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920A -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920A
KR20200081920A KR1020180171946A KR20180171946A KR20200081920A KR 20200081920 A KR20200081920 A KR 20200081920A KR 1020180171946 A KR1020180171946 A KR 1020180171946A KR 20180171946 A KR20180171946 A KR 20180171946A KR 20200081920 A KR20200081920 A KR 2020008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label
plastic waste
plastic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958B1 (ko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18017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3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03Separating plastics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7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챔버와, 플라스틱 폐기물을 챔버에 투입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와,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라벨 흡입구를 갖는 케이싱과,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나선 가이드와, 회전축과 결합되는 타격체 바디 및 타격체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을 구비하는 타격체와,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는 회전날과,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챔버로부터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어 라벨 흡입구를 통해 챔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라벨 흡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LABEL OF PLASTIC WASTE AND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을 재활용 폐기물 분류하고 있으며, 이들을 재활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어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의 재질 별로 선별되어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각종 플라스틱 용기는 유리나 금속 용기보다 내파괴성, 경량성, 투명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해마다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크기도 다양하여 소형에서부터 대형까지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활용 폐기물 중에서 그 비중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에는 제품의 상표, 사용설명서 및 안내문구 등이 표시된 라벨이 부착된다. 라벨은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과 다른 폴리 프로필렌, 비닐크로라이드 등의 수지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라벨은 접착제로 플라스틱 용기의 외면에 접착된 후 열가압 수축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용기에 단단히 부착된다.
플라스틱 용기 등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재활용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이 분리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 과정에서 라벨이 플라스틱 폐기물과 함께 녹으면 플라스틱 재생품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하기 전에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라벨을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라벨은 접착제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에 단단히 부착되므로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라벨을 분리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로 인해 플라스틱 재생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분리 수거 후에도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297239호 (2001. 10. 2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외면에 부착된 라벨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생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 등 각종 폐기물을 자동으로 재질에 따라 선별하여 폐기물 수거부에 분리 수거함으로써,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폐기물의 분리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분리하기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있어서, 챔버와,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챔버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라벨 흡입구를 갖는 케이싱;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나선 가이드; 축 삽입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축 삽입구멍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타격체 바디와, 상기 타격체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체 바디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 가이드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타격체;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체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회전날; 및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라벨 흡입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라벨 흡입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체에 구비되는 축 삽입구멍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타격체는 상기 타격체 바디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가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타격체의 축 삽입구멍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비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제1 방향 폭은, 상기 축 삽입구멍의 제1 방향 폭보다 작고 상기 축 삽입구멍의 제2 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상기 타격체에 대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체는 복수 개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타격체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타격체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배출 가압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벨 흡입기는,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라벨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는 라벨 이송로와, 상기 라벨 이송로의 라벨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이송로와 연결되는 라벨 배출구와, 상기 라벨 이송로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라벨 이송로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를 갖는 라벨 배출 가이드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라벨 이송로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력 발생부와, 공기는 통과시키고 라벨은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거름망과, 상기 라벨 이송로로 유입되는 라벨을 상기 라벨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이송로에 배치되는 라벨 이송부를 갖는 라벨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벨 이송부는, 상기 라벨 이송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라벨 이송 회전축 및 상기 라벨 이송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라벨 이송 나선 가이드를 구비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벨 이송로는, 상기 라벨 배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이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보다 축소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폐기물 투입부;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재질에 따라 분류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이 마련되는 선별 컨베이어;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 중 사전 설정된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가이드하는 폐기물 분배부; 및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각각 이송되는 폐기물이 재질 별로 분류되어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에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 및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 중 플라스틱 폐기물이 이송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 중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거를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제거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챔버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를 따라 이송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챔버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라벨 흡입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나선 