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80B1 - 공병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공병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80B1
KR101788680B1 KR1020170018404A KR20170018404A KR101788680B1 KR 101788680 B1 KR101788680 B1 KR 101788680B1 KR 1020170018404 A KR1020170018404 A KR 1020170018404A KR 20170018404 A KR20170018404 A KR 20170018404A KR 101788680 B1 KR101788680 B1 KR 10178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ottles
disposed
suppor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원
Original Assignee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0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fluid containers, e.g. bottles, cups, gas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투입된 공병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공병이 하부측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틸팅안내부를 포함하는 투입 모듈; 및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 모듈로부터 낙하하는 복수의 상기 공병들을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박스부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점차 증대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병의 인식률을 높이고, 정확하고 신속한 보증금 환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존의 영수증 발급 형태는 물론, 현금이나 기부 또는 카드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형태의 보증금 환급 및 활용을 원하는 다양한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병회수장치{USED BOTTLE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완료된 음료수나 주류의 공병을 회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병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나 주류가 담겨진 공병은 쓰레기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원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분리하여 수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재로 이루어진 공병은 그대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류나 음료업체에서 자사 제품의 공병을 회수하는데 적극적이며, 이에 따라 지역별로 공병을 현금이나 물품으로 교환해주는 사회적인 회수시스템이 정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일본등록특허 제4969593호의 "회수가능한 물품을 위한 수송장치수단"(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종합적으로 캔이나 패트병 또는 공병 등을 수거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종 회수물품을 종류별로 나누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 구역을 설정한 것이다.
특히, 선행기술은 이러한 회수물품의 인식을 오로지 비전 센서, 즉 카메라에만 의존하며, 투입된 회수물품은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 투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카메라의 해상도가 여간 높지 않으면, 회수물품의 인식률이 많이 떨어지고,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이송 투입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로 낙하시켜 떨어뜨리기 위한 위치 제어가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회수물품의 투입에 따른 보증금 발급을 영수증의 형태로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해당 점포나 기관에 영수증을 지참하고 현금으로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현금이나 기부 또는 카드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형태의 보증금 환급 및 활용을 원하는 다양한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힘든 문제도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49695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공병의 인식률을 높이고, 정확하고 신속한 보증금 환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영수증 발급 형태는 물론, 현금이나 기부 또는 카드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형태의 보증금 환급 및 활용을 원하는 다양한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투입된 공병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공병이 하부측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틸팅안내부를 포함하는 투입 모듈; 및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 모듈로부터 낙하하는 복수의 상기 공병들을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박스부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점차 증대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의 가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병의 재질과 모양과 무게를 기설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회수 가능한 공병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따른 인식 완료된 공병이 상기 투입 모듈과 상기 수거 모듈을 통하여 회수가 완료되면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입 모듈이 상부측에, 상기 수거 모듈이 하부측에 배치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투입 모듈과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비교 분석 과정 및 결과와 상기 공병의 회수 과정과 상기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병의 종류와 모양 및 크기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제1 메인 센서와,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병의 재질 및 상기 공병 내부의 잔존 오물 여부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2 메인 센서와, 상기 수거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공병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제3 메인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 모듈은, 상기 투입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된 투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전면에 구비한 투입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투입 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틸팅안내부는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 케이스의 바닥면 전방이 상기 투입 케이스의 바닥면 후방에 비하여 상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투입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편과,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에 의하여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편과, 상기 안착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투입 모듈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안착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받침편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안내부의 좌우측 상면은 상기 제1 편 및 상기 제2 편과 각각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병은 상기 투입 모듈의 전면으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투입 모듈의 후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안착편의 후방측 단부까지 미끄러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안내부는, 상기 투입 모듈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안내판과, 상기 투입 모듈의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안내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제2 안내판을 포함하는 날개편과, 상기 투입 모듈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배치되도록, 상기 날개편의 중심부에 일정 폭과 길이로 관통되는 배치 슬롯과, 상기 날개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전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한 쌍의 연결바를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바와 일체로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 수용부는, 상기 박스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박스부의 전면 및 후면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 샤프트와,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박스부의 좌측면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권취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 샤프트의 정, 역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서 상기 투입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병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블라인드와, 상기 권취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부의 전면 및 후면 상단부 중앙에 장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 수용부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상기 공병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제3 메인 센서와,
