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926B1 -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926B1
KR100714926B1 KR20060097393A KR20060097393A KR100714926B1 KR 100714926 B1 KR100714926 B1 KR 100714926B1 KR 20060097393 A KR20060097393 A KR 20060097393A KR 20060097393 A KR20060097393 A KR 20060097393A KR 100714926 B1 KR100714926 B1 KR 10071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llection
information
amount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9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전종국
Original Assignee
(주) 현암바씨스
(주) 현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현암바씨스, (주) 현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현암바씨스
Priority to KR2006009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30Landfill technologies aiming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수거된 폐기물량 또는 쓰레기 봉투의 수량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관리하기 위한 폐기물 수거장치 및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바코드를 갖는 쓰레기 봉투에 투입된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쓰레기 봉투의 적재 공간을 갖는 수거함, 수거함에 결합되어 적재 공간을 노출시키거나 덮기 위한 뚜껑, 뚜껑을 여닫기 위한 뚜껑 개폐수단,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가 근접되면 바코드를 읽어 바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 인식부,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수거함에 적재된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생성하고, 바코드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뚜껑 개폐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는 수거장치는, 폐기물을 투입받기 위한 수거함과 식별자 제공부를 포함한다. 폐기물 관리 시스템은, 수거된 폐기물 양을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 및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비용정산 요청을 수락하는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폐기물, 수거, 운반, 처리, 관리, 비용, 정산

Description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TAKING AWAY GARBAGE AND MANAGING SYSTE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구성을 갖도록 구현된 쓰레기 봉투 수거장치의 뚜껑 개ㆍ폐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중앙 관리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기물 수거량을 자동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폐기물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면적, 재산세 등을 과표로 폐기물처리 수수료를 징수하던 종전의 제도에서 배출자 부담원칙에 따라 실제 배출량을 과표로 수수료를 부과하는 폐기물 종량제가 1995년 1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폐기물 배출량에 따라 그 처리비용을 차등적으로 부과하는 폐기물 종량제를 시행함에 따라, 폐기물 발생량이 줄고 재활용품 수거율이 향상되는 큰 성과를 보였다.
종량제 적용대상 폐기물은 일반 가정에서 배출하는 생활 폐기물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이다. 사업장의 일반 폐기물 중 생활 폐기물과 성상이 유사하여 생활 폐기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거ㆍ운반ㆍ보관 및 처리가 가능한 폐기물도 종량제 적용대상 폐기물이다. 종량제에 따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자는 지방 행정기관의 지정 판매소에서 규격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여야 한다. 쓰레기 봉투 가격에 폐기물 처리수수료가 포함되기 때문에 폐기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처리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다. 쓰레기 봉투 판매비용은 지방 행정기관에 입금된다.
쓰레기 봉투의 불법복제 및 유통을 방지하고, 쓰레기 봉투의 제작 및 판매, 폐기물의 수거 및 운반을 행정기관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쓰레기 봉투에는 바코드가 인쇄 또는 부착된다. 쓰레기 봉투의 제작 및 판매, 폐기물이 담긴 쓰레기 봉투의 수거ㆍ운반 및 처리는 각 지방 행정기관의 지도감독하에 진행된다. 폐 기물의 수거ㆍ운반 및 처리는 폐기물처리법의 허가를 받은 사업자가 대행하고, 지방 행정기관은 수거된 폐기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대행업체에게 비용을 지불한다. 즉, 지방행정기관은 배출자를 대신하여 배출자가 지불한 쓰레기 봉투 비용에서 대행업체의 서비스 비용을 지불한다.
폐기물의 수거ㆍ운반 및 처리 대행업체는 배출자가 대문 밖으로 배출한 각 쓰레기 봉투를 수거한다. 단독 주택가에서는 문전수거 형태로, 저밀도의 아파트, 공동주택 및 일부 사업장에서는 거점수거 형태로 폐기물이 담겨진 쓰레기 봉투를 수거, 운반 및 처리한다. 또한, 폐기물의 수거ㆍ운반 및 처리 대행업체는 고밀도의 아파트, 공동주택 및 사업장 주변에 마련된 상차용 쓰레기 봉투 수거함(이하, 수거함이라 약함)에 투입된 쓰레기 봉투를 수거하여 폐기물 운반차량에 옮기고(용기수거), 운반 및 처리한다.