가이드와, 축 삽입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축 삽입구멍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타격체 바디와, 상기 타격체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체 바디와 상 케이싱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 가이드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타격체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체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회전날과,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 중 라벨의 수거를 위한 라벨 수거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라벨 흡입구를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라벨 흡입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폐기물 이송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로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분배부는, 상기 가이드 격벽과 상기 폐기물 투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격벽에 가까이 배치되는 일단이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이 상기 폐기물 투입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폐기물 투입부에서 폐기물 이송로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동 격벽과, 상기 가동 격벽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동 격벽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케이싱의 내부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체로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압축시키면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1차 분리하고, 회전날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2차 분리한 후, 라벨 흡입기로 라벨을 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라벨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과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된 라벨을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 후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별도의 후속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재질을 폐기물 검출기가 검출하고, 폐기물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폐기물 선별기가 폐기물을 자동으로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 별로 분류하여 폐기물 수거부에 재질 별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폐기물 선별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타격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타격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폐기물 투입부(107)와,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121)와, 투입되는 폐기물(W)을 재질 별로 선별하여 이송하는 폐기물 선별기(127)와, 폐기물 선별기(127)에서 재질 별로 선별되어 이송되는 폐기물(W)을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d)(146e)(146f)(146g)와,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5)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폐기물 검출기(121)를 통해 검출하고, 재질이 검출된 폐기물(W)을 폐기물 선별기(127)를 통해 재질에 따라 분류하여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d)(146e)(146f)(146g)에 재질 별로 분류하여 수거함으로써,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폐기물의 분리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101)은 폐기물 검출기(121), 폐기물 선별기(127),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c)(146f)(146g) 등을 수용하여 이들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하우징(101)은 폐기물 투입부(107)가 구비된 전면만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건축물의 벽체 등에 매립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에 대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는 선별 챔버(102)가 구비되고, 선별 챔버(102)에 폐기물 선별기(127)가 설치된다. 하우징(101)의 전면에는 도어(10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의 출입구(103)가 마련된다. 하우징(101)의 측면에도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의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101)의 측면의 출입구를 통해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d)(146e)(146f)(146g) 등이 하우징(101)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하우징(101)에는 복수의 바퀴(105)가 구비되며, 하우징(101)은 바퀴(105)를 통해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
폐기물 투입부(107)는 사용자가 다양한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1)의 전면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폐기물 투입구(108)를 갖는다. 폐기물 투입구(108)는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병, 유리 병, 금속 캔 등 다양한 용기 형상의 폐기물(W)을 길이 방향으로 투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적당한 폭의 원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폐기물 투입부(107)에는 폐기물 투입구(108)로 투입되는 폐기물(W)을 폐기물 선별기(127) 측으로 이송하는 투입 이송부(110)가 배치된다. 투입 이송부(110)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된다. 투입 이송부(110)는 벨트 컨베이어 구조 등 폐기물(W)을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폐기물 투입부(107)의 하측에는 이물질 가이드(118)와, 이물질 수거부(119)가 배치된다.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은 이물질 가이드(118)에 의해 이물질 수거부(119)로 가이드되어 이물질 수거부(119)에 수거될 수 있다. 이물질 수거부(119)는 하우징(101)의 출입구(103)를 통해 하우징(101)의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다.
폐기물 검출기(121)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도록 투입 이송부(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폐기물 검출기(121)는 바코드 리더(122)와, 광학 분석기(123)와, 금속 센서(124)와, 영상 분석기(125)를 통해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송신한다.
바코드 리더(122)는 폐기물(W)에 마킹되는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바코드에 담긴 정보로부터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122)는 폐기물(W)의 바코드로부터 폐기물(W)의 재질을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으로 판별할 수 있고, 금속의 경우는 철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23)는 폐기물(W)에 광을 조사하고 폐기물(W)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함으로써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23)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폐기물(W)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23)는 근적외선(NIR) 또는 다른 분석용 광을 이용하여 폐기물(W)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분석기(123)는 폐기물(W)을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 별로 분류할 수 있고, 플라스틱의 경우 PET, PP, PE, PS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으며, 금속의 경우는 철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다.
금속 센서(124)는 금속 폐기물을 검출할 수 있다. 금속 센서(124)는 마그네틱 센서 등 금속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금속을 철,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하여 판별할 수 있다.
영상 분석기(125)는 투입되는 폐기물(W)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폐기물(W)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영상 분석기(125)는 폐기물(W)의 투명도를 분석함으로써 유리 재질의 폐기물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기(125)로는 CCD 카메라 등 폐기물(W)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검출기(121)는 다양한 재질 분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제공할 수 있다. 폐기물 검출기(12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바코드 리더(122)와, 광학 분석기(123)와, 금속 센서(124)와, 영상 분석기(125)가 폐기물(W)의 투입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구조 이외에, 바코드 리더(122)와, 광학 분석기(123)와, 금속 센서(124)와, 영상 분석기(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 또는 그 이외에 폐기물(W)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폐기물 선별기(127)는 하우징(101)의 선별 챔버(102)에 배치되어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을 재질 별로 분류한다. 폐기물 선별기(127)는 선별 컨베이어(128)와,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과, 폐기물 분배부(140)를 포함한다.
