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30B1 -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430B1
KR102574430B1 KR1020210089857A KR20210089857A KR102574430B1 KR 102574430 B1 KR102574430 B1 KR 102574430B1 KR 1020210089857 A KR1020210089857 A KR 1020210089857A KR 20210089857 A KR20210089857 A KR 20210089857A KR 102574430 B1 KR102574430 B1 KR 10257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able waste
unit
input
recyclabl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720A (ko
Inventor
김정빈
지민구
강중용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수퍼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퍼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퍼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7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B65F2240/1126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 의해 상호 고착된 상태에서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투입공간의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공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서 공급된 재활용 쓰레기를 타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투입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타격유닛과, 상기 투입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서 공급된 재활용 쓰레기를 타격하여 정렬하므로 재활용 쓰레기 처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Recycling Garbage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분리 장치에서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트병의 선별/분류 공정은 주로 재질이나 라벨 제거 상태, 유색 페트병 등에 대해 이뤄지며 사람의 수선별 없이 인공지능 등 높은 기술력을 이용한 선별/분류 공정이 발전하고 있다.
고도화된 선별/분류 공정은 카메라 등을 주로 이용하는데, 겹쳐지거나 대량투입되는 재활용 페트병에 대해 오작동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리스틱(진동) 및 고압, 대류 등을 이용한 분류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에너지 소모가 크고, 설비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4632호: 재활용 쓰레기 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재활용 쓰레기 분리 장치에서 공급된 재활용 쓰레기를 타격하여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 의해 상호 고착된 상태에서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들이 투입되는 투입공간이 마련되며, 내측면에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공간 내의 재활용 쓰레기들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원심력에 의해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해당 재활용 쓰레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인가유닛과,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에 의해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들이 상기 배출구로 상호 독립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은 상기 투입공간 내의 재활용 쓰레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간섭부분과,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간섭부분의 가장자리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분이 마련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원판에 설치되는 원판 회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의 후단부에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로 유도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지지부분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간섭부분 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진입 유도부재와,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로 단일의 재활용 쓰레기가 진입하도록 해당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들을 간섭할 수 있게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의 전단부에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분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간섭 유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 유도부재는 단부가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간섭부분 측으로 인입되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입 유도부재는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 해당 재활용 쓰레기들 중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상기 배출구에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한 단부의 인입 깊이가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한 상기 간섭 유도부재의 단부의 인입 깊이보다 깊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진입 유도부재 및 간섭 유도부재 사이를 통과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투입본체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유도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투입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유도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 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원판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로부터 인출되는 이물질이 해당 투입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유동부재 및 간섭 유도부재에 대응되는 일부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투입본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은 상기 회전원판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주위에서 정체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타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타격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원판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는 상기 회전원판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투입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원판의 일부분 하방의 상기 투입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된 호퍼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서 공급된 재활용 쓰레기를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므로 재활용 쓰레기 처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와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와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3의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10)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 의해 상호 고착된 상태에서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들이 투입되는 투입공간(21)이 마련되며, 내측면에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2)가 형성된 투입본체(20)와, 상기 투입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공간(21) 내의 재활용 쓰레기들이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도록 원심력에 의해 상기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해당 재활용 쓰레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인가유닛(30)과,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30)에 의해 상기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들이 상기 배출구(22)로 상호 독립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재활용 쓰레기는 PET 용기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의 쓰레기가 적용된다.
투입본체(20)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재활용 쓰레기 분리 장치에서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가 용이하게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투입본체(20)의 내주면에는 투입공간(21) 내의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구(22)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본체(20)의 상부에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는 다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상호 고착된 베일을 파봉 및 타격하여 해당 베일로부터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면, 해당 재활용 쓰레기는 투입본체(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공간(21)으로 투입된다.
회전력 인가유닛(30)은 투입공간(2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31)과, 회전원판(3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배출구(22) 측에 잔류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 플레이트(32)와, 해당 회전원판(3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원판(31)에 설치되는 원판 회전부(33)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원판(31)은 투입공간(21) 내의 재활용 쓰레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투입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간섭부분(34)과, 해당 간섭부분(3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부분(35)을 구비한다.
