KR 1020100036186A KR 20100036186 A KR20100036186 A KR 20100036186A KR 100973548 B1 KR100973548 B1 KR 100973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recycling
- input
- sorting
- recycling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0—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by light-responsiv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7C5/12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bottles, ampoules, jars and other glasswa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분리수거 유도수단으로 포인트 적립수단을 제공하고,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투입구,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는 재질판별부 및 판별된 재질에 따라 선별 분류하는 선별안내부에 위치되는 재활용 용기를 누여진 상태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설치길이(세로길이)를 단축하는 만큼 수거함의 수거길이(세로길이)를 늘림으로써, 수납공간 면적이 증대되고, 캔, 페트, 유리병 및 이물질의 세 곳으로 분류제어가 가능한 선별제어수단을 갖으며, 종래보다 페트의 파쇄시간을 단축시켜 파쇄효율이 향상된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 용기를 투입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용기의 투입시마다 포인트로 누적저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저장된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와;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저장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리더부(110)를 갖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과; 상기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닿게 누여져 투입되도록 투입공간을 갖는 투입구(210)와; 하부가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접촉된 누여진 상태에서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여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생성하는 재질판별부(300)와;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상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바닥에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을 감지하여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들과;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질이 판별된 재활용 용기를 그 판별된 재질에 따라 해당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하는 선별안내부와;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파쇄하는 파쇄부(500)와;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의 상면 및 하면을 압착하는 압착부(600)와; 상기 선별안내부, 상기 파쇄부(500) 또는 상기 압착부(600)로부터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재질별로 적재되도록 재질별로 구분된 수거함들이 구비된 재질별 수거부(700)와; 재활용 용기의 투입에 따른 포인트 누적, 재활용 용기의 재질선별, 압착 및 파쇄를 포함하는 재활용 용기 수거의 전반적인 상황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카드리더부(110)로부터 판독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용기별 재질판별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캔 또는 페트인 경우 상기 캔 또는 페트에 해당하는 재활용 용기의 재활용 투입에 따른 포인트를 상기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누적 정산한 후 이를 상기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누여진 상태의 재활용 용기를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해당하는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선별안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페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들로부터 입력되는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인 페트의 대, 중, 소의 크기별로 포인트가 차등지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분리수거 유도수단으로 포인트 적립수단을 제공하고,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투입구,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는 재질판별부 및 판별된 재질에 따라 선별 분류하는 선별안내부에 위치되는 재활용 용기를 누여진 상태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설치길이(세로길이)를 단축하는 만큼 수거함의 수거길이(세로길이)를 늘림으로써, 수납공간 면적이 증대되고, 캔, 페트, 유리병 및 이물질의 세 곳으로 분류제어가 가능한 선별제어수단을 갖으며, 종래보다 페트의 파쇄시간을 단축시켜 파쇄효율이 향상된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병, 캔 또는 페트(PET) 등의 재질로 제공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이하 재활용 용기기라 칭함)의 경우 일회성으로서, 사용 후 버리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더불어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활용 용기를 재질별로 구분하여 분리수거 및 압착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선등록(등록특허 제 10-0804593호)된 것으로,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는, 재활용 용기를 분리선별하여 감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재활용 용기를 투입하는 투입부(20)와, 상기 투입부(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과 비금속을 감지하는 금속센서(21)와, 상기 투입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입부(20)로부터 직립되어 재활용 용기가 투하되면 이를 감지하여 직립된 재활용 용기의 양측면을 압착하는 용기 측면 압착부(30)와, 상기 용기 측면 압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립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의 낙하음을 감지하여 압착 또는 파쇄 여부를 판단하는 선별음 센서(31)와, 상기 용기 측면 압착부(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 측면 압착부(30)로부터 투하되는 압착 또는 파쇄 여부가 판단된 재활용 용기를 그 판단된 압착 또는 파쇄 여부에 따라 해당 저장함 쪽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선별부(40)와, 상기 선별부(4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별부(40)의 하부 일측에는 비파쇄 저장함(51) 및 선별부(40)의 타측에는 파쇄저장함(52)을 갖는 재활용 수납부(50)와, 상기 파쇄저장함(5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선별부(40)를 통해 투하되는 직립상태로 압착된 재활용 용기를 파쇄하는 파쇄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구성되는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는 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된 투입부(20)를 통해 재활용 용기를 직립시켜 투입하면 투입부(20)의 일측에 설치된 금속센서(21)를 통해 금속 여부가 감지된다.
여기서, 금속이라 감지되면, 용기 측면 압착부(30)에서 압착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이후, 직립 투입된 재활용 용기는 직립된 상태로 용기 측면 압착부(30)로 투하된다.
이때, 용기 측면 압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된 선별음 센서(31)는 용기 측면 압착부(30)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낙하음을 감지하여 압착 또는 파쇄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감지된 낙하음이 페트병으로 판단되면 용기 측면 압착부(30)에서 압착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되고, 비금속이며 페트병이면 이 또한, 용기 측면 압착부(30)에서 압착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며, 유리병인 경우 용기 측면 압착부(30)에서 압착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용기 측면 압착부(30)는 재활용 용기의 금속인 캔과 비금속 중 페트병은 압착작업을 수행한다. 즉, 직립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을 가압하여 직립된 재활용 용기를 압착시킨 후 선별부(40)로 투하시킨다.
이때, 선별부(40)는 직립상태로 압착된 재활용 용기가 금속재질이면 비파쇄 저장함(51) 쪽으로 연통되도록 이동된 상태이고, 직립상태로 압착된 재활용 용기가 비금속재질로서 페트이면 파쇄 저장함(52) 쪽으로 연통되도록 이동된 상태로 재질에 따라 선별되어 분리되게 한다.