선별 컨베이어(128)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을 이송하는 것으로, 그 상측에 폐기물(W)이 이송되는 폐기물 이송로(136)가 마련된다. 선별 컨베이어(128)는 벨트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선별 컨베이어(128)는 그 상측에 폐기물(W)을 실어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129)와, 컨베이어 벨트(129)를 무한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 롤러(130) 및 지지 롤러(131)와, 구동 롤러(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기(132)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구동기(132)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195)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폐기물(W)이 투입될 때 컨베이어 구동기(132)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29)가 폐기물(W)을 그 외면에 실어 이송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은 폐기물(W)에서 떨어지는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선별 컨베이어(128)의 인접 위치에 스크레이퍼(134)가 설치된다. 스크레이퍼(134)는 그 끝단이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29)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4)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29)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34)의 하측에 배치되는 비선별 폐기물 수거부(146g)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은 선별 컨베이어(128)의 상측에 배치되어 폐기물 이송로(136)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분할한다. 선별 컨베이어(128)의 상측에는 복수의 가이드 격벽(139)과 함께 투입 가이드(144)가 배치된다. 투입 가이드(144)는 폐기물 투입부(107)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폐기물 투입부(107)에서 폐기물 이송로(136)로 이동하는 폐기물(W)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격벽(139) 및 투입 가이드(144)는 선별 컨베이어(128)의 컨베이어 벨트(129)와 간섭되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129)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가이드 격벽(139)은 복수 개가 폐기물 이송로(136) 중에 배치됨으로써 폐기물 이송로(136)를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과,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으로 구획한다.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은 유리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은 금속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은 비선별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은 철재 폐기물이 이송되는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과, 알루미늄 폐기물이 이송되는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으로 구분된다.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으로 이송되는 비선별 폐기물은 플라스틱 폐기물과, 유리 폐기물과, 금속 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이 될 수 있다.
폐기물 분배부(140)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을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137f)으로 분배한다. 즉, 폐기물 분배부(140)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투입되는 폐기물(W)을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검출된 재질에 따라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137f) 중 사전 설정된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가이드한다. 폐기물 분배부(140)는 폐기물 이송로(136) 중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과,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에 각각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포함한다.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은 선별 컨베이어(128)의 컨베이어 벨트(129)와 간섭되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129)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은 각각의 일단이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선별 컨베이어(128)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들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은 가이드 격벽(139)과 폐기물 투입부(107) 사이에 가이드 격벽(139)에서 폐기물 투입부(107) 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각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은 인접하는 각 가이드 격벽(139)의 끝단에 가까이 배치되는 일단이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 폐기물 이송 트랙을 열거나 닫음으로써 폐기물(W)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들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 중 상대적으로 폐기물 투입부(107)에 가까이 배치되는 세 개의 가동 격벽(141a)(141b)(141c)은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을 각각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폐기물 투입부(107)에서 멀리 위치하는 가동 격벽(141d)은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과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각각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에 따라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폐기물 분배부(140)에 의한 구체적인 폐기물 분배 과정은 다음과 같으며,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이 플라스틱 폐기물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W)이 투입되면, 폐기물 검출기(121)가 플라스틱 폐기물(W)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195)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195)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이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과,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 및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닫고,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만 개방하도록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제어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W)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을 따라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유리 폐기물이 투입되는 경우, 폐기물 검출기(121)가 유리 폐기물을 검출하고 제어부(195)가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과,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 및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닫고,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만 개방하도록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제어한다. 따라서, 유리 폐기물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을 따라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철재 폐기물이 투입되는 경우, 폐기물 검출기(121)가 철재 폐기물을 검출하고 제어부(195)가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 및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닫고,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만 개방하도록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제어한다. 따라서, 철재 폐기물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을 따라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알루미늄 폐기물이 투입되는 경우, 폐기물 검출기(121)가 알루미늄 폐기물을 검출하고 제어부(195)가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 및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닫고,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만 개방하도록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제어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폐기물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을 따라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비선별 폐기물이 투입되는 경우, 폐기물 검출기(121)가 비선별 폐기물을 검출하고 제어부(195)가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 및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을 닫고,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만 개방하도록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제어한다. 