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06A -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06A
KR20230039406A KR1020210122687A KR20210122687A KR20230039406A KR 20230039406 A KR20230039406 A KR 20230039406A KR 1020210122687 A KR1020210122687 A KR 1020210122687A KR 20210122687 A KR20210122687 A KR 20210122687A KR 20230039406 A KR20230039406 A KR 2023003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bottle
empty
unit
bottle
bot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965B1 (ko
Inventor
최재윤
우원식
Original Assignee
씨지정보통신주식회사
우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지정보통신주식회사, 우원식 filed Critical 씨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6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radiation transmissivity, e.g. for light, x-rays,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45Return vending of articles, e.g.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빛을 이용한 물성식별방법으로 회수용 공병을 분류하고 회수할 수 있는 공병 회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는, 공병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공병이 배출되는 퇴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공병을 검사위치로 위치시키거나 공병을 분류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거치유닛과, 본체에 설치되며 검사위치에 놓인 공병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검사광이 공병을 투과한 투과광을 측정하여 공병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를 포함하는 물성측정유닛과, 물성측정유닛을 통과한 공병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분류영역에 형성되어 거치유닛으로부터 이동하는 공병의 이동경로를 변환하여 퇴출구 또는 저장부로 공병을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Empty bottle collect device and empty bottle collec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빛을 이용한 물성식별방법으로 회수용 공병을 분류하고 회수할 수 있는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의식이 강화됨에 따라, 재활용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업들도 이러한 시장동향에 맞춰 생수병에 부착되는 비닐택을 생수병 자체에 로고를 새기는 방식 등으로 대체하여 불필요한 일회용품 줄이기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 주류 회사에서는 업소용으로 제공되는 병을 단체로 수거하여 재활용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가정용 공병도 반납을 하면 공병보증금을 돌려주는 방식으로 공병을 재활용하고 있다.
가정에서는 공병을 집근처 마트나 편의점 등에 반납을 하면, 마트나 편의점에서 우선 보증금을 제공한 뒤 주류 회사측에서 한번에 수거해 가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마트나 편의점 측에서는 많은 양의 공병을 저장할 공간이 마땅치 않고 악취에 대한 문제도 있어 공병 회수를 불편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공병을 회수하고 저장하여 공간 및 냄새 문제 없는 공병 회수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종래의 공병 회수 장치는, 장치로 투입되는 공병이 보증금을 지급하기 위한 회수용 공병인지 아닌지에 대한 인식하는 방법으로 공병의 색깔만을 구분하여 회수하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방식으로 공병의 색상만으로 분류하여 공병을 회수하게되면, 회수용 공병은 아니지만 색상이 동일한 공병을 투입하여 보증금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악용될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91323호 (2002.12.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빛을 이용한 물성식별방법으로 회수용 공병을 분류하고 회수할 수 있는 공병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빛을 이용한 물성식별방법으로 회수용 공병을 분류하고 회수할 수 있는 공병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는, 공병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공병이 배출되는 퇴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공병을 검사위치로 위치시키거나 상기 공병을 분류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거치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위치에 놓인 상기 공병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검사광이 상기 공병을 투과한 투과광을 측정하여 상기 공병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를 포함하는 물성측정유닛과, 상기 물성측정유닛을 통과한 상기 공병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분류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으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공병의 이동경로를 변환하여 상기 퇴출구 또는 상기 저장부로 상기 공병을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물성측정유닛은, 상기 투과광 중 특정파장 영역을 갖는 검사파장에 대한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병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물성측정유닛은, 기준 파장범위 내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상기 검사파장 별로 각각 상기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병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파장범위는 400nm~700n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거치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거치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공병의 낙하 경로를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경사면의 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거치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공병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러가도록 하여 상기 공병을 분류하는 분류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되며, 상기 공병이 상기 검사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롤러 사이의 거리가 상기 공병의 직경보다 작게 유지되고, 상기 공병이 상기 분류영역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롤러 사이의 거리가 상기 공병의 직경보다 크게 벌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공병이 상기 검사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공병을 회전하여 상기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공병 회수 장치.
