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805B1 -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805B1
KR102533805B1 KR1020207013883A KR20207013883A KR102533805B1 KR 102533805 B1 KR102533805 B1 KR 102533805B1 KR 1020207013883 A KR1020207013883 A KR 1020207013883A KR 20207013883 A KR20207013883 A KR 20207013883A KR 102533805 B1 KR102533805 B1 KR 10253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ssembly
inorganic solid
recognition
soli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189A (ko
Inventor
에도아르도 카를루치
다니엘레 페스
Original Assignee
그리클 에스.알.엘.
에도아르도 카를루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클 에스.알.엘., 에도아르도 카를루치 filed Critical 그리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0006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89Refuse receptacles adapted or modified for gathering compostable domestic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가정에서 및/또는 폐기물 처리 구역 근방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디바이스는 무기 폐기물 그룹으로부터 폐기물 단편을 얻기 위한 분쇄 챔버 및 상기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단편들의 시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또한 각각의 개별 단편의 폐기물 유형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어셈블리 및 인식 그룹의 인식 플레이트 (9) 의 해당 분석 위치에 각각의 개별 단편을 위치시키도록, 시빙 어셈블리 (6) 와 인식 어셈블리 사이에 작동식으로 개재된 분배 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는 추가로 각각의 단일 분석된 폐기물 단편을 각각의 수집 빈 (13) 에 디포짓하도록 인식 플레이트 (9) 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및 구동 유닛 (200) 이 장착된다.

Description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무기 고형 폐기물은, 예를 들어 가정 또는 본 발명의 수혜자가 될 수 있는 바, 식당, 피자 가게, 호텔 또는 단체와 같은 소규모 사업장에서 다시 발생되는 가정내 폐기물,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및 다른 것을 의미한다. 이 디바이스는 가정 지역 및 기타 지역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고정된 위치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또한 폐기물을 수집 및/또는 처리하도록 설계된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현재 생성되는 폐기물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모든 국가에서, 환경 규제는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 관행의 도입에 상당히 기여했다. 하지만, 재활용률은 기관이 설정한 목표와 거리가 멀고, 일반적으로 많은 매립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지방 정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들의 목적은 단기적으로 재활용률을 높여서, 매립지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다.
폐기물 처리는 항상 어려운 문제였다. 폐기물 문제는 점점 더 많은 양의 환경에서의 지속성, 재료의 이종성, 및 마지막이지만 더 중요하게는 위험한 물질의 존재 가능성과 관련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산업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대량 (시간당 15 톤) 의 폐기물에 대해서 일련의 전체 폐기물 처리를 처리할 수 있다.
대량의 산업 공정은 먼저 상품 매크로 범주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 및 유기물) 에 따라서 폐기물을 분리한 후 이들을 이차 원료로 처리한다.
W0 2011084078 에는 2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기계 및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제 1 단계에서, 폐기물은 유형별로 세분화되고, 후속의 제 2 단계에서, 폐기물은 압축 및 분쇄되어 최종적으로 각각의 백 (bags) 안으로 도입된다.
WO 2013128351 에는 유기 폐기물을 압축할 수 있는 제 1 기계 및 무기 폐기물을 압축할 수 있는 제 2 기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랜트가 개시되어 있다. 플랜트는 태양광 패널 또는 배터리로 통전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 다른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신 가정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하여, 처음 쓰레기의 분류 (differentiation) 가 요구되는 것은 소비자 자신이다.
특히, 제 1 단계는, 폐기물을 생성하고 재료의 일부 범주 (유리,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 를 기준으로 이들의 분리를 담당하는 사람이 관리한다. 이는 소비자가 분류할 폐기물 유형이 얼마나 많은 지에 따라서 수집을 위해 많은 용기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이다.
제 2 단계의 주역은 소비자에 의해 미리 분류된 폐기물의 이차 처리를 담당하는 전문 운영자, 공공기관 또는 개인이다. 제 2 단계는 분류시 전문화된 공장에서 실시한다.
마지막 단계는 폐기물을 완전히 재활용가능한 재료로 변환하여 생성된 이차 원료를 구매하는 민간 회사에 의해 수행된다.
재활용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절한 일차 분류로 인해 재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분산을 야기하여, 그 결과 관련된 환경적 및 경제적 장점을 손실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시민 의식에 대한 동기와 감각은 재활용 효율에 중요하다.
제 2 단계, 즉 추가 선택 (예를 들어, 색상을 기준으로 플라스틱의 이차 선택) 및 폐기를 위해 사전 분류된 폐기물을 특수 플랜트로 운반하는 것이 경제적 및 환경적 영향 측면에서 가장 비싸다. 이러한 중간 단계를 피할 수 있는 방안은 여전히 없다.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재활용가능한 폐기물 (이차 원료) 을 생성할 수 있는 제한된 치수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 내에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자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관리하는 단계와 동시에 폐기물의 일차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이지만 더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기 쉬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되고:
- 무기 폐기물 그룹으로부터 폐기물 단편을 얻기 위한 분쇄 챔버;
- 상기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폐기물 단편의 시빙 (sieving) 어셈블리;
- 인식 어셈블리로서:
- 상기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단일 단편을 수용하도록 각각 설계된 복수의 분석 시트들로 구성되는 인식 플레이트, 및
- 상기 단일 단편의 폐기물 유형을 인식하도록 구성된 센서 수단
을 포함하는, 상기 인식 어셈블리;
- 상기 시빙 어셈블리와 상기 인식 어셈블리 사이에서 작동하고 상기 인식 플레이트에 규정된 해당 분석 시트들 중 하나에 각각의 단일 단편을 배치하도록 구성된 분배 어셈블리;
- 각각의 폐기물 단편을 각각의 수집 빈에 디포짓하도록 인식 플레이트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본 발명의 장점들 중에서, 적어도 폐기물의 용적 감소 단계, 각각의 개별 단편의 폐기물 유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이러한 단편을 많은 각각의 빈으로 유형별로 분리하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형 무기 폐기물을 처리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차 폐기물이 생성되는 동일한 장소에서 완전히 작동하도록 하는 폐기물 처리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운반 및 처리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명백한 장점이 있다. 이 디바이스는 가정 지역에 사용될 수 있다.
