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670A -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670A
KR20200069670A KR1020180156970A KR20180156970A KR20200069670A KR 20200069670 A KR20200069670 A KR 20200069670A KR 1020180156970 A KR1020180156970 A KR 1020180156970A KR 20180156970 A KR20180156970 A KR 20180156970A KR 20200069670 A KR20200069670 A KR 20200069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orary storage
storage box
recycled
recycled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225B1 (ko
Inventor
박정곤
Original Assignee
박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곤 filed Critical 박정곤
Priority to KR102018015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2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폐플라스틱과 같은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 투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재활용품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물건이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식별부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식별부에서 판별된 재활용품 중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분쇄부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임시보관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SEPARATING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RECYCLING RESOURCE}
본 발명은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과 같은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시민단체 등 각계의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서, 고속도로 휴게소, 커피 전문점, 편의점 등의 공공장소에는 병, 캔, 플라스틱, 비닐 등의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수거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 폐플라스틱 수거함의 경우 플라스틱 용기를 압축하거나 분쇄 과정없이 수용하므로, 각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크다. 따라서 플라스틱 수거함이 다른 수거함에 비하여 빨리 가득차게 되므로, 수시로 수거함을 비워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수거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함에 있어서, 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재분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음식물이나 음료를 담는 용기는 페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등의 소재로 제조되며, 이들 PET, PP, PS 소재는 별도로 분리되어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593호(2008. 02. 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2533호(2010. 07. 2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재활용품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로 수거 된 재활용품을 분쇄함으로써 수거함 내의 재활용품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물건이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식별부에서 판별된 재활용품 중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임시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재활용품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별부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활용품 중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와 상기 임시보관함 각각은,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재활용품 각각을 구분하여 분쇄 및 수거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와 상기 임시보관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시보관함은,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구분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재활용품을 세정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시보관함에 연결되어, 상기 임시보관함 내의 액체를 회수하는 액체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시보관함에서 수거된 재활용품을 이차적으로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임시보관함과 상기 수거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임시보관함 내의 재활용품을 상기 수거함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거함은, 상기 임시보관함에 비하여 대용량의 수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임시보관함의 하부와 상기 수거함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류본체와; 상기 스크류본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스크류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이송하는 오거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임시보관함의 하부와 상기 수거함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며,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이송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로 수거 된 재활용품을 분쇄함으로써, 임시보관함 내지 수거함에 회수되는 재활용품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된 재활용품은 각각 복수의 분쇄부, 임시보관함을 통하여, 분리된 재활용품 각각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대용량의 수거공간을가지는 수거함과 이송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임시보관함 내의 분쇄된 재활용품을 이송부를 통하여 수검함에 저장함으로써, 재활용품의 수거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세정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양질의 재활용품 분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임시보고함 하부에 액체 회수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재활용품에 포함되거나 세정기에 투입되는 액체를 수거함으로써 수거되는 재활용품 내에 수분이 포함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 및 분쇄를 통하여 재활용품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분리 수거 하는 장치로서,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가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0)은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커버(15)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20), 분쇄부(40) 및 임시보관함(50)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카메라(C)를 더 포함할 수 있다.이 카메라(C)는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통하여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시각적으로 식별한다. 이 카메라(C)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은 앱(app)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회수장치의 사용을 독려하는 방편으로, 회수장치에 재활용품을 투입하는 사용자에게 포인트 등을 지불하는 추가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용품의 예시로서, 플라스틱, 비닐, 유리병, 철재류, 종이류 등의 순환 자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재활용품의 예시로서, 플라스틱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식별부(20), 분쇄부(40) 및 임시보관함(50)을 포함한다.
상기 식별부(20)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며,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통하여 투입되는 물건이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식별부(20)는 이미지 센서, 분광기 등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20)가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 경우, 투입되는 물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물건의 유형을 판별한다. 또한 식별부(20)가 분광기로 구성된 경우는 투입되는 물건을 투과하거나 이 물건에서 반사된 광 파장을 분석하여 물건의 유형을 판단한다. 또한 식별부(20)는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인 경우, 재활용품 가운데 제품의 재질에 따라 종류별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용품이 플라스틱인 경우, 상기 식별부(20)는 재활용품의 재질이 페트(PET), 폴리플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물건의 유형 판단 결과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투입된 물건은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통하여 하우징(10) 외부로 반환되거나, 하우징(10)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이물질수거함(80)을 통하여 수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식별부(20)에서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으로 판단된 경우, 이 재활용품은 식별부(20)와 분쇄부(40) 사이에 마련된 이송경로를 통하여 분쇄부(40)로 이송된다. 상기 분쇄부(40)는 상기 식별부(20)에서 판별된 재활용품 중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분쇄한다.
