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716B1 -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716B1
KR100221716B1 KR1019970004428A KR19970004428A KR100221716B1 KR 100221716 B1 KR100221716 B1 KR 100221716B1 KR 1019970004428 A KR1019970004428 A KR 1019970004428A KR 19970004428 A KR19970004428 A KR 19970004428A KR 100221716 B1 KR100221716 B1 KR 10022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plate
rolls
roll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859A (ko
Inventor
야마모토 히로시
카트수노 카주오
와타나베 토시카주
Original Assignee
다나카 다케시
후지 주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카 다케시, 후지 주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카 다케시
Publication of KR97006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05Delaminating process responsive to feed or shape at del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06Delaminating means responsive to feed or shape at dela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안전장치는 박막을 제거하고 벗기는 장치에 구비되는 바, 상호 상이한 외주속도로 회전하는 서로 마주 보는 한쌍의 롤 사이에 도막된 수지부재를 롤시켜 수지재와 박막 사이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수지재로부터 박막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안전장치는 편평플레이트와, 부세플레이트 및, 공기실린더를 구비하는 바, 상기 편평플레이트로 수치재가 공급되고, 편평플레이트는 롤 사이의 틈새에 대체로 상응하는 높이에서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롤들과 인접하여 위치되는 전방선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세플레이트는 롤 사이의 틈새에 수지재를 압착시키며; 또한 상기한 공기실린더는 부세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부세플레이트가 편평플레이트를 부세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본 별명은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막된 수지제품, 예를 들어 자동차의 장식 또는 완충장치로 사용되는 범퍼 또는 측선단장식, 또는 CD롬(CD-ROM)으로부터 박막을 제거하는 박막제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환경문제와 자연자원의 재활용에 많은 관심이 대두되는 바, 이에 수지제품의 재활용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공업분야에 있어서, 범퍼와 측선단장식과 같은 수지제품의 제조과정중에 발생하는 불량품의 재활용과, 폐차에서 제거되고 회수된 수지제품의 재활용은 널리 공지되어 왔다.
범퍼와 측선단장식과 같은 상기한 타입의 수지제품은 외관과 품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체로 도막되어진다. 통상적인 범퍼의 경우를 예를 들자면, 폴리프로필렌수지와 같은 열가소성수지의 주지재상에 박막이 도막되는 바, 박막은 아미노플리에스터수지와, 아미노아크릴수지, 폴리에스터우레탄수지 및, 아크릴우레탄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이다. 상기한 수지들이 경화작업전에는 액체상태일지라도, 열처리공정에 의해 그 내부에 브리지구조가 형성되는 바, 이 구조는 매우 단단하고 조밀하여 도막된 수지범퍼는 내화성과, 내열성, 내마모성, 내후성 및, 양호한 표면광택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재활용을 위해 도막된 범퍼가 바로 분쇄되면, 수지제품의 재질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가 박막조각들로 혼합되게 된다. 이같이 박막조각이 혼합된 채로 폴리프로필렌수지재가 성형될때, 박막조각의 함유로 인하여 용융된 수지의 유동성이 저해되어, 수지제품에 "황색화"와, "황색 흔적" 및, "거품"과 같은 성형상의 결함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수지제품의 표면상에 부유된 박막조각에 의해 수지제품의 외관을 해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박막조각은 열경화성수지인 반면, 기본수지재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열가소성수지이다. 이에 박막조각과 기본수지재 사이에는 뚜렷한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 재생된 수지의 반죽은 정밀하게 재생되지 않은 박막조각에 의해 저해되어, 재생수지제품의 역학적 특성을 확연히 저하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지제품의 범주를 상당히 제한한다.
그러므로, 도막된 수지제품을 재활용할 때 박막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박막을 수지제품으로부터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이 일본특허 공개 제5-337941호에 게재된 바,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수지표면의 제거장치이다.