혁신적으로, 광범위한 산업 공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순서는 재활용 체인의 처리 센터에서 폐기물에 대해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작업 순서와 거의 반대이다.
디바이스는 수직으로 배향된 배열로 적어도 분쇄 챔버, 시빙 어셈블리, 인식 어셈블리 및 빈을 지지하는 유일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전체 공정이 이차 원료 (폐기물의 엔드 - EOW) 로의 변태가 실시되는 폐기물 처리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는 단일 구조물 내에서 전개된다는 사실이다.
더욱이, 전체 공정은 비-산업 구조에 적합하도록 공간에서 제한된 용적, 즉 오히려 작은 용적 내에서 실시되고, 폐기물 단편의 하향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중력을 사용하도록 한다.
다른 장점은, 이 시스템으로,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는 부담 대신 시장성이 있는 상품이 되고 직접, 간접 및 사회적 비용이 절감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분쇄 챔버가 상부 베이스 및 하부 베이스에서 상부 분쇄 요소 및 하부 분쇄 요소 각각에 의해 폐쇄된 원통형 구성을 갖도록 한다. 상부 분쇄 요소 및 하부 분쇄 요소에는 상호 접근 이동을 유발하는 이동 수단 및 상호 회전 이동을 유발하는 회전 수단이 제공된다. 이동 수단 및 회전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장점은, 상부 분쇄 요소 및 하부 분쇄 요소의 왕복 접근 이동으로 인해, 폐기물을 분쇄하고 압축하는데 필요한 압축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 회전 이동으로 인해, 절단력이 발생한다. 압축력은 절단력이 플라스틱 및 기타 재료를 자르고 분쇄하는 동안 파손될 때까지 유리를 압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부 분쇄 요소 및 하부 분쇄 요소가 폐기물에 대한 절단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교체가능한 피라미드형 요소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주로 피라미드의 팁 및 에지에 집중되는 폐기물의 분쇄 응력이 시간이 지나 사용함에 따라 분쇄 챔버의 효과를 떨어지게 하는 사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시빙 어셈블리는 상기 분쇄 챔버의 베이스에 있는 적어도 제 1 시빙 요소를 포함한다. 이 제 1 시빙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직경을 가진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 챔버의 베이스는 하부 분쇄 요소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멍들은 상기 하부 분쇄 요소를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단편의 제 1 치수 선택은 유리하게는 동일한 분쇄 챔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시빙 어셈블리가 복수의 나선 요소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나선 요소가 동일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시빙 어셈블리의 각각의 나선이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가진 폐기물 단편을 선택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나선 요소들이 동축인 것이다. 나선 요소는, 이전의 나선에 후속하는 각각의 나선이 이 나선 바로 위에 있는 나선 구멍의 크기 보다 작은 구멍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전체 시빙 어셈블리가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범주의 폐기물 단편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빙 어셈블리는 시빙 어셈블리의 나선 요소의 수와 동일한 다수의 섹터로 분할된 선택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시빙 어셈블리의 각각의 나선 요소는 동일한 선택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정렬된 구멍 그룹에서 선택 플레이트와 만난다. 특히, 각 그룹의 구멍은 유사한 입자 크기를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단일 단편의 수집을 위해 배열된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상이한 입자 크기 범주에 따라 선택 플레이트 상에 폐기물 단편을 조직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분배 어셈블리는 인식 플레이트에 폐기물의 단일 단편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는 측면에 시트가 있는 수평으로 배치된 실린더이다. 선택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배치된 시트는 단일 단편의 수집을 허용한다. 그 후,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이러한 실린더의 회전을 통해, 단일 단편은 인식 플레이트의 해당 분석 시트에 중력에 의해 디포짓된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시빙 어셈블리에 의해 미리 생성된 입자 크기 범주에 따라서 폐기물 단편의 선택 순서를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선택 실린더는 인식 플레이트의 해당 분석 시트에 단일 단편을 디포짓시킨다. 이는 센서 수단을 통해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각각의 단편에 대한 특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디바이스는 분쇄 챔버와 인식 어셈블리 사이에 작동식으로 개재된 단편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장점은, 단편이 물 및 살균 물질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또한 일부 유형의 플라스틱 상에 존재하는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후속으로, 각각의 단편은 기초 인식 플레이트의 구멍에 낙하되도록 되어, 완벽하게 정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인식 플레이트가 센서 수단에 대응하여 각각의 단일 폐기물 단편을 제공하도록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센서 수단이 각각의 단일 폐기물 단편의 중량 및 용적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용적 검출기 및 스케일에 추가하여, 음영 분리를 위한 색상 센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적용 및 개발이 간단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센서 수단은 각각의 단일 폐기물 단편의 분자 구조의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센서 수단은 전자기 방사선의 스펙트럼, 즉 파장에 따른 광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분광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센서 수단은 분광 질량 분석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센서 수단은, 모든 단일 폐기물 단편의 중량 및 용적을 검출하는 것, 모든 단일 폐기물 단편의 분자 구조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것, 및 분광 질량 분석 센서를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 마지막 2 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장점은, 이들 모두가 각각의 단일 단편의 특정 특징을 매우 정밀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인식 플레이트의 각각의 구멍이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각각의 플랩을 가지며, 제어 유닛은 각각의 단일 플랩에 개별적으로 작용하여 상응하는 무기 폐기물 단편을 원하는 빈에 디포짓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복수의 용기를 배열할 수 있고, 각각의 용기는 상이한 유형의 폐기물의 엔드로 채워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도면의 도움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 및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의 2 개의 사시 단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부 분쇄 요소의 상이한 시점에서 본 사시도들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하부 분쇄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시빙 어셈블리의 나선 요소의 상이한 시점에서 본 사시도들이다.
도 7 은 본원에 따른 시빙 어셈블리의 사시 바닥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시빙 어셈블리의 선택 플레이트에 관한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 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인식 어셈블리의 구성요소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인식 어셈블리에 관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은 이제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0 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1a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는 디바이스 (100) 의 작동이 발생하는 용적의 외부에 지지 구조물 (10) 을 제공하고; 이 구조물은 지지 구조물 (10) 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디바이스 (100) 의 다양한 작동 어셈블리를 지탱하고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 (15) 를 포함한다.
