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617B1 -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617B1
KR100946617B1 KR1020090123479A KR20090123479A KR100946617B1 KR 100946617 B1 KR100946617 B1 KR 100946617B1 KR 1020090123479 A KR1020090123479 A KR 1020090123479A KR 20090123479 A KR20090123479 A KR 20090123479A KR 100946617 B1 KR100946617 B1 KR 10094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unit
recycled
empty
recyc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원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탑랭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랭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랭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2001/008Mean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receptacle in which refuse should b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2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기피 품목에 해당하는 재활용품까지 통합하여 분리수거하고, 이러한 통합 분리수거 내역과 재활용품의 분리된 각 재질별, 품목별 수거량과 분리수거에 따른 적립금 또는 보상금 지급액을 통합 집계하여 재활용품의 배출통계자료 확보 및 공정한 분리수거의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용의 잡병투입구와 상기 잡병투입구에 연결된 잡병수거함, 깡통투입구와 상기 깡통투입구에 연결된 깡통수거함을 구비하고,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잡병측정부를 상기 잡병수거함과 깡통수거함 하부에 구비한 잡병수거부와; 상품정보가 기록된 PET 또는 CAN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PET-CAN투입구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PET-CAN투입구와 연결되며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PET과 CAN을 구별하여 분리수거하는 구획된 PET-CAN수거함을 내부에 구비한 PET-CAN수거부와; 전용의 공병투입구와 상기 공병투입구에 연결된 공병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공병투입구 내부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크기와 모양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환불수거 대상에 해당하는 공병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공병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재활용품이 상기 공병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개수를 카운트하여 분리수거하는 공병수거부와; 플라스틱투입구와 상기 플라스틱투입구에 연결된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투입구와 상기 폐비닐투입구에 연결된 폐비닐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 스틱수거함과 폐비닐수거함의 상측에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무게측정부를 구비한 폐비닐수거부와; 상기 수거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잡병수거부의 잡병측정부, PET-CAN수거부의 바코드인식부, 공병수거부의 감지기, 공병데이터베이스 및 폐비닐수거부의 무게측정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연결되어 투입된 재활용품을 판별하고, 각 수거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 대해 각 수거부로부터 재질별 분리수거량을 입력받아 CO2 저감량 및 보상금을 산출 및 집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산출 결과를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 결과와 재질별, 품목별 분리수거량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모뎀으로 구성된 출력부로 구성된 통합분리수거기와; 상기 통합분리수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각의 통합분리수거기로부터 분리수거량을 수집하여 저장 및 집계하는 집계서버와; 상기 집계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한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재활용 분리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구성하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재활용 기피 품목까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생활쓰레기 감량 및 폐기물의 원천감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 참여자에게 즉각적이고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재활용 분리수거에 자발적 참여가 가능하며, 재활용품의 분리수거자료의 객관성이 확보되고, 정확한 통계자료의 확보가 가능하여 공평하고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재활용, 분리수거, 이산화탄소

Description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Integrated Separating and Collecting System of Recycled Product}
본 발명은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활용 기피 품목에 해당하는 재활용품까지 통합하여 분리수거하고, 이러한 통합 분리수거 내역과 재활용품의 분리된 각 재질별, 품목별 수거량과 분리수거에 따른 적립금 또는 보상금 지급액을 통합 집계하여 재활용품의 배출통계자료 확보 및 공정한 분리수거의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공병, 캔, PET 등과 같은 폐자원을 분류 및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가 제안된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3978호(발명의 명칭 : 캔 공병 회수장치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병을 회수하는 공병회수수단(100)이 구비되고, 공병회수수단(100)의 일측에 캔을 수거하는 캔회수수단(200)이 설치되고, 캔회수수단(200) 내측에 설치된 컨트롤러(300)로 이루어져 공병, 캔을 수거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여기에서 공병회수수단(100)은 전면에 공병투입구(111)와 공병배출구(112) 및 제1동전배출구(192)가 형성된 공병회수몸체(110)가 구비되고, 공병회수몸체(110) 전면 상부에는 디스플레이(120)가 설치되며, 공병의 크기, 형태를 파악하는 제1센서(150)가 공병회수몸체(110) 내측 공병투입구(111) 일측에 형성되고, 제1센서(150)의 하방향과 공병투입구(11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공병이송패널(140)이 설치되며, 공병이송패널(140)은 제1모터(130)가 그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241)과 결합되고, 공병이송패널(140)의 일측에 공병을 이송하는 공병이송부재(161)가 설치된 공병이송벨트(160)가 설치되며, 공병이송벨트(160)에 의해 이송되는 공병을 저장하는 수거캐비넷(180)이 설치된 것이고,
캔회수수단(200)은 전면에 캔투입구(211)와 캔배출구(212)와 제2동전배출구(295)가 형성되어 소정 형상을 갖으며 캔회수몸체(210)가 구비되며, 캔회수몸체(210) 전면 상부에 디스플레이(220)가 설치되고, 캔회수몸체(210) 내측 캔투입구(211) 일측에는 캔이송패널(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모터(240)가 캔이송패널(2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3회전축(241)과 결합되고, 캔이송패널(230)의 상부에는 캔의 크기, 모양을 식별하는 다수의 제2센서(250)가 설치되며, 캔이 송패널(230)의 일측에는 캔투입구(211)와 캔배출구(212)와 연설되어 캔이 이송되는 캔인입공(260)이 형성되고, 캔인입공(260)의 일측에는 캔낙하공(271)이 형성된 캔압축홈(270)이 형성되며, 캔압축홈(270)의 상부에는 캔이 위치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캔확인센서(251)가 설치되고, 캔압축홈(270) 일측에는 캔을 압축하는 압축패널(280)이 설치되며, 압축패널(280)의 일측에는 패널이송축(281)이 연설되고, 패널이송축(281)에는 복수개의 압축모터(282)가 설치되며, 캔낙하공(271)을 통해 낙하되는 압축된 캔이 저장되도록 수거부(291)를 갖는 캔수거상자(290)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인용발명은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병의 크기의 측정은 공병회수수단(100)과 캔회수수단(200)을 통해 공병 또는 캔이 인입되었는 지를 제1센서(150)와 제2센서(250)를 통해 판단하고, 인입된 것이 공병인지 캔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
