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819B1 -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819B1
KR102253819B1 KR1020190121317A KR20190121317A KR102253819B1 KR 102253819 B1 KR102253819 B1 KR 102253819B1 KR 1020190121317 A KR1020190121317 A KR 1020190121317A KR 20190121317 A KR20190121317 A KR 20190121317A KR 102253819 B1 KR102253819 B1 KR 10225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formation
empty
empty contain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512A (ko
Inventor
배태관
Original Assignee
배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태관 filed Critical 배태관
Priority to KR102019012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8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투입되는 용기의 종류를 식별하여 슬롯 방식으로 분류하고, 투입자 및 투입된 용기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자동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근거하여 검수자에 의해 승인된 투입 용기에 대해 보증금을 지급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Empty bottle unmanned recycl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투입되는 용기의 종류를 식별하여 슬롯 방식으로 분류하고, 투입자 및 투입된 용기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자동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근거하여 검수자에 의해 승인된 투입 용기에 대해 보증금을 지급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재활용 분리수거의 일환으로 별도의 가공 없이도 세척 및 멸균 과정만을 통해서 재활용할 수 있는 공병 등과 같은 빈용기에 대해 보증금을 제공하는 '빈용기보증금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빈용기보증금제도'는 소주와 맥주, 청량음료, 유료용기 재사용률 제고를 위해 제도를 도입했으나, 20여년이 지난 현재 소비자 반환 수거율은 60%를 넘지 못하는 추세이다. 또한, 제도의 취지와는 다르게 수거된 빈용기 중 약 25%는 파쇄되어 재활용 공정으로 보내지므로 재사용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빈용기 보증금을 높였으며, 이에 따라 시민들의 빈용기 보증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정작 빈용기를 반환받아야 하는 소매점 중 다수가 빈용기 반환을 거부하거나 제한된 빈용기만 수납받으며 반환 업무에 대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빈용기 무인수거기를 개발 및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빈용기 무인수거기는 용기의 투입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투입된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고가의 카메라, 투입된 용기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측정 센서, 투입된 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등을 포함하며, 다수의 빈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빈용기 무인수거기는 다수의 센서, 카메라, 컨베이어벨트 등의 고가의 장치들이 포함됨에 따라 그 가격이 수천만원으로 매우 고가이며, 운영비 또한 월 수십만원이 들기 때문에 소규모 마트 등이 구매하여 운영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반영하여 지자체에서 빈용기 무인수거기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으나, 종래 빈용기 무인수거기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구성으로 그 크기가 커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중소형 소매점 실정에는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빈용기 무인수거기는 빈용기 투입자의 인증이 어렵거나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보증금을 환급받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여 투입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컴팩트하면서도 판매 단가가 낮고, 빈용기는 반납하는 사용자(이하 "투입자"라 함)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빈용기 수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6395호(2018.12.1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투입되는 용기의 종류를 식별하여 슬롯 방식으로 분류하고, 투입자 및 투입된 용기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자동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근거하여 검수자에 의해 승인된 투입 용기에 대해 보증금을 지급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은: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고, 투입될 용기에 대한 용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용기의 투입 시 상기 용기정보에 의해 상기 용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상기 용기가 보관된 슬롯(일축=X축)위치 및 슬롯의 스택(타축=Y축)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비콘신호의 송신에 의해 인증된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용기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전송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 및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 및 검수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비콘신호의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투입자 및 검수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원인증을 수행하고, 회원인증 성공 시 식별된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승인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인증 승인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투입자가 투입한 용기에 대한 용기수거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도록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하고, 인증 승인된 회원이 검수자이면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검수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에 대한 검수자의 수거 승인이 완료된 검수완료정보를 상기 검수자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에게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투입된 용기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금을 반환하는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는, 상기 비콘신호를 근거리에 송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통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통신부; 투입할 용기의 용기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용기정보 검출부; 용기 투입구에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투입 여부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용기투입 검출부; 투입된 용기를 보관하되 일축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용기 보관부; 상기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저장부;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용기정보 검출부를 통해 투입될 빈용기에 대한 빈용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빈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빈용기 정보에 의해 빈용기 종류별로 분류하여 상기 용기 보관부에 보관한 후 상기 일축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일축 위치정보 및 상기 빈용기 종류별 분류에 의한 타축 위치정보에 의해 빈용기가 보관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빈용기의 투입 시 인증된 상기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빈용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저장부의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용기정보검출부는, 상기 투입되는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읽어 용기정보로써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로 출력하는 바코드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는, 상기 용기의 투입 검출 시 상기 용기가 빈용기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로 출력하는 빈용기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보관부는, 빈용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 각각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디바이스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분류된 빈용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슬롯의 입구를 개폐하는 슬롯개폐부; 및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상기 빈용기의 상기 슬롯 내의 위치정보인 타축 위치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제어부로 출력하는 스택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바이스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비콘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는 비콘송신제어부; 투입제어부; 및 