기계의 골격은, 안정성과 균형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자체 내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트랜스미션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를 통전시키도록 한다.
디바이스 (100) 는 전기에 의해서만 통전되지만, 효율성 및 유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공압, 유압 및 기계 시스템이 있으며: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모든 기계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전력을 분배할 수 있게 하고, 전체 치수, 특히 처리 용적에 존재하는 치수를 최소화한다.
처리 영역 내측에서 재료의 이동은 일차 및 이차로 분리된다. 베이스의 단일 발전기는 일차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고, 이 일차 액추에이터는 또한 배터리 팩 재충전 시스템으로 인해, 이차 이동이 가능하다.
먼저, 장치 (100)는, 상부 분쇄 요소 (3) 및 하부 분쇄 요소 (4) 에 의해 각각 상부 베이스 (5A) 및 하부 베이스 (5B) 에서 폐쇄된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태의 분쇄 챔버 (5) 를 포함한다. 하부 분쇄 요소는 지지 구조물 (10) 로부터 수평으로 이탈된 아암 (24') 에 의해 지지된다. 분쇄 챔버 (5) 는 도 1 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1a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상부 분쇄 요소 (3) 는 지지 요소 (12) 에 연결되고, 지지 요소는, 분쇄 챔버 (5) 의 개방 및 분쇄될 폐기물의 상대적 삽입이 가능하도록 회전 액추에이터 (14) 가 제공되는 힌지 주위에 지지 구조물 (10)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후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 챔버 (5) 는 폐기물을 미리 정해진 크기 이하의 직경의 분쇄된 입자 세트 또는 단편 세트로 줄일 수 있다.
분쇄 챔버 (5) 아래에는 시빙 어셈블리의 크기에 따라 단편을 세분화하는 기능을 가진 시빙 어셈블리 (6) 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빙 어셈블리 (6) 는 분쇄 챔버의 베이스, 보다 특히 하부 분쇄 요소로 구성된 제 1 시빙/선택 요소를 포함한다. 구멍 (21) 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이러한 요소를 통해 규정된다. 따라서, 구멍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최대 크기를 갖는 단편만이 구멍 자체를 가로지른 후에 분석될 수 있다. 최대 단편은 챔버 (5) 내측에 잔류하여 후속 분쇄에서 감소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시빙 어셈블리 (6) 는 또한 복수의 나선 요소 (6', 6'') 를 포함하고, 이 나선 요소는 이들의 상대 치수에 따라서 전술한 분쇄에 의해 얻어진 폐기물 단편을 시빙하기 위한 시스템을 함께 규정한다. 고려되는 단편의 크기는 1 cm 부터 1 mm 까지이다.
시빙 어셈블리 (6) 는, 주어진 나선 요소 (6', 6'') 와 선택 플레이트 (7) 사이의 연결 라인상에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가진 단편들만이 디포짓되도록, 전술한 나선 요소 (6', 6'') 만큼 많은 섹터로 나누어진 원형 형상의 선택 플레이트 (7) 를 더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은 선택 플레이트 (7) 에 대한 나선 요소 (6' 로 표시) 의 위치결정을 참조하면 되고, 이는 도 8 에서 명확하게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요소 (6') 는 반경방향을 따라서 정렬된 구멍 그룹에 대응하여 선택 플레이트 (7) 와 만난다.
도 8 의 실시형태에서, 고정된 선택 플레이트 (7) 는, 2 열로 배열된 2 개의 구멍 그룹 (35, 36) 을 가진다. 따라서, 2 개의 나선 요소들 (6, 6') 이 제공된다. 다시, 도 8 을 참조하면, 어셈블리 (35) 는 제 1 나선 요소 (6') 의 연결 라인에 배치된 구멍 (34) 을 갖는 반면, 그룹 (36) 은, 제 2 나선 요소 (6'') 의 연결 라인에 배치되고 그리고 그룹 (35) 의 구멍 (34)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구멍 (37) 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형태에서, 나선 요소 (6, 6', 6'') 는 2 보다 크거나, 5 개 까지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의 수일 수 있다. 이들 나선 요소 (6, 6', 6'') 각각은 선택 플레이트 (7) 상의 각각의 구멍 그룹과 관련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선택 플레이트 (7) 는, 배수 구멍 (33) 이 제공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폐기물 단편의 세척 어셈블리에 속하는 수집 섹터 (38) 를 또한 갖는다.
특히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분배 어셈블리의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는, 특히 선택 플레이트 (7) 의 반경을 따라 배열된 분배 실린더 (8) 로 구성되는, 선택 플레이트 (7) 의 내측에 삽입된다. 분배 실린더 (8) 는 시빙 어셈블리 (6) 의 나선 요소 (6', 6'') 의 수와 적어도 동일한 수이고, 측면 원통형 표면의 모선을 따라서 적어도 일 열의 리세스들 (34', 37') 을 갖는다.
종방향 축선 주위에서 평가된, 실린더의 각방향 위치에서, 분배 실린더의 리세스들 (34', 37') 은, 그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해당 단편을 수용하기 위해 선택 플레이트 (7) 상에 존재하는 구멍들 (34, 37) 과 정렬된다.