상기 박스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의 상기 공병들이 수용 가능한 최대량으로 수용됨을 감지하여 더 이상의 공병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투입된 공병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공병이 하부측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틸팅안내부를 포함하는 투입 모듈; 및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 모듈로부터 낙하하는 복수의 상기 공병들을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박스부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점차 증대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병의 인식률을 높이고, 정확하고 신속한 보증금 환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같은 고가의 외산 장비에 비하여 저렴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국산화가 가능하며 보급률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자원재활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투입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의 가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병의 재질과 모양과 무게를 기설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회수 가능한 공병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따른 인식 완료된 공병이 상기 투입 모듈과 상기 수거 모듈을 통하여 회수가 완료되면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영수증 발급 형태는 물론, 현금이나 기부 또는 카드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형태의 보증금 환급 및 활용을 원하는 다양한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입 모듈이 상부측에, 상기 수거 모듈이 하부측에 배치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투입 모듈과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비교 분석 과정 및 결과와 상기 공병의 회수 과정과 상기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용이하게 조작하고 공병 회수를 통한 보증금 환급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입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병의 종류와 모양 및 크기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제1 메인 센서와,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병의 재질 및 상기 공병 내부의 잔존 오물 여부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2 메인 센서와, 상기 수거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공병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제3 메인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행기술에 비하여 공병의 종류나 재질 및 모양과 무게 등에 따른 정확한 보증금 산출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인식률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경우 안착편 및 한 쌍의 받침편을 구비하되, 틸팅안내부의 상면 후단부에 배치되고 안착편과 한 쌍의 받침편과 함께 고정되며, 투입 모듈의 전방측으로부터 투입된 공병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스토퍼와, 한 쌍의 받침편과 연결되어 상기 안착편의 하부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공병의 재질 및 상기 공병 내부의 잔존 오물 여부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2 메인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토퍼와 제2 메인 센서가 일체로 고정되어 투입되는 공병의 중량 오차를 최소화하고 해당 공병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 케이스 전면에 구비되어 연통구를 통해 투입 케이스의 내부로 투입되는 공병 표면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2017년 이후부터 인상된 보증금이 적용되는 공병의 경우 해당 공병의 제조일자 등의 정보가 수록된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정확한 보증금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돌려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투입 모듈과 수거 모듈이 하우징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모듈 개념으로 제공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시 관리자가 점검하고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므로, 유지 관리의 편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정면 개념도, 도 1(b)는 개폐 도어 및 본체 케이싱의 적어도 일측면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 도어 및 본체 케이싱의 적어도 일측면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투입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b)는 지지부와 틸팅안내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투입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측면 개념도, 도 4(b)는 투입 케이스를 제거한 지지부와 틸팅안내부에 공병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투입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투입 케이스의 상면 내부를 도시한 저면 개념도, 도 5(b)는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수거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b)는 공병의 수용에 따른 박스부 내부에서의 받침 수용부의 작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 개념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를 이용하여 공병을 회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정면 개념도, 도 1(b)는 개폐 도어(320) 및 본체 케이싱(310)의 적어도 일측면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 도어(320) 및 본체 케이싱(310)의 적어도 일측면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투입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b)는 지지부(101)와 틸팅안내부(102)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투입 모듈(100)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측면 개념도, 도 4(b)는 투입 케이스(103)를 제거한 지지부(101)와 틸팅안내부(102)에 공병(400)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투입 모듈(100)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투입 케이스(103)의 상면 내부를 도시한 저면 개념도, 도 5(b)는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 중 주요부인 수거 모듈(200)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b)는 공병(400)의 수용에 따른 박스부(201) 내부에서의 받침 수용부(202)의 작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6(b)에서 일점 쇄선은 복수의 공병(400)들이 수용됨에 따라 박스부(201)의 내부 공간(201s, 이하 도 6(b) 참조)에서 순차적으로 수용 공간(201c, 이하 도 6(b) 참조)을 증대시키는 지지 블라인드(230)의 임의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병회수장치를 이용하여 공병을 회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투입 모듈(100) 및 수거 모듈(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투입 모듈(100)은 일방향으로 투입된 공병(400)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101)와, 공병(400)이 하부측으로 낙하하도록 지지부(101)를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틸팅안내부(102)를 포함하는 것이다.