이때, 파쇄 저장함(52) 쪽으로 투하되는 직립상태로 압착된 재활용 용기는 파쇄부(60)를 통해 파쇄되어 파쇄저장함(52)에 적재된다.
그리고 비금속이면서 유리인 재활용 용기는 압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파쇄 저장함(51) 쪽으로 투하되어 적재됨으로써, 재활용 용기의 재질에 따른 분류, 선별 압착 및 선별 수거가 완료된다.
이와 더불어, 재활용 용기인 유리병, 페트 및 캔이 아닌 다른 물질인 경우 이물질로 판단하여 압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파쇄 저장함(51) 쪽으로 투하되어 적재되게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는 수거되는 각종 재활용 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로서, 자동 분리 수거를 통해 인건비 등의 유지비용을 줄여 이윤창출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분리수거를 권장해야 하지만 이러한 분리수거 유도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는 이용자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인 성인의 통상의 신장보다 작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런데 몸체부(10)의 상면에 설치된 투입부(20)를 통해 재활용 용기가 직립된 상태로 투입되고, 용기 측면 압착부(30)에서도 직립된 상태로 용기의 양측면이 압착되기 때문에 투입부(20) 및 용기 측면 압착부(30)의 설치길이(세로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재활용 수납부(50)의 수납길이(세로길이)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재활용 수납부(50)의 수납공간의 크기 또한 협소해 짐으로써,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자주 재활용 수납부(50)에 적재된 재활용 용기들을 수거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에 구비되는 선별부(40)는 비파쇄 저장함(51) 또는 파쇄저장함(52)의 두 곳 중 어느 한 곳으로 안내되도록 선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비파쇄 저장함(51)에는 캔, 유리병 및 이물질이 혼재되어 적재된다.
그런데 유리병은 캔에 비해 사용률이 낮아 인력을 동원하여 수거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수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이물질 또한, 투입되는 경우가 낮기 때문에 캔과 유리병 및 이물질을 분류하여 수거해야 하나 선별부(40)에서 단지 두 곳으로만 분류할 수 있어 캔, 페트, 유리병 및 이물질의 세 곳으로 분류제어가 가능한 선별제어수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네 번째로, 종래의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에 구비되는 파쇄부(60)는 선별부(40)로부터 투하되는 페트를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나 투하되는 페트의 중량이 적게 나가 파쇄부(60)가 용이하게 파쇄를 수행할 수 없어 파쇄시간이 길어지는 등 파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분리수거 유도수단으로 포인트 적립수단이 구비된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투입구,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는 재질판별부 및 판별된 재질에 따라 선별 분류하는 선별안내부에 위치되는 재활용 용기를 누여진 상태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설치길이(세로길이)를 단축하는 만큼 수거함의 수거길이(세로길이)를 늘림으로써, 수납공간 면적이 증대된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캔, 페트, 유리병 및 이물질의 세 곳으로 분류제어가 가능한 선별제어수단을 갖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종래보다 페트의 파쇄시간을 단축시켜 파쇄효율이 향상된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는, 재활용 용기를 투입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용기의 투입시마다 포인트로 누적저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저장된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와;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에 저장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리더부를 갖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과; 상기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닿게 누여져 투입되도록 투입공간을 갖는 투입구와; 하부가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 쪽으로부터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접촉된 누여진 상태에서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여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생성하는 재질판별부와; 상기 재질판별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질이 판별된 재활용 용기를 그 판별된 재질에 따라 해당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하는 선별안내부와;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파쇄하는 파쇄부와;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의 상면 및 하면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선별안내부, 상기 파쇄부 또는 상기 압착부로부터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재질별로 적재되도록 재질별로 구분된 수거함들이 구비된 재질별 수거부와; 재활용 용기의 투입에 따른 포인트 누적, 재활용 용기의 재질선별, 압착 및 파쇄를 포함하는 재활용 용기 수거의 전반적인 상황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카드리더부로부터 판독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재질판별부로부터 용기별 재질판별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캔 또는 페트인 경우 상기 캔 또는 페트에 해당하는 재활용 용기의 재활용 투입에 따른 포인트를 상기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누적 정산한 후 이를 상기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누여진 상태의 재활용 용기를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해당하는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선별안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는 전국각지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전국각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는 상기 다수개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로부터 누적정산된 정보로 이용자 별로 구분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전송받아 누적관리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에는 상기 재질판별부의 상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재질판별부의 바닥에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을 감지하여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용기크기 감지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질판별부로부터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페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용기크기 감지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인 페트의 대, 중, 소의 크기별로 포인트가 차등지급되도록 제어한다.