상기 간섭부분(34)은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투입본체(20)의 상방에서 투입공간(21)으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는 간섭부분(34)에 충돌하고, 간섭부분(34)의 경사진 외측면에 의해 투입본체(20)의 내벽면 측으로 가이드된다.
지지부분(35)은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투입본체(20)의 내벽면에 인접되도록 간섭부분(34)의 가장자리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지지부분(35)은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 플레이트(32)는 회전원판(31)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타격 플레이트(32)는 간섭부분(34)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연장되되, 회전원판(31)의 회전시 가이드부(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가 간섭부분(34)의 가장자리에 인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 플레이트(32)는 다수개가 회전원판(31)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타격 플레이트(32)가 마련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타격 플레이트(32)의 설치 갯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원판(31)의 크기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타격 플레이트(32)는 회전원판(31)과 회전하며, 배출구(22) 측에 걸리거나 잔류하는 재활용 쓰레기 또는 이물질을 타격하여 해당 재활용 쓰레기 및 이물질이 배출구(22)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타격 플레이트(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재활용 쓰레기 또는 이물질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된 회전원판(31)은 상기 배출구(22)로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로부터 인출되는 이물질이 해당 투입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유동부재 및 간섭 유도부재(42)에 대응되는 일부분이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상기 투입본체(20)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원판(31)은 지지부분(35)의 일부분이 투입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투입본체(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판 회전부(33)는 회전원판(31)의 간섭부분(34)에 연결되도록 상기 투입본체(20)에 설치되어 해당 간섭부분(34)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원판 회전부(33)는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회전원판(3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원판 회전부(3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원판(31)은 투입공간(21) 내의 재활용 쓰레기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해당 재활용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투입본체(20)의 내벽면 측으로 이동하여 해당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부(40)는 배출구(22)로 인접되는 재활용 쓰레기들을 독립적으로 배출구(22) 측으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투입본체(2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진입 유도부재(41) 및 간섭 유도부재(42)와, 배출구(22)를 통해 투입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를 이송 컨베이어(50)로 안내하는 이송유닛(43)을 구비한다.
진입 유도부재(41)는 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22)의 후단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진입 유도부재(41)는 상기 배출구(22)에 인접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22)로 유도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지지부분(35)의 상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진입 유도부재(41)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분(35)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간섭부분(34) 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가 진입 유도부재(41)의 외측면에 접촉할 경우, 해당 진입 유도부재(41)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원판(31)으로부터 이탈되어 배출구(22)를 통해 투입본체(20) 외부로 배출된다.
간섭 유도부재(42)는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에 의해 상기 배출구(22)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22)로 단일의 재활용 쓰레기가 진입하도록 해당 배출구(22) 측으로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들을 간섭할 수 있게 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22)의 전단부 가장자리에서,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분(35)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간섭 유도부재(42)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되,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일시에 배출구(22)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가 지지부분(35)의 가장자리에서 간섭부분(34) 측으로 인입되게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진입 유도부재(41)는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구(22) 측으로 이동시 재항 재활용 쓰레기들 중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배출구(22)에 진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분(35)의 가장자리에 대한 단부의 인입 깊이가, 해당 지지부분(35)의 가장자리에 대한 간섭 유도부재(42)의 단부의 인입 깊이보다 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같이 다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 해당 재활용 쓰레기들이 일시에 배출구(22)로 진입되는 것이 아니라 도 8과 같이 일차적으로 상술된 간섭부재에 의해 투입본체(20)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진입 유도부재(41) 측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진입 유도부재(41)의 단부의 인입깊이가 간섭 유도부재(42)의 단부의 인입깊이보다 깊으므로 도 9와 같이 상기 재활용 쓰레기들 중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진입 유도부재(41)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해당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진입 유도부재(41)의 외측면을 따라 배출구(22)로 진입하게 된다.
이송유닛(43)은 진입 유도부재(41)에 설치되어 재활용 쓰레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 플레이트(45)와, 회전원판(31)의 하측 투입본체(20) 외주면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50)로 재활용 쓰레기를 유도하는 호퍼 플레이트(46)와, 호퍼 플레이트(46)의 측면에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47)를 구비한다.