수거 모듈(200)은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201s)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투입 모듈(10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박스부(201)와, 박스부(201)에 구비되어 투입 모듈(100)로부터 낙하하는 복수의 공병(400)들을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내부 공간(201s)의 상부측으로부터 박스부(201)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점차 증대되는 수용 공간(201c)을 형성하는 받침 수용부(202)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은 투입 모듈(100) 및 수거 모듈(200)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300)과, 하우징(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 모듈(100) 및 수거 모듈(20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제어 모듈은 공병(400)의 재질과 모양과 무게를 기설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회수 가능한 공병(400)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에 따른 인식 완료된 공병(400)이 투입 모듈(100)과 수거 모듈(200)을 통하여 회수가 완료되면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에 따른 공병(400)의 수거 및 보증급 환급 과정에 관하여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간략히 설명할 것이다.
한편, 하우징(300)은, 도 1과 같이 투입 모듈(100)이 상부측에, 수거 모듈(200)이 하부측에 배치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 케이싱(310)과, 본체 케이싱(3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투입 모듈(100)과 연통되는 투입구(321)가 형성되는 개폐 도어(320)와, 개폐 도어(320)에 형성된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비교 분석 과정 및 결과와 공병(400)의 회수 과정과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출력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0)에는, 투입 모듈(100)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본체 케이싱(3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동전이 수용된 동전 수용함(340)을 더 구비하여, 보증금을 현금 형태로 직접 환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우징(300)에는, 동전 수용함(340)의 전면에 배치되어 개폐 도어(320)의 전면에 장착되고, 공병(400)의 회수가 완료되면 동전이 배출되는 동전 배출구(3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0)에는, 본체 케이싱(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보증금을 포인트 형태로 적립 가능하도록, 멤버쉽카드나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의 카드를 읽어들이는 카드리더기(350)와, 개폐 도어(3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카드리더기(350)와 연결되며, 전술한 각종 카드를 밀어넣어 제어 모듈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투입구(35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하우징(300)에는, 본체 케이싱(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보증금을 현금으로 교환 가능한 영수증의 형태로 출력 가능하도록 종이 영수증(361)이 감겨진 영수증 발급기(360)를 더 구비하여, 선행기술과 같이 영수증을 발급받아 현금이나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0)에는, 개폐 도어(3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영수증 발급기(360)와 연결되고, 종이 영수증(361)이 배출되는 영수증 배출구(36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300)에는, 본체 케이싱(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관리 서버(이하 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증금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하우징(300)에는 도 2와 같이 본체 케이싱(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근하면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하여 공병(400)을 투입하고 보증금 환수 등을 선택하는 일련의 조작을 수행할 준비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인체감지센서(3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병(400)의 인식 정밀도를 높이고, 후술할 수거 모듈(200)의 박스부(201)의 만재 시기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수거하여 다음 사용자가 사용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를 감지 가능한 제1, 2, 3 메인 센서(120, 130, 240)를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인 센서(120)는 투입 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병(400)의 종류와 모양 및 크기 파악이 가능하도록, 투입 모듈(100)의 내부로 투입된 공병(400)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즉, 제1 메인 센서(120)는 투입되는 공병(400)의 크기와 모양을 파악하여 음료별 주류별 해당 공병인지 제어 모듈이 판별할 수 있도록 제어 모듈에 해당 감지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제2 메인 센서(130)는 투입 모듈(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병(400)의 재질 및 공병(400) 내부의 잔존 오물 여부 파악이 가능하도록, 투입 모듈(100)의 내부로 투입된 공병(400)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제2 메인 센서(130)는 투입되는 공병(400)의 크기나 모양이 시각 정보의 기설정 데이터와 일치하더라도 재질의 차이에 따른 무게 차이나, 해당 공병 내부에 내용물이나 오물이 잔존하는지 여부를 무게 정보의 기설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도록 제어 모듈에 해당 감지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제3 메인 센서(240)는 수거 모듈(2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공병(400)들 중 수용 공간(201c)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400)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것이다.
