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86B1 -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86B1
KR0133986B1 KR1019940013409A KR19940013409A KR0133986B1 KR 0133986 B1 KR0133986 B1 KR 0133986B1 KR 1019940013409 A KR1019940013409 A KR 1019940013409A KR 19940013409 A KR19940013409 A KR 19940013409A KR 0133986 B1 KR0133986 B1 KR 013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cycled resin
cutter
main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441A (ko
Inventor
김혜곤
Original Assignee
김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곤 filed Critical 김혜곤
Priority to KR101994001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86B1/ko
Publication of KR96000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지의 폐수지 재생처리장치에 의해 겔상태로 압출되는 재생수지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제조하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폐수지 재생처리장치의 압출기에 추출기를 설치하여 판형으로 추출되는 재생수지가 이송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고, 이송되는 재생수지는 제1, 2 압연기를 통과하며 설계규격으로 압연됨과 동시에 냉각 성형기에 의해 고형화되도록 하며, 이후 측면절단기와 가장 절단기로 차례로 통과시켜 설계폭과 기장으로 절단시켜 완성된 거푸집을 얻게함으로써 전체고정의 무인자동화와 제품의 규격표준화 및 환경오염방지를 구현함과 동시에 작업성 향상과 원가절감 및 제품의 수명연장을 도모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제1도는 종래의 폐수지 재생처리장치의 개념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의 전체 개념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부분으로 되는 추출기와 이송 콘베이어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부분으로 되는 압연 및 냉각성형기의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부분으로 되는 측면 절단기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부분으로 되는 기장 절단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추출기 2 : 이송콘베이어
3A, 3B : 제 1, 2 압연기 4 : 냉각성형기
5 : 측면절단기 6 : 기장 절단기
7 : 보강재공급기 8 : 메인 프레임
12 : 추출구 31a. 31b : 지지로울러
32a, 32b : 가압로울러 41 : 분사구
43 : 송풍기 51. 66 : 모터
52, 67 : 커터 61 : 가이드레일
64 : 이송베드 65a. 65b : 클램퍼
68 : 위치감지센서 69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되는 폐수지를 이용하여 건축구조용 거푸집을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은 합판에 지지목을 박아 고정시켜 강도 보강되게 하고, 그 표면에는 콜타르, 중유 등의 이형제를 도포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몰타르 등과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목제 거푸집은 강도가 낮고 파손되기 쉬우며, 습윤의 반복에 의해 쉽게 부식되는 등, 그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 목제 거푸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소재로 구성한 거푸집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중량이 과대하여 취급이 어렵고, 쉽게 녹이 슬어 잦은 유지보수가 요구됨은 물론 고가이므로 실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거푸집 소재로서 방수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높은 재질로는 합성수지가 예상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면 그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하여 쉽게 제작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값싼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방안이 강구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만족하는 것으로는 환경 오염과 토양 오염원으로 되고 있는 폐수지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폐수지의 재생을 위한 방법과 장치로서 특허 제59644호, 폐필름상의 수지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특허 제 61922호, 폐수지 건식 재생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들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폐수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A)과; 절단된 폐수지에서 물기와 오물을 떨어내는 물기 및 오물 제거공정(B)과; 송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C)과; 건조된 폐수지의 표면에 묻어 있는 분진을 말끔히 떨어내는 분진제거공정(D)과; 열풍을 불어넣어서 축소시키는 축소화공정(E)과; 가열 용융시켜 판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공정(F)을 거쳐 재생수지(가)를 얻는 것을 공통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예시한 방법과 장치는 폐수지를 재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하는 것일 뿐이고, 이를 이용한 용도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거푸집이 가지는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하여 강도가 높고, 부식되지 않는 거푸집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용융된 수지를 압출기로 압출 성형하고 냉각시켜 소망의 판상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되는 판상의 재생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금속망체로 된 이송콘베이어와,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를 보유하고 이들 지지로울러에 가압로울러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로울러 사이로 중계로울러가 설치된 제1 및 제2 압연기와, 상기 중계로울러의 하부로 배치되고 송풍휀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재생수지로 인도하는 분사구가 형성된 덕트를 갖춘 냉각성형기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각각 모터로 고속 회전되는 커터를 보유하는 측면 절단기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으로 배치되고 전후 1쌍의 클램퍼가 배치된 이송 베드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퍼의 사이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재생수지를 절단시키는 커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퍼 및 모터의 동기 작동을 위하여 상기 이송 베드의 후방 상면으로 