상차용 수거함을 이용한 쓰레기 봉투 수거는 문전수거의 경우 보다 동일 시간에 비교적 많은 쓰레기 봉투를 수거할 수 있으며, 쓰레기 봉투의 훼손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거함 내에 투입된 쓰레기 봉투를 하나하나 세어 종류별로 수량을 파악해야 함에 따라 수거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종류별로 수량을 분리 파악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 된다. 지방 행정기관에서는 폐기물의 수거ㆍ운반 및 처리 대행업체를 통해 폐기물 수거량을 파악하여 폐기물 처리비용을 산정해야 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용을 정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에 담기지 않고 전용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 예컨대 음 식물 폐기물 등을 수거할 경우, 각 수거함에 배출되는 음식물 폐기물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의 수거, 운반, 보관관리, 선별, 매립, 소각, 재활용, 파쇄에 이르는 전과정을 지방 행정기관이 지도감독하기가 수월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량을 자동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폐기물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류별 쓰레기 봉투 수거량을 자동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폐기물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코드를 갖는 쓰레기 봉투에 투입된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는 쓰레기 봉투의 적재 공간을 갖는 수거함; 상기 수거함에 결합되어, 상기 적재 공간을 노출시키거나 덮기 위한 뚜껑; 상기 뚜껑을 여닫기 위한 뚜껑 개폐수단; 상기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가 근접되면 상기 바코드를 읽어 바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 인식부; 상기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거함에 적재된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뚜껑 개폐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수거 장치는 폐기물을 적재하기 위한 수거함; 및 식별자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폐기물 수거장치로부터 수거된 폐기물의 처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에서 수거된 쓰레기 봉투의 수거량 또는 폐기물 양을 을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비용의 정산을 요청하기 위한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비용정산 요청을 수락하는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수거대상인 쓰레기 봉투에는 쓰레기 봉투의 종류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인쇄 또는 부착된다. 쓰레기 봉투의 종류는 수거전용 쓰레기 봉투 또는 쇼핑백 겸용 쓰레기 봉투의 용량에 따라 구분된다. 수거전용 쓰레기 봉투는 지방 행정기관의 관리하에 제작 및 판매되고, 쇼핑백 겸용 쓰레기 봉투는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에서 판매된다. 또한, 바코드는 쓰레기 봉투 종류 뿐만 아니라 수거지역, 수거, 운반, 보관, 분류 및 폐기에 이르는 폐기물 처리의 대행업체를 나타낸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바코드를 갖는 쓰레기 봉투에 투입된 폐기물의 수거장치(100)는 쓰레기 봉투 적재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거함(110), 수거함(110)에 결합되어 적재공간을 덮거나 노출시키기 위한 뚜껑(120), 뚜껑(120)을 여닫기 위한 개폐수단(160),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가 근접되면 바코드를 읽어 바코드 정보를 제 공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부(130),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수거함(110)에 적재된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생성하고 바코드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뚜껑 개폐수단(1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 및 누산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각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식별자로써 구분된다.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누산값을 쓰레기 봉투의 수거량으로서 제공하기 위한 수거량 제공부(1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광량 또는 온도 변화에 따라 수거함(110)으로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18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뚜껑(120)의 닫힘을 알리는 경고음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바코드 인식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뚜껑 개폐수단(160), 수거량 제공부(170), 쓰레기 봉투 투입 감지센서(180) 및 경고음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쓰레기 봉투 수거장치(100)의 구성 및 사용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쓰레기 봉투가 투입 또는 수거되지 않을 때, 수거함(110)의 적재공간은 뚜껑(120)으로 덮여져 있다(도 2 참조). 도 2는 여닫이 형태의 뚜껑(120)을 보이고 있으나 뚜껑(120)은 미닫이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배출자가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를 바코드 인식부(130)에 근접시키면, 즉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가 근접되면 바코드 인식부(130)는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기준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인식부(130)로부터 입력된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바코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 바코드는 해당 수거장치(100)가 배치된 지역, 해당 수거장치(100)을 담당하는 수거대행업체, 쓰레기 봉투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구분되어 할당된 바코드이다. 제어부(140)에는 쓰레기 봉투의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기준 바코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바코드가 정상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쓰레기 봉투의 종류를 판별하고,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로 누산값을 생성한다. 아울러, 바코드가 정상일 때 제어부(140)는 "뚜껑열림신호"를 생성한다.