삭제
상기 재질판별부는, 전측 고정판과; 후측 고정판과; 상기 전측 고정판 및 상기 후측 고정판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 쪽으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바닥이 상기 후측 고정판에 접촉되도록 하향 기울어진 한 쌍의 거치대와; 상기 한 쌍의 거치대에 누여진 상태로 측면이 접촉된 재활용 용기가 금속 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센서와; 상기 한 쌍의 거치대에 누여진 상태로 측면이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에는, 상기 투입구와 상기 재질판별부 사이에 상기 투입구 쪽으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재질판별부로 강제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강제이송부는,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에 연결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구동 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강제이송부측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안내부는, 파쇄측 통로, 압착측 통로 및 기타측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재질판별부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상부에 파쇄측 진입공간이 형성된 일측 격막 및 상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상부에 압착측 진입공간이 형성된 타측 격막과; 일측 회전축, 상기 일측 회전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일측 모터, 상기 일측 회전축을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동 시 상기 파쇄측 진입공간을 덮고, 상기 일측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동 시 상기 재질판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질판별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상기 파쇄측 진입공간을 통해 상기 파쇄부 쪽으로 투하되게 유도하는 회동용 일측 개폐판을 갖는 일측 선별구와; 타측 회전축, 상기 타측 회전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타측 모터, 상기 타측 회전축을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동 시 상기 압착측 진입공간을 덮고, 상기 타측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동 시 상기 재질판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질판별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상기 압착측 진입공간을 통해 상기 압착부 쪽으로 투하되게 유도하는 회동용 타측 개폐판을 갖는 타측 선별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질별 수거부는,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놓이는 페트 수거함, 상기 일측 격막 및 타측 격막 사이에 놓이는 기타 수거함 및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놓이는 캔 수거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에는, 상기 파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파쇄부 쪽으로 강제 진입시켜주는 강제진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강제진입부는, 강제진입부측 회전축과; 상기 강제진입부측 회전축을 따라 고정연결되는 진입유도 날개;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부는, 이동구멍이 형성된 압착 전판과; 압착 후판과; 상기 압착 전판과 상기 압착 후판 사이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향판과; 상기 압착 전판과 상기 압착 후판 사이에 놓여지는 가압판과; 상기 압착 전판의 안내구멍에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가압판의 배면에 힌지연결되는 왕복샤프트와; 압착부측 회전축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압착부측 모터와; 일측이 상기 왕복샤프트의 타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압착부측 모터의 압착부측 회전축에 고정연결되는 회전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판에는 투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하향판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하향판에 형성된 투하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주는 개폐셔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분리수거 유도수단으로 포인트 적립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재활용 용기를 수거할 수 있게 유도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용기의 선별수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투입구,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는 재질판별부 및 판별된 재질에 따라 선별 분류하는 선별안내부에 위치되는 재활용 용기를 누여진 상태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설치길이(세로길이)를 단축하는 만큼 수거함의 수거길이(세로길이)를 늘림으로써, 수납공간 면적이 증대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캔, 페트, 유리병 및 이물질의 세 곳으로 분류제어가 가능하여 수거효율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보다 페트의 파쇄시간을 단축시켜 파쇄효율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의 선별 및 압착장치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선별 및 압착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외관을 일부 절개한 일부절개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투입구, 강제이송부, 용기크기 감지센서들 및 재질판별부 등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내부의 전면 쪽을 나타낸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내부의 좌측면 쪽을 나타낸 것으로 페트의 대, 중, 소 크기별로 구분되어 투입된 것을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내부의 배면 쪽을 나타낸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선별안내부를 이루는 일측 선별구 및 타측 선별구의 회동배치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압착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압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 용기의 재질선별, 압착 및 파쇄를 포함하는 재활용 용기 수거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선별 및 압착장치를 나타낸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외관을 일부 절개한 일부절개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투입구, 강제이송부, 용기크기 감지센서들 및 재질판별부 등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내부의 전면 쪽을 나타낸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내부의 좌측면 쪽을 나타낸 것으로 페트의 대, 중, 소 크기별로 구분되어 투입된 것을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내부의 배면 쪽을 나타낸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선별안내부를 이루는 일측 선별구 및 타측 선별구의 회동배치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압착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구성 중 압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 용기의 재질선별, 압착 및 파쇄를 포함하는 재활용 용기 수거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는 크게,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 카드리더부(110),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들, 투입구(210), 재질판별부(300), 선별안내부, 파쇄부(500), 압착부(600), 재질별 수거부(700)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분리수거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게 유도하는 분리수거 유도수단의 구성으로 이용되는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는 재활용 용기를 투입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용기의 투입시마다 포인트로 누적저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저장된 카드이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를 통해 재활용 용기를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통해 분리수거를 할 때마다 포인트가 누적되도록 구현하여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분리수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준다. 이처럼 누적되는 포인트는 인터넷상에서의 사이버 결제수단인 사이버머니 또는 현금 등으로 변환사용하는 등 이용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은 재활용 용기의 재활용 용기의 재질선별, 압착 및 파쇄를 포함하는 재활용 용기 수거를 위해 제공되는 몸체로서,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이 내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게 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1)과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이 내부에 설치제공된다. 여기서, 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1)과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만 언급하였으나 구성부품의 고정설치를 위해 다양한 형상의 설치판들이 설치되어 제공된다.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전면부, 일예로, 후술되는 투입구(210)의 인근에 설치되는 상기 카드리더부(110)는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저장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판독하여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로 입력하는 장치로서,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의 하드웨어 구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카드리더부(110)가 선택적용될 수 있다.
즉,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가 RF카드인 경우 카드리더부(110)의 리딩수단은 RF리더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RF카드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이 적용된 카드로서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특정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전송처리하는 무선식별시스템 기반하의 카드이다.