상기한 제거장치에 있어서, 수지제품, 예를 들어 측선단장식(102)은 한쌍의 이송롤러(101)에 의해 신장가능한 합성수지의 회전바디(103, 10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한 측선단장식(102)의 이송속도(V)는 상기한 회전바디(103, 104)의 외주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되어, 측선단장식(102)상의 박막(102a)과 이중표면테이프(102b)에 고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측선단장식(102)으로부터 박막(102a)과 이중표면테이프(102b)를 절단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후, 측선단장식(102)은 상기한 한쌍의 이송롤러(101)에 의해 외부로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수지제품은 신장가능한 합성수지의 회전바디 (103, 104)와 접촉하도록 이송되어지므로, 회전바디(103, 104)에 부서지기 쉬운 금이 가게 되어 먼지를 발생시켜 작업환경을 저해함과 더불어 상기 장치는 만곡된 또는 구부러진 수지제품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특허 공개 제7-256640호는 상이한 회전속도를 갖는 상호 마주보는 한쌍의 롤러를 구비한 박막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도막된 수지제품을 롤링하고 수지제품과 박막 사이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수지재로부터 박막을 제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제거하고, 상이한 외주속도를 갖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롤러 사이에 도막된 수지부재를 롤시키고 수지재와 박막 사이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수지재로부터 박막을 제거하거나 벗기는 박막제거장치를 안전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같은 목적과 이외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이한 외주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상호 마주보는 한쌍의 롤 사이에 도막된 수지부재를 롤시켜 수지재와 박막 사이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수지재로부터 박막을 제거하게 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가 구비되는 바, 본 안전장치는 수지재가 공급되고, 롤러 사이의 틈새에 대체로 해당하는 높이에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면서, 롤러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전방선단을 구비하는 편평플레이트와; 이 편평플레이트를 부세하여 롤러 사이의 틈새내로 수지재가 압착되도록 하는 부세플레이트 및; 이 부세프레이트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부세플레이트가 편평플레이트부를 부세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후방으로 부세하도록 하는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수지부재가 편평플레이트부에 공급된 후에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에 의해 전방으로 부세플레이트를 이송시킴으로써 롤러 사이에 틈세내로 수지부재를 압착시킬 수 있게 되다. 그러므로 작동상의 안전이 보장되며, 부세플레이트에 의해 롤러 사이의 틈새내로 수지부재를 압착시킴으로써 박막제거작업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어, 공정수행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안전장치는 롤러를 회전시키고 부세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사용되는 롤러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다수개의 작동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이 경우에는 모든 작동스위치가 켜졌을 경우에만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는 전방으로 부세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롤러는 회전구동된다. 이와는 달리, 모든 작동스위치가 커졌을 경우에만 롤러들은 회전구동되고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는 전방으로 부세플레이트를 이송시켜 소정 위치에 정위시키게 된다. 더불어, 롤러가 회전구동되는 중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스위치가 꺼지면 롤러의 회전은 정지되고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도 부세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모든 작동스위치들이 켜진 경우에만 롤이 회전구동되므로, 조작자는 롤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만 박막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동상의 안전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안정장치는 비상중단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바, 롤러들이 회전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비상중단스위치가 켜지면 롤러의 회전이 중단되고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는 부세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더불어, 안전장치는 롤에 대한 외부물질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바, 롤러들이 회전구동되는 동안에 감지장치가 켜져 있으면 롤러들은 회전을 중단하고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는 부세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롤쪽으로의 외부물질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작동되면, 롤은 회전을 멈추고, 부세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조작자가 박막제거작업중 박막제거장치를 수행하는 중에, 다른 조작자가 그 손 등을 상기한 롤 사이에 실수로 넣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안전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는 롤쪽으로 접근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편평플레이트부의 후방선단상에 설치된 경사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바, 조작자는 수지재를 포장할 때 조작자는 몸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비자연스러운 조작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조작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여 작업능률성을 높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조작자는 캐스팅부의 배후쪽을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편평플레이트부상에 안내된 수지부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다른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사용하여 도막된 수지생산품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제2도는 박막제거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박막제거장치의 상부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상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상의 단면도.
제6a도와 6b도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제6a도는 공기실린더가 수축하여 부세플레이트가 후방선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6b도는 공기실린더가 연장하여 부세플레이트가 전방선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박막제거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블록도.
제8a도와 8b도는 공기실린더의 공기회로도로서, 제8a도는 공기실린더의 방향제어밸브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의 개략도이며, 제8b도는 방향제어밸브가 작동된 상태의 개략도.
제9도는 제어회로의 타이밍차트(timing chart).
제10도는 종래 박막제거장치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박막측롤 12 : 수지채측롤
13 : 지지프레임 14 : 구동유니트
15 : 회전구동유니트 16 : 리프트
17 : 스크레이퍼 18 : 세척부재
19 : 안전장치 20 : 제조소재공급기
21 : 편평플레이트 평면부 22 : 공기실린더
23 : 부세플레이트 24 : 캐스팅부
25 : 운송장치 26 : 바닥부
30 : 작동유니트 31 : 지지프레임
32 : 작동박스 33, 34 : 작동스위치
36, 37 : 비상중단스위치 38 : 감지장치
40 : 제어유니트 41 : 작동신호발생부
42 : 위험신호발생부 43 : 경보발광
44 : 공기실린더 회로 45 : 공기원,
46 : 주공기공급회로 47 : 부구(浮球)콕(cock)
48 : 조절장치 49 : 방향제어밸브
50, 54 : 공기공급회로 51 : 속도조절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된 또는 도막된 수지제품으로부터 박막을 제거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부품중에서도 상당히 큰 부품이 도막된 수지범퍼의 수집과 재활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를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도막된 수지제품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1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한 재활용방법을 설명한다. 수지제품의 수집단계(A)에서, 수지범퍼의 제조 및 조립공정에서 발생된 불량품 또는 폐차로부터 제거된 범퍼(W)를 수집하고, 이 범퍼(W)의 금속부분을 제거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의 수지제품 절단단계(B)에서 범퍼(W)는 소정 폭을 갖는 수지부재(Wa)로 절단·분할된다.
이후 박막제거단계(C)에서, 수지부재(Wa) 의 박막(Wc)은 벗기어져 수지재(Wb)로부터 이하에 설명될 박막제거장치(1)에 의하여 제거되어진다.
상기한 박막제거단계(C)에서 박막(Wc)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수지재(Wb)는 절단기 등에 의해 다음의 분쇄단계(D)에서 분쇄된 부재(Wd)로 분쇄되어진다.