저장부(150)는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 누산값을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카드 메모리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등으로 구현된다.
뚜껑 개폐수단(160)은 "뚜껑열림" 및 "뚜껑닫힘"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뚜껑(120)을 열고 닫는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뚜껑 개폐수단(160)은 뚜껑에 연결된 이동축, 이동축을 움직이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뚜껑 개폐수단(160)이 완전히 열린 시점을 판단하고 "뚜껑열림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뚜껑이 열린 시각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40)는 "뚜껑닫힘" 신호를 생성한다. 뚜껑이 열린 시각은 제어부(140)에서 "뚜껑열림" 신호가 생성된 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배출자가 쓰레기 봉투를 투입할 수 있는 크기까지 뚜껑이 열리는데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한 때로 설정된다. 뚜껑 개폐수단(160)이 "뚜껑열림완료" 신호를 생성할 경우, 뚜껑이 열린 시각은 "뚜껑열림완료" 신호가 제어부(140)에 입력된 시각으로 결정된다. 장치(100)가 경고음 발생부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140)는 "뚜껑닫힘" 신호와 함께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경고음 발 생부는 "경고" 신호에 응답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가 쓰레기 봉투 투입 감지센서(180)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180)의 동작은 "뚜껑열림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또는 뚜껑 개폐수단(160)이 "뚜껑열림완료" 신호를 생성하도록 장치(100)가 설계될 경우, 제어부(140)는 뚜껑 개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뚜껑열림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180)의 동작 개시를 제어한다. 동작이 개시되면, 센서(180)는 광량 또는 온도 변화에 따라 수거함(110)으로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투입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뚜껑(120)이 열린 시각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센서(180)로부터 "투입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투입감지" 신호 발생 시각으로부터 일정시간이 지났을 때 "뚜껑닫힘" 신호를 생성한다.
수거량 제공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다. 예컨대, 수거량 제공부(1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vice)의 점멸로 투입된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 수거량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또는 수거량 제공부(170)는 제어부(140)를 통하여 또는 저장부(150)에 직접 접속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장치이다. 또는 저장부(150)가 카드 메모리로 구현될 경우, 수거량 제공부(170)는 카드 메모리의 입출력부 자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수거량 제공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 수거량으로써 저장부(150)에 저장된 누산값을 전송하는 유·무선통신기로 구현된다.
수거함(110)에 투입된 쓰레기 봉투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바코드 인식 부(130)는 수거자가 접촉시키는 수거시작 바코드를 읽어 수거시작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수거시작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인식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수거시작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수거시작 바코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수거시작 바코드가 정상일 때 "수거시작"를 신호를 생성한다. 뚜껑 개폐수단(160)은 "수거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뚜껑(120)을 연다.
수거함(110)에 투입된 봉투의 수량을 파악하고 수거가 완료되면, 수거자는 바코드 인식부(130)에 수거완료 바코드를 접촉시킨다. 바코드 인식부(130)는 접촉된 바코드를 읽어 수거완료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수거완료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인식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수거완료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수거완료 바코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수거완료 바코드가 정상일 때 "수거완료"와 "수량초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수거시작 바코드와 수거종료 바코드는 하나의 수거 바코드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뚜껑(120)이 닫힌 상태에서 수거 바코드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시작 바코드 정보로 판단하고, 뚜껑(120)이 열린 상태에서 수거 바코드 정보가 입력되면 수거완료 바코드 정보로 판단한다.
뚜껑 개폐수단(160)은 "수거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뚜껑(120)을 닫고, 제어부(140)는 "수량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종류별 누산값을 0으로 초기화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장치(100A)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폐기물 수거장치(100A)는 쓰레기 봉투에 담기지 않고 투입되는 폐기물, 예컨대 음식물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폐기물 수거함(110A)과 식별자 제공부(190A)를 포함한다. 폐기물 수거장치(100A)는 수거함(110A)을 덮는 뚜껑(120A)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식별자 제공부(190A)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로 구현된다.