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항상 측면 절단기에 가까운 위치로 놓여지도록 인장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춘 기장절단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장치는 거푸집용 판재에 적합한 합성수지 판재를 연속적으로 또한 정해진 규격으로 되게 제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바, 이를 제2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압출기(1)의 출구로 부착 설치되어서 재생수지를 판형으로 형성시키는 추출기(1)와, 상기 추출기(1)에서 추출되는 판상의 재생수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2)와, 이송되는 재생수지를 임의 두께로 압연시키는 제1 및 제2 압연기(3A, 3B)와, 상기 제1 및 제2 압연기(3A, 3B) 사이로 배치되어서 이송되는 재생수지를 냉각시키는 냉각성형기(4)와, 상기 냉각 및 압연된 재생수지를 임의 폭으로 절단하는 측면 절단기(5)와, 상기 폭 절단된 재생수지를 임의 길이로 절단하는 기장절단기(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콘베이어(2)의 상부에는 필요하다면 보강재공급기(7)가 설치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추출기(1)와 이송콘베이어(2)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추출기(1)는 압출기(1)의 압출구 외주면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형틀(11)을 갖추고 있고, 이 형틀(11)의 선단은 납작한 사각 개구로 형성된 추출구(12)로 되어서 압출기(1)로부터 압출되는 겔상태의 재생수지(P)가 추출구(12)의 개구형태에 따라 판형으로 연속 성형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이러한 압출 과정을 통해 성형되는 재생수지(P)는 자연히 이송콘베이어(2)로 환승 적재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추출구(12)의 크기와 형태는 소망하는 거푸집용 판재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이송콘베이어(2)는 추출된 재생수지(P)가 이송 중에 자연 냉각될 수 있도록 금속망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성 중에서 제1, 제2 압연기(3A, 3B)와 냉각성형기(4)를 나타낸 것으로, 우선 제1, 제2 압연기(3A, 3B)는 각각 메인 프레임(8)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31a, 31b)를 갖추고 있고, 이들 지지로울러(31a, 31b)와 대응 되게 배치된 가압로울러(32a, 32b)는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이송콘베이어(2)를 따라 이송되는 재생수지(P)를 임의 두께로 압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압연기(3A, 3B)의 사이에는 중계로울러(33)가 설치되어서 1차 압연된 재생수지(P)를 2차 압연 위치로 이송되게 중계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가압로울러(32a, 32b)는 간격 조정핸들(34a, 34b)에 의해 미세 승강 조절되는 것이므로 재생수지(P)의 두께는 당양한 규격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성형기(4)는 상기 중계로울러(33)의 하부로 배치되는 분사구(41)를 포함한 덕트(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구(41)로는 송풍휀(43)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이 중계로울러(33)를 타고 이동되는 재생수지(P)를 공냉시키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공냉식을 예로 들고 있으나 냉각수의 분사에 의한 수냉방식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5도는 본발명에서의 측면 절단기(5)를 나타낸 것으로, 재생수지(P)를 이송시키기 위한 메인 프레임(8)의 양측에 각각 모터(51)로 고속 회전되는 커터(52)를 설치하여 재생수지(P)의 양단을 절단함으로써 그 폭을 임의 규격에 맞춰 주게 되는 것이며, 대개의 경우 폭에 관한 규격은 다양하게 정해지기 때문에 상기 커터(52)를 포함하는 모터(51)의 설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모터(51)의 후방 측에는 재생수지(P)가 이동 중에 좌우 유동되는 일이 없게 하는 가이드 로울러(53, 54)가 상하로 1쌍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압력조정핸들(55)를 통해 거푸집용 판재의 두께에 맞는 압박 지지력을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는 본 발명에서의 기장절단기(6)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메인 프레임(8)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61)과,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62)를 구비하고 있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받침 로울러(63)를 갖춘 이송 베드(64)와, 이송 중인 재생수지(P)를 상기 이송 베드(64)의 전방 상면에서 압박 고정시키는 전후 1쌍의 클램퍼(65a, 65b)와, 상기 클램퍼(65a, 65b)의 사이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모터(66)의 구동력을 받아 재생수지(P)를 절단시키는 커터(67)와, 상기 클램퍼(65a, 65b) 및 모터(66)의 동기 작동을 위하여 상기 이송 베드(64)의 후방 상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 감지센서(68)와, 상기 이송 베드(64)에서 메인 프레임(7)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7)이 항상 측면 절단기(5)에 가까운 위치로 놓여지도록 작용하는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9)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는 압출기(1)의 추출기(1)를 통해 추출되는 재생수지(P)가 이송콘베이어(2)를 따라 제 1 압연기(3A)로 이송되어 1차 압연되고, 압연된 재생수지(P)는 냉각성형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제2 압연기(3B)를 통과하여 압연 완료됨으로써 소망하는 두께를 가지는 판상체로 고형화된다. 그 후에 재생수지(P)는 측면절단기(5)를 통과하여 소망하는 폭을 갖도록 절단하고, 이어서 기장절단기(6) 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재생수지(P)의 이동 초기에 이송 베드(64)는 탄성부재(69)의 인장력을 받아 도면의 좌측에 놓여져 있는 상태가 되며, 이 때 클램퍼(65a, 65b)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측면 절단된 재생수지(P)가 이송베드(64)에 적재된 상태로 받침로울러(63)를 따라 이동하여 그 끝단이 위치감지센서(68)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위치감지센서(68)는 클램퍼(65a, 65b)와 모터(66)의 작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클램퍼(65a, 65b)가 하강하면서 재생수지(P)를 이송 베드(64)상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또한, 이 때 재생수지(P)는 계속 공급되고 있으므로 이 공급 이동력에 의해 이송베드(64)가 탄성부재(69)를 인장 시키면서 도면상 우측방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모터(66)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커터(67)가 재생수지(P)를 절단하여 소망의 규격을 가지는 판상체, 즉 거푸집 소재를 얻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절단 작동이 완료된 후에 클램퍼(65a, 65b)와 모터(66)는 초기 