즉, 제3 메인 센서(240)는 수용 공간(201c)에 무작위로 쌓이는 공병(400)들의 최상부를 감지하여 후술할 지지 블라인드(230)를 풀어서 수용 공간(201c)을 증대시킴으로써, 공병(400)들이 만재시까지 충분한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제어 모듈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투입 모듈(10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투입 모듈(100)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300)의 전면에 구비된 투입구(321)와 연통되는 연통구(103h)를 전면에 구비한 투입 케이스(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지지부(101)는 투입 케이스(103)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며, 틸팅안내부(102)는 지지부(10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투입 케이스(103)의 바닥면 전방이 투입 케이스(103)의 바닥면 후방에 비하여 상부측에 배치되도록, 투입 케이스(103)는 하우징(300)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제1 메인 센서(120)는 투입 케이스(103)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메인 센서(130)는 지지부(10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1)는, 도 3(b)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착편(110)과 한 쌍의 받침편(114, 11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안착편(110)은 투입 모듈(100)의 하부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편(111)과, 투입 모듈(100)의 하부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편(112)을 포함한다.
아울러, 안착편(110)은 제1 편(111)과 제2 편(112)에 의하여 안착홈(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공병(400)의 안착 공간(도 4(b) 참조)을 제공하고, 투입된 공병(400)의 정확한 중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위치 결정을 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받침편(114, 114)은 안착편(1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입 모듈(100)의 하부측에 고정되며, 투입 모듈(100)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안착편(1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후술할 틸팅안내부(102)의 좌우측 상면은 제1 편(111) 및 제2 편(112)과 각각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공병(400)은 도 4(b)와 같이 투입 모듈(100)의 전면으로부터 투입되어 투입 모듈(100)의 후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안착편(110)의 후방측 단부까지 미끄러져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1)는, 다시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토퍼(115)와 함께 제2 메인 센서(130)를 더 구비하는 구조의 실시예 또한 적용 가능하다.
스토퍼(115)는 안착편(110) 및 한 쌍의 받침편(114, 114)과 연결되어 틸팅안내부(102)의 상면 후단부에 배치되고, 안착편(110)과 한 쌍의 받침편(114, 114)과 함께 고정되며, 투입 모듈(100)의 전방측으로부터 투입된 공병(400)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것이다.
제2 메인 센서(130)는 한 쌍의 받침편(114, 114)과 연결되어 안착편(110)의 하부측에 고정 배치되고, 공병(400)의 재질 및 공병(400) 내부의 잔존 오물 여부 파악이 가능하도록, 투입 모듈(100)의 내부로 투입된 공병(400)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토퍼(115)와 제2 메인 센서(130)는 일체로 고정되어 투입되는 공병(400)의 중량 오차를 최소화하고 해당 공병(400)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제2 메인 센서(130)는 일종의 로드 셀(lopad cell)과 같은 중량 센서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투입 모듈(100)은, 투입 케이스(103)의 전면에 구비되어 연통구(103h)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연통구(103h)를 통하여 투입 케이스(103)의 내부로 투입되는 공병(400) 표면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스캐너(1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캐너(160)는 대한민국의 경우 2017년 1월 1일을 전후로 소주병이나 맥주병 등과 같은 공병(400)의 회수 보증금이 달라진 경우, 해당 공병(400)의 제조일자 등의 정보가 수록된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을 인식함으로써, 정확한 보증금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돌려주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틸팅안내부(102)는, 다시 도 3(b)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투입 모듈(100)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안내판(171)과, 투입 모듈(100)의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안내판(17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제2 안내판(172)을 포함하는 날개편(170)을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틸팅안내부(102)는, 투입 모듈(100)에 고정된 지지부(101)의 상면이 배치되도록, 날개편(170)의 중심부에 일정 폭과 길이로 관통되는 배치 슬롯(17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틸팅안내부(102)는, 날개편(17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편(174)과, 연결편(174)의 전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175, 175)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틸팅안내부(102)는, 한 쌍의 연결바(175, 175)를 관통하여 한 쌍의 연결바(175, 175)와 일체로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축(176)과, 