제1단계를 통해 인입된 것이 공병으로 판단되면, 어느 회사 제품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0);
제2단계(S20)를 통해 공병 내에 이물질이 있는지 없는 지를 공병을 무게를 체크하고, 체크된 무게가 오차 범위 한계인지를 파악하는 제3단계(S30);
제3단계(S30)에서 오차범위를 넘어선 무게가 나오면 공병을 공병배출구(112)를 통해 배출함과 동시에 음성멘트가 안내되며, 공병을 회수하는 처음단계로 돌아가는 제4단계(S40);
제3단계(S30)에서 공병의 크기가 4홉인지를 판단하여 공병이 큰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S50);
제5단계(S50)에서 4홉짜리 큰 공병으로 판단되면, 무게를 다시 감지하여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S60);
제6단계(S60)에서 무게를 감지한 상태에서 크기를 감지하는 제7단계(S70);
제7단계(S70)에서 크기를 감지한 상태가 정확하게 큰 병인지를 제2판단하여 공병이송부재(161)를 통해 공병회수캐비넷(180)에 보관하는 제8단계(S80);
제8단계(S80)에서 공병에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큰병 인 것을 컨트롤러(300)에서 판단되면 그에 해당되는 사이버머니 또는 현금을 배출하는 제9단계(S90);
제5단계(S50)에서 4홉짜리 큰 공병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작은병으로 판단하여 크기를 다시 감지하는 제10단계(S100);
제10단계(S100)에서 크기를 감지한 상태에서 무게를 감지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무게에 속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1단계(S110);
제11단계(S110)에서 3홉의 작은 공병인지를 컨트롤러(300)에서 종합적으로 다시 판단하여 작은 공병으로 인식하면 그에 해당하는 사이버 머니 또는 현금을 배출하는 제9단계(S90)를 행하고, 제10단계(S100)에서 캔이 캔회수수단(200)의 캔투입공(211)을 통해 캔이 투입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투입된 캔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3단계(S130);
제13단계(S0)에서 무게를 감지하면 감지된 무게가 오차범위 한계내의 무게인지를 파악하는 제14단계(S140);
제14단계(S140)에서 오차범위를 넘어선 무게가 측정되었을 경우 캔배출구(212)를 통해 캔을 배출하고, 동시에 재활용 할 수 없는 캔 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15단계(S150);
제14단계(S140)에서 오차범위 내의 캔인 경우 이를 캔압축홈(270)으로 이동시켜 캔을 압축하는 제16단계(S160)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캔이나 공병과 같은 폐자원을 수거하고, 수거된 폐자원을 재활용자에게 판매한 수익으로 운영되는 것이나 재활용에 대한 국민 의식이 부족하고, 재활용 분리수거에 대한 미비한 보상이 재활용률을 떨어뜨려 인용발명과 같은 회수장치들이 실용화 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인용발명은 재활용이 잘 되는 공병, 캔, PET만 분리수거할 수 있고 재활용 기피 품목에 해당하는 잡병이나 폐비닐, 플라스틱 등은 수거할 수 없어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재활용 기피 품목은 효과적인 수거를 위해 수거자와 배출자 모두에게 재활용 기피 품목 수집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으나 정확한 수거 내역은 알 수 없고, 수거자와 배출자 모두에게 장려금을 지급하므로 양자가 재활용 기피 품목의 수거 내역을 속여 신고하더라도 밝혀내기 어려우며, 모두에게 잘못된 내역으로 장려금을 지급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활 가운데 발생되는 재활용 기피 품목을 포함한 모든 재활용품을 통합하여 분리수거하고 분리된 각 재질별, 품목별 수거량과 분리수거에 따른 지급액을 통합 집계하여 재활용품의 배출 통계자료 확보 및 공정한 분리수거의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활용 참여자로 하여금 생활 속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도록 하고, 분리수거 내역을 통신망을 통해 집계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의 잡병투입구와 상기 잡병투입구에 연결된 잡병수거함, 깡통투입구와 상기 깡통투입구에 연결된 깡통수거함을 구비하고,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잡병측정부를 상기 잡병수거함과 깡통수거함 하부에 구비한 잡병수거부와; 상품정보가 기록된 PET 또는 CAN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PET-CAN투입구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PET-CAN투입구와 연결되며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PET과 CAN을 구별하여 분리수거하는 구획된 PET-CAN수거함을 내부에 구비한 PET-CAN수거부와; 전용의 공병투입구와 상기 공병투입구에 연결된 공병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공병투입구 내부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크기와 모양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환불수거 대상에 해당하는 공병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공병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재활용품이 상기 공병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개수를 카운트하여 분리수거하는 공병수거부와; 플라스틱투입구와 상기 플라스틱투입구에 연결된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투입구와 상기 폐비닐투입구에 연결된 폐비닐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스틱수거 함과 폐비닐수거함의 상측에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무게측정부를 구비한 폐비닐수거부와; 상기 수거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잡병수거부의 잡병측정부, PET-CAN수거부의 바코드인식부, 공병수거부의 감지기, 공병데이터베이스 및 폐비닐수거부의 무게측정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연결되어 투입된 재활용품을 판별하고, 각 수거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 대해 각 수거부로부터 재질별 분리수거량을 입력받아 CO2 저감량 및 보상금을 산출 및 집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산출 결과를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 결과와 재질별, 품목별 분리수거량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모뎀으로 구성된 출력부로 구성된 통합분리수거기와; 상기 통합분리수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각의 통합분리수거기로부터 분리수거량을 수집하여 저장 및 집계하는 집계서버와; 상기 집계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한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재활용 분리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용품의 배출을 위해 통합분리수거기의 정보입력부의 카드리더기에 자신의 카드 정보를 입력시키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배출하고자 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가 오픈되어 재활용품이 투입되되, PET-CAN수거부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 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이 아닌 경우 배출구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는 감별부의 무게감지기와 비젼감지기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로부터 공병수거함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의 케이스프레임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를 