이처럼,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로 적용되는 RF카드는 통상적으로 카드 내에 무선안테나, 단말기(리더기)와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RF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인 RF 인터페이스부, 커맨드 검출기, 데이터 저장부 등이 탑재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가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인 경우 카드리더부(110)의 리딩수단은 IC리더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IC카드란 집적회로(IC) 기억소자를 장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카드로서 저장용량에 한계가 있는 마그네틱카드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대중화되고 있는 카드이다. 일명 스마트카드(smart card)라고도 칭하는데, 이와 같은 IC카드인 스마트카드의 대표적인 플랫폼에는 자바 카드(Java Open Platform Card), 멀토스 카드(MULTOS Card), 그리고 SCFW 카드(Smartcard for Windows Card) 등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는 전국각지에 분포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이처럼 전국각지에 분포되어 제공될 경우 이용자들에게 자신이 누적한 포인트의 조회 서비스를 포함하는 각종 관리를 위해 전국각지에 분포된 다수개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공되는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는 전국각지에 분포된 다수개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로부터 누적정산된 정보로 이용자 별로 구분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전송받아 누적관리하며, 이용자의 포인트 조회요청이 있는 경우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투입구(210)는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투입길이를 최소화하고자 재활용 용기를 누여진 상태로 투입할 수 있도록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측면부에 설치제공되는 것으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닿게 누여져 투입되도록 투입공간을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재질판별부(300)는 하부가 개폐되는 것으로,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접촉된 누여진 상태에서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여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생성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제어부로 입력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여기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는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금속여부 정보와 중량정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판별부(300)의 세부구성은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측 고정판(311)과,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후측 고정판(312)과, 전측 고정판(311) 및 후측 고정판(312)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바닥이 후측 고정판(312)에 접촉되도록 하향 기울어진 한 쌍의 거치대(320)와, 후측 고정판(312)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거치대(320)에 누여진 상태로 측면이 접촉된 재활용 용기가 금속 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센서(330)와, 전측 고정판(311)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거치대(321,322)에 누여진 상태로 측면이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3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량감지센서(340)는 로드셀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주요 기술적 특징인 이용자들의 분리수거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재질이 페트인 경우 대, 중, 소의 크기에 따라 포인트가 차등 누적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캔의 경우 그 크기규격이 비슷하며, 환경오염 정도가 낮으나 상대적으로 페트의 경우 그 크기규격이 작은 경우는 500㎖ 정도, 중간크기는 1000㎖ 정도, 큰 경우는 1800㎖ 이상으로 다양한 크기규격을 갖아 재활용으로 환원시 그 효율 또한 크기규격에 비례할 뿐만 아니라 페트의 재질은 합성수지로서 소각시에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 것과 같이 환경오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재활용도가 그만큼 중요하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재질판별부(300)의 상측에는 센서거치구(130)가 고정설치되고, 그 고정설치된 센서거치구(130)의 중앙부를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설치되는 것으로 재질판별부(300)의 바닥에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을 감지하여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가 설치제공된다.
여기서,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 즉, 하측에 설치되는 용기크기 감지센서(121)는 500㎖ 정도 내외의 소규격, 1000㎖ 정도 내외의 중규격 및 1800㎖ 정도 내외의 대규격의 페트 모두 감지하여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중측에 설치되는 용기크기 감지센서(122)는 1000㎖ 정도 내외의 중규격 및 1800㎖ 정도 내외의 대규격의 페트만 감지하여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상측에 설치되는 용기크기 감지센서(123)는 1800㎖ 정도 내외의 대규격의 페트만 감지하여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로부터 입력되는 용기크기 감지신호의 수에 따라 투입된 페트의 대, 중, 소의 크기별로 판단하여 포인트를 차등 누적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는 광의 조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감지하는 포토센서, 초음파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의 다른 기술적 특징인 재질별 수거부(700)를 이루는 각 수거함(710,720,730)의 적재면적을 극대화시키고자 투입구(210) 및 재질판별부(300)에 위치되는 재활용 용기의 위치 상태를 누여진 상태로 위치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이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투입구(210)를 통해 놓여지는 재활용 용기가 재질판별부(300) 쪽에 놓여지지 않을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이를 해소하고자 투입구(210)와 상기 재질판별부(300) 사이에는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재질판별부(300)로 강제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350)가 추가로 설치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설치제공되는 강제이송부(350)의 세부구성은 투입구(210)와 상기 재질판별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351) 및 종동 풀리(352)와, 구동 풀리(351) 및 종동 풀리(352)에 연결되는 이송벨트(353)와, 구동 풀리(351)에 동력을 제공하는 강제이송부측 모터(3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안내부는,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질이 판별된 재활용 용기를 그 판별된 재질에 따라 해당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선별안내부의 세부구성은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파쇄측 통로(401), 압착측 통로(402) 및 기타측 통로(403)가 형성되도록 재질판별부(30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상부에 파쇄측 진입공간(411)이 형성된 일측 격막(410) 및 상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상부에 압착측 진입공간(421)이 형성된 타측 격막(420)이 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1)과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 사이에 연결설치된다.