상기 임시보관함(50)은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일차적으로 보관한다. 즉, 임시보관함(50)은 분쇄부(40)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분쇄부(40)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이 자유 낙하하여 임시보관함(50)에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을 분쇄한 후 이를 임시보관함(50)에 수용함으로써, 수용된 재활용품의 부피가 분쇄되지 않은 재활용품의 부피 대비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므로, 수거한 재활용품의 수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에 투입되는 재활용품 내에 음료수 등의 액체가 함께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께 투입되는 액체는 재활용품을 활용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는 바,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임시보관함(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액체를 회수하는 액체 회수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액체 회수부(90)는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수거 용량을 보다 더 증가시키기 위한 방편으로서, 이송부(60) 및 수거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임시보관함(50)과 수거함(70) 사이에 설치되며, 임시보관함(50) 내의 재활용품을 수거함(70)으로 이송한다. 즉 이송부(60)는 임시보관함(50)의 하부에 임시로 수거된 재활용품을 상기 수거함(70)의 상부로 이송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수거함(70)은 임시보관함(50)에서 수거된 재활용품을 이차적으로 수거한다. 이 수거함(70)은 임시보관함(50)에 비하여 대용량의 수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 및 수거함(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w)을 종류별로 분리한 후, 이 종류별로 분리된 재활용품 각각을 분쇄 및 수거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식별부(20), 분리부(30), 분쇄부(40) 및 임시보관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과 식별부(2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의 하우징(10) 및 식별부(20)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투입된 재활용품(w)을 분쇄하기 전에 세정하는 세정부(도 5의 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세정부(45)는 세정액을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는 습식 세정기 또는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건식 세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부(45)를 더 포함하여, 재활용품을 분쇄하기 전에 세정함으로써, 양질의 재활용품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분쇄부(40)는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분쇄 처리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분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분쇄부(40)로서, 제1분쇄부(40a), 제2분쇄부(40b), ?, 제N분쇄부(40c)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분쇄부(40)로서 제1분쇄부(40a)와 제2분쇄부(40b)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 분쇄부(40)는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의 종류에 맞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분리부(30)는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별도의 경로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분리부(30)는 식별부(20)와 분쇄부(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부(30)는 하우징(10) 내의 소정 위치에서 경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분리부(30)의 배치에 있어서, 처리되는 재활용품이 제2분쇄부(40b)로 향하도록 된 구성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처리되는 재활용품의 종류가 바뀐 경우, 분리부(30)는 회동되어, 재활용품이 제1분쇄부(40a)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임시보관함(50), 상기 이송부(60) 및 상기 수거함(70)은 상기 복수의 분쇄부(40)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임시보관함(50)는 제1분쇄부(40a), 제2분쇄부(40b), ?, 제N분쇄부(40c)에서 분쇄된 재활용품 각각을 임시 보관하는 제1임시보관함(50a), 제2임시보관함(50b), ?, 제N임시보관함(5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제1임시보관함(50a), 제2임시보관함(50b), ?, 제N임시보관함(50c)에 임시 수거된 분쇄된 재활용품 각각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60a), 제2이송부(60b) 및 제N이송부(6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거함(70)은 제1이송부(60a), 제2이송부(60b) 및 제N이송부(60c) 각각을 통하여 이송된 서로 종류가 상이한 재활용품을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제1수거함(70a), 제2수거함(70b) 및 제N수거함(7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가 두 종류의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 가능한 경우, 상기 이송부(60)는 제1이송부(60a)와 제2이송부(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송부(60)는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6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1)와, 컨베이어(62) 및 복수의 바스켓(6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 설치된 한 쌍의 롤러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 구조체 중 어느 하나는 구동롤러이고, 다른 하나는 피동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62)는 구동부(61)를 구성하는 롤러 구조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6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즉, 컨베이어(62)는 임시보관함(50)의 하부와 수거함(7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6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복수의 바스켓(63) 각각은 컨베이어(62) 상에 설치되며,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이송한다. 이 바스켓(63)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거나, 그 저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분쇄 상태의 재활용품에 포함된 액체가 수거함(70)으로 이송되지 않고, 액체 회수부(90)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보관함(50)의 하부 쪽에 위치된 바스켓(63)은 재활용품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62)의 이송에 따라 수거함(7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어서, 수거함(70)의 상부에서 바스켓(63)이 뒤집어지면서, 바스켓(63) 내의 재활용품이 수거함(70)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분리부(30)를 더 포함하고, 분쇄부(40), 임시보관함(50), 이송부(60) 및 수거함(70) 각각을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한 후 분쇄하여 수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60)는 스크류본체(65)와, 이 스크류본체(65)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6) 및 상기 스크류본체(65) 내에 설치된 오거스크류(6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본체(65)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임시보관함(50)과 연통된 제1개구부(65a)와, 상기 수거함(70) 상부와 연통된 제2개구부(65b)를 가진다. 이 스크류본체(65)는 상기 임시보관함(50)의 하부와 상기 수거함(7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다.