폐기물 수거장치(100A)는 식별자 판독 및 계근 장치로 이동된다. 식별자 판독 및 계근 장치는 판독된 식별자와 수거 폐기물량을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 전술한 폐기물 수거장치(100, 100A)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관리는 폐기물의 수거, 운반, 보관, 분류 및 폐기에 이르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아울러, 폐기물의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 폐기물의 보관 및 분류 대행업체, 폐기물의 폐기 대행업체는 지방 행정기관에 의해 인가(또는 허가)를 받은 대행업체로서 각 대행업체는 식별번호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관리 시스템(1000)은, 폐기물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200),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 및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는 폐기물(쓰레기 봉투)의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에 마련된 서버이고,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쓰레기 봉투 제작, 판매, 폐기물 수거장치의 제작, 폐기물 폐기물의 수거, 운반, 보관, 분류 및 폐기를 대행업체(들)에 의뢰한 행정기관에서 관리하는 서버이다.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식별번호 를 전송하여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400)에 접속을 요청하며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폐기물 처리 비용의 정산을 요청한다.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식별번호를 기초로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의 접속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비용정산 요청을 수락한다.
폐기물 관리 시스템(1000)는 수거 장치(100)로부터 수거된 쓰레기 봉투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반차량(510)의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5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폐기물 관리 시스템(1000)은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를 더 포함한다.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는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을 보관하거나,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에서 재활용품을 선별하는 대행업체에 마련된 서버이다.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400)에 접속을 요청하며,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로부터 전달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과 분류된 재활용품의 종류 및 양을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는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비용 정산을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에 요청한다. 이와 같이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가 포함될 경우,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식별번호에 근거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의 접속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와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로부터 각각 입력된 운반 및 수거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 그리고 분류된 재활용품의 종류 및 양에 기초하여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비용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한다.
폐기물 관리 시스템(1000)은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를 더 포함한다.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는 폐기물의 최종적인 폐기 즉, 파쇄, 매립 및 소각을 대행하는 업체에 마련된 서버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400)에 접속을 요청하며,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업체로부터 전달받은 폐기물의 종류 및 양, 매립, 파쇄, 소각된 폐기물 양을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는 폐기물 폐기 비용정산을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가 포함될 경우,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식별번호에 근거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의 접속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와 폐기물 폐기 서버(320)로부터 각각 입력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에 기초하여 폐기물 폐기 대행비용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한다.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폐기물 수거정보는 각 폐기물 수거장치(100, 100A)의 식별자 및 각 폐기물 수거장치(100, 100A)에서 수거된 폐기물 양 즉, 종류별 쓰레기 봉투 수거량 또는 폐기물 무게를 포함한다.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으로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쓰레기 봉투 종류별 수거량 제공부(170)가 LCD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경우, 수거자는 각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식별자와 해당 장치(100)의 LCD 등에 표시된 수량을 읽어 단말기(200)에 저장한다.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수거량 제공부(170)가 카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경우, 단말기(200)는 해당 리더기가 구비된 단말기이다. 