상기 분류유닛과 상기 저장부 사이의 상기 공병의 낙하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공병에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F 카드가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되면 상기 RF 카드에 공병보증금을 충전하거나, 상기 공병보증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보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시스템은, 공병 회수 장치, 및 상기 공병 회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공병 회수 장치로부터 상기 공병 회수 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 및 회수되는 공병 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에 따른 공병회수율 또는 선호하는 주류의 종류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정보를 산출하는 공병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공병관리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계좌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공병보조금을 계좌이체하거나, 상기 공병보조금을 멤버십카드의 포인트로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 물품 중에서 회수용 공병만을 식별하여 회수하고 공병의 회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다. 특히, 공병 테이터를 분석하여 공병의 술 종류나 제조사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수되는 공병의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러가지 물품 중에서 공병으로 식별되지 않은 물품의 경우 퇴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순수 회수용 공병만을 회수하고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공병을 회수하고 보관까지 할 수 있어 기존의 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회수하며 발생했던 보관이나 악취의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병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병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물성측정유닛의 물성측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분류유닛이 공병분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종류별 공병에 대한 검사광의 파장값에 따른 투과광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공병 처리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병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병 처리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1)는, 공병이 투입되는 투입구(11)와 공병이 배출되는 퇴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투입구(11)로 투입된 공병을 검사위치로 위치시키거나 공병을 분류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거치유닛(100)과, 본체(10)에 설치되며 검사위치에 놓인 공병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10)와, 검사광이 공병을 투과한 투과광을 측정하여 공병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220)를 포함하는 물성측정유닛(200)과, 물성측정유닛(200)을 통과한 공병을 저장하는 저장부(500)와, 분류영역에 형성되어 거치유닛(100)으로부터 이동하는 공병의 이동경로를 변환하여 퇴출구(12) 또는 저장부(500)로 공병을 분류하는 분류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1)는 기존의 마트나 편의점에서 수거하던 공병을 자동으로 회수하고 보관할 수 있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공병을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공병을 회수하고 보관하기 위한 장소가 마땅치 않았으며 유리로 된 공병은 파손될 우려가 있어 보관 및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공병 회수 장치(1)는 공병을 회수하고자 하는 공간에 설치를 하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공병을 회수하고 동시에 보관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1)는 무인으로 공병을 회수하고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다양한 물품 중에서도 회수용 공병만을 식별하여 회수가 가능하다. 공병 회수 장치(1)는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공병이 거치유닛(100)에 안착되면, 물성측정유닛(200)을 통해 공병의 물성을 파악하여 회수용 공병인지에 대해 식별한다. 식별이 완료된 공병은 분류유닛(300)에 의해 저장부(500)로 이동하여 본체(10) 내부에 저장되거나, 본체(10)의 퇴출구(12)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체(10)는 내부가 빈 하우징 형상으로, 공병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와 공병을 배출하기 위한 퇴출구(12)가 형성된다. 본체(10)는 투입구(11)로 공병을 투입받고, 내부에서 공병의 물성식별과정을 거쳐 회수용 공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퇴출구(12)로 공병을 배출하고, 투입구(11)로 투입된 공병이 회수용 공병으로 식별되는 경우 내부에 공병을 저장한다. 이러한 투입구(11)와 퇴출구(12)는 본체(1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공병이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외측에는 퇴출구(12)에서 연장되는 이탈방지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5)는 퇴출구(12)로 배출되는 공병이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15)는 바닥면과 측면이 모두 막혀있고 상단면 및 퇴출구(12)와 중첩되는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공병이 이탈방지부(15)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5)는 일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내부에 공병이 안착되는 거치유닛(100)이 설치된다.
거치유닛(100)은 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투입구(11)로 투입된 공병을 물성측정하기위해 검사위치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물성측정은 공병을 사이에 두고 광조사부(210)에서 공병으로 검사광(도 3의 L1 참조)을 조사하고, 물성측정부(220)에서 공병을 투과한 투과광(도 3의 L2 참조)을 측정하여 공병의 물성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검사위치는 이러한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 사이에서 검사광(L1)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며 거치유닛(100) 상단에 안착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병이 거치유닛(100)의 상단의 검사위치에 안착되고,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가 공병을 사이에 두고 각각 양측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다.