이후 펠릿형성단계(E)에서, 상기한 분쇄된 부재(Wd)들은 예컨대 사출기에 공급된다. 사출기에서 호퍼에 공급된 분쇄된 부재(Wd)들은 스크류회전되는 가열실린더내로 전방으로 이송되어, 그 안에서 가열기 등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한 분쇄된 부재(Wd)들이 가열실린더내로 전방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이들 부재들은 용융되어 다이로부터 사출성형되어 소정 형상을 갖는 펠릿으로 생성된다. 이 때 나머지 박막조각 등은 가열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스크린망에 의해 제거된다. 더불어, 상기한 스크린망이 자동적으로 교체되어진다면 용량과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성형단계(F)에서, 필요하다면 초기의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펠릿이 상기한 펠릿형성단계(E)에서 만들어진 펠릿에 첨가된 후에, 범퍼(W)와 같은 수지제품으로 재성형된다.
펠릿형성단계(E)에서 분쇄된 부재(Wd)가 펠릿으로 형성되도록 공정을 거치는 동안에, 상기한 분쇄된 부재(Wd)들이 미세하게 분쇄된 부재들이라면 상기한 펠릿형성단계(E)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 제2도 내지 제9도를 참조로 하여 박막제거단계(C)에서 수지재(Wb)로부터 박막을 벗기고 제거하는 박막제거장치(1)를 설명한다. 박막제거장치(1)는 제거장치(10)와 작동유니트(30)를 구비한다. 제2도는 제거장치(10)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박막제거장치(1)의 상부면도이며, 제4도는 제3도의 A-A선상의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B-B선상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제거장치(10)는 서로 마주보는 박막측롤러(11)과 수지재측롤(12)을 구비하는 바, 각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은 금속으로 제조되었다. 이들 롤의 표면상에는 거울광택처리 또는 크롬도금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막측롤(11)은 지지프레임(13)상에 구비된 한쌍의 박막측롤지지부재(11a) 사이에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었으며, 감속기어가 구비된 모터와 같은 구동유니트(14)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 수지재측롤(12)은 지지프레임(13)상에 지지된 수지재측롤지지부재(12a)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며, 범용 연결부(15a)를 매개로 감소기어에 열결된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유니트(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어진다. 상기한 수지재측롤지지부재(12a)가 상승기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하면, 수지재측롤(12)도 상하방으로 이동하여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 사이의 간격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절에 의해 , 박막이 제거되는 수지부재(Wa)의 두께와 롤시키기 위해 수지부재(Wa)상에 가해지는 부세력은 조절가능하게 설정된다.
상기한 박막측롤(11)의 외주회전속도는 수지재측롤(12)의 외주회전속도와 상이하다. 즉 박막(Wc)의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박막측롤(11)의 외주회전속도가 수지재(Wb)의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수지재측롤(12)의 외주회전속도보다 크고, 상기한 롤들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상기 2개의 롤(11,12) 사이의 틈새로 공급된 수지부재(Wa)를 조임으로써, 이에 부세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박막측롤(11)의 롤표면에 인접하여, 박막측롤(11)의 롤표면에 접착된 박막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17)가 구비되는데, 이스크레이터(17)에 의해 박막측롤(11)의 롤표면으로부터 긁어져 제거된 박막(Wc)은 벨트컨베이너(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박막제거장치의 외부로 이송되어 수집된다. 또한 참조번호 18은 예를 들어 헝겊으로 만들어진 세척부재를 나타내는 바, 수지재측롤(12)의 롤표면과 미끄럼이동하여 접촉함으로써 롤표면상에 붙은 머지, 박막조각 등을 긁어내게 된다.
추가적으로, 제거장치(10)에는 이후에 설명될 운송장치(25)와 함께 안전장치(19)를 형성하는 제조소재공급기(20)와, 박막(Wc)이 수지재(Wb)로부터 제거된 후에 외부로 수지재(Wb)를 운송하는 운송장치(25)를 구비하는 바, 상기 제조소재공급기(20)는 박막측롤(11)에 인접하여 위치된 전방선단(21a)을 구비하고,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의 사이의 틈새에 대체로 해당하는 높이로 박막측롤(11)의 마주보는 지지부재(11a)사이에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플레이트 평면부(21)와; 이 평평플레이트부(21)의 배후선단(21b)에 설치된 예를 들어 공기실린더(22)같은 부세플레이트구동유니트의 왕복운동에 의해 박막측롤(11)에 인접한 전방선단위치(23a)와 박막측롤(11)로부터 멀어지는 배후선단위치(23b) 사이의 평편플레이트부(21)의 상부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부세플레이트(23)를 구비한다.
한편 캐스팅부(24)가 편평플레이트부(21)의 배후선단(21b)에 설치된 공기실린더(22)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 캐스팅부(24)에는 박막측롤(11)에 접근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빗면(24a)과, 이 빗면(24a)의 양 측선단과 배후선단으로부터 돌출된 대체로 U자형상인 플랜지부(24b)가 구비된다. 이후, 공기실린더(22)의 신장에 의해 제6a도에 도시된 후방선단위치(23b)로부터 제6b도에 도시된 전방선단위치(23a)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부세플레이트(23)에 의해 수지부재(Wa)가 압착되어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 사이의 틈새로 공급된다.
