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054A - 재활용품 수납함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054A
KR20090072054A KR1020070140029A KR20070140029A KR20090072054A KR 20090072054 A KR20090072054 A KR 20090072054A KR 1020070140029 A KR1020070140029 A KR 1020070140029A KR 20070140029 A KR20070140029 A KR 20070140029A KR 20090072054 A KR20090072054 A KR 20090072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movable handle
recyclable
handl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석
Original Assignee
박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석 filed Critical 박원석
Priority to KR102007014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054A/ko
Publication of KR2009007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재활용품을 편리하게 구분하여 정리하도록 하여 실내 공간의 활용을 높이고 외관상 지저분했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은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구획된 공간부가 노출되어 있어 구획된 부분에 장착되고, 전면에는 손잡이와 구분 보관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서랍형식의 수납함과;
상기 몸체의 후방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바퀴와;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직립하였을 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고정발굽과;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재활용품, 수납

Description

재활용품 수납함{The custody box for a recycled product}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상생활에서 배출되는 각종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용이하게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으면서 외부에서 내용물이 보이지 않고 깔끔하게 수납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재활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재활용품은 그 종류가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들은 보통 폐종이와 플라스틱 또는 유리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러한 재활용 쓰레기의 경우 일정한 날을 정해놓고 수거를 하고 있으나 일반 가정에서는 수거하는 날까지 비닐봉지나 상자 등에 이를 모아놓았다가 해당하는 날에만 배출하게 되어 보관하고 있는 공간이 매우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모아놓으면 그 무게가 상당히 많이 나가므로 일반 주부들이 이를 집 밖으로 나르는 것에 매우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활용품의 수거에 따르는 우리 나라의 근본적인 문제는 재활용품의 정확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차적인 인력의 낭비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캔의 경우에는 알루미늄캔과 철로 만들어진 캔을 구분해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부분 구분없이 캔과 병뚜껑 등을 금속재활용품으로 분류하여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재활용 업체에서는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다시 분류하는 것에 대부분의 인력을 소비하고 있다.
이는 플라스틱과 병의 종류도 마찬가지로 가정에서 구분하면 재활용 쓰레기의 처리비용이 절감되어 국가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자원의 활용을 이룰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 가지의 재활용품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재활용품의 수납으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 수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무거운 재활용품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은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구획된 공간부가 노출되어 있어 구획된 부분에 장착되고, 전면에는 손잡이와 구분 보관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서랍형식의 수납함과;
상기 몸체의 후방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바퀴와;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직립하였을 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고정발굽과;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납함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작은 구분함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함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단이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구획편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돌출된 훅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손잡이는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두 개의 삽입봉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봉은 상기 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이동손잡이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손잡이는 상기 이동손잡이 삽입홈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힌지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이동손잡이가 접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활용품을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 정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재활용 수집하는 곳에서는 재활용품을 다시 품목별로 구분하는 인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와 같은 외관으로 실내 또는 베란다에 지저분하게 수거일까지 모아두었던 재활용품이 깔끔하게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수납되어 실내 미관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와 바퀴를 추가하여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은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구획된 공간부가 노출되어 있어 구획된 부분에 장착되고, 전면에는 손잡이(21)와 구분 보관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22)를 구비하는 서랍형식의 수납함(2)과;
상기 몸체(1)의 후방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바퀴(3)와;
상기 몸체(1)의 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가 직립하였을 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고정발굽(4)과;
상기 몸체(1)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손잡이(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을 나타내었다.
상기 수납함은 일반 수납장과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특징적인 부분은 수납된 재활용품의 품목을 구분할 수 있는 표시부(22)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품목이 보관되어 있는 수납함(2)을 찾을 수 있도록 한 것과 이동 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손잡이(5)와 바퀴(3)의 구성이 특히 구분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이동손잡이(5)는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두 개의 삽입봉(51)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봉(51)은 상기 몸체(1)의 배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3)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평상시에는 상기 삽입봉(51)을 상기 삽입홈부(13)에 끝까지 밀어넣어 보관하고 이동시에는 여행용 가방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손잡이(5)를 빼고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함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3개의 수납함(2)를 구성한다면 재활용품의 종류별로 충분히 분류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즉 폐 종이, 플라스틱, 캔 종류가 주 분류대상이나 유리, 또는 캔이나 병뚜껑의 재료별로 분류한다면 그 구획되는 공간의 수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상기 수납함(2)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작은 구분함(23)이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함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함(2)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단이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홈(24)에 삽입되는 구획 편(25)이 추가로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 임의대로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에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둔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몸체(1)의 상면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돌출된 훅(12)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의 경우 특히 부피가 큰 물건이나 수납함(2)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경우 또는 자주 발생하는 신문과 같은 경우는 매번 수납함(2)을 열어 보관하기에 불편할 경우에 사용하는 또 다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12)의 경우 화물차 적재함의 예와 같이 끈으로 묽을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또는 이동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1)의 배면에는 이동손잡이 삽입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손잡이(5)는 상기 이동손잡이 삽입홈부(14)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힌지는 스프링(52)에 의하여 상기 이동손잡이(5)가 접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즉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손잡이(5)를 구성하되 보통 몸체(1)는 일 벽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동손잡이(5)가 평시에는 내측으 로 절첩되도록 스프링의 구성을 첨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함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함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에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둔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손잡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돌출부 12 : 훅
13 : 삽입홈부 14 : 이동손잡이 삽입홈부
2 : 수납함
21 : 손잡이 22 : 표시부
23 : 구분함 24 : 가이드홈
25 : 구획편
3 : 바퀴
4 : 고정발굽
5 : 이동손잡이
51 : 삽입봉 52 : 스프링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은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구획된 공간부가 노출되어 있어 구획된 부분에 장착되고, 전면에는 손잡이(21)와 구분 보관되는 재활용품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22)를 구비하는 서랍형식의 수납함(2)과;
    상기 몸체(1)의 후방 하부 양측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바퀴(3)와;
    상기 몸체(1)의 전방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가 직립하였을 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고정발굽(4)과;
    상기 몸체(1)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손잡이(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2)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작은 구분함(23)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2)의 내측에는 다수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단이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홈(24)에 삽입되는 구획편(25)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면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둘레 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돌출된 훅(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손잡이(5)는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두 개의 삽입봉(51)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봉(51)은 상기 몸체(1)의 배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3)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배면에는 이동손잡이 삽입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손잡이(5)는 상기 이동손잡이 삽입홈부(14)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힌지는 스프링(52)에 의하여 상기 이동손잡이(5)가 접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납함.
KR1020070140029A 2007-12-28 2007-12-28 재활용품 수납함 KR20090072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029A KR20090072054A (ko) 2007-12-28 2007-12-28 재활용품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029A KR20090072054A (ko) 2007-12-28 2007-12-28 재활용품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054A true KR20090072054A (ko) 2009-07-02