이 경우, 수거자가 수거된(투입된) 쓰레기 봉투 수량을 단말기(200)에 입력하지 않고, 수거량 제공부(170)에서 단말기(200)로 직접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 수량이 입력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거량 제공부(170)가 유·무선통신기로 구현될 경우, 단말기(200)는 수거량 제공부(170)와 유·무선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 경우, 유·무선통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수거량 제공부(170)로부터 단말기(200)로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 수거량이 전송된다. 또한, 단말기(200)는 수거자로부터 수거자 근태 정보를 입력받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거자의 근태 정보를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에 제공한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는 폐기물 수거정보 DB(301), 용역 및 운반 차량 관리 DB(302), 정산정보 DB(303), 대행 프로세서(304) 및 유무선 통신부(305)를 포함한다.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는 단말기(200)로부터 폐기물 수거정보 및 수거자의 근태정보를, GPS(520)로부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폐기물 수거정보 DB(301)는 지역별 및 종류별로 구분된 폐기물 수거정보를 저장한다. 대행 프로세서(304)는 폐기물 수거정보를 종류별, 지역별, 운반차량 별로 분류하고, 운반차량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각 운반차량의 운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각 운반차량의 누적 주행거리를 산출하고, 각 운반차량 실시간 운행 현황에 기초하여 각 운반차량에 배치된 수거자의 근무현황 및 수거 진척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폐기물 수거정보 DB(301)에 입력된 폐기물 수거정보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정산정보를 생성하고,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에 정산을 요청한다. 용역&운반차량 관리 DB(302)는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수거자 근태 정보, 단말기(200)와 식별자 판독 및 계근 장치(250)로부터 제공되는 폐기물 수거정보 중 운반차량별로 구분된 정보, 대행 프로세서(304)로부터 입력된 운반차량의 위치정보, 각 운반차량의 시간별 운행 현황, 각 운반차량의 누적 주행거리, 수거자의 시간별 근무현황 및 수거 진척도를 저장한다. 정산정보 DB(303)에 대행 프로세서(304)에서 산출된 정산정보를 저장한다.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바코드 정보 DB(data base)(410), 쓰레기 봉투 제작 및 배포 정보 DB(420), 폐기물 관리 정보 DB(430), 대행업체 관리정보 DB(440), 정산정보 DB(450), 중앙 프로세서(460) 및 유무선 통신부(470)를 포함한다.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 단말기(200)와 식별자 판독 및 계근 장치(250)로부터 폐기물 수거정보를 입력받는다.
바코드 정보 DB(410)는 각 쓰레기 봉투에 인쇄 또는 부착되는 바코드의 정보, 각 수거장치(100)의 제어부(140)에 설정된 기준 바코드 정보,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의 수거자에게 지급된 수거 바코드의 정보, 각 수거장치(100)의 제어부(140)에 설정된 기준 수거 바코드 정보를 저장한다.
쓰레기 봉투 제작 및 배포 정보 DB(420)는 쓰레기 봉투 제조업체에서 제조된 쓰레기 봉투 종류별 수와 쓰레기 봉투 판매대행 업체에 배포된 쓰레기 봉투 종류별 수를 저장한다.
폐기물 관리정보 DB(430)는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로부터 입력 된 폐기물 수거정보를 저장한다.
대행업체 관리정보 DB(440)는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 및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 각각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각 대행업체 즉,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업체 그리고 폐기물 처리 대행업체의 인원수, 운반차량 종류와 수, 수거이력, 운반차량의 이동경로, 정산이력, 송금계좌번호 정보, 지로발송정보, 사업자 등록번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정산정보 DB(450)는 중앙 프로세서(460)가 생성한 정산정보를 저장한다.
중앙 프로세서(460)는 대행업체 관리정보 DB(440)에 저장된 식별번호와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로부터 입력되는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의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폐기물 수거정보를 지역별, 수거 대행업체별로 분류하고, 수거 대행업체별 폐기물 수거정보를 바탕으로 정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로부터 입력되는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폐기물 관리 시스템(1000)이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와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를 구비할 경우, 중앙 프로세서(460)는 대행업체 관리정보 DB(440)에 저장된 식별번호들과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와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식별번호들을 비교하여 각 서버(310, 320)의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 선별된 재활용품의 종류 및 양, 폐기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으로부터 수거에서 폐기에 이르는 폐기물의 종류별 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폐기물의 종류별 양에 기초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한다. 아울러, 중앙 프로세서(460)는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310)와 폐기물 폐기 대행서버(320)로부터 각각 입력된 비용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한다.