이에 캐스팅부(24)가 경사진 빗면(24a)을 구비하므로, 수지부재(Wa)를 캐스팅할 때 조작자는 자신의 몸을 구부리거나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조작자는 불안정한 작업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어 수지부재(Wa)의 캐스팅 작업중에 조작자의 육체적 부담이 감소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조작자는 캐스팅부(24)의 배후쪽에서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수지부재(Wa)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송장치(25)는 박막측롤(11)과 주시재측롤(12)을 매개로 제조소재공급기(20)의 맞은편쪽 측면상에 설치되는 바, 운송장치(25)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26)의 양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안내부재(27)를 구비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안내막대(26a)가 바닥부(26)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 안내막대(26a)의 상부선단들은 박막측롤(11)의 롤표면의 상부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진다. 또한 이 안내막대(26a)들은 박막측롤(11)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졌으며, 그 하방선단은 제거장치(10)의 외부에 이른다. 이에 수지재(wb)가 바닥부(26)상에 미끄이동하여 외부로 운송되어지도록 고안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거장치(10)의 캐스팅부(24)에 인접하여 설치된 작동유니트(30)는 지지프레임(31)과, 이 지지프레임(31)상에 지지된 작동박스(32)를 구비하는 바, 작동박스(32)의 상부면상에 제1비상중단스위치(36)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 사이에 설치되고, 제2비상중단스위치(37)가 지지프레임(31)의 바닥상에 구비되는데, 이 제2비상중단스위치(37)는 예컨대 조작자가 페달을 동작시킴으로써 작동된다.
또한 외부물질의 유입, 즉 롤(11,12)에 외부물질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장치(38)는 캐스팅부(24)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감지장치(38)에는 빗면(24a)의 상부의 캐스팅부(24)의 양 선단에 서로 마주보는 광전튜브(38a)와 반사플레이트(38b)가 구비되어, 수지재(Wa)의 두께보다 적어도 큰 거리로 빗면(24a)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광전튜브(38a)로부터 발산된 광선은 반사플레이트(38b)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광선은 광전튜브(38a)로 재수용되는 바,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모두 켜진 경우에 감지장치(38)는 유입되는 외부물질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켜진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의 적어도 하나라도 꺼지면, 감지장치(38)는 꺼진 상태로 전환되어 감지가 중단된다.
상기 감지장치가 켜진 상태에서 외부물질이 광전튜브(38a)와 반사플레이트(38b)사이로 유입되어 광선을 차단하여 광전튜브(38a)가 광선을 수용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면, 감지장치(38)는 꺼진 상태로 전환된다.
더불어 제거장치(10)내에 구비된 회전구동유니트(14,15)와 공기실린더(22)를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와, 제1과 제2비상중단스위치(36,37) 및, 감지장치(38)의 동작에 따라 제어되도록 제어유니트(도시되지 않음)는 구동유니트(30) 또는 제어장치(10)의 작동박스(32)내에 구비된다.
이하 제7도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각 스위치(33,34,36,37)와, 감지장치(38) 및, 회전구동유니트(14,15)의 작동을 서술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40은 제어유니트를 나타내는데, 이 제어유니트(40)에는 구동신호발생부(41)와 위험신호발생부(42)가 구비된다. 작동박스(32)내에 구비된 제1과 제2동작스위치(33,34) 가 조작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되면, 즉 이들 스위치들이 켜지면, 작동신호발생부(41)는 작동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신호발생부(41)로부터 발생된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회전구동유니트(14,15)는 누름동작중에 작동하게 되고, 공기실린더(22)는 부세플레이트(23)를 후방선단위치(23b)로부터 전방선단위치(23a)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조작자가 제1과 제2동작스위치(33,34)중의 적어도 하나라도 누르는 것을 중단하면, 즉 적어도 하나의 제1과 제2동작스위치(33,34)가 꺼지게 되면, 위험신호가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출력된다. 이러한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 위험신호에 의하여, 회전구동유니트(14,15)는 회전을 중단하고, 공기실린더(22)는 후방선단위치(23b)로 부세플레이트(23)를 복귀시키도록 수축된다.
더불어, 제1과 제2동작스위치(33,34)가 구동되는 중에, 제2비상중단스위치가(37)가 제1비상중단스위치(36)의 부세동작 또는 페달동작에 의해 켜지게 되면, 위험신호가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다. 이러한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 위험신호에 의해, 회전구동유니트(14,15)는 회전을 멈추고, 공기실린더는 부세플레이트가 후방선단위치(23b)로 복귀되도록 수축함과 더불어 경고를 위해 경고라이트 등이 켜지게 된다.
더불어, 제1과 제2동작스위치(33,34)가 동작하는 동안에, 광전튜브(38a)에 의해 수용된 빛이 감지장치(38)의 광전튜브(38a)와 반사플레이트(38b) 사이에 외부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차단되어 감지장치(38)가 꺼진 상태로 전환되면, 위험신호가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다. 이 발생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 발생신호에 의해, 회전구동유니트(14,15)들은 회전을 멈추고, 공기실린더(22)는 부세플레이트가 후방선단위치(23b)로 복귀하도록 수축된다.