거치유닛(100)은 물성 검사 중에는 공병을 거치하고, 물성 측정이 완료되면 공병을 낙하시킨다. 거치유닛(100)은 한 쌍의 롤러(110)로 형성되어 롤러(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공병을 거치하거나 낙하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롤러(1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공병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롤러(110) 사이의 간격이 공병의 직경보다 작게 배치되어 공병을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공병을 낙하하는 경우에는, 롤러(110) 사이의 간격이 공병의 직경보다 크게 배치되어 롤러(110) 사이로 공병을 낙하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롤러(110)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10)가 3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롤러(110)는 회전 가능하여 상단에 안착된 공병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공병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바코드는 검사위치 상단의 바코드스캐너(21)에 의해 인식 가능하다. 따라서, 바코드가 바코드스캐너(21)를 향해 위치하지 않으면 인식하기 어려워, 롤러(110)를 이용해 공병을 돌려 바코드와 바코드스캐너(21)가 마주하도록 위치를 맞춰줄 수 있다. 한 쌍의 롤러(110) 중 하나의 롤러(110)는 구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롤러(110)는 무동력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롤러(110)를 구동시켜 회전함에 따라 공병이 회전하고, 공병의 회전에 따라 무동력의 롤러(1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롤러(110)의 구동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롤러(110) 모두 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거치유닛(100)은 롤러(11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병을 안착시키고 낙하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거치유닛(100)은 본체(10)의 내측에 투입구(11)와 연속되도록 배치되며, 본체(10)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공병은 투입구(11)로 투입되어 경사진 거치유닛(100)을 따라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검사위치에 안착된다. 공병은 자중에 의해 경사진 거치유닛(1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공병은 거치유닛(100)을 따라 검사위치로 이동하며 거치유닛(100)의 끝단에 도달하면 가이드막(16)에 의해 이동을 멈출 수 있다. 가이드막(16)은 거치유닛(100)에 안착되는 공병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유닛(100) 검사위치를 둘러싸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막(16)은 거치유닛(100)의 끝단뿐만 아니라 양측부도 차단하고 있어 공병이 거치유닛(100)을 따라 삽입되는 중 측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막(16)은 공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거치유닛(100)의 검사위치에 안착된 공병은 물성측정유닛(200)에 의해 물성이 식별된다.
도 3은 물성측정유닛의 물성측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물성측정유닛(200)은 거치유닛(100)에 안착된 공병의 물성을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물성측정유닛(200)은 공병에 검사광(L1)을 조사하고 공병을 투과한 투과광(L2)을 측정하여 공병의 물성을 식별 한다. 공병의 물성은,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 혹은 캔과 같은 재질 및 색상에 대한 물성을 포함한다. 물성측정유닛(200)은 검사광(L1)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10)와 투과광(L2)을 측정하는 물성측정부(220)를 포함한다. 물성측정유닛(200)은 검사위치의 주변에 배치되어, 검사위치에 안착된 공병에 빛을 조사하여 물성을 식별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조사부(210)와, 검사위치와, 물성측정부(220)를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검사광(L1)과 투과광(L2)이 직진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다만,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조사부(210)에서 조사된 빛이 물성측정부(220)까지 도달하기 까지의 경로 상에 검사위치가 배치되면 다양한 구조로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는 검사위치를 향해 노출된 상태로, 광조사부(210)에서 조사된 빛은 간섭없이 검사위치로 바로 조사될 수 있다.
물성측정유닛(200)은 공병의 물성을 측정하여 투입된 공병이 회수용인지 아닌지에 대한 식별을 하며, 식별이 완료된 공병은 거치유닛(100)에 의해 낙하된다. 다만, 공병이 회수용 공병으로 식별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바코드 인식 과정을 거친 후 낙하할 수 있다. 바코드스캐너(21)는 회수용 공병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공병의 정보를 읽어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의 위치로 인해 인식이 어려운 경우 거치유닛(100)을 회전시켜 바코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가 훼손되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영상인식부(22)를 이용해 공병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22)는 공병의 영상을 촬영하여 공병의 종류 혹은 제조사 등과 같은 정보를 읽어낸다.
물성측정유닛(200)은 투입구(11)에 설치된 인입감지센서(20)로부터 공병 투입신호를 받아 물성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인입감지센서(20)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되어, 투입구(11)로 공병이 삽입되는 동작을 인식하고 공병 투입신호를 물성측정유닛(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인입감지센서(20)는 레이저나 전자기파 혹은 카메라 등을 활용한 일반적인 동작감지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퇴출구(12)에도 인입감지센서(2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퇴출감지센서(23)가 설치되어, 공병이 퇴출되는 동작 감지가 가능하다.
