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934B1 -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934B1
KR100562934B1 KR20050087227A KR20050087227A KR100562934B1 KR 100562934 B1 KR100562934 B1 KR 100562934B1 KR 20050087227 A KR20050087227 A KR 20050087227A KR 20050087227 A KR20050087227 A KR 20050087227A KR 100562934 B1 KR100562934 B1 KR 10056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storage
storage boxes
bin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만
Original Assignee
심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만 filed Critical 심재만
Priority to KR2005008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쓰레기를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에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들이 형성되어 가정에서 배출되는 재활용품들을 종류별로 선별하여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하치장에 운반된 재활용품들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해소시켜 예산이 낭비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로 구성된 쓰레기통(10)의 내부 중앙에는 ""형의 격벽(20)이 형성되어 제1,2,3,4수납함(11)(12)(13)(14)들로 구획되고,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작게 형성되며, 제3,4수납함(13)(14)들의 하부에는 쓰레기통(1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공간부(21)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5,6수납함(15)(16)들이 놓여져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3,4수납함(11)(12)(13)(14)들의 상부에는 덮개(30)들이 각각 힌지(31)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a separate garbage collection dustbi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상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하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쓰레기통 11 : 제1수납함
12 : 제2수납함 13 : 제3수납함
14 : 제4수납함 15 : 제5수납함
16 : 제6수납함 20 : 격벽
21 : 공간부 30 : 덮개
31 : 힌지 40 : 손잡이
본 발명은 가정에서 쓰레기를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에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들이 형성되어 가정에서 배출되는 재활용품들을 종류별로 선별하여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하치장에 운반된 재활용품들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해소시켜 예산이 낭비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의 분리수거는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들을 수거하여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로서 최근 환경부에서는 재활용 여부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도인 분리배출표시제(分離排出表示制)를 시행하여 분리배출표시가 되어 있는 물품은 재활용품으로 분리배출하고 표시가 없는 것은 쓰레기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휴게소나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종이, 비닐, 플라스틱, 금속, 유리와 같은 재활용품도 종류에 따라서 각각 버릴 수 있도록 여러개의 쓰레기통들이 비치되어 있다.
그러나, 작은 쓰레기들이 배출되는 일반가정에서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일반 쓰레기는 쓰레기종량제 봉투에 버리고, 기타 재활용품은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함께 모아두었다가 지정된 날에 버리는 것이므로 결국 선별되지 않은 재활용품들이 쓰레기 하치장에 운반되면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선별 하여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재활용품의 선별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인건비가 지출되어 예산이 낭비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쓰레기통에 다양한 크기의 수납함들이 형성되어 가정에서 배출되는 재활용품들을 종류별로 선별하여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하치장에 운반된 재활용품들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해소시켜 예산이 낭비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로 구성된 쓰레기통(10)의 내부 중앙에는 ""형의 격벽(20)이 형성되어 제1,2,3,4수납함(11)(12)(13)(14)들로 구획되고,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작게 형성되며, 제1,2,3,4수납함(11)(12)(13)(14)들의 상부에는 덮개(30)들이 각각 힌지(31) 결합된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제3,4수납함(13)(14)들의 하부에는 쓰레기통(1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공간부(21)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5,6수납함(15)(16)들이 놓여져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쓰레기통(10)의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의 깊이는 쓰레기통(10)의 전체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제일 크게 형성되고,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제일 작게 형성되며, 공간부(21)에 놓여진 제5,6수납함(15)(16)들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중간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10)은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고, 쓰레기통(10)의 내부 중앙에는 ""형의 격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의 격벽(20)에 의하여 쓰레기통(10)의 내부는 제1,2,3,4수납함(11)(12)(13)(14)들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4수납함(13)(14)들은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수납공간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깊이가 얕은 제3,4수납함(13)(14)들의 하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1)는 쓰레기통(10)의 전방으로 개방되어 제5,6수납함(15)(16)들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1)에는 제5,6수납함(15)(16)들이 놓여져 있고, 제5,6수납함(15)(16)들의 상부는 개방되어 재활용품들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2,3,4수납함(11)(12)(13)(14)들의 상부에는 덮개(30)들이 각각 힌지(31)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쓰레기통(10)의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의 깊이는 쓰레기통(10)의 전체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 20리터의 용량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제일 크게 형성되어 있다.