또한, 일측 격막(410)과 타측 격막(420) 사이에 일측 선별구(430)와 타측 선별구(440)가 설치되는데 먼저, 일측 선별구(430)는 일측 격막(410)의 인근에 일측 회전축(431)이 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1)과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 사이에 연결설치되고, 그 연결설치된 일측 회전축(431)에 동력을 제공하는 일측 모터(432)가 일측 회전축(431)의 일단이 연결설치된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일측 모터(432)는 정역회전을 수행하는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 과회전에 의해 후술되는 회동용 일측 개폐판(433)이 일측 격막(410) 또는 타측 선별구(44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434)이 형성된 일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435)의 일측부가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의 외측면 돌출된 일측 회전축(4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부가 일측 모터(432)의 가장자리 부근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가 일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435)의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434)을 따라 이동하는 일측 동력전달편(436)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정역회전시에는 일측 동력전달편(436)의 타측부가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434)의 상부 일자공간을 따라 아래 위로 이동되고, 과회전 시 즉, 정회전인 반시계방향으로 과회전 시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434)의 상부 일자공간에서 양 갈래로 나눠진 홈 중 왼쪽 홈에 걸려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역회전시에도 동일하게 제한을 받아 안전하게 회동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일측 회전축(431)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동 시 상기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덮고, 일측 회전축(431)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동 시 재질판별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통해 파쇄부(500) 쪽으로 투하되게 유도하는 회동용 일측 개폐판(433)이 일측 회전축(431)을 따라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타측 선별구(440)는 타측 격막(420)의 인근에 타측 회전축(441)이 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1)과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 사이에 연결설치되고, 그 연결설치된 타측 회전축(441)에 동력을 제공하는 타측 모터(442)가 타측 회전축(441)의 일단이 연결설치된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102)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도, 타측 모터(442)로 정역회전을 수행하는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 과회전에 의해 후술되는 회동용 타측 개폐판(443)이 타측 격막(420) 또는 일측 선별구(43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444)이 형성된 타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445) 및 타측 동력전달편(446)가 타측 회전축(441)과 타측 모터(442) 사이에 중계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타측 회전축(441)을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타측 회전축(441)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동 시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덮고, 타측 회전축(441)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동 시 재질판별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통해 압착부(600) 쪽으로 투하되게 유도하는 회동용 타측 개폐판(443)이 타측 회전축(441)을 따라 용접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어부는 카드리더부(110)로부터 판독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입력되고, 재질판별부(300)로부터 용기별 재질판별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페트, 알루미늄 캔, 스틸 캔, 유리병 및 이물질로 구분 판별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에서는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기 위해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제어부가 참조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처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재질별 중량정보로서 페트중량정보는 18g∼45g이고, 알루미늄 캔 중량정보는 10g∼20g이며, 스틸 캔 중량정보는 20g 초과이고, 유리병 중량정보는 45g 초과이다.
이와 같은, 재질별 중량정보를 기준으로 제어부는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금속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금속인 경우 경우 먼저, 입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금속인 경우 누적되는 포인트 만큼 누적 정산한 한 후 그 누적정산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카드리더부(110)를 통해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그 누적정산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와 함께 입력된 개인식별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는 일정주기마다 저장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로 업로드 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는 금속으로 판단된 재활용 용기가 알루미늄 캔의 중량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스틸 캔의 중량에 해당되는지를 재활용 용기의 중량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함으로써, 누여진 상태의 재활용 용기가 스틸 캔인지 알루미늄 캔인지에 따라 각각 다른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되도록 선별안내부의 일측 선별구(430) 및 타측 선별구(440)를 회동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그 판단된 값이 알루미늄 캔의 중량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일측 선별구(430)의 일측 개폐판(433)은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덮은 상태로 있도록 제어하고, 타측 선별구(440)의 타측 개폐판(443)은 정회전 되도록 제어하여 재질판별부(3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재질판별부(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거치대(3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알루미륨 캔인 누여진 재활용 용기가 타측 선별구(440)의 타측 개폐판(443) 상으로 투하되어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통해 압착부(600) 쪽으로 진입되게 유도한다.
또한, 제어부는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금속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금속으로 스틸 캔의 중량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일측 선별구(430)의 일측 개폐판(433)은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덮은 상태로 있도록 제어하고, 타측 선별구(440)의 타측 개폐판(443)도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덮은 상태로 있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재질판별부(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거치대(3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알루미륨 캔인 누여진 재활용 용기가 수직 투하되어 후술되는 기타수거함(720)에 적재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스틸 캔을 기타수거함(720)에 분류수거하는 주된 이유는 캔 종류로 알루미늄 캔의 사용이 대부분이고, 스틸 캔의 사용은 미비하기 때문에, 분리수거 효율을 높이고자 스틸 캔을 기타수거함(720)에 분류수거한다.
또한, 제어부는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금속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비금속인 경우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중량정보가 페트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유리병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먼저, 제어부는 그 판단된 값이 페트의 중량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를 구동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는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로부터 한 개의 용기크기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 소규격의 페트로 판단하여 소규격의 페트의 재활용 시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입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누적 정산한 한 후 그 누적정산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카드리더부(110)를 통해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로부터 두 개의 용기크기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규격의 페트로 판단하여 중규격의 페트의 재활용 시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입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누적 정산한 한 후 그 누적정산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카드리더부(110)를 통해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로부터 세 개의 용기크기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 대규격의 페트로 판단하여 대규격의 페트의 재활용 시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입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누적 정산한 한 후 그 누적정산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카드리더부(110)를 통해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차등 누적정산된 각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와 함께 입력된 개인식별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일정주기마다 저장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로 업로드 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는 페트인 재활용 용기가 파쇄부(500) 쪽으로 진입되게 하기 위해 일측 선별구(430)의 일측 개폐판(433)은 역회전 되도록 제어하여 재질판별부(3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타측 선별구(440)의 타측 개폐판(443)은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덮은 상태로 있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재질판별부(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거치대(3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페트인 누여진 재활용 용기가 일측 선별구(430)의 일측 개폐판(433) 상으로 투하되어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통해 파쇄부(500) 쪽으로 진입되게 유도한다.
또한, 제어부는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금속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비금속인 경우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중량정보가 유리병의 중량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스틸 캔에 해당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일측 선별구(430)의 일측 개폐판(433)과 타측 선별구(440)의 타측 개폐판(443)을 회동제어하여 기타수거함(720)에 분류수거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는 45g을 초과하는 재활용 용기의 경우에도 기타수거함(720)에 분류수거되도록 제어한다.