바코드스캐너(21)는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공병의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바코드스캐너(21)는 공병이 물성측정유닛(200)에 의해 회수용 공병으로 식별되는 경우,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를 통해 공병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공병의 정보는, 예를 들어, 공병의 제조사, 제조일자, 판매일자 및 제품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스캐너(21)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추후 공병의 회수 경향을 파악하는 정보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스캐너(21)가 바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거치유닛(100)의 롤러(110)를 회전 구동하여 공병을 회전시켜 바코드가 바코드스캐너(21)를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가 손상되어 바코드스캐너(21)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영상인식부(22)를 통해 공병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22)는 공병의 영상을 촬영하여 공병의 제조사, 제품번호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22) 또한 롤러(110)를 회전시켜 공병의 전체 외관을 촬영하고 파악할 수 있다. 영상인식부(22)는 카메라를 통해 공병을 촬영하고 인공지능으로 사물을 인식하여 공병의 정보를 파악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물성측정부(220)를 통해 공병이 회수용 공병인지 아닌지를 분류한 후, 바코드스캐너(21) 혹은 영상인식부(22)를 통해 공병의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물성측정부(220)와, 바코드스캐너(21)와, 영상인식부(22)는 모두 공병이 거치유닛(100)에 안착되어 검사위치에 위치할 때 작동 가능하며, 이들의 작동이 모두 끝나게 되면 거치유닛(100)은 공병을 낙하시켜 저장하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도 4는 분류유닛의 공병분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류유닛(300)은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유닛(100)으로부터 낙하하는 공병의 이동경로를 양측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한다. 분류유닛(300)은 본체(10)에 설치되는 회전축(340)에 축 결합되며, 회전축(340)은 구동전력을 받아 분류유닛(300)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분류유닛(300)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물성측정유닛(200)에서 공병이 회수용으로 식별된 경우, 일측으로 기울여 공병을 저장부(500)로 이동시킨다. 이때, 분류유닛(300)은 얇은 판 형상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병이 회수되지 않는 물품으로 식별된 경우, 분류유닛(300)은 타측으로 기울여 공병을 퇴출구(12)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분류유닛(300)은 공병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에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우선, 분류유닛(300)의 경사면이 퇴출구(12) 측을 향하는 경우, 분류유닛(300)의 퇴출구 측 끝단부가 굴절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낙하하는 공병이 끝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분류유닛(300)의 굴절된 끝단부는 이송유닛(400)과 중첩되며, 중첩되는 구간은 관통구(33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분류유닛(300)은 퇴출구(12) 측을 향하는 단부가 굴절되되, 굴절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일부가 관통 형성된다. 이송유닛(400)은 컨베이어 벨트 형상으로, 퇴출구(12)측에 설치되어 분류유닛(300)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는 공병을 전달받아 퇴출구(1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분류유닛(300)에서 이송유닛(400)으로 공병이 이동하되, 경사면을 따라 낙하하는 가속으로 인해 이송유닛(400)을 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류유닛(300)의 끝단부가 굴절되어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분류유닛(300)의 경사면이 퇴출구(12)와 반대측을 향하는 경우 저장부(500)로 저장되는 이동경로를 향하는 것이다. 이때, 분류유닛(300)의 저장부(500)측 끝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되, 공병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여 본체(10)에 설치된 완충부재(17)가 공병의 파손을 방지한다. 완충부재(17)는 분류유닛(300)과 저장부(500) 사이의 낙하지점에 위치하여 공병에 완충작용을 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즉, 분류유닛(300)에서 저장부(500)측을 향해 경사면을 따라 끝단에서 이탈하는 공병이 완충부재(17)에 충돌하여 완충되고 저장부(500)로 안전하게 낙하할 수 있다. 완충부재(17)는 실리콘 혹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500)는 본체(10)의 하단에 위치하여 분류유닛(300)으로부터 낙하하는 공병을 수용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부(500)는 넓은 수용면을 갖는 벨트(510)와 벨트(510)의 양단을 귄취하여 벨트(510) 길이를 조절하는 권취축(520)을 포함한다. 저장부(500)는 분류유닛(300)의 하단에 위치하여 회수용 공병으로 인식된 공병을 분류유닛(300)으로부터 전달받는다. 즉, 공병은 분류유닛(300)을 따라 완충부재(17)를 거쳐 저장부(500)로 낙하한다. 저장부(500)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넓은 수용면을 형성하는 벨트(510)를 이용해 낙하하는 공병의 충격을 완화하며 공병을 수용할 수 있다. 벨트(510)는 양단부가 권취축(520)에 귄취되어 적어도 일측이 권취축(520)에 감기거나 풀리며 벨트(510)의 수용면을 조절할 수 있다. 권취축(520)은 벨트(510)의 상단에 안착되는 공병의 무게에 따라 벨트(510)의 수용면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권취축(520)은 벨트(510)에 적재된 무게가 증가하면 벨트(510)의 단부를 풀며 벨트(510)의 수용면을 넓히고 더 많은 공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벨트(510)는 공병이 중앙으로 굴러 안착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측부에서 완충부재(17)를 따라 낙하하는 공병이 벨트(510)의 측부를 따라 중앙부로 경사면을 따라 굴러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저장부(500)는 벨트(510)에 공병이 최대 적재량만큼 수용된 경우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저장부(500)가 가득 찼다는 안내 문구를 표시하거나 안내음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러한 공병 회수 과정에 대한 안내 문구 및 진행 사항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회수된 공병의 개수나 종류 및 공병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는 공병 정보뿐만 아니라 광고판으로 활용되는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영수증출력부(14)는 회수된 공병의 개수 및 공병보증금에 대한 정보가 인쇄된 영수증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수증출력부(14)로부터 받은 영수증을 근처 마트나 편의점 등 제휴가 된 판매점에 가서 현금으로 교환 가능하다.