배출유도 플레이트(45)는 진입 유도부재(41) 및 간섭 유도부재(42) 사이를 통과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투입본체(20)의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진입 유도부재(41)의 단부에서 투입본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배출유도 플레이트(45)는 길이방향 중심선이 회전원판(3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이송 컨베이어(50) 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 유도부재(41) 외측면에 충돌하여 배출구(22)로 진입하는 재활용 쓰레기는 해당 배출유도 플레이트(45)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50) 측으로 유도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배출유도 플레이트(45)는 지지부분(35)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면에, 회전원판(31)으로부터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시키기 위해 해당 재활용 쓰레기를 간섭하기 위한 간섭돌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간섭돌기는 배출유도 플레이트(45)의 측면에서, 커버 플레이터 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지지부분(35)의 상면에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간섭돌기는 배출유도 플레이트(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간섭되는 재활용 쓰레기가 지지원판으로부터 들릴 수 있도록 진입 유도부재(41)의 단부에 인접된 일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며,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간섭돌기에 의해 재활용 쓰레기는 보다 용이하게 지지원판으로부터 분리되어 호퍼 플레이트(46)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간섭돌기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호퍼 플레이트(46)는 회전원판(31)으로부터 낙하나는 재활용 쓰레기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투입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원판(31)의 일부분 하방에 설치된다. 해당 호퍼 플레이트(46)는 회전원판(31)의 일부분에 대향되는 투입본체(2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배출유도 플레이트(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호퍼 플레이트(46)는 상부를 따라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가 이송 컨베이어(50)로 안내되도록 이송 컨베이어(5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한편, 호퍼 플레이트(46)는 재활용 쓰레기가 이송 컨베이어(50)로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퍼 플레이트(46)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재활용 쓰레기에서 배출된 액상의 이물질을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47)는 호퍼 플레이트(46)로부터 재활용 쓰레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호퍼에 인접된 호퍼 플레이트(46)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설치되며, 호퍼 플레이트(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47)는 호퍼 플레이트(46)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호퍼 플레이트(46)의 단부에서 배출구(22)의 전단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서 베일로부터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가 개방된 투입본체(20)의 상면을 통해 투입공간(21)으로 투입된다. 투입공간(21)으로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는 회전원판(31)에 안착되는데, 회전하는 회전원판(31)에 의해 회전하여 투입본체(20)의 내벽면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재활용 쓰레기는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된다.
투입본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는 간섭 유도부재(42)에 의해 투입본체(20)의 내벽면으로 이탈되어 진입 유도부재(41) 측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재활용 쓰레기들 중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진입 유도부재(41)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해당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진입 유도부재(41)의 외측면을 따라 배출구(22)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는 배출유도 플레이트(45)를 따라 투입본체(20) 외부로 배출되고, 회전원판(31)으로부터 낙하한 재활용 쓰레기는 호퍼 플레이트(46)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50)로 이송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10)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서 공급된 재활용 쓰레기를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므로 재활용 쓰레기 처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투입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100)는 다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상호 고착된 베일이 투입되며, 투입된 베일을 파봉하는 베일 파봉부(200)와, 상기 베일 파봉부(200)로부터 배출된 파봉된 베일을 타격하여 해당 베일로부터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는 쓰레기 분리부(300)를 구비한다. 다수의 재활용 쓰레기들은 운반이 용이할 수 있도록 압착되어 원통형의 베일로 제작된다.
베일 파봉부(200)는 상기 베일이 투입되는 파봉본체(210)와, 상기 파봉본체(210)에 마련되어 파봉본체(210)로 투입된 베일을 파봉하는 파봉유닛(220)을 구비한다.
파봉본체(210)는 내부에 파봉유닛(220)이 설치되는 파봉공간(21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파봉공간(211)으로 베일이 투입되는 투입구(212)가 형성된다. 또한, 파봉본체(210)의 하면에는 상기 파봉공간(211)을 통과한 베일이 배출되는 인출구(213)가 형성된다. 이때, 파봉본체(210)는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봉유닛(220)은 상기 파봉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파봉축(221)과, 파봉본체(210) 내로 투입된 베일을 간섭할 수 있도록 파봉축(2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파봉 블레이드(222)를 구비한다.