분배 실린더 (8) 는 이후 폐기물 단편을 선택 플레이트 (7) 에서부터 후술되는 단편 인식 어셈블리의 인식 플레이트 (9) 를 향해 운반하기 위해 자신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회전된다. 전체적으로, 분배 실린더 (8) 는 한 번에 하나의 단편만을 선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빙 어셈블리 (6) 와 협력하는 분배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이는, 상이한 재료의 두 가지 단편들이 동시에 식별되어 잘못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분배 실린더 (8) 는 선택 플레이트 (7) 의 외부에, 예를 들어 그 아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이들 실린더 (8) 는, 각각의 실린더에 대해, 원통형 측면의 모선을 따라서 규정된 상대적인 구멍 (34', 37') 이 선택 플레이트 (7) 상에 존재하는 그룹 (35, 36) 의 구멍 (34, 37) 과 정렬되도록 배향된다. 각각의 실린더 (8) 에 대해, 이러한 정렬 조건은 실린더 (8) 가 종방향 회전 축선 (500) 에 대하여 평가된 특정 각방향 위치에 도달할 때 가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100) 는 분배 어셈블리 아래 위치에 배치된 단편 인식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복수의 분석 시트 (28) 를 규정하는 인식 플레이트 (9) 를 포함하며; 각각의 시트 (28) 는 분배 어셈블리에 의해 디포짓된 단일 단편을 수용하도록 크기결정된다. 인식 플레이트 (9) 는 각각의 개별 단편의 폐기물 유형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 수단 (11) 에 대응하여 각각의 개별 단편을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단편의 하나 이상의 화학적-물리적 특성 및/또는 특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디바이스 (100) 는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단편을 세척하기 위해 분쇄 챔버와 시빙 어셈블리 (6) 사이에 작동식으로 개재된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특히, 폐기물 단편은 물 및 살균 물질로 세척될 수 있어서, 일부 유형의 플라스틱에 존재하는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고 그리고 가압 공기 제트로 건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식 플레이트 (9) 및 센서 수단 (11) 을 포함하는 인식 어셈블리 아래에는 각각 특정 유형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빈 (13) 이 있다. 이러한 빈 (13) 은 회전 플레이트 (15')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일 빈 (13) 의 중량 및 충전 상태는 스케일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이후에 보다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센서 수단 (11) 으로 인해, 인식 플레이트 (9) 는 각각의 빈 (13) 에서 각각의 단일 단편을 배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 (100) 의 액추에이터는 전자 모니터링 및 구동 유닛 (200) (또는 전자 제어 유닛 (200)), 예를 들어 산업용 PC 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유닛 (200) 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높은 융통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원격으로도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 (200) 에 연결된 메모리 유닛 (210) 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100) 의 다양한 드라이브들을 결정한다.
상부 분쇄 요소 (3) 는 이제 그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특히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부 분쇄 요소 (3) 의 상부에는 세척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공기 (16), 물 (17) 및 화학 용액 (18) 의 유입을 허용하는 3 개의 상이한 빈 공간이 있다. 또한, 아래에서 본 상부 분쇄 요소 (3) (도 3) 는 이들 유체가 분쇄 챔버 (5) 내로 진입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들 (20) 을 갖는다. 또한, 도 3 에서 피라미드형 또는 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폐기물을 가압할 수 있는 복수의 치형부들 (19) 을 볼 수 있다.
도 4 는 시빙 어셈블리의 나선 요소 (6', 6'') 의 그룹을 향하여 입상 폐기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피라미드형 (또는 능형) 치형부 (22) 및 구멍 (21) 이 있는 하부 분쇄 요소 (4) 의 평면도이다.
2 개의 분쇄 요소들 (3 및 4) 은 상보적이다. 이 분쇄 요소들은 중심이 동일한 축선을 통과하도록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다.
2 개의 분쇄 요소들 (3 및 4) 의 피라미드형 요소 (22, 19) 는 상호교환 가능할 수 있다.
폐기물의 분쇄 노력이 주로 피라미드의 팁과 에지에 집중되더라도, 이들은 용이하게 상호교환, 교체 및 재생이 가능해야 한다.
아암 (12) 에 고정된 2 개의 선형 액추에이터 (23) 는 상부 분쇄 요소 (3) 의, 예를 들어 약 40 cm 의 하향 스트로크를 허용하고, 이 스트로크는 폐기물을 분쇄 및 압축하는데 필요한 압축력을 발생시킨다. 전체 치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선형 액추에이터 (23) 는 예를 들어 복동식 절첩식 (telescopic) 피스톤에 의해 구현된다.
대신에 절단력은 선형 액추에이터 (23) 의 스트로크의 끝에서 제 2 아암의 단부에 위치된 회전 액추에이터 (24) 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폐기물 분쇄는 상이한 재료를 1 센티미터 미만의 입자로 변형시키는 목적을 가진 여러 가지 힘들의 조합을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힘은 법선력과 절단력으로 분해될 수 있고: 법선력은 파괴될 때까지 유리를 압축시키고, 절단력은 플라스틱과 기타 재료를 분쇄하고 절단한다.
용적 감소 단계는 가장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한 단계이고, 공정의 신뢰성과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힘들은 개별적으로 생성되어 조합되거나 개별적인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 단계는 후속 단계와는 별개이다.
이러한 선택의 이유는, 다음 두 가지 요소에 달려 있고: (1) 빈에 대기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기계는 폐기물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2) 다른 정상 상태 성능과 단일 이동원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미세하게 동기화된 세척, 살균, 인식 및 분리에 관한 시간 변수를 무시한다.
분쇄 챔버 (5) 의 하류의 디바이스 (100) 의 일부는 또한 이로부터 분리되어 선택을 위해 폐기물 단편에서만 자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용적 감소 단계는 폐기물을 분쇄할 수 있게 하여 개별적으로 취한 단편을 처리하여, 낮은 중량 및 매우 낮은 전체적인 치수를 가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동이 용이하여 전체 공정에 의해 흡수되는 전체 에너지 및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폐기물 단편의 시빙 어셈블리 (6) 의 3 개의 나선 요소들 (6', 6'', 6''') 의 사시도이다. 이들 요소들 (6', 6'', 6''') 은 동일한 축선 (X) 에 동축인 방식으로 전개된다. 각각의 나선 요소 (6', 6'', 6''') 는 본질적으로 단편의 치수 선택을 구현하는 필터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필터는 나선 요소 각각에 속하는 구멍들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구멍들 (65', 65'', 65''') 이 표면에 각각 제공되는 나선 구조물에 의해 규정된다.
3 개의 나선 요소 (6', 6'', 6''') 는 선택 플레이트 (7) 와 동일한 표면 (7A) 과 만난다. 특히, 나선 요소 (6', 6'', 6''') 각각은 선택 플레이트 (7) 의 상기 표면 (7A) 과 만나도록 의도된 해당 하부 에지 (60', 60'', 60''') 를 규정한다.