더 나아가, 공병보증금은 현금, 계좌이체, 교통카드 충전, 포인트 충전, 기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보상유닛(18)은 본체(10)에 설치되어 회수된 공병에 대한 공병보증금을 즉시 사용가능한 현금 형태로 지급하는 기능을 한다. 보상유닛(18)은 동전, 지폐와 같은 실물화폐 혹은 카드에 현금 충전하는 형태로 공병보증금을 지급할 수 있다. 보상유닛(18)은 동전과 지폐 모두 지급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되어 현금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를 통해 공병보증금을 지급 받고자하는 동전 혹은 지폐의 종류와 개수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보상유닛(18)은 티머니 교통카드와 같은 RF 카드를 판독하여 RF카드에 공병보증금만큼의 돈을 충전하여 공병보증금을 지급할 수 있다. 공병보증금을 교통카드 충전 방식으로 지급하는 경우, 보상유닛(18)에 별도의 카드태그구역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교통카드를 비접촉 방식으로 태그하면 정보를 인식하여 공병보증금을 교통카드로 충전하는 방식으로 지급 가능하다. 즉, 보상유닛(18)은 카드태그구역 혹은 현금지급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거나 둘 다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여 설명할 공병관리서버(600)를 통해 계좌이체 혹은 포인트 충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병보증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통신유닛(19)은 본체(10)에 설치되어 공병보증급 지급을 위해 공병관리서버(600)와 통신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검사광의 파장값에 따른 투과광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5의 그래프의 일 구간을 확대하여 검사파장을 표시한 그래프이며, 도 7은 검사파장에 대한 투과광의 기준값 및 기준영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성측정부(220)는 투과광(L2)을 측정하며, 투과광(L2) 중에서 기준 파장범위(W) 구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파장범위(W)는 400nm~700nm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시광선의 영역 중 일부를 포함한다. 물성측정부(220)는 기준 파장범위(W) 구간에서 투과광(L2)의 이득값을 측정한다. 즉, 물성측정부(220)가 측정하는 대상은 투과광(L2)이고, 측정범위는 기준 파장범위(W)이며, 측정결과는 투과광(L2)의 이득값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1)는 도 5와 같이 다양한 시료에 대한 이득값을 측정하여 기준값을 설정한 후, 물성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공병의 이득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공병의 물성을 식별한다. 기준값은 시료의 종류에 따른 이득값의 표본이 되는 값을 의미한다. 도 5는 미리 측정한 다양한 시료에 대한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투과광(L2)의 파장을 의미하고, y축은 투과광(L2)의 이득값을 의미한다. 이득값은 해당하는 파장에 대한 투과광(L2)의 세기를 측정한 값으로,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상대적인 값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득값은 투과광의 상대적인 세기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투과광(L2)은 검사광(L1)이 투과하는 대상에 따라 고유한 값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투과 대상에서 필터링된 투과광(L2)을 측정해 대상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는 다양한 시료의 기준값을 나타낸 것으로, 시료는 맥주병, 소주병, 맥주PET, 음료PET, 맥주캔으로 구성된다. 즉, 유리병, 플라스틱병, 캔으로 세분화하고, 유리병은 맥주병과 소주병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들의 기준값은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각각 다른 형상의 그래프로 표현되며, 같은 소재의 시료라해도 이득값의 차이가 크게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유리병이라 해도 소주병과 맥주병의 이득값은 서로 다른 경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료들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구간은 400~700nm로, 기준 파장범위(W)를 400~700nm로 축소하여 보다 정밀하게 이득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준 파장범위(W)를 400~700nm로 축소하면, 시료들 사이의 이득값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 특히, 축소된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검사파장(X)을 지정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시료들을 식별할 수 있다. 검사파장(X)은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각 시료들 사이의 이득값 차이가 큰 파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검사파장(X)은 시료 구분이 용이한 파장값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지정한 것으로, 각각 469nm, 506nm, 553nm, 596nm, 609nm로 지정하였다. 해당하는 검사파장(X)에 대한 시료들의 이득값을 측정하고 비교하였으며 이는 이득값 중 300의 측정편차를 감안한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총 5개의 검사파장(X)을 지정하였으며, 각각의 파장에 대응하는 맥주병, 소주병, 맥주PET, 음료PET, 맥주캔 의 이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파장
[nm]
맥주병 소주병 맥주PET 음료PET 맥주캔
469.06 5,257 32,737 18,813 62,368 5,157
505.91 5,391 14,966 11,249 31,616 5,080
553.25 10,844 44,130 13,735 60,493 5,185
596.16 15,622 28,577 29,169 56,768 5,215
609.27 14,563 21,481 30,140 52,296 5,205