위치정보 제공부(5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 구현된다. GPS로부터 제공되는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는 인공위성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에 입력된다.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관리 시스템(2000)은 전술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10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폐기물 수거정보로서 폐기물 수거장치(100A)의 식별자와 해당 수거장치(100A)로 수거된 폐기물 양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 가능한 식별자 판독 및 계근 장치(250)를 더 포함한다. 식별자 판독 및 계근 장치(250)는 서로 분리된 식별자 판독기(RF ID 리더기)와 계근기, 식별자 판독기로부터 입력되는 판독정보와 계근기로 부터 입력되는 계근정보(폐기물 양)를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300)로 전달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장치로 구현되어 폐기물 수거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폐기물 관리 시스템은 쓰레기 봉투 제조업체 및 쓰레기 봉투 판매대행 업체 등에 각각 구비된 봉투 제작 대행서버, 봉투 판매 대행서버를 더 포함한다.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각 대행서버로부터 제작된 봉투 종류와 수, 바코드 정보, 제작비용 정산요청, 봉투 구매요청, 판매비용의 정산요청 등을 입력받고, 쓰레기 봉투 제작 및 배포 정보 DB(420) 의 저장정보에 기초하여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400)는 자동결재 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쓰레기 봉투 제조업체, 쓰레기 봉투 판매 대행업체 또는 폐기물 수거 대행업체 등로부터 각각 입력된 정산요청이 수락되면, 유무선 통신부(470)를 통해 금융기관과 연결에 자동결재(송금)을 요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수거함에 투입되는 쓰레기 봉투 수량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폐기물 수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폐기물 수거량을 파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 대행업체와 관할 기관에 모두 폐기물 수거량을 제공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호간에 수거된 폐기물 양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청소대행업체와 관할 기관 간의 비용정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에서 수거자의 근태정보와 운반차량의 운행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폐기물의 수거, 운반, 보관, 분류 및 폐기(소각, 매립)에 이르는 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지방 행정기관은 폐기물의 수거, 운반, 보관, 분류 및 폐기(소각, 매립)에 이르는 과정에서 각 대행업체 서버의 접속승인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인가(허가) 받은 대행업체에 대해서만 폐기 물의 처리 및 비용 정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계의 대행업체에서 입력되는 각 단계의 폐기물 양을 서로 비교하여 폐기물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지도 감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바코드를 갖는 쓰레기 봉투에 투입된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쓰레기 봉투의 적재 공간을 갖는 수거함;
    상기 수거함에 결합되어, 상기 적재 공간을 노출시키거나 덮기 위한 뚜껑;
    상기 뚜껑을 여닫기 위한 뚜껑 개폐수단;
    상기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가 근접되면 상기 바코드를 읽어 바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 인식부;
    상기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거함에 적재된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뚜껑 개폐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바코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바코드가 정상일 때 상기 누산값을 증가시키고 뚜껑열림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뚜껑 개폐수단은 상기 뚜껑열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뚜껑을 여는, 폐기물 수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재된 쓰레기 봉투의 누산값을 종류별로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종류별 누산값을 저장하는, 폐기물 수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는,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거함으로 상기 쓰레기 봉투가 투입될 때 투입신호를 생성하는 폐기물 투입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상기 투입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뚜껑 닫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뚜껑 개폐수단은 상기 뚜껑닫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뚜껑을 닫는 폐기물 수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수거자가 보유한 수거시작 바코드를 읽고 수거시작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거시작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거시작 바코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수거시작 바코드가 정상일 때 수거시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뚜껑 개폐수단은 상기 수거시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뚜껑을 여는, 폐기물 수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수거자가 보유한 수거완료 바코드를 읽고 수거완료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거완료 바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거완료 바코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수거완료 바코드가 정상일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누산값을 0으로 초기화시키는, 폐기물 수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누산값을 상기 쓰레기 봉투의 수거량으로서 제공하기 위한 수거량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량 제공부는 유무선 통신으로 상기 수거량을 제공하는, 폐기물 수거장치.