또한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의 위험신호가 구동신호발생부(41)로부터의 구동신호보다 우선권을 갖도록 고안되는데, 제1과 제2구동스위치(33,34)가 켜진 상태인 경우일지라도, 제1 또는 제2비상중단스위치(36,37)가 작동되면, 회전구동유니트(14,15)등이 비상중단할 수 있게 되고, 공기실린더(22)를 수축시킴으로써 부세플레이트(23)가 후방선단위치(23b)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제8도에 도시된 실린더공기순환(44)을 참조로 하여 공기실린더(22)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45는 공기원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46은 메인공기공급회로를 나타내는 바, 여기서 공기공급회로(46)는 부구(浮球) 콕(47)과, 조절장치(48) 및, 공기실린더용의 방향제어밸브(49)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선형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부구콕(47)이 개방되면, 공기원(45)으로부터의 공기가 조절장치(48)로 공급됨으로써 공기압은 방향제어밸브(49)로 공급되도록 조절되어진다.
상기 방향제어밸브(49)는 유동조절밸브(51a)와 체크밸브(51)를 갖춘 속도조절기(51)가 구비된 공기공급회로(50)를 매개로 공기실린더(22)의 제1피스톤쳄버(22a)에 연결되어 전방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방향제어밸브(49)는 유동조절밸브(53a)와 체크밸브(53b)를 갖춘 속도조절기(53)가 구비된 공기공급회로(54)를 매개로 공기실린더(22)의 제2피스톤쳄버(22b)에 연결되어 후방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모두 켜진 경우에, 방향제어밸브(49)는 제어유니트(40)의 구동신호발생부(41)로부터 출력된 작동신호에 반응하여 제8a도에 도시된 꺼진 상태에서 제8b도로 도시된 켜진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공기공급회로(50)와 속도조절기(51)를 통하여 공기의 공급유동율이 제어되면서 공기가 메인공기공급회로(46)으로부터 제1피스톤쳄버(22a)로 공급된다.
이후 공기가 제1피스톤쳄버(22a)로 공급되면, 제2피스톤쳄버(22b)내의 공기는 공기공급회로(54)를 매개를 방향제어밸브(49)로부터 배출되어 후방운동하게 되고, 공기조절기(53)는 공기실린더(22)를 신장시키게 된다. 이 경우 공기실린더(22)가 신장되면, 부세플레이트(23)가 후방선단위치(23b)로부터 이 부세플레이트가 멈추게 되는 전방선단위치(23a)로 전진하게 된다.
다음에 제1작동스위치(33,34)중의 적어도 하나가 꺼지게 되면, 방향제어밸브(49)는 꺼진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기는 공기공급회로(54)와 속도조절기(53)를 매개로 제2피스톤챔버(22b)로 공급되어 후방운동하게 된다. 또한 공기가 제2피스톤쳄프(23b)로 공급되면, 제1피스톤쳄버(22a)내의 공기를 공기공급회로(50)와 속도조절기(51)를 매개로 방향제어밸브(51)로부터 배출되어, 공기실린더(22)가 부세플레이트(23)가 멈추게 되는 후방선단위치(23b)로 부세플레이트(23)를 후진시키게 된다.
더불어, 모든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커지고 부세플레이트(23)가 공기실린더(22)를 신장시킴으로써 후방선단위치(23b)로부터 전방선단위치(23a)로 이동하게 될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꺼지게 되거나, 또는 제1 또는 제2비상중단스위치(36,37)를 작동시킴으로써 비상신호발생부(42)로부터의 비상신호에 의해 방향제어밸브(49)가 꺼진 상태로 전환되게 되면, 공기실린더(22)가 수축되어 부세플레이트(23)를 후방선단위치(23b)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하 제9도에 도시된 제어용 시간도표를 참조로 하여,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박막제거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조작자는 수지부재(Wa)를 제거장치(10)의 캐스팅부(24)의 빗면(24a)상에 던지게 되는데, 여기서 박막측롤(11)과 수시재측롤(12) 사이의 틈새의 크기는 박막(Wc)이 빗면(23a)와 마주보도록 리프터(16)에 의해 미리 조정되어진다.
던져 넣어진 수지재(Wa)는 빗면(25a)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럼이동하여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평플레이트부(21) 상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부세플레이트(23)는 편평플레이트부(21)의 배후선단(21b)에 인접한 후방선단위치(23b)로 정위되어, 조작자가 경사진 빗면(24a)의 배후측면에서 시각적인 관찰을 통해 편평플레이트부(21)상에 안내되는 수지부재(Wa)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수지부재(Wa) 가 편평플레이트부(21)상에 안내된 후에, 조작자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작동유니트(30)의 작동박스(32)상에 구비된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를 누르게 된다.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비상중단스위치(36)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를 양손으로 눌러야만 한다. 그러므로 조작자는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서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의 누름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전술한 누름동작에 의해 모두 켜지게 되면, 회전구동유니트(14,15)들은 구동신호발생부(41)로부터의 작동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후,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박막측롤(11)의 외주회전속도는 수지재측롤(12)의 회전속도보다 크게된다. 더불어, 실린더공기회로(44)의 방향제어밸브(49)는 제8a도로 도시된 꺼진상태에서 제8b도로 도시된 켜진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공기는 공기실린더(22)의 제1피스톤쳄버(22a)로 공급되어, 공기실린더(22)의 신장이 시작되고, 감지장치(38)는 외부물질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켜진 상태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 공기실린더(22)가 신장되면, 부세플레이트(23)는 후방선단위치(23b)로부터 전진하여 편평플레이트부(21)상에 안내된 수지부재(Wa)를 부세함으로써, 수지부재(Wa)를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사이의 틈새내로 공급하게 된다.