3 개의 나선 요소 (6', 6'', 6''') 각각은 다른 요소와 다른 수직 연장부 (높이) 를 가지며, 이 높이는 선택 플레이트 (7) 의 표면 (7A) 에 대하여 그리고 나선 요소 (6', 6'', 6''') 의 표면이 발달하는 축선 (X) 에 평행한 방향으로 평가된다. 특히, 제 1 나선 요소 (6') 는 제 2 나선 요소 (6'') 보다 큰 높이를 가지고, 제 2 나선 요소는 제 3 나선 요소 (6''') 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3 개의 나선 요소 (6', 6'', 6''') 의 표면은 동일한 외경 (D) 을 규정한다 (도 6 에 도시됨).
유리하게는, 제 1 나선 요소 (6') 의 표면은 제 2 나선 요소 (6'') 의 표면을 통하여 규정된 제 2 구멍 (65'') 보다 큰 치수를 갖는 제 1 구멍 (65') 을 규정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멍 (65'') 의 크기는 제 3 나선 요소 (6''') 의 표면을 통하여 규정된 제 3 구멍 (65''') 의 치수보다 더 크다. 나선 요소가 2 개 초과이면, 이러한 원리가 반복된다.
분쇄 챔버로부터 나오는 폐기물 단편은 표면에서 슬라이딩하는 제 1 나선 요소 (6') 의 경로를 따른다. 이러한 단편이 제 1 요소의 구멍 (65') 보다 큰 경우에, 이들 단편은 동일한 제 1 나선 요소 (6') 와 기초 선택 플레이트 (7) 의 표면 (7A) 사이의 연결 라인과 만날 때까지 나선 경로로 계속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편이 제 1 구멍 (65') 의 치수보다 작지만 기초 나선 요소 (6'') 의 제 2 구멍 (65'') 의 치수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 이들 단편은 상기 제 2 나선 요소 (6'') 상의 구멍 (65') 을 통하여 떨어지고 기초 선택 플레이트 (7) 와 나선 요소 (6'') 의 연결 라인과 만날때까지 나선 경로에서 계속된다. 단편이 제 2 구멍 (65'') 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경우에도, 이들 단편은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제 3 나선 요소 (6''') 의 표면에 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시빙 어셈블리 (6) 는 폐기물 단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진동된다. 따라서, 요소 (6', 6'', 6''') 의 나선 형상 및 그 진동으로 인해 기초 선택 플레이트 (7) 상의 단편을 반경방향으로 위치하여, 크기에 따라 이 단편을 세분화한다.
선택 플레이트 (7) 는 나선 요소 (6', 6'', 6''') 의 수와 동일한 다수의 구멍 (34, 37) 의 그룹 또는 라인을 포함한다. 구멍 (34, 37) 의 각각의 라인은 이들 섹터 중 하나를 한정하고, 구멍 (34, 37) 의 각각의 라인 아래의 위치에 분배 실린더 (8) 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실린더 (8) 는 선택 플레이트 (7) 에서 반경방향으로 전개되는 시트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린더의 종방향 축선 (500) 은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임의의 경우에, 각각의 실린더 (8) 는 실린더 자체의 모선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리세스 (34', 37') 를 포함한다. 각각의 실린더 (8) 는 그 종방향 축선 (500) 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각방향 위치에서, 리세스 (34', 37') 는 단일 폐기물 단편을 수용하기 위해 선택 플레이트 (7) 의 해당 구멍 (34, 37) 과 정렬된다. 종방향 축선 (500) 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 각각의 실린더 (8) 는 리세스 (34', 37') 각각에 포함된 단편이 인식 플레이트 (9) 의 해당 분석 시트 (28) 에 디포짓되는 제 2 각방향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실린더 (8) 의 목적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폐기물 단편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단편이 형성한 재료의 정확한 결정을 위해 센서 수단 (11) 에 의해 각각의 단편이 분석될 수 있도록하는 것이다.
분배 실린더 (8) 가 전술한 제 1 각방향 위치에 도달할 때, 리세스 (34', 37') 는 구멍 (34, 37) 의 해당 라인 (해당 나선 요소 (6', 6'') 참조) 의 구멍과 정렬되고 그리고 한 번에 단일 단편만 진입하도록 한다. 종방향 축선 (500) 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후, 각각의 리세스 (34', 37') 는 인식 플레이트 (9) 상에 규정된 해당 분석 시트 (28) 와 정렬되어 상기 단일 단편이 다른 단편과 독립적으로 분석된다.
상세하게는, 인식 플레이트 (9) 에는 개별 시트 (28) 가 제공되며, 각각의 시트 (28) 는 단일 단편을 수용하도록 크기결정된다. 인식 플레이트 (9) 는 재료의 유형을 검출하는 인식 수단 (11) 에 대응하여 각각의 단일 단편을 운반하도록 회전 액추에이터 (9') (도 1 에 도시) 으로 인해 그 수직 축선 (X')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회전 축선 (X') 은 나선 요소 (6', 6'', 6''') 가 전개되는 축선 (X) 과 정렬된다.
단편의 재료의 유형이 인식되면, 동일한 제 2 원료의 수집을 위해 배열된 빈 (13) 에 대응하여 배출되고, 이는 따라서 최고 입찰자에게 낙찰될 준비가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 의 사시도 및 도 12 의 단면도는 인식 플레이트 (9) 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인식 플레이트는 사용시 상기 규정된 선택 플레이트 (7) 와 대면하여 잔류하는 제 1 면 (9A) 을 포함한다. 시트 (28) 는 상기 제 1 면 (9A) 에서부터 인식 플레이트 (9) 의 제 2 면 (9B) 방향으로 제 1 면 (9A) 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28) 는 그룹 (55) 에 배열되고,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상대적인 시트 (28) 는 인식 플레이트 (9) 가 전개되는 수직 축선 (X') 에 대해 평가된 반경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28) 의 수는 상기 그룹 (55) 각각에 대해 동일하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각각의 시트 (28) 는 전기 액추에이터 (30) 가 연결되는 바닥 부분 (29),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며, 이 전기 액추에이터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축선 (Y) 을 중심으로 바닥 부분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폐쇄 위치에서, 바닥 부분 (29) 은 해당 시트 (28) 아래에서 폐쇄되어, 분배 어셈블리에 의해 해제된 단편이 시트 자체 내측에 유지된다. 개방 위치를 향해 회전한 후에, 동일한 단편은 인식 플레이트 (9) 아래에 배열된 수집 빈 (13) 중 하나에 떨어질 수 있다.