검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제어부는,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한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승인정보인 투입자식별통지정보를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획득하는 투입자정보 획득부; 상기 용기정보 검출부를 통해 용기정보를 획득하는 용기정보 획득부; 상기 용기정보 획득부로부터 용기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용기정보에 따른 용기종류를 결정하는 용기판단부; 상기 용기 보관부의 슬롯개폐부를 제어하여 용기판단부에서 결정된 용기종류에 대응하는 슬롯의 입구를 개방하는 슬롯제어부; 상기 스택 검출부를 통해 상기 투입되어 상기 개방된 슬롯으로 투입되는 빈용기의 상기 슬롯 내의 스택정보인 타축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스택정보획득부; 상기 일축 위치정보 및 상기 용기 판단부에서 결정된 용기종류에 따라 결정된 슬롯의 인덱스를 타축 위치정보로 하는 상기 빈용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빈용기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용기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하는 빈용기수거정보생성부; 및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수제어부는,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수완료정보의 수신시 검수완료정보를 출력하는 검수완료정보획득부; 및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초기화하는 검수완료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택정보획득부는, 해당 슬롯으로 투입되는 빈용기를 카운트하여 상기 타축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택정보획득부는, 해당 슬롯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각 슬롯의 적층된 빈용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타측 위치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방법은: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콘신호방송과정; 빈용기 수거관리서버가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 및 검수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비콘신호의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투입자 및 검수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원 인증을 수행하고, 회원 인증 성공 시 식별된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승인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회원인증과정; 상기 회원인증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투입될 빈용기에 대한 빈용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빈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빈용기 정보에 의해 빈용기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상기 용기가 보관된 슬롯(일축=X축)위치 및 슬롯의 스택(타축=Y축)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빈용기가 보관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빈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비콘신호의 송신에 의해 인증된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빈용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빈용기투입처리과정;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가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하는 용기수거리스트 갱신 과정; 및 상기 회원인증된 회원이 검수자이면 상기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가 상기 검수자의 검수자단말기로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에 대한 검수자의 수거 승인이 완료된 검수완료정보를 상기 검수자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빈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에게 상기 위치정보에 보관된 빈용기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금을 반환하는 빈병수거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빈용기투입처리과정은, 상기 회원인증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투입될 용기에 대한 용기정보를 획득하는 용기정보획득단계; 상기 용기의 투입 시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인지를 판단하는 빈용기 판단 단계; 상기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이면 용기정보에 의해 빈용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종류별로 서로 다른 슬롯에 보관하는 빈용기분류단계; 상기 빈용기가 보관된 슬롯 및 슬롯에 투입된 빈용기의 수에 따른 상기 빈용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단계;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빈용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하는 빈용기수거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갱신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수완료정보의 수신시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초기화하는 검수완료처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빈용기 무인수거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투입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분류할 수 있으므로 종래 빈용기 무인수거기에 비해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므로 그 판매가격 또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류된 빈용기를 슬롯 방식으로 분류하여 슬롯에 적층하므로 최소 면적 내에 최대의 빈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빈용기 무인수거장치의 판매가격을 낮출 수 있고, 그 크기를 비교적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중소형 소매점 등을 통해 보급할 수 있으므로 보급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자가 빈용기 무인수거장치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투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므로 투입자 입장에서 편리성을 제공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자가 자신의 모바일단말기인 투입자단말기로 보증금 반환에 대한 승인영수증을 제공받고, 온라인을 통해 보증금을 관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투입자의 보증금 반환을 위한 별도의 행동이 필요하지 않아 투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투입자의 적극적인 빈용기 반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수자가 자신의 모바일단말기인 검수자단말기를 통해 수거된 빈용기들에 대한 위치 및 종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빈용기들을 눈으로 인증 후 검수자단말기를 통해 승인된 빈용기들에 대해 투입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투입자에게 보증금 반환을 승인하므로 잘못되거나 파손된 빈용기에 대한 보증금 반환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입자의 모바일단말기인 투입자단말기에 표시되는 빈용기 반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수자의 모바일단말기인 검수자단말기에 표시되는 빈용기 수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수거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에서의 빈용기 무인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수거관리서버에서의 빈용기 무인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빈용기 무인수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은 투입자단말기(100-1), 검수자단말기(100-2),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 및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투입자단말기(100-1), 검수자단말기(100-2),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 및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는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은 와이파이망을 포함하는 광대역통신망(Wade Area Network: WAN),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전용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투입자단말기(100-1) 및 검수자단말기(100-2)는 스마트폰, 아이폰, 스마트패드, 아이패드 등으로 불리는 모바일단말기(100)일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단말기(100)는 투입자용 보증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투입자단말기(100-1)로 동작하고, 검수자용 용기 수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검수자단말기(100-2)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용기 반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투입자 모드를 설정하면 투입자단말기(100-1)로 동작하고, 검수자 모드를 설정하면 검수자단말기(100-2)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투입자단말기(100-1) 및 검수자단말기(100-2)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가 송신하는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의 수신 시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 즉 투입자의 투입자 식별정보 또는 검수자의 검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을 용기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투입자단말기(100-1) 및 검수자단말기(100-2)로 동작하는 모바일단말기(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는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근거리에 방송한다. 