구동부(66)는 상기 오거스크류(67)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스크류(67)는 스크류본체(6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오거스크류(67)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류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성부(66)에 의해 회전한다. 이 오거스크류(67)는 임시보관함(50) 내의 분쇄되고, 제1개구부(65a)를 통하여 유입된 재활용품을 제2개구부(65b)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이송된 재활용품은 제2개구부(65b)를 통하여 수거함(70) 내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오거스크류(67)를 통하여, 분쇄된 재활용품을 이송하는 경우, 재활용품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액체가 스크류본체(67) 내에서 자유 낙하하여, 액체 회수부(90)로 회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임시보관함(50)의 일 위치 즉, 스크류본체(67)의 하부 위치에 액체를 배수하는 배수공(5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한 후, 이 종류별로 분리된 재활용품 각각을 분쇄 및 수거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재활용품 투입구(10a)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식별부(20), 분리부(30), 분쇄부(40), 임시보관함(50), 이송부(60) 및 수거함(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리부(30)와 분쇄부(4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의 동일 부재명의 구성요소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분쇄부(140)와 분리부(130)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점에 주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분쇄부(140)는 단일 구성으로 구비되며, 식별부(20)에서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으로 분리되는 경우, 그 종류에 관계없이 분쇄 처리한다. 분리부(130)는 상기 분쇄부(140)와 상기 임시보관함(50) 사이에 배치된다. 이 분리부(130)는 상기 분쇄부(140)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한다. 이 분리부(130)에서 종류별로 분리된 재활용품은 그 종류에 따라 제1 내지 제N임시보관함(50a, 50b, ?, 50c) 중 어느 하나에 구분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분쇄부(140)를 통하여 재활용품의 종류에 관계 없이 분쇄한 후 이를 분리부(130)를 통하여 분쇄함으로써, 구성요소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의 분쇄부에 비하여 분쇄부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하우징 10a: 재활용품 투입구
20: 식별부 30, 130: 분리부
40, 140: 분쇄부 50: 임시보관함
60: 이송부 61, 66: 구동부
62: 컨베이어 63: 바스켓
65: 스크류 본체 67: 오거 스크류
70: 수거함 80: 이물수거함
C: 카메라

Claims (10)

  1.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물건이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식별부에서 판별된 재활용품 중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임시보관함을 포함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재활용품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와 상기 분쇄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재활용품 중 처리 가능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와 상기 임시보관함 각각은,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재활용품 각각을 구분하여 분쇄 및 수거 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와 상기 임시보관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시보관함은,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구분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재활용품을 세정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함에 연결되어, 상기 임시보관함 내의 액체를 회수하는 액체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함에서 수거된 재활용품을 이차적으로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임시보관함과 상기 수거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임시보관함 내의 재활용품을 상기 수거함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상기 임시보관함에 비하여 대용량의 수거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임시보관함의 하부와 상기 수거함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류본체와;
    상기 스크류본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스크류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이송하는 오거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임시보관함의 하부와 상기 수거함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며, 분쇄상태의 재활용품을 이송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KR1020180156970A 2018-12-07 2018-12-07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KR10219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70A KR102199225B1 (ko) 2018-12-07 2018-12-07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70A KR102199225B1 (ko) 2018-12-07 2018-12-07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670A true KR20200069670A (ko) 2020-06-17
KR102199225B1 KR102199225B1 (ko) 2021-01-06

Family

ID=7140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70A KR102199225B1 (ko) 2018-12-07 2018-12-07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71B1 (ko) * 2021-11-30 2022-04-29 김동연 무인 재활용품 수거기
KR102449374B1 (ko) * 2022-07-01 2022-09-30 황금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재활용품 압착/분쇄 일체형 모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3293B1 (ko) * 2022-02-17 2024-09-04 김관우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수지 재생오일 생산장치
KR102484907B1 (ko) * 2022-10-19 2023-01-09 잎스 주식회사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폐자원수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93B1 (ko) 2007-11-15 2008-02-20 전기정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
KR100972533B1 (ko)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0973548B1 (ko) * 2010-04-20 2010-08-02 전기정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93B1 (ko) 2007-11-15 2008-02-20 전기정 음료용기용 압착 분리 저장장치
KR100972533B1 (ko)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0973548B1 (ko) * 2010-04-20 2010-08-02 전기정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71B1 (ko) * 2021-11-30 2022-04-29 김동연 무인 재활용품 수거기
KR102449374B1 (ko) * 2022-07-01 2022-09-30 황금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재활용품 압착/분쇄 일체형 모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225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225B1 (ko)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541029B1 (ko) Ai기반 페트병 수거 시스템
EP3732118A1 (en) Device for waste segregation and collection of segregated waste
KR102038807B1 (ko) 재활용 쓰레기의 플라스틱 재질별 선별 방법 및 장치
EP2134479B1 (en) An apparatus to process used materials
JP2004516163A (ja) 包装廃棄物を含む未分別ゴミを乾式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733773A (zh) 可自动检测分拣归类的生活垃圾回收箱及系统
US20230089544A1 (en) Automated process and method for material separation and recycling
KR102277443B1 (ko) 재활용 쓰레기 자동 분리 수거 시스템
JP2010521292A5 (ko)
KR20200081920A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200421977Y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WO2019220163A1 (en) Recovery system for spent containers
JP2002137224A (ja) 廃プラスチック分別処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乾式クリーニング装置
US20190382195A1 (en) Recycling Container
KR100562934B1 (ko)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JP7168172B2 (ja) 無機固形廃棄物の処理および分離のための装置
KR101432015B1 (ko)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KR20060004143A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방법
KR102349660B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장치
WO2016128409A1 (en) A receptacle for recyclable waste
KR102393031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