도 1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시트 (28) 의 각각의 그룹 (55) 에 대해, 해당 분석 시트 (28) 의 해당 바닥 부분 (29) 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해, 전기 액추에이터 (30) 의 배터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액추에이터 (30) 는 플레이트 자체의 제 2 면 (9B) 에 대응하는 측에서 인식 플레이트 (9) 의 본체에 규정된 적절한 하우징에 수용된다.
임의의 경우에, 모니터링 유닛 (200) 은 상응하는 바닥 부분 (29) 을 회전시켜 상응하는 무기 폐기물 단편을 원하는 빈 (13) 에 디포짓하기 위해 각각의 단일 전기 액추에이터 (30) 상에 개별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빈 (13) 은 인식 플레이트 (9) 의 회전 축선과 바람직하게는 동축인 축선 주위에 회전 플레이트 (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플레이트 (15') 는 지지 베이스 (15) 에 의해 지지된다. 도 1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빈 (13) 은 원형 섹터 형태의 단면을 갖는 내부 중공 각기둥형 요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편은 이러한 각기둥형 요소의 공동 내에 수집된다.
도 13 내지 도 15 에서, 인식 플레이트 (9) 가 상술된 구성을 가지고 그리고 센서 수단 (11) 이 인식 플레이트 (9) 의 회전 축선 (X') 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인식 어셈블리의 일 실시형태를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수단 (11) 은, 회전 축선 (X') 주위에서 인식 플레이트 (9) 를 회전시킨 후에 동일한 그룹이 상기 센서 수단 (11) 에 도달할 때, 동일한 그룹의 분석 시트 (28) 에 포함된 단편들을 동시에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인식 플레이트 (9) 의 각각의 회전에 대하여, 빈 (13) 은 반대 방향으로 2 회전하여, 인식 플레이트 (9) 의 각 1/4 회전에서, 시트 (28) 의 각 그룹 (55) 은 모든 빈 (13) 에 대응하여 이동될 것이다. 따라서, 완전히 작동할 때, 단편의 판독 및 즉각적인 언로딩의 연속 프로세스가 실시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전기 액추에이터 (30) 는 모니터링 유닛 (200) 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특히, 각각의 분석 시트 (28) 는 다른 분석 시트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상대적인 바닥 부분 (29) 의 회전은 센서 수단에 의해 수행된 단편의 분석 및 수집 빈 (13) 에 대해 점유된 위치에 기초하여 단독으로 제어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 은 바닥 부분 (29') 이 회전되는 시트 (28) 의 그룹 (55) 을 도시하는 반면, 동일한 그룹 (55) 의 다른 시트의 바닥 부분 (29'') 은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폐기물의 유형을 검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각 단편의 재료 및 색상을 식별하기 위한 3 가지 인식 기술이 제공되고:
- 특정 중량 및 그에 따른 재료 유형을 얻는, 중량 및 용적의 측정 (질량 분석계);
- 분자 구조의 이미지;
- 적외선 스펙트럼의 광선 센서.
제 1 기술은 개발이 가장 쉬운 기술이다. 이 경우에, 센서 수단 (11) 은 음영 분리를 위한 용적 검출기, 스케일 및 색상 센서를 포함한다.
화학, 제약, 의료 및 식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른 두 가지 인식 기술에 의해 매우 정확하게 식별하도록 하고 그리고 각 단일 단편의 특정 특징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센서 수단 (11) 에서 나오는 신호 분석을 기반으로, 예를 들어 메모리 유닛 (210) 내에 포함된 전용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공지된 재료의 스펙트럼과 센서에 의해 수신된 스펙트럼을 비교함으로써, 모니터링 유닛 (200) 은, 특히 특정 단편이 예정된 빈 (13) 이 기초 위치에 위치될 때, 바닥 부분 (29) 을 정확하게 개방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빈 (13) 내에 상응하는 폐기물 단편을 디포짓하도록 각각의 전기 액추에이터 (30) 상에서 작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디바이스 (100) 는 단편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 세척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시빙 어셈블리 (6) 에 통합되고 연속적인 나선 요소, 즉 표면이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 나선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속적인 나선 요소는 시빙 어셈블리 (6) 의 나선 요소 (6', 6'', 6''') 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유사하게, 나선 요소 (6', 6'', 6''') 에 대해 예측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나선 요소는 또한 도 8 에 점선으로 도시된 반경방향 결합 라인 (38) 에 대응하여 선택 플레이트 (7) 와 만난다.