상기 파봉축(221)은 상기 회전 구동부(350)에 의해 파봉본체(210) 내부에 회전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파봉본체(210) 내부에, 상기 파봉축(2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파봉 블레이드(222)는 파봉축(221)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파봉축(221)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해당 파봉 블레이드(222)는 파봉축(221)과 함께 회전하며, 파봉본체(210) 내로 투입된 베일을 간섭한다. 이때, 베일은 해당 파봉 블레이드(222)와 충돌하여 일부가 분리되어 부피가 줄어든다. 분리된 베일은 인출구(213)를 통해 쓰레기 분리부(300)로 배출된다.
상기 쓰레기 분리부(300)는 베일 파봉부(200)로부터 배출된 베일이 수용되는 타격본체(310)와, 상기 타격본체(310)에 마련되며, 베일로부터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 해당 베일을 타격하는 타격유닛(320)을 구비한다.
타격본체(310)는 내부에, 상기 타격유닛(320)이 설치되는 타격공간(311)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타격공간(311)으로 상기 베일이 투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타격공간(311)을 통과한 상기 베일이 배출되는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타격본체(310)는 타격공간(311)이 파봉본체(210)의 파봉공간(211)에 연통되도록 상부가 상기 파봉본체(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타격본체(310)는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타격유닛(320)은 베일 파봉부(200)로부터 배출된 베일이 수용되는 타격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321)와, 타격본체(310)의 내부에 투입된 베일을 타격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321)에 마련된 다수의 타격 트랩(322)을 구비한다.
회전부재(321)는 타격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330)과, 내부 프레임(3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타격 트랩(322)이 돌출형성된 회전모듈(340)과, 상기 회전모듈(340)에 설치되어 해당 회전모듈(34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50)를 구비한다.
내부 프레임(3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지지로드(미도시)에 의해 타격공간(311) 내에 설치된다. 이때, 내부 프레임(330)은 타격본체(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로드는 일단이 내부 프레임(33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격본체(310)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내부 프레임(3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로드에 의해 내부 프레임(330)은 타격본체(310)의 내벽면에 이격되게 지지되고, 내부 프레임(330)과 타격본체(310)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으로 재활용 쓰레기가 하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내부 프레임(330)은 중앙부에, 후술되는 회전 구동부(350)의 구동축(351)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프레임(330)은 상면에, 다수의 슬라이딩홈(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333)은 내부 프레임(330)의 중공(331)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홈(333)들은 상호 상이한 반경의 호형으로 형성되는데, 각 슬라이딩홈(333)들의 반경은 후술되는 회전 구동부(350)의 회전관(355)들의 반경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모듈(340)은 외주면에 타격 트랩(322)이 돌출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회전가능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단위 회전체(341)를 구비한다. 이때, 회전모듈(340)은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회전체(341)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위 회전체(341)들 중 최상측 단위 회전체(341)는 중앙부에, 회전 구동부(350)의 구동축(351)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모듈(340)이 3개의 단위 회전체(341)로 구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회전모듈(34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격본체(310)의 크기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의 단위 회전체(341)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단위 회전체(341)들은 회전 구동부(350)의 회전관(355)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최상측 단위 회전체(341)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회전체(341)들은 상부도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구동부(350)는 회전모듈(34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인접된 단위 회전체(341)들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 구동부(350)는 축 구동부(354)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330)에 설치되는 구동축(351)과, 상기 회전모듈(340)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회전모듈(340)에 연결된 회전 지지부(352)와, 상기 구동축(35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지지부(35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53)를 구비한다.