앞에서 언급한 재질별 중량정보는 출시되는 페트, 알루미늄 캔, 스틸 캔, 유리병의 중량을 감안하여 재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재질별 수거부(700)는 선별안내부, 파쇄부(500) 또는 압착부(600)로부터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재질별로 적재되도록 재질별로 구분된 수거함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거함에는 파쇄부(500)의 하부에 놓이는 페트 수거함(710), 일측 격막(410) 및 타측 격막(420) 사이에 놓이는 기타 수거함(720) 및 압착부(600)의 하부에 놓이는 캔 수거함(7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페트 수거함(710), 기타 수거함(720) 및 캔 수거함(730)은 함 수납체(740)에 안치되어 제공되며, 함 수납체(740)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쇄부(500)는 파쇄측 통로(401)에 위치되어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파쇄하는 장치이다.
이때, 파쇄되는 페트인 재활용 용기의 경우 중량이 적게 나가 용이하게 파쇄를 수행할 수 없어 파쇄시간이 길어지는 등 파쇄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파쇄효율을 높이기 위해 파쇄부(500)의 상부에 선별안내부(4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파쇄부(500) 쪽으로 강제 진입시켜주는 강제진입부(510)가 설치제공된다.
이처럼, 제공되는 강제진입부(510)의 세부구성은 강제진입부측 회전축(511)과, 강제진입부측 회전축(511)을 따라 고정연결되는 진입유도 날개(512)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강제진입부(510)는 파쇄부(500)에 동력을 제공하는 파쇄부측 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데 동력제공방식은 기어의 치합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압착부(600)는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알루미늄 캔인 재활용 용기의 상면 및 하면을 압착하는 장치로서, 누여진 상태로 압착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압착부(600)의 압착길이(세로길이)가 작아져 더 큰 압착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캔의 상하면을 압축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향상된 압축효율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압착부(600)의 세부구성은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이동구멍(611)이 형성된 압착 전판(610)과, 압착 후판(620)과; 압착 전판(610)과 압착 후판(620) 사이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에 투하공간(631)이 형성된 하향판(630)과, 일측이 하향판(630)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하향판(630)에 형성된 투하공간(631)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주는 개폐셔터(680)와, 압착 전판(610)과 압착 후판(620) 사이에 놓여지는 가압판(640)과, 압착 전판(610)의 안내구멍에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이 가압판(640)의 배면에 힌지연결되는 왕복샤프트(650)와, 압착부측 회전축(661)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압착부측 모터(660)와, 일측이 왕복샤프트(650)의 타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압착부측 모터(660)의 압착부측 회전축(661)에 고정연결되는 회전구(670)로 이루어진다.
100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 101 : 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
102 :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 110 : 카드리더부
121,122,123 : 용기크기 감지센서 130 : 센서거치구
210 : 투입구
300 : 재질판별부 311 : 전측 고정판
312 : 후측 고정판 320 : 거치대
330 : 금속감지센서 340 : 중량감지센서
350 : 강제이송부 351 : 구동 풀리
352 : 종동 풀리 353 : 이송벨트
354 : 강제이송부측 모터 355 : 이탈방지날개
401 : 파쇄측 통로 402 : 압착측 통로
403 : 기타측 통로 410 : 일측 격막
411 : 파쇄측 진입공간 420 : 타측 격막
421 : 압착측 진입공간 430 : 일측 선별구
431 : 일측 회전축 432 : 일측 모터
433 : 회동용 일측 개폐판
434,444 :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
435 : 일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 436 : 일측 동력전달편
440 : 타측 선별구 441 : 타측 회전축
442 : 타측 모터 443 : 회동용 타측 개폐판
445 : 타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 446 : 타측 동력전달편
500 : 파쇄부 510 : 강제진입부
511 : 강제진입부측 회전축 512 : 진입유도 날개
600 : 압착부 610 압착 전판
611 : 이동구멍 620 : 압착 후판
630 : 하향판 631 : 투하공간
640 : 가압판 650 : 왕복샤프트
661 : 압착부측 회전축 660 : 압착부측 모터
670 : 회전구 680 : 개폐셔터
700 : 수거부 710 : 페트 수거함
720 : 기타 수거함 730 : 캔 수거함
C :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
102 : 후측 구성설치 수직평판 110 : 카드리더부
121,122,123 : 용기크기 감지센서 130 : 센서거치구
210 : 투입구
300 : 재질판별부 311 : 전측 고정판
312 : 후측 고정판 320 : 거치대
330 : 금속감지센서 340 : 중량감지센서
350 : 강제이송부 351 : 구동 풀리
352 : 종동 풀리 353 : 이송벨트
354 : 강제이송부측 모터 355 : 이탈방지날개
401 : 파쇄측 통로 402 : 압착측 통로
403 : 기타측 통로 410 : 일측 격막
411 : 파쇄측 진입공간 420 : 타측 격막
421 : 압착측 진입공간 430 : 일측 선별구
431 : 일측 회전축 432 : 일측 모터
433 : 회동용 일측 개폐판
434,444 : 정역회전 제한용 안내홈
435 : 일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 436 : 일측 동력전달편
440 : 타측 선별구 441 : 타측 회전축
442 : 타측 모터 443 : 회동용 타측 개폐판
445 : 타측 정역회전 제한용 링크부재 446 : 타측 동력전달편
500 : 파쇄부 510 : 강제진입부
511 : 강제진입부측 회전축 512 : 진입유도 날개
600 : 압착부 610 압착 전판
611 : 이동구멍 620 : 압착 후판
630 : 하향판 631 : 투하공간
640 : 가압판 650 : 왕복샤프트
661 : 압착부측 회전축 660 : 압착부측 모터
670 : 회전구 680 : 개폐셔터
700 : 수거부 710 : 페트 수거함
720 : 기타 수거함 730 : 캔 수거함
C :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
Claims (13)
- 재활용 용기를 투입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용기의 투입시마다 포인트로 누적저장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저장된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와;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저장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리더부(110)를 갖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과;
상기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용 하우징(10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닿게 누여져 투입되도록 투입공간을 갖는 투입구(210)와;