따라서, 비선별 폐기물은 선별 컨베이어(128)가 움직임에 따라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따라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선별기(127)는 폐기물이 이송되는 선별 컨베이어(128)의 폐기물 이송로(136)를 가이드 격벽(139)이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137f)으로 구획하고, 폐기물 이송로(136)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이 움직여 선별 컨베이어(128)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폐기물(W)을 재질 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폐기물 수거부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폐기물 이송로(136) 중에서 알루미늄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와 비선별 폐기물이 이송되는 경로가 일부 중복되고,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 및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개폐하기 위한 가동 격벽(141d)이 폐기물 이송로(136)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이드 격벽(139)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과,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과,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과,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 및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의 형상이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분배부(140)는 폐기물 이송로(136) 중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 및 복수의 가동 격벽(141a)(141b)(141c)(141d)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가동 격벽 구동부(142a)(142b)(142c)(142d)를 포함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폐기물 분배부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폐기물(W)을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137f)으로 분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이송 트랙과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의 위치 및 배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c)(146f)(146g)는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137a)(137b)(137c)(137f)을 따라 각각 이송되는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폐기물 선별기(127)의 하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c)(146f)(146g)는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에 수거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c)(146f)(146g)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운반될 수 있도록 바퀴(148)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c)(146f)(146g) 중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용한다. 유리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을 수용한다. 금속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금속 폐기물 수거부(146c)는 철재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철재 폐기물 수거부(146d) 및 알루미늄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알루미늄 폐기물 수거부(146e)로 구분된다. 철재 폐기물 수거부(146d)는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철재 폐기물을 수용한다. 알루미늄 폐기물 수거부(146e)는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알루미늄 폐기물을 수용한다. 비선별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비선별 폐기물 수거부(146g)는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137f)을 따라 이송되다가 선별 컨베이어(128)에서 떨어지는 비선별 폐기물을 수용한다. 비선별 폐기물 수거부(146g)에는 스크레이퍼(134)에 의해 선별 컨베이어(128)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도 수거될 수 있다. 이 밖에, 라벨 수거부(146f)는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제거되는 라벨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로 수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제거하기 위해 선별 컨베이어(128)와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의 사이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150)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에는 제품의 상표, 사용설명서 및 안내문구 등이 표시된 라벨이 부착된다. 라벨은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과 다른 폴리 프로필렌, 비닐크로라이드 등의 수지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접착제를 통해 플라스틱 용기의 외면에 접착된 후 열가압 수축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용기에 단단히 부착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 등의 플라스틱 폐기물(W)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라벨을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해야 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150)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용하는 케이싱(151)과, 케이싱(15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157)과, 회전축(157)에 결합되는 나선 가이드(159)와, 타격체(160)와, 회전날(167) 및 배출 가압 날개(168)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흡입하여 케이싱(151)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라벨 흡입기(170)를 포함한다.
케이싱(151)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수용되는 라벨 제거 챔버(152)와, 플라스틱 폐기물이 라벨 제거 챔버(152)로 투입될 수 있도록 라벨 제거 챔버(152)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와,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라벨 제거 챔버(152)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배출하기 위해 라벨 제거 챔버(152)와 연결되는 라벨 흡입구(155)가 구비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을 통해 이송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를 통해 라벨 제거 챔버(152)로 유입되어 라벨 제거 챔버(152)를 따라 이송되면서 타격 및 압축되는 과정을 통해 라벨이 제거되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로 수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은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배출되어 라벨 수거부(146f) 측으로 이송된다. 라벨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라벨 흡입구(155)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보다 상측에, 또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케이싱(151)의 내면에는 복수의 고정날(156)이 회전축(157)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날(156)은 타격체(160)와 회전날(167)이 플라스틱 폐기물을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타격 및 가압할 때 플라스틱 폐기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 및 가압할 수 있다. 고정날(156)은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찢거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떼어낼 수 있다.
회전축(157)은 라벨 제거 챔버(152) 속에 라벨 제거 챔버(152)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회전축(157)은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에서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까지 연장되며, 회전축 구동기(158)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회전축(157)에는 나선 가이드(159)와, 타격체(160)와, 회전날(167)과, 배출 가압 날개(168)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차례로 결합된다.
나선 가이드(159)는 회전축(157)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이송시킨다. 도시된 것과 같이, 나선 가이드(159)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까지 연장되지 않고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의 하측에서 타격체(160)까지만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나선 가이드(159)가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153)를 통해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체(160) 측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타격체(160)와 회전날(167)에 도달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나선 가이드(159)에 의해 밀리는 다른 플라스틱 폐기물들에 의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밀려 이송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격체(160)는 회전축(15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타격체 바디(161)와, 타격체 바디(16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163)을 포함한다.
타격체 바디(161)는 중간에 축 삽입구멍(162)이 형성된 도넛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축 삽입구멍(162)에 회전축(157)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축(157)에 지지된다. 축 삽입구멍(162)의 내경은 회전축(157)의 외경보다 크다. 회전축(157)이 회전할 때, 타격체 바디(161)의 내면이 회전축(157)의 외면에 접함으로써 타격체 바디(161)가 회전축(157)의 회전력 및 원심력을 제공받아 회전축(157)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타격체 바디(161)에 회전축(157)의 회전력 및 원심력을 더욱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축(157) 중 타격체 바디(161)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은 타원 등 원형 이외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타격 날(163)은 복수 개가 타격체 바디(161)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타격 날(163)은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타격체 바디(161)가 회전할 때 타격체 바디(161)와 케이싱(151)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찢어내고,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다.