표 1에서와 같이, 하나의 검사파장(X)에 대응하는 각 시료들은 이득값의 차이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도 6의 데이터 값의 일부를 수치화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맥주캔과 맥주병의 이득값 중 검사파장의 일부가 겹쳐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득값을 표 1에서 살펴보면, 이득값의 차이가 작게는 100 에서 크게는 10,000까지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득값이 차이가 1,000 이상만 되더라도 각 시료들을 명확히 구분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맥주캔과 맥주병 또한 명확하게 구분해낼 수 있다. 즉, 하나의 검사파장(X)에서 변별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는 다른 검사파장(X)을 살펴보면 모두 구분 가능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물성측정부(220)는 투과광(L2)으로부터 얻어지는 이득값을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모두 비교하는 것 대신 미리 지정한 검사파장(X)에 해당하는 이득값만을 비교하여 보다 빠른 시간안에 공병의 물성을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1)는 대량의 공병을 끊임없이 회수함과 동시에 물성을 판별하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물성측정부(220)는 복수 개의 검사파장(X)에 해당하는 이득값을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모든 검사파장(X)을 비교하기 전에 공병의 물성이 확실히 식별되면 비교를 중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든 검사파장(X)의 이득값을 비교하지 않아도 일부만으로 공병의 물성을 식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7을 참조하면, 기준값은 일정 비율의 오차범위를 지정하여 기준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득값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기준값을 기준영역으로 확장하여 각 검사파장(X)에 대한 이득값이 기준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시료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공병 회수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8은 공병을 본체에 삽입하는 상태의 작동도이고, 도 9는 공병의 물성을 식별하는 상태의 작동도이며, 도 10은 공병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상태의 작동도이고, 도 11은 공병이 배출구 측으로 분류되는 상태의 작동도이고, 도 12는 공병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수하고자 하는 공병은 투입구(11)를 통해 본체(10)에 삽입된다. 공병은 거치유닛(100)을 따라 본체(10)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삽입된다. 이때, 투입구(11)에 위치하는 인입감지센서(20)는 공병의 투입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공병의 투입이 감지되면 물성측정유닛(200)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투입되는 동안 공병의 물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거치유닛(100)은 정지한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공병의 투입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3)를 통해 회수 작업이 진행중이라는 안내 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물성측정유닛(200)은 공병이 투입구(11)부터 거치유닛(100) 상단의 측정위치까지 도달하는 동안 계속해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공병의 이득값을 산출하고 물성을 식별한다. 물성 식별 결과, 회수용 공병으로 판단되는 경우 바코드 검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유닛(100)은 바코드스캐너(21)를 통해 공병의 바코드를 스캔한다. 이때, 바코드스캐너(21)가 바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거치유닛(100)의 롤러(110)를 회전시켜 공병을 돌려가며 바코드의 위치를 조정한다. 바코드스캐너(21)는 회전하는 공병의 바코드를 계속해서 스캔하고 인식하여, 회수되는 공병의 정보를 읽고 저장할 수 있다. 다만, 공병을 회전시켜도 바코드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영상인식부(22)를 이용해 공병을 촬영하고 영상 자료를 기반으로 공병의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영상인식부(22)는 바코드스캐너(21)가 바코드를 제대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거치유닛(100)은 물성식별이 완료된 공병을 롤러(110) 사이의 간격을 넓혀 낙하시킨다. 이때, 한 쌍의 롤러(110) 중 이동하는 롤러는, 전술한 무동력 롤러일 수 있다. 분류유닛(300)은 물성측정유닛(200)에서 식별된 회수용 공병이라는 정보를 전달받고 우측 하향되게 회동하여 공병을 저장부(5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분류유닛(300)은 완충부재(17) 측을 향해 기울여 공병이 분류유닛(30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완충부재(17)에 충돌하며 충격이 완화되어 안전하게 벨트(510)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저장부(500)에 안착되는 공병의 수가 많아질수록 권취축(520)은 벨트(510)를 풀어주어 벨트(510)의 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500)는 많은 양의 공병을 적재하되, 적재되는 양에 따라 수용공간을 넓혀 공병이 최소한의 거리만큼 낙하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8에서 물성측정유닛(200)에 의해 식별된 공병이 회수용 공병이 아님으로 식별된 경우, 공병은 퇴출구(12) 측으로 이동된다. 투입된 공병이 회수용 공병이 아닌 경우, 별도의 바코드 스캔 과정 없이 바로 거치유닛(100)으로부터 낙하된다. 이때, 분류유닛(300)은 퇴출구(12)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공병에 제공하여, 공병이 경사면을 따라 퇴출구(12)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퇴출구(12)와 연속되는 위치에 이송유닛(400)이 배치되며, 분류유닛(300)을 따라 이동하던 공병이 이송유닛(400)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던 공병이 가속을 받아 이송유닛(400)을 넘어 이탈하지 않도록, 분류유닛(300)의 끝단을 굴절 형성하여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이송유닛(400)에 안착된 공병은 이송유닛(400)을 따라 본체(10)외 외부, 즉, 퇴출구(12)로 배출된다. 공병이 퇴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퇴출구(12)에 설치된 퇴출감지센서(23)를 통해 인식하여 디스플레이(13)에 회수용 공병이 아니니 회수해 달라는 안내 문구 및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5)는 퇴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공병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병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병 회수 장치(1)는, 하나의 공병관리서버(600)와 복수 개의 공병 회수 장치(1)가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공병관리서버(600)는 적어도 하나의 공병 회수 장치(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병 회수 장치(1)는 투입되는 공병 회수 정보를 공병관리서버(600)로 전송한다.