상태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이송베드(64)는 탄성부재(69)의 인장력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1사이클의 공정을 완료한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콘베이어(2)의 상부에 설치된 보강재공급기(7)를 통해 격자형 프레임을 공급하여 주었을 때에 최종 제조된 재생수지(P)를, 그 일측면에 프레임이 고정되게 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제안한 공지의 폐수지 재생처리장치에 연속하여 설비되어서 거푸집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판상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목제 거푸집이나 금속제 거푸집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주는 합성수지제 거푸집용 판재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또 거푸집용 판재의 주원료가 폐수지에서 재생된 수지로 됨에 따라 환경 오염과 토양 오염원으로 되고 있는 폐수지의 자원 재활용율을 향상시켜서 공해 방지에도 일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용융된 수지를 압출기로 압출 성형하고 냉각시켜 소망의 판상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되는 판상의 재생수지(P)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금속망체로 된 이송콘베이어(2)와, 메인 프레임(8)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로울러(31a, 31b)를 보유하고 이들 지지로울러(31a, 31b)에 가압로울러(32a, 32b)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로울러(31a, 31b) 사이로 중계로울러(33)가 설치된 제1 및 제2 압연기(3A, 3B)와, 상기 중계로울러(33)의 하부로 배치되고 송풍휀(43)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재생수지(P)로 인도하는 분사구(41)가 형성된 덕트(42)를 갖춘 냉각성형기(4)와, 상기 메인 프레임(8)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각각 모터(51)로 고속 회전되는 커터(52)를 보유하는 측면 절단기(5)와, 상기 메인 프레임(8)의 상면으로 배치되고 전후 1쌍의 클램퍼(65a, 65b)가 배치된 이송 베드(64)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퍼(65a, 65b)의 사이에는 모터(66)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재생수지(P)를 절단시키는 커터(6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퍼(65a, 65b) 및 모터(66)의 동기 작동을 위하여 상기 이송 베드(64)의 후방 상면으로 위치 감지센서(68)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7)이 항상 측면 절단기(5)에 가까운 위치로 놓여지도록 인장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9)를 갖춘 기장절단기(6)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KR1019940013409A 1994-06-14 1994-06-14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KR013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409A KR0133986B1 (ko) 1994-06-14 1994-06-14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409A KR0133986B1 (ko) 1994-06-14 1994-06-14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441A KR960000441A (ko) 1996-01-25
KR0133986B1 true KR0133986B1 (ko) 1998-04-20

Family

ID=1938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409A KR0133986B1 (ko) 1994-06-14 1994-06-14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441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8369A (en) Continuous apparatus for forming products from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 having three-dimensional patterns and surface textures
TW37224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king a foamed article of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DE260014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formen von gegenstaenden mit dreidimensionalen mustern und oberflaechenstrukturen aus thermoplastischen polymeren werkstoffen
CN112936662B (zh) 一种回收再造环保型tpu膜回收装置及其处理方法
US339942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truding thermoplastic material
US3408694A (en) Extruder
KR0133986B1 (ko) 재생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판재의 제조장치
GB2068820A (en) Non-planar glass fibre reinforced cement articles
DE430779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statisch gerippten und strukturierten Platten,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Stabilpaletten aus Altkunststoffen
US5208049A (en) Carriage-mounted extruder and blow molding head
CN207359677U (zh) 一种板材表面高分子聚合物附着生产线
JPS5912456B2 (ja) 押し出し機用魚尾形ダイス型先端
US3530535A (en) Linear extruding apparatus
CA2027691C (en) Pipe manufacturing line
WO2003101700A1 (fr) Technique pour produire des articles recycles comprenant le moulage par coulage de dechets de plastiques en fusion
KR100834926B1 (ko) 저밀도 발포폴리프로필렌의 재생중간원료 및 그 제조장치
ES2018872B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impiar moldes inferiores para formar placas endurecibles en un proceso de moldeo por extrusion
DE3907748A1 (de)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stranggepressten profilen aus kunststoff-recycling-material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CN213500399U (zh) 一种粉体颗粒材料混合热轧成型机
KR200283834Y1 (ko) 재활용 발포수지판넬의 제조장치
JP3354983B2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止水材の成形装置
CN213648582U (zh) 一种聚乙烯挤出机
CN214163951U (zh) 一种板材挤出装置
CN215825770U (zh) 一种xps挤塑板一次成型模具
DE10238159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tranggepreßter Kerami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