타격체(160)는 나선 가이드(159)와 회전날(167) 사이에 복수 개가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회전축(157)에는 타격체(160)를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타격체(16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64)가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타격체(160) 사이에는 스페이서(165)가 배치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타격체들(160) 사이를 이격시키고, 타격체(16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스토퍼(164)와 스페이서(165)의 작용으로 복수의 타격체(160)는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나선 가이드(159)나 회전날(167)과 간섭되거나 상호 간섭되는 문제없이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라벨을 분리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전날(167)은 타격체(160)와 배출 가압 날개(168)의 사이에 배치되며,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157)의 외면에 결합된다. 회전날(167)은 복수 개가 회전축(157)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들 회전날(167)은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찢어내고,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 가압 날개(168)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157)의 외면에 결합된다. 배출 가압 날개(168)는 복수 개가 회전축(157)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이들 배출 가압 날개(168)는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하면서 타격체(160)와 회전날(167)을 거치면서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벨 흡입기(170)는 라벨 흡입구(155)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케이싱(151)의 라벨 제거 챔버(152)로부터 흡입하여 라벨 수거부(146f)로 배출시킨다. 라벨 흡입기(170)는 라벨 흡입구(155)와 연결되는 라벨 배출 가이드(171)와, 라벨 배출 가이드(171)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177)와, 라벨 배출 가이드(171)로 흡입되는 라벨을 라벨 수거부(146f) 측으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를 포함한다.
라벨 배출 가이드(171)에는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배출되는 라벨을 이송할 수 있도록 케이싱(151)의 라벨 흡입구(155)와 연결되는 라벨 이송로(172)와, 라벨 이송로(172)의 라벨을 라벨 수거부(146f)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라벨 이송로(172)와 연결되는 라벨 배출구(173)와, 라벨 이송로(172)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라벨 이송로(172)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74)가 구비된다. 공기 흡입구(174)에는 거름망(175)이 배치된다. 거름망(175)은 공기는 통과하되 라벨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통공이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라벨을 걸러낼 수 있다. 케이싱(151)의 라벨 제거 챔버(152)로부터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로 유입되는 라벨은 라벨 이송로(172)를 따라 이송되어 라벨 배출구(173)를 통해 라벨 수거부(146f)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력 발생부(177)는 공기 흡입구(174)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174)와 연결된다. 흡입력 발생부(177)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은 공기 흡입구(174) 및 라벨 이송로(172)를 통해 라벨 흡입구(155)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151)의 라벨 제거 챔버(152)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된 라벨이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로 흡입될 수 있다.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는 라벨 흡입구(155)를 통해 라벨 이송로(172)로 흡입되는 라벨을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이송시킨다.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는 라벨 이송로(172)에 배치되어 라벨을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부(179)를 구비한다. 라벨 이송부(179)는 이송 스크류(180)를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180)는 라벨 이송로(17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라벨 이송 회전축(181)과, 라벨 이송 회전축(18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라벨 이송 나선 가이드(182)를 구비하며, 라벨 흡입구(155)에서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연장된다. 이송 스크류(180)는 이송 스크류 구동기(18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송 스크류(180)가 회전함으로써 라벨 이송로(172)로 흡입되는 라벨이 이송 스크류(180)의 라벨 이송 나선 가이드(182)를 따라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강제 이송될 수 있다.
흡입력 발생부(177)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라벨 배출구(173)에까지 강하게 작용하면 라벨 배출구(173)에서 라벨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라벨 흡입기(170)는 라벨 배출구(173)에서는 흡입력이 가능한 작용하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즉, 라벨 흡입기(170)의 라벨 이송로(172)는 라벨 배출구(173)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Wc2)이 공기 흡입구(174)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Wc1)보다 축소된 형태를 가지며, 라벨 이송로(172)의 중간 부분에서 라벨 배출구(173)와 연결되는 부분까지의 일정 구간은 이송 스크류(180)의 폭보다 다소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라벨 이송로(172)를 이러한 형태로 하면, 라벨 이송로(172)의 중간 부분에서 라벨 배출구(173)와 연결되는 부분까지의 하류부에서 라벨 배출 가이드(171)와 이송 스크류(180) 간의 간섭을 피하면서 이송 스크류(180)에 의한 공기 저항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벨 이송로(172) 하류부에서는 이송 스크류(180)가 공기 유동을 방해함으로써 흡입력 발생부(177)의 흡입력이 약하게 작용하게 되고, 라벨이 이송 스크류(180)에 의해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150)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이 투입될 때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과 라벨을 각각 분리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와 라벨 수거부(146f)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150)는 타격체(160)가 라벨을 1차 분리하고, 회전날(167)이 라벨을 2차 분리하고, 라벨 흡입기(170)로 라벨을 흡입하는 방식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라벨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150)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137a)에서 케이싱(151)의 내측으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먼저 타격체(160)로 타격함으로써, 플라스틱 폐기물을 압축시키면서 타격체(160)에 구비되는 타격 날(163)과 케이싱(151)의 고정날(156)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찢고 라벨을 1차 분리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격체(160)는 회전축(15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인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타격체(160)와 케이싱(151) 사이에 놓이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강하게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이 타격체(160)에 의해 부피가 감소된 상태로 회전날(167)이 배치된 부분으로 이송된다.