공병관리서버(600)는 복수 개의 공병관리서버(600)와 연결되어, 각각의 공병 회수 장치(1)로 회수되는 공병의 전반적인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공병 회수 시스템(2)은 공병 회수 장치(1)가 설치된 위치 정보도 공병관리서버(600)에 전송하여 설치된 지역에 해당하는 공병 회수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병 회수 장치(1)는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주류 소비 동향이나 회수되는 공병 종류 등 전반적인 경항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단순 판매율과는 다르게 실제 소비자에게 소비되고 있는 주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공병관리서버(600)는 카드사 혹은 멤버십 가맹점과의 통신을 통해 공병보증금을 지급하는 기능을 한다. 공병관리서버(600)는 카드사의 사용자 계좌로 공병보증금을 이체하는 계좌이체 방식 혹은 멤버십 가맹점의 사용자 계정으로 공병보증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공병보증금을 지급할 수 있다. 공병관리서버(600)는 디스플레이(도 1의 13참조)를 통해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공병보증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계좌이체를 진행할 수 있다. 공병관리서버(600)는 공병보증금을 멤버십 포인트로 지급할 수도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공병관리서버(600)는 멤버십 가맹점을 통해 공병보증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공병 회수 장치 2: 공병 회수 시스템
10: 본체 11: 투입구
12: 퇴출구 13: 디스플레이
14: 영수증출력부 15: 이탈방지부
16: 가이드막 17: 완충부재
18: 보상유닛 19: 통신유닛
20: 인입감지센서 21: 바코드스캐너
22: 영상인식부 23: 퇴출감지센서
100: 거치유닛 110: 롤러
200: 물성측정유닛 210: 광조사부
220: 물성측정부 300: 분류유닛
330: 관통구 340: 회전축
400: 이송유닛 500: 저장부
510: 벨트 520: 권취축
600: 공병관리서버 L1: 검사광
L2: 투과광 W: 기준 파장범위
X: 검사파장 Y: 기준영역

Claims (12)

  1. 공병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공병이 배출되는 퇴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공병을 검사위치로 위치시키거나 상기 공병을 분류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거치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위치에 놓인 상기 공병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검사광이 상기 공병을 투과한 투과광을 측정하여 상기 공병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를 포함하는 물성측정유닛;
    상기 물성측정유닛을 통과한 상기 공병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분류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으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공병의 이동경로를 변환하여 상기 퇴출구 또는 상기 저장부로 상기 공병을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하는 공병 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측정유닛은,
    상기 투과광 중 특정파장 영역을 갖는 검사파장에 대한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병을 구분하는 공병 회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측정유닛은,
    기준 파장범위 내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상기 검사파장 별로 각각 상기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병을 구분하는 공병 회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파장범위는 400nm~700nm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거치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거치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공병의 낙하 경로를 변환하는 공병 회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경사면의 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거치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공병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러가도록 하여 상기 공병을 분류하는 분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되며, 상기 공병이 상기 검사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롤러 사이의 거리가 상기 공병의 직경보다 작게 유지되고, 상기 공병이 상기 분류영역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롤러 사이의 거리가 상기 공병의 직경보다 크게 벌어지는 공병 회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공병이 상기 검사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공병을 회전하여 상기 공병에 부착된 바코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공병 회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과 상기 저장부 사이의 상기 공병의 낙하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공병에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병 회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RF 카드가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되면 상기 RF 카드에 공병보증금을 충전하거나, 상기 공병보증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보상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병 회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공병 회수 장치; 및