수지부재(Wa)는 부새플레이트(23)에 의해 부세되어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 사이의 틈새내로 확고하게 압착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수지부재(Wa)는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 사이의 부세력에 의해 롤되고, 롤(11,12)들 사이의 외주속도의 차이에 의해 전단응력이 수지재(Wb)와 박막(Wc)사이에 가해져, 박막(Wc)이 수지재(Wb)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공정이 완결된 후에, 조작자가 그 손을 적어도 하나의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로부터 떼면, 방향제어밸브(49)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꺼진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피스톤쳄버(22a)내로 공급된 공기가 중단되어 부세플레이트(23)가 전방선단위치(23a)에서 멈추게 된다. 더불어 공기가 제2피스톤쳄버(22b)에 공급되어 공기실린더(22)가 수축됨으로써 부세플레이트는 이부세플레이트(23)가 멈추게 되는 후방선단위치(23b)로 후진하여 이동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박막(Wc)이 벗겨질 수지재(Wb)는 롤(11,12)들에 의해 운송장치(25)의 경사진 바닥부(26)상으로 공급되고, 바닥부(26)상에 미끄럼이동하여 박막제거장치(1)로부터 배출되어 수집된다. 더불어 수지재(Wb)로부터 제거된 박막(Wc)은 박막측롤(11)의 롤표면에 접착되면서 이송된다. 이후 박막(Wc)은 스크레이퍼(17)에 의해 박막측롤(11)의 롤표면으로부터 제거되고, 벨트컨베이어등에 의해 이송되어 박막장치(1)로부터 배출되어 수집된다.
상기한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의 공조작용에 의해 수지재(Wb)로부터 박막(Wc)을 제거한 후에, 조작자는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의 누름동작을 멈춘다. 즉 조작자는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로부터 그 손을 떼게 된다. 이에 회전구동유니트(14,15)는 꺼진 상태가 되어,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박막(Wc)은 수지부재(Wa)의 수지재(Wb)로부터 연속적으로 벗겨지고 제거된다.
더불어,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부세된 박막제거동작중에, 조작자가 제1과 제2동작스위치(33,34)의 적어도 하나에 손을 떼게 되면, 즉 적어도 하나의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꺼지게 되면, 비상신호가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다. 이와 유사하게, 동시에 제2작동스위치(34)가 제9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꺼지게 된다. 상기한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의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회전구동유니트(14,15)의 작동의 제9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추게 되고, 이어서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은 회전을 멈추게 한다. 추가적으로 방향제어밸브(49)가 제8a도와 제9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꺼진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밸브(49)는 제1피스톤쳄버(22a)로의 공기공급을 중단하고, 공기를 제2피스톤쳄버(22b)로 공급하여, 공기실린더(22)가 수축됨으로써 부세플레이트(23)를 이 부세플레이트(23)가 멈추게 되는 후방선단위치(23b)로 후진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조작자가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를 모두 누르는 경우에만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의 회전운동이 구동되게 된다. 상기한 스위치(33,34)를 누를 때 조작자는 반드시 롤(11,12)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어, 조작자의 손 등이 양 롤(11,12)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과 제2비상중단스위치(36,37)가 박막제거작동중에 어떠한 이유로 작동될지라도, 회전구동유니트(14,15)의 동작이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의 위험신호에 의해 멈추게 되고,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의 회전도 멈추게 된다. 또한 방향제어밸브(49)는 꺼진 상태로 전환되어, 공기실린더(22)가 수축됨으로써 부세플레이트(23)가 이 부세플레이트(23)가 멈추게 되는 후방선단위치(23b)로 후진하여 이동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감지장치(38)가 외부물질의 유입을 감지하여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가 눌려진 박막제거작동중에 꺼진 상태로 되면, 위험신호가 위험신호발생부(42)로부터 발생된다. 이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회전구동유니트(14,15)의 동작이 제9도에 2개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추게 된다. 더불어 방향제어밸브(49)는 제8a도와 제9도에 2개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꺼진 상태로 전환되어, 제1피스톤쳄버(22a)로의 공기공급이 중단하게 되어, 공기실린더(22)가 수축됨으로써 부세플레이트를 이 부세플레이트가 멈추게 되는 후방선단위치(24b)로 후진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조작자가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를 누르고 있는 박막제거작동에 있어서, 다른 조작자가 그의 손 등을 실수로 롤(11,12)에 가깝게 넣으면, 감지장치(38)에 의해 감지되어,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이 회전을 멈추고, 부세플레이트(23)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조작자의 손 등이 상기한 롤(11,12)들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개선된 안전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는 공기실린더(22)의 연장에 의해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 사이의 틈새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수평적으로 연장된 편평플레이트부(21)의 상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부세플레이트(23)를 구비하는데, 이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지재(Wa)를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 사이에 틈새내로 압착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수지재를 롤(11,12) 사이의 틈새내로 직접 부세할 필요가 없으며, 이 롤(11,12)들로부터 거리상 떨어진 작동박스(32)상에 상호 이격되어 위치된 모든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를 작동시킴으로써만 롤(11,12)을 회전시키고, 상기 부세플레이트(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과 제2작동스위치(33,34)는 반드시 조작자의 양손으로 작동되어야 하는데, 이로써 조작자의 몸체가 회전구동된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조작자의 손 등이 상기 롤(11,12)들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조작자는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과 제2비상중단스위치(36,37)가 작동하거나, 감지장치(38)가 외부물질의 유입을 감지하면, 박막측롤(11)과 수지재측롤(12)은 회전을 멈추고 부세플레이트(23)는 전방으로의 이동을 멈추게 됨으로써, 작동상의 안전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세플레이트(23)를 사용함으로써 롤(11,12) 사이에 수지재(Wa)룰 부세시킴으로써 박막제거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공정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장치는 편평플레이터부(21)의 배후선단(21b)의 상부에 경사진 빗면(24a)이 구비된 캐스팅부(24)를 구비한다. 