구동축(35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10)의 회전원판(31)에 고정된다. 해당 구동축(351)은 회전원판(31)과 함께 회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구동축(351)은 축 구동부(354)인 재활용 쓰레기 정렬장치에 연결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축 구동부(354)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격본체(31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51)을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52)는 단위 회전체(34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단위 회전체(341)들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 프레임(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관(35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관(355)들은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인접된 회전관(355)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회전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다. 즉, 회전관(355)들은 외경 및 내경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며, 최외곽 회전관(355) 내부에는, 해당 최외곽 회전관(355)에 인접된 회전관(355)이 인입되게 설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회전관(355)들은 상호 결합되며, 최내측 회전관(355) 내부에는 구동축(351)이 인입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관(355)들은 상단부에, 단위 회전체(341)의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재(35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재(356)는 회전관(355)의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단위 회전체(341)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회전관(355)들은 상호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단위 회전체(341)들에 각각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관(355)들 중 최내측 회전관(355)은 단위 회전체(341)들 중 최상측 단위 회전체(341)에 연결되고, 회전관(355)들 중 최외곽 회전관(355)은 단위 회전체(341)들 중 최하측 단위 회전체(34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관(355)들은 상기 플랜지부재(356)에 의해 각 단위 회전체(34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관(355)은 하면에, 내부 프레임(330)의 슬라이딩홈(333)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인입돌기(3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돌기(357)는 다수개가 회전관(355)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돌기(357)에 의해 상기 회전관(355)은 내부 프레임(330)에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353)는 구동축(35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관(355)들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인접된 상기 회전관(355)들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동력 전달부(353)는 다수의 제1아이들 기어(361), 구동기어(362), 제1피동기어, 다수의 제2아이들 기어(364), 다수의 제2 및 제3피동기어(365,366)를 구비한다.
제1아이들 기어(361)는 구동축(351)과, 회전관(355)들 중 해당 구동축(351)에 대향되는 회전관(355) 사이의 내부 프레임(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아이들 기어(361)는 구동축(351)과, 최내측 회전관(355) 사이의 내부 프레임(330)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아이들 기어(361)는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내부 프레임(330)에 설치된다.
구동기어(362)는 제1아이들 기어(361)에 대향되는 구동축(35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구동축(351)의 회전력에 의해 제1아이들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제1아이들 기어(361)에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해당 구동기어(362)에 의해 제1아이들 기어(361)는 구동축(351)과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피동기어는 회전관(355)들 중 해당 구동축(351)에 대향되는 회전관(355)의 내벽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피동기어는 회전관(355)들 중 최내측 회전관(355)의 내벽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피동기어는 제1아이들 기어(361)에 치합될 수 있도록 회전관(355)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아이들 기어(361) 및 제1피동기어에 의해 최내측 회전관(355)은 구동축(351)과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아이들 기어(364)는 다수개가 상호 인접된 회전관(355)들 사이의 내부 프레임(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아이들 기어(364)는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피동기어(365)는 상호 인접된 회전관(355)들 중 상기 제2아이들 기어(364)에 대향되는 회전관(355)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피동기어(365)는 제2아이들 기어(364)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해당 회전관(355)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제3피동기어(366)는 상호 인접된 회전관(355)들 중 상기 제2아이들 기어(364)에 대향되는 회전관(355)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3피동기어(366)는 제2아이들 기어(364)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해당 회전관(355)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아이들 기어(364)와 제2 및 제3피동기어(365,366)에 의해 최내측 회전관(355)의 회전력이 나머지 회전관(355)들에 전달된다. 또한, 상호 인접된 회전관(355)들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된 동력 전달부(353)에 의해 인접된 단위 회전체(341)들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타격 트랩(322)은 다수개가 단위 회전체(34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타격 트랩(322)은 상기 단위 회전체(34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기 단위 회전체(341)의 외주면에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20: 투입본체
21: 투입공간
22: 배출구
30: 회전력 인가유닛
31: 회전원판
32: 타격 플레이트
33: 원판 회전부
34: 간섭부분
35: 지지부분
40: 가이드부
41: 진입 유도부재
42: 간섭 유도부재
43: 이송유닛
45: 배출유도 플레이트
46: 호퍼 플레이트
47: 커버 플레이트
50: 이송 컨베이어

Claims (11)

  1.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에 의해 상호 고착된 상태에서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들이 투입되는 투입공간이 마련되며, 내측면에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투입본체;
    상기 투입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공간 내의 재활용 쓰레기들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원심력에 의해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해당 재활용 쓰레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인가유닛; 및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에 의해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들이 상기 배출구로 상호 독립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쓰레기 분리장치는
    다수의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상호 고착된 베일이 투입되는 파봉본체와, 상기 파봉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파봉본체로 투입된 상기 베일을 파봉하는 파봉유닛이 마련된 베일 파봉부; 및