회전날(167)이 배치된 부분에서 회전날(167)과 고정날(156)의 작용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이 2차 분리된다. 그리고 라벨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배출 가압 날개(168)의 작용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154)를 통해 원활하게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146a)로 수거되고,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은 라벨 흡입기(170)의 흡입력 발생부(177)에서 발생하는 흡입력과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에 의한 이송력에 의해 라벨 수거부(146f)에 수거된다.
라벨 흡입기(170)에 구비되는 라벨 배출 가이드(171)와, 흡입력 발생부(177)와,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 이송 컨베이어(178)는 이송 스크류(180)를 포함하는 구조 외이에, 라벨 이송로(172)의 라벨을 라벨 배출구(173) 측으로 강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137c)과 금속 폐기물 수거부(146c)의 사이에는 폐기물 압축기(185)가 설치된다. 폐기물 압축기(185)는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과 철재 폐기물 수거부(146d)의 사이 및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과 알루미늄 폐기물 수거부(146e)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137d)에서 떨어지는 철재 폐기물을 압축하여 철재 폐기물 수거부(146d)로 투입시키고,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137e)에서 떨어지는 알루미늄 폐기물을 압축하여 알루미늄 폐기물 수거부(146e)로 투입시킨다. 폐기물 압축기(185)의 작용으로 철재 폐기물 수거부(146d)에 더욱 많은 철재 폐기물이 수거되고, 알루미늄 폐기물 수거부(146e)에 더욱 많은 알루미늄 폐기물이 수거될 수 있다. 폐기물 압축기(185)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압축 롤러(186) 사이로 금속 폐기물을 통과시켜 금속 폐기물을 압축시키는 구조,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리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에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을 떠받치기 위한 완충장치(188)가 설치된다. 완충장치(188)는 유리 폐기물을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완충 베드(189)와, 완충 베드(189)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193)를 포함한다. 완충 베드(189)는 승강 구동부(193)와 결합되어 승강 구동부(193)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190)와, 유리 폐기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승강대(190) 위에 배치되는 받침대(191)와, 승강대(190)와 받침대(191)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92)을 포함한다. 완충 베드(189)는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유리 폐기물이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로 떨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승강 구동부(193)는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되어 완충 베드(18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베드(189) 상에 유리 폐기물의 적재량이 적을 때, 승강 구동부(193)는 완충 베드(189)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완충 베드(189)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이 받는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베드(189) 상에 유리 폐기물의 적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승강 구동부(193)는 완충 베드(189)의 높이를 낮춰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에 가능한 많은 양의 유리 폐기물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완충장치(188)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137b)에서 유리 폐기물 수거부(146b)로 떨어지는 유리 폐기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유리 폐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95)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5)는 투입 이송부(110)를 제어하여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이 폐기물 검출기(121)에 의해 재질 분석된 후 폐기물 선별기(127)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5)는 폐기물 검출기(12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폐기물 선별기(127), 라벨 분리장치(150), 폐기물 압축기(185), 완충장치(188) 등을 적당한 타이밍에 적당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입력부(197)와, 디스플레이부(198)를 포함한다. 입력부(197) 및 디스플레이부(198)는 하우징(101)의 전면에 배치된다. 입력부(197)를 통해 사용자나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8)는 폐기물 투입부(107)로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이나 재활용 여부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폐기물 투입부(107)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W)의 재질을 폐기물 검출기(121)가 검출하고, 폐기물 검출기(12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폐기물 선별기(127)가 폐기물을 자동으로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 별로 분류하여 폐기물 수거부에 재질 별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분리 수거가 용이하고,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는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 및 관리가 쉬워 다양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재활용 폐기물 분리 수거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01)과, 폐기물 투입부(107)와, 투입 이송부(110)와, 폐기물 검출기(121)와, 폐기물 선별기(127)와, 폐기물 수거부(146a)(146b)(146c)(146f)(146g)와,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150) 등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1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타격체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타격체(210)는 이에 구비되는 축 삽입구멍(211)의 내경이 회전축(157)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이러한 타격체(210)는 회전축(157)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회전축(15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타격체(230)는 이에 구비되는 축 삽입구멍(231)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타격체(230)의 축 삽입구멍(231)은 회전축(2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 방향의 폭(Wh1)이 회전축(157)의 길이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Wh2)보다 큰 비원형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220)은 타격체(230)의 축 삽입구멍(231)이 삽입되는 축 확장부(221)를 구비한다. 축 확장부(221)는 제1 방향의 폭(Ws1)이 제2 방향의 폭(Ws2)보다 큰 비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격체(230)는 회전축(2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축(2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인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타격체(230)와 케이싱(151) 사이에 놓이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케이싱(151)의 내면 측으로 강하게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압축시키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라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타격체(230)는 회전축(220)의 회전력을 더욱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회전축(220)의 회전 속도와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01 : 하우징