회동축(176)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축(176)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177)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01)의 상면, 즉 안착홈(113)을 형성하는 제1 편(111)과 제2 편(112)을 포함하는 안착편(110)은, 배치 슬롯(173)에 배치됨으로써, 회동되기 전의 날개편(170)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병(400)이 도 3(a) 및 도 4(a)와 같이 ①연통구(103h)를 통하여 투입되면, ②공병(400)은 투입 케이스(103)의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115)까지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해당 공병(400)이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보증금 환급까지 마무리되었다면, 도 3(b) 및 도 4(b)와 같이 ③날개편(170)은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공병(400)을 후술할 수거 모듈(200)의 박스부(201)측으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투입 모듈(100)은, 도 5와 같이, 투입 모듈(100)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300)의 전면에 구비된 투입구(321)와 연통되는 연통구(103h)를 전면에 구비한 투입 케이스(103)의 상면에 전술한 제1 메인 센서(120)를 구비하고, 투입 케이스(103)의 상면 내측에 엘이디칩(140)들을 구비하며, 투입 케이스(103)의 좌우 양측면에 제1 보조 센서(150, 150)를 더 구비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엘이디칩(140)은 투입 케이스(103)의 상면 내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투입 케이스(103) 내부 전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 쌍의 제1 보조 센서(150, 150)는 투입 케이스(103)의 좌우 양측면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틸팅안내부(10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안착편(110)에 공병(400)이 거치되는지 여부를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메인 센서(120)는 비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종의 소형 고해상도 인식 카메라 모듈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엘이디칩(140)은 제1 메인 센서(120)가 투입 케이스(103) 내부로 투입된 공병(400)의 종류와 크기 및 모양 등을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광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제1 보조 센서(150, 150)는 본 발명에 따른 공병회수장치의 공병(400) 인식율을 높여서 오인으로 인한 오작동 또는 미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일종의 적외선 센서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거 모듈(200)의 박스부(201)에는 하우징(30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고, 공병(400)들을 수거할 때 이동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박스부(201)의 바닥면에 복수의 이동용 휠(201w)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박스부(201)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손잡이(201h)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수거 모듈(200)의 받침 수용부(202)는, 도 6과 같이 박스부(201)의 우측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박스부(201)의 전면 및 후면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 샤프트(210)와 함께, 지지 블라인드(230)와 제2 모터(220)를 구비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지지 블라인드(230)는 일단부 가장자리가 박스부(201)의 좌측면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부 가장자리는 권취 샤프트(210)에 고정되며, 권취 샤프트(210)의 정, 역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서 투입 모듈(100)로부터 배출되는 공병(400)을 받침 지지하는 것이다.
제2 모터(220)는 권취 샤프트(210)의 단부에 연결되어 권취 샤프트(210)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지지 블라인드(230)를 권취 샤프트(210)로부터 풀고 감아 수용 공간(201c)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권취 샤프트(210)를 미세하게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지지 블라인드(23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박스부(201)의 전면 및 후면 상단부 중앙에 장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받침 수용부(202)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공병(400)들 중 수용 공간(201c)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400)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제3 메인 센서(240)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박스부(20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201c)에 복수의 공병(400)들이 수용 가능한 최대량으로 수용됨을 감지하여 더 이상의 공병(400)이 수용 공간(201c)에 수용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어 모듈은 제2 모터(220)와 후술할 제3 메인 센서(240) 및 리미트 스위치(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3 메인 센서(24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즉 수용 공간(201c)에 채워진 복수의 공병(400)들 중 최상부를 감지하면 제2 모터(220)를 가동시켜 권취 샤프트(210)에 감긴 지지 블라인드(230)를 일정 정도 풀어서 복수의 공병(400)들이 박스부(201) 내에 수용될 수용 공간(201c)을 마련하게 된다.