회동받침대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는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재질과 무게 정보를 제어부가 입력받아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2저감량DB와 매칭하여 CO2 저감량을 산출하는 CO2저감량산출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CO2저감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CO2 저감량에 따라 보상금을 산출하여 지급 하는 보상금지급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CO2저감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결과와 상기 보상금지급단계에서 지급한 보상금이 원격지의 집계서버로 전송되어 통합분리수거기별, 재활용품의 종류별로 집계 및 통합 관리 되는 집계단계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재활용 기피 품목까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생활쓰레기 감량 및 폐기물의 원천감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 참여자에게 즉각적이고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재활용 분리수거에 자발적 참여가 가능하며, 재활용품의 분리수거자료의 객관성이 확보되고, 정확한 통계자료의 확보가 가능하여 공평하고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식을 상시 거점배출 및 자동화 수거 방식으로 개선하므로 특정일에 한정하여 배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재활용품의 분리수거의 인건비와 시간이 절약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으로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재활용 참여자로 하여금 생활 속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도록 하고, 분리수거 내역을 통신망을 통해 집계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의 잡병투입구(511)와 상기 잡병투입구(511)에 연결된 잡병수거함(513), 깡통투입구(512)와 상기 깡통투입구(512)에 연결된 깡통수거함(514)을 구비하고,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잡병측정부(515)를 상기 잡병수거함(513)과 깡통수거함(514) 하부에 구비한 잡병수거부(510)와,
상품정보가 기록된 PET 또는 CAN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523)와 PET-CAN투입구(521)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PET-CAN투입구(521)와 연결되며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PET과 CAN을 구별하여 분리수거하는 구획된 PET-CAN수거함(522)과, 상기 PET-CAN투입구(521)와 PET-CAN수거함(522) 사이에 두 개의 압축롤러 사이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압축하는 압축부(525)와, 상기 압축부(525)에서 압축된 재활용품이 배출 시 해당 재질의 PET-CAN수거함(522)에 투입되도록 투입방향을 가이드하는 회동편으로 된 분류부(528)를 내부에 구비한 PET-CAN수거부(520)와,
전용의 공병투입구(531)와 상기 공병투입구(531)에 연결된 공병수거함(532)을 구비하며, 상기 공병투입구(531) 내부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크기와 모양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환불수거 대상에 해당하는 공병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공병데이터베이스(533)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재활용품이 상기 공병데이터베이스(533)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개수를 카운트하여 분리수거하는 공병 수거부(530)와,
플라스틱투입구(541)와 상기 플라스틱투입구(541)에 연결된 플라스틱수거함(543)과, 폐비닐투입구(542)와 상기 폐비닐투입구(542)에 연결된 폐비닐수거함(544)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스틱수거함(543)과 폐비닐수거함(544)의 상측에는 압축기(545)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무게측정부(546)를 구비한 폐비닐수거부(540)와,
상기 수거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카드리더기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정보입력부(550)와,
상기 잡병수거부(510)의 잡병측정부(515), PET-CAN수거부(520)의 바코드 인식부(523), 공병수거부(530)의 감지기, 공병데이터베이스(533) 및 폐비닐수거부(540)의 무게측정부(546)와 상기 정보입력부(550)에 연결되어 투입된 재활용품을 판별하고, 각 수거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 대해 각 수거부로부터 재질별 분리수거량을 입력받아 CO2 저감량 및 보상금을 산출 및 집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제어부(560) 및,
상기 제어부(560)에 연결되어 제어부(560)의 산출 결과를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71)와, 상기 제어부(560)의 산출 결과와 재질별, 품목별 분리수거량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모뎀(572)으로 구성된 출력부(570)로 구성된 통합분리수거기(50)와,
상기 통합분리수거기(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각의 통합분리수거기(50)로부터 분리수거량을 수집하여 저장 및 집계하는 집계서버(40)와,
상기 집계서버(4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한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재활용 분리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3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잡병수거부(510)는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잡병과 깡통을 각각 분리 구별하여 전용의 투입구에 투입되도록 하는 형태로 전면에 전용의 잡병투입구(511)와 깡통투입구(5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잡병투입구(511)와 깡통투입구(512)로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을 각각 구분하여 수거하는 잡병수거함(513)과 깡통수거함(514)이 각 투입구 하방에 내장되어 있으며,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잡병측정부(515)가 상기 잡병수거함(513)과 깡통수거함(514) 하단에 구비되어 재활용 참여자가 자신의 카드 정보를 전술한 정보입력부(550)에 입력시키고 잡병과 깡통을 각각의 전용 투입구에 투입하면 각 재질별로 투입량의 무게를 측정 후 전술한 제어부(560)로 전달하여 보상금 산출 및 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PET-CAN수거부(520)는 PET-CAN투입구(521)와 PET-CAN수거함(522) 사이에 두 개의 압축롤러 사이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압축하는 압축부(525)와, 상기 압축부(525)에서 압축된 재활용품이 배출 시 해당 재질의 PET-CAN수거함(522)에 투입되도록 투입방향을 가이드하는 회동편으로 된 분류부(528)가 구성되어 재활용 참여자가 전면에 구비된 정보입력부(550)의 카드리더기를 통해 자신의 카드 정보를 입력시키고 PET 또는 CAN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전술한 PET-CAN투입구(521)의 입구 내측에 전술한 바코드 인식 부(523)가 설치되어 PET-CAN투입구(521)에 재활용품의 투입 시 재활용품에 부착된 바코드가 바코드 인식부(523)를 향하여 투입되도록 하며, 투입된 재활용품의 바코드 인식결과 PET, CAN이 아닌 경우 PET-CAN투입구(521)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524)로 배출되고 PET, CAN인 경우 PET-CAN투입구(521)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압축롤러(526)와 제2압축롤러(527)가 맞물려 돌아가며 압축하는 상기 압축부(525)의 제1압축롤러(526)와 제2압축롤러(527)의 사이로 투입, 압축 후 상기 분류부(528)에 투입되고, 상기 인식된 바코드정보에 의해 분류부(528)에서 압축된 재활용품의 배출 방향을 제어하여 재질별로 분류 후 PET-CAN수거함(522)의 구획된 해당 수거함에 분리수거됨과 동시에 수거 내역이 전술한 제어부(560)로 전달되어 보상금 산출 및 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공병수거부(53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병투입구(531) 내측에 공병투입구(531)로부터 투입되는 재활용품이 공병인지를 감별하는 감별부(630)와,