103 : 출입구 104 : 도어
107 : 폐기물 투입부 108 : 폐기물 투입구
110 : 투입 이송부 118 : 이물질 가이드
119 : 이물질 수거부 121 : 폐기물 검출기
127 : 폐기물 선별기 128 : 선별 컨베이어
129 : 컨베이어 벨트 134 : 스크레이퍼
136 : 폐기물 이송로 137a :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
137b : 유리 폐기물 이송 트랙 137c : 금속 폐기물 이송 트랙
137d : 철재 폐기물 이송 트랙 137e : 알루미늄 폐기물 이송 트랙
137f : 비선별 폐기물 이송 트랙 139 : 가이드 격벽
140 : 폐기물 분배부 141a~141d : 가동 격벽
142a~142d : 가동 격벽 구동부 144 : 투입 가이드
146a :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 146b : 유리 폐기물 수거부
146c : 금속 폐기물 수거부 146d : 철재 폐기물 수거부
146e : 알루미늄 폐기물 수거부 146f : 라벨 수거부
146g : 비선별 폐기물 수거부 150 : 라벨 분리장치
151 : 케이싱 153 :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
154 :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155 : 라벨 흡입구
156 : 고정날 157 : 회전축
159 : 나선 가이드 160, 210, 230 : 타격체
161 : 타격체 바디 162, 211, 231 : 축 삽입구멍
163 : 타격 날 164 : 스토퍼
165 : 스페이서 167 : 회전날
168 : 배출 가압 날개 170 : 라벨 흡입기
171 : 라벨 배출 가이드 172 : 라벨 이송로
173 : 라벨 배출구 174 : 공기 흡입구
175 : 거름망 177 : 흡입력 발생부
178 : 라벨 이송 컨베이어 179 : 라벨 이송부
180 : 이송 스크류 185 : 폐기물 압축기
186 : 압축 롤러 188 : 완충장치
189 : 완충 베드 193 : 승강 구동부
195 : 제어부 197 : 입력부
198 : 디스플레이부 221 : 축 확장부

Claims (13)

  1.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분리하기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에 있어서,
    챔버와,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챔버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라벨 흡입구를 갖는 케이싱;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나선 가이드;
    축 삽입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축 삽입구멍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타격체 바디와, 상기 타격체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체 바디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 가이드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타격체;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체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회전날; 및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라벨 흡입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라벨 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에 구비되는 축 삽입구멍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타격체는 상기 타격체 바디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가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의 축 삽입구멍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비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제1 방향 폭은, 상기 축 삽입구멍의 제1 방향 폭보다 작고 상기 축 삽입구멍의 제2 방향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에 대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는 복수 개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타격체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타격체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배출 가압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흡입기는,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라벨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는 라벨 이송로와, 상기 라벨 이송로의 라벨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이송로와 연결되는 라벨 배출구와, 상기 라벨 이송로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라벨 이송로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를 갖는 라벨 배출 가이드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라벨 이송로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력 발생부와,
    공기는 통과시키고 라벨은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거름망과,
    상기 라벨 이송로로 유입되는 라벨을 상기 라벨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이송로에 배치되는 라벨 이송부를 갖는 라벨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이송부는, 상기 라벨 이송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라벨 이송 회전축 및 상기 라벨 이송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라벨 이송 나선 가이드를 구비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이송로는, 상기 라벨 배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이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폭보다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11.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폐기물 투입부;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는 폐기물 검출기;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재질에 따라 분류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이 마련되는 선별 컨베이어;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 중 사전 설정된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가이드하는 폐기물 분배부; 및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을 따라 각각 이송되는 폐기물이 재질 별로 분류되어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에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 및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 중 플라스틱 폐기물이 이송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 중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거를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 사이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을 제거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는,