  9.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폐기물을 적재하기 위한 수거함; 및
    식별자 제공부
    를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제공부는 RF ID 태그인, 폐기물 수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은 음식물 폐기물인, 폐기물 수거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로부터 수거된 폐기물의 처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폐기물 수거장치에서 수거된 쓰레기 봉투의 수거량 또는 폐기물 양을 을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비용의 정산을 요청하기 위한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폐기물 수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비용정산 요청을 수락하는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는 상기 폐기물 수거정보를 지역별,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별로 분류하고,
    수거 및 운반 대행업체별 폐기물 수거정보를 바탕으로 정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관리시스템은,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로부터 수거된 폐기물을 운반하며 개별적으로 식별가능한 다수의 운반수단; 및
    상기 각 운반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폐기물 수거정보는 상기 각 운반수단에 적재되는 폐기물 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ㆍ운반 대행서버는 상기 각 운반수단 별로 적재 및 이동되는 폐기물 양을 관리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폐기물 수거정보는 상기 각 운반수단에 탑승하여 이동하며 폐기물을 수거하는 적어도 일인의 폐기물 수거자의 근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는 상기 각 폐기물 수거자의 근태 정보를 관리하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수거 및 운반 대행서버는,
    상기 폐기물 수거정보를 지역별, 운반차량 별로 분류하고,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각 운반차량의 운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각 운반차량의 누적 주행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정보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정산정보를 생성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관리 시스템은,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과 상기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에서 재활용품으로 선별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을 상기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 및
    상기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 중에서 매립, 소각 및 파쇄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을 상기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대행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는 상기 수거 및 운반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 상기 선별된 재활용품의 종류 및 양, 상기 매립, 소각 및 파쇄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으로부터 폐기물의 수거에서 처리에 이르는 폐기물의 종류별 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폐기물의 종류별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정보를 생성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대행서버는 상기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에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비용 정산을 요청하고,
    상기 폐기물 처리 대행서버는 상기 폐기물 중앙관리 서버에 폐기물 처리 비용 정산을 요청하고,
    상기 폐기물 중앙 관리서버는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폐기물 보관 및 선별 비용 정산요청 및 상기 처리비용 정산요청의 수락여부를 결정하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KR20060097393A 2006-10-02 2006-10-02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KR10071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7393A KR100714926B1 (ko) 2006-10-02 2006-10-02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7393A KR100714926B1 (ko) 2006-10-02 2006-10-02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926B1 true KR100714926B1 (ko) 2007-05-04

Family

ID=3826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97393A KR100714926B1 (ko) 2006-10-02 2006-10-02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9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466A (zh) * 2020-02-17 2020-05-22 广东优废环保科技有限公司 废品智能回收装置和系统
CN111359915A (zh) * 2020-03-24 2020-07-03 广东弓叶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物料分选方法及系统
KR102211103B1 (ko) * 2020-07-14 2021-02-02 김우일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58651A (ko) * 2020-09-29 2021-05-24 (주)이너보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455A (ko) * 2004-05-29 2005-12-02 남세헌 인터넷을 이용한 폐기물 스티커 발행 및 폐기물 수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455A (ko) * 2004-05-29 2005-12-02 남세헌 인터넷을 이용한 폐기물 스티커 발행 및 폐기물 수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466A (zh) * 2020-02-17 2020-05-22 广东优废环保科技有限公司 废品智能回收装置和系统
CN111359915A (zh) * 2020-03-24 2020-07-03 广东弓叶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物料分选方法及系统
KR102211103B1 (ko) * 2020-07-14 2021-02-02 김우일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58651A (ko) * 2020-09-29 2021-05-24 (주)이너보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630280B1 (ko) * 2020-09-29 2024-02-02 (주)이너보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0575B2 (en) Method for deploying large numbers of waste containers in a waste collection system
US11267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aste removal and administration
EP3789319B1 (en) Ai integrated system for optimizing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US20140214697A1 (en) Refus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KR20210050746A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108828A (ko)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
KR20100043807A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시스템
JP2021535452A (ja) ゴミ処理サービス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駆動方法
KR100714926B1 (ko)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CN105416918A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JP2006155645A (ja) 廃棄物保管装置
KR20200034577A (ko)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TWI641543B (zh) 垃圾收集系統及其方法
JP2002067030A (ja) リサイクル品回収装置
KR20140047305A (ko) 계량장치 긴급서비스 호출 및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계량 영수증 출력 관리 시스템
CN115719223B (zh) 一种工业物料的回收数字化方法及其管理回收设施
KR100823315B1 (ko) 쓰레기 계근 시스템
US20240070844A1 (en) Processing of refuse contamination media captured by cameras
WO2022217596A1 (zh) 一种垃圾处理方法及系统
KR20230140004A (ko) 음식물류 폐기물 선별 수거 장치
WO2018066009A1 (en) System for the compaction and management of recyclable waste and related incentive system
TWM637058U (zh) 智慧型垃圾集中系統
WO2023183006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ycling recyclable materials
KR20230167649A (ko) 보상 방법 선택이 가능한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