상기 감별부(630)의 하부에 연결된 공병수거함(532)을 상부에 있는 상기 감별부(630)측으로 올리고, 수거되는 공병의 량에 따라 공병수거함(532)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거되는 공병이 파손되지 않도록 공병 낙하 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는 완급조절부(7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전술한 감별부(6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하나의 공병만을 담을 수 있는 원통형의 회전체(631)와,
상기 회전체(631)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회전체(631)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회전체구동부(634)와,
상기 회전체(631)가 회전하여 회전체(631)의 개방된 일측이 하방을 향할 때 내부에 담겨있는 재활용품이 위치하게 되는 회전체(631)의 하단에 구비된 중량센서, 저울 등으로 된 무게감지기(632)와,
상기 회전체(63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체(631) 내부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모양을 인식하는 카메라와 레이저로 구성된 비젼감지기(633) 및,
상기 감지기에 의해 공병임이 판별된 재활용품이 안전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무게감지기(632)의 측면에 경사져 상기 공병수거함(532)에 연결되는 경사배출구(635)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완급조절부(73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프레임(73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병수거함(532)을 받치는 회동받침대(732)와,
상기 회동받침대(732)의 회동을 위해 케이스프레임(731)에 고정된 모터의 회전력을 회동받침대(732)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된 받침대구동부(7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병수거부(5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활용 참여자가 자신의 카드 정보를 전술한 정보입력부(550)에 입력시키고 재활용품을 전술한 공병투입구(531)에 투입하면 감별부(630)의 회전체구동부(634)에 의해 회전체(631)가 순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체(631)의 개방된 부분이 하방을 향하여 회전체(631) 하단에 있는 무게감지기(632)가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며, 회전체(631) 내부에 설치된 비젼감 지기(633)가 재활용품의 모양을 인식하여 투입된 재활용품이 공병인지, 공병이라면 깨지지 않은 온전한 공병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 정보를 전술한 제어부(560)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560)는 입력된 상기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 정보를 연결된 공병데이터베이스(533)에 조회하여 공병임이 확인되면 회전체구동부(634)를 제어하여 감별부(630)의 회전체(631)를 순방향으로 회전시켜 투입된 공병을 깨지지 않도록 경사배출구(635)를 통해 굴려서 경사배출구(635)의 출구 끝단에 연결된 공병수거함(532)에 분리수거하고, 투입된 재활용품이 공병이 아니거나 손상이 있는 경우 회전체구동부(634)를 제어하여 감별부(630)의 회전체(6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투입된 공병을 공병투입구(531)로 보내어 잡병이나 해당 재활용품으로 재분류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온전한 공병만을 깨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전술한 공병수거함(532)은 직물 포대와 같은 연질의 주머니임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경사배출구(635)로부터 굴러 내려온 공병이 수직 낙하하여 그 충격으로 깨지지 않도록 공병수거함(532)의 하단에는 전술한 완급조절부(7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급조절부(73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시에는 공병수거부(530)의 케이스프레임(73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732)를 회동받침대(732)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733)에 의해 도 11과 같이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므로 공병수거함(532)이 경사져 있게 되어 투입된 공병이 공병수거함(532)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고, 공병이 일정량 또는 일정 높이까지 쌓이면 도 12와 같이 회동받침대(73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532)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532)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도 13과 같이 다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므로 다시 안전하게 공병을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폐비닐수거부(540)는 도 14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압축하는 수직식 압축기(545)와,
상기 압축기(545)에 의하여 전술한 플라스틱수거함(543)과 폐비닐수거함(544)에 담겨있는 재활용품의 압축 시 플라스틱수거함(543)과 폐비닐수거함(544)을 지지하여 재활용품이 압축되도록 하는 지지대(547)와,
상기 지지대(547)와 각 수거함 사이의 상판과 지지대(547) 하방의 하판을 지지대(547)를 관통한 연결봉으로 연결하여서 된 수거함받침(548) 및,
상기 수거함받침(548) 하측에서 상방으로 상승되어 수거함받침(548)과 함께 상기 각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546)로 구성되어,
상시에는 압축기(545)와 지지대(547)로 수거함 내부를 압축하고, 재활용 참여자가 자신의 카드 정보를 전술한 정보입력부(550)에 입력시키고 재활용품을 투입하고자 할 때 압축이 해제되며, 무게측정부(546)가 상승하여 수거함받침(548)과 함께 수거함을 들어 올려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변화되는 무게에 의해 새로 투입된 무게만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하여 재활용품의 투입 및 무게인식하고??료되면 무게측정부(546)가 하강하며 압축기(545)와 지지대(547)에 의해 압축상태로 돌아가며, 인식된 정보는 전술한 제어부(560)로 전달되어 보상금 산출 및 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잡병, 깡통, 폐비닐 등과 같은 재활용 기피 품목을 모두 포함하는 7종의 재활용품을 모두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도록 하며, 분리수거에 따른 CO2 저감량 산출 및 이에 상응하는 보상금을 지급하고, 이러한 분리수거 내역과 CO2 저감량, 보상금 등의 재활용품 수거 내역이 객관적, 통계적 자료로 수집, 집계되므로 재활용 기피 품목에 대해 이중적으로 지급하던 보조금 등을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분리수거에 따른 CO2 저감량 산출 방법을 예시하면, 전술한 제어부(560)에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2저감량DB를 구비하여 회수되는 폐자원을 재활용하였을 때 저감되는 에너지의 양을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환산한 다음, 이러한 에너지원의 탄소배출계수 등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에너지를 전력단위로 환산하여 산출한 전력을 이산화탄소배출계수에 의해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환경보호국(U.S. EPA :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발표한 각 재질별 물질 1톤을 재활용했을 때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도표한 도 19를 참조하여 알루미늄 캔, 철재 캔, 페트병(PET) 등을 재활용했을 때 절약되는 에너지 저감량을 전력단위로 환산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표 1] 재활용품의 에너지 저감량을 전력단위로 환산한 표
Figure 112009076789381-pat00001
여기에서 1Btu는 0.000293kwh 임.