보다 정확하게는, 연속적인 나선 요소는 제 1 시빙 요소에 의해 규정된 복수의 구멍 (21) 을 통해 분쇄 챔버 (5) 로부터 빠져 나오는 세정 유체를 수집하도록 일 위치에서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들 유체는 또한 나선 요소 (6', 6'', 6''') 의 표면을 통해 규정된 구멍을 통과하여, 연속적인 나선 요소의 표면을 따라서 선택 플레이트 (7) 의 수집 섹터 (38) 까지 유동한다. 따라서, 연속적인 나선 요소는 다른 나선 요소 (6', 6'', 6''') 보다 낮은 수직 연장부를 가지므로, 그 연속적인 표면은 항상 다른 나선 요소 (6', 6'', 6''') 의 표면 아래에서 전개되고, 이 다른 나선 요소는 단편에 대한 필터로서 작용한다. 수집 섹터 (38) 는 수집 섹터 (33) 에서 정확하게 규정된 선택 플레이트 (7) 의 시트 (270) 내측에 수용된 트레이 (27) 에 유체가 디포짓되는 구멍 (330) 을 가진다. 트레이 (27) 는 추출가능하거나 대안적으로 파이프를 통해 배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빈 (13) 뿐만 아니라 물 재활용 트레이는 최대 충전 한계값에 도달할 때 즉시 비울 수 있도록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빈 (13) 내측의 센서는 이 레벨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물론, 우발적으로 또는 특정한 이유에 의해 지시된 변경 또는 개선은 이하 청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로서,
    - 무기 폐기물 그룹으로부터 폐기물 단편들을 얻기 위한 분쇄 챔버 (5),
    - 상기 분쇄 챔버 (5) 에서 생성된 상기 폐기물 단편들을 위한 시빙 (sieving) 어셈블리 (6),
    - 상기 분쇄 챔버에서 생성된 단일 단편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분석 시트들을 규정하는 인식 플레이트 (9) 와, 상기 단일 단편의 폐기물 유형을 인식하도록 구성된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인식 어셈블리,
    - 상기 시빙 어셈블리 (6) 와 상기 인식 어셈블리 사이에서 작동식으로 개재되고 상기 인식 플레이트 (9) 의 상기 분석 시트들 중 해당 분석 시트에 각각의 단일 단편을 배치하도록 구성된 분배 어셈블리 (8), 및
    - 분석된 각각의 폐기물 단편을 각각의 수집 빈 (13) 에 디포짓하도록 상기 인식 플레이트 (9) 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및 구동 유닛 (200)
    을 포함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100) 는, 수직 방향으로의 배열에 따라서 상기 분쇄 챔버 (5), 상기 시빙 어셈블리 (6), 상기 인식 어셈블리 및 상기 빈 (13) 을 지지하는 유일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챔버 (5) 는 상기 분쇄 챔버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각각 상부 분쇄 요소 (3) 및 하부 분쇄 요소 (4) 에 의해 폐쇄되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상부 분쇄 요소 (3) 및 상기 하부 분쇄 요소 (4) 에는 상호 접근 운동을 유발하는 이동 수단 및 상호 회전 운동을 유발하는 회전 수단이 제공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쇄 요소 (3) 및 상기 하부 분쇄 요소 (4) 에는 상기 폐기물에 대한 절단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호교체가능한 피라미드형 요소들 (19, 22) 이 제공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빙 어셈블리 (6) 는 상기 분쇄 챔버 (5) 의 베이스에 적어도 제 1 시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빙 요소는 동일한 직경을 가진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빙 어셈블리 (6) 는 복수의 나선 요소들 (6', 6'', 6''') 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나선 요소 (6', 6'', 6''') 는 복수의 관통 구멍들 (65', 65'', 65''') 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 요소들 (6', 6'', 6''') 중 하나에 속하는 상기 구멍들 (65', 65'', 65''') 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요소들 (6', 6'', 6''') 은 동축이고 나선들 (6', 6'', 6''') 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배열되고, 제 1 나선에 후속하는 각각의 나선 (6', 6'', 6''') 은 바로 위 나선의 구멍들 (65', 65'', 65''')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구멍들 (65', 65'', 65''') 을 가지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빙 어셈블리는 상기 나선 요소들 (6', 6'', 6''') 의 수와 동일한 다수의 섹터들로 분할된 선택 플레이트 (7) 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 요소들 (6', 6'', 6''') 각각은 상기 선택 플레이트 (7) 의 관통 구멍들 (34, 37) 의 각각의 그룹 (35, 36) 에서 상기 선택 플레이트 (7) 와 만나고, 각각의 그룹 (35, 36) 의 구멍들은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가진 단일 폐기물 단편들을 수집하도록 되어 있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어셈블리는 분배 실린더 (8) 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실린더는 단일 폐기물 단편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선택 플레이트 (7) 의 상기 관통 구멍들 (34, 37) 에 배치된 구멍들 (34', 37'') 을 가지고, 상기 분배 실린더의 종방향 축선 주위에서 회전한 후에, 상기 선택 플레이트 (7) 의 구멍들 (34, 37) 의 하나의 그룹 (35, 36) 의 구멍들에서부터 상기 인식 플레이트 (9) 의 해당 분석 시트들 (28) 까지 상기 폐기물 단편들을 운반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플레이트 (9) 의 각각의 시트 (28) 에는 전기 액추에이터 (30) 를 통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해당 바닥 부분 (29) 이 제공되고, 상기 모니터링 및 구동 유닛 (200) 은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폐기물 단편을 해당 수집 빈 (13) 에 디포짓하기 위해, 모든 단일 전기 액추에이터 (30) 에 개별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100) 는 상기 폐기물 단편들의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어셈블리는 상기 분쇄 챔버 (5) 와 상기 인식 어셈블리 사이에 작동식으로 개재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플레이트 (9) 는 상기 센서 수단에서 모든 단일 폐기물 단편을 가져 오도록 회전할 수 있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모든 단일 폐기물 단편의 중량 및 용적을 검출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모든 단일 폐기물 단편의 분자 구조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분광 질량 분석 센서를 포함하는,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100).