하부가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측면이 바닥에 접촉된 누여진 상태에서 재활용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여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생성하는 재질판별부(300)와;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상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바닥에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측면을 감지하여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들과;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질이 판별된 재활용 용기를 그 판별된 재질에 따라 해당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하는 선별안내부와;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파쇄하는 파쇄부(500)와;
상기 선별안내부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의 상면 및 하면을 압착하는 압착부(600)와;
상기 선별안내부, 상기 파쇄부(500) 또는 상기 압착부(600)로부터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재질별로 적재되도록 재질별로 구분된 수거함들이 구비된 재질별 수거부(700)와;
재활용 용기의 투입에 따른 포인트 누적, 재활용 용기의 재질선별, 압착 및 파쇄를 포함하는 재활용 용기 수거의 전반적인 상황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카드리더부(110)로부터 판독된 개인식별정보 및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용기별 재질판별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캔 또는 페트인 경우 상기 캔 또는 페트에 해당하는 재활용 용기의 재활용 투입에 따른 포인트를 상기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에 누적 정산한 후 이를 상기 재활용 투입자 식별카드(C)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누여진 상태의 재활용 용기를 그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에 해당하는 적재공간 쪽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선별안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입력된 용기별 재질판별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가 페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용기크기 감지센서(121,122,123)들로부터 입력되는 재활용 용기 크기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용기인 페트의 대, 중, 소의 크기별로 포인트가 차등지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는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용기 관리서버는 상기 다수개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로부터 누적정산된 정보로 이용자 별로 구분된 재활용 투입 누적포인트 정보를 전송받아 누적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판별부(300)는,
전측 고정판(311)과;
후측 고정판(312)과;
상기 전측 고정판(311) 및 상기 후측 고정판(312)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바닥이 상기 후측 고정판(312)에 접촉되도록 하향 기울어진 한 쌍의 거치대(320)와;
상기 한 쌍의 거치대(320)에 누여진 상태로 측면이 접촉된 재활용 용기가 금속 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센서(330)와;
상기 한 쌍의 거치대(321,322)에 누여진 상태로 측면이 접촉된 재활용 용기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3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0)와 상기 재질판별부(300) 사이에는 상기 투입구(210) 쪽으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재질판별부(300)로 강제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이송부(350)는 구동 풀리(351) 및 종동 풀리(352)와;
상기 구동 풀리(351) 및 종동 풀리(352)에 연결되는 이송벨트(353)와;
상기 구동 풀리(351)에 동력을 제공하는 강제이송부측 모터(3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안내부는,
파쇄측 통로(401), 압착측 통로(402) 및 기타측 통로(403)가 형성되도록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상부에 파쇄측 진입공간(411)이 형성된 일측 격막(410) 및 상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상부에 압착측 진입공간(421)이 형성된 타측 격막(420)과;
일측 회전축(431), 상기 일측 회전축(431)에 동력을 제공하는 일측 모터(432), 상기 일측 회전축(431)을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회전축(431)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동 시 상기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덮고, 상기 일측 회전축(431)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동 시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상기 파쇄측 진입공간(411)을 통해 상기 파쇄부(500) 쪽으로 투하되게 유도하는 회동용 일측 개폐판(433)을 갖는 일측 선별구(430)와;
타측 회전축(441), 상기 타측 회전축(441)에 동력을 제공하는 타측 모터(442), 상기 타측 회전축(441)을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회전축(441)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동 시 상기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덮고, 상기 타측 회전축(441)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동 시 상기 재질판별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질판별부(3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가 상기 압착측 진입공간(421)을 통해 상기 압착부(600) 쪽으로 투하되게 유도하는 회동용 타측 개폐판(443)을 갖는 타측 선별구(4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별 수거부(700)는,
상기 파쇄부(500)의 하부에 놓이는 페트 수거함(710), 상기 일측 격막 및 타측 격막 사이에 놓이는 기타 수거함(720) 및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놓이는 캔 수거함(7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5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선별안내부(400)로부터 누여진 상태로 투하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파쇄부(500) 쪽으로 강제 진입시켜주는 강제진입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진입부(510)는,
강제진입부측 회전축(511)과;
상기 강제진입부측 회전축(511)을 따라 고정연결되는 진입유도 날개(512);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600)는,
이동구멍(611)이 형성된 압착 전판(610)과;
압착 후판(620)과;
상기 압착 전판(610)과 상기 압착 후판(620) 사이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향판(630)과;
상기 압착 전판(610)과 상기 압착 후판(620) 사이에 놓여지는 가압판(640)과;
상기 압착 전판(610)의 안내구멍에 관통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가압판(640)의 배면에 힌지연결되는 왕복샤프트(650)와;
압착부측 회전축(661)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압착부측 모터(660)와;
일측이 상기 왕복샤프트(650)의 타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압착부측 모터(660)의 압착부측 회전축(661)에 고정연결되는 회전구(6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판(630)에는 투하공간(631)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하향판(630)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하향판(630)에 형성된 투하공간(631)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주는 개폐셔터(6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186A KR100973548B1 (ko) | 2010-04-20 | 2010-04-20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186A KR100973548B1 (ko) | 2010-04-20 | 2010-04-20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3548B1 true KR100973548B1 (ko) | 2010-08-02 |