이러한 표1을 각각의 재질별 저감 전력을 이산화탄소량 산출에 적용하면 아래의 표2와 같다.
[표 2] 재질별 저감 전력을 이산화탄소량으로 환산한 표
Figure 112009076789381-pat00002
여기에서 1kwh는 424g CO2 임.
이와 같이 각 재질별 단위 무게(1g)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산출하여 CO2저감량DB에 등록 후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표2와 같은 저감되는 이산화탄소량을 탄소배출권이나 탄소마일리지와 같은 탄소배출억제지원제도에 적용하면 저감시키는 이산화탄소량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을 예로 들면, 전술한 표2의 저감되는 이산화탄소량을 가격으로 환산할 때 탄소배출권거래제도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톤 당 약 20유로(27달러, 원화로 환산하면 36,500원)로 거래되므로 이산화탄소 1g 당 0.0365원이어서, 표2에 이러한 탄소배출권에 의한 단가를 적용하면 표3과 같다.
[표 3] 탄소배출권에 의한 재질별 이산화탄소 저감량 가격
Figure 112009076789381-pat00003
또한 탄소마일리지 제도에 따르면 기업이 이산화탄소 100Kg을 줄일 때와, 주택에서 이산화탄소 10Kg을 줄일 때가 탄소마일리지 1 포인트이고, 탄소마일리지의 1 포인트가 500원이어서, 주택의 경우를 예로 들어 표 2를 탄소마일리지 제도에 따라 환산하면 표 4와 같다.
[표 4] 탄소마일리지 제도에 의한 재질별 이산화탄소 저감량 가격
Figure 112009076789381-pat00004
이와 같이 전술한 제어부(560)는 회수되는 폐자원의 재질 및 무게정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산출하고 저감되는 이산화탄소량에 따라 CO2 저감량 보상 가격을 산출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재활용 참여자에게 탄소배출억제지원제도에 따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예시한 본 발명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은 도 16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용품의 배출을 위해 통합분리수거기(50)의 정보입력부(550)의 카드리더기에 자신의 카드 정보를 입력시키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배출하고자 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1)와,
상기 정보입력단계(S1)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가 오픈되어 재활용품이 투입되되,
PET-CAN수거부(520)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이 아닌 경우 배출구(524)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S21)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530)는 감별부(630)의 무게감지기(632)와 비젼감지기(633)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533)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635)로부터 공병수거함(532)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530)의 케이스프레임(73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732)를 회동받침대(732)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733)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73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532)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532)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S22)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540)는 상기 정보입력단계(S1)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546)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 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546)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S23)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S2)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재질과 무게 정보를 제어부(560)가 입력받아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2저감량DB와 매칭하여 CO2 저감량을 산출하는 CO2저감량산출단계(S31)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CO2저감량산출단계(S31)에서 산출한 CO2 저감량에 따라 보상금을 산출하여 지급하는 보상금지급단계(S32)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CO2저감량산출단계(S31)에서 산출한 결과와 상기 보상금지급단계(S32)에서 지급한 보상금이 원격지의 집계서버(40)로 전송되어 통합분리수거기(50)별, 재활용품의 종류별로 집계 및 통합 관리 되는 집계단계(S4)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7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은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용품 배출 시 통합분리수거기(50)의 정보입력부(550)에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1)와,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에 투입되되,
PET-CAN수거부(520)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이 아닌 경우 배출구(524)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S21)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530)는 감별부(630)의 무게감지기(632)와 비젼감지기(633)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533)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635)로부터 공병수거함(532)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530)의 케이스프레임(73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732)를 회동받침대(732)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733)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73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532)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532)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S22)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540)는 상기 정보입력단계(S1)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546)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546)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S23)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S2)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을 제어부(560)가 입력받아 CO2 저감량과 보상금을 산출하여 내역과 함께 디스플레이(571)로 출력하고 보상금을 지급하는 출력단계(S3)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출 력단계(S3)에서 산출한 결과가 원격지의 집계서버(40)로 전송되어 통합분리수거기(50)별, 재활용품의 종류별, 재질별, 일자별로 집계 및 통합 관리 되며, 상기 집계된 정보가 상기 집계서버(40)에 연결된 웹서버(30)를 통해 재활용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관리단계(S5)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은 도 18로 예시한 바와 같이,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용품 배출 시 통합분리수거기(50)의 정보입력부(550)에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S1)와,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에 투입되되,
PET-CAN수거부(520)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이 아닌 경우 배출구(524)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S21)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530)는 감별부(630)의 무게감지기(632)와 비젼감지기(633)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533)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635)로부터 공병수거함(532)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530)의 케이스프레임(73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732)를 회동받침대(732)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733)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73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 수거함(532)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532)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S22)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540)는 상기 정보입력단계(S1)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546)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546)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S23)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S2)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을 제어부(560)가 입력받아 디스플레이(571)에 출력하고, 보상금을 산출하여 보상금을 지급하는 보상단계(S33)와,
상기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보상단계(S33)에서 분리수거단계(S2)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보상단계(S33)에서 분리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는 리수단계(S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2는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잡병수거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도 5, 6, 7은 본 발명에 의한 PET-CAN수거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병수거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병수거부의 감별부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병수거부의 완급조절부 구성을 예시하는 구성도.