이후, 제어 모듈은 지지 블라인드(230)의 장력을 일정 정도로 유지하도록 다시 제2 모터(220)를 가동시켜 풀린 지지 블라인드(230)를 약간 감아주는 제어도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 모듈은 전술한 수용 공간(201c)이 박스부(201)의 내부 공간(201s) 대부분을 차지하는 정도로 커짐에 따라 권취 샤프트(210)로부터 풀리고 복수의 공병(400)들에 의한 하중으로 하강된 지지 블라인드(230)가 리미트 스위치(250)와 접촉하게 된다.
이후, 제어 모듈은 투입구(321)를 통하여 공병(400)을 더 이상 투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메세지를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 상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관리 센터에 알리는 작업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 상에 출력되는 화면들 중 주요 화면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0은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 도면부호 330은 편의상 생략키로 하며, 도 7 내지 도 10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들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우선, 사용자가 하우징(300) 부근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지 않는 한, 도 7(a)와 같이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거나 동영상 또는 광고 등이 방영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하우징(300)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인체감지센서(370)가 이를 감지하며, 제어 모듈은 이러한 사용자 접근 정보를 전달받아 도 7(b) 내지 도 7(d)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화면으로 전환시킨다.
사용자가 도 7(d)와 같이 공병(400) 표면의 바코드 인쇄된 라벨을 스캐너(160)가 인식할 수 있게 투입하면, 제어 모듈은 도 8(a)와 같이 공병(400)을 인식하는 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출력하게 되고, 도 8(b) 및 도 8(c)와 같이 보증금을 계산하여 알려주는 화면을 출력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공병(400)을 도 7(d)와 같은 방법으로 투입하지 않으면, 제어 모듈은 도 8(d)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증금 계산 출력 화면이 뜨고나면, 보증금을 환급받거나 활용하는 방안을 도 9(a)와 같이 '기부', '동전', '영수증', '멤버쉽카드', '티머니'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현금으로 보증금을 직접 수령하고 싶어서 도 9(a)에서 '동전'을 선택하면 도 9(b)와 같이 동전이 나오는 중임을 알려주는 화면이 출력될 것이며, 보증금을 영수증 형태로 받아두고 싶어서 도 9(a)에서 '영수증'을 선택하면 도 9(c)와 같이 영수증 출력중임을 알려주는 화면이 출력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보증금을 기부하고 싶어서 도 9(a)에서 '기부'를 선택하면 도 9(d)와 같이 보증금이 기부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이 출력될 것이다.
기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증금을 '멤버쉽카드', '티머니' 등에 포인트 형태로 적립하고 싶다면, 해당 카드를 카드투입구(352)에 밀어넣어 해당 카드를 인식시키면 보증금이 포인트로 적립되었음을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전술한 일련의 보증금 환급 및 활용 과정이 마무리되면, 하우징(300) 내부의 투입 모듈(100)에서는 틸팅안내부(102)가 제어 모듈에 의하여 작동되어 공병(400)이 수거 모듈(200)의 박스부(201)에 수용되면서, 도 10과 같이 공병(400)의 반환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이 출력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병의 인식률을 높이고, 정확하고 신속한 보증금 환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존의 영수증 발급 형태는 물론, 현금이나 기부 또는 카드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형태의 보증금 환급 및 활용을 원하는 다양한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공병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투입 모듈
101...지지부
102...틸팅안내부
103...투입 케이스
103h...연통구
110...안착편
111...제1 편
112...제2 편
113...안착홈
114, 114...받침편
115...스토퍼
120...제1 메인 센서
130...제2 메인 센서
140...엘이디칩
150, 150...제1 보조 센서
160...스캐너
170...날개편
171...제1 안내판
172...제2 안내판
173...배치 슬롯
174...연결편
175, 175...연결바
176...회동축
177...제1 모터
200...수거 모듈
201...박스부
201c...수용 공간
201h...손잡이
201s...내부 공간
201w...이동용 휠
202...받침 수용부
210...권취 샤프트
220...제2 모터
230...지지 블라인드
240...제3 메인 센서
250...리미트 스위치
300...하우징
310...본체 케이싱
320...개폐 도어
321...투입구
330...조작 디스플레이 패널
340...동전 수용함
342...동전 배출구
350...카드리더기
352...카드투입구
360...영수증 발급기
361...종이 영수증
362...영수증 배출구
370...인체감지센서
400...공병

Claims (9)

  1. 일방향으로 투입된 공병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공병이 하부측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틸팅안내부와, 투입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된 투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전면에 구비한 투입 케이스와, 상기 투입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구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투입 케이스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공병 표면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투입 모듈; 및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투입 모듈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에 구비되어 투입 모듈로부터 낙하하는 복수의 상기 공병들을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박스부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점차 증대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 수용부를 포함하는 수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투입 모듈의 하부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편과, 투입 모듈의 하부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에 의하여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편과,