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각각 7리터의 용량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제일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1)에 놓여진 제5,6수납함(15)(16)들은 각각 10리터의 용량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중간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은 제1,2,3,4,5,6수납함(11)(12)(13)(14)(15)(16)들로 이루어진 6개의 수납함들로 구성되고, 그 크기는 3종류로 구분되어 재활용품의 배출정도에 따라 각각의 수납함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들을 투입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크기가 제일 큰 제1,2수납함(11)(12)들에는 쓰레기의 배출량이 많은 종이와 비닐이 각각 투입되고, 크기가 제일 작은 제3,4수납함(13)(14)들에는 일반쓰레기나 플라스틱 물품이 각각 투입되며, 중간 크기인 제5,6수납함(15)(16)들에는 금속물품이나 병이 투입되도록 하여 가정에서 배출되는 모든 쓰레기들을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쓰레기통(10)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 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배출되는 모든 쓰레기들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쓰레기통(10)에 구획 형성된 6개의 수납통들에 분리수거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일반쓰레기의 배출이 최소화되어 가정에서는 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상당부분 절감시킬 수 있고, 대부분의 자원이 재활용되어 귀중한 자원이 낭비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쓰레기의 소각처리 비용이 최소화되어 대기환경이 오염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가 배출되었을 때 종류별로 분리수거하기 어려운 가정에서 분리수거가 가능한 것이므로 결국 전국 쓰레기의 대부분이 분리수거 되어 재활용함에 따라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쓰레기 하치장에 운반된 재활용품을 별도로 선별하여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인건비의 지출이 최소화되어 상당한 예산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케이스로 구성된 쓰레기통(10)의 내부 중앙에는 ""형의 격벽(20)이 형성되어 제1,2,3,4수납함(11)(12)(13)(14)들로 구획되고,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작게 형성되며, 제1,2,3,4수납함(11)(12)(13)(14)들의 상부에는 덮개(30)들이 각각 힌지(31) 결합된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제3,4수납함(13)(14)들의 하부에는 쓰레기통(1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공간부(21)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5,6수납함(15)(16)들이 놓여져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쓰레기통(10)의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의 깊이는 쓰레기통(10)의 전체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제일 크게 형성되고, 쓰레기통(10)의 전방에 위치한 제3,4수납함(13)(14)들은 후방에 위치한 제1,2수납함(11)(12)들 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제일 작게 형성되며, 공간부(21)에 놓여진 제5,6수납함(15)(16)들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중간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3. 삭제
KR20050087227A 2005-09-20 2005-09-20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KR10056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7227A KR100562934B1 (ko) 2005-09-20 2005-09-20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7227A KR100562934B1 (ko) 2005-09-20 2005-09-20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934B1 true KR100562934B1 (ko) 2006-03-22

Family

ID=3717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7227A KR100562934B1 (ko) 2005-09-20 2005-09-20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9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236A (zh) * 2018-08-31 2018-11-23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具有分类收集及预处理功能的垃圾箱
CN110589286A (zh) * 2019-09-17 2019-12-20 黄健平 组合式分类垃圾桶
CN111792224A (zh) * 2019-09-05 2020-10-20 杨宏 一种船舶航行途中垃圾处理装置
KR20220070120A (ko) 2020-11-20 2022-05-30 이지디자인(주) 쇼핑백 타입 분리수거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236A (zh) * 2018-08-31 2018-11-23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具有分类收集及预处理功能的垃圾箱
CN111792224A (zh) * 2019-09-05 2020-10-20 杨宏 一种船舶航行途中垃圾处理装置
CN110589286A (zh) * 2019-09-17 2019-12-20 黄健平 组合式分类垃圾桶
KR20220070120A (ko) 2020-11-20 2022-05-30 이지디자인(주) 쇼핑백 타입 분리수거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2235A (en) Receptacle for recyclable materials
US5398838A (en) Rad recycle bin
US6378721B1 (en) Compartmentalized trash can for sorting and storing different kinds of recyclables
US5181619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toring and collecting separated solid waste
US7290674B1 (en) Bifurcated trash bin
US20080251519A1 (en) Waste Module
KR100562934B1 (ko)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0383905Y1 (ko)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차량
US5221010A (en) Apparatus for segregating bottles and cans and the like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GB2252898A (en) A compartmentalised container for recyclable waste
KR20180069163A (ko) 가정용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KR200405175Y1 (ko) 접이식 쓰레기 분리수거함
KR200419918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70106229A (ko) 이동가능한 재활용 쓰레기통
GB2442191A (en) A receptacle for separating waste material
KR20090072054A (ko) 재활용품 수납함
GB2397010A (en) Multi-compartment bin for recycling
GB2384970A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recyclable waste
GB2393104A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recyclable waste
CN211811414U (zh) 一种附带压缩功能、封口功能的家用型分类垃圾箱
KR200232723Y1 (ko) 재활용품분리수거대
KR200295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JP2003325250A (ja) ゴミ分別収集用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