상기 근거리는 1m 이내이며 방향성을 가지는 바람직할 것이다.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는 투입될 용기에 대한 용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용기의 투입 시 상기 용기정보에 의해 상기 용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상기 용기가 보관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비콘신호의 송신에 의해 인증된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용기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는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100-1) 및 검수자단말기(10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비콘신호의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투입자 및 검수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원인증을 수행하고, 회원인증 성공 시 식별된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식별통지정보(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투입자식별통지정보, 검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수자식별통지정보)인 인증승인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 전송하며, 인증 승인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투입자가 투입한 용기에 대한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받아 등록하고, 인증 승인된 회원이 검수자이면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검수자단말기(100-2)로 제공하고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에 대한 검수자의 수거 승인이 완료된 검수완료정보를 상기 검수자단말기(100-1)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에게 투입된 빈용기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금을 반환한다. 상기 보상금은 미리 등록된 투입자의 은행계좌로 현금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미리 정의된 포인트로 지급될 수도 있으며, 전자화폐 등으로 지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입자의 모바일단말기인 투입자단말기에 표시되는 빈용기 반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수자의 모바일단말기인 검수자단말기에 표시되는 빈용기 수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바일단말기(100)는 단말저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무선통신부(140) 및 단말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사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아이콘, 그래픽,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입력부(130)는 다양한 기능이 정의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상기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다양한 기능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상기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화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상기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와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와 무선으로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141) 및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연결된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 및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무선통신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141)는 블루투스, 광대역무선통신(UWB) 등의 근거리무선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된 통신장치일 수 있으며,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부(142)는 와이파이(WiFi)망에 접속하여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하는 무선 근거리무선통신(Wireless LAN)장치일 수도 있고, 무선 근거리무선통신장치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할 수 있는 3G, 4G, 5G 등의 이동통신장치 둘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부(142)는 비콘신호를 수신받아 비콘정보를 상기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근거리무선통신부(141) 및 원거리무선통신부(142) 중 어느 하나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비콘신호에 포함된 비콘정보를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카메라부(190)는 카메라의 렌즈에 투영되는 화상을 촬영하여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90)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촬영한 바코드 이미지, QR코드 이미지 등을 단말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제어부(150)는 회원식별정보 획득부(160) 및, 투입모드제어부(170) 및 검수모드제어부(1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회원식별정보 획득부(160)는 투입모드제어부(170) 및 검수모드제어부(18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회원식별정보 요청 발생 시 단말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회원식별정보를 로드하여 회원식별정보를 요청한 투입모드제어부(170) 및 검수모드제어부(180)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
투입모드제어부(170)는 비콘수신모니터링부(171), 투입자정보제공부(172), 투입확인영수증획득부(173), 승인영수증획득부(174) 및 투입자정보관리부(175)를 포함하여, 투입자 전용의 용기반환보증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시 또는 투입자 및 검수자 공용의 용기반환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투입자모드 선택 시에 활성화되어 투입자의 용기투입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비콘수신모니터링부(171)는 무선통신부(140)를 비콘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비콘신호의 수신 시 무선통신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비콘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투입자정보제공부(172)로 출력하고, 상기 회원식별정보획득부(160)를 통해 투입자 식별정보(투입자 식별정보인지 알 수 없음)를 획득하여 투입자정보제공부(172)로 출력한다.
상기 투입자정보제공부(172)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투입자정보인 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투입자정보제공부(172)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투입자 식별정보를 입력부(130)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고, 카메라부(190)를 통해 스캔된 바코드, QR코드 등으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투입확인영수증획득부(173)는 상기 투입자가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용기 투입 시 용기 투입에 대한 투입된 용기정보 및 투입 개수 등을 포함하는 투입확인영수증을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저장부(110)에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승인영수증획득부(173)는 검수자가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투입되어 보관된 용기들에 대한 검수 완료에 따라 상기 투입자가 투입한 상기 투입확인영수증의 투입용기 및 개수에 대한 빈용기 보증금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영수증을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저장부(110)에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상기 투입자정보 관리부(175)는 상기 단말부(110)에 저장된 투입확인영수증 및 승인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제공하고,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도 3의 301과 같이 투입자별로 저장되어 관리되는 보증금 적립 내역, 총 누적 보증금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며, 도 3의 302와 같이 투입자가 일자별로 투입한 용기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GUI를 제공하며, 도 3의 303과 같이 투입자에게 적립된 보증금으로 특정 용기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GUI를 제공한다.
검수모드제어부(180)는 비콘수신모니터링부(181), 검수자정보제공부(182), 검수처리부(183), 검수완료정보제공부(184) 및 검수자정보관리부(185)를 포함하여, 검수자 전용의 용기수거보증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시 또는 상기 용기반환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검수자모드의 선택 시에 활성화되어 검수자의 용기 수거 및 승인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비콘수신모니터링부(181)는 무선통신부(140)를 비콘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비콘신호의 수신 시 무선통신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비콘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검수자정보제공부(182)로 출력하고, 상기 회원식별정보획득부(160)를 통해 검수자 식별정보(검수자 식별정보인지 알 수 없음-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에 의해 식별됨)를 획득하여 검수자정보제공부(172)로 출력한다.