    상기 안착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입 모듈의 하부측에 고정되며, 투입 모듈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상기 안착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받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의 가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병의 재질과 모양과 무게를 기설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회수 가능한 공병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따른 인식 완료된 공병이 상기 투입 모듈과 상기 수거 모듈을 통하여 회수가 완료되면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입 모듈이 상부측에, 상기 수거 모듈이 하부측에 배치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투입 모듈과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비교 분석 과정 및 결과와 상기 공병의 회수 과정과 상기 보증금을 복수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조작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병의 종류와 모양 및 크기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제1 메인 센서와,
    상기 투입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병의 재질 및 상기 공병 내부의 잔존 오물 여부 파악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모듈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공병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2 메인 센서와,
    상기 수거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공병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제3 메인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안내부는,
    상기 투입 모듈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안내판과, 상기 투입 모듈의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안내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제2 안내판을 포함하는 날개편과,
    상기 투입 모듈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배치되도록, 상기 날개편의 중심부에 일정 폭과 길이로 관통되는 배치 슬롯과,
    상기 날개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전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한 쌍의 연결바를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바와 일체로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수용부는,
    상기 박스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박스부의 전면 및 후면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권취 샤프트와,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박스부의 좌측면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권취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 샤프트의 정, 역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서 상기 투입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병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블라인드와,
    상기 권취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전면 및 후면 상단부 중앙에 장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 수용부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상기 공병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최상측에 배치되는 공병의 임의의 외면을 감지하는 제3 메인 센서와,
    상기 박스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의 상기 공병들이 수용 가능한 최대량으로 수용됨을 감지하여 더 이상의 공병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회수장치.
KR1020170018404A 2017-02-10 2017-02-10 공병회수장치 KR10178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04A KR101788680B1 (ko) 2017-02-10 2017-02-10 공병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04A KR101788680B1 (ko) 2017-02-10 2017-02-10 공병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680B1 true KR101788680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404A KR101788680B1 (ko) 2017-02-10 2017-02-10 공병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512A (ko) * 2019-10-01 2021-04-12 배태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71B1 (ko) *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6617B1 (ko) * 2009-12-11 2010-03-09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71B1 (ko) *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6617B1 (ko) * 2009-12-11 2010-03-09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512A (ko) * 2019-10-01 2021-04-12 배태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KR102253819B1 (ko) * 2019-10-01 2021-05-20 배태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0184B (zh) 纸币存取款机
US7754990B2 (en) Means in a reverse vending machine (RVM) for receiving, handling, sorting and storing returnable items or objects
US5415264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ewspapers
ES2397649T3 (es) Sistema de caja de pago de autoservicio
CN101901512B (zh) 自动交易装置
KR101788680B1 (ko) 공병회수장치
JP2023174906A (ja) 物品回収装置
KR102555965B1 (ko)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JP4349085B2 (ja) 硬貨処理機
JP7565072B2 (ja) 物品回収装置又は物品提供装置用のプリンタ
JP7305210B2 (ja) 容器回収装置
JP7423105B2 (ja) ペットボトル減容装置
US10854048B2 (en) Card receptacle of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5309846B2 (ja) 空容器回収装置
JPH11232346A (ja) 窓口用切手類保管管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切手類販売管理システム装置
WO2003102884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everage dispensing
WO2019181037A1 (ja) 入出力装置及び端末装置
JP2022109918A (ja) 減容装置
JP2020070130A (ja) 装置、物品回収装置、包装装置、はかり付き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