KR1020207013883A 2017-10-16 2018-10-16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KR102533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116498A IT201700116498A1 (it) 2017-10-16 2017-10-16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e la separazione di rifiuti solidi inorganici
IT102017000116498 2017-10-16
PCT/IB2018/058002 WO2019077483A1 (en) 2017-10-16 2018-10-16 DEVICE FOR TREATING AND SEPARATING INORGANIC SOLID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189A KR20200067189A (ko) 2020-06-11
KR102533805B1 true KR102533805B1 (ko) 2023-05-18

Family

ID=6118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883A KR102533805B1 (ko) 2017-10-16 2018-10-16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41739B2 (ko)
EP (1) EP3697539B1 (ko)
JP (1) JP7168172B2 (ko)
KR (1) KR102533805B1 (ko)
CN (1) CN111356533B (ko)
ES (1) ES2906999T3 (ko)
IT (1) IT201700116498A1 (ko)
PT (1) PT3697539T (ko)
WO (1) WO201907748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396A (en) 1970-11-18 1972-03-21 Sortex North America Refuse separating and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21716B1 (ko) 1996-03-08 1999-09-15 다나카 다케시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JP2002210417A (ja) 2001-01-17 2002-07-30 Hitachi Ltd 金属の選別回収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3128351A1 (en) 2012-02-27 2013-09-06 R.A.S.T. S.R.L. Machine for compacting organic waste and integrated system for the separation and differential treatment of each typology of wast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6544A1 (en) * 1991-09-18 1993-03-19 Bryan Sims Process for separating fibres from composite materials
US5259304A (en) * 1992-08-31 1993-11-09 Roberts Mark A Carousel compactor for multi-component refuse
US5447017A (en) * 1992-10-26 1995-09-05 Becher; Yona Automatic waste recycling machine and disposal system
JP3044592U (ja) * 1997-06-19 1997-12-22 リサイクル協同組合 コンクリート廃材、アスファルト廃材からの再生砂製造装置
JPH11235574A (ja) * 1998-02-24 1999-08-31 Hitachi Kasei Techno Plant Kk リサイクル装置及び廃パトローネのリサイクル装置
JP2947281B1 (ja) * 1998-09-03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混合物における構成成分の分離方法
EP1052021A1 (de) * 1999-05-06 2000-11-15 von Deym, Carl-Ludwig, Graf Sortier- und Trennverfahren und Anlage für ein Recycling von Kunstoffen
FR2901160B1 (fr) * 2006-05-22 2008-08-29 Claude Lambert Procede pour le recyclage des matieres provenant d'objets usages
US8452445B2 (en) * 2007-04-24 2013-05-2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tinguishing and sorting seeds containing a genetic element of interest
CN105300935A (zh) * 2007-04-24 2016-02-03 先锋高级育种国际公司 用于区分和拣选含有感兴趣的遗传因子的种子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FI20095369A0 (fi) * 2009-04-03 2009-04-03 Maricap Oy Menetelmä ja väline jätteenkäsittelyssä
US8550252B2 (en) * 2009-09-09 2013-10-08 David Borowski Waste recycling systems, processes, and methods
JP2011089085A (ja) * 2009-10-26 2011-05-06 Miike Iron Works Co Ltd 混合廃棄物を用いた固形燃料の製造プラント
ES2358830B1 (es) * 2009-10-28 2012-07-02 Ecoinnova Investigacion Y Medio Ambiente, S.L. Máquina recicladora de vidrio para la obtención de calcín.
JP5789351B2 (ja) * 2009-11-03 2015-10-07 ラングストン、ジョディ 堆肥化可能廃棄物を処理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632024B2 (en) * 2010-01-25 2014-01-21 Organic Energ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ixed solid waste
FR2962720B1 (fr) * 2010-07-19 2012-12-28 Canibal Machine de collecte et de tri des dechets a faible encombrement.
US8555781B1 (en) * 2011-05-17 2013-10-15 Wilfredo Garcia Garbage processing recycler
AT13526U1 (de) * 2011-12-13 2014-02-15 Karl Griesser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festem und im Wesentlichen trockenem Haushaltsmüll
JP3177811U (ja) * 2012-06-07 2012-08-16 孝行 鈴木 汚染土壌の洗浄装置
WO2014017072A1 (ja) * 2012-07-24 2014-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可塑性再生樹脂材料
US20160001297A1 (en) * 2014-07-07 2016-01-07 Zeguo Qiu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separately collection and automatic transportation of the solid waste
PL3322544T3 (pl) * 2015-07-16 2022-08-29 Sortera Technologies, Inc. Układ sortujący materiały
US9707595B2 (en) * 2015-12-16 2017-07-18 Waste Repurposing International, Inc. Household hazardous waste recovery
CN206064841U (zh) * 2016-09-21 2017-04-05 武汉锦星科技有限公司 一种瓶罐类垃圾自动识别分类回收装置
CN107497827A (zh) * 2017-08-28 2017-12-22 安徽新弘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餐厨垃圾处理装置及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396A (en) 1970-11-18 1972-03-21 Sortex North America Refuse separating and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21716B1 (ko) 1996-03-08 1999-09-15 다나카 다케시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JP2002210417A (ja) 2001-01-17 2002-07-30 Hitachi Ltd 金属の選別回収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3128351A1 (en) 2012-02-27 2013-09-06 R.A.S.T. S.R.L. Machine for compacting organic waste and integrated system for the separation and differential treatment of each typology of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7539B1 (en) 2021-12-01
US11141739B2 (en) 2021-10-12
KR20200067189A (ko) 2020-06-11
CN111356533A (zh) 2020-06-30
EP3697539A1 (en) 2020-08-26
US20210129156A1 (en) 2021-05-06
JP2020536735A (ja) 2020-12-17
ES2906999T3 (es) 2022-04-21
PT3697539T (pt) 2022-03-03
WO2019077483A1 (en) 2019-04-25
JP7168172B2 (ja) 2022-11-09
CN111356533B (zh) 2022-06-07
IT201700116498A1 (it)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622B2 (en) Smart waste device and waste tracking system
KR101436698B1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JP5536307B2 (ja) 再生利用可能な材料を圧縮、分別および保管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476515B (zh) 用于从混合固体废弃物流回收可再利用物料的方法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CN105668070A (zh) 一种微型垃圾处理设备
CN103402895B (zh) 垃圾收集装置
US8240319B2 (en) Apparatus to process used materials
SE539595C2 (sv) Hanteringssystem för torrt avfall
KR102533805B1 (ko)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CN101267898B (zh) 用于压缩、分离和存储可回收材料的装置、系统及方法
KR20200069670A (ko) 순환자원 선별 회수장치
EP0858421A1 (en) Refuse recycling apparatus
KR102541029B1 (ko) Ai기반 페트병 수거 시스템
RU231498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городских отходов
KR100673867B1 (ko) 차량 장착용 폐합성수지 분쇄 및 분리장치
CN115591900A (zh) 基于厨余垃圾硬度分级破碎无害化厨余处理机
JP2000084425A (ja) 破砕機,及び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
KR200278842Y1 (ko) 재활용 용기의 선별 분쇄장치
WO2012140456A1 (en) Procedure and plant for sorting of municipal solid waste
EP4302886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le tri sélectif autonome de déchets
KR20030035235A (ko) 색상별 폐유리병 분류 파쇄장치
FR3137595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le tri sélectif autonome de déchets
CN110697280A (zh) 一种旋转分类垃圾箱
KR20030070729A (ko) 재활용 용기의 선별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