이에 조작자가 수지부재(Wa)를 던져 넣을 때, 조작자가 몸체를 기울이거나 구부릴 필요가 없게 되어, 조작자의 신체적인 부담을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자는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편평플레이트부(21)내로 던져진 수지부재(Wa)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윈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는 공기실린더의 연장에 의해 박막측롤과 수지재측롤 사이의 틈새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편평플레이트부의 상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부세플레이트를 구비하는데, 이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지재를 박막측롤과 수지재측롤 사이의 틈새내로 압착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수지재를 롤 사이의 틈새내로 직접 부세할 필요가 없으며, 이 롤들로부터 이격된 작동박스상에 상호 이격되어 위치된 모든 제1과 제2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만 롤을 회전시키고, 상기 부세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과 제2작동스위치는 반드시 조작자의 양손으로 작동되어야 하는데, 이로써 조작자의 몸체의 회전구동된 박막측롤과 수지재측롤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작자의 손 등이 상기 롤들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조작자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1과 제2비상중단스위치가 작동하거나, 감지장치가 외부물질의 유입을 감지하면, 박막측롤과 수지재측롤들은 회전을 멈추고 부세플레이트는 전방으로의 이동을 멈추게 됨으로써, 작동상의 안전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세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롤 사이에 수지재를 부세시킴으로써 박막제거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공정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면, 안전장치는 편평플레이트부의 배후선단의 상부에 경사진 빗면이 구비된 캐스팅부를 구비한다. 이에 조작자가 수지부재를 던져 넣을 때, 조작자가 몸체를 기울이거나 구부릴 필요가 없게 되어, 조작자의 신체적인 부담을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자는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편평플레이트부내로 던져진 수지부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그 사이에서 도막된 수지부재를 분쇄시키는 롤을 구비하고 있되, 이 롤들은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롤들로서 상이한 외주속도로 회전하며, 수지재로부터 박막을 제거하도록 수지재와 박막 사이에 전단응력을 가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롤들 사이에 틈새에 대체로 상응하는 높이에서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편평플레이트와; 이 편평플레이트를 밀어서 수지재를 상기 롤들 사이의 틈새로 공급하는 부세플레이트 및; 이 부세플레이트를 전방 이동시켜 상기 부세플레이트가 편평플레이트상에서 미끄럼이동하도록 하는 부세플레이트 구동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롤들로부터 이격된 스위치패널상에 구비되어, 상기한 부세플레이트 구동유니트를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롤들이 회전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작동스위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플레이트 구동유니트가 부세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한 다수개의 작동스위치들이 모두 켜졌을 경우에만 롤이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들이 회전구동하도록 유지하고, 상기한 다수개의 작동스위치들이 모두 켜졌을 경우에만, 상기 부세플레이트 구동유니트가 부세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들이 회전구동되는 중에 상기한 다수개의 작동스위치중의 적어도 하나가 꺼진 경우에는 상기 롤이 회전을 멈추고 부세플레이트 구동유니트가 부세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들이 회전구동되는 중에 비상중단스위치가 켜진 경우에 상기한 롤이 회전을 멈추도록 하고 부세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비상중단스위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7. 제1항의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쪽으로 외부물질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롤들이 회전구동되는 중에 상기 감지장치가 켜지면 상기 롤이 회전을 멈추고 상기 부세플레이트 구동유니트가 부세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에 접근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편평플레이트부의 배후선단 상부에 경사면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KR1019970004428A 1996-03-08 1997-02-14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KR100221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51915 1996-03-08
JP05191596A JP3182074B2 (ja) 1996-03-08 1996-03-08 塗膜剥離装置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859A KR970064859A (ko) 1997-10-13
KR100221716B1 true KR100221716B1 (ko) 1999-09-15

Family

ID=1290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428A KR100221716B1 (ko) 1996-03-08 1997-02-14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76557A (ko)
EP (1) EP0795392B1 (ko)
JP (1) JP3182074B2 (ko)