도 11, 12, 1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병수거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 15는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수거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 17, 18은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재질별 물질 1톤을 재활용했을 때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클라이언트 20:인터넷망 30:웹서버
40:집계서버 50:통합분리수거기 510:잡병수거부
511:잡병투입구 512:깡통투입구 513:잡병수거함
514:깡통수거함 515:잡병측정부 520:PET-CAN수거부
521:PET-CAN투입구 522:PET-CAN수거함 523:바코드 인식부
524:배출구 525:압축부 526:제1압축롤러
527:제2압축롤러 528:분류부 530:공병수거부
531:공병투입구 532:공병수거함 533:공병데이터베이스
540:폐비닐수거부 541:플라스틱투입구 542:폐비닐투입구
543:플라스틱수거함 544:폐비닐수거함 545:압축기
546:무게측정부 547:지지대 548:수거함받침
550:정보입력부 560:제어부 570:출력부
571:디스플레이 572:모뎀 630:감별부
631:회전체 632:무게감지기 633:비젼감지기
634:회전체구동부 635:경사배출구 730:완급조절부
731:케이스프레임 732:회동받침대 733:받침대구동부
S1:정보입력단계 S2:분리수거단계 S21:PET-CAN분리수거단계
S22:공병수거단계 S23:압축단계 S3:출력단계
S31:CO2저감량산출단계 S32:보상금지급단계 S33:보상단계
S4:집계단계 S5:관리단계

Claims (10)

  1. 재활용 참여자로 하여금 생활 속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도록 하고, 분리수거 내역을 통신망을 통해 집계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의 잡병투입구와 상기 잡병투입구에 연결된 잡병수거함, 깡통투입구와 상기 깡통투입구에 연결된 깡통수거함을 구비하고, 투입되는 잡병과 깡통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잡병측정부(515)를 상기 잡병수거함과 깡통수거함 하부에 구비한 잡병수거부와,
    상품정보가 기록된 PET 또는 CAN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PET-CAN투입구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PET-CAN투입구와 연결되며 인식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PET과 CAN을 구별하여 분리수거하는 구획된 PET-CAN수거함을 내부에 구비한 PET-CAN수거부와,
    전용의 공병투입구와 상기 공병투입구에 연결된 공병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공병투입구 내부에 투입된 재활용품의 크기와 모양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환불수거 대상에 해당하는 공병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공병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재활용품이 상기 공병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개수를 카운트하여 분리수거하는 공병수거부와,
    플라스틱투입구와 상기 플라스틱투입구에 연결된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투입구와 상기 폐비닐투입구에 연결된 폐비닐수거함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수거함의 상측에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무게측정부를 구비한 폐비닐수거부와,
    상기 수거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잡병수거부의 잡병측정부(515), PET-CAN수거부의 바코드인식부, 공병수거부의 감지기, 공병데이터베이스 및 폐비닐수거부의 무게측정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에 연결되어 투입된 재활용품을 판별하고, 각 수거부를 제어하며,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 대해 각 수거부로부터 재질별 분리수거량을 입력받아 CO2 저감량 및 보상금을 산출 및 집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산출 결과를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 결과와 재질별, 품목별 분리수거량을 원격지에 전송하는 모뎀으로 구성된 출력부로 구성된 통합분리수거기와,
    상기 통합분리수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각의 통합분리수거기로부터 분리수거량을 수집하여 저장 및 집계하는 집계서버와,
    상기 집계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한 상기 재활용 참여자에게 재활용 분리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PET-CAN수거부는 전술한 PET-CAN투입구와 PET-CAN수거함 사이에 두 개의 압축롤러 사이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에서 압 축된 재활용품이 배출 시 해당 재질의 PET-CAN수거함에 투입되도록 투입방향을 가이드하는 회동편으로 된 분류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PET-CAN수거부는 전술한 PET-CAN투입구의 입구 내측에 전술한 바코드 인식부가 설치되어 PET-CAN투입구에 재활용품의 투입 시 재활용품에 부착된 바코드가 바코드 인식부를 향하여 투입되도록 하며, 투입된 재활용품의 바코드 인식결과 PET, CAN이 아닌 경우 PET-CAN투입구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로 배출되고 PET, CAN인 경우 PET-CAN투입구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압축부로 투입되며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 후 상기 분류부에 투입되고, 상기 인식된 바코드정보에 의해 분류부에서 재질별로 분류되어 PET-CAN수거함에 분리수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공병수거부는 공병투입구 내측에 공병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재활용품이 공병인지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상기 감별부의 하부에 연결된 공병수거함을 상부에 있는 상기 감별부측으로 올리고, 수거되는 공병의 량에 따라 공병수거함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거되는 공병이 파손되지 않도록 공병 낙하 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는 완급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술한 감별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하나의 공병만을 담을 수 있는 원통형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회전체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회전체구동부와,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여 회전체의 개방된 일측이 하방을 향할 때 내부에 담겨있는 재활용품이 위치하게 되는 회전체의 하단에 구비된 무게감지기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체 내부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모양을 인식하는 비젼감지기 및,
    상기 감지기에 의해 공병임이 판별된 재활용품이 안전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무게감지기의 측면에 경사져 상기 공병수거함에 연결되는 경사배출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술한 완급조절부는 케이스프레임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병수거함을 받치는 회동받침대와,
    상기 회동받침대의 회동을 위해 케이스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의 회전력을 회동받침대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된 받침대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폐비닐수거부는 상단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압축하는 수직식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전술한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수거함에 담겨있는 재활용품의 압축 시 플라스틱수거함과 폐비닐수거함을 지지하여 재활용품이 압축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각 수거함 사이의 상판과 지지대 하방의 하판을 지지대를 관통한 연결봉으로 연결하여서 된 수거함받침 및,
    상기 수거함받침 하측에서 상방으로 상승되어 수거함받침과 함께 상기 각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로 구성되어,
    상시 압축기와 지지대로 수거함 내부를 압축하고,
    재활용품 투입 시 압축이 해제되며, 무게측정부가 상승하여 수거함받침과 함께 수거함을 들어 올려 무게를 측정하여 재활용품의 투입으로 인해 증가된 무게를 인식하고,
    재활용품의 투입 및 무게인식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가 하강하며 압축기와 지지대에 의해 압축상태로 돌아감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8. 청구항 1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 용품의 배출을 위해 통합분리수거기의 정보입력부의 카드리더기에 자신의 카드 정보를 입력시키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배출하고자 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가 오픈되어 재활용품이 투입되되,