검수자정보제공부(182)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검수자정보인 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검수자정보제공부(182)는 입력부(130) 및 카메라부(19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검수처리부(183)는 상기 검수자정보제공부(182)가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도 4의 401과 같이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대한 기기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회원식별요청정보의 전송에 대한 용기정보리스트정보를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받아 도 4의 402와 같은 검수 GUI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검수처리부(183)는 상기 도 4의 402의 검수GUI를 통해 검수자로부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보관된 용기들에 대한 검수가 수행되면 검수자에 의해 검수되는 검수데이터를 검수완료정보제공부(182)로 출력한다.
검수완료정보제공부(182)는 상기 용기정보리스트정보의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보관된 모든 용기들에 대한 검수가 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검수완료 시 검수완료정보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부(140)를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검수자정보관리부(185)는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검수자별로 검수한 빈용기 무신수거디바이스(200)별 검수완료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거나, 검수완료에 따라 보증금이 지급된 투입자 정보 및 보증금 정보 등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여 검수자의 검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저장부(210), 디바이스통신부(220), 용기정보검출부(230), 용기투입검출부(240), 용기보관부(260) 및 디바이스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빈용기 검출부(250) 및 보관함개폐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디바이스저장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디바이스 식별정보, 용기정보, 빈병수거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바코드 정보, QR코드 정보 등의 코드정보별 용기정보를 저장하는 코드정보별 용기정보 DB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바이스통신부(220)는 비콘신호를 송신하고,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221) 및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무선 및 유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연결된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통신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221)는 블루투스, 광대역무선통신(UWB) 등의 근거리무선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된 통신장치일 수 있으며,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원거리통신부(222)는 와이파이(WiFi)망에 접속하여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하는 무선 근거리무선통신(Wireless LAN)장치일 수도 있고, 무선 근거리무선통신장치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할 수 있는 3G, 4G, 5G 등의 이동통신장치 둘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유선으로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장치(Local Area Network: LAN)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원거리통신부(222)는 디바이스제어부(300)로부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수신받아 비콘신호에 실어 방송한다.
즉 근거리무선통신부(221) 및 원거리통신부(222) 중 어느 하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용기정보 검출부(230)는 바코드, QR코드 스캐너 등이 될 수 있으며, 투입할 용기의 바코드, QR코드 등을 읽은 정보를 디바이스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정보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일 수도 있고, 용기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용기투입검출부(240)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의 빈용기 투입구 내측에 구성되는 용기투입검출센서(미도시)를 통해 투입구로 용기가 투입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용기투입 검출 시 용기투입 검출신호를 디바이스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용기투입검출센서로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광센서, 중량센서, 터치(스위치)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빈용기 검출부(250)는 상기 용기투입검출센서와 비슷한 위치 또는 그 후단에 구성되는 빈용기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용기투입검출부(240)를 통해 검출된 투입 용기가 빈용기인지 빈용기가 아닌지를 검출하고, 빈용기 검출신호를 디바이스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빈용기검출센서는 중량센서, 광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용기투입검출센서와 통합하여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투입검출부(240)가 용기투입 검출 및 빈용기 검출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용기보관부(260)는 미리 설정된 용기 종류에 대응하는 다수의 용기가 수직으로 적재될 수 있는 다수개의 슬롯(미도시)을 구비하고, 각 슬롯의 입구에 슬롯도어(미도서)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보관부(260)는 디바이스제어부(300)의 제어를 받아 각 슬롯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슬롯개폐부(261) 및 각 슬롯에 투입된 용기의 타축(y축)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스택 검출부(262)를 포함한다.
상기 스택 검출부(262)는 각 슬롯을 스택으로 간주하여 슬롯별로 투입된 용기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장치일 수도 있고, 슬롯에 삽입된 마지막 용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장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관함개폐부(270)는 디바이스제어부(300)의 제어를 받아 투입된 용기를 보관하는 보관함으로부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한다.
디바이스제어부(300)는 비콘송신제어부(310), 투입제어부(320) 및 검수제어부(33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콘송신제어부(310)는 디바이스통신부(220)로 주기적으로 자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출력하여 주기적으로 비콘신호가 방송되도록 제어한다.
투입제어부(320)는 투입자정보획득부(321), 용기정보획득부(322), 용기판단부(323), 슬롯제어부(324), 스택정보획득부(325), 용기위치정보 생성부(326), 용기수거정보 생성부(327) 및 용기수거리스트정보전송부(328)를 포함하여, 용기의 투입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투입자정보획득부(321)는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투입자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투입자정보의 수신 시 디바이스저장부(210)에 저장한 후 용기정보획득부(322)를 구동한다.
용기정보획득부(322)는 용기정보검출부(230)로부터 용기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용기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바이스저장부(210)에 저장된 투입자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한다. 상기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정보일 수도 있고, 바코드 정보, QR코드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바코드 정보, QR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용기정보를 디바이스저장부(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코드정보별 용기정보 DB로부터 용기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통신부(22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코드정보를 제공하여 대응하는 용기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용기판단부(323)는 용기투입검출부(240)를 통해 투입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종류 정보를 슬롯제어부(324)로 제공한다.