    챔버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이송 트랙를 따라 이송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챔버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와,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와,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라벨 흡입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투입구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나선 가이드와,
    축 삽입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축 삽입구멍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타격체 바디와, 상기 타격체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타격 날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체 바디와 상 케이싱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 가이드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타격체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타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체보다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구에 가까이 배치되는 회전날과,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을 상기 챔버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부 중 라벨의 수거를 위한 라벨 수거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라벨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라벨 흡입구를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라벨 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선별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폐기물 이송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 이송로를 상기 복수의 폐기물 이송 트랙으로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분배부는,
    상기 가이드 격벽과 상기 폐기물 투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격벽에 가까이 배치되는 일단이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이 상기 폐기물 투입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폐기물 투입부에서 폐기물 이송로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동 격벽과,
    상기 가동 격벽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동 격벽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0180171946A 2018-12-28 2018-12-28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14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46A KR102142958B1 (ko) 2018-12-28 2018-12-28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46A KR102142958B1 (ko) 2018-12-28 2018-12-28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20A true KR20200081920A (ko) 2020-07-08
KR102142958B1 KR102142958B1 (ko) 2020-08-10

Family

ID=7160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946A KR102142958B1 (ko) 2018-12-28 2018-12-28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655B1 (ko) *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649B1 (ko) * 2021-04-09 2021-12-01 홍지영 플라스틱 보틀을 수거 및 재활용하는 벤딩머신
KR102474039B1 (ko) 2022-04-08 2022-12-06 주식회사 우리산업 재활용 플라스틱의 라벨 분리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04A (ja) * 1996-07-01 1998-01-20 Kubota Corp 農作物選別機
KR100297240B1 (ko) * 1998-08-03 2001-10-26 전운택 대용량페트병라벨분리장치
KR100297239B1 (ko) 1998-08-03 2001-10-26 전운택 소용량페트병라벨분리장치
KR200400059Y1 (ko) * 2005-08-18 2005-11-02 박용익 페트병 분쇄물 분리장치
KR20080081875A (ko) * 2008-07-17 2008-09-10 주식회사 신텍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110064372A (ko) * 2009-12-08 2011-06-15 (주)현이 폐 페트병 라벨 제거장치
KR101270354B1 (ko) * 2013-02-12 2013-06-04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폐기물 재활용 분류 시스템
KR20170040355A (ko) * 2014-08-13 2017-04-12 메트로센스 오이 쓰레기 분류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04A (ja) * 1996-07-01 1998-01-20 Kubota Corp 農作物選別機
KR100297240B1 (ko) * 1998-08-03 2001-10-26 전운택 대용량페트병라벨분리장치
KR100297239B1 (ko) 1998-08-03 2001-10-26 전운택 소용량페트병라벨분리장치
KR200400059Y1 (ko) * 2005-08-18 2005-11-02 박용익 페트병 분쇄물 분리장치
KR20080081875A (ko) * 2008-07-17 2008-09-10 주식회사 신텍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110064372A (ko) * 2009-12-08 2011-06-15 (주)현이 폐 페트병 라벨 제거장치
KR101270354B1 (ko) * 2013-02-12 2013-06-04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폐기물 재활용 분류 시스템
KR20170040355A (ko) * 2014-08-13 2017-04-12 메트로센스 오이 쓰레기 분류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655B1 (ko) *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58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14295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US51164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waste
KR100972533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2339656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US5452804A (en)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matter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1071235B1 (ko)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KR20150069621A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KR102339655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US20040206675A1 (en) Vehicle for classifying and collecting refuse
CN110733773A (zh) 可自动检测分拣归类的生活垃圾回收箱及系统
KR10239303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0792027B1 (ko) 풍력비중선별장치
KR102393031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029165B1 (ko) 유리 파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리 파쇄 방법
CN110721988B (zh) 垃圾分离装置及系统
KR102095745B1 (ko) 재생플라스틱 펠릿 선별장치
CN212821698U (zh) 垃圾分离装置及系统
KR101432015B1 (ko) 바코드를 사용한 음료용기 압착처리장치
KR20060004143A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방법
JP2001286856A (ja) 生ゴミ選別方法及びその選別装置
KR102574430B1 (ko)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KR200263178Y1 (ko) 재활용품 분리기
KR200409641Y1 (ko) 풍력비중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