    상기 베일 파봉부로부터 파봉된 상기 베일이 수용되는 타격본체와, 상기 타격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베일로부터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 해당 베일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이 마련된 쓰레기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베일 파봉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베일이 수용되는 상기 타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과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회전가능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단위 회전체가 마련된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설치되어 해당 회전모듈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인접된 단위 회전체들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타격본체의 내부에 투입된 상기 베일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회전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타격 트랩;을 구비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은
    상기 투입공간 내의 재활용 쓰레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간섭부분과,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투입본체의 내벽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간섭부분의 가장자리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분이 마련된 회전원판; 및
    상기 회전원판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원판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의 후단부에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로 유도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지지부분의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간섭부분 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진입 유도부재; 및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로 단일의 재활용 쓰레기가 진입하도록 해당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는 재활용 쓰레기들을 간섭할 수 있게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의 전단부에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분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간섭 유도부재;를 구비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유도부재는 단부가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간섭부분 측으로 인입되게 연장형성된,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유도부재는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 해당 재활용 쓰레기들 중 최외측 재활용 쓰레기만 상기 배출구에 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한 단부의 인입 깊이가 상기 지지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한 상기 간섭 유도부재의 단부의 인입 깊이보다 깊도록 형성된,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진입 유도부재 및 간섭 유도부재 사이를 통과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투입본체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유도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투입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유도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 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로부터 인출되는 이물질이 해당 투입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 유도부재 및 간섭 유도부재에 대응되는 일부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투입본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인가유닛은 상기 회전원판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주위에서 정체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타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원판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투입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원판의 일부분 하방의 상기 투입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된 호퍼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KR1020210089857A 2021-06-23 2021-07-08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KR102574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81 2021-06-23
KR20210081681 2021-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720A KR20220170720A (ko) 2022-12-30
KR102574430B1 true KR102574430B1 (ko) 2023-09-04

Family

ID=8453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857A KR102574430B1 (ko) 2021-06-23 2021-07-08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1943A (ko) 2023-01-11 2024-07-18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체 낙하소리와 딥러닝을 활용한 스마트 분리수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748A (ja) 2008-05-10 2009-11-19 Nakamichi:Kk パーツの整列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914A (ja) * 1985-07-04 1987-01-16 Kao Corp キヤツプの整列方法
US5135113A (en) * 1991-04-01 1992-08-04 Modern Controls, Inc. High-speed tablet sorting machine
KR20150004632A (ko) 2013-07-03 2015-01-13 최준호 재활용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748A (ja) 2008-05-10 2009-11-19 Nakamichi:Kk パーツの整列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720A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706A (en) Garbage collecting device
KR102574430B1 (ko) 재활용 쓰레기 정렬 분류 장치
KR102242806B1 (ko) 폐기물을 공급 및 취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2008302343A (ja) 破砕分別装置及び破砕分別方法
KR20170012764A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CN211686678U (zh) 分类垃圾处理箱
KR20200081920A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0428378B1 (ko) 폐기쓰레기 분리장치
KR10208071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세척이 가능한 폐기물 풍력선별장치
KR100792027B1 (ko) 풍력비중선별장치
JP7528094B2 (ja) 材料を供給し、搬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11800A (ko)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KR20220170719A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 장치
CN112008914A (zh) 一种塑料瓶快速分类回收装置
KR20070073681A (ko) 미세 이물질 분리장치와 그 방법
CN210654718U (zh) 一种搅拌式储存投放生活垃圾的料仓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KR101820342B1 (ko)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KR100900025B1 (ko)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효율을향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KR102533805B1 (ko)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KR100862650B1 (ko)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효율을향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CN111872030A (zh) 一种生活垃圾回收利用方法
CN110466922A (zh) 垃圾自动分类收集装置
KR102528540B1 (ko) 유충 선별 수집 장치
KR20200057283A (ko) 혼합 폐기물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