    PET-CAN수거부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이 아닌 경우 배출구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는 감별부의 무게감지기와 비젼감지기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로부터 공병수거함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의 케이스프레임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를 회동받침대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는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 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재질과 무게 정보를 제어부가 입력받아 재질별 단위 무게당 이산화탄소 저감량이 등록된 CO2저감량DB와 매칭하여 CO2 저감량을 산출하는 CO2저감량산출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CO2저감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CO2 저감량에 따라 보상금을 산출하여 지급하는 보상금지급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CO2저감량산출단계에서 산출한 결과와 상기 보상금지급단계에서 지급한 보상금이 원격지의 집계서버로 전송되어 통합분리수거기별, 재활용품의 종류별로 집계 및 통합 관리 되는 집계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
  9. 청구항 1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용품 배출 시 통합분리수거기의 정보입력부에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에 투입되되,
    PET-CAN수거부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 이 아닌 경우 배출구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는 감별부의 무게감지기와 비젼감지기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로부터 공병수거함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의 케이스프레임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를 회동받침대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는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을 제어부가 입력받아 CO2 저감량과 보상금을 산출하여 내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보상금을 지급하는 출력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출력단 계에서 산출한 결과가 원격지의 집계서버로 전송되어 통합분리수거기별, 재활용품의 종류별, 재질별, 일자별로 집계 및 통합 관리 되며, 상기 집계된 정보가 상기 집계서버에 연결된 웹서버를 통해 재활용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관리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
  10. 청구항 1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재활용 참여자가 재활용품 배출 시 통합분리수거기의 정보입력부에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단계와,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해당 수거부의 투입구에 투입되되,
    PET-CAN수거부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단계와 상기 바코드 스캔단계에서 입력된 바코드 정보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이 PET, CAN이 아닌 경우 배출구로 산출과정 없이 배출하고 PET, CAN인 경우 압축하여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는 PET-CAN분리수거단계를 실시하고,
    공병수거부는 감별부의 무게감지기와 비젼감지기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와 모양을 입력받아 공병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만을 수거하는 공병인식단계와, 상기 공병인식단계에서 공병으로 인식된 재활용품이 경사배출구로부터 공병수거함에 저속으로 굴러 내려와 안전하게 분리수거 되도록 공병수거부의 케이스프레임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받침대를 회동받침대의 회동축에 기어로 연결된 받침대구동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되고, 공병이 쌓이면 회동받침대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공병수거함 내 공병이 공병수거함 바닥에 쌓이도록 한 후 다시 상방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로 승강 고정하는 공병수거단계를 실시하며,
    폐비닐수거부는 상기 정보입력단계에서 재활용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함 내부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무게측정부가 상승하여 수거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가 열리며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무게측정부가 하강하며 다시 압축상태로 돌아가는 압축단계를 실시하여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각 재활용품의 종류별 분리수거 내역을 제어부가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보상금을 산출하여 보상금을 지급하는 보상단계와,
    상기 분리수거단계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내역과 상기 보상단계에서 산출한 결과가 원격지의 집계서버로 전송되어 통합분리수거기별, 재활용품의 종류별로 집계 및 통합 관리 되는 집계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방법.
KR1020090123479A 2009-12-11 2009-12-11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KR10094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479A KR100946617B1 (ko) 2009-12-11 2009-12-11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479A KR100946617B1 (ko) 2009-12-11 2009-12-11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617B1 true KR100946617B1 (ko) 2010-03-09

Family

ID=4218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479A KR100946617B1 (ko) 2009-12-11 2009-12-11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617B1 (ko)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221A (zh) * 2011-11-29 2012-04-25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塑料瓶回收器
KR101144381B1 (ko) * 2010-05-11 201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기반의 저탄소 폐기물 처리 관리 시스템, 폐기물 처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81888B1 (ko) * 2012-03-29 2012-09-11 이동조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200462664Y1 (ko) 2010-06-15 2012-09-24 엔솜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CN104118676A (zh) * 2014-07-29 2014-10-29 陈斌 可智能称重的分类垃圾箱
KR101779782B1 (ko) 2017-05-26 2017-10-11 수퍼빈 주식회사 인공신경망 분석에 근거한 복합적 물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788680B1 (ko) * 2017-02-10 2017-11-20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공병회수장치
KR20170128197A (ko) * 2017-11-15 2017-11-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병 회수 방법 및 장치
KR20180051775A (ko) * 2016-11-09 2018-05-17 이현진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GB2569736A (en) * 2019-04-19 2019-06-26 Martin Joseph Smart bin
CN110015496A (zh) * 2018-12-31 2019-07-16 浙江理工大学 智能玩具分类收纳装置
CN110562623A (zh) * 2019-09-02 2019-12-13 邹瑜 一种智能垃圾分类系统
CN110949895A (zh) * 2019-11-26 2020-04-03 广州普慧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化垃圾分类投放及分拣回收系统
CN110980037A (zh) * 2020-01-14 2020-04-10 缙云皮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自动垃圾分类箱
CN111429667A (zh) * 2020-03-31 2020-07-17 上海钛米机器人科技有限公司 药品管控机器人及药品管控系统
CN111558601A (zh) * 2020-05-20 2020-08-21 邵玉华 一种铜嵌件回收处理装置
CN112407655A (zh) * 2020-11-26 2021-02-26 重庆广播电视大学重庆工商职业学院 基于物联网的垃圾分类回收系统
CN112793959A (zh) * 2020-12-31 2021-05-14 江苏英特信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智能分类称重装置
KR20210058754A (ko) 2021-03-17 2021-05-24 (주)이너보틀 패키징 또는 공병의 수거 및 재사용/재활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8554B1 (ko) * 2021-07-08 2021-09-07 (주)제이엠테크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CN113479513A (zh) * 2021-07-12 2021-10-08 安徽一鸣塑胶有限公司 一种便于干湿分离的智能垃圾桶及其使用方法
CN113650987A (zh) * 2021-09-13 2021-11-16 南京邮电大学 智能垃圾桶及智能垃圾桶的智能分类方法
KR20210150840A (ko) * 2020-06-04 2021-12-13 유니엔텍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수거장치