Family
ID=4275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6186A KR100973548B1 (ko) | 2010-04-20 | 2010-04-20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3548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9670A (ko) * | 2018-12-07 | 2020-06-17 | 박정곤 |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
FR3093659A1 (fr) * | 2019-03-15 | 2020-09-18 | Kévin Le Dez | Dispositif d’analyse des déchets, de reconnaissance et de tri automatique des emballages boisson |
KR102213050B1 (ko) * | 2020-11-06 | 2021-02-04 | 전기범 | 생활화학제품 판매장치 |
KR102262965B1 (ko) * | 2019-12-16 | 2021-06-09 | 엠엔테크(주)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KR20210076601A (ko) * | 2019-12-16 | 2021-06-24 | 엠엔테크(주) | 재활용 유리병 포장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유리병 수거장치 |
CN113289926A (zh) * | 2021-05-21 | 2021-08-24 | 深圳他米科技有限公司 | 卡片分拣装置和卡片分拣设备 |
KR102382475B1 (ko) * | 2021-11-12 | 2022-04-01 | 김병준 | 분광기법 및 폐기물 분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폐기물 분리수거 시스템 및 방법 |
KR102383115B1 (ko) * | 2021-09-01 | 2022-04-08 |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 Ai를 활용한 투명페트병 자동 선별 기술 및 탄소배출 저감 산출방식의 수집장치 |
KR102517542B1 (ko) * | 2022-09-20 | 2023-04-04 | 주식회사 이노버스 | 인공 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음료용 투명 페트병을 분류 가능한 지능형 재활용품 수거 장치 |
WO2023229111A1 (ko) * | 2022-05-27 | 2023-11-30 | 카본엑스북 |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730B1 (ko) * | 2001-07-04 | 2004-07-05 | 주식회사 에코다임 | 캔-공병 회수장치 |
-
2010
- 2010-04-20 KR KR1020100036186A patent/KR1009735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730B1 (ko) * | 2001-07-04 | 2004-07-05 | 주식회사 에코다임 | 캔-공병 회수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9670A (ko) * | 2018-12-07 | 2020-06-17 | 박정곤 |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
KR102199225B1 (ko) * | 2018-12-07 | 2021-01-06 | 박정곤 |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
FR3093659A1 (fr) * | 2019-03-15 | 2020-09-18 | Kévin Le Dez | Dispositif d’analyse des déchets, de reconnaissance et de tri automatique des emballages boisson |
KR102262965B1 (ko) * | 2019-12-16 | 2021-06-09 | 엠엔테크(주)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KR20210076601A (ko) * | 2019-12-16 | 2021-06-24 | 엠엔테크(주) | 재활용 유리병 포장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유리병 수거장치 |
KR102299092B1 (ko) | 2019-12-16 | 2021-09-07 | 엠엔테크(주) | 재활용 유리병 포장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유리병 수거장치 |
KR102213050B1 (ko) * | 2020-11-06 | 2021-02-04 | 전기범 | 생활화학제품 판매장치 |
CN113289926A (zh) * | 2021-05-21 | 2021-08-24 | 深圳他米科技有限公司 | 卡片分拣装置和卡片分拣设备 |
KR102383115B1 (ko) * | 2021-09-01 | 2022-04-08 |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 Ai를 활용한 투명페트병 자동 선별 기술 및 탄소배출 저감 산출방식의 수집장치 |
KR102382475B1 (ko) * | 2021-11-12 | 2022-04-01 | 김병준 | 분광기법 및 폐기물 분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폐기물 분리수거 시스템 및 방법 |
WO2023229111A1 (ko) * | 2022-05-27 | 2023-11-30 | 카본엑스북 | 빈용기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기반의 개인 탄소배출 저감 포인트 적립 시스템 |
KR102517542B1 (ko) * | 2022-09-20 | 2023-04-04 | 주식회사 이노버스 | 인공 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음료용 투명 페트병을 분류 가능한 지능형 재활용품 수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3548B1 (ko)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
KR100972533B1 (ko)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
US8322641B2 (en) |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having a monitor | |
KR102344688B1 (ko) | Qr코드를 이용한 재활용쓰레기 회수방법 | |
KR100946617B1 (ko) |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 |
KR100895871B1 (ko) |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 |
CA1190201A (en) | Apparatus for recognizing, crushing, separating, weighing, and making payment for, used metal items, particularly aluminum cans | |
KR20220164234A (ko) | 페트병 회수 장치 및 페트병 회수 시스템 | |
KR102668186B1 (ko) |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시스템 | |
CN105599338B (zh) | 一种饮料瓶回收系统 | |
KR102442789B1 (ko) | 재활용 수거장치 | |
JP2006344101A (ja) | 自動廃容器選別回収機能付き自動販売機 | |
KR102534299B1 (ko) |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 |
RU2727549C1 (ru) |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 |
JP2001058171A (ja) | 飲料容器等廃棄物の分別回収処理装置 | |
CN209829629U (zh) | 饮料瓶回收装置 | |
TWI641543B (zh) | 垃圾收集系統及其方法 | |
JP6286924B2 (ja) | 容器回収装置 | |
WO2021156228A1 (fr) | Dispositif de detection et/ou d'inspection d'objets et machine de collecte et/ou de deconsignation le comprenant | |
KR101788680B1 (ko) | 공병회수장치 | |
EP0685096B1 (en) | Device for compacting returnable packages | |
KR200219465Y1 (ko) | 폐캔 파쇄 분리 수거기 | |
NL2028650B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handling beverage containers | |
JPH0441303A (ja) | 空缶回収装置 | |
KR102171165B1 (ko) | 카드 리더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