KR (1) KR100221716B1 (ko)
DE (1) DE6970366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189A (ko) * 2017-10-16 2020-06-11 그리클 에스.알.엘.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8929A (en) * 1999-08-16 2000-10-31 Montgomery; Michael Process for removing paint from polymeric material
TWI671254B (zh) * 2019-01-31 2019-09-11 景碩科技股份有限公司 薄膜分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23353C (ko) *
DE1266861B (de) * 1963-01-22 1968-04-25 Siemens Ag Elektrische Sicherheitsschaltung fuer die Zweihandeinrueckung von Pressen, Stanzen und aehnlichen Werkzeugmaschinen
US3818748A (en) * 1972-06-15 1974-06-25 Leslie E Tassell Safety apparatus for presses
US3951727A (en) * 1972-07-06 1976-04-20 Greenberg William B De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US4007677A (en) * 1975-05-22 1977-02-15 Anthony Fox Compactor device
US4085303A (en) * 1976-03-08 1978-04-18 Ametek, Inc. Safety double protection device for machines having plural circuit breaker assemblies associated with doffer roller and hand guard
US4599131A (en) * 1985-06-10 1986-07-08 Owens-Illinois, Inc. Delabeler for plastic containers
US4650535A (en) * 1985-08-13 1987-03-17 Creative Packaging Machinery, Inc. Apparatus for heat-sealing thermoplastic sheeting
EP0534972B1 (en) * 1990-06-26 1995-01-04 G.P.Resear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gypsum from waste wallboard
AU667057B2 (en) * 1991-10-18 1996-03-07 Thomas John Appleyard Brake press safety apparatus
JPH05131449A (ja) * 1991-11-14 1993-05-28 Nkk Corp 複合構造体の金属シートの分離方法
US5320035A (en) * 1991-11-27 1994-06-14 Salus Corporation Sugar cane juice extractor
JP3116554B2 (ja) 1992-06-04 2000-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合成樹脂表面の剥離装置
JP2822796B2 (ja) * 1992-08-05 1998-11-1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強化プラスチック、積層板およびフェノール樹脂成形品の粉砕装置
JPH06238663A (ja) * 1993-02-22 1994-08-30 Hitachi Chem Co Ltd 粉砕装置
EP0652093B1 (en) * 1993-11-08 2000-05-1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coating from coated plastics and method for recycling plastics
JP2829236B2 (ja) 1994-03-22 1998-11-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US5579685A (en) * 1995-02-23 1996-12-03 Insta Lettering Machine Company Breakaway engagement mechanism
US5678478A (en) * 1996-01-11 1997-10-21 Goyal Industries, Inc. Oil filter crushing apparatus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189A (ko) * 2017-10-16 2020-06-11 그리클 에스.알.엘.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KR102533805B1 (ko) 2017-10-16 2023-05-18 그리클 에스.알.엘. 무기 고형 폐기물의 처리 및 분리를 위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39729A (ja) 1997-09-16
DE69703668T2 (de) 2001-05-03
US5876557A (en) 1999-03-02
EP0795392B1 (en) 2000-12-13
JP3182074B2 (ja) 2001-07-03
EP0795392A3 (en) 1997-12-10
DE69703668D1 (de) 2001-01-18
KR970064859A (ko) 1997-10-13
EP0795392A2 (en) 1997-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18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lding parts
US629603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coating from coated product
CA1335033C (en) Apparatus for reclaiming plastic
JP4698034B2 (ja) 帯状部材の切断成型方法および装置
KR100221716B1 (ko) 박막제거장치의 안전장치
EP0737568B1 (en) Method for peeling and removing a coated film from a resin product
EP07410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and removing a coated film from a resin product
CA2051643A1 (en) Continuous feed thermo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3182087B2 (ja) 塗膜剥離装置
ATE168927T1 (de) Kunststoffschweissgerät
US58912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and removing a coated film on resin product
KR20120041665A (ko) 와이어 물질로부터 블랭크들을 생산하는 방법
DE2435373A1 (de) Glasschneidevorrichtung fuer 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hohlkoerpern durch strangpressen-blasarbeit
CN110899300B (zh) 一种废旧铝塑板破碎回收用静电分选设备
EP0830927A3 (en) Process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cutting extruded plastic material into pellets by means of a water jet
JP4441698B2 (ja) 間仕切りパネルにおける表面材の分離装置
KR0133986B1 (ko)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JP2888415B2 (ja) 押出プレス用シャー装置
JP3177416B2 (ja) 塗装樹脂製品リサイクル用射出成形装置
JPH054981Y2 (ko)
JPH0688286B2 (ja) 金型ホットランナの樹脂替・色替方法
JPH0711214U (ja) 開先加工機
JPH0418333A (ja) 車輌用モー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CN107009251A (zh) 一种半自动零件报废机
AU1733699A (en) Plasticator and system for molding a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