CN114049720A (zh) * 2021-11-17 2022-02-15 浙江理工大学 一种纸类和饮料瓶自动回收方法
KR20220112512A (ko) 2021-02-04 2022-08-11 권순규 영상 분석을 이용하는 플라스틱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KR102444306B1 (ko) 2021-11-26 2022-09-16 정관호 재활용품 인센티브 지급 시스템
KR20220127651A (ko) 2021-03-11 2022-09-20 이소현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KR102459941B1 (ko) * 2022-06-02 2022-11-01 원윤준 친환경 단계별 친환경 업사이클 데이터 공유 시스템
WO2022231401A1 (ko) * 2021-04-30 2022-11-03 (주)이너보틀 폐기물의 수거 및 이에 대한 재사용/재활용을 위한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65459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포장재 분리수거 정보 제공방법
KR20240002602A (ko) 2022-06-29 2024-01-05 도넛소프트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평가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231A (ko) * 2005-04-30 2006-11-02 이국현 폐자원 회수용 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231A (ko) * 2005-04-30 2006-11-02 이국현 폐자원 회수용 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381B1 (ko) * 2010-05-11 201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기반의 저탄소 폐기물 처리 관리 시스템, 폐기물 처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462664Y1 (ko) 2010-06-15 2012-09-24 엔솜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CN102424221A (zh) * 2011-11-29 2012-04-25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塑料瓶回收器
KR101181888B1 (ko) * 2012-03-29 2012-09-11 이동조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CN104118676A (zh) * 2014-07-29 2014-10-29 陈斌 可智能称重的分类垃圾箱
KR20180051775A (ko) * 2016-11-09 2018-05-17 이현진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KR101964972B1 (ko) 2016-11-09 2019-08-07 이현진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KR101788680B1 (ko) * 2017-02-10 2017-11-20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공병회수장치
KR101779782B1 (ko) 2017-05-26 2017-10-11 수퍼빈 주식회사 인공신경망 분석에 근거한 복합적 물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8197A (ko) * 2017-11-15 2017-11-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병 회수 방법 및 장치
KR101855976B1 (ko) * 2017-11-15 2018-06-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병 회수 방법 및 장치
CN110015496A (zh) * 2018-12-31 2019-07-16 浙江理工大学 智能玩具分类收纳装置
CN110015496B (zh) * 2018-12-31 2024-04-09 浙江理工大学 智能玩具分类收纳装置
GB2569736A (en) * 2019-04-19 2019-06-26 Martin Joseph Smart bin
CN110562623A (zh) * 2019-09-02 2019-12-13 邹瑜 一种智能垃圾分类系统
CN110949895A (zh) * 2019-11-26 2020-04-03 广州普慧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化垃圾分类投放及分拣回收系统
CN110980037B (zh) * 2020-01-14 2020-08-28 浏阳天艺广告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自动垃圾分类箱
CN110980037A (zh) * 2020-01-14 2020-04-10 缙云皮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自动垃圾分类箱
CN111429667A (zh) * 2020-03-31 2020-07-17 上海钛米机器人科技有限公司 药品管控机器人及药品管控系统
CN111558601A (zh) * 2020-05-20 2020-08-21 邵玉华 一种铜嵌件回收处理装置
KR102497820B1 (ko) * 2020-06-04 2023-02-22 유니엔텍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수거장치
KR20210150840A (ko) * 2020-06-04 2021-12-13 유니엔텍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수거장치
CN112407655A (zh) * 2020-11-26 2021-02-26 重庆广播电视大学重庆工商职业学院 基于物联网的垃圾分类回收系统
CN112793959A (zh) * 2020-12-31 2021-05-14 江苏英特信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智能分类称重装置
KR20220112512A (ko) 2021-02-04 2022-08-11 권순규 영상 분석을 이용하는 플라스틱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KR20220127651A (ko) 2021-03-11 2022-09-20 이소현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KR20210058754A (ko) 2021-03-17 2021-05-24 (주)이너보틀 패키징 또는 공병의 수거 및 재사용/재활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56680A (ko) 2021-03-17 2023-11-14 (주)이너보틀 패키징 또는 공병의 수거 및 재사용/재활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49374A (ko) 2021-04-30 2022-11-08 (주)이너보틀 폐기물의 수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2231401A1 (ko) * 2021-04-30 2022-11-03 (주)이너보틀 폐기물의 수거 및 이에 대한 재사용/재활용을 위한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63323A (ko) 2021-04-30 2023-11-30 (주)이너보틀 폐기물의 수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8554B1 (ko) * 2021-07-08 2021-09-07 (주)제이엠테크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CN113479513A (zh) * 2021-07-12 2021-10-08 安徽一鸣塑胶有限公司 一种便于干湿分离的智能垃圾桶及其使用方法
CN113650987A (zh) * 2021-09-13 2021-11-16 南京邮电大学 智能垃圾桶及智能垃圾桶的智能分类方法
KR20230065459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포장재 분리수거 정보 제공방법
CN114049720A (zh) * 2021-11-17 2022-02-15 浙江理工大学 一种纸类和饮料瓶自动回收方法
KR102444306B1 (ko) 2021-11-26 2022-09-16 정관호 재활용품 인센티브 지급 시스템
KR102459941B1 (ko) * 2022-06-02 2022-11-01 원윤준 친환경 단계별 친환경 업사이클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20240002602A (ko) 2022-06-29 2024-01-05 도넛소프트 주식회사 재활용 쓰레기 평가 방법 및 사용자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617B1 (ko)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KR10234468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재활용쓰레기 회수방법
KR100895871B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US8851265B2 (en) Reverse vending machine
US20090265258A1 (en) Bag Tracking System and Bag Counting Rack Associated Therewith
CN106056226A (zh) 生活垃圾智能分类回收云识别系统及方法
US5704558A (en) Automated recycling center for aluminum cans
KR100973548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0936519B1 (ko) 쓰레기 수거 처리시스템
CN106927164A (zh) 垃圾收集方法及其装置
KR20100043807A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시스템
KR20060113231A (ko) 폐자원 회수용 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8828A (ko)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
US20130024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etizing Recyclable Plastics
CN112623562B (zh) 一种瓶类物品分类回收方法
KR101161751B1 (ko)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
CN107098084A (zh) 垃圾收集方法及其装置
KR102277443B1 (ko) 재활용 쓰레기 자동 분리 수거 시스템
KR100962713B1 (ko) 패트병과 캔 처리장치를 가진 크린하우스
CN110992580A (zh) 一种智能饮料瓶自动回收机
KR102442789B1 (ko) 재활용 수거장치
CN109732810B (zh) 塑料物品回收柜及其回收方法
CN112163875A (zh) 一种可追溯的垃圾付费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0714926B1 (ko)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RU2727549C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21

Effective date: 201109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