    상기 공병 회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공병 회수 장치로부터 상기 공병 회수 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 및 회수되는 공병 정보를 전송받아 위치에 따른 공병회수율 또는 선호하는 주류의 종류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정보를 산출하는 공병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병관리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계좌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공병보조금을 계좌이체하거나, 상기 공병보조금을 멤버십카드의 포인트로 지급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KR1020210122687A 2021-09-14 2021-09-14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KR10255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87A KR102555965B1 (ko) 2021-09-14 2021-09-14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87A KR102555965B1 (ko) 2021-09-14 2021-09-14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06A true KR20230039406A (ko) 2023-03-21
KR102555965B1 KR102555965B1 (ko) 2023-07-14

Family

ID=8580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687A KR102555965B1 (ko) 2021-09-14 2021-09-14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289B1 (ko) 2023-09-11 2024-04-08 강신학 공병 수거 및 교환 시스템 및 서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23A (ko) 2001-05-31 2002-12-06 주식회사 이오니아 근적외선에 의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20130019818A (ko) * 2011-08-18 2013-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광 대역 플라스틱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류 시스템
KR101926395B1 (ko) * 2017-02-22 2018-12-10 하트미디어(주) 병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2253819B1 (ko) * 2019-10-01 2021-05-20 배태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6602A (ko) * 2019-12-16 2021-06-24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23A (ko) 2001-05-31 2002-12-06 주식회사 이오니아 근적외선에 의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20130019818A (ko) * 2011-08-18 2013-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광 대역 플라스틱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류 시스템
KR101926395B1 (ko) * 2017-02-22 2018-12-10 하트미디어(주) 병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2253819B1 (ko) * 2019-10-01 2021-05-20 배태관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6602A (ko) * 2019-12-16 2021-06-24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289B1 (ko) 2023-09-11 2024-04-08 강신학 공병 수거 및 교환 시스템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65B1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5206A1 (en) Kiosks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technology
ES2313757T3 (es) Sensor de documentos para un cajero automatico de reutilizacion de moneda.
JP6937333B2 (ja) 電子デバイスのリサイク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230223B2 (en) Sensing system for ascertaining currency content of ATM
ES2854981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reciclar teléfonos móviles
CN102150184B (zh) 纸币存取款机
US9430893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rejected coins during coin processing
JP5997253B2 (ja) 電子機器のリサイク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キオスク
KR20210127199A (ko) 전자 디바이스의 신경망 기반의 물리적 상태 평가, 및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286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US201301447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US201301980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In Compliance with Second Hand Dealer Laws
CA2903502C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in compliance with second hand dealer laws
KR100382271B1 (ko) 지능형 무인우편창구 시스템
US20130046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US20120301009A1 (en) Coin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555965B1 (ko) 공병 회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병 회수 시스템
US20100131374A1 (en) Integrated Currency Scales
JP2021084357A (ja) 媒体取扱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EP2810219B1 (en) Method of analy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253819B1 (ko)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JP2013091546A (ja) 空容器回収装置
CN106663350B (zh) 介质收容装置和介质交易装置
JP2000163620A (ja) 自動取引装置
CN1279794B (zh) 具有自审核能力的自动银行业务机系统以及自审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