Family

ID=4132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029A KR20090072054A (ko) 2007-12-28 2007-12-28 재활용품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0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156B1 (ko) * 2013-05-15 2014-12-05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2033463B1 (ko) 2019-03-12 2019-10-18 송영욱 재활용품 보관함
CN110937272A (zh) * 2019-12-12 2020-03-31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垃圾分类的垃圾桶
CN112515377A (zh) * 2020-10-29 2021-03-19 和进(滁州)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用多功能分拣储存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156B1 (ko) * 2013-05-15 2014-12-05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2033463B1 (ko) 2019-03-12 2019-10-18 송영욱 재활용품 보관함
CN110937272A (zh) * 2019-12-12 2020-03-31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垃圾分类的垃圾桶
CN112515377A (zh) * 2020-10-29 2021-03-19 和进(滁州)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用多功能分拣储存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7676C (en) Residential recycling bin
US8607981B2 (en) Grocery transport reusable container
US4988010A (en) Compartmentalized trash container
US5878904A (en) Trash can divider for recyclable materials
KR20090072054A (ko) 재활용품 수납함
US9315204B1 (en) Recycling cart
CA2887765C (en) Waste management cart with advertising panels
US20060138133A1 (en) Waste recycling bin
KR20070106229A (ko) 이동가능한 재활용 쓰레기통
US20080128414A1 (en) Assemblable trash storage apparatus for holding trash/grocery bags
US5927518A (en) Recyclable material handling system
KR200429417Y1 (ko) 분리수거용 가방
KR200432734Y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GB2451300A (en) Container for a set of bins
FI72476C (fi) Uppbevaringssystem foer engaongsbehaollare.
KR200441189Y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배출통
KR200232723Y1 (ko) 재활용품분리수거대
KR200393185Y1 (ko) 재활용 쓰레기용 이동식 분리 수납대
KR102283525B1 (ko) 사용 편의성을 갖는 딸기 포장용기
JP3171924U (ja) ごみ箱
JP2001146287A (ja) 鶏卵用包装容器
KR200446508Y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배출통
JPH0740606U (ja) 多段式ゴミ袋保持具
GB2419514A (en) Bin container
US20180072497A1 (en) Combined garbage and recycling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