상기 용기판단부(323)는 빈용기 검출부(250)를 통해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인지의 여부를 더 판단하고, 판단된 빈용기 여부정보를 슬롯제어부(324)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슬롯제어부(324)는 용기판단부(323)로부터 용기종류가 판단되면 슬롯개폐부(261)를 제어하여 판단된 용기종류에 대응하는 슬롯의 슬롯도어를 개방하여 투입된 용기가 개방된 슬롯도어의 슬롯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개방된 슬롯의 위치를 일축(X축) 위치정보로써 용기위치정보생성부(326)로 출력한다.
슬롯제어부(324)는 용기판단부(323)로부터 빈용기 여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빈용기가 아닌 용기를 보관하는 슬롯의 슬롯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빈용기가 아닌 용기가 투입되는 슬롯은 용기를 보관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바깥으로 용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택정보획득부(325)는 용기가 임의의 슬롯으로 투입되면 스택검출부(262)를 통해 타축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용기위치정보생성부(326)로 출력한다.
용기위치정보생성부(326)는 상기 슬롯제어부(324)로부터 일축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택정보획득부(325)로부터 타축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투입된 용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및 용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맵핑하여 저장한다.
용기수거정보생성부(327)는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용기정보, 용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하여 디바이스저장부(210)에 저장한다.
용기수거리스트정보 전송부(328)는 적어도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생성한 후 디바이스통신부(22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검수제어부(330)는 검수자정보 획득부(331), 검수완료정보획득부(332) 및 검수완료처리부(333)를 포함하여 검수자의 검수에 따른 검수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검수자정보 획득부(331)는 디바이스 통신부(220)를 통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검수자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수자정보가 수신되면 보관함개폐부(270)를 제어하여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다.
검수완료정보획득부(331)는 상기 검수자정보 획득부(331)를 통해 검수자정보가 획득되면 검수완료정보가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되면 검수완료를 검수완료처리부(333)로 통지한다.
검수완료처리부(333)는 검수가 완료되어 보관중인 용기가 모두 수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바이스저장부(210)에 저장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초기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수거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는 서버저장부(410), 서버통신부(420) 및 서버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서버저장부(410)는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DB(411), 디바이스별 용기수거정보 DB(412), 디바이스별 검수완료정보 DB(413), 투입자정보 DB(414), 검수자정보 DB(415), 용기정보 DB(417) 등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원DB(411)는 투입자 및 검수자를 포함하는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회원정보는 회원 식별정보 및 상기 회원이 투입자인지 검수자인지를 나타내는 회원종류정보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별 용기수거정보DB(412)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별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저장한다.
디바이스별 검수완료정보DB(413)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별 검수완료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검수완료정보에는 검수자 식별정보가 맵핑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투입자정보DB(414)는 투입자별 용기 투입 날짜, 용기 종류, 투입확인영수증 발행 여부, 승인영수증 발행 여부, 보증금 지급 여부 등을 포함하는 용기 투입 이력 정보 및 누적된 보증금 정보를 저장한다.
검수자정보DB(415)는 검수자 식별정보 및 담당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 투입자단말기(100-2)의 단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검수자정보를 저장한다.
용기정보DB(417)는 바코드, QR코드 등의 코드에 대한 용기정보를 저장한다.
서버통신부(420)는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연결되어 유무선데이터통신망(1)에 연결된 투입자단말기(100-1), 검수자단말기(100-2),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 등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서버제어부(430)는 회원정보획득부(440), 분류부(450), 투입서버제어부(460) 및 검수서버제어부(47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회원정보획득부(440)는 서버통신부(420)를 통해 회원식별요청정보가 수신되면, 회원식별요청정보로부터 회원식별정보를 검출하여 분류부(450)로 출력한다.
분류부(450)는 상기 회원식별정보가 상기 회원정보획득부(440)로부터 입력되면 투입자정보DB(414) 및 검수자정보DB(415)를 참조하여 회원식별정보의 회원이 투입자인자 검수자인지를 판단하고, 투입자이면 투입서버제어부(460)를 활성화하고, 검수자이면 검수서버제어부(470)를 활성화시킨다.
투입서버제어부(460)는 용기수거정보획득부(461), 투입확인영수증생성부(462) 및 투입자정보처리부(463)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빈용기 투입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용기수거정보획득부(461)는 서버통신부(420)를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부터 용기수거정보 또는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별 용기수거정보DB(412)의 해당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대응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다.
투입확인영수증생성부(461)는 상기 용기수거정보획득부(461)를 통해 획득된 용기수거정보 또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에서 추가된 용기수거정보에 대한 투입확인영수증을 생성하여 저장한 후,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의 투입자의 투입자단말기(100-1)로 전송한다. 상기 투입확인영수증은 팝업메시지 또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메시지, 장문메시지서비스(LMS) 메시지,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메시지 등의 이동통신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투입자정보 처리부(463)는 투입자단말기(100-1)로부터 해당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정보의 발생 시 투입자정보DB(414)에 저장된 해당 투입자의 투입자정보를 상기 투입자단말기(100-1)로 제공한다.
검수서버제어부(470)는 용기수거정보제공부(471), 검수완료정보수신부(472), 승인판단부(473), 승인영수증생성부(474), 검수완료처리부(475) 및 검수자정보 처리부(476)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수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용기수거정보제공부(471)는 검수자단말기(100-2)로부터 회원식별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회원식별요청정보의 검수자가 회원식별요청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를 담당하는 담당자인지를 검증하고, 검증 성공 시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대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디바이스별 용기수거정보 DB(412)로부터 로드하여 상기 검수자의 검수자단말기(100-2)로 제공한다.
검수완료정보수신부(472)는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의 전송에 대해 해당 검수자단말기(100-2)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면 디바이스별 검수완료정보DB(413)에 저장한다.
승인판단부(473)는 상기 검수완료정보수신부(472)로부터 검수완료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수완료정보에서 검수자에 의해 승인된 빈용기에 대한 용기수거정보를 추출하여 승인영수증생성부(474)로 출력한다.
승인영수증생성부(474)는 상기 승인판단부(473)로부터 입력되는 용기수거정보에 대응하는 승인영수증을 생성한 후 승인영수증을 상기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단말기(100-1)로 전송하고, 상기 투입자에게 보증금을 지급한다.
검수완료처리부(475)는 상기 승인영수증 전송 및 보증금 지급 후 검수완료정보에 대한 보증금 지급이 완료되었음 검수자단말기(100-2)로 통지하고, 해당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 검수완료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검수완료처리부(475)는 상기 보증금 지급 완료 통지 후, 디바이스별 용기수거정보DB(412)의 해당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초기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완료처리를 수행하여 날짜별 또는 검수별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검수자정보 처리부(476)는 검수자단말기(100-2)로부터 검수자정보의 요청 시 검수자정보DB(415)에 저장된 검수자정보를 상기 검수자단말기(100-2)로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에서의 빈용기 무인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전원이 공급되면 주기적으로 비콘신호를 방송한다(S111).
비콘신호가 방송되기 시작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 접근하는 회원에 의한 회원식별정보가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3).
회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상기 회원식별정보가 투입자 식별정보인지 검수자식별정보인지를 검사하여 접근한 회원이 투입자인지(S115), 검수자인지를 판단한다(S117).
회원이 투입자이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투입자 식별정보를 저장한 후(S119), 용기정보 검출부(230)를 통해 투입할 용기에 대한 용기정보가 획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21).
용기정보가 획득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용기정보를 저장하고, 용기정보에 의해 용기종류를 결정하며, 결정된 용기종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용기의 투입 슬롯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슬롯 위치(인덱스)를 일축 위치정보로 저장한다(S125). 디바이스 제어부(300)는 이때 결정된 슬롯의 슬롯도어를 제어하여 해당 슬롯의 입구를 개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투입슬롯이 결정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용기투입검출부(240)를 용기가 투입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27),
용기가 투입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빈용기 검출부(250)를 통해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인지를 판단한다(S129).
빈용기가 아니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빈용기가 아닌 용기에 할당된 슬롯의 슬롯도어를 제어하여 입구를 개방한다(S131). 그러면 투입된 용기는 개방된 슬롯으로 투입될 것이다. 상기 빈용기가 아닌 용기가 삽입되는 슬롯은 스택 방식으로 용기를 쌓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이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슬롯개폐부(261)를 제어하여 결정된 슬롯의 슬롯도어를 움직여 해당 슬롯의 입구를 개방한다(S133). 이때, 투입된 빈용기는 입구에서 상기 슬롯으로 투입될 것이다.
용기가 투입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스택검출부(262)를 통해 상기 슬롯에 투입되는 빈용기의 스택, 즉 타축 위치정보를 측정한다(S135).
상술한 바와 같이 일축 위치정보(슬롯 위치정보(X축)), 및 타축 위치정보(스택 위치정보(Y축))가 획득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투입된 빈용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37).
빈용기의 투입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용기정보, 디바이스 식별정보,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39).
상기 빈용기수거정보가 생성되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빈용기수거정보가 포함되도록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수거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141).
반면,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 접근한 회원이 검수자이면 디바이스제어부(300)는 검수자의 검수자단말기(100-2)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43),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면 검수완료 처리를 수행한다(S145).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거시스템의 빈용기 수거관리서버에서의 빈용기 무인수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빈용기 수거관리서버(400)의 서버제어부(430)는 회원의 모바일단말기(100)로부터 회원식별요청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11).
회원식별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서버제어부(430)는 회원식별요청정보로부터 회원 식별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번호를 추출하고(S213), 추출된 회원 식별정보에 의해 회원인지를 판단한 후(S215), 상기 회원이 투입자인지(S217), 검수자인지(S219)를 판단한다.
투입자이면 서버제어부(430)는 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투입자식별통지정보를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221).
상기 투입자식별통지정보의 전송 후 서버제어부(430)는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부터 용기수거리스트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23), 용기수거리스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대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다(S225).
용기수거리스트정보가 갱신되면, 서버제어부(430)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의 갱신된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의 투입자단말기(100-1)로 투입확인영수증을 발송한다(S226).
반면, 회원식별요청정보의 회원식별정보가 검수자의 검수자 식별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제어부(430)는 검수자식별통지정보를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로 전송하고(S227),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200)에 대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로드하여 검수자단말기(100-2)로 전송한다(S229).
상기 검수자단말기(100-2)로 용기수거리스트정보의 전송 후 서버제어부(430)는 상기 검수자단말기(100-2)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31),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면 검수완료정보에 따른 승인 및 거절 처리를 수행한다(S233).
서버제어부(430)는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용기수거정보 중 승인된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에게 보증금을 지급하고(S235), 투입자단말기(100-1)로 승인영수증을 발송한다(S237).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유무선데이터통신망 100: 모바일단말기
100-1: 투입자단말기 100-2: 검수자단말기
110: 단말저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입력부 140: 무선통신부
141: 근거리무선통신부 142: 원거리무선통신부
150: 단말제어부 160: 회원식별정보획득부
170: 투입모드제어부 171: 비콘수신모니터링부
172: 투입자정보제공부 173: 투입확인영수증획득부
174: 승인영수증획득부 175: 투입자정보관리부
180: 검수모드제어부 181: 비콘수신모니터링부
182: 검수자정보제공부 183: 검수처리부
184: 검수완료정보제공부 185: 검수자정보관리부
190: 카메라부 200: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
210: 디바이스저장부 220: 디바이스통신부
221: 근거리무선통신부 222: 원거리통신부
230: 용기정보검출부 240: 용기투입검출부
250: 빈용기검출부 260: 용기보관부
261: 슬롯개폐부 262: 스택검출부
270: 보관함개폐부 300: 디바이스제어부
310: 비콘송신제어부 320: 투입제어부
321: 투입자정보획득부 322: 용기정보획득부
323: 용기판단부 324: 슬롯제어부
325: 스택정보획득부 326: 용기위치정보생성부
327: 용기수거정보생성부 328: 용기수거리스트정보 전송부
330: 검수제어부 331: 검수자정보획득부
332: 검수완료정보획득부 333: 검수완료처리부
400: 빈용기 수거관리서버 410: 서버저장부
411: 회원DB 412: 디바이스별 용기수거정보DB
413: 디바이스별 검수완료정보DB414: 투입자정보DB
415: 수거자정보DB 416: 용기정보DB
420: 서버통신부 430: 서버제어부
440: 회원정보획득부 450: 분류부
460: 투입서버제어부 470: 검수서버제어부

Claims (11)

  1.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고, 투입될 용기에 대한 용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용기의 투입 시 상기 용기정보에 의해 상기 용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상기 용기가 보관된 슬롯(일축=X축)위치 및 슬롯의 스택(타축=Y축)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비콘신호의 송신에 의해 인증된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용기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전송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 및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 및 검수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비콘신호의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투입자 및 검수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원인증을 수행하고, 회원인증 성공 시 식별된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승인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인증 승인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투입자가 투입한 용기에 대한 용기수거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도록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하고, 인증 승인된 회원이 검수자이면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검수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에 대한 검수자의 수거 승인이 완료된 검수완료정보를 상기 검수자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에게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투입된 용기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금을 반환하는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는,
    상기 비콘신호를 근거리에 송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통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통신부;
    투입할 용기의 용기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용기정보 검출부;
    용기 투입구에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투입 여부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용기투입 검출부;
    투입된 용기를 보관하되 일축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용기 보관부;
    상기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저장부;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용기정보 검출부를 통해 투입될 빈용기에 대한 빈용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빈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빈용기 정보에 의해 빈용기 종류별로 분류하여 상기 용기 보관부에 보관한 후 상기 일축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일축 위치정보 및 상기 빈용기 종류별 분류에 의한 타축 위치정보에 의해 빈용기가 보관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빈용기의 투입 시 인증된 상기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빈용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저장부의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정보검출부는,
    상기 투입되는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읽어 용기정보로써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로 출력하는 바코드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는,
    상기 용기의 투입 검출 시 상기 용기가 빈용기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로 출력하는 빈용기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보관부는,
    빈용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 각각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디바이스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분류된 빈용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슬롯의 입구를 개폐하는 슬롯개폐부; 및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상기 빈용기의 상기 슬롯 내의 위치정보인 타축 위치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제어부로 출력하는 스택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비콘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는 비콘송신제어부;
    투입제어부; 및
    검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제어부는,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한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승인정보인 투입자식별통지정보를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획득하는 투입자정보 획득부;
    상기 용기정보 검출부를 통해 용기정보를 획득하는 용기정보 획득부;
    상기 용기정보 획득부로부터 용기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용기정보에 따른 용기종류를 결정하는 용기판단부;
    상기 용기 보관부의 슬롯개폐부를 제어하여 용기판단부에서 결정된 용기종류에 대응하는 슬롯의 입구를 개방하는 슬롯제어부;
    상기 스택 검출부를 통해 상기 투입되어 상기 개방된 슬롯으로 투입되는 빈용기의 상기 슬롯 내의 스택정보인 타축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스택정보획득부;
    상기 일축 위치정보 및 상기 용기 판단부에서 결정된 용기종류에 따라 결정된 슬롯의 인덱스를 타축 위치정보로 하는 상기 빈용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빈용기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용기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하는 빈용기수거정보생성부; 및
    상기 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수제어부는,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수완료정보의 수신시 검수완료정보를 출력하는 검수완료정보획득부; 및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수신 시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초기화하는 검수완료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정보획득부는,
    해당 슬롯으로 투입되는 빈용기를 카운트하여 상기 타축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정보획득부는,
    해당 슬롯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각 슬롯의 적층된 빈용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타측 위치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9.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자신의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콘신호방송과정;
    빈용기 수거관리서버가 상기 비콘신호를 수신한 투입자단말기 및 검수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비콘신호의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식별요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투입자 및 검수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원 인증을 수행하고, 회원 인증 성공 시 식별된 상기 투입자 식별정보 및 검수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승인정보를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회원인증과정;
    상기 회원인증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투입될 빈용기에 대한 빈용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빈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빈용기 정보에 의해 빈용기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상기 빈용기가 보관된 슬롯(일축=X축)위치 및 슬롯의 스택(타축=Y축)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빈용기가 보관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빈용기의 투입 시 상기 비콘신호의 송신에 의해 인증된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빈용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빈용기투입처리과정;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가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하는 용기수거리스트 갱신 과정; 및
    상기 회원인증된 회원이 검수자이면 상기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가 상기 검수자의 검수자단말기로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수거리스트정보에 대한 검수자의 수거 승인이 완료된 검수완료정보를 상기 검수자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검수완료정보의 빈용기수거정보의 투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투입자에게 상기 위치정보에 보관된 빈용기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금을 반환하는 빈병수거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빈용기투입처리과정은,
    상기 회원인증된 회원이 투입자이면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투입될 용기에 대한 용기정보를 획득하는 용기정보획득단계;
    상기 용기의 투입 시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인지를 판단하는 빈용기 판단 단계;
    상기 투입된 용기가 빈용기이면 용기정보에 의해 빈용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종류별로 서로 다른 슬롯에 보관하는 빈용기분류단계;
    상기 빈용기가 보관된 슬롯 및 슬롯에 투입된 빈용기의 수에 따른 상기 빈용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단계;
    투입자에 대한 투입자 식별정보, 상기 빈용기 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빈용기수거정보를 생성하는 빈용기수거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빈용기수거정보를 포함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갱신한 후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용기수거리스트정보갱신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빈용기 무인수거디바이스가 상기 빈용기 수거관리서버로부터 검수완료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수완료정보의 수신시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용기수거리스트정보를 초기화하는 검수완료처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용기 무인수거방법.
KR1020190121317A 2019-10-01 2019-10-01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KR10225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17A KR102253819B1 (ko) 2019-10-01 2019-10-01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17A KR102253819B1 (ko) 2019-10-01 2019-10-01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12A KR20210039512A (ko) 2021-04-12
KR102253819B1 true KR102253819B1 (ko) 2021-05-20

Family

ID=7543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317A KR102253819B1 (ko) 2019-10-01 2019-10-01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732A (ko) 2021-06-14 2022-12-21 (주)더그리트 다회용 용기 순환 시스템
KR20230039406A (ko) * 2021-09-14 2023-03-21 씨지정보통신주식회사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8453A (zh) * 2022-07-18 2022-11-01 金陵科技学院 垃圾站点用户培养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6112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寺岡精工 空き容器の回収装置
KR101730741B1 (ko) 2015-12-30 2017-05-11 배응준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KR101788680B1 (ko) * 2017-02-10 2017-11-20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공병회수장치
KR101860874B1 (ko) 2016-11-18 2018-05-24 장선용 소형 생활 폐기품 재활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04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
KR20150105854A (ko) * 2014-03-10 2015-09-18 (주)더모스트컨설팅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101752064B1 (ko) * 2015-11-11 2017-07-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비콘 장치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777A (ko) * 2016-01-04 2017-07-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병 회수 방법 및 장치
KR101873540B1 (ko) * 2016-08-29 2018-07-03 배응준 재활용품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회수 방법
KR101926392B1 (ko) * 2017-02-22 2018-12-10 하트미디어(주) 병 회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6112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寺岡精工 空き容器の回収装置
KR101730741B1 (ko) 2015-12-30 2017-05-11 배응준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KR101860874B1 (ko) 2016-11-18 2018-05-24 장선용 소형 생활 폐기품 재활용 시스템
KR101788680B1 (ko) * 2017-02-10 2017-11-20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공병회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732A (ko) 2021-06-14 2022-12-21 (주)더그리트 다회용 용기 순환 시스템
KR20230039406A (ko) * 2021-09-14 2023-03-21 씨지정보통신주식회사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KR102555965B1 (ko) * 2021-09-14 2023-07-14 씨지정보통신주식회사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12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328B2 (en) Secondary market and vending system for devices
US108250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obile phones
CA31781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obile phones
CN205692207U (zh) 在公共可访问的位置安全回收电子设备的装置
KR102253819B1 (ko)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JP5997253B2 (ja) 電子機器のリサイク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キオスク
US20230282055A1 (en) Low-cost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remote collec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value
CA2903502C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in compliance with second hand dealer laws
US201301980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In Compliance with Second Hand Dealer Laws
KR20220091227A (ko) 재활용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포인트 지급 방법
WO2022034298A1 (en) Recycling mobile devices
US20150294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s
JP2020132249A (ja